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13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133B1
KR100459133B1 KR10-2002-0000417A KR20020000417A KR100459133B1 KR 100459133 B1 KR100459133 B1 KR 100459133B1 KR 20020000417 A KR20020000417 A KR 20020000417A KR 100459133 B1 KR100459133 B1 KR 100459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data
antennas
data stream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0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59686A (en
Inventor
원승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0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133B1/en
Priority to US10/274,001 priority patent/US7327798B2/en
Publication of KR20030059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96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133B1/en
Priority to US11/970,416 priority patent/US8098762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6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delay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M개의 안테나와, 입력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는 M개의 신호 처리기와, 상기 각 신호 처리기에 의해 부호화된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발생시켜 상기 각 안테나로 인가하는 지연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송신 블록;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할하여 서브 데이터 스트림별로 상기 다수의 송신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지시자를 부가하는 전처리 부호기; 및 상기 전처리 부호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다수의 송신 블록의 각 신호 처리기로 입력시키는 디먹싱(demuxing)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in the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 antenna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M signal processors for encoding input sub data streams, and sub data streams encoded by the signal processor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including delay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to the respective antennas; A preprocessing encoder which divides an input data stream into the sub data streams and adds an indicator for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for each sub data stream; And demuxing means for inputting the sub data stream output from the preprocessor to each signal processor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Description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일반적으로,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이하 MIMO) 시스템은 종래의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 Input Single Output;이하 SISO) 통신 방식과,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 Input Multiple Output; 이하 SIMO) 통신 방식으로부터 진화되어, 고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기술에서 이용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 MIMO 시스템은 M개의 안테나로 정보를 송신하여 N개의 안테나로 수신하는 방식으로, 특히 높은 주파수 효율을 요구하는 제4 세대 통신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In general,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system includes a conventional 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communication scheme and a 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system. Evolved from communication schemes, it has been developed for use in technologies that require high capacity data transmission. The MIMO system transmits information through M antennas and receives information through N antennas, and is considered as an essential element in a fourth generation communication system that requires high frequency efficienc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송신기는 정보원(또는 정보 스트림, 데이터 스트림)을 M 개의 서브 스트림으로 나누어 신호 처리하는 송신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처리기(101)와, 이 처리된 신호를 변조하여 M 개의 안테나로 인가하는 변조기(102)로 구성되고,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에서 전송된 신호를 N 개의 안테나로 수신하여 복조하는 복조기(103)와, 이 복조된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원래의 정보 스트림으로 복원하는 수신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처리기(104)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transmitter divides an information source (or an information stream or a data stream) into M sub-streams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and modulates the processed signal to M antennas. And a demodulator (103) for receiving and demodulating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with N antennas, and receiving multiple inputs for signal-processing the demodulated signals to restore the original information stream. It consists of multiple output processors 104.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D-BLAST MIMO 시스템의 송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ansmitter of a D-BLAST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llustrated in FIG. 2.

도 2 및 도 3은 안테나간 거리가 1.5λ이며, 4개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대각선 방식의 계층화된 공간/시간 방식(Diagon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이하 D-BLAST)의 MIMO 시스템이다.2 and 3 illustrate a MIMO system using fou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having a distance between antennas of 1.5 lambda and a diagon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hereinafter, D). -BLAST) MIMO system.

먼저,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 스트림은 디먹스(203)에 의해 동일한 비율의 M개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로 나누어져 신호 처리기(202)에서 각각 부호화되며, 이 부호화된 신호는 4진 순환 쉬프터(202)에 의해 주기적으로 각 안테나와 연결되어 수신기로 전송된다.First, the information stream to be transmitted is divided into M sub data streams having the same ratio by the demux 203 and encoded in the signal processor 202, respectively, and the encode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ternary cyclic shifter 202. Is periodically connected to each antenna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er.

상기 신호 처리기(202)는 동일한 정보를 부호화하여 생성된 심볼들을 서로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두어 안테나에 인가한다. 즉, 상기 각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은 동일한 정보로부터 부호화된 심볼들을 포함한다.The signal processor 202 applies symbols generated by encoding the same information to the antenna with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That is, the signals transmitted through each antenna include symbols encoded from the same information.

