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2747B1 -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 Google Patents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2747B1
KR100462747B1 KR10-2002-0049827A KR20020049827A KR100462747B1 KR 100462747 B1 KR100462747 B1 KR 100462747B1 KR 20020049827 A KR20020049827 A KR 20020049827A KR 100462747 B1 KR100462747 B1 KR 100462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series
background sound
mod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7897A (en
Inventor
신봉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게임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게임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게임빌
Priority to KR10-2002-0049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747B1/en
Publication of KR2004001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8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747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음성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처리 영역에 예컨대,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해당 사용자의 기 세팅내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 사용자가 기 선택한 일련의 배경음을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예컨대, "하이톤(High-tone)의 음성, 로우톤(Low-tone)의 음성, 로봇음성, 괴물음성, 귀신음성, 에코음성(Echo-tone)‥‥" 등으로 변조·출력되거나,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예컨대, "가요, 클래식, 국악, 팝송‥‥" 등의 배경음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별도의 하드웨어 기기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서도, "오락적인 목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가 불편한 상대방에게 신분을 감출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 분위기 향상을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에 일련의 배경음을 합성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등을 손쉽게 충족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output control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ic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voice of a user output to the other side is recorded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series of modules that can be selectively modulated according to the software, and "a series of modules that can selectively synthesize a set of background sounds selected by the user to the user's voice output to the other party." The user's voice output to the other party is, for example, "high-tone voice, low-tone voice, robot voice, monster voice, ghost voice, echo voice (Echo-tone). By inserting a background sound such as "Koyo, Classical, Korean Music, Pop Song ...." into a user's voice that is modulated and output or is output to the other party. , Without the user installing a separate hardware device,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s by modifying their voice to the other party for entertainment purposes", "for the purpose of concealing the identity to the other party You can easily satisfy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s by modulating your own voice, or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s by synthesizing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with your voic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atmosphere. Can be induced.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음성출력 제어방법{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Voice output control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voic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same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부터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해당 사용자의 기 세팅내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거나, 또는 이동통신단말기측으로부터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 사용자가 기 선택한 일련의 배경음을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음성출력 제어모듈을 이용한 음성출력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output control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he user's voice output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de to the other party can be selectively modula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set contents, or mobile communic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output control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electively synthesizing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previously selected by a user to a voice of a user output from a terminal side to a counterpart side.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ic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such a voice output control module.

최근 통신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단말기가 확대·보급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typ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expanded and distributed.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통적인 유선통신단말기와 달리, 일련의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간 이동 통신 인프라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 체제 하에서, 사용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과 자유롭게 통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Unlike the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etween users based on a serie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 user can communicate with a desired counterpart regardless of a location. The advantage of making a call freely can be easily obtained.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른 대부분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어떻게 하면 사용자간 통화음질을 개선할 것인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제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오락적인 목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가 불편한 상대방에게 신분을 감출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 분위기 향상을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에 일련의 배경음을 합성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등이 있더라도, 종래의 기술체제 하에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러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전혀 만족시킬 수 없다.However, since mo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cus on "how to improve call quality between users", product improvement is being made.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by modulating the voice ","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by modulating one's own voice for the purpose of concealing identity to the uncomfortable parties "," Improving the call atmosphere Even if there is a desire to synthesize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to his voice and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not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user at all und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근래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예컨대, 사용자의 음성을 변조시킬 수 있는 하드웨어 기기가 개발·보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for example, hardware devices capable of modulating a user's voice have been developed and distributed.

하지만, 이 하드웨어 기기는 기본적으로 가격 자체가 고가라는 단점뿐만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와 분리된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라는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만약, 사용자가 이 하드웨어 기기를 사용할 경우, 해당 사용자는 "고가의 하드웨어 기기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는 불편함", "하드웨어 기기를 일일이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 "음성변조가 필요할 때마다, 하드웨어 기기를 자가 소유 이동통신기에 일일이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등을 감수할 수밖에 없으며, 결국, 종래의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상술한 욕구를 갖고 있는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별다른 대책 없이 자신의 욕구 달성을 아예 포기할 수밖에 없게 된다.However, since the hardware device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ice itself is expensive, as well as a separate hardware device separat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f the user uses this hardware devic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urchase hardware device separately "," inconvenience to carry hardware device one by one ", and" inconvenience to install hardware device to own mobile device every time voice modulation is needed ". In the end, under the conventional system, most users who have the above-mentioned needs have no choice but to give up their needs without any countermeasures unless special measures are take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처리 영역에 예컨대,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해당 사용자의 기 세팅내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 사용자가 기 선택한 일련의 배경음을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예컨대, "하이톤(High-tone)의 음성, 로우톤(Low-tone)의 음성, 로봇음성, 괴물음성, 귀신음성, 에코음성(Echo-tone)‥‥" 등으로 변조·출력되거나,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예컨대, "가요, 클래식, 국악, 팝송‥‥" 등의 배경음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별도의 하드웨어 기기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서도, "오락적인 목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가 불편한 상대방에게 신분을 감출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 분위기 향상을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에 일련의 배경음을 합성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등을 손쉽게 충족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a series of modules capable of selectively modulating a user's voice output to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details"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ftware installed in the user's voice a series of modules for selectively synthesizing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selected by the user, and through this, the user's voice output to the other party is, for example, "high-tone (high-tone) Voice, low-tone voice, robot voice, monster voice, ghost voice, echo voice (Echo-tone ...), or the like. By allowing the user to insert background sounds such as "K-Pop, Classical, Korean Music, and Pop Songs ...", the user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hardware device.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by modulating his / her voice to the other party,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by modulating his / her voice for the purpose of concealing his / her identity to the uncomfortable party", "Call atmosphere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the user wants to synthesize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into his voice so that he can easily meet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출력 제어모듈의 다운로드 상황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1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download situation of a voice outpu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출력 제어모듈이 설치된 이동통신단말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Figure 2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oice outpu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출력 제어모듈의 음성출력 제어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3 and 4 are flowcharts sequentially showing a voice output control method of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사용자 원 음성 및 변조 음성의 진폭/주파수 특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5 and 6 conceptually illustrate amplitude /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user original voice and a modulated voi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통화진행과정을 총괄 관리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처리 영역에 온라인망을 통해 다운로드(Down-load)되어 설치되며, 앞의 이동통신단말기로 입력되는 사용자 원 음성(User original voice)을 단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용하여, 해당 사용자 원 음성을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음성변조 프로세스 및 배경음 합성 프로세스를 총괄·제어하는 음성가공 콘트롤러와, 앞의 음성가공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 원 음성을 분석한 후, 기 정해진 일련의 음성변조 파라메타(Parameter)에 따라, 사용자 원 음성을 일련의 변조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조부와, 음성가공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기 정해진 일련의 배경음을 추출한 후, 배경음의 레벨을 사용자 원 음성의 레벨 또는 변조 음성의 레벨에 따라 조절하고, 레벨 조절이 완료된 배경음을 사용자 원 음성 또는 변조 음성에 합성하는 배경음 합성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을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control unit which manages a series of call progress processes is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an online network. A voice processing controller which manages a user's original voice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and controls and controls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processes and background sound synthesis processes for the user's original voice; The voice processing unit, which is controlled by the previous voice processing controller, analyzes the original voice and converts the original voice into a series of modulated voic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 of voice modulation parameter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and after extracting a predetermined series of background sounds, the level of the background sound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r levels of the modulated voice, and disclos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ound output control module comprising a background noise level adjustment is completed by combining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synthesizing the sound source which the user or modulated voi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 및 이를 이용한 음성출력 제어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voice output control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voice output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 발명을 통해, 일련의 음성변조 서비스, 배경음 합성 서비스 등을 향유하고자 하는 임의의 사용자는 본 발명을 본격적으로 이용하기 이전에 무선 기지국(200) 및 인터넷망(300)을 매개로 음성출력 제어모듈 제공 서버(400)에 초기 접속하여, 일련의 가입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자가 소유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정보처리 영역에 본 발명 고유의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을 다운로딩·설치 받는다. 이 경우, 사용자 소유 이동통신단말기(10)로는 예컨대,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등이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first, any user who wishes to enjoy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services, background sound synthesis services, etc.,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before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n earnest, may use the wireless base station 200 and the Internet network. Initially connected to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providing server 400 via the 300, and proceeds a series of subscription procedures,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of the self-ow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 Download and install 100). In this case, the user-own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may be, for example, a cellular phon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a synchronous / asynchronous IMT-2000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a smart phone. (Smart phone), WAP phone (WAP phone: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and the like can be flexibly selected.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된 이동통신단말기(10)는 크게, 일련의 입·출력게이트, 예컨대, 마이크(4), 키입력부(2), 스피커(6), 표시부(3), 등이 구비된 본체(1)와, 이 본체(1)에 내장된 단말 제어부(11)와, 이 단말 제어부(11)와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듀플렉서(16), 신호 송신부(15), 주파수 합성부(14), 신호 수신부(13)와, 앞의 단말 제어부(11)와 또 다른 신호연결관계를 형성하는 본 발명 고유의 음성출력 제어모듈(10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s largely a series of input and output gates, for example, the microphone 4, the key input unit 2, the speaker 6, the display unit (3), a main body 1 provided with a back, a terminal control unit 11 embedded in the main body 1, a duplexer 16 forming a series of signal connection relationships with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and a signal The combination of the transmitter 15,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the signal receiver 13, and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inher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nother signal connection relationship with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above. Is done.

