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944B1 - 항법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944B1
KR100454944B1 KR10-2001-0024171A KR20010024171A KR100454944B1 KR 100454944 B1 KR100454944 B1 KR 100454944B1 KR 20010024171 A KR20010024171 A KR 20010024171A KR 100454944 B1 KR100454944 B1 KR 100454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avigation
portable terminal
navigation equipment
navig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4999A (ko
Inventor
최용익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944B1/ko
Priority to US10/139,212 priority patent/US6747597B2/en
Priority to CNB021246718A priority patent/CN1261741C/zh
Publication of KR2002008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08G1/09681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where the route is computed offbo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72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instructions are given per voi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7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 G08G1/09688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input to the navigation device is provided by a suitable I/O arrangement where input information is obtained using a mobile device, e.g. a mobile phone, a PD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18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 G01S5/0027Transmission from mobile station to base station of actual mobile position, i.e. position determined on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휴대전화 등과 같이 간단한 디스플레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를 갖춘 모든 단말기에 항법장비를 연결하였을 때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여 디스플레이의 중복을 없애는 동시에 항법장비의 제작비를 줄인다. 특히, 제작비를 줄이기 위하여 낮은 성능(performance)의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도록 길 안내 정보의 생성은 별도의 센터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생성된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받거나 휴대용 단말기 자체에서 생성하여 항법장비에서 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프로토콜을 구현한다.

Description

항법 시스템{NAVIGA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항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를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항법장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용 항법장비는 독립형이거나 PDA 등과 같은 다른 단말기에 완전히 종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동전화기, PDA, 그리고 기타 휴대용 단말기 등이 각광을 받으며 널리 사용되면서 독립형 차량용 항법장비의 접합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여러 가지 다른 단말기와 차량용 항법장비를 연결하는 데 있어서 디스플레이와 같이 여러 주변 장치들이 중복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장치들의 중복은 사용자들의 구매에 부담을 줄 수 있고 설치 장소의 부족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독립형(stand-alone)이 아니고 다른 단말기에 접속되는 부가단말기로서의 차량용 항법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길 안내 전체정보와 여러 가지 센서 정보들을 이용하여 길 안내 시점을 파악하고, 해당 경로 안내 정보를 발생하는 항법 장비와, 상기 항법장비에 길 안내 전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항법장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항법 장비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항법장비의 구체적인 구성을 핸드폰과 함께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에서 풀(full) 기능 항법장비를 구현하기 위해 항법장비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세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 ∼ 도 17은 도 1의 항법장비와 핸드폰과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규약 중 안내 알림(A) 정보와 안내 알림(B) 정보가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항법장비 200이 부가단말기로서 연결된 핸드폰 100은 무선망 300을 통해 정보센터 40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망 300은 IMT-2000 무선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제)정보센터 400은 차량 항법에 필요한 경로 계산, 지도데이터베이스, 교통정보 등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핸드폰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PDA 등과 같은 기존의 단말기도 해당됨은 물론이다. 상기 기존의 단말기는 외부 프로세서 역할을 하여 항법장비의 성능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통신망과의 접속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부가단말기로서의 항법장비는 상기 기존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길 안내 정보등을 받아 적당한 안내 시점에 사용자에게 길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차량 항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1의 항법장비 200은 모니터 외부 의존형이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세트 250을 더 구비함으로써 풀(full) 기능 항법장비를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항법장비의 구체적인 구성을 핸드폰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항법장비를 핸즈프리킷 겸용으로 구현한 경우이다.
프로세서 216은 16비트 마이컴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위치데이터를 계산하고, 휴대폰 통신을 제어하며, 핸즈프리부를 제어하고, 휴대폰 충전을 제어하며, 비상 상황을 처리한다.
자이로(GYRO) 센서 212, 가속도 센서 213,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센서 214 등의 정보는 휴대용 단말기 1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된다. 또한 상기 센서들 212, 213, 214의 보정을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 100에서 정보를 전송한다.
