KR100469846B1 - Hands-free For Halmet Radio - Google Patents

Hands-free For Halmet Radio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846B1
KR100469846B1 KR10-2001-0066608A KR20010066608A KR100469846B1 KR 100469846 B1 KR100469846 B1 KR 100469846B1 KR 20010066608 A KR20010066608 A KR 20010066608A KR 100469846 B1 KR100469846 B1 KR 100469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signal
voice
sound
helmet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04974A (en
Inventor
우민환
백성흠
강상규
이일형
Original Assignee
우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민환 filed Critical 우민환
Priority to KR10-2001-0066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846B1/en
Publication of KR20030004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9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8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를 적용한 제 1음향재생기기의 음성신호부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제 2음향재생기기(음향 및 통신)들로 부터 상기 음성신호제어장치를 적용한 즉, 제 1음향재생기기에 입력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감지하여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신호 처리하여 출력시키는 음성신호제어부, 사용자가 음성신호제어부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음성제어신호부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나 제 2음향재생기기를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다중수신/검색기능, 양방향통화기능,핸즈프리기능 등 여러가지 기능을 제공 및 제어하여 줄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voice signal control device from at least two or more different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s (sound and communication) in the voice signal part of the first sound reproducing device to which the multi-function voice signal controlling device is applied. A voice signal controller which detects electrical voice signals input to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simultaneously outputs and processes the electrical voice signals independently, and a user interface unit and a voice control signal that allow a user to control the voice signal controller. It can provide and control various functions such as multiple reception / search function, two-way call function, hands-free function, including an interface unit connecting the unit to the user interface unit or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이러한 본 발명의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휴대용과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는 설치가 용이하고 매우 경제적이며 어떠한 음향기기 및 통신기기와도 호환이 가능하므로 음향 및 통신기기로 부터의 음성신호를 동시에 다중으로 수신하여 원하는 어느 한 출력수단을 통해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더욱이 음성신호 제어장치를 제 1음향기기에 내장 또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분리형으로 제작하여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By using the multi-function voice signa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ortable and helmet radio is easy to install, very economical, and compatible with any sound device and communication device, so that the sound signal from the sound and communication device can be used simultaneously. Multiple reception can be simultaneously output through any one of the desired output means, and furthermore, the voice signal control device is built in the first sound device or remote control can be manufactured to be used more easily by using a separate type.

Description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Hands-free For Halmet Radio} Hands free device for helmet radio {Hands-free For Halmet Radio}

본원 발명은 음향재생기기를 제어하여 서로 다른 음향,통신기기들과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기능 음성신호제어장치를 적용한 휴대용과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사용중인 어느 한 음향재생기기의 음성증폭 및 출력기능에 서로 다른 음향,통신기기들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에 대한 부가적 증폭 및 출력을 수행하고, 음향재생기기가 이들 다른 기기들과 호환할 수 있는 음성신호제어장치를 적용한 라디오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과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of a portable and helmet radio using a multi-function voice signal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the sound reproducing device to be used in conjunction with different sound and communication devices. The audio amplification and output function of one sound reproducing device performs additional amplification and output of voice signals received from different sound and communication devices, and the sound reproducing device is compatible with these other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s-free device for a portable and helmet radio equipped with a radio function to which the device is applied.

도 1은 종래의 음향재생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음향재생기기(10)는 방송신호신호를 입력받아 재생할 수 있는 단일 음향재생기기와 서로 다른 메체의 기능을 가진 복합음향재생기기(음향,영상,통신) 모두를 포함한다. Th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includes both a singl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and reproducing a broadcast signal signal and a complex sound reproducing apparatus (sound, video, communication) having different media functions.

다만 본 발명에서는 휴대가 간편한 음향기기에 다기능 음성제어회로장치를 내장한 단일기능의 음향기기에 대해서만 서술한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single function sound device incorporating a multifunctional voice control circuit device in a portable sound device will be described.