이때, 듀플렉서(16)는 안테나(5)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신호 수신부(13)로출력하거나, 신호 송신부(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안테나(5)를 통해 외부의 무선 기지국(201)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호 수신부(13)는 듀플렉서(1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주파수 합성부(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합성한 후, 이 합성신호를 스피커(6)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duplexer 16 outputs a signal received by the antenna 5 to the signal receiver 13, or outputs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5 to the external radio base station 201 through the antenna 5. The signal receiver 13 synthesizes a signal output from the duplexer 16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and then outputs the synthesized signal to the speaker 6. To perform.

또한, 앞서 언급한 주파수 합성부(14)는 자신이 수신한 신호의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주파수를 발생하여, 이 주파수를 신호 수신부(13)로 출력하거나, 별도의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발생하여, 이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신호 송신부(15)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호 송신부(15)는 마이크(101)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단말 제어부(11)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단말 제어부(11) 및 본 발명에 따른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의 연계 작용에 의해 가공·처리된 전기적인 음성신호와 앞의 주파수 합성부(14)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캐리어 주파수를 합성하여, 이 합성신호를 듀플렉서(16)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aforementioned frequency synthesizer 14 generates a separate frequency for removing a carrier frequency of a signal received by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and outputs the frequency to the signal receiver 13, or transmits a separate frequency. It generates a carrier frequency, and outputs this transmission carrier frequency to the signal transmitter 15, the signal transmitter 15 transmits an electrical voice signal output from the microphone 101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In addition to performing the role, the transmission carrier output from the electric voice signal processed by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and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vious frequency synthesizer 14 are processed. By synthesizing the frequencies, the synthesized signals are output to the duplexer 16.

이때, 상술한 신호 송신부(15), 주파수 합성부(14), 신호 수신부(13) 등은 모두 앞서 언급한 단말 제어부(11)의 제어를 받게 되며, 결국, 단말 제어부(11)는 이 신호 송신부(15), 주파수 합성부(14), 신호 수신부(13) 등의 동작 상태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above-described signal transmitter 15, frequency synthesizer 14, signal receiver 13, and the like are all controlled by the aforementioned terminal controller 11, and finally, the terminal controller 11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r. (15), it is possible to arbitrarily adjust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the signal receiver 13 and the like.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의 단말 제어부(11)는 신호 송신부(15), 주파수 합성부(14), 신호 수신부(13) 뿐만 아니라, 데이터 메모리부(12)와도 일련의 신호연결관계를 더 형성한다. 이 경우, 데이터메모리부(12)는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이 프로그램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데이터 등과 함께, 사용자가 기 설정한 음성출력 관련 세팅 정보, 예컨대, "사용자의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실행선택 관련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 관련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등을 한꺼번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as shown in the figur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is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tter 15,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the signal receiver 13, as well as the data memory unit 12 in a series of signal connection relationship To form more. In this case, the data memory unit 12, together with the program for perform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the data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etc., se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ice output set by the user, for example, "user's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synthesis execution selection related information, user-specified voice modulation type related information, user-specified background sound type related information ...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언급한 본 발명 고유의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은 크게, 음성가공 콘트롤러(101), 음성 변조부(102), 배경음 합성부(105)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is largely in the combination of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e voice modulator 102,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zer 105, etc. Is done.