즉, 상기 순환 쉬프터(202)는 신호 처리된 서브 스트림과 송신 안테나의 연결을 주기적으로 바꾸어주는 것으로, 매 τ초가 지나면 신호 처리된 서브 스트림과 송신 안테나의 연결이 주기적으로 바뀌어 송신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송신기는 지연 다이버시티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 되고, 감쇄 채널(fading channel)을 통해서 송신된 M개의 신호 처리된 서브 스트림은 N개의 수신 안테나 모두에게 수신되어진다. 여기서, M개의 송신 신호가 모든 수신 안테나에 수신되기 때문에 송신 신호들 중 어느 하나도 다중 경로를 지날 때에 발생 할 수 있는 최악의 채널 환경에 영향을 심각하게 받지 않고 수신되어진다.That is, the cyclic shifter 202 periodically changes the connection of the signal-processed sub-stream and the transmission antenna. After τ seconds, the connection of the signal-processed sub-stream and the transmission antenna is periodically changed and transmitted. By doing so, the transmitter employs a delay diversity scheme, in which the M signaled substreams transmitted on the fading channel are received by all N receive antennas. Here, since M transmit signals are received at all receive antennas, any one of the transmit signals is received without being seriously affected by the worst channel environment that may occur when passing through the multipath.

따라서, 수신기에 수신된 신호의 심볼들은 검출기(301)의 각 공간 계층(수신 안테나에 의해 구별됨)에서 대각선상으로 검출된다. 즉, M 개의 심볼을 수신하여, 이 수신된 심볼로부터 이미 검출된 심볼들은 캔슬링(canneling)을 하고, 미검출된 심볼들은 널링(nulling)을 하여, 원하는 심볼값을 검출한다. 이러한 과정은 송신 안테나 개수만큼 대각선을 따라가면서 원하는 심볼값을 검출한다.Thus, the symbols of the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er are detected diagonally at each spatial layer (identified by the receiving antenna) of the detector 301. That is, M symbols are received, symbols already detected from the received symbols are canceled, and undetected symbols are nulled to detect a desired symbol value. This process detects a desired symbol value along a diagonal line as many as th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상기 널링은 가장 강한 신호의 검출을 다른 약한 신호들을 제거함으로써 원하는 심볼을 검출하며, 상기 캔슬링은 이미 검출된 신호들을 원래의 수신한 심볼에서 제거해 줌으로써 남겨진 약한 심볼의 검출을 원활하게 해주는 방식이다.The nulling detects the desired symbol by removing the weakest signal from the detection of the strongest signal, and the canceling is a method of smoothing the detection of the remaining weak symbol by removing the already detected signals from the original received symbol.

그리고, 이 검출된 데이터 심볼들은 먹스(302)에 의해 합해져 각 공간 계층에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생성되고, 마지막으로 모든 안테나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결합기(203)에서 최대비로 결합된다.The detected data symbols are then combined by the mux 302 to produce one data stream in each spatial layer, and finally the data streams of all antennas are combined at the maximum ratio in combiner 203.

상기 최대비 결합 방식은 각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SNR)의 제곱근에 비례하는 이득을 각 채널에 곱해줌으로서 출력 신호대 간섭비의 값이 최대가 되게 해 주는 수신 방식이다. 이 각 채널의 신호대 간섭비는 더해져서 하나의 신호대 간섭비로 나타난다.The maximum ratio combining scheme is a reception scheme that maximizes the value of the output signal-to-interference ratio by multiplying each channel by a gain proportional to the square root of the signal-to-interference ratio (SNR) of each channel. The signal-to-interference ratios of these channels are added together to represent one signal-to-interference ratio.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V-BLAST MIMO 시스템의 송신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transmitter of the V-BLAST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llustrated in FIG. 4.

도 4 및 도 5는 안테나간 거리가 4λ이며, 4개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를 이용하는 MIMO 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수직 방식의 계층화된 공간/시간 방식(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이하 V-BLAST)의 MIMO 시스템이다.4 and 5 illustrate a MIMO system using four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with a distance between 4 antennas and a vertical-bell labs' layered space time (hereinafter, V-). BLAST) MIMO system.

도 4 및 도 5는 각각 상기 도 2 및 도 3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4 and 5 have a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FIGS. 2 and 3, respectively.

