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4931B1 -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4931B1
KR100454931B1 KR10-2001-0067698A KR20010067698A KR100454931B1 KR 100454931 B1 KR100454931 B1 KR 100454931B1 KR 20010067698 A KR20010067698 A KR 20010067698A KR 100454931 B1 KR100454931 B1 KR 100454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navigation
button
information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6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5585A (en
Inventor
김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4931B1/en
Publication of KR2003003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55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93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29Guidance using speech or audio output, e.g. text-to-speec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로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센터와,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정보센터에 서비스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장치의 크래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장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은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구동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음성의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입력 버튼이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touch in a system for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are disclos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center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service-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in a navigation mode and receiv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wirelessly connecting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 mobile terminal. In a vehicle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network, an apparatus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touch is proposed. The cradle of the devic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uch that the mobile terminal is mountable and detachab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t least one button may be installed in the cradle,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ressed by the user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to recei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be driven. For example, the button is a voice input button to allow the mobile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to receiv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voice.

Description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원터치 구동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One-touch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a 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n a system for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using the mobile terminal.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은 표시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상에 위치측정장치(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계산된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표시하여 준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체의 진행방향, 가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거리, 이동체의 현재 이동속도, 운전자가 주행 전에 설정한 경로, 목적지까지의 최적경로 등을 표시하여 주는 등 주행에 필요한 각종의 네비게이션(항법)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이러한네비게이션 시스템(혹은 GPS 측위장치)은 현재 선박, 항공기, 자동차 등과 같은 각종의 이동체들에 탑재되어 이동체의 현재위치와 이동속도를 확인하거나 이동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체의 현재위치를 GPS에 속하는 복수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 등을 나타내는 전파를 수신하여 연산한 후 이 현재위치가 포함되는 지도정보를 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시켜 주거나 청각적으로 알려준다.In general, a navigation system displays a current position of a moving object calculated by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on a map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addition, the navigation system displays various directions of navigation (navigation) such as display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to be traveled, the current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the route set before the driver, the optimum route to the destination, and the like. Provide information to the driver. Such a navigation system (or GPS positioning device) is currently mounted on various moving objects such as ships, aircrafts, automobiles, etc., and is widely used to check the current position and moving speed of moving objects or determine a moving path. In particular, the navigation system receives a radio wave indicating latitude, longitude, altitude, etc. from a plurality of satellites belonging to GPS to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and then visually displays or hears map information including the current position to the driver. Informs the enemy.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하나의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된다. 상기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과 같은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또한 GPS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매우 커다란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되고 있는 최근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가입자로부터의 네비게이션 기능 요구시 최적의 주행 경로를 계산하고 그 계산된 결과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센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보센터에 의해 생성된 경로 유도 데이터는 통신망(예: 무선망)을 통해 휴대폰,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로 제공되어 표시창(Liquid Crystal Display)에 표시된다.A typical navigation system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one terminal. The typical navigation system has a storage medium such as a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for storing map data and also ha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GPS signals. Such a typical navigation system is very expensive, which is a great burden on users. The recent navigation system, which is being developed to solve this economic burden, includes a storage medium for storing map data, calculates an optimal driving route when a navigation function is required from the subscriber, and calculates route guidance data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formation center to create and provide. The route guidance data generated by the information center is provided to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eg, a wireless network), and display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한편, 상기 최근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정보(예: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에 설정된 네비게이션 모드를 선택하여 정보센터에 접속한 후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별도의 처리 절차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에 대한 안내를 받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상에서 목적지를 설정하는 동작 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를 네비게이션 모드로 설정하고, 네비게이션 모드내에서도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후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요구된다. 이러한 절차는 사용자가 운전중이 아니더라도 매우 번거로운 절차이다. 특히, 사용자가 운전중이라면 상기와 같은 절차는 더욱 번거로울 것이며, 사고의 위험성까지도 초래한다. 게다가, 요즈음과 같이 운전중에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의 조작이 법적으로 규제되고 있는 추세에서는 운전중에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가 행하는 조작이 불가하기 때문에 상기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가입해 놓고도 그 서비스를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Meanwhile, in the recent navigation system, in order to receive navigation information (e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user needs to select a navigation mode set in the mobile terminal to access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n require a separate processing procedure to obtain desired information. . For example, in order to receive a guide on an optimal driving route to a destination desired by a user, an operation of setting a destination on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while switching the mobile terminal to a navigation mode is necessary.