이때,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이동통신단말기(10)의 마이크(4)로 입력되는 사용자 원 음성을 단말 제어부(11)의 제어에 따라 운용하여, 해당 사용자 원 음성을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음성변조 프로세스 및 배경음 합성 프로세스를 총괄·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음성 변조부(102)는 음성가공 콘트롤러(10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원 음성을 분석한 후, 사용자에 의해 기 정해진 일련의 음성변조 파라메타에 따라, 사용자 원 음성을 일련의 변조 음성, 예컨대, "하이톤의 음성, 로우톤의 음성, 로봇음성, 괴물음성, 귀신음성, 에코음성‥‥" 등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배경음 합성부(105)는 음성가공 콘트롤러(101)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기 정해진 일련의 배경음, 예컨대, "가요, 클래식, 국악, 팝송‥‥" 등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해당 배경음의 레벨을 사용자 원 음성의 레벨 또는 변조 음성의 레벨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하고, 레벨 조절이 완료된 배경음을 사용자 원 음성 또는 변조 음성에 합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operates a user original voice input to the microphone 4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and thus a series of voices targeted to the user original voice. The voice modulator 102 analyzes a user's original voic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and then performs a series of voices predetermin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modulation parameter, it plays a role of converting the user original voice into a series of modulated voices, for example, "high tone voice, low tone voice, robot voice, monster voice, ghost voice, echo voice ..." and the like. The synthesizing unit 105 selectively extracts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predetermined by the user, for example, "song, classical, Korean music, pop song .....",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audio processing controller 101, and then the background sound. Selectively adjusting the level according to the user level of the original speech sound level or modulation of, and serve to synthesize a background noise level adjustment is completed the user won a voice or speech modulation.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에는 앞의 구성요소들 뿐만 아니라, 음성변조 파라메타 저장부(103), 음성특징 추출부(104), 배경음 저장부(108), 배경음 추출부(107), 배경음 레벨 제어부(106) 등이 더 배치된다.Here, as shown in the figure,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above components, voice modulation parameter storage unit 103, voice feature extraction unit 104, background sound storage unit 108 ), A background sound extracting unit 107, a background sound level control unit 106, and the like are further disposed.

이때, 음성변조 파라메타 저장부(103)는 음성 변조부(102)의 음성변조 기능수행을 가이드 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음성변조 참조 파라메타, 예컨대, "하이톤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 로우톤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 로봇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 괴물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 귀신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 에코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음성특징 추출부(104)는 앞서 언급한 음성 변조부(102)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 예컨대, "사용자 원 음성 진폭, 사용자 원 음성 주파수‥‥" 등을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t this time, the voice modulation parameter storage unit 103 is used for various types of voice modulation reference parameters for guiding the voice modulation function performance of the voice modulation unit 102, for example, " reference parameters required for high tone voice modulation, low tone voice modulation. It stores the necessary reference parameters, reference parameters for robot voice modulation, reference parameters for monster voice modulation, reference parameters for ghost voice modulation, reference parameters required for echo voice modulation, and so on. The unit 104 performs the function of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user voice, for example, "user original voice amplitude, user original voice frequency ...", etc. under the control of the voice modulator 102 described above.

또한, 배경음 저장부(108)는 배경음 합성부(105)의 배경음 합성에 필요한 실질적인 배경음 사운드 파일들, 예컨대, "가요 사운드 파일, 클래식 사운드 파일, 국악 사운드 파일, 팝송 사운드 파일‥‥"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배경음 추출부(107)는 앞서 언급한 배경음 합성부(105)의 제어에 따라, 배경음 저장부(108)에 저장되어 있던 배경음 사운드 파일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배경음 레벨 제어부(106)는 배경음 합성부(105)의 제어에 따라, 배경음 사운드 파일에 기록된 배경음 사운드 레벨, 예컨대, 배경음 사운드 주파수 레벨을 "사용자 원 음성의 레벨" 또는 "변조 음성의 레벨"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조절하는역할을 실질적으로 전담한다.Further, the background sound storage unit 108 stores substantial background sound files necessary for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of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for example, "song sound file, classic sound file, Korean music sound file, pop song sound file .." The background sound extractor 107 selectively extracts the background sound sound files stored in the background sound storage 108 under the control of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zer 105 described above. The background sound level control unit 106 controls the background sound sound level recorded in the background sound sound file, for example, the background sound sound frequency level, to the " level of the original user voice " or " level of the modulated voice " Substantially dedicated to the role of selective adjustment.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을 이용한 본 발명 고유의 음성출력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oice output control method unique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련의 통화개시 시점에서, 단말 제어부(11)는 신호 송신부(15)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음성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First, as shown in FIG. 3, at the start of a series of calls, the terminal controller 11 checks the data output from the signal transmitter 15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series of voice input events have occurred ( Step S1).

이때, 이동통신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아직, 말을 하지 않아, 별도의 음성입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if the us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has not yet spoken and it is determined that no separate voice input event has occurr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proceeds to the flow to step S2, a series of standby Maintain state.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1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마이크(4)를 통해 말을 하여, 일련의 음성입력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그 즉시, 데이터 메모리부(12)를 체크하여, "사용자의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실행선택 관련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 관련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모드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However, if the us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speaks through the microphone 4 and judges that a series of voice input events have occurred,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immediately returns the data memory unit 12. Check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s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synthesis execution selection, the user's pre-designated voice modulation type information, the user's pre-designated background sound type ........., and the lik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ode is the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synthesis combined execution mode (step S3).

이때,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플로우를 후술하는 단계 S9로 진행한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not the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synthesis combined execu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proceeds to step S9 to describe the flow later.

그러나,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그 즉시, "사용자 원 음성 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관련 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등과 함께, "사용자 원 음성을 변조하고, 변조 음성에 배경음을 합성하라"는 지시 메시지를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측의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 전달한다(단계 S5).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the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combining / combining execu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section 11 immediately returns "user original voice information", "user-specified voice modulation type related information", " Along with a user-specified background sound type related information ", etc., and transmits an instruction message" modulate the user's original voice and synthesize a background sound to the modulated voice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of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Step S5).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단말 제어부(11)측의 지시상황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1).In this stat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continuously checks the instruction status of the terminal controller 11 to determine whether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synthesis / coordination execution instruction events have occurred. (Step S101).

이때, 단말 제어부(11)로부터 일련의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그 즉시, 음성 변조부(102)측으로 "사용자 원 음성 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관련 정보" 등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기 정해진 음성 변조 프로세스의 진행을 지시한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from the terminal control section 11 that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combining execution instruction events have occurred,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mmediately sends the " user original voice information " Information related to a voice modulation type designated by the user ", and the like, thereby instructing the progress of the predetermined voice modulation process.