도 4는 도 2에서 풀 기능 항법장비를 구현하기 위해 항법장비에 연결되는 모니터링 세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중앙처리장치 513은 수신데이터, 그래픽, 항법프로그램, 지도데이터 등의 처리를 하고 웹 브라우저를 탑재한다. 제1∼제4메모리 511, 515, 516, 517로는디램(DRAM), 부트롬(Boot ROM), 에스디램(SDRAM), 에스램(SRAM)을 사용할 수 있다. 지도/프로그램 메모리는 노어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UART 1을 통해서는 GPS, 자이로, SP데이터를 송수신할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간 통신이 이루어진다. UART 2를 통해서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이 이루어진다.
스위치 SW는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모니터 세트 500의 UART 1 혹은 UART 2가 상기 프로세서 216과 연결되도록 스위칭된다.
착탈감지부 220은 상기 항법 장비200에 상기 모니터 세트 500이 착탈되는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모니터 세트 500의 UART 1, UART 2와 상기 프로세서 216과의 연결 여부를 제어한다.
도 5 ∼ 도 17은 도 1의 항법장비와 핸드폰과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다음 표는 상기 도 5 ∼ 도 17에 나타낸 여러 가지 명령(command)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명령 설명
SC_ACK/NAK 응답(acknowledge)
SC_REQPOSINFO 위치 정보 요청
SC_POSINFO 위치 정보
SC_REQGPSINFO GPS 정보 요청
SC_GPSDATETIME GPS 데이터내의 일/시 정보
SC_GPSINFO GPS 정보
SC_REQDIFFVAL 센서 보정 정보 요청
SC_DIFFVAL 센서 보정 정보
SC_MMFEEDBACK 센서 보정을 위한 부가정보 전송
SC_DIFFSPEED 스피드 관련 센서 보정 정보
SC_DIFFGYRO 자이로 센서 보정 정보
SC_REQCARSTATUS 차량 상태 정보 요청
SC_CARSTATUS 차량 상태 정보
SC_VOICEINFO 음성안내 정보 부명령(sub-command)으로 재생, 안내중인 음성 리셋, 중지 등을 갖는다)
SC_DGPSINFO DGPS 정보
SC_GUIDECTRL 안내를 중지시키거나 기타 안내 정보를 요구한다. 길 안내 전체 정보의 요약 정보를 요청한다.
SC_GUIDEINFORMA 교차로 이름등 발생 횟수가 적은 안내 정보와 길 안내 전체정보의 요약 정보를 요청한다.
SC_GUIDEINFORMB 발생횟수가 많은 안내정보를 전송한다.
SC_GUIDESTS 안내 상태 정보
SC_EMERGENCY 응급정보
SC_CALLOP 오퍼레이터 호출
도 5는 위치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사용자 혹은 정보센터가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을 요청하면 핸드폰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항법장비로 위치데이터를 요청하는 명령(SC_REQPOSINFO)을 보낸다. 이를 받은 항법장비는 정상적으로 명령을 수신했다는 응답(SC_ACK)을 핸드폰으로 보내준다. 또한 프로세서 216은 주기적으로 GPS 엔진 214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중 최신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데이터(SC_POSINFO)를 핸드폰으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위치데이터 요청 명령(SC_REQPOSINFO)에 지속 송신 플래그(flag)가 설정되어 있으면 주기적으로 위치데이터(SC_POSINFO)를 핸드폰으로 보내게 된다.
도 6은 위치데이터 패킷의 다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위치데이터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옮기거나 목적지 등을 설정하고자 할 때, 핸드폰이 임의의 위치를 항법장비에 설정하고자 할 때 이용한다. 핸드폰은 위치데이터(SC_POSINFO)를 항법장비로 보내고, 항법장비는 이를 수신한 후 응답(SC_ACK)를 보낸다. 상기 수신한 데이터는 항법장비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하게 된다.
도 7은 GPS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GPS정보의 경우 부가단말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패킷 전송 이루어진다. GPS 정보 요청시 GPS시간, GPS정보를 별개로 지속송신 여부를 세트할 수 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인 GPS정보 요청시,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1회만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은 GPS 패킷의 다른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GPS 정보 요청시 GPS시간, GPS 정보가 각각 지속송신으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 종료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하여 기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별개로 종료 요청을 할 수 있다.
