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111B1 - 음향센서 및 이 제조방법 및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 - Google Patents

음향센서 및 이 제조방법 및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111B1
KR100458111B1 KR10-1998-0035963A KR19980035963A KR100458111B1 KR 100458111 B1 KR100458111 B1 KR 100458111B1 KR 19980035963 A KR19980035963 A KR 19980035963A KR 100458111 B1 KR100458111 B1 KR 100458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coustic sensor
electrode layer
wafer
elect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428A (ko
Inventor
타카오 카와무라
요시아키 오오바야시
마모루 야스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5947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889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4994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38376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2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1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05Electrostatic transducers using semiconduct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9/00Electrostatic transducers
    • H04R19/01Electrostatic transduc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ets
    • H04R19/016Electrostatic transduc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et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transducers or diaphragms therefor
    • H04R31/006Interconnection of transducer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5Acoustic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8Acoustic transduc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789Obtaining plural product pieces from unitary workpiece
    • Y10T29/49798Dividing sequentially from leading end, e.g., by cutting or bre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static, Electromagnetic, Magneto- Strictive, And Variable-Resistance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향센서와, 이음향센서의 제조방법과,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을 대폭적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음향센서와, 이 음향센서의 제조방법과, 이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며, 그 해결방법으로서,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자회로를 피해서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와 관통구멍을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위에 상기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진동막을 장착하는 공정과, 개개의 음향센서로서 분할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향센서 및 이 제조방법 및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
본 발명은, 음향센서와, 이 음향센서의 제조방법과,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에는 소형화가 용이한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이 다용되고 있다. 이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으로서는, 도 10에 표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이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은,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의 내부에 형성된 진동막(7)과, 이 진동막(7)과 대향해서 형성된 일렉트릿막(5)(케이스(1)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음.)과, 상기 진동막(7)과 일렉트릿막에 의해 구성된 콘덴서의 정전(靜電)용량의 변화에 기인한 전압의 변화를 증폭하는 증폭소자(9)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증폭소자(9)는 케이스(1)에 내장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은, 증폭소자와 콘덴서를 구성하는 부분과는 완전히 별체이고, 소형화에는 일정한 한도가 있었다.
특히, 이런 종류의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에는, 임피던스변환을 위한 독립한 FET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소형화는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해서 창안된 것으로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을 대폭적으로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한 음향센서와, 이 음향센서의 제조방법과, 이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음향센서는, 필요한 전자회로가 형성된 반도체칩과, 이 반도체칩의 표면에 형성된 전극층과, 이 전극층의 표면에 형성된 일렉트릿층과, 이 일렉트릿층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진동기를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향센서는, 필요한 전자회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회로를 피해서 관통구멍이 개구된 반도체칩과, 이 반도체칩의 표면에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형성된 전극층과, 이 전극층의 일부와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적층된 일렉트릿막과, 이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진동막을 가지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은,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자회로를 피해서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와 관통구멍을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사이 스페이서의 위에 상기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진동막을 장착하는 공정과, 개개의 음향센서로서 분할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공정은,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의 다음에 행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은, 상기 음향센서와, 이 음향센서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일렉트릿막으로부터 노출된 전극층은, 케이스를 개재해서 상기 전자회로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표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도중의 도면으로서, 동도면(A)는 개략평면도, 동도면(B)는 개략적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표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그 외의 제조방법을 표시한 개략적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의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케이스의 케이스본체의 도면으로서, 동도면(A)는 정면쪽으로부터의 개략적 사시도, 동도면(B)는 저면쪽으로부터의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의 개략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을 표시한 개략적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100)는, 필요한 전자회로로서의 FET회로(111A), 응답게인콘트롤회로(111B), 증폭회로(111C)등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FET회로(111A)등을 피해서 관통구멍(112)이 개구된 반도체칩(110)과, 이 반도체칩(110)에 형성된 FET회로(111A)의 게이트전극(111a)과 상기 관통구멍(112)을 피해서 적층된 일렉트릿막(130)과, 이 일렉트릿막(130)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진동막(140)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음향센서(100)의 구성을 그 제조방법을 따라서 설명한다.
이 음향센서(100)는, 1매의 웨이퍼(500)에 동시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웨이퍼(500)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12)을 개설한다(도 2(A)참조). 이 관통구멍(112)은, 하나의 음향센서(100)의 중앙이 되는 부분에 초음파가공이나 레이저가공에 의해 개설된다. 또한, 이 관통구멍(112)은, 바람직하게는 0.5㎜이하의 직경으로 한다.