이러한 지시상황에서, 음성 변조부(102)는 우선, 음성특징 추출부(104)를 제어하여,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02). 이 경우, 음성특징 추출부(104)는 기 정해진 추출 루틴에 따라,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 예컨대, "사용자 원 음성 진폭, 사용자 원 음성 주파수‥‥" 등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한다.In this instructional situation, the voice modulator 102 first controls the voice feature extractor 104 to proceed to extract the feature of the user's original voice (step S102). In this case, the voice feature extracting unit 104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original voice, for example, "user original voice amplitude, user original voice frequency ..."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xtraction routine as shown in FIG. .

다음으로, 음성 변조부(102)는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관련 정보"를 확인한 후, 이에 따라, 음성변조 파라메타 저장부를 체크하여, 이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음성변조 참조 파라메타들 중 예컨대, 귀신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이 귀신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사용자 원 음성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주파수, 진폭으로 가공함으로써, 최종의 변조 음성을 생성한다(단계 S103,S104,S105).Next, the voice modulator 102 checks the "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ice modulation type designated by the user " and, accordingly, checks the voice modulator parameter storage unit and selects, for example, ghosts among the voice modulator reference parameters previously stored therein. By selectively extracting the reference parameters required for voice modulation and processing the original user voice having the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5 to the frequency and amplitude as shown in Fig. 6 according to the reference parameters required for the ghost voice modulation. Then, the final modulated voice is generated (steps S103, S104, S105).

통상, 음성의 주파수, 진폭 등은 해당 음성의 음색, 높낮이 등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인 바, 앞서 언급한 음성 변조부(102)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 원 음성의 주파수, 진폭 등이 귀신 음성에 적합한 주파수, 진폭으로 변경되는 경우, 최종 생성되는 변조 음성은 예컨대, 귀신 음성으로써의 특징을 안정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된다.In general, the frequency, amplitude, and the like of the voice are the main variables for determining the tone, height, and the like of the voice. When the frequency and amplitude are changed, the finally generated modulated speech can stably retain its characteristics as, for example, a ghost speech.

물론, 본 발명의 음성 변조부(102)는 단지, 음성의 음색, 높낮이를 결정하는 주파수, 진폭만을 변조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사용자 원 음성이 변조 음성으로 변환되더라도, 해당 변조 음성은 당초 사용자 원 음성이 갖고 있던 발음상 특성을 그대로 지니게 된다.Of course, since the voice modulator 102 of the present invention modulates only the tone and frequency of the voice and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the voice, the modulated voice is not changed even if the original voice is converted to the modulated voice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retains the pronunciation characteristics originally possessed by the user's original voice.

이후, 음성 변조부(102)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 완료된 변조 음성을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voice modulator 102 transmits the generated modulated voice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한편, 앞서 언급한 과정을 통해, 음성 변조부(102)로부터 일련의 변조 음성이 반환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그 즉시, 배경음 합성부(105)측으로 해당 "변조 음성" 및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 등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기 정해진 배경음 합성 프로세스의 진행을 지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a series of modulated voices are returned from the voice modulator 102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mmediately returns the corresponding "modulated voices" and "users" to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zer 105. Pre-designated background sound type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ke, thereby instructing the progress of the predetermined background sound synthesis process.

이러한 지시상황 하에서, 배경음 합성부(105)는 우선,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를 확인한 후, 배경음 추출부(107)를 제어하여, 배경음 저장부(108)에 기 저장되어 있던 배경음 사운드 파일들 중,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사운드 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06).Under such an instructional condition,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first checks the "background sound type related information predetermined by the user", and then controls the background sound extraction unit 107 to control the background sound previously stored in the background sound storage unit 108. Among the sound files, a process of selectively extracting a background sound sound file designated by the user is performed (step S106).

이어서, 배경음 합성부(105)는 앞의 과정을 통해 확보한 배경음 사운드 파일 및 변조 음성을 배경음 레벨 제어부(106)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배경음 레벨 조절 루틴"의 진행을 지시한다. 이 경우, 배경음 레벨 제어부(106)는 배경음 합성부(105)로부터 전달된 "변조 음성"의 레벨, 예컨대, 변조 음성의 주파수 레벨을 체크·확인한 후, 배경음 사운드 파일에 기록된 배경음 사운드 주파수 레벨을 변조 음성의 주파수 레벨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한다(단계 S107,S108).Subsequently,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transmits the background sound sound file and the modulated voice secu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o the background sound level control unit 106, thereby instructing the progress of a series of "background sound level adjustment routines". In this case, the background sound level control unit 106 checks and confirms the level of the "modulated voice" transmitted from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for example, the frequency level of the modulated voice, and then adjusts the background sound sound frequency level recorded in the background sound sound file. Adjustment is appropriately made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level of the modulated voice (steps S107, S108).

이러한 배경음 사운드 주파수 레벨조절 과정에 따라, 예컨대, 변조 음성의 백-그라운드를 이루는 배경음은 변조 음성의 전달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주파수 레벨을 보유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background sound sound frequency level adjustment process, for example, the background sound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the modulated voice has a frequency leve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modulated voice.

앞의 과정을 통해, 배경음의 주파수 레벨 조절이 완료되면, 배경음 합성부(105)는 그 즉시, 앞의 변조 음성과, 주파수 레벨 조절이 완료된 배경음을 합성하여, 최종의 가공 음성을 생성하고, 이를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 전달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09).Through the above process, when the frequency level adjustment of the background sound is completed,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immediately synthesizes the previous modulated voice and the background sound whose frequency level adjustment is completed, and generates the final processed voice.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s performed (step S109).

상술한 과정을 통해, 배경음 합성부(105)로부터 일련의 가공 음성이 반환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그 즉시, 해당 가공 음성을 단말 제어부(11)로 리턴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10).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a series of processed voices is returned from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mmediately proceeds to return the corresponding processed voices to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step S110). ).

한편, 앞서 언급한 스탭에 대응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제어부(11)는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일련의 가공 음성이 리턴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6).On the other hand, corresponding to the aforementioned staff, as shown in Fig. 3, the terminal controller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eries of processed voices is retur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step S6).

이때, 음성가공 콘트롤러(101)가 앞서 언급한 각 단계를 마무리하지 못하여,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아직, 가공 음성이 리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플로우를 단계 S7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if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does not finish each of the aforementioned steps, and it is determi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at the processing voice has not been returned yet, the terminal controller 11 proceeds to the flow at step S7. To maintain a series of standby states.