도 9는 센서 오차 조정값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의 센서 오차 조정값 입력이 있는 경우에 각각 1회 패킷 전송이 이루어진다. 사양에 따라 어디에서든 요청, 보정할 수 있다. 핸드폰이 현재 항법장비에 설정되어 있는 보정값을 읽기 위해서는 센서 보정값 요구 명령(SC_REQDIFFVAL)을 전송하고, 항법장비는 현재 설정되어 저장되어 있는 보정값을 센서 보정값 알림 명령(SC_DIFFVAL)을 통하여 핸드폰으로 전송한다.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설정된 항법장비의 값을 읽은 이후에 이 값을 조정하면 핸드폰은 속도 오차 및 자이로 오차 조정값을 각각 속도 오차 조정 명령(SC_DIFFSPEED) 및 자이로 오차 조정 명령(SC_DIFFGYRO)를 통하여 항법장비로 전송한다. 항법장비는 이를 정상적으로 수신했다는 응답(SC_ACK)을 핸드폰으로 전송한 이후 각각의 오차 조정값을 항법장비에 저장한다. 이후 각 센서들은 저장된 오차 조정값을 고려하고 센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가속도 및 각도 변화량을 계산하게 된다.
도 10은 차량 상태 요청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차량 상태는 항법장비 200 혹은 모니터 세트 250이 차량의 여러 신호와 연결이 되는 경우 얻어낼 수 있다. 이는 응용의 실시 예로 볼 수 있으며, 차량상태는 후진 기어 상태, 주차상태, 주차 여부 등의 차량 신호를 포함할 수 있고 충돌 감지 및 에어백 작동 여부 확인 등도 포함 가능하다. 단, 현재 도 3이나 도 4에는 이러한 연결은 생략되어 있다. 여기에서 후진 기어 상태, 주차 상태, 주차 여부 등을 알려야 하는 필요성은 맵 매칭(map matching), 센서 보정, 그리고 조명 제어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맵이 있는 GPS 전용(only) 시스템에서도 후진시 차량 방향을 바꾸는 오류를 범하지 않을 수 있다. 기존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차량 상태 요청이 있는 경우 1회 패킷 전송 이루어진다.
도 11은 음성안내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법장비가 기존 단말기(핸드폰)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를 받아 음성 발성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패킷이다. 기존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은, 네비게이션과 관련되는 음성 발성의 필요가 생겼을 때, 해당 음성 데이터 코드를 음성안내 명령(SC_VOICEINFO)을 통하여 항법장비로 전송한다. 이때 항법장비는 상기 음성 데이터 코드를 수신했다는 것을 응답(SC_ACK)을 통하여 기존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알려주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 코드가 음성안내부 219를 통하여 가청 상태로 출력되게 한다. 핸드폰이 항법장비로 전달하는 음성 데이터 코드는 경로 이탈 안내, 질의, 서비스 가입이나 접속 여부에 관련한 메시지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를 다시 하겠습니다.", "서비스 가입을 해주십시오.", 또는 "센터 접속에 실패하였습니다." 등과 같은 내용의 음성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DGPS 데이터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서 현재지 설정 등을 위하여 정보센터로부터 수신한 DGPS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3은 기존의 단말기에서 항법장비로 이루어지는 항법제어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에서 항법제어하는 명령이다. 상기 그 제어 내용은 안내음성 크기 조절, 안내 제어(시작, 멈춤, 정지 등), 안내음성 재발성 등이다. 예를 들어, 현재 수행중인 경로 안내를 사용자가 중지시키고자 하면 핸드폰이 안내제어 명령(SC_GUIDECTRL)에 안내를 멈추겠다는 코드를 포함시켜 항법장비에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항법장비는 응답(SC_ACK)을 핸드폰에 전송하고 경로 안내를 중단한다.
도 14는 항법장비에서 기존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안내 알림(A)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법장비가 경로를 안내하는 도중에 유도점이 바뀌거나 교차로명 등이 바뀌는 경우에 안내정보 명령(SC_GUIDEINFORMA)을 통하여 기존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안내정보(교차로 및 회전정보, 이탈정보)를 전송한다. 기존 단말기가 항법장비로 접속시 매 1회(안내 여부에 무관함.) 전송한다. 본 패킷은 다른 패킷에 비하여 크기가 큰 데이터들로 이루어지며, 유도점을 지나기 전까지는 계속 유효한 데이터들로 이루어져 있다.
