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5772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5772B1
KR100455772B1 KR10-2002-0034284A KR20020034284A KR100455772B1 KR 100455772 B1 KR100455772 B1 KR 100455772B1 KR 20020034284 A KR20020034284 A KR 20020034284A KR 100455772 B1 KR100455772 B1 KR 100455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
short message
message
respons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7116A (ko
Inventor
선필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5772B1/ko
Publication of KR20030097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5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57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여 호 신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동응답 단문 메시지를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번호로 전송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응답 불가 상태를 발신자에게 안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응답 시 송출될 자동응답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자동응답 메시지 설정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동응답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 전환하며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정보를 검출하는 발신정보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발신자에게 설정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발신자가 일일이 음성메시지를 남기거나 확인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도 단문 메시지를 통해 편리하게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단말기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해제 시에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상태에서 발신한 발신자들에게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응답 가능 상태를 알림으로써 발신자가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 상태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Method of responding auto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여 호 신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동응답 단문 메시지를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번호로 전송하여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응답 불가 상태를 발신자에게 안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한 음성 호출 서비스를 기본으로 하는 정보 전달을 위한 대표적인 통신 기기로서, 현대 생활에서 없어서는 아니될 중요한 통신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들은 단말기를 사용하면서 극장, 사무실 또는 회의실과 같은 정숙을 요하는 공공 장소에서 단말기 사용으로 인한 피해를 제 3자에게 주지 않기 위해 단말기 전원을 꺼두는 경우를 경험하게 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가 사용자가 단말기 전원을 끈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의 전원 오프를 인지하고 통화를 원하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호출이 요구되면 즉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음성 사서함에 설정된 안내 멘트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 전원이 꺼진 상태를 발신자에게 알린다. 그러면 발신자는 음성 사서함에 메시지 또는 호출 번호를 남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음성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기는 것을 꺼리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전화를 그냥 끊을 수 있고, 긴급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발신자가 긴급한 메시지를 남긴다 할지라도 단말기 사용자가 다시 단말기 전원을 켜 메시지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이를 긴급한 메시지 내용을 알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발신자의 통화 요구에 응답하지 못하는 경우에 단말기 자체에 사용자가 지금 통화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이므로 발신자로 하여금 메시지를 남기도록 하는 자동응답 방법이 있다.
이 자동응답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자동응답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 전환한 후에 호 신호가 수신되면(S1) 설정된 음성호 자동착신 기능에 따라 호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송출해 착/발신 단말기간에 통신회선을 설정하고(S2),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안내 멘트를 출력하며 발신자로부터 메시지 녹음이 요구되면 발신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 메시지를 저장하는 자동응답모드를 실행한다(S3).
이와 같은 자동응답 방법을 사용할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발신자의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메모리를 구비해야하며, 발신자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안내 멘트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착신 단말기와 발신 단말기간에 통신회선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과정이 수행되어 무선 자원의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말기 사용 기능은 호 신호 착신 시 착신 알림음을 출력하지 않고 발신자와 통화 링크를 설정하여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안내 멘트를 발신자에게 송출하는 것인데, 발신자는 자신의 호출에 대한 응답으로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녹음된 안내 멘트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통화 링크 연결에 따른 일정 통화 요금을 부담해야 했었다.
또한, 안내 멘트를 통해 단말기 사용자의 상황을 확인한 발신자는 단말기 사용자가 통화 가능한 시간에 대한 언급이 없는 한 언제쯤 통화 가능한지를 알 수 없어 반복적으로 통화 연결을 시도해야하기 때문에, 이러한 자동응답 기능은 종래의 불편함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말기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 전환하여 호 신호가 착신되면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발신자에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자가 착신응답이 불가능한 상태를 단문 메시지를 통해 발신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해제 선택에 따른 모드 전환 시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상태에서 검출된 호 신호들의 발신정보를 통해 발신자들에게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응답 가능 상태를 안내 메시지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착신응답이 가능한 상태임을 발신자들에게 동시에 자동으로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응답 시 송출될 자동응답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자동응답 메시지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문메시지 자동응답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호 신호 착신시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된 발신정보를 검출하는 발신정보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를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호 신호 착신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단계와;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 후 상기 발신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모드 설정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발신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의 해제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드 해제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제어부 102 : 무선주파 송/수신부
103 : 키 입력부 104 : 음성신호 처리부
105 : 표시부 106 : 메모리부
107 : 안테나 108 : 마이크로 폰
109 : 스피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며, 여기서제어부(101)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하며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메시지를 입력받아 자동응답 메시지로 설정하고 착신되는 호 신호의 착신정보를 검출하여 발신자에게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한다.
또한,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는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 해제버튼 선택에 의한 모드 해제 시 모드 설정상태에서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각 발신자들에게 사용자 단말기의 발신모드 해제에 관한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제어부(101)에 의해 설정된다.
무선 주파 송/수신부(102)는 제어부(101)의 동작 제어에 따라 안테나(107)를 통한 기지국과의 무선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한 디지털 신호와 무선 주파신호로의 신호 변/복조를 수행한다.
키 입력부(103)는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 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에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시켜 제어부(101)로 전송한다.
음성신호 처리부(104)는 마이크로 폰(108)으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제어부(101)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변환 및 제어부(10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신호를 스피커(109)로 출력하기 위해 아날로그 변환하는 등의 음성신호 변/복조를 수행한다.
표시부(105)는 제어부(101)에 의해 동작 제어되며 단말기 동작 운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 및 키 입력부(103)로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가시상태로 표시하여 단말기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메모리부(106)는 제어부(101)의 동작 제어에 따라 단말기 동작 운용과정에서 발생되는 정보신호 및 키 입력부(103)를 통해 입력되는 키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에서 제어부(101)에 의해 검출되는 착신정보를 저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해 착신되는 호 신호에 자동응답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자동응답 시 송출될 자동응답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자동응답 메시지 설정단계와; 상기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자동응답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 전환하며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정보를 검출하는 발신정보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발신자에게 설정된 자동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 전송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가 해제되면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모드 설정시간동안 착신된 호 신호의 발신자들에게 사용자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 해제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드해제 메시지 전송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착신응답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착신응답을 위한 응답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에 착신응답 메시지로 설정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모드 전환되고(S11),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안테나(107)를 통해 착신되는 호 신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12).
판별결과 호 신호가 검출되면 착신음을 송출하지 않고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정보를 검출하고(S13), 판별결과 호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호 신호 검출 여부 판별루틴으로 리턴한다.
착신되는 호 신호의 발신정보를 검출한 단말기의 제어부(101)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착신응답 메시지를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발신자에게 전송하고(S14), 검출된 발신정보를 메모리부(106)에 저장한다(S15).
단말기의 제어부(101)에서는 착신응답 메시지 전송 후에 사용자에 의한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해제버튼 선택 여부를 판별한다(S16).
판별결과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해제버튼이 선택되면 메모리부(106)에 저장된 발신정보들을 검출하여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해제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각각의 발신자에게 전송하고(S17),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해제버튼이 선택되지 않으면 호 신호 수신여부 판별루틴으로 리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착신되는 호 신호에 응답하지 못하는 착신 불가능 상태를 단문 메시지를 통해 응답하는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를 설정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와 발신자가 일일이 음성메시지를 남기거나 확인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도 단문 메시지를 통해 편리하게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의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해제 시에는 단문 메시지를 통해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모드 상태에서 발신한 발신자들에게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응답 가능 상태를 알림으로써 발신자가 단말기 사용자의 착신 상태에 보다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Claims (3)