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ceive a navigation service desired by a user, a cumbersome procedure such as setting a mobile terminal to a navigation mode, selecting a desired service even in a navigation mode, and then inputting necessary information may be required. This procedure is very cumbersome even if the user is not driving. In particular, the above procedure will be more cumbersome if the user is driving, even causing the risk of an accident. In addition, in recent years, when the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s legally regulated while driving, the user does not use the service even when subscribing to the navigation service because the user cannot operate the navigation service while driving. You are in a situation where you ca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절차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liminating the trouble of a use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a system for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운전중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구동시켜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user to receive a navigation service by driving the mobile terminal while driving in a system for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서 운전중인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요구할 시 발생하는 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the risk of an accident occurring when a user who is driving in a system providing a navigation service through a mobile terminal requests a navigation service.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센터와,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정보센터에 서비스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 장치의 크래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장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은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구동되도록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formation center fo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service-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in a navigation mode, and receiv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In a vehicle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network for wirelessly connecting a terminal, an apparatus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with one touch is proposed. The cradle of the device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uch that the mobile terminal is mountable and detachabl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At least one button may be installed in the cradle,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ressed by the user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the mobile terminal may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to recei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be driven.

일 예로,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음성의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음성입력 버튼이다.For example, the button is a voice input button to allow the mobile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to receiv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voice.

다른 예로,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메뉴 버튼이다. 상기 경로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도중에 상기 메뉴 버튼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안내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한다. 상기 경로 안내 정보의 저장중에 상기 메뉴 버튼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입력해 새로운 경로 안내 정보를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As another example, the button is a menu button for switch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navigation mode.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whil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provided, the mobile terminal voices information about the route to be guided. When the menu button is pressed while stor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a state where the user can receive a new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inputting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또 다른 예로,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로 비상 호출을 하도록 하는 버튼이다.As another example, the button is a button for the mobile terminal to make an emergency call to the information center.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 구동하기 위한 크래들의 외부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cradle for one-touch driving a mobile terminal of a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크래들의 외부에 설치된 버튼들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driven by button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radle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크래들에 설치된 제1 버튼이 눌리어질 시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driven when a first button installed in the cradle shown in FIG. 2 is pressed;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크래들에 설치된 제2 버튼이 눌리어질 시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5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driven when a second button installed in the cradle shown in FIG. 2 is pressed;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크래들에 설치된 제3 버튼이 눌리어질 시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driven when a third button installed in the cradle shown in FIG. 2 is pressed;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크래들에 설치된 제1 버튼이 눌리어짐에 응답한 이동단말기의 구동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driving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first button installed in the cradle shown in FIG. 2 being pressed;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크래들에 설치된 제2 버튼이 눌리어짐에 응답한 이동 단말기의 구동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driving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pressing of a second button installed in the cradle shown in FIG. 2; FIG.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크래들에 설치된 제3 버튼이 눌리어짐에 응답한 이동 단말기의 구동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driving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in response to pressing of a third button installed in the cradle shown in FIG. 2;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동작중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mobile terminal during a route guide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reference numerals and lik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하기에서 설명될 본 발명은 정보센터와, 이동 단말기와, 무선망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one-touch)로 구동함으로써 운전중 번거로운 조작을 행함이 없이도 손쉽게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정보센터는 사용자가 음성으로 주행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시할 수 있고, 음성으로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인식하여 최적의 주행 경로를 계산하고 그 계산결과에 따른 경로 유도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안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정보센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는 음성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보센터는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상기 경로 안내(길 안내) 정보 이외에도 주변 시설물 찾기, 교통정보, 생활정보, 즐겨찾기 관리, 보조기능을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정보센터에 서비스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안내 및 시각적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는 대표적으로 휴대폰이 있으며, 개인정보단말기(PDA), 휴대용 컴퓨터(Handheld-PC) 등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무선망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provides a navigation service easily by a user by operating the mobile terminal with one-touch in a navigation system including an information center, a mobile terminal, and a wireless network, without any troublesome operation during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by receiving. In particular, the information center may instruct a user to set a destination for driving route guidance by voice, calculate the optimal driving route by recogniz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put by voice, and calculate route guidance data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generated and guided to the user by voice through the mobile terminal. In other words,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 mobile terminal have the capability to process voice. The information center provides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searching for nearby facilities, traffic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bookmark management, and auxiliary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route guide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has a navigation mode, and when the navigation mode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guide and visually guide the user. Such a mobile terminal typically includes a mobile phone, and includes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portable computer (Handheld-PC). The wireless network is for wirelessly connecting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navig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navigation system is characterized in that a navigation function is provided through a mobile terminal.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정보센터 100과, 무선망 200과, 이동 단말기 300과,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단말기 400으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navigation system includes an information center 100, a wireless network 200, a mobile terminal 300, and a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terminal 400.