수신안테나로부터 수신된 방송신호는 동조회로(101)에서 원하는 방송국신호를 선국된 뒤 고주파 증폭회로(102), 검파회로(103)를 거쳐 전기적 음성신호로 분 리된 후 음성신호 입력부(104)로 입력된다. 음성신호 입력부(104)는 선택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한 음성신호를 저주파 증폭회로(105)로 전송하여 해당 음성신호가 스피커나 이어폰을 울릴 수 있도록 증폭되어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출력된다. 음성신호 입력부(104)는 프리앰프(Pre-Amp)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동작은 생략한다.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ption antenna is tuned to the desired broadcast station signal by the tuning circuit 101, and then divided into an electric voice signal through the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102 and the detection circuit 103. After input, it is input to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transmits any voice signal selected by the selection switch (not shown) to the low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105 so that the corresponding voice signal is amplified so as to ring the speaker or earphone and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or earphone. .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pre-amp and a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휴대폰과 유선전화기의 스피커폰과 같은 통신기기에 있어서, 통신기기를 이용한 통화시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발명된 핸즈프리(Hand Free)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핸즈프리통화에 있어서 유선으로 구성된 해드폰 및 이어폰을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 하도록 하고 있는 방식과, 자동차의 핸즈프리 경우 거치대, 마이크 및 자체 스피커 등이 내장된 일체화된 제품인 거치형을 차량내부의 일정한 지점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며, FM수신방식을 이용한 핸즈프리장치의 경우 별도의 회로장치의 기구물과 휴대전화기를 연결하고 반드시 FM의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여 카오디오의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을 청취할 수 있는 무선형이 있다. 이러한 차량용 핸즈프리의 경우 핸즈프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전원을 이용하거나 자체 전원을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I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a speaker phone of a mobile phone and a wired telephone, many hands-free inventions are invented to make a call without using a hand when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way of making a call using earphones and the hands-free case of the car, the stationary type which is an integrated product equipped with a cradle, a microphone and its own speaker, etc. In the case of the hands-free device, there is a wireless type in which a device of a separate circuit device and a mobile phone can be connected and a specific voice of FM can be used to listen to the other party's voice through the speaker of the car audio. In the case of such a vehicle-free handsfree, a method using a vehicle power source or a self-power source is used to supply power to the handsfree.

또한 기존의 유,무선 전화기능을 가진 통신기기에서는 인터페이스를 통한 서로 다른 음향기기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기능을 할 수가 없으며, 헬멧 착용후 운행중의 휴대폰을 사용시에는 이어폰을 통한 수신이나 헬멧을 벗고 운행중인 이륜차의 동작을 멈추고 통신기기를 사용해야하는 등 불편함이 많았다. In addition, in the existing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d or wireless telephone function, the audio device may not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n a different audio device through an interface. There were many inconveniences, such as stopping the operation of two-wheeled vehicle and using a communication device.

또한 대부분의 핸즈프리장치는 유선전화기와 같은 통화품질인 양방향의 통화 기능이 되지 않고 대부분이 단방향 통화를 적용한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In addition, most hands-free devices are two-way calls with the same call quality as landlines. It is not a function and most of them use a one-way call.

상술한 종래의 음향재생기기들은 자체 고유의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서로 다른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동시에 처리하여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없다. 예컨대, 라디오 기능에 있어서, 제 1음향재생기기의 라디오를 듣는 동안에 동시에 제 2음향재생기기의 통화수신음성의 신호를 들을 수 없다. 그리고, FM수신방식을 이용하는 차량용 핸즈프리에서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에는 차량용 오디오의 스피커를 통해 전화를 통한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반대로 전화통화를 위해 차량용 오디오 스피커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용 오디오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다. Since the convent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es perform only their own functions, the convent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es cannot simultaneously process signals received from different devices and output them through one speaker. For example, in the radio function, while listening to the radio of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the signal of the call reception voice of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cannot be heard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while the vehicle audio system is used in a vehicle hands-free system using the FM reception method, a voice signal through a telephone cannot be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of the vehicle audio.In contrast, when the vehicle audio speaker is used for a telephone call, the vehicle audio system may be used. Can't.

또한 FM수신방식은 주파수와 중첩 또는 인접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어 혼신 또는 방송신호의 간섭으로 Noise(잡음)가 많이 발생하거나 통화내용을 도청 당 할수도 있으며 장애물이 있으면 통화중에는 통화가 끊기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휴대폰의 경우 고유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FM reception method uses overlapping or adjacent frequencies with frequency, which can cause a lot of noise or interference due to interference or interference of broadcast signals. have. Due to these problems, mobile phones are losing their functio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음향재생기기에 부가되어 상술한 제 1음향재생기기 및 다른 기기의 제 2의 음향재생기기의 매체들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동시에 음성증폭 및 제어하여 하나의 출력수단을 통해 동시에 출력 및 제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기능 음성신호제어장치를 휴대용과 헬멧라디오의 음성신호부에 내장하여 제공함으로써 별도의 핸즈프리장치가 필요하지 않게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d a single sound output by simultaneously amplifying and controll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media of the first sound playback device and the second sound playback device of another device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sound playback device. By providing the multi-function voice signa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output and control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means built into the voice signal of the portable and helmet radi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hands free device.