그러나, 음성가공 콘트롤러(101)가 앞서 언급한 각 단계를 모두 마무리하여,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일련의 가공 음성이 리턴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그 즉시, 해당 가공 음성을 신호 송신부(15)로 전달하게 되며, 신호 송신부(15)는 단말 제어부(11)로부터 이 가공 음성이 전달되는 즉시, 해당 가공 음성을 주파수 합성부(14)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캐리어 주파수와 합성하여, 이 합성신호를 튜플렉서(16)로 출력하게 되고, 튜플렉서(16)는 안테나(5) 및 무선 기지국(201)을 통하여, 이 합성신호를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500)로 전달하게 된다(단계 S8). 결국, 이동통신단말기(500)를 통해,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대방은 예컨대, 일련의 귀신 음성으로 변조된 사용자의 음성을 배경음과 함께 들을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finishes each of the above-mentioned steps and determines that a series of processed voices are retur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e terminal controller 11 immediately returns the processed voices. The signal transmitter 15 synthesizes the processed voice with the transmission carrier frequency output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as soon as the processed voic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is synthesized signal is output to the tuplexer 16, and the tuplexer 16 transmits the synthesized signal to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0 through the antenna 5 and the wireless base station 201 ( Step S8). As a resul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0 allows the other party to talk with the user, for example, to hear the user's voice modulated by a series of ghost voice with the background soun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이동통신단말기(10)의 정보처리 영역에 예컨대,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해당 사용자의 기 세팅내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 사용자가 기 선택한 일련의 배경음을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변조·출력되거나,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배경음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별도의 하드웨어 기기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서도, "오락적인 목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가 불편한 상대방에게 신분을 감출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 분위기 향상을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에 일련의 배경음을 합성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등을 손쉽게 충족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 is, for example, "a series of modules capable of selectively modulating the voice of the user output to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e user's preset contents", " Software installed on the user's voice output to the other party, and a series of modules capable of selectively synthesizing the background sound selected by the user. By allowing the background sound to be inserted into the user's voice output to the other party, the user modulates his / her voice to the other party for entertainment purposes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hardware device. Desire to make "," modulate your voice for the purpose of hiding your identity The synthesis of a series of jingles in his speech to call the process the purpose and desire, "" improve call the atmosphere you want to continue to be able to encourage easily be met such as the desire to push forward a series of calls the process ".

한편, 앞서 언급한 단계 S4에서,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음성변조 단독실행 모드인가를 한번 더 판단한다(단계 S9).On the other hand, in step S4 mentioned abov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not the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synthesis associated execu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once more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the voice modulation alone execution mode. It judges (step S9).

이때,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음성변조 단독실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그 즉시, "사용자 원 음성 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관련 정보" 등과 함께, "사용자 원 음성을 변조하라"는 지시 메시지를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측의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 전달한다(단계 S10).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the voice modulation single execu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section 11 immediately returns the user with the "user original voice information", "user-specified voice modulation type related information", and the like. Modulate the original voice "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of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step S10).

앞서 언급한 스탭에 대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단말 제어부(11)측의 지시상황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음성변조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1).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staff, as shown in FIG. 4,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continuously checks the instruction status of the terminal controller 11 to determine whether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single execution instruction events have occurre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step S111).

이때, 단말 제어부(11)로부터 일련의 음성변조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그 즉시, 음성 변조부(102)측으로 "사용자 원 음성 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관련 정보" 등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기 정해진 음성 변조 프로세스의 진행을 지시한다.At this tim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ries of voice modulation single execution instruction event has occurr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mmediately sends the " user original voice information "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voice modulation type ", and the like, thereby instructing the progress of the predetermined voice modulation process.

이러한 지시상황에서, 음성 변조부(102)는 우선, 음성특징 추출부(104)를 제어하여,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12). 이 경우, 음성특징 추출부는 기 정해진 추출 루틴에 따라,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 예컨대, "사용자 원 음성 진폭, 사용자 원 음성 주파수‥‥" 등을 앞서 언급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한다.In this instructional situation, the voice modulator 102 first controls the voice feature extractor 104 to proceed to extract the feature of the user's original voice (step S112). In this case, the speech feature extracting section extra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 original speech, for example, "user original speech amplitude, user original speech frequency ..." etc.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extraction routine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음성 변조부(102)는 "사용자가 기 지정한 음성변조 종류관련 정보"를 확인한 후, 이에 따라, 음성변조 파라메타 저장부(103)를 체크하여, 이에 기 저장되어 있던 음성변조 참조 파라메타들 중 예컨대, 로봇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를 선택적으로 추출하고, 이 로봇 음성변조에 필요한 참조 파라메타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징을 갖는 사용자 원 음성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파수, 진폭으로 가공함으로써, 최종의 변조 음성을 생성한다(단계 S113,S114,S115).Next, the voice modulator 102 checks the "user-specifi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voice modulation type," and accordingly, checks the voice modulation parameter storage unit 103 and stores the voice modulation reference parameters previously stored therein. Among them, for example, the reference parameters required for the robot voice modulation are selectively extracted, and according to the reference parameters required for the robot voice modulation, the user original voice having the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By processing the amplitude, the final modulated voice is generated (steps S113, S114, S115).

물론, 이 경우에도, 본 발명의 음성 변조부는 단지, 음성의 음색, 높낮이를 결정하는 주파수, 진폭만을 변조시키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사용자 원 음성이 변조 음성으로 변환되더라도, 해당 변조 음성은 당초 사용자 원 음성이 갖고 있던 발음상 특성을 그대로 지니게 된다.Of course, even in this case, since the voice mod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dulates only the tone and frequency of the voice and the frequency and amplitude of the voice, even if the original voice is converted into the modulated voice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ated voice is It retains the pronunciation characteristics originally possessed by the user's original voice.

이후, 음성 변조부(102)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생성 완료된 변조 음성을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 전달한다.Thereafter, the voice modulator 102 transmits the generated modulated voice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음성 변조부(102)로부터 일련의 변조 음성이 반환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그 즉시, 해당 변조 음성을 단말 제어부(11)로 리턴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16).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a series of modulated voices is returned from the voice modulator 102,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mmediately proceeds to return the modulated voices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step S116). ).

한편, 앞서 언급한 스텝에 대응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제어부(11)는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일련의 변조 음성이 리턴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Meanwhile,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step, as shown in FIG. 3, the terminal controller 11 determines whether a series of modulated voices are retur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step S11).

