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4337B1 -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4337B1
KR100464337B1 KR1019970032245A KR19970032245A KR100464337B1 KR 100464337 B1 KR100464337 B1 KR 100464337B1 KR 1019970032245 A KR1019970032245 A KR 1019970032245A KR 19970032245 A KR19970032245 A KR 19970032245A KR 100464337 B1 KR100464337 B1 KR 10046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wireless terminal
call
terminal device
exchang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748A (ko
Inventor
한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32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43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4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4Arrangements for diverting calls for one subscriber to another predetermined subscri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4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 H04Q3/10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for PBX selectors, i.e. private branch exchange sel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4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 H04Q3/12Circuit arrangements for receivers of routing digits for line selectors providing transfer of routing dig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교환기 시스템에서 호 착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착신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다수의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착신 링이 발생하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교환기 시스템에 유,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고, 이에 응답이 없으면 동시에 호가 착신되도록 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서 이용된다.

Description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서 호 착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착신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다수의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착신 링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기 시스템은 일반 사무실 등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어, 구내 교환 설비와 소속 전환 취급 구간의 전화 회선(통상적으로 국선 이라 칭함)에 의해 국선의 연결 및 내선 상호간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한편, 이러한 교환기 시스템에는 다중 착신 기능이 있어,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내선 번호를 체크하여 상기 착신 요구에 해당하는 내선 번호가 있으면,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에 착신 링이 발생 되도록 하고, 또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다른 착신 할 내선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상기 착신 링 발생 동작을 지속하여 수행한다. 만일 더 이상 착신할 내선이 없고 상기 착신 링 발생에 대응하여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 장치에서 응답이 없으면,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모든 단말 장치에 착신 링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한 단말 장치라도 응답이 있으면 나머지 단말 장치들의 착신 링 발생은 중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 교환기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다중 착신 기능이 단지 유선 단말 장치를 통해서만 구현되어 졌다. 따라서, 상기 교환기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가 자리를 이석하거나 외출시 상기 착신되는 호를 받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착신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다수의 유,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 혹은 순차적으로 착신 링이 발생하도록 하는 방법을 구현함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교환기 시스템에 유,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고, 이에 응답이 없으면 동시에 호가 착신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는 교환기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환기100은 국선망110과 접속되어 국선과의 통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환기100은 다수의 유선 단말 장치들이 등록되며 상기 도 1에는 일예로 유선 단말 장치A130과 유선 단말 장치B135가 나타나 있다. 유선 단말 장치는 상기 교환기100의 내선 가입 용량에 따라 더 많은 유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 사용 될 수 있다 . 또한, 상기 교환기100에는 무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 사용되어 지며, 상기 무선 단말 장치는 상기 교환기100과 접속된 무선 단말 기지국120과 상기 무선 단말 기지국120에 무선 주파수가 등록되어 무선 통화를 수행하는 다수의 무선 단말 이동국이 있다. 도 1에는 일예로 무선 단말 이동국A125와 무선 단말 이동국B126이 나타나 있는데, 상기 무선 단말 이동국은 상기 무선 단말 기지국의 가입 용량에 따라 더 많이 등록되어 사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들은 동일한 내선 번호를 공유하거나 또는 각기 다른 내선 번호를 모두 공유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등록된다.