또한 장소에 구분없이 사용할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한 휴대용 핸즈프리장치 를 제공함으로서 휴대폰의 사용시 전자파 방출로 인한 인체를 보호하는 것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portable hands-free device that can be carried anywhere By providing a to protect the human body due to electromagnetic radiation when using the mobile phon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기능 음성신호 제어장치에서는 라디오 기능이 구비된 본 발명의 휴대용 및 헬멧내장 핸즈프리장치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음향기기의 매체들로부터 상기 음향재생장치에 입력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감지하여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신호처리하여 출력시키는 음성신호제어부, 사용자가 상기 음성신호제어부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및 음성제어신호부와 사용자인터페이스부와 제 2음향재생기기를 연결시켜주는 제 1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단일 기능인 휴대용 및 헬멧라디오의 음향기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e multi-function voice signal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rtable and helmet-free hands-fre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radio function is an electrical input to th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from the media of two or more different sound equipments. A voice signal controller which detects voice signals and simultaneously outputs and processes the electrical voice signals independently, and a user interface unit and a voice control signal unit, a user interface unit, and a second interface allowing a user to control the voice signal controller. It includes a first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sound reproducing device, but is not limited to the sound device of the portable and helmet radio which is a singl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음성신호제어부(201)를 포함하는 제어장치(20)가 제 1음향재생기기(10)에 내장되어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 및 제 2음향재생기기(40)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2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ontrol device 20 including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and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30 and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It is a figure which shows.

또한 도 3과 도 4는 도 2에 있어서 일부기능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이므로 연계하여 설명하고 부가 되는것만 후술의 도 3과 도 4 에서 별도 상술한다. In addition, FIGS. 3 and 4 are the same configuration except for some functions in FIG. 2, so only those described and ad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음성신호제어부(201)는 기존의 음향재생기기(10)의 제어장치(20)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매체(라디오, TAPE, CD, 외부통신기기 등)들로부터 전기적 음성신호들이 입력되면 이들 복수의 음성신호들을 독립적으로 신호처리하여 음성신호입력부(104)로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선택 수신을 선택하면 음성신호제어부(201)는 선택된 음성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처리하여 음성신호입력부(104)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다중 수신을 선택하면 음성신호제어부(201)는 2 이상의 음성신호들을 각 신호값을 유지한 채로 음성신호입력부(104)로 전송한다.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동조 및 고주파 증폭한 후 검파한 전기적 음성신호(이하, "제 1음성신호"라 함)를 신호처리함에 있어서, 종래 음향재생기기의 경우에는 음성신호입력부(104)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 1음성신호 및 후술될 제 2음성신호를 동시 수신하여 저주파 증폭회로(105)로 출력할 수가 없으나, 본 발명의 음성신호제어부(201)는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성신호가 동시에 증폭 및 재생될 수 있도록 해주고, 제 1음성신호를 청취하면서 제 2음성신호를 검색하여 선곡할 수 있는 다중수신/검색기능/Mute기능 및 양방향통화기능과 함께 핸즈프리 기능을 제공하여 준다. 물론, 2개 이상의 음성신호의 동시 증폭 및 재생이 가능하다.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is installed in the control device 20 of the existing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and when the electric voice signals are input from different media (radio, tape, CD,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etc.) The voice signals are independently signal 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selective reception, the voice signal controller 201 selectively processes only the selected voic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When the user selects multiple reception, the voice signal controller 201 performs two or more. The voice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while maintaining the respective signal values. In the signal processing of the electric voice signal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voice signal") detected after tuning and high frequency amplifying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Can not simultaneously receive 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audio signal to be described later and output the same to the low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105. However,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audio signal. It allows the audio signal to be amplified and reproduced at the same time, and provides the hands-free function along with the multiple reception / search function, mute function, and two-way call function that can search and select the second voice signal while listening to the first voice signal. .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mplify and reproduce two or more voice signals.

또한, 음성신호제어부(201)는 유,무선전화기 및 휴대전화기와 같은 통신기기인 제 2음향재생기기(40)와 인터페이스하여 제 2음향재생기기(40)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음성신호(이하, "제 2음성신호"라 함)를 제 1음향재생기기(10)의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이 가능하도록 해주고, 제 1음향재생기기(10)로부터의 제 1음성신호 또는 제 2음성신호를 제 1 음향재생기기(10) 및 제 2음향재생기기(4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도 있도록 해준다. 또한 제 2음향재생기기(40)가 저출력이거나 이어폰전용 수신기기이고, 제 1음향재생기기(10)가 제 2음향재생기기(40)보다 큰 출력을 내는 경우에는 제 2음향재생기기(40)의 출력을 제 1음향재생기기(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므로 고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음향재생기기(10)가 단일 매체의 기능만 있고 고출력을 내는 경우 제 1음향재생기기(10)에서는 수신할수 없는 다른 매체(CD,Tape,기타)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써 제 2음향재생기기(40)의 음성신호를 제 1음향재생기기(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물론, 2개 이상의 음성신호의 동시 증폭 및 재생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interfaces with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which is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wired / wireless telephone and a mobile phone, to be input from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hereinafter, “ Second audio signal " " to the speaker or earphone of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and to output the first voice signal or the second voice signal from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to a first sound signal. Through th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and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can als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addition, when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is a low output or an earphone receiver device, and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produces a larger output than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Can be output through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thereby providing a high output. More specifically, when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has a function of a single medium and outputs a high output,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receives a voice signal from another medium (CD, Tape, etc.) that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cannot receive. By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audio signal of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can be output through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amplify and reproduce two or more voice signals.