또, 개개의 음향센서(100)는, 도 5(G)에 표시한 바와 같이, 폭치수 2㎜, 안길이치수 2㎜, 두께치수 0.3㎜정도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복수개의 관통구멍(112)이 개설된 웨이퍼(500)에 이면쪽으로부터 주지의 사진평판수법을 가지고 필요한 전자회로로서의 FET회로(111A), 응답게인콘트롤회로(111B), 증폭회로(110)등을 형성한다(도 2(A)참조). 이 각 회로(111A∼ 111C)나, 각 회로(111A∼111C)사이를 접속하는 배선(도시생략)은, 상기 관통구멍(112)을 피하도록 해서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도 3(B)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회로(111A∼111C)의 전극인 전원전극 Vcc, 출력전극 OUT, 어드전극 GND 및 게이트전극(111a)은, 하나의 음향센서(100)의 이면쪽의 네귀퉁이에 1개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웨이퍼(500)의 표면에, 상기 관통구멍(112)을 피해서 알루미늄에 의한 전극층(120)을 형성한다(도 2(B)참조). 이 전극층(120)은, 후술하는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600)에 있어서의 케이스(200)를 개재해서 상기 게이트전극(111a)과 접속하는 부분이다. 또, 이 전극층(120)은, 상기 관통구멍(112)을 막지 않도록, 관통구멍(112)을 피해서 형성된다.
상기 전극층(120)의 위에 일렉트릿막(130)을 적층한다(도 2(C)참조). 따라서, 이 일렉트릿막(130)은, 전극층(1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이 일렉트릿막(130)은, 두께 2∼3㎛의 SiO2를 플라즈마 CVD나 고주파마그네트론스퍼터등에 의해 형성한 것이나, FEP용제를 스핀온코트법에 의해 도포해서 얻은 두께가 10㎛이하의 박막 등이 사용된다.
또, 이 일렉트릿막(130)은, 관통구멍(112)을 막지 않도록 관통구멍(112)을 피해서 형성된다. 또, 이 일렉트릿막(130)은, 이면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전극(111a)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귀퉁이부를 피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전극층(120)은, 게이트전극(111a)의 바로 위의 귀퉁이부에서는, 일렉트릿막(130)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상기 일렉트릿막(130)의 위에, 스페이서(150)를 형성한다. 이 스페이서(150)는, 일렉트릿막(130)과 후술하는 진동막(140)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160)을 형성하는 것이라도, 포토레지스트에 의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150)는, 도 3(A)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112)을 중심으로 한 직경 1.5㎜의 원의 안쪽과, 이면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전극(111a)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귀퉁이부를 피해서 형성된다. 따라서, 전극층(120)은, 도 3(A)에 표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전극(111a)의 바로 위의 귀퉁이부에서는, 일렉트릿막(130)뿐만 아니라, 스페이서(150)로 부터도 노출하고 있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형성된 스페이서(150)의 위에는, 진동막(140)이 형성된다. 이 진동막(140)은, 일면쪽에 Ni증착에 의한 전극(141)이 형성된 PPS필름이다. 그리고, 이러한 진동막(140)은, 전극(141)이 표면으로 되도록 스페이서(150)에 장착된다. 따라서, 진동기(140)과 일렉트릿막(130)과의 사이에는, 스페이서 (150)의 두께치수에 상당하는 간격(160)이 형성되게 된다.
또, 웨이퍼(500)가 다이싱(dicing)되어서 개개의 음향센서(100)로 된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형태에 관한 제조방법에서는, 각회로(111A∼111C)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시기에 관통구멍(112)을 개설하고 있으나, 관통구멍(112)을 개설하는 공정은, 일렉트릿막(130)의 위에 스페이서(150)를 적층하는 공정의 다음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한 제조방법을 도 4를 참조하면서 다음에 설명한다.
즉, 먼저, 웨이퍼(500)의 이면쪽으로부터 각회로(111A∼111C)를 형성한다(도 4(A)참조).
다음에, 웨이퍼(500)의 표면의 전체면에, 알루미늄에 의한 전극층(120)을 형성한다(도 4(B)참조). 이 전극층(120)의 위에 일렉트릿막(130)을 적층한다(도 4(C)참조).
상기 일렉트릿막(130)의 위에, 스페이서(1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스페이서(150)는,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개설하는 관통구멍(112)을 중심으로한 직경 1.5㎜의 원의 안쪽과, 이면에 형성된 상기 게이트전극(111a)의 바로 위에 상당하는 귀퉁이부를 피해서 형성된다.