단, 도 4에서 신호 처리기(401)는 단순한 비트를 심볼로 바꾸는 벡터 부호화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부호화 과정을 단순화하였다. 상기 신호 처리기(401)는 하나의 정보로부터 나누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을 각각 부호화한다. 즉, 상기 각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는 동일한 정보로부터 나누어진 M개의 부호화된 심볼들이 상기 복수의 안테나를 통하여 나누어져 전송된다.However, in FIG. 4, the signal processor 401 simplifies the encoding process by performing a vector encoding process that converts a simple bit into a symbol. The signal processor 401 encodes a plurality of sub data streams divided from one information. That is, in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each antenna, M coded symbols divided from the same information are divid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antennas.

또한, 검출기(501)는 수신된 M 개의 심볼들을 신호 대 간섭비(SNR)의 크기대로 정렬하고, 이 정렬된 심볼 중 수신 상태가 좋은 심볼로부터 원하는 심볼을 검출한다.In addition, the detector 501 aligns the received M symbol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ignal-to-interference ratio (SNR), and detects a desired symbol from among the aligned symbols with a good reception state.

도 4 및 도 5에서 이용되는 시스템의 주파수 효율은 상기 도 2 및 도 3에서 사용한 MIMO 시스템의 주파수 효율보다는 떨어지지만 보다 간략화된 수신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Although the frequency efficiency of the system used in FIGS. 4 and 5 is lower than the frequency efficiency of the MIMO system used in FIGS. 2 and 3,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eception circuit can be implemented with a simplified receiver circuit.

즉, 도 2 및 도 3에서 전송되는 심볼들은 채널을 거치면서 치명적인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가 이 심볼들로부터 원래의 정보 스트림을 복구하는데 장애가 발생한다. 그리고, 수신기가 복잡해지고, 채널 코딩을 적용할 때 제약이 따른다. 반면, 주파수 이용 효율은 높다.That is, since the symbols transmitted in FIGS. 2 and 3 can cause fatal errors as they travel through the channel, the receiver fails to recover the original information stream from these symbols. And, the receiver becomes complicated and there are restrictions when applying channel coding. On the other hand, the frequency utilization efficiency is high.

반면, 대안으로 제시된 도 4 및 도 5에서는 간략화된 수신 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나, 주파수 이용 효율이 떨어지고, 안테나 배열간격이 매우 넓어야 하는 약점이 있다. 왜냐하면, 각 안테나 사이에 10λ의 간격이 있어야 서로 상관 관계가 없는 경우라고 할 수 있으며, 최소한 4λ의 간격이 있어야 실용적으로 상관관계를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상관 관계가 없는 경우의 80% 용량)On the other hand, although alternatively shown in Figures 4 and 5 can be implemented using a simplified receiving circui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frequency utilization efficiency is low, and the antenna array spacing must be very wide. This is because there is a correlation of 10λ between each antenna so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and at least 4λ can be practically ignored. (80% capacity when there is no correlation)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D-BLAST의 장점을 살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V-BLAST의 약점을 보완하는 MIMO 시스템 방식의 고안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a MIMO system scheme that takes advantage of the D-BLAST shown in FIGS. 2 and 3 and supplements the weak points of V-BLAST shown in FIGS. 4 and 5.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주파수 이용 효율이 높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having high frequency utilization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각 안테나의 배열이 한정된 공간에서 효율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in which the arrangement of each antenna is efficiently arranged in a limited space.