도 15는 항법장비에서 기존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안내 알림(B)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에 안내 정보(주행시간/거리 등)를 전송한다. 기존 단말기 접속시 및 안내 알림(A)의 SC_ACK마다 매 1회(안내 여부에 무관) 전송한다. 도착 예상 시간 및 목적지(교차로)까지의 거리가 변경될 때 마다 전송한다. 무응답일 경우도 있다.
도 16은 항법장비에서 기존 단말기(핸드폰 등)로 이루어지는 항법상태알림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법 안내 모드 알림은 기존의 단말기 접속시 1회 전송하며, 내용 변경시 각 1회 전송한다. 항법 안내 상태는 다음 표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태(status) 코멘트(comment)
대기(idle) 안내중이 아닌 상태
안내(guide) 안내중, 이탈, 시작점 안내 등의 안내 상태
실제 항법은 단말에서 이루어지며 사용자 표시{지도 및 턴-바이-턴(turn-by-turn) 표시}는 기존 단말기(핸드폰)에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기존 단말기가 항법 도중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항법장비의 여러 상태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태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대기 상태와 안내 상태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대기 상태란 경로 안내를 잠시 중단한 상태이고 안내 상태란 그 외 경로 안내 상태를 나타내며 그 상세 내용으로 정상 안내, 경로 이탈 상태, 경로 시작점 안내 등을 부가 정보로 가질 수 있다.
도 17은 항법장비에서 기존의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비상알림 패킷의 전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항법장비에서 비상 상황시 전송되는 명령이다. 이때는 위치데이터도 통합 전송된다. 사용자가 스스로 비상 상태를 인지하고 핸즈프리킷의 키를 눌러 작동하는 경우와 자동으로 감지된 비상 상태에 대하여 작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비상 상황은 충돌 감지, 즉 가속센서로 충돌을 추정하거나 차량의 에어백 신호를 통하여 충돌을 감지한 경우 및 롤-오버 센서(roll-over sensor)를 통하여 차량의 뒤집힘을 감지한 경우를 포함하여 각종 센서가 추가되면 다양한 비상사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하 통신 규약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위치데이터 관련
(1) 위치데이터 패킷 구성
- 명령: SC_POSINFO
- 경위도, 방향각, 속도 혹은 전자지도 지역구분 코드
- 상태: 위치 정보 관련한 상태 정보{수신 상태, DOP(Dilution of Precision) 위성들의 상대적인 기하학의 위치 결정의 오차를 나타내는 무차원의 수 등)
(2) 위치데이터 요청 패킷 구성
- 명령: SC_REQPOSINFO
- 정보 요청 및 정보 요청 취소
- 요청 횟수 정보 (1회, 연속)
2. GPS 데이터 관련
(1) GPS 정보 요청 패킷
- 명령: SC_REQGPSINFO
- 정보 요청 및 정보 요청 취소
- 요청 횟수 정보 (1회, 연속)
(2) GPS시간정보 전송 패킷
- 명령: SC_GPSDATETIME
(3) GPS 위성 정보 전송 패킷
- 명령: SC_GPSINFO
- 위성 고도 정보, 위성 상태 정보
(4) dGPS 정보 송신
- 명령: SC_DGPSDATA
- 데이터: DGPS 데이터{RTCM 포맷: DGPS의 표준을 권장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Radio Technical Commission for Maritime Service의 특별위원회(RTCM SC-104)에서 정한 포맷으로서 기준(reference) GPS 정보와 같은 위성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다.}
3. 센서(스피드/회전각) 오차 조정
(1) 스피드 센서 오차 조정 값
- 명령: SC_DIFFSPEED
항법장비의 스피드 센서 오차 조정 데이터 값 설정
기존의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체크한 센서에 대한 오차 조정 값을 설정