이때, 음성가공 콘트롤러(101)가 앞서 언급한 각 단계를 마무리하지 못하여,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아직, 변조 음성이 리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플로우를 단계 S1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if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does not finish each of the above-mentioned steps, and it is determi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at no modulated voice is returned yet, the terminal controller 11 proceeds to the flow at step S12. To maintain a series of standby states.

그러나, 음성가공 콘트롤러(101)가 앞서 언급한 각 단계를 모두 마무리하여,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일련의 변조 음성이 리턴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그 즉시, 해당 변조 음성을 신호 송신부(15)로 전달하게 되며, 신호 송신부(15)는 단말 제어부(11)로부터 이 변조 음성이 전달되는 즉시, 해당 변조 음성을 주파수 합성부(14)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캐리어 주파수와 합성하여, 이 합성신호를 튜플렉서(16)로 출력하게 되고, 튜플렉서(16)는 안테나(5) 및 무선 기지국(201)을 통하여, 이 합성신호를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500)로 전달하게 된다(단계 S13). 결국, 이동통신단말기(500)를 통해,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대방은 예컨대, 일련의 로봇 음성으로 변조된 사용자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finishes all the above-mentioned steps and determines that a series of modulated voices are retur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immediately returns the modulated voices. The signal transmitter 15 transmits the modulated voice to the signal transmitter 15 immediately after the modulated voic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and synthesizes the modulated voice with the transmission carrier frequency output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This synthesized signal is output to the tuplexer 16, and the tuplexer 16 transmits the synthesized signal to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0 through the antenna 5 and the wireless base station 201 ( Step S13). As a resul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0, the other party talking to the user can hear the user's voice modulated by, for example, a series of robot voices.

한편, 앞서 언급한 단계 S9에서,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음성변조 단독실행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모드인가를 한번 더 판단한다(단계 S14).On the other hand, in the aforementioned step S9,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not the voice modulation single execu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ler 11 determines once more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alone execution mode ( Step S14).

이때,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모드가 아닌 경우, 단말 제어부(11)는 통상의 "사용자 원 음성 출력 프로세스"를 진행한다(단계 S15).At this time, if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not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alone execu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proceeds with the normal " user original voice output process " (step S15).

그러나, 현재의 단말기 세팅 모드가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그 즉시, "사용자 원 음성 정보",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 등과 함께, "사용자 원 음성에 배경음을 합성하라"는 지시 메시지를 음성출력 제어모듈(100)측의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 전달한다(단계 S16).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terminal setting mode is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alone execution mode,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immediately returns the "user source" together with "user original voice information", "background tone type predetermined information specified by the user", and the like. Synthesize the background sound to the voice "is transmitted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of the voice output control module 100 side (step S16).

앞서 언급한 스탭에 대응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단말 제어부(11)측의 지시상황을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일련의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7).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staff, as shown in FIG. 4,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continuously checks the instruction status of the terminal controller 11 to determine whether a series of background sound synthesis solo execution instruction events have occurred. It is judged whether or not (step S117).

이때, 단말 제어부(11)로부터 별도의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예컨대, 플로우를 시작으로 리턴한다.At this tim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parate background sound synthesis alone execution instruction event has not occurr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returns, for example, the flow to the beginning.

그러나, 단말 제어부(11)로부터 일련의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그 즉시, 배경음 합성부(105)측으로 해당 "사용자 원 음성" 및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 등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기 정해진 배경음 합성 프로세스의 진행을 지시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at a series of background sound synthesis alone execution instruction events have occurred,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mmediately sends the corresponding "user original voice" and "user" to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si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background sound type ", and the like, thereby instructing the progress of the predetermined background sound synthesis process.

이러한 지시상황 하에서, 배경음 합성부(105)는 우선,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종류 관련정보"를 확인한 후, 배경음 추출부(107)를 제어하여, 배경음 저장부(108)에 기 저장되어 있던 배경음 사운드 파일들 중, 사용자가 기 지정한 배경음 사운드 파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진행한다(단계 S118).Under such an instructional condition,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first checks the "background sound type related information predetermined by the user", and then controls the background sound extraction unit 107 to control the background sound previously stored in the background sound storage unit 108. Among the sound files, a process of selectively extracting a background sound sound file designated by the user is performed (step S118).

이어서, 배경음 합성부(105)는 앞의 과정을 통해 확보한 배경음 사운드 파일 및 사용자 원 음성을 배경음 레벨 제어부(106)로 전달하고, 이를 통해, 일련의 "배경음 레벨 조절 루틴"의 진행을 지시한다. 이 경우, 배경음 레벨 제어부(106)는 배경음 합성부(105)로부터 전달된 "사용자 원 음성"의 레벨, 예컨대, 사용자 원 음성의 주파수 레벨을 체크·확인한 후, 배경음 사운드 파일에 기록된 배경음 사운드 주파수 레벨을 사용자 원 음성의 주파수 레벨에 맞추어 적절히 조절한다(단계 S119,S120).Subsequently,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delivers the background sound sound file and the original user sound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o the background sound level control unit 106, thereby instructing the progress of a series of "background sound level adjustment routines". . In this case, the background sound level control unit 106 checks and confirms the level of the "user original voice" transmitted from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unit 105, for example, the frequency level of the user original voice, and then the background sound sound frequency recorded in the background sound sound file. The level is appropriately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level of the user's original voice (steps S119 and S120).

이러한 배경음 사운드 주파수 레벨조절 과정에 따라, 예컨대, 사용자 원 음성의 백-그라운드를 이루는 배경음은 사용자 원 음성의 전달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주파수 레벨을 보유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background sound sound frequency level adjustment process, for example, the background sound that forms the background of the user's original voice has a frequency level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user's original voice.

앞의 과정을 통해, 배경음의 주파수 레벨 조절이 완료되면, 배경음 합성부(105)는 그 즉시, 앞의 사용자 원 음성과, 주파수 레벨 조절이 완료된 배경음을 합성하여, 최종의 합성 음성을 생성하고, 이를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 전달한다(단계 S121).Through the above process, when the frequency level adjustment of the background sound is completed,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zing unit 105 immediately synthesizes the original original voice and the background sound whose frequency level adjustment is completed to generate the final synthesized voice, This is transmitted to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step S121).

상술한 과정을 통해, 배경음 합성부(105)로부터 일련의 합성 음성이 반환되면,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는 그 즉시, 해당 합성 음성을 단말 제어부(11)로 리턴하는 절차를 진행한다(단계 S122).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a series of synthesized voices are returned from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zer 105,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immediately proceeds to return the synthesized voices to the terminal controller 11 (step S122). ).