도 2는 상술한 교환기 시스템에서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의 일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교환기100은 202단계에서 호가 착신되는 지를 체크한다. 호가 착신되지 않으면, 203단계에서 상기 교환기100에 미리 설정된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호가 착신되면, 204단계에서 상기 호에 대응하는 내선 번호를 체크한다. 내선 번호가 체크되면, 206단계에서 상기 내선 번호에 대응하는 착신될 내선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착신될 내선이 있으면, 208단계에서 상기 내선이 무선 단말 장치인지를 판단한다. 무선 단말 장치인 것으로 판단되면, 210단계에서 등록된 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 장치가 다수개 일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순서에 의해 첫 번째 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고 다시 206단계를 되풀이 수행하여 두 번째 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내선에 해당하는 무선 단말 장치들을 호출한다. 상기 208단계에서 착신될 내선이 무선 단말 장치가 아니거나 또는 더 이상 호출할 무선 단말 장치가 없으면, 209단계에서 유선 단말 장치를 호출한다. 이때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호출과 마찬가지로 206단계를 반복하여 유선 단말 장치 호출을 지속하고, 더 이상 호출할 유성 단말 장치가 없을 때까지 상기 호출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206단계에서 상기 착신될 내선에 해당하는 모든 유,무선 단말 장치가 없으면, 216단계에서 상기 호출한 무선 단말 장치의 상기 착신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에도 다수개의 무선 단말 장치가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중 어느 하나라도 응답하게 되는 지를 판단한다. 상기 216단계에서 무선 단말 장치의 응답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218단계에서 상기 유선 단말 장치의 상기 착신에 대한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다수개의 유선 단말 장치일 경우 또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마찬가지로 판단한다. 상기 도 2에 나타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착신에 우선하여 응답하는 단말 장치를 무선 단말 장치로 설정하였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자리를 이석하더라도 무선 단말 장치를 휴대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착신이 연결될 확률이 고정된 위치에만 있는 유선 단말 장치보다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상기 우선 순위는 바뀔 수 있다. 상기 216단계에서 무선 단말 장치의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217단계에서 상기 등록된 유선 단말 장치 호출 동작은 정지한다. 그리고 219단계에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와 상기 착신이 연결되어 통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216단계에서 무선 단말 장치의 착신 응답이 없고, 상기 218단계에서 유선 단말 장치의 착신 응답이 있는 경우, 220단계에서 상기 무선 단말 장치의 호출 동작은 정지하고, 222단계에서 상기 착신에 응답한 유선 단말 장치와 통화가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다수 개로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하나의 유,무선 단말 장치가 응답하면, 나머지 유,무선 단말 장치의 호출 동작은 정지한다. 상기 219단계 혹은 상기222단계의 통화 동작의 수행 중에, 224단계에서 호가 종료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224단계에서 호가 종료되면, 상기 호 착신 동작이 종료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무선 단말 장치를 먼저 호출하고, 그다음 유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 즉 상기 교환기에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를 미리 설정된 차례에 의해 순차적으로 호출하는 방법으로 다중 착신 방법을 구현하였는데,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를 동시에 호출하도록 하는 방법, 혹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호출하고 이에 응답이 없는 경우 모든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는 방법에 의한 다중 착신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 착신되는 호를 다수의 무선 단말 장치와 유선 단말 장치로 동시에 착신 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리에서는 유선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고 자리를 이석할 경우에는 무선 단말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호 착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6)

  1.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유선 단말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여 상기 등록된 유선 단말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에 호가 착신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동시에 호가 착신되어지는 경우,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중 하나의 단말 장치가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면 다른 단말 장치에 상기 착신되는 호가 착신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
  3.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가 미리 약정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고,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소정의 정해진 순서에 의해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정해진 순서에 의해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에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어지는 경우,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중 어느 한 단말 장치가 응답하는 경우 상기 순차적으로 호가 착신되는 동작이 정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 방법.
  5.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시스템에 미리 약정된 각각의 내선 번호를 가지고 동시에 공통된 내선 번호를 공유하도록 하는 유선 단말 장치와 무선 단말 장치를 등록하고,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이에 대응하는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에 호가 착신되도록 하고, 상기 공통된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으면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로 동시에 호가 착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
  6. 유,무선 단말 장치를 공통된 내선 번호로 등록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호 착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선 번호로 착신되는 호가 있는 경우, 상기 등록된 유,무선 단말 장치를 호출하는 하는 과정과,
    더 이상 호출할 유,무선 단말 장치가 없을 경우,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가 상기 착신되는 호에 응답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유,무선 단말 장치의 응답이 있는 경우 응답된 단말 장치로 통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의 다중 착신 방법.