- 보정값
(2) 회전각 센서 오차 조정 값
- 명령: SC_DIFFGYRO
항법장비의 회전각 센서 오차 조정 데이터 값 설정
- 보정값
(3) 센서 오차 보정 값 요청
- 명령: SC_REQDIFFVAL
- 센서 구분 (속도, 자이로)
(4) 센서 오차 보정 값 응답 (일괄 응답시)
- 명령: SC_DIFFGYRO
- 속도 센서 오차, 자이로 센서 오차
(5) 센서 보정을 위한 부가 정보
- 명령: SC_MMFEEDBACK
- 위치값: 경위도
- 방향 데이터
4. 차량 상태 제공 패킷
(1) 차량 상태(GPS/속도 정보/자이로/사이드 브레이크)
- 명령: SC_CARSTATUS
- 각종 센서의 유무, 조명(illumination), 후진 기억 등 차량 상태기존 단말기(일반 휴대폰)와 달리, 모니터가 포함된 단말기{예: PDA(Personal Data Assistant), TV 모니터, 자체적으로 네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폰 등}는 모든 어플리케이션과 맵 등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항법장비가 센서 정보와 차량 정보를 상기 모니터 포함 단말기로 보내어 주면 상기 모니터 포함 단말기는 이를 활용하여 맵 매칭(map matching) 및 조명 조정 등에 이용할 수 있다.(2) 차량상태 요청
- 명령: SC_REQCARSTATUS
이하 시스템 제어를 위한 통신 규약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시스템 제어 통신 규약이란 일반적인 요청 및 응답 제어를 포함하여 항법장비의 상태 및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규약으로 음성 발성이 불가능한 기존 단말기에서 항법장비를 이용하여 음성 발성을 하거나 기존 단말기의 사용자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하여 안내를 강제로 종료하는 등의 요청을 항법장비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1. 응답 패킷
(1) 응답: 요청에 대한 응답
패킷이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을 경우 ACK 응답을 한다.
- 명령: SC_ACK
- 파라미터: ACK/NACK
2. 음성 패킷
- 명령: SC_VOICEINFO
- 부명령 (재생/리셋/정지/버젼/뮤트/볼륨제어 등)
- 재생시 추가 파라미터들
1) 카운트: 명령/구(phrase) 반복 카운트로서 최대 255개까지 설정 가능
2) 구: 1바이트 음성 녹음 인덱스 혹은 기타 대응 가능한 코드, TTS 스트링 등
3. 안내 제어
(1) 안내 제어
- 명령: SC_GUIDECTRL
(1)-1. Request GUIDEINFORMA
; 주요 안내 정보 요청
- Sub-명령: SC_REQGIA
(1)-2. Request guide list
; 전체 길 안내 정보의 요약 정보 요청
- Sub-명령 : SC_REQGLIST
(1)-3. Guide status control (start, pause, stop)
; 항법장비의 각 status를 변경
- Sub-명령 : SC_CTRLSTAT
- 안내 중지, 현재 위치 안내 음성 발성 등의 제어
(2) 안내 알림(A)
: 보급형 guide시 필요한 교차로 정보를 제공
- 명령: SC_GUIDEINFORMA
(2)-1. 길 안내 정보의 요약 정보 전송
- Sub-명령: SC_GUIDELIST
- 목적지까지 거리, 고속도로 유무, 목적지 방향, 고속도로 진출입 정보 등의 요약정보
(2)-2. 교차로 정보 전송 (자주 발생하지 않는 정보 전송)
- Sub-명령: SC_GUIDEMNV
- 회전 방향 ICON ID
- 회전지점 교차로 명
- 회전지점까지의 남은 거리
- 도착 예상 시간
- 목적지까지의 남은 거리
(3) 안내 알림(B) (자주 발생하는 정보 전송)
- 명령: SC_GUIDEINFORMB
- 회전 지점까지의 남은 거리
- 도착 예상 시간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규약 중 안내 알림(A) 정보와 안내 알림(B) 정보가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새로운 유도점이 나타났을 때 안내 알림(A) 형식(type)의 정보를 한번 수신하고, 다음 안내 알림(A) 정보가 나타날 때까지는 계속 안내 알림(B) 정보가 수신된다. 다시 말해서, 안내 알림(A) 정보는 교차로가 바뀔 때마다 수신되지만, 안내 알림(B)는 동일 교차로에서도 여러 번 수신된다. 안내 알림(B)의 도착 예상 시간이란 실제로는 남은 시간을 나타내며, 주행함에 따라 이는 계속 변한다.