스페이서(150)을 형성한 후에, 하나의 음향센서(100)의 중앙이 되는 부분에 초음파가공이나 레이저가공에 의해 관통구멍(112)이 개설된다.
이후의 공정, 즉 스페이서(150)의 위에의 진동막(140)의 장착이나 웨이퍼(500)의 다이싱 등은 상기한 제조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한 2종류의 실시형태에서는, 진동막(140)은, 일면쪽에 Ni증착에 의한 전극(141)이 형성된 PPS필름을 웨이퍼(500)에 붙이는 것으로한 설명을 행하였다. 그러나,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해서 진동막(140)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방법에서는, 진동막(140)을 붙이기 전에, 개개의 반도체칩(190)으로 분할하는 점이 상기한 것과 상이된다.
먼저, 이 방법에서는, 진동막(140)을 붙이기전, 즉 스페이서(150)를 형성한 시점에서, 다이싱을 행하고 개개의 반도체칩(190)으로 분할한다(도 5(C)참조). 그리고, 다이싱에 의해서 발생한 미세한 다이싱찌꺼기 등을 세정공정으로 씻어낸다.
다음에, 개개의 반도체칩(190)을 스페이서(150)를 상향으로해서 점착필름(300)에 붙이고, 마스크(310)를 개재해서 접착제를 고무걸레(squeezee)(320)로 스페이서(150)에 도포한다(도 5(D)참조). 또, 링형상의 지그(330)에 장착된 막, 즉 표면에 Ni증착에 의한 전극이 형성된 PPS필름(340)을 개개의 반도체칩(190)에 붙인다(도 5(E)참조). 그후, 커터(350)에 의해서 상기 PPS필름(340)을 절단하고(도 5(F)참조), 개개의 반도체칩(190)에 붙여진 진동막(140)으로 한다(도 5(G)참조).
또, 이와 같이 진동막(140)을 붙이기 전에, 개개의 반도체칩(190)으로 분할하는 제조방법이라도, 스페이서(150)를 형성한 후에 관통구멍(112)을 초음파가공이나 레이저가공에 의해 개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음향센서(100)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6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600)은, 상기 음향센서(100)와, 이 음향센서(100)를 수납하는 케이스(2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일렉트릿막(130)으로부터 노출된 전극층(120)은, 케이스(200)를 개재해서 상기 FET회로(111A)의 게이트전극(111a)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112)은, 케이스(200)에 형성된 뒤쪽방(230)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200)는, 케이스본체(210)와, 이 케이스본체(210)에 장착되는 덮개(22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케이스본체(210)는, 평면시(平面視)4각형의 얇은 접시형상의 알루미나패키지로서, 안쪽의 네귀퉁이에는 돌출한 어드단자(211), 출력단자(212), 전원단자(213) 및 게이트단자(214)가 형성되어 있다. 어드단자(211)는 음향센서(100)의 어드전극 GND에, 출력단자(212)는 음향센서(100)의 출력단자 OUT에, 전원단자(213)는 음향센서(100)의 전원전극 Vcc에, 게이트단자(214)는 음향센서(100)의 게이트전극(111a)에 각각 접속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이 케이스본체(210)에 음향센서(100)를 수납하면, 음향센서(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전극(111a), Vcc, OUT, GND를 각 단자(211),(212),(213), (214)의 위에 얹은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음향센서(100)의 저면과 케이스본체(210)의 저면과의 사이에는, 뒤쪽방(230)이 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또, 이 케이스본체(210)의 안쪽에는 도전층(215)이 형성되어있다. 이 도전층(215)은, 음향센서(100)의 전극층(120)과 상기 게이트전극(111a)을 접속하는 부분이고, 게이트단자(214)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전층(215)은, 본딩와이어(216)에 의해서 전극층(120)과 접속된다.
한편, 덮개체(220)의 이면쪽에는, 음향센서(100)의 진동막(140)의 가장자리부에 접속하는 돌출맥(221)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음향센서(100)가 수납된 케이스본체(210)에 이 덮개체(220)를 장착하면, 진동막(140)과 덮개체(220)와의 사이에 공간이 생긴다. 또, 이 덮개체(220)의 중앙에는, 소리구멍(222)이 개설되어있다. 음파는, 이 소리구멍(222)을 개재해서 진동막(140)에 전달되는 것이다.