상기 정보센터 100은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부터 네비게이션 기능이 요청될 시 상기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해당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부터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 안내가 요청될 시 상기 정보센터 100은 상기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최적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한다.The information center 100 stores map data an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When the navigation function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he information center 100 generates corresponding navigation information by referring to the map data an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For example, when an optimal route guidance from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to the destination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the information center 100 guides the optimal route from the current location to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the map data an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Generates information for

상기 무선망 200은 상기 정보센터 100과 상기 이동 단말기 300간 정보 전달의 경로이다. 상기 무선망 200으로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개인휴대통신(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방식의 통신시스템이나 IS-95A,95B,95C 방식의 디지털 셀룰라(digital cellular)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망 200으로는 최근에 널리 연구되고 있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이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와 같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The wireless network 200 is a path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information center 10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The wireless network 200 may be a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or a digital cellular (ISD) 95A, 95B, 95C digital cellular (digital cellular) system. Also, the wireless network 200 includes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digital cellular system such as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 (IMT-2000) or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UMTS), which has been widely studied recently. Can be used.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사용자에게 전형적으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드로서 동작할 뿐만 아니라, 네비게이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네비게이션 모드로도 동작한다.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상기 무선망 200에 접속되어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네비게이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ITS 단말기 400과 연동하여 상기 수신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차량에 설치된 크래들(Cradle) 30에 장착 및 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크래들 30은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장착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장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 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크래들 30은 상기 ITS 단말기 400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ITS 단말기 400은 기존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ITS 단말기 400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GPS 수신기, 자이로센서(Gyro Sensor), 속도 센서(Speed Sensor), 메모리,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 상기 ITS 단말기 400과 기존의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차이점은 상기 ITS 단말기 400이 지도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CD-ROM과 같은 저장매체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지도 화면 표시를 위한 TFT-LCD(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표시부도 구비하고 있지 않다.The mobile terminal 300 typically operates as a mode for providing a voice call service to a user, as well as a navigation mode for supporting a navigation function. In the navigation mode, the mobile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network 200 to receive various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center 100 and provides the received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in association with the ITS terminal 400. The mobile terminal 300 may be mounted and detached from a cradle 30 installed in a vehicle. That is, the cradle 30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300 can be mounted and detached,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is mounted. The cradle 3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TS terminal 400. The ITS terminal 400 is configured similarly to a conventional navigation terminal. For example, although not illustrated, the ITS terminal 400 includes a GPS receiver, a gyro sensor, a speed sensor, a memory, a controller, and the like. The difference between the ITS terminal 400 and the existing navigation terminal is that the ITS terminal 400 does not have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storing map data, and also a TFT-LCD (Thin Film Transistor Liquid) for displaying a map screen. There is no display unit such as a Crystal Display.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상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와 목적지를 설정하여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 최적 주행 경로 안내를 요청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기능인 상기 현재 위치와 목적지간 최적의 주행 경로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목적지를 나타내는 시설물 명칭, 지역 카테고리, 행정 명칭, 전화번호, 경도 및 위도를 음성 또는 문자 입력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사용자는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교통 정보(예: 주행 전방정보, 시내 정보, 국도 정보, 고속도로 정보, 즐겨찾기 지점 정보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시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을 통해 상기 정보센터 100에 접속하여 주변 시설물(예: 주유소, 휴게소, 정비센터, 은행, 병원/약국, 숙박업소, 관광명소, 음식점/카페, 극장/공연장 등)을 검색할 수 있고, 긴급(emergency) 상황 발생시 도움을 요청할 수 있고,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부터 생활정보(뉴스, 날씨, 여행, 방송/영화/연극/공연, 운세, 유머 등)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the navigation mode, the user may set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of the vehicle on the mobile terminal 300 and request the optimal driving route