한편, 앞서 언급한 스텝에 대응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제어부(11)는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일련의 합성 음성이 리턴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7).Meanwhile, in response to the above-mentioned step, as shown in FIG. 3, the terminal controller 11 determines whether or not a series of synthesized voices are retur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step S17).

이때, 음성가공 콘트롤러(101)가 앞서 언급한 각 단계를 마무리하지 못하여,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아직, 합성 음성이 리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플로우를 단계 S18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if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does not finish each of the above-mentioned steps, and it is determi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at the synthesized voice has not been returned yet, the terminal controller 11 proceeds to the flow at step S18. To maintain a series of standby states.

그러나, 음성가공 콘트롤러(101)가 앞서 언급한 각 단계를 모두 마무리하여, 음성가공 콘트롤러(101)로부터 일련의 합성 음성이 리턴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말 제어부(11)는 그 즉시, 해당 합성 음성을 신호 송신부(15)로 전달하게 되며, 신호 송신부(15)는 단말 제어부(11)로부터 이 합성 음성이 전달되는 즉시, 해당 합성 음성을 주파수 합성부(14)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캐리어 주파수와 합성하여, 이 합성신호를 튜플렉서(16)로 출력하게 되고, 튜플렉서(16)는 안테나(5) 및 무선 기지국(201)을 통하여, 이 합성신호를 외부의 이동통신단말기(500)로 전달하게 된다(단계 S19), 결국, 이동통신단말기(500)를 통해, 사용자와 통화중인 상대방은 예컨대, 사용자의 원 음성을 배경음과 함께 들을 수 있게 된다.However, when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finishes all the above-mentioned steps and determines that a series of synthesized voices are returned from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101, the terminal control unit 11 immediately returns the synthesized voices. When the synthesized voice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11, the signal transmitter 15 synthesizes the synthesized voice with the transmission carrier frequency output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This synthesized signal is output to the tuplexer 16, and the tuplexer 16 transmits the synthesized signal to an exter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0 through the antenna 5 and the wireless base station 201 ( In step S19),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500, the other party talking to the user can, for example, hear the original voice of the user together with the background sound.

이후, 상대방의 음성신호가 안테나(5)에 수신되면, 듀플렉서(16)는 이 신호를 신호 수신부(13)로 전달하게 되고, 신호 수신부(13)는 이 음성신호를 주파수 합성부(14)로부터 출력되는 보정 주파수와 합성하여, 이 합성신호를 스피커(6)로 출력하게 되며, 결국,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원활한 통화과정을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other party's voice signal is received by the antenna 5, the duplexer 16 transmits the signal to the signal receiver 13, and the signal receiver 13 transmits the voice signal from the frequency synthesizer 14. This synthesized signal is output to the speaker 6 in combination with the corrected frequency to be output. As a result, the user can quickly proceed with a smooth call process desired by the user.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처리 영역에 예컨대,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해당 사용자의 기 세팅내역에 따라 선택적으로 변조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해당 사용자가 기 선택한 일련의 배경음을 선택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일련의 모듈" 등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하고, 이를 통해,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예컨대, "하이톤의 음성, 로우톤의 음성, 로봇음성, 괴물음성, 귀신음성, 에코음성‥‥" 등으로 변조·출력되거나, 상대방측으로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에 예컨대, "가요, 클래식, 국악, 팝송‥‥" 등의 배경음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사용자가 별도의 하드웨어 기기를 추가 설치하지 않고서도, "오락적인 목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가 불편한 상대방에게 신분을 감출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을 변조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통화 분위기 향상을 목적으로 자신의 음성에 일련의 배경음을 합성시켜 일련의 통화과정을 진행시키고 싶은 욕구" 등을 손쉽게 충족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series of modules that can selectively modulate the user's voice output to the other side according to the user's preset contents", "the other party. Software installed on the user's voice output to the user side, and a series of modules capable of selectively synthesizing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selected by the user. Voices, low tone voices, robot voices, monster voices, ghost voices, echo voices, etc., or to the user's voices output to the other party, for example, "K-Pop, Classical, Korean Music, Pop Songs ..." By inserting the background sound of the user, without the need for the user to install a separate hardware device, "for entertainment purposes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by modulating his / her voice to the other party, "The desire to proceed with a series of call processes by modulating his / her voice for the purpose of concealing his / her identity to the uncomfortable party", "Call atmosphere For the purpose of improvement, a series of background sounds can be synthesized with one's own voice so that it can be easily met.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And, 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일련의 통화진행과정을 총괄 관리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정보처리 영역에 온라인망을 통해 다운로드(Down-load)되어 설치되며,It is downloaded and installed through the online network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are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control unit that manages a series of call progress.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입력되는 사용자 원 음성(User original voice)을 상기 단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운용하여,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을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음성변조 프로세스 및 배경음 합성 프로세스를 총괄·제어하는 음성가공 콘트롤러와;Voice processing to manage and control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processes and background sound synthesis processes for the user original voice by operating a user original voice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terminal controller. With a controller; 상기 음성가공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을 분석한 후, 기 정해진 일련의 음성변조 파라메타(Parameter)에 따라,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을 일련의 변조 음성으로 변환하는 음성 변조부와;A voice modulator, controlled by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user original voice and converting the user original voice into a series of modulated voice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 of voice modulation parameters; 상기 음성가공 콘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기 정해진 일련의 배경음을 추출한 후, 상기 배경음의 레벨을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의 레벨 또는 변조 음성의 레벨에 따라 조절하고, 레벨 조절이 완료된 배경음을 상기 사용자 원 음성 또는 변조 음성에 합성하는 배경음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After the predetermined series of background sounds are controlled by the voice processing controller, the level of the background sounds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s original voice or the level of the modulated voice, and the user's original voice or the level adjustment is completed. Voice output control module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ckground sound synthesizer for synthesizing the modulated voice. 이동통신단말기에 설치된 단말 제어부로부터 일련의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Determining whether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sound synthesis association execution instruction events have occurred from a terminal controller install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상기 음성변조/배경음 합성 연계실행 지시 이벤트가발생한 경우, 기 정해진 일련의 변조 파라메타를 선택적으로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입력되는 사용자 원 음성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When the voice modulation / background tone synthesis coordination execution instructio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a predetermined series of modulation parameters are selectively extracted, the user original voice inpu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nalyzed, and the corresponding user original voice is generated. Extracting features of;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을 상기 변조 파라메타에 따라 가공하여, 일련의 변조 음성을 생성하는 단계와;Processing a feature of the user original speech according to the modulation parameter to generate a series of modulated speech; 기 정해진 일련의 배경음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상기 배경음의 레벨을 상기 변조 음성의 레벨에 따라 조절하고, 레벨 조절이 완료된 상기 배경음을 상기 변조 음성에 결합하여, 일련의 가공 음성을 생성하는 단계와;Selectively extracting a predetermined series of background sounds, adjusting the level of the background sound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modulated voice, and combining the background sound whose level has been adjusted to the modulated voice to generate a series of processed voices; 생성 완료된 상기 가공 음성을 상기 단말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의 음성출력 제어방법.And transmitting the completed processed voice to the terminal controll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일련의 음성변조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series of voice modulation single execution instruction events have occurr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상기 음성변조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바생한 경우, 기 정해진 일련의 변조 파라메타를 선택적으로 추출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을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을 추출하는 단계와;If the voice modulation single execution instructio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selectively extracting a predetermined series of modulation parameters, analyzing the user original voice, and extracting a feature of the user original voice;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의 특징을 상기 변조 파라메타에 따라 가공하여, 일련의 변조 음성을 생성하는 단계와;Processing a feature of the user original speech according to the modulation parameter to generate a series of modulated speech; 생성이 완료된 상기 변조 음성을 상기 단말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의 음성출력 제어방법.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modulated voice to the terminal controller fur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determining whether a background sound synthesis exclusive execution instruction event has occurr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상기 단말 제어부로부터 상기 배경음 합성 단독실행 지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 정해진 일련의 배경음을 선택적으로 추출한 후, 상기 배경음의 레벨을 상기 사용자 원 음성의 레벨에 따라 조절하고, 레벨 조절이 완료된 상기 배경음을 상기 사용자 원 음성에 결합하여, 일련의 합성 음성을 생성하는 단계와;When the background sound synthesis single execution instruction event is generated from the terminal controller, a predetermined series of background sounds are selectively extracted, and then the level of the background sound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user's original voice, and the background sound whose level adjustment is completed is performed. Generating a series of synthesized voices, coupled to the user original voice; 생성 완료된 상기 합성 음성을 상기 단말 제어부로 전달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용 음성출력 제어모듈의 음성출력 제어방법.And delivering the generated synthesized voice to the terminal controller.
KR10-2002-0049827A 2002-08-22 2002-08-22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KR1004627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827A KR100462747B1 (en) 2002-08-22 2002-08-22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827A KR100462747B1 (en) 2002-08-22 2002-08-22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897A KR20040017897A (en) 2004-03-02
KR100462747B1 true KR100462747B1 (en) 2004-12-20