또한, 본 발명은 구현이 간단한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with simple implementation.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M개의 안테나와, 입력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는 M개의 신호 처리기와, 상기 각 신호 처리기에 의해 부호화된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발생시켜 상기 각 안테나로 인가하는 지연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송신 블록;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할하여 서브 데이터 스트림별로 상기 다수의 송신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지시자를 부가하는 전처리 부호기; 및 상기 전처리 부호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다수의 송신 블록의 각 신호 처리기로 입력시키는 디먹싱(demuxing)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 간격과는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N 개의 안테나 그룹;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그룹의 안테나 그룹의 지시자를 포함하는 N 개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로 나누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을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1에서 N 까지 증가하는 i 에 대해, i 번째 그룹의 각 안테나들을 통하여 i 번째 신호처리된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부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MIMO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 간격과는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N 개의 안테나 그룹을 포함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안테나 그룹의 지시자를 포함하는 N 개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로 나누어 신호처리하는 단계; 및 1에서 N 까지 증가하는 i 에 대해, i 번째 그룹의 각 안테나들을 통하여 i 번째 신호처리된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부여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in a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M antenna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M signal processors for encoding an input sub data stream, and each signal processor.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including delay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in the encoded sub data streams and applying them to the respective antennas; A preprocessing encoder which divides an input data stream into the sub data streams and adds an indicator for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for each sub data stream; And demuxing means for inputting the sub data stream output from the preprocessor to each signal processor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The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MIMO system includes: N antenna groups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from the same interval; A demultiplexer for dividing a data stream to be transmitted into N sub data streams including an indicator of an antenna group of the group; And a signal processor for signal processing the sub data streams, and for i increasing from 1 to N, a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 is given to the i th signaled sub data stream through respective antennas of the i th group.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transmission method in a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is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from the same interval. A multi-input multi-output system including N antenna groups, comprising: signal processing a data stream to be transmitted divided into N sub data streams including an indicator of a corresponding antenna group; And transmitting a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 to the i th signal-processed sub data stream through each of the antennas of the i th group with respect to i increasing from 1 to 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MIMO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D-BLAST MIMO 시스템의 송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ransmitter of a D-BLAST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3 shows an example of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V-BLAST MIMO 시스템의 송신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4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a transmitter of a V-BLAST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FIG. 5 shows an example of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의 송신기의 일 예(안테나 4개)를 나타낸 도면.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ur antennas) of a transmitter of a hybrid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7 shows an example of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shown in FIG. 6;

도 8a는 일반적인 V-BLAST의 상호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8A is a diagram showing a mutual polarization structure of a general V-BLAST.

도 8b는 일반적인 V-BLAST의 듀얼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ual polarization structure of a general V-BLAST.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에서의 상호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8C illustrates a mutual polarization structure in a hybrid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에서의 듀얼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8D illustrates a dual polarization structure in a hybrid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601 : 2진 순환 쉬프터601 binary binary shifter

602 : 신호 처리기602: Signal Processor

603 : 디먹스603: Demux

604 : 전처리 부호기604 preprocessor encoder

본 발명은 D-BLAST의 장점인 높은 주파수 효율과 좁은 송신 안테나 간격을 이용함과 동시에 V-BLAST의 단점을 보완하는 하이브리드 MIMO 송수신 시스템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hybrid MIMO transmission / reception system that compensates for the disadvantages of V-BLAST while using high frequency efficiency and narrow transmission antenna spacing which are advantages of D-BLAST.

또한,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시스템은 송신단이 채널의 상태를 직접 알 수 없고, 수신단만이 채널의 상태를 아는 시스템, 즉 개방 루프로 구성되어 있는 시스템이므로, 이를 위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제안한다.In addition, the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in which the transmitting end does not directly know the state of the channel, and only the receiving end knows the state of the channel, that is, a system composed of an open loop.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and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의 송신기의 일 예(안테나 4개)를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four antennas) of a transmitter of the hybrid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ceiver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transmitter illustrated in FIG. 6.

도 6 및 도 7은 송신 및 수신 안테나 개수가 동일하고, 가장 간단하게 4개를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안테나의 개수가 2개로 구성된 D-BLAST 송신기를 하나의 구성 단위로 생각하고, 그 구성 단위들이 V-BLAST의 구성을 따르게 되는 구조이다.6 and 7 show a case where the number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s is the same and the simplest uses four. In addition, a D-BLAST transmitter having two antennas is considered as one structural unit, and the structural units follow the configuration of V-BLAST.

여기서, D-BLAST 송신기를 구성하는 안테나들의 간격은 종래와 동일하게 1.5λ이다. 그리고, D-BLAST 송신기를 하나의 구성 단위로 하여, V-BLAST를 구성하는 복수의 D-BLAST 송신기들의 안테나 간격은 종래와 동일하게 4λ가 된다. 즉, 종래에는 V-BLAST MIMO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4개의 안테나를 배열할 경우 12λ가 필요하지만, 하이브리드 MIMO 구조에서는 단지 7λ만이 필요하다.Here, the spacing of the antennas constituting the D-BLAST transmitter is 1.5 lambda as in the prior art. The antenna spacing of the plurality of D-BLAST transmitters constituting the V-BLAST is 4λ, as in the related art, using the D-BLAST transmitter as one structural unit. That is, in order to implement the V-BLAST MIMO system, 12 lambda is required when arranging four antennas, but only 7 lambda is required in a hybrid MIMO structure.