진동막(140)의 진동에 의해서, 일렉트릿막(130)과 진동막(140)과의 사이의 간격(160)의 용적이 변화한다. 이 용적의 변화는, 일렉트릿막(130)과 진동막(140)의 전극(141)에 의해 구성된 콘덴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로 되고, 결과적으로 전압의 변화에 의해 출력된다.
출력된 전압은 본딩와이어(216), 도전층(215) 및 게이트단자(214)를 개재해서 음향센서(100)의 게이트전극(111a)에 입력되고, 상기 FET회로(111A) 등을 거쳐서 출력전극 OUT로부터 출력된다.
또한, 상기한 음향센서(100)는,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600)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압력센서나 가속도센서로서도 응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상기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에서는, 반도체칩(110)에는, 전자회로인 각 회로(111A∼111C)를 피해서 관통구멍(112)이 개설되어 있었으나, 다음과 같이 관통구멍(112)을 개설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웨이퍼(500)에, 반도체칩(110)을 형성한다. 이어서, 웨이퍼(500)의 표면전체에, 도금이나 증착등에 의해 전극층(120)을 형성한다. 그 위에, 스피너·코트저항가열증착, EB증착, 스퍼터링, CVD등의 주지의 성막방법을 사용해서 SiO2나 FEP등을 직접 성막하므로써, 두께가 2㎛정도의 박막을 형성한다. 이 박막이 일렉트릿막(130)이다. 또 그 위에, 각 반도체칩(110)에 대해서 스페이서(150)를 스크린인쇄에 의해 접착제를 함유한 스크린인쇄제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스페이서(150)는 5∼30㎛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있다. 또 그 위에, 진동막(140)을 접착한다.
진동막(140)의 접착이 종료하면, 웨이퍼(500)를 그 표면의 성형물과 함께 반도체칩(110)에 도 10에 표시한 절단선 L에서(스크린인쇄가 행하여진 중앙부)분리절단한다. 이에 의해, 음향센서(100)가 제조되고, 제조된 음향센선(100)를 세라믹패키지인 케이스(200)내에 수용하므로써, 백일렉트릿방식의 콘덴서마이크로폰이 완성된다.
또한, 도 8에 있어서의 (110a)는 단자부, (800)은 전면그로스, (810)은 소리구멍이다.
이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은, 종래의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과 비교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전자회로를 포함해서 음향센서(100)에 1칩화했으므로, 매우 소형이고, 조립도 간단하다. 또, 음향센서도 웨이퍼를 사용하므로써,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배극(背極)으로서의 전극층(120)의 표면에 직접성막을 행하고 일렉트릿막(130)을 형성하므로, 일렉트릿막(130)에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기계적 응력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렉트릿막(130)의 기계적 응력에 기인하는 성능저하가 회피되고, 그 성능이 향상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이 일렉트릿막을 고분자필름의 용착(溶着)에 의해 형성하는 종래의 콘덴서마이크로폰의 경우에는, 일렉트릿막(130)의 변형을 피하지 못하고, 그 변형에 기인하는 기계적 응력이 성능저하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일렉트릿막(130)의 두께를 2㎛정도 얇게 할 수 있는 점에서도, 마이크로폰의 성능이 향상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진동막과 일렉트릿막에 의해 구성되는 콘덴서부이 출력e는, 식 1에 의해 표시된다. 식 1중의 K는 정수, C1은 진동막과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용량, C2는 일렉트릿막의 용량, △C1은 음압(音壓)이 가해졌을 때의 상기 공간의 용량변화분이다.
e-K·[△C1/(C1+C2)]·Sin(wt+ø) … (1)
일렉트릿막으로서의 고분자필름을 사용하는 종래의 콘덴서마이크로폰의 경우, 공간의 두께(스페이서의 두께)는 30㎛정도이고, 고분자필름의 두께는 12.5∼25㎛이다. 개략적으로 공간의 용량과 고분자필름의 용량을 동등하다고 하면, 그러할 때의 콘덴서부의 출력 e1 은 식 2에 의해 표시된다.
e1≒K·(1/2)·(△C1/C1), Sin(wt+ø) … (2)
한편, 전극층의 표면에 직접성막을 행하고 일렉트릿막을 형성하므로써, 그 두께를 1㎛정도까지 감한 경우에는, C2≒0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그러한 때의 콘덴서부의 출력 e는 식 3에 의해 표시된다.