KR1019970032245A 1997-07-11 1997-07-11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방법 KR10046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45A KR100464337B1 (ko) 1997-07-11 1997-07-11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2245A KR100464337B1 (ko) 1997-07-11 1997-07-11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48A KR19990009748A (ko) 1999-02-05
KR100464337B1 true KR100464337B1 (ko) 2006-02-28

Family

ID=3717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245A KR100464337B1 (ko) 1997-07-11 1997-07-11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43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73A (ko) * 2002-02-07 2003-08-14 인포뱅크 주식회사 유무선 호 중계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유무선 복합단말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943A (ko) * 1991-01-22 1992-08-27 정용문 페이저를 이용한 사설교환기의 호 연결방법
KR940008528A (ko) * 1992-09-02 1994-04-29 백중영 구내교환시스템
KR950016420A (ko) * 1993-11-27 1995-06-17 김광호 셀룰라 통화회선을 구비하는 사설교환장치
WO1997000588A1 (en) * 1995-06-16 1997-01-03 Nokia Telecommunications Oy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establishment methods
JPH0937314A (ja) * 1995-07-17 1997-02-07 Canon Inc 構内交換装置
KR0153013B1 (ko) * 1993-12-24 1998-11-16 서평원 유무선 복합 형식의 호처리 가능한 제2세대 사설 무선 교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943A (ko) * 1991-01-22 1992-08-27 정용문 페이저를 이용한 사설교환기의 호 연결방법
KR940008528A (ko) * 1992-09-02 1994-04-29 백중영 구내교환시스템
KR950016420A (ko) * 1993-11-27 1995-06-17 김광호 셀룰라 통화회선을 구비하는 사설교환장치
KR0153013B1 (ko) * 1993-12-24 1998-11-16 서평원 유무선 복합 형식의 호처리 가능한 제2세대 사설 무선 교환기 시스템 및 그 방법
WO1997000588A1 (en) * 1995-06-16 1997-01-03 Nokia Telecommunications Oy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establishment methods
JPH0937314A (ja) * 1995-07-17 1997-02-07 Canon Inc 構内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48A (ko) 199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032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using a mobile phone in a wireless office network
CA2191155C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emote call pick-up capabilities
EP0526764B1 (en) Method for contacting a subscriber of a mobile telephone network
KR100370108B1 (ko) 전화기의 발신 제한 방법
KR10064036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착신 이동망 가입자의 음성사서함서비스 처리 방법
KR100464337B1 (ko) 교환기 시스템에서 유,무선 단말 장치 다중 착신방법
JP2825435B2 (ja) 仮想親子電話方式
KR014537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발신 정보 서비스 방법
KR100779801B1 (ko) 간이 교환기 시스템에서 착신전환 장치 및 방법
CA2123041A1 (en) Method for locating a user of telephone subscriber equipment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20000051465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대표번호 서비스 구현 방법
KR19980061505A (ko) 상대방 통화해제 후 사용자와 상대방을 자동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가 부가된 교환기
KR20020012987A (ko) 유무선 복합 사설망의 호 다중착신방법
KR0184176B1 (ko)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KR100255311B1 (ko) 사설교환기의전용선인입호착신방법
JPH07284154A (ja) 移動通信装置
KR100438422B1 (ko) 발신자 정보 저장 방법
KR100237205B1 (ko) 키폰 시스템의 착신 번호 통보 장치 및 그 방법
JPH11178021A (ja) 構内交換機における公衆無線網接続装置及び方法
JP2842835B2 (ja) 電話交換装置
KR100248102B1 (ko) 구내교환기에서 씨티-2국선 및 일반국선 선택사용장치 및 방법
KR20000067431A (ko) 통신 시스템에서 개인번호 서비스 제어방법
JPH0537453A (ja) 加入者デジタル無線通信システム
JPH01295556A (ja) 発信者名表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