먼저, 데이터 스트림은 전처리 부호기(604)에서 D-BLAST 구성 단위를 구별하기 위한 헤더 또는 지시자가 부가된다. 이는 수신 안테나에서 M개의 신호를 수신할 때 송신단의 각 D-BLAST 단위를 구별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M 개의 신호 중 동일한 D-BLAST 구성 단위의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들은 동일한 헤더또는 지시자를 갖는다.First, the data stream is appended with a header or indicator for distinguishing the D-BLAST structural units in the preprocessing encoder 604. This is to distinguish each D-BLAST unit of the transmitting end when receiving M signals from the receiving antenna.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antennas of the same D-BLAST component unit among the M signals have the same header or indicator.

상기 헤더 또는 지시자가 부가된 데이터 스트림은 먹스(603)에 의해 동일한 비율의 M개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로 나누어져 신호 처리기(602a, 602b)에 제공된다. 병렬로 배치된 두 개의 신호 처리기들은 이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을 부호화한다.The data stream to which the header or indicator is added is divided into M sub data streams of equal ratio by the mux 603 and provided to the signal processors 602a and 602b. Two signal processors arranged in parallel encode these sub data streams.

상기 각 신호 처리기(602a와, 602b)는 하나의 정보로부터 나누어진 복수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을 각각 부호화한다. 자세하게는, 어느 하나의 신호 처리기(602a 또는 602b)는 상기와 같이 나누어진 특정 서브 데이터 스트림을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갖도록 각각 부호화한다. 이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에 따른 신호들은 동일한 D-BLAST 구성 단위에 포함되는 안테나들을 통하여 수신기에 전송된다.Each of the signal processors 602a and 602b encodes a plurality of sub data streams divided from one information. In detail, either signal processor 602a or 602b encodes the specific sub data stream divided as described above to have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Signals according to these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hrough antennas included in the same D-BLAST component unit.

2진 순환 쉬프터(601a 또는 601b)는 상기 동일한 D-BLAST 구성 단위에서 부호화된 신호들을 주기적으로 각 안테나와 연결하여 신호들이 해당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binary cyclic shifter 601a or 601b periodically connects signals encoded in the same D-BLAST component unit with each antenna so that the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corresponding antenna.

수신기에서 어느 하나의 전처리 복호기(701a)는 상기에서 전송된 신호의 헤더 또는 구별자를 확인하여 동일 D-BLAST 구성 단위의 안테나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적어도 두 개의 먹스(703a, 703b)로 연결된 어느 하나의 검출기(702a)에 의해 해당 심볼들이 검출되도록 한다.At the receiver, any one of the pre-processing decoders 701a checks the header or the identifier of the transmitted signal, so that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ntenna of the same D-BLAST component unit is connected to at least two muxes 703a and 703b. The corresponding symbols are detected by the detector 702a.

상기 검출기(702a)는 복수 개의 D-BLAST 검출기들(도 7에서는 두 개의 예를 들었다)로 구성되고, 송신단에서의 전송 지연 차에 따른 각각의 신호들을 검출하는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어느 하나의 검출기(예를 들어, 702a)를 구성하는 D-BLAST 검출기들은 서로 다른 먹스(703a 또는 703b)에 연결된다.The detector 702a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BLAST detectors (two examples in FIG. 7), and performs a function of detecting respective signal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delay difference at the transmitting end. Here, the D-BLAST detectors constituting either detector (eg, 702a) are connected to different muxes 703a or 703b.

즉, 전처리 복호기들(701a 내지 701d)은 B-BLAST 구성 단위 수만큼 구비되며, 복수의 D-BLAST 검출기들은 검출된 신호 중 전송 지연이 동일한 신호들을 동일한 먹스(703a 또는 703b)로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먹스(703a 또는 703b)도 송신단에서의 D-BLAST 구성 단위 수만큼 구비된다.That is, the preprocessing decoders 701a to 701d are provided with the number of B-BLAST structural units, and the plurality of D-BLAST detectors provide signals having the same transmission delay among the detected signals to the same mux 703a or 703b. Similarly, the mux 703a or 703b is also provided by the number of D-BLAST structural units at the transmitting end.