상술된 제 1음성신호 내지 제 2음성신호는 서로 다른 음향재생기기의 매체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구분하기 위해 편의상 붙인 것으로 상술된 바와 같이 특정 매체로부터의 음성신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The first to second audio signal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the audio signals input from the media of different sound reproducing apparatuses, and are not limited to the audio signals from the specific media as described above.

제 1인터페이스부(202)는 음성신호제어부(201)와 제 2음향재생기기(40) 및 후술될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를 연결시켜 주는 인터페이스수단으로 사용자가 음성신호제어부(201)를 원거리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first interface unit 202 is an interface means for connecting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to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and the user interface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t gives you control.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부(202)와 연결되어 음성신호제어부(201)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수단이다. 이러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는 마이크(301)와 제 1음향재생기기(10)의 스피커(106) 또는 제 2음향재생기기(40)가 통신기기의 경우 비밀통화를 위한 비밀통화스위치(304) 와 마이크(301)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송출을 제 1음향재생기기(10) 및 제 2음향재생기기(40)로 전송할 수 있는 기능 및 상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음향기기의 매체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검색/제어하여 증폭 및 재생시켜주는 다중수신/검색스위치/제어(305)를 구비하고 있다. The user interface unit 30 is a user interface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be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202 to control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The user interface unit 30 is a microphone 301 and the speaker 106 of the first sound reproducing device 10 or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is a secret call switch 304 for a secret call when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ability to transmit the user's voice transmission through the microphone 301 to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and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and from the media of at least two different sound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A multiple reception / search switch / control unit 305 is provided to receive / search / control audio signals to amplify and reproduce audio signals.

도 3은 도 2의 구성을 실제로 구성한 구성예로 상술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 (30)를 사용자가 휴대가 간편하고 원거리에서도 본 발명의 음성신호 제어부(201)를 제어 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FIG. 3 is a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FIG. 2, which allows the user to carry the above-described user interface 30 and the voice signal controller 201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at a distance. One embodiment is shown to allow control.

인터페이스부(202)는 착탈이 용이한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나 바람직 하게는 기존의 이어폰잭과 동일한 형태의 연결잭을 이용함으로써 제 1음향재생기기(10),이어폰(302),제 2음향재생기기(40)와 별도의 접속단자가 필요없이 바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202 may be any shape that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but preferably, by using a connection jack having the same type as a conventional earphone jack,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the earphone 302, and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 40) and a separate connection terminal can be connected directly without the need.

그러나, 본 발명의 음성신호제어부(202)와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를 연결시켜주는 연결잭(300)은 기존의 스테레오기능의 이어폰잭을 지원하기 위한 3개의 신호(R/G/B)로는 본 발명의 음성신호제어기능을 수행 할 수 없으므로 동일한 형상의(+,-)잭에 기존의 3개의 신호(R/G/B)와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 및 제어신호를 위한 신호를 포함하여 다중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연결잭(300)은 기존의 이어폰잭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하고 단지 연결잭(300)의 길이를 길게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발생 및 제어신호를 전송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이어폰잭과도 호환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However, the connection jack 300 connecting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2 and the user interface unit 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ree signals (R / G / B) for supporting an earphone jack having a conventional stereo function. Since the voice signal control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not be performed, multiple signals including three signals (R / G / B) existing in the same shape (+,-) jack and signals for signal generation a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onfigured to process a signal. The connection jack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existing earphone jack and only by lengthen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jack 300 to transmit the signal generation a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ventional earphone jack It can also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발명의 제어장치(20)의 다중수신/검색/제어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The multiple reception / search / control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2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사용자가 제 1음향재생기기의 Radio로 음악을 들으면서 제 2음향기기의 통화음성신호를 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중수신/검색스위치(305)를 누른 후 라디오를 온 한다. 음성신호제어부(201)는 라디오 방송신호인 제 1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수신한다. 즉, 제 1음성신호는 음성신호입력부(104)로, 제 2음성신호는 음성신호제어부(201)로 각각 입력된 후 동시에 저주파 증폭회로(105)에서 증폭된 후 스피커(106) 또는 이어폰(107)을 통해 출력된다. 사용자는 통화 음성신호를 수신 하던 중 다른 방송신호를 듣고자 다른 방송신호를 검색 선곡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음성신호제어부(201)는 동일한 방식으로 검색기능을 제공하여 준다.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a call voice signal of the second sound device while listening to music on the radio of the first sound reproducing device, the user presses the multiple reception / search switch 305 and then turns on the radio. The voice signal controller 201 detects and receives a first voice signal, which is a radio broadcast signal. That is, the first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voice signal input unit 104 and the second voice signal is input to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respectively, and then amplified by the low frequency amplifier circuit 105 and then the speaker 106 or the earphone 107. Is printed via). When the user receives a call voice signal and wants to search and select another broadcast signal to listen to another broadcast signal, the voice signal controller 201 provides a search function in the same manner.