  1.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이 가능한 사용자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동응답모드시 발신자 단말기에 송출될 자동응답 메시지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설정하는 자동응답 메시지 설정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단문메시지 자동응답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모드를 전환시키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호 신호 착신시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된 발신정보를 검출하는 발신정보 검출단계와;
    상기 검출된 발신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정된 상기 자동응답 메시지를 발신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호 신호 착신을 알리는 메시지 전송단계와;
    상기 메시지 전송 단계 후 상기 발신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모드 설정 상태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발신정보를 통해 상기 발신자 단말기에 상기 단문 메시지 자동응답 모드의 해제를 알리는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모드 해제 메시지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2-0034284A 2002-06-19 2002-06-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100455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84A KR100455772B1 (ko) 2002-06-19 2002-06-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284A KR100455772B1 (ko) 2002-06-19 2002-06-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16A KR20030097116A (ko) 2003-12-31
KR100455772B1 true KR100455772B1 (ko) 2004-11-06

Family

ID=3238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284A KR100455772B1 (ko) 2002-06-19 2002-06-19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57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438B1 (ko) * 2004-05-01 2006-06-14 인포뱅크 주식회사 Sms 자동 응답 서비스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09A (ko) * 2000-08-16 2002-02-25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09A (ko) * 2000-08-16 2002-02-25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송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16A (ko) 2003-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7795B1 (en) Cellular phone with special standby feature
RU214072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избирательного приема телефонных вызовов без установления речевого обмена
US200500473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caller information from a source to a destination
US5740540A (en) Method for telephone number notification and storage in a portable radio
US69997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notification of reception limitation status of mobile telephone
GB2298552A (en) Cordless radio telephone system with a plurality of portable units
KR100575765B1 (ko) 푸시투토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응답 제어방법
KR10045577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자동응답방법
KR10048292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및 방법
KR1005662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
KR100736562B1 (ko) 통화중 알림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KR20030069731A (ko)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유선 전화 단말기에서 부재중수신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송신하는 방법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100320303B1 (ko) 셀룰라폰의발신자메세지저장방법
KR100576004B1 (ko) 자동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동통신단말기
KR1004002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응답신호를 이용한 통화 연결정보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KR2002000748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호 착신 중 자동 응답 방법
KR20000075219A (ko) 단말기에서의 안내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289651Y1 (ko) 휴대용 단말기의 통화거부 알림장치
KR2005010502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수신 거부 방법
KR100518175B1 (ko) 음성메시지 선택 송수신기능이 구비된 통신단말기시스템및 그 제어방법
JP3427976B2 (ja) 通信端末装置
KR20000046048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사서함 서비스에서 메시지수신 통보 및 자동호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