이에 어느 하나의 먹스(703a 또는 703b)는 전송 지연이 동일한 신호들을 먹싱하여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며, 이 비트스트림을 결합기(704)에 제공한다.Thus, either mux 703a or 703b muxes the signals with the same transmission delay to produce one bitstream, which provides this bitstream to combiner 704.

상기 결합기(704)는 이 전송 지연이 서로 다른 신호들을 최대비로 결합한다.The combiner 704 combines signals with different transmission delays at a maximum ratio.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된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에 편파 다이버시티를 적용시켰을 때의 구성을 일반 기술과 대비하여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하였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when polarization diversity is applied to the hybrid MIMO system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8A to 8D in comparison with the general technology.

이러한 구성은 개방 루프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에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를 적용 시켰을 때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This configuration illustrates a configuration when polarization diversity is applied to an open loop hybrid MIMO system.

일반적으로 편파 다이버시티는 상호 편파 구조(Co-polarized structure)와 듀얼 편파 구조(Dual-polarized structure)가 있다. 전자는 각 안테나에서 동일한 편파(예를 들어, 수직편파를 각각 전송)를 전송하는 것이고, 후자는 두 개의 안테나가 서로 다른 수직성분의 편파를 전송하는 방식(예를 들어, 제1 안테나가 수직 편파이고, 제2 안테나가 수평 편파이고, 이때, 제1 안테나는 45°로, 제2 안테나는 -45°로 각각 기울어져있다.)이다.In general, polarization diversity includes a co-polarized structure and a dual-polarized structure. The former transmits the same polarization (e.g., transmits vertical polarization, respectively) at each antenna, and the latter transmits two polarizations of different vertical components (e.g., the first antenna is vertically polarized). And the second antenna is horizontally offset, wherein the first antenna is tilted at 45 ° and the second antenna is -45 °, respectively.

도 8a는 일반적인 V-BLAST의 상호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tual polarization structure of a general V-BLAST.

여기서, 안테나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 상관관계가 없을 때의 전송 용량 80%만으로 신호를 전송하고, 대신 간격을 10λ에서 4λ로 줄인다. 따라서, 네 개의 안테나를 배치하는데 총 6λ가 사용되어서 공간 다이버시티만을 사용한 방법에 비해 더 조밀한 안테나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Here, in order to reduce the distance between antennas, the signal is transmitted with only 80% of transmission capacity when there is no correlation, and instead the distance is reduced from 10λ to 4λ. Thus, a total of 6 lambda is used to arrange four antenna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dense antenna structure than the method using only spatial diversity.

도 8b는 일반적인 V-BLAST의 듀얼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8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ual polarization structure of a general V-BLAST.

여기서, 네 개의 송신 안테나를 배치하는데 총 6λ가 사용되어서 공간 다이버시티만을 사용한 방법에 비해 더 조밀한 안테나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Here, a total of 6 lambda is used to arrange four transmit antenna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a more dense antenna structure than the method using only spatial diversity.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에서의 상호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8C illustrates a mutual polarization structure in a hybrid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전송 특성(각 쌍이 동일한 신호를 보내고, 둘 중 하나는 1 심볼 지연을 가지고 전송)에 의하여 각 쌍은 1.5λ의 안테나 간격을 가지고, 각 쌍들의 간격은 4λ를 가지기 때문에 네 개의 안테나를 구성하는데 7λ가 사용된다.Here, four antennas are configured because each pair has an antenna spacing of 1.5λ and each pair has a spacing of 4λ according to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each pair sends the same signal, one of which has one symbol delay). 7λ is used to do this.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MIMO 시스템에서의 듀얼 편파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8D illustrates a dual polarization structure in a hybrid MIMO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도 8d에서 동일 D-BLAST 단위의 안테나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 및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신호(본 발명에서는 상호 직교 신호를 전송하는 수직 편파의 예를 들었다)를 송신한다. 또한, 이 동일 D-BLAST 단위의 안테나들은 기준 축을 중심으로 45도 씩 기울어져 배치된다.That is, in FIG. 8D, antennas of the same D-BLAST unit are arranged at the same interval, and transmit signals having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and different phases (in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vertical polarizations transmitting mutually orthogonal signals). do. In addition, the antennas of the same D-BLAST unit are dispos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axis.