제 2음향재생기기(40)로부터 입력되는 제 2음성신호를 제 1음향기기(10)의 스피커(106)를 통해 출력하거나 제 1음향재생기기(10)로 부터의 제 1음성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이어폰잭을 인터페이스부(202)와 제2음향재생기기(40)에 꽂으면 음성신호제어부(201)는 제 2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스피커(106)로 출력하거나 제 1음성신호를 제 2음향재생기기(40)를 통해 원하는 곳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데, 제 2음향재생기기(40)가 통신기기일 경우 인터페이스부(202)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통화를 하면서 다중수신/검색스위치(305)를 누르면 음성신호제어부(201)는 상술된 다중수신기능으로 제 1음성신호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의 전화통화 내용 즉, 제 2음성신호를 동시에 스피커(106)로 출력해주며, 제 1 음성신호를 전화통화 상대방에게 전송하여 상대방도 사용자와 같이 제 1음성신호를 들으며 전화통화를 할수 있도록 해준다. Outputs the second audio signal input from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through the speaker 106 of the first sound reproducing device 10 or sends the first sound signal from the first sound reproducing device 10 to the outside. When the earphone jack is inserted into the interface unit 202 and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the voice signal controller 201 receives the second voice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speaker 106 or outputs the first voice signal.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may be transmitted to a desired place. For example, when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is a communication device, when the user presses the multiple reception / search switch 305 while making a phone call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202,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201 may perform the multiplexing described above. While the first voice signal is being reproduced by the receiving function, the user's telephone call contents, that is, the second voice signal are simultaneously output to the speaker 106, and the first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lephone call counterpart. It allows you to make a phone call while listening to the first voice signal.

이러한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제 2음향재생기기(40)가 통신기기일 경우 제 1음향재생기기를 핸즈프리로 사용할수 있다. By using such a function, when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is a communication device,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can be used hands-free.

사용자가 제 2음향재생기기(40)가 통신기기일 경우 제 2음성신호를 스피커(106)를 통해 듣지 않고 이어폰(302)을 통해 혼자만 듣고 싶거나, 제 1음향재생기기(10)으로부터 수신하고 있는 제 1음성신호 및 제 2음향재생기기(40)의 제 2음성신호를 혼자만 듣고 싶으면 비밀통화스위치(304)를 누르고 이어폰(302)을 사용하면 된다.   When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is a communication device, the user wants to listen to the second sound signal alone through the earphone 302 without listening to the second sound signal through the speaker 106 or receives it from the first sound reproducing device 10. The first audio signal and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2 If you want to hear only the voice signal, you can press the secret call switch 304 and use the earphone 302.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제 1음향재생기기(10)가 어느 한 매체로부터의 음성신호만을 재생시키는 음향재생기기(즉, 라디오,CDP,카셋트플레이어,DVD 및 이외 어떠한 음향재생기기포함) 대신에 또 다른 제 2음향재생기기(40)(통신,음향)를 제 1음향재생기기(10)에 연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다중수신 기능으로 서로 다른 음향재생기기로 부터의 음성신호를 어느 한 음향재생기기의 스피커로 재생할수 있게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is replaced with another sound reproducing apparatus (ie, including radio, CDP, cassette player, DVD and any other sound reproducing apparatus) which reproduces only the audio signal from one medium. When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communication, sound) is connected to the first sound reproducing device 10, the multi-receiving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voice signals from different sound reproducing devices to You can play with the speaker.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술한 라디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및 헬멧 내장형 핸즈프리장치에서 다기능 음성신호제어장치를 적용한 모든음향,영상,통신등의 음성신호부에 적용하는것이므로 통상의 지식을 소유한자 라도 본 발명의 휴대용과 헬멧라디오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란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and helmet-type hands-free device with the radio func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ll sound, video, communication, and other audio signal parts to which the multi-function voice signal control device is applied.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is not only applicable to portable and helmet radios.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자인터페이스부의 실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actual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는 사용자인터페이스고정용클립(305)을 사용자의 의상에 삽입하여 사용할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제 1음향재생기기(10) 또는 제 2음향재생기기(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필요없어 보다 경제적이다 The user interface unit 30 can insert the user interface fixing clip 305 into the user's clothes, and receive power from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or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40. More economical as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ower supply