e2≒K·(△C1/C1)·Sin(wt+ø) … (3)
식 2와 식 3과의 비교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층의 표면에 직접성막을 행하고 일렉트릿막을 박막화하므로써, 2매의 출력을 얻을 수 있고, 감도로서는 6dB향상된다. 즉, 준콘덴서형의 마이크로폰을 얻을 수 있고, 감도가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스페이서(150)에 대해서는, 스크린인쇄에 의해서 형성하므로써, 양산성이 향상된다. 덧붙여서 말하면, 종래의 콘덴서마이크로폰에서는 고분자필름을 펀칭해서 형성한 스페이서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펀칭플래쉬나 삽입매수의 차이가 많이 발생하고, 양산성이 낮았었다. 스페이서(150)의 형성에 스크린인쇄를 사용하므로써, 이들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음향센서는, 필요한 전자회로가 형성된 반도체칩과, 이 반도체칩의 표면에 형성된 전극층과, 이 전극층의 일부를 피해서 적층된 일렉트릿막과, 이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진동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음향센서는, 증폭 등에 필요한 전자회로가 일렉트릿막 등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이것을 이용하면 종래보다 소형이고 또한 다기능화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은,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를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위에 상기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진동막을 장착하는 공정과, 개개의 음향센서로서 분할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음향센서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은,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를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웨이퍼를 다이싱해서 개개의 반도체칩으로 하는 공정과, 개개의 반도체칩을 세정하는 공정과, 세정한 개개의 반도체칩을 스페이서를 위쪽으로해서 배열하는 공정과, 배열된 개개의 반도체칩의 스페이서에 접착체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를 사용해서 진동막으로되는 1매의 막을 개개의 반도체칩의 스페이서에 붙이는 공정과, 상기 막을 절단해서 진동막으로 하는 공정을 가지고 있다.
이 제조방법에 의한 경우에는, 다이싱후의 순수(純水)에 의한 세정에 기인하는 진동막의 파손이나 일렉트릿막의 감쇠 등이 발생하는 일없이, 보다 양호한 음향센서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에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제조방법에서는, 전극층, 일렉트릿막을 형성할 때에 관통구멍을 피할 필요가 없이, 전체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더욱 제조 공정적으로는 간소화된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은, 상기 음향센서와, 이 음향센서를 수납하는 케이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일렉트릿막으로부터 노출된 전극층은, 케이스를 개재해서 상기 전자회로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은,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하므올써, 종래보다 소형이고 또한 다기능화할 수 있다.
또, 필요한 전자회로로서, FET, 앰프회로 및/또는 노이즈캔슬회로를 형성하면, 보다 뛰어난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표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도중의 도면으로서, 동도면(A)는 개략적 평면도, 동도면(B)는 개략적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표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그 외의 제조방법을 표시한 개략적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의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에 사용되는 케이스의 케이스본체의 도면으로서, 동도면(A)는 정면쪽으로부터의 개략적 사시도, 동도면(B)는 저면쪽으로부터의 개략적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의 개략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음향센서의 제조방법을 표시한 개략적 평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10은 종래의 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의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음향센서 110: 반도체칩
112: 관통구멍 120: 전극층
130: 일렉트릿막 140: 진동막
160: 간격

Claims (9)

  1. 필요한 전자회로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전자회로를 피해서 관통구멍이 개설된 반도체칩과, 이 반도체칩의 표면에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형성된 전극층과, 이 전극층의 일부와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적층된 일렉트릿막과, 이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된 진동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FET, 앰프회로 및/또는 노이즈캔슬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
  3.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자회로를 피해서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와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위에 상기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진동막을 장착하는 공정과, 개개의 음향센서로서 분할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4.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를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전자회로를 피해서 웨이퍼, 전극층 및 일렉트릿막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의 위에 상기 일렉트릿막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진동막을 장착하는 공정과, 개개의 음향센서로서 분할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5.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자회로를 피한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와 상기 관통구멍을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웨이퍼를 다이싱해서 개개의 반도체칩으로 하는 공정과, 개개의 반도체칩을 세정하는 공정과, 세정한 개개의 반도체칩을 스페이서를 위쪽으로해서 배열하는 공정과, 배열된 개개의 반도체칩의 스페이서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를 사용해서 진동막이 되는 1매의 막을 개개의 반도체칩의 스페이스에 붙이는 공정과, 상기 막을 절단해서 진동막으로 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6. 웨이퍼에 필요한 전자회로를 형성하는 공정과, 웨이퍼의 표면에 전극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전극층의 일부를 피해서 일렉트릿막을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일렉트릿막의 위에 스페이서를 적층하는 공정과, 상기 전자회로를 피해서 웨이퍼, 전극층 및 일렉트릿막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개설하는 공정과, 웨이퍼를 다이싱해서 개개의 반도체칩으로 하는 공정과, 개개의 반도체칩을 세정하는 공정과, 세정한 개개의 반도체칩을 스페이서를 위쪽으로 해서 배열하는 공정과, 배열된 개개의 반도체칩의 스페이서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접착제를 사용해서 진동막이 되는 1매의 막을 개개의 반도체칩의 스페이서에 붙이는 공정과, 상기 막을 절단해서 진동막으로 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7. 제 2항, 3항, 4항,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회로는, FET, 엠프회로 및/또는 노이즈캔슬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센서의 제조방법.