이때, 상기 동일 D-BLAST 단위가 배치되는 전체 길이는, 상기 동일 D-BLAST단위의 안테나들이 동일 위상 신호를 전송할 때(예를 들어, 7λ)의 전체 길이의 1/2 배(3.5λ)로도 충분하다.In this case, the total length of the same D-BLAST unit is arranged, even if the antenna of the same D-BLAST unit transmits the same phase signal (for example, 7λ) 1/2 times (3.5λ) of the total length Suffice.

따라서, 최소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고, 보다 좋은 전송률을 위해서는 좀 더 간격을 떨어뜨려서 배치할 수도 있다. 자세하게는, 각 쌍이 가장 간단한 D-BLAST를 위한 송신기 구조를 하고 전체적으로 V-BLAST 송신기 구조임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arranged at a minimum interval, and may be arranged at a further interval for a better transmission rate. In detail, it can be seen that each pair has a transmitter structure for the simplest D-BLAST and is a V-BLAST transmitter structure as a whole.

또한, 이러한 안테나 배열 공간의 조밀성 이외 편파 다이버시티는 다른 장점을 주는데 이는 무선 채널에 공간적 상관 관계가 높을 경우에 공간 다이버시티와 조합을 이루어 수신 이득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compactness of the antenna array space, polarization diversity provides another advantage, which is combined with spatial diversity to provide a reception gain when the spatial correlation is high in a wireless channel.

그렇기 때문에 MIMO 시스템의 취약 조건일 경우, 전송 용량의 열화를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it plays a role of reducing the deterioration of transmission capacity in the weak condition of MIMO system.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 효과들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편파 다이버시티를 사용하면 보다 조밀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기지국 안테나 배치 간격을 50%까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irst, the use of polarization diversity can reduce the base station antenna spacing by 50% by configuring a more compact system.

둘째,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채널의 변화로 채널의 상태가 비상관 상태에서 상관 상태로 바뀔 때 생기는 MIMO 시스템의 근본적인 성능 열화의 정도를 다이버시티의 효과로부터 생기는 수신 이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co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mitigate the reception gain resulting from the diversity effect of the fundamental performance degradation of the MIMO system that occurs when the channel state changes from uncorrelated state to correlation state due to the constantly changing channel chang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7)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호 직교 신호를 전송하는 M개의 안테나와, 입력되는 서브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는 M개의 신호 처리기와, 상기 각 신호 처리기에 의해 부호화된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발생시켜 상기 각 안테나로 인가하는 지연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다수의 송신 블록;M antenna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to transmit mutually orthogonal signals, M signal processors encoding the input sub data streams, and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are generated in the sub data streams encoded by the signal processor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including delay generation means applied to each of the antennas;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할하여 서브 데이터 스트림별로 상기 다수의 송신 블록을 식별하기 위한 지시자를 부가하는 전처리 부호기; 및A preprocessing encoder which divides an input data stream into the sub data streams and adds an indicator for identifying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for each sub data stream; And 상기 전처리 부호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을 상기 다수의 송신 블록의 각 신호 처리기로 입력시키는 디먹싱(demuxing)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And demuxing means for inputting the sub data stream output from the preprocessor to each signal processor of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block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은 기준 축을 중심으로 45도 씩 기울어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ntennas are disposed at an angle of 45 degrees with respect to a reference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블록 내의 안테나 간의 간격은 상기 각 송신 블록 간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n interval between antennas in each transmission block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each transmission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송신 블록 내의 안테나 간의 간격은 상기 각 송신 블록 간의 간격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n interval between antennas in each transmission block is smaller than an interval between each transmission block.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 간격과는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N 개의 안테나 그룹;N antenna groups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from the same interval;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그룹의 안테나 그룹의 지시자를 포함하는 N 개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로 나누는 디멀티플렉서;A demultiplexer for dividing a data stream to be transmitted into N sub data streams including an indicator of an antenna group of the group; 상기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을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nd a signal processor for signal processing the sub data streams, 1에서 N 까지 증가하는 i 에 대해, i 번째 그룹의 각 안테나들을 통하여 i 번째 신호처리된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부여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Signal transmission in a multi-input multiple output system for i, which increases from 1 to N, is transmitted by giving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s to the i-th signaled sub data stream through each antenna of the i-th group. Device.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 간격과는 다른 간격으로 배치되는 N 개의 안테나 그룹을 포함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ntennas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comprising N antenna groups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from the same interval,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을 해당 안테나 그룹의 지시자를 포함하는 N 개의 서브 데이터 스트림들로 나누어 신호처리하는 단계; 및Dividing the data stream to be transmitted into N sub data streams including an indicator of a corresponding antenna group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And 1에서 N 까지 증가하는 i 에 대해, i 번째 그룹의 각 안테나들을 통하여 i 번째 신호처리된 서브 데이터 스트림에 서로 다른 전송 지연 시간을 부여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입력 다중 출력 시스템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Signal transmission in a multi-input multiple output system comprising transmitting, by i, a different transmission delay time to the i-th signaled sub data stream through each antenna of the i-th group, for i increasing from 1 to N Way.
KR10-2002-0000417A 2001-10-19 2002-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KR1004591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417A KR100459133B1 (en) 2002-01-04 2002-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US10/274,001 US7327798B2 (en) 2001-10-19 2002-10-21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US11/970,416 US8098762B2 (en) 2001-10-19 2008-01-07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in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0417A KR100459133B1 (en) 2002-01-04 2002-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686A KR20030059686A (en) 2003-07-10
KR100459133B1 true KR100459133B1 (en) 2004-12-03