도 4는 헬멧라디오와 사용자인터페이스부및 제 2음향기기 및 이륜차의 핸들부의 실체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actual configuration of the handle portion of the helmet radio, the user interface unit, the second sound device and the motorcycle.

헬멜라디오의 주요기능은 상술한 기능에서 서술하였기에 부가된 기능에 대 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  The main functions of Helmel Radio are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functions. I will only describe it.

헬멧라디오(100)는 사용자의 헬멧(50)착용시 헬멧(50)내부의 귀 부분의 좌,우 어느 한쪽에 스피커(106)를 포함한 제 1음향기기(10)를 구성하고, 대칭되는 곳에는 사용자가 헬멧(50)을 착용후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제 2음향기기(40)를 통한 외부 전송시 헬멧(50)내부에 마이크(301)를 설치하므로서 운행중에서도 헬멧(50)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사용할수 있으며 사용자 음성이외의 신호입력 방지를 위해 마이크(301)를 내부에 구성하였다. 한편 헬멧라디오(100)를 통해 사용자는 운행중 지루함을 해소하게 되며, 또한 사용자가 헬멧라디오(100)가 아닌 또 다른 제 1음향재생기기(10)를 구성시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hen the helmet radio 100 is worn by the user's helmet 50, the first acoustic device 10 including the speaker 106 is formed on either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ar part inside the helmet 50, and the symmetrical place is After the user wears the helmet 50, the microphone 301 is installed inside the helmet 50 when the user's voice signal is externally transmitted through the second sound device 40, even while the helmet 50 is being worn while driving. The microphone 301 is configured inside to prevent the signal input other than the user's voice. On the other hand, the user through the helmet radio 100 to eliminate the boredom while running, and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detachment when the user configures another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other than the helmet radio (100).

헬멧라디오(100)의 특수성으로 인해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에는 제 1음향재생기기(10)의 주파수선택기능(304)과,비밀통화선택기능(303),수신음성신호의 출력을 조정하는 볼륨(306),동시수신/검색/제어(3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헬멧라디오(100)가 아닌 또다른 제 1음향기기(10)를 사용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301)를 겸용으로 사용할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Due to the peculiarity of the helmet radio 100, the user interface 30 has a volume for adjusting the output of the frequency selection function 304, the secret call selection function 303, and the received voice signal of the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10. 306, simultaneous reception / search / control 302, and a microphone 301 for inputting a user's voice signal when using another first sound device 10 other than the helmet radio 100 for the user's convenience. ) Can be used as a combined

비밀통화시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에 착탈이 용이토록 구성된 이어폰잭에 이어폰(302)을 사용하면 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부(30)와 제 2음향재생기기(40)으로 연결되는 제 2인터페이스부(203)에는 이륜차의 운행중에 있어서 헬멧내부에 설치된 제 1음향기기(10)의 수신중에도 제 2음향기기(40)의 원,터치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동시수신/검색/제어기능(305)의 스위치를 이륜차의 핸들부(308)에 고정할수 있도록 구성한 클립장치(309)로 구성되어 있다 In the secret call, the earphone 302 may be used in an earphone jack configured to be easily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user interface 30, and a second interface connected to the user interface 30 and the second sound reproducing device 40 ( 203, a switch of the simultaneous reception / search / control function 305 configured to enable one-touch communication of the second sound device 40 while the first sound device 10 installed inside the helmet while the motorcycle is in operation. It is composed of a clip device 309 configured to be fixed to the handle portion 308 of the two-wheeled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기능 음성제어장치를 적용한 휴대용 및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는 사용이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휴대폰의 전자파 방출로 인한 인체의 유해를 보호하고 장소에 구분없이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음향재생기기에 복수의 다른 음향기기의 매체들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어느 한 출력수단을 이용하여 동시에 출력할 수 있으며, 더욱이 다기능 음성제어장치를 어느 음향재생기기에 내장 또는 외장형으로 제작하여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와 함께,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는 헬멧을 착용하고 운행중에서도 스피커를 통한 음향기기의 수신과 함께 휴대폰의 통화수신을 원,터치로 동시수신/검색/제어할수 있는 음향기기의 음성신호 제어기능을 이용한 송,수신방식으로 인해 운행중에도 통화가 단절되는 현상이 없이 원음에 가까운 완벽한 통화품질과 핸즈프리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ands-free device of the portable and helmet radio to which the multi-function voic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convenient and economical, and protects the harmful effects of the human body caus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 emission of the mobile phone and is easy to use regardless of place. It is possible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audio signals from the media of a plurality of different sound equipments to the sound reproducing apparatus by using any one of the output means. Helmet Radio's hands-free device can control voice signal of audio equipment that can simultaneously receive / search / control call reception of mobile phone with the reception of audio device through speaker while wearing helmet. Call is disconnected even during operation due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thod using the It is possible to realize perfect call quality and hands-free function close to the original sound without any phenomenon.