guidance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objective are typical navigation functions from the information center 100. You can be guided by the optimum travel route between the two. In this case, the user may set a facility name, a local category, an administrative name, a phone number, a longitude and a latitude indicating a destination as voice or text input. In the navigation mode, the user may receive traffic information (eg, driving ahead information, city information, national highway information, highway information, favorite point information, etc.) from the information center 100. In addition, in the navigation mode, the user accesses the information center 100 through the mobile terminal 300 such as gas stations, rest areas, maintenance centers, banks, hospitals / pharmacies, lodgings, tourist attractions, restaurants / cafes, theaters / Performances, etc.), search for help in case of emergencies, and provide living information (news, weather, travel, broadcasting / movie / theatre / performance, fortune telling, humor, etc.) from the information center 100. I can receive it.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네비게이션 모드에서 차량의 현재 위치와 주행하고자 하는 목적지를 설정하고 최적의 주행 경로 안내를 요청하면, 이러한 설정에 따른 정보가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 제공된다. 상기 정보센터 100은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내부에 저장된 지도데이터 및 실시간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목적지간의 최적의 주행 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최적의 주행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 제공한다. 상기 최적의 주행 경로 안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상기 ITS 단말기 400과 연동하여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제공한다. 이때 시각적으로 제공되는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표시부상에 표시되고, 청각적으로 제공되는 경로 안내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스피커 또는 상기 ITS 단말기 400의 스피커(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과 상기 ITS 단말기 400의 모든 스피커들)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이러한 주행 경로 안내 서비스시 유도방향 표시, 음성 안내, 유도지점 및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 정보가 제공된다.For example, when a user sets a current location of a vehicle and a destination to which the user wants to travel in the navigation mode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requests an optimal driv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200. Is provided. In response to the request, the information center 100 calculates an optimal driving route between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destination by referring to map data an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tored therein, and provides information for guiding the calculated optimal driving rout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200. When the optimal driv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received, the mobile terminal 300 visually and / or audibly provide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received in association with the ITS terminal 400. At this time, the visually provid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acoustically provid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the speak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or the speaker of the ITS terminal 400 (or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All the speakers of the ITS terminal 400). In this driving route guidance service, guidance guidance, voice guidance, guidance point, and remaining distance information to the destination are provided.

상기 도 1에서 이동 단말기 300과 ITS 단말기 400은 네비게이션 동작을 위해서 하나의 단말기로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휴대폰과 같은 단말기들과의 호환성을 고려한다면, 도면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부터 상기 ITS 단말기 400을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In FIG. 1,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ITS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one terminal for a navigation operation. However, in consideration of compatibility with existing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it would be desirable to separate the ITS terminal 400 from the mobile terminal 300 as shown in the figur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 구동하기 위한 크래들의 외부 연결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ternal connection configuration of a cradle for one-touch driving a mobile terminal of a navig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크래들 30은 외부에 설치된 3가지의 버튼들(또는 hotkeys) 31∼33을 구비한다. 상기 3가지 버튼들 31∼33은 이동 단말기 300을 원터치로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제1 버튼 31은 메뉴 버튼이고, 제2 버튼 32는 음성 입력 버튼이고, 제3 버튼 33은 비상호출(Emergency) 버튼이다. 이 버튼들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경우 각각의 동작은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버튼들 31∼33을 구비하는 크래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장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 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버튼들 31∼33은 상기 크래들 30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상기 크래들 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정보 센터 100에 접속되어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구동되도록 한다. 상기 크래들 30은 ITS 단말기(Navigation Kit) 400과도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실질적인 네비게이션 동작 수행시에는 상기 ITS 단말기 400도 상기 크래들 30을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 30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ITS 단말기 400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2, the cradle 30 includes three buttons (or hotkeys) 31 to 33 installed externally. The three buttons 31 to 33 are for one-touch driving of the mobile terminal 300. The first button 31 is a menu button, the second button 32 is a voice input button, and the third button 33 is an emergency button. When these buttons are pressed by the user, each opera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The cradle including the buttons 31 to 33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300 can be mounted and detached as described abov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is mounted. The buttons 31 to 33 