(4) 안내 상태
: 항법장비에서 요청에 의하여 수동적, 능동적으로 전송되는 안내 상태
- 명령: SC_GUIDESTS
- 경로 안내중, 이탈, 비상(emergency), 길 안내 정보 유/무 등의 정보 포함
- HFK state: (1)-2의 안내 제어 상태와 HFK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정보
(5) 비상
; 비상 키 눌림(push)을 감지했을 때 전송
- 명령: SC_EMERGENCY
위치데이터 패킷과 명령만 다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단말기에 부가단말기로서 연결 가능한 항법장비를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토콜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복을 방지할 수 있고, 단말기 및 외부의 계산 능력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항법장비 자체의 성능에 크게 의존하지 않아도 되어 항법장비를 저렴한 가격에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 등 부가장치를 중복하여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 공간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5)

  1.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길 안내 전체정보와 여러 가지 센서 정보들을 이용하여 길 안내 시점을 파악하고, 해당 경로 안내 정보를 발생하는 항법 장비와,
    상기 항법장비에 길 안내 전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항법장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항법 장비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항법장비로부터 제공받은 길 안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직접 혹은 통신을 통하여 외부 정보센터에서 길 안내 전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현재지, 목적지 정보 및 기타 관련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가 각 유도 시점에 표시할 유도 정보를 상기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가 길 안내 전체정보의 요약정보를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항법장비에서 위치 정보를 요청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위치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항법장비로부터 반복적으로 위치 정보를 받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비상 상태를 외부로 알릴 수있도록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에서 선택한 음성입력을 받도록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에 내장된 센서들의 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에 내장된 센서들의 보정을 위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에 내장된 센서들은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센서 및 자이로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가 장착된 차량의 상태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표시 가능하도록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항법장비의 안내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상기 항법장비에 음성 정보의 재생을 하도록 정보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항법장비의 길 안내 상황을 알 수 있도록, 상기 항법장비가 상태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안내 정보의 전송시 발생 횟수에 따라 명령을 구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외부 프로세서 역할을 하여 상기 길 안내 전체정보를 자체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길 안내 전체정보를 무선망을 통해 외부 정보센터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항법장비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장비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항법장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세트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장비는 휴대용 무선 전화기의 핸즈프리기능을 겸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23.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길 안내 전체정보와 여러 가지 센서 정보들을 이용하여 길 안내 시점을 파악하고, 해당 경로 안내 정보를 발생하는 항법 장비와,
    상기 항법장비에 길 안내 전체정보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항법장비로부터 전달받은 해당 경로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모니터 세트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항법장비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세트는 상기 항법 장비와 UART 1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항법장비와 프로세서간 통신 및 항법 정보를 주고받으며, UART 2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의 통신이 이루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장비는 상기 모니터 세트의 착탈을 감지하여 UART 1, UART 2의 연결을 제어하는 착탈감지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법시스템.
KR10-2001-0024171A 2001-05-03 2001-05-03 항법 시스템 KR100454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71A KR100454944B1 (ko) 2001-05-03 2001-05-03 항법 시스템
US10/139,212 US6747597B2 (en) 2001-05-03 2002-05-03 Navigation system
CNB021246718A CN1261741C (zh) 2001-05-03 2002-05-08 导航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171A KR100454944B1 (ko) 2001-05-03 2001-05-03 항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999A KR20020084999A (ko) 2002-11-16
KR100454944B1 true KR100454944B1 (ko) 2004-11-09

Family

ID=19709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171A KR100454944B1 (ko) 2001-05-03 2001-05-03 항법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747597B2 (ko)
KR (1) KR100454944B1 (ko)
CN (1) CN12617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166341C1 (ru) * 1999-12-10 2001-05-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Алгоритм" Дыхательный фильтр
EP1187481B1 (en) * 2000-09-11 2008-04-02 Handmark Europe AB A method for dynamic caching
EP1187485B1 (en) * 2000-09-11 2003-04-02 MediaBricks AB Method for providing media content over a digital network
EP1260914A1 (en) * 2001-05-23 2002-11-27 Mediabricks Ab A method for optimizing utilization of client capacity