도 1은 종래의 음향재생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ound reproducing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의 음성제어장치가 제 1음향재생기기의 음성신호부에 내장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제 2음향재생기기(음향,통신)와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voice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 voice signal unit of a first sound reproducing apparatus and is connected to a user interface unit and a second sound reproducing apparatus (sound and communication).

도 3 은 사용자인터페이스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과 도 2의 구성을 실제로 구현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interface unit and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ctually implementing the configuration of FIG.

도 4 는 도 3의 또 다른 구성을 실제로 구현한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other configuration of FIG. 3 is actually implement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 1음향기기 100 : 헬멧라디오   10: first sound device 100: helmet radio

20 : 다기능 음성신호제어장치 201 : 음성신호제어부   20: multi-function voice signal control device 201: voice signal control unit

202 : 인터페이스부 203 : 제 1인터페이스부  202: interface unit 203: first interface unit

30 : 사용자인터페이스부   30: user interface unit

300 : 연결잭 301 : 마이크  300: connection jack 301: microphone

302 : 이어폰 303 : 비밀통화스위치  302: earphone 303: secret call switch

304 : 다중수신/검색/묵음선택스위치 305 : 사용자인터페이스고정클립  304: Multiple reception / search / mute selection switch 305: User interface fixing clip

306 : 볼륨 307 : 주파수조정  306: volume 307: frequency adjustment

308 : 이륜차 핸들손잡이 40 : 제 2음향재생기기(음향,통신) 308: Handlebar two-wheeled vehicle 40: Second sound reproduction device (sound, communication)

309 : 다중수신/검색/인터페이스부의 고정용 클립 310 : 전원스위치 309: Clip for fixing multiple reception / search / interface 310: Power switch

Claims (9)

헬멧에 구비된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에 있어서, In the hands free device of the helmet radio provided in the helmet,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signal of a user;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컨트롤되고, 상기 헬멧 라디오의 전기적 음성신호와 외부 음향기기로부터 상기 헬멧라디오에 입력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감지하여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각각 독립적으로 동시에 신호처리하여 선택적 또는 다중 출력시키는 음성신호제어부; Controlled by the user interface unit, and detects the electric voice signal of the helmet radio and the electric voice signals input to the helmet radio from an external sound device to independently and simultaneously signal processing the electric voice signals independently or multiple outputs Voice signal control unit; 상기 음성신호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선택적 또는 다중 입력받는 음성신호 입력부; A voice signal input unit configured to selectively or multiplely input the electrical voice sig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voice signal controller; 상기 음성신호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들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 및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voic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voice signal input unit; And 상기 음성신호제어부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 또는 상기 외부 음향기기를 연결시켜주는 제 1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Hands free device of a helmet radio comprising a first interface unit for connecting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and the user interface or the external audio device. 삭제 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er interface unit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 A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user; 상기 제 2음향기기(통신)의 비밀통화를 위한 비밀통화스위치; A secret call switch for a secret call of the second sound device (communication);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음향기기의 매체로 부터의 음성신호를 수신/검색하여 증폭 및 재생시키기 위한 다중수신/검색/Mute기능,볼륨,주파수조정,클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Hands free of helmet radios, comprising multiple reception / search / mute functions, volume, frequency adjustment, and clips for receiving / searching, amplifying and reproducing voice signals from at least two different sound device media Device. 삭제 delete 삭제 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신호제어부 및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이어폰잭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The hands-free device of a helmet radio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ice signal control unit and the user interface unit are connected to an earphone jac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음성신호제어부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있는 이어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The hands-free device of a helmet radio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user interface unit further comprises an earphone capable of listening to a voice signal input to the voice signal controlle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잭은 스테레오기능의 3개신호(R/G/B)를 포함하여 상기 음성신호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해 발생되는 다중의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연결단자를 종래 이어폰잭의 연결단자보다 길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The earphone jack of claim 6, wherein the earphone jack includes three signals (R / G / B) having a stereo function to connect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onventional earphone jack to transmit multiple signals generated to control the voice signal controller. Hands free device of a helmet radio,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longer than the connecting terminal.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헬멧라디오는 According to claim 1 or 3, wherein the helmet radio 헬멧내부에 라디오기능과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를 구성하고, Configure the microphone to receive the radio function and the user's voice inside the helmet, 상기 음성신호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인터페이스부에 다수의 스위치들을 포함하여 의상등에 착탈이 용이 하도록 클립장치와 이륜차핸들에 추가로 클립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A hands-free device for a helmet radio, characterized in that a clip is attached to a clip device and a two-wheeled vehicle handle to easily attach or detach clothes, including a plurality of switches to an interface unit for controlling the voice signal controller.
KR10-2001-0066608A 2001-10-29 2001-10-29 Hands-free For Halmet Radio KR1004698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608A KR100469846B1 (en) 2001-10-29 2001-10-29 Hands-free For Halmet Radi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608A KR100469846B1 (en) 2001-10-29 2001-10-29 Hands-free For Halmet Radio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265U Division KR200255751Y1 (en) 2001-07-05 2001-07-05 Hand Carry/ Halmet Radio hands fr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74A KR20030004974A (en) 2003-01-15
KR100469846B1 true KR100469846B1 (en) 2005-02-21