  8. 제 1항의 음향센서와, 이 음향센서를 수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일렉트릿막으로부터 노출된 전극층은, 케이스를 개재해서 상기 전자회로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세라믹패키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 마이크로폰.
KR10-1998-0035963A 1997-09-03 1998-09-02 음향센서 및 이 제조방법 및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 KR100458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55947 1997-09-03
JP25594797A JPH1188992A (ja) 1997-09-03 1997-09-03 集積型容量性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98-194994 1998-06-24
JP1998-194994 1998-06-24
JP19499498A JP3338376B2 (ja) 1998-06-24 1998-06-24 音響センサ及びこ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音響センサを用いた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ーマイクロホ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428A KR19990029428A (ko) 1999-04-26
KR100458111B1 true KR100458111B1 (ko) 2005-04-06

Family

ID=26508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963A KR100458111B1 (ko) 1997-09-03 1998-09-02 음향센서 및 이 제조방법 및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080442B2 (ko)
KR (1) KR100458111B1 (ko)
DE (1) DE19839978A1 (ko)
TW (1) TW3871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768B2 (ja) * 1999-10-04 2003-12-15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057212B2 (ja) * 2000-02-15 2008-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装置
US8623710B1 (en) 2000-11-28 2014-01-07 Knowles Electronics, Llc Methods of manufacture of bottom port multi-part surface mount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packages
US7166910B2 (en) * 2000-11-28 2007-01-23 Knowles Electronics Llc Miniature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US7092539B2 (en) * 2000-11-28 2006-08-15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MS based acoustic array
US7439616B2 (en) * 2000-11-28 2008-10-21 Knowles Electronics, Llc Miniature silicon condenser microphone
US7434305B2 (en) 2000-11-28 2008-10-14 Knowles Electronic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phone
US6924191B2 (en) * 2002-06-20 2005-08-02 Applied Materials, Inc. Method for fabricating a gate structure of a field effect transistor
DE10238523B4 (de) * 2002-08-22 2014-10-02 Epcos Ag Verkapseltes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P1722596A4 (en) * 2004-03-09 2009-11-11 Panasonic Corp 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DE102004020204A1 (de) * 2004-04-22 2005-11-10 Epcos Ag Verkapseltes elektr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S7608789B2 (en) * 2004-08-12 2009-10-27 Epcos Ag Component arrangement provided with a carrier substrate
JP3966318B2 (ja) * 2004-09-09 2007-08-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EP1638366B1 (en) * 2004-09-20 2015-08-26 Sonion Nederland B.V. A microphone assembly
DE102005008512B4 (de) 2005-02-24 2016-06-23 Epcos Ag Elektrisches Modul mit einem MEMS-Mikrofon
DE102005008511B4 (de) 2005-02-24 2019-09-12 Tdk Corporation MEMS-Mikrofon
DE102005008514B4 (de) * 2005-02-24 2019-05-16 Tdk Corporation Mikrofonmembran und Mikrofon mit der Mikrofonmembran
US20060291674A1 (en) * 2005-06-14 2006-12-28 Merry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king silicon-based miniaturized microphones
DE102005050398A1 (de) * 2005-10-20 2007-04-26 Epcos Ag Gehäuse mit Hohlraum für ein mechanisch empfindliches elektronisches Bau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05053767B4 (de) 2005-11-10 2014-10-30 Epcos Ag MEMS-Mikrofon,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fahren zum Einbau
DE102005053765B4 (de) 2005-11-10 2016-04-14 Epcos Ag MEMS-Pack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4742972B2 (ja) * 2006-04-27 2011-08-10 オムロン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の製造方法
WO2008001824A1 (fr) * 2006-06-29 2008-01-03 Panasonic Corporation puce pour Microphone électrostatique, Microphone électrostatique et procédé pour fabriquer celui-ci
TWI319690B (en) * 2006-09-08 2010-01-11 Ind Tech Res Ins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versed microphone module and microphone chip component
US8295767B2 (en) * 2007-07-30 2012-10-23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microradio
JP4950006B2 (ja) * 2007-11-14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微小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の製造方法