Family

ID=32216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0417A KR100459133B1 (en) 2001-10-19 2002-01-04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13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208B1 (en) 2004-12-08 2007-03-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Transmitter, receiv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KR100782743B1 (en) * 2005-11-17 2007-12-05 삼성전기주식회사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 using wireless LA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1927A (en) * 1992-03-02 1993-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irectivity diversity antenna for sector zone
KR20010032335A (en) * 1997-11-21 2001-04-1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radio signals
KR20010062463A (en) * 1999-12-15 2001-07-0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An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transmit diversity
KR20030032903A (en) * 2001-10-19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an apparatus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1927A (en) * 1992-03-02 1993-09-2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Directivity diversity antenna for sector zone
KR20010032335A (en) * 1997-11-21 2001-04-16 클라스 노린, 쿨트 헬스트룀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radio signals
KR20010062463A (en) * 1999-12-15 2001-07-07 루센트 테크놀러지스 인크 An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transmit diversity
KR20030032903A (en) * 2001-10-19 200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an apparatu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9686A (en) 200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87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in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provided with plurality of antenna elements
KR100463526B1 (en) Method for allocating power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US9887467B2 (en) Near-field communications with multiple transmit and multiple receive antennae
JP4272681B2 (en)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850741B2 (en) Method for selecting switched orthogonal beams for downlink diversity transmission
JP3633872B2 (en) Combination of channel coding and spatial block coding in multi-antenna structures
US6801790B2 (en) Structure for multiple antenna configurations
US6934320B2 (en) Orthogonalized spatial multiplex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345532B2 (en) Trans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1999004519A2 (en) Combined array processing and space-time coding
CA2326865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of enhancing transmit diversity
KR2003009788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data within wireless networks
KR10045913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system
Mukkavilli et al. Design of multiple antenna coding schemes with channel feedback
KR100848906B1 (en) A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an apparatus for the same
KR200800298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decoding for data in multiple antenna communication system
KR100854326B1 (en) A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s i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 system, an apparatus for the same
Zhao et al. Optimal STBC precoding with channel covariance feedback for minimum error probability
CN106953674B (en) Spatial modulation method and system
Ivrlac et al. MIMO eigenbeamforming in correlated fading
Liu et al. Selective receiver switching scheme for space time block coding with full code rate and non-orthogonal design
KR2005001711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ultiple transmission 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otak et al. Simul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Blast Structure in MIMO Environment
Ngajikin et al. Simulation on performance of space time block code
KR20060079499A (en) Hybrid symbol cancellation detecting method of multi-input multi-output v-blas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