Family

ID=27725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608A KR100469846B1 (en) 2001-10-29 2001-10-29 Hands-free For Halmet Radio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84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605A (en) * 1996-12-25 1998-10-07 하라다슈이치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JP2000196529A (en) * 1998-12-25 2000-07-14 Honda Motor Co Ltd On-vehicle communication unit
KR200202123Y1 (en) * 1999-12-31 2000-11-15 이기창 A dual-purpose, stereo hands-free phoneset and change-over controller for simultaneous use of mobile telephone and audio apparatus
KR20010003704A (en) * 1999-06-24 2001-01-15 박수안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motor cycle helmet
KR200231335Y1 (en) * 2001-01-12 2001-07-03 박준희 Multi-Funtional Helmet For Motorcycle
KR20010061331A (en)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Mobile teminal having function of background music
KR200233038Y1 (en) * 2000-09-21 2001-09-29 박종대 Accurate Clock Operated by the Signal from Global Position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4605A (en) * 1996-12-25 1998-10-07 하라다슈이치 Mobile Phone Hand-free Device
JP2000196529A (en) * 1998-12-25 2000-07-14 Honda Motor Co Ltd On-vehicle communication unit
KR20010003704A (en) * 1999-06-24 2001-01-15 박수안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for motor cycle helmet
KR20010061331A (en) * 1999-12-28 2001-07-07 서평원 Mobile teminal having function of background music
KR200202123Y1 (en) * 1999-12-31 2000-11-15 이기창 A dual-purpose, stereo hands-free phoneset and change-over controller for simultaneous use of mobile telephone and audio apparatus
KR200233038Y1 (en) * 2000-09-21 2001-09-29 박종대 Accurate Clock Operated by the Signal from Global Positioning System
KR200231335Y1 (en) * 2001-01-12 2001-07-03 박준희 Multi-Funtional Helmet For Motor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974A (en)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7956A (en) Stereo bluetooth headset
JP3159321B2 (en) Mobile phone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US20060258411A1 (en) Multifunction audio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earphone
KR20010053811A (en) Handsfree appratus utilizing car audio apparatus for mobile phone
MXPA00012847A (en) Radio broadcasting receiver has control unit that switches.
KR100469846B1 (en) Hands-free For Halmet Radio
KR100469847B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JPH10276250A (en)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0255751Y1 (en) Hand Carry/ Halmet Radio hands free
JP2007036908A (en) Voice output device
KR200198073Y1 (en) The stereoset for automobile which has hands-free function
KR100441671B1 (en) Multi-function signal controller
KR200258287Y1 (en) Multi-function signal video/audio phone
KR200244953Y1 (en) Two channel wireless transmission hands-free and wireless receiver having multipurpose function
KR200262156Y1 (en) Multi-function signal controller
KR20040023331A (en) Hands free apparatus for vehicle
KR20030096650A (en) Fm transmitter for linking audio
JPH11285069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and speech device used for it
KR20020092641A (en) Multi-function signal controller
KR200386705Y1 (en) FM Stereo equipment for portable telephone
KR200303674Y1 (en) Apparatus for wire wireless hand free have setting function multichannel
KR0166224B1 (en) Television calling apparatus by using cordless headphone for television
FI107426B (en) Sound reproduction module arranged in conjunction with a mobile station
KR20030042612A (en) A stereo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a computer audio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