JP4057352B2 (ja) * 2002-06-13 2008-03-05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施設情報転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588580A2 (en) 2003-01-31 2005-10-26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based service (lb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of mobile station lbs applications
US7359716B2 (en) * 2003-01-31 2008-04-15 Douglas Rowitch Location based service (LBS)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orization of mobile station LBS applications
US7146271B2 (en) * 2003-12-23 2006-12-05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avigation information
US7263438B2 (en) * 2003-12-23 2007-08-28 Honda Motor Co., Ltd. Smart storage and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formation
US7184888B2 (en) * 2003-12-23 2007-02-27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navigation information using different coordinate systems
US7480561B2 (en) * 2003-12-23 2009-01-20 Honda Motor Co., Ltd. Prioritized delivery of navigation information
EP1729090A4 (en) * 2004-03-19 2013-02-20 Pioneer Corp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206696B2 (en) * 2004-05-19 2007-04-17 Honda Motor Co., Ltd. Method for modifying navigation information
US20050261829A1 (en) * 2004-05-19 2005-11-2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off route processing
US20050261824A1 (en) * 2004-05-19 2005-11-24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content
US7292936B2 (en) * 2004-05-19 2007-11-06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KR100663020B1 (ko) * 2004-12-22 2006-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교통정보 수집방법
JP2006264384A (ja) * 2005-03-22 2006-10-05 Toyota Motor Corp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7702361B2 (en) * 2005-03-30 2010-04-20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and positioning information
KR20070041923A (ko) * 2005-10-17 2007-04-20 김정선 구명동의용 지피에스(GPS) 단말기의 주파수 대역130dBm 주파수확장변조 복합멀티기능시스템
KR100748888B1 (ko) * 2005-10-22 2007-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경로 안내코드 자동 생성방법
US8532678B2 (en) * 2006-03-08 2013-09-10 Tomtom International B.V. Portable GPS navigation device
US20070266177A1 (en) * 2006-03-08 2007-11-15 David Vismans Communication device with indirect command distribution
US10041798B2 (en) 2012-12-06 2018-08-07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position, velocity and/or heading by simultaneous use of on-device and on-vehicle information
CN104735523A (zh) * 2015-03-17 2015-06-24 惠州市云联科技有限公司 实现手机和汽车多媒体系统无线互联的方法和无线同屏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3844B1 (en) * 1992-04-17 2000-01-25 Auto Trac Inc Vehicle tracking and security system
AU4639393A (en) * 1992-06-16 1994-01-04 Dill Systems Corp. Magnetic circuits for communicating data
DE69528945T2 (de) * 1994-09-22 2003-04-24 Aisin Aw Co Navigations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4999A (ko) 2002-11-16
US6747597B2 (en) 2004-06-08
CN1388358A (zh) 2003-01-01
US20020196189A1 (en) 2002-12-26
CN1261741C (zh)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944B1 (ko) 항법 시스템
JP455946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方法、ナビゲーションプログラム
KR100594144B1 (ko)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한 텔레매틱스 시스템 및 그의 경로안내방법
US100669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estination in navigation terminal
JP2008048051A (ja) 通信システム
EP1260953A2 (en) Navigation system using a portable terminal
KR100474705B1 (ko)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와 정보센터간의데이터 송, 수신 방법
JP4788561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JP2003057059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645535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for selectively transmitting information based on indoor/outdoor specification
US7660664B2 (en) Information service system
JP376767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100525532B1 (ko) 이동통신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8270949A (ja) 情報システム
JP200520793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333711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454927B1 (ko) 통화음성과 네비게이션 안내 음성을 동시에 처리할 수있는 지능형교통시스템 단말기
KR20030035390A (ko) 무선망을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경로 유도데이터의 갱신 방법
KR100558984B1 (ko) 차량 장착 이동통신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309104B1 (ko)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의 수신정보 전송방법
JP2008011246A (ja) 通信手段報知装置
JP2011258054A (ja) 安全運転支援装置
JP454400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80014443A (ko) Gps 위성을 통한 지도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KR20080054184A (ko) 톨게이트정보제공시스템 및 톨게이트정보 업데이트 기능을구비한 전자기기그리고 이의 톨게이트정보 업데이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