Family

ID=3732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827A KR100462747B1 (en) 2002-08-22 2002-08-22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747B1 (en)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615A (en) * 1997-09-30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Portable telephone set
JP2000078246A (en) * 1998-09-03 2000-03-14 Toshiba Corp Radio telephone system
JP2000244614A (en) * 1999-02-19 2000-09-08 Toshiba Corp Portable radio terminal
KR20010010123A (en) * 1999-07-16 2001-02-05 김연수 A modulation device of voice and the method in an ars system
JP2001077886A (en) * 1999-08-31 2001-03-23 Arukkusu In Japan:Kk Voice converter for portable phone
KR20010067983A (en) * 2001-04-12 2001-07-13 백종관 Method of Transmitting with Synthesizing Background Music to Voice on Calling and Apparatus therefor
KR20010076461A (en) * 2000-01-26 2001-08-16 구자홍 portable termial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service the background music
KR20020016983A (en) * 2000-08-28 2002-03-07 홍경 Method for transmitting background music on talking over the mobile phone
KR20020041220A (en) * 2000-11-27 2002-06-01 조정남 A phone having voice modulating function and voice modulation method in a phon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2615A (en) * 1997-09-30 1999-04-23 Kokusai Electric Co Ltd Portable telephone set
JP2000078246A (en) * 1998-09-03 2000-03-14 Toshiba Corp Radio telephone system
JP2000244614A (en) * 1999-02-19 2000-09-08 Toshiba Corp Portable radio terminal
KR20010010123A (en) * 1999-07-16 2001-02-05 김연수 A modulation device of voice and the method in an ars system
JP2001077886A (en) * 1999-08-31 2001-03-23 Arukkusu In Japan:Kk Voice converter for portable phone
KR20010076461A (en) * 2000-01-26 2001-08-16 구자홍 portable termial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for service the background music
KR20020016983A (en) * 2000-08-28 2002-03-07 홍경 Method for transmitting background music on talking over the mobile phone
KR20020041220A (en) * 2000-11-27 2002-06-01 조정남 A phone having voice modulating function and voice modulation method in a phone
KR20010067983A (en) * 2001-04-12 2001-07-13 백종관 Method of Transmitting with Synthesizing Background Music to Voice on Calling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897A (en)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2667B2 (en)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audio streaming
US9875753B2 (en) Hearing aid and a method for improving speech intelligibility of an audio signal
US8369549B2 (en) Hearing aid system adapted to selectively amplify audio signals
CN103247294B (en) Signal handling equipment, method,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7465867B2 (en) MIDI-compatible hearing device
US20080026355A1 (en) Song lyrics download for karaoke applications
US20080040116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Providing Improved Intelligibility of Television Audio for the Hearing Impaired
US20100260363A1 (en) Midi-compatible hearing device and reproduction of speech sound in a hearing device
EP2138009A1 (en) Dynamic volume adjusting and band-shifting to compensate for hearing loss
EP1615468A1 (en) MIDI-compatible hearing aid
CN103731541A (en) Method and terminal for controlling voice frequency during telephone communication
JP2004312662A (en) Mobile terminal having function of outputting effect sound/background sound by using key button on communication
US200902925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thesizing music and voice, and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462747B1 (en)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oice out-put status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KR101153333B1 (en)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data in wireless terminal
US20060189357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ing telephone audio functions
JP2002244654A (en) Device and system for distribution and play device
CN109905792A (en) It is a kind of with go voice function wireless K sing earphone
EP2224703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novelty voice alteration and related methods
JP3903050B2 (en) Method for providing background sound for calls in personal portable terminals
KR100597964B1 (en) The advanced digital audio contents service 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method for mobile wireless device on wireless and wired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CN109391714A (en) Earphone
CN113611272A (en) Multi-mobile-terminal-based loudspeaking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460924A (en) One kind is wired to go voice K to sing earphone
KR100504817B1 (en) Monotony melody play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