JP5057572B2 (ja) * 2007-11-16 2012-10-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微小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の製造方法
US20090163978A1 (en) * 2007-11-20 2009-06-25 Otologics, Llc Implantable electret microphone
JP5305304B2 (ja) * 2008-04-07 2013-10-02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機械電気変換素子、機械電気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413783B2 (ja) * 2008-12-05 2014-02-12 国立大学法人埼玉大学 維管束植物の健全度評価方法、維管束植物への灌水方法、フィルム状エレクトレットセンサ及びフィルム状ecmアレイ
JP5325554B2 (ja) * 2008-12-05 2013-10-23 船井電機株式会社 音声入力装置
US8855350B2 (en) * 2009-04-28 2014-10-07 Cochlear Limited Patterned implantable electret microphone
US8193597B2 (en) * 2009-11-17 2012-06-05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Acoustic device with low acoustic loss packaging
CN102125760B (zh) * 2010-01-14 2014-04-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游戏鼓
US8232615B2 (en) * 2010-02-23 2012-07-31 Avago Technologies Wireless Ip (Singapore) Pte. Ltd. Packaged device with acoustic transducer and amplifier
WO2011123552A1 (en) 2010-03-30 2011-10-06 Otologics, Llc Low noise electret microphone
KR101108829B1 (ko) * 2010-04-21 2012-02-09 테스트코 주식회사 마이크로폰 모듈
KR101108853B1 (ko) * 2010-04-21 2012-02-09 테스트코 주식회사 마이크로폰 모듈
US9420378B1 (en) 2010-07-12 2016-08-16 Amkor Technology, Inc. Top port MEMS microphone package and method
US8618619B1 (en) 2011-01-28 2013-12-31 Amkor Technology, Inc. Top port with interposer MEMS microphone package and method
US8921955B1 (en) 2011-02-24 2014-12-30 Amkor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 with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 die
US9013011B1 (en) 2011-03-11 2015-04-21 Amkor Technology, Inc. Stacked and staggered die MEMS package and method
US8536663B1 (en) 2011-04-28 2013-09-17 Amkor Technology, Inc. Metal mesh lid MEMS package and method
US9374643B2 (en) 2011-11-04 2016-06-21 Knowles Electronics, Llc Embedded dielectric as a barrier in an acous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EP2781107B1 (en) 2011-11-17 2016-11-23 InvenSense, Inc. Microphone module with sound pipe
EP2840581B1 (en) * 2012-04-17 2017-01-11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Saitama University Electre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static induction-type conversion element
US9078063B2 (en) 2012-08-10 2015-07-07 Knowles Electronics, Llc Microphone assembly with barrier to prevent contaminant infiltration
US8841738B2 (en) 2012-10-01 2014-09-23 Invensense, Inc. MEMS microphone system for harsh environments
DE102013106353B4 (de) * 2013-06-18 2018-06-28 Tdk Corporation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strukturierten Beschichtung auf ein Bauelement
US9729193B2 (en) 2014-11-11 2017-08-08 Ut-Battelle, Llc Wireless sensor platform
CN204993854U (zh) * 2015-06-24 2016-01-20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Mems麦克风
US9794661B2 (en) 2015-08-07 2017-10-17 Knowles Electronics, Llc Ingress protection for reducing particle infiltration into acoustic chamber of a MEMS microphone package
US10291199B2 (en) 2015-09-04 2019-05-14 Ut-Battelle, Llc Direct write sensors
JP2019041359A (ja) * 2017-08-29 2019-03-14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ーカ装置
IL296668A (en) * 2022-09-20 2024-04-01 Pulsenmore Ltd Automatic device and process for stacking and gluing acoustic stacking components of an ultrasound transmit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400A (en) * 1979-09-21 1981-04-27 Toshiba Corp Capacitor type microphone
JPS58209300A (ja) * 1982-05-29 1983-12-06 Toshiba Corp トランスジユ−サ
KR840005006A (ko) * 1982-05-29 1984-10-31 사바 쇼오이찌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작방법
US4524247A (en) * 1983-07-07 1985-06-18 At&T Bell Laboratories Integrated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built-in bias
US4910840A (en) * 1987-10-30 1990-03-27 Microtel, B.V. Electroacoustic transducer of the so-called "electret" type, and a method of making such a transducer
US4922471A (en) * 1988-03-05 1990-05-01 Sennheiser Electronic Kg Capacitive sound transduc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8621A (en) 1978-01-23 1979-12-11 Motorola, Inc. Electromechanical pressure transducer
FR2417993A1 (fr) * 1978-02-23 1979-09-21 Cillieres Jacques Dispositif de liaison entre au moins deux personnes, en particulier pour ski de fond ou de randonnee
JPS55102295A (en) 1979-01-31 1980-08-05 Nippon Kokuen Kogyo Kk Method of continuously fabricating flexible copper insulated substrate
US4302633A (en) * 1980-03-28 1981-11-24 Hosiden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plate electret of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4443666A (en) 1980-11-24 1984-04-17 Gentex Corporation Electret microphone assembly
JPS57148500A (en) 1981-03-10 1982-09-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ostatic acoustic converter
JPS5969600A (ja) 1982-10-15 1984-04-19 Hitachi Ltd 自動復帰形放圧装置
US4764244A (en) * 1985-06-11 1988-08-16 The Foxboro Company Resonant senso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S63208735A (ja) * 1987-02-24 1988-08-30 Sharp Corp 静電容量型圧力センサの製造方法
US4993072A (en) 1989-02-24 1991-02-12 Lectret S.A. Shielded electret transduc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639159B2 (ja) * 1989-04-14 1997-08-06 富士電機株式会社 静電容量式差圧検出器
US5101543A (en) * 1990-07-02 1992-04-07 Gentex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variable capacitor microphone
US5208789A (en) 1992-04-13 1993-05-04 Lectret S. A. Condenser microphones based on silicon with humidity resistant surface treatment
DE4329993A1 (de) 1993-09-04 1995-03-09 Sennheiser Electronic Elektro-akustischer kapazitiver Wandler, insbesondere Elektret-Kondensator-Mikrofon
US5570428A (en) * 1994-09-27 1996-10-29 Tibbetts Industries, Inc. Transducer assembly
US5854846A (en) * 1996-09-06 1998-12-29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Wafer fabricated electroacoustic transduc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400A (en) * 1979-09-21 1981-04-27 Toshiba Corp Capacitor type microphone
JPS58209300A (ja) * 1982-05-29 1983-12-06 Toshiba Corp トランスジユ−サ
KR840005006A (ko) * 1982-05-29 1984-10-31 사바 쇼오이찌 전기음향 변환기 및 그 제작방법
US4524247A (en) * 1983-07-07 1985-06-18 At&T Bell Laboratories Integrated electroacoustic transducer with built-in bias
US4910840A (en) * 1987-10-30 1990-03-27 Microtel, B.V. Electroacoustic transducer of the so-called "electret" type, and a method of making such a transducer
US4922471A (en) * 1988-03-05 1990-05-01 Sennheiser Electronic Kg Capacitive sound transdu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80442B2 (en) 2006-07-25
US7204009B2 (en) 2007-04-17
DE19839978A1 (de) 1999-03-18
US20050251995A1 (en) 2005-11-17
KR19990029428A (ko) 1999-04-26
TW387198B (en) 2000-04-11
US20030035558A1 (en) 200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8111B1 (ko) 음향센서 및 이 제조방법 및 상기 음향센서를 사용한 반도체일렉트릿콘덴서마이크로폰
US4993072A (en) Shielded electret transduc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0931575B1 (ko) Mems를 이용한 압전 소자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방법
KR101609270B1 (ko) 압전형 마이크로 스피커 및 그 제조 방법
JPH1188992A (ja) 集積型容量性変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981913B2 (ja) Memsマイクロフォンを有する素子、及び前記素子の製造方法
US20070284682A1 (en) Mems process and device
US20080219482A1 (en) Condenser microphone
JP2002345088A (ja) 圧力感応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TW201034476A (en) Microphone unit
JP2001069596A (ja) 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H11331988A (ja) 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ーマイクロホン
JP3338376B2 (ja) 音響センサ及びこ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音響センサを用いた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ーマイクロホン
JP2000050393A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1054196A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3472502B2 (ja) 半導体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4476055B2 (ja) 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とその製造方法
JP3377957B2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US6804363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940679B2 (ja) 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JP2000165998A (ja) 一体型複合エレクトレットコンデンサマイクロフォン
JP2961392B2 (ja) マイクロホン等における振動膜ユニットの製造方法
GB2582387A (en) Packaging for a MEMS transducer
KR100409273B1 (ko) 칩 마이크로폰
CN215682631U (zh) Mems麦克风及其封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104

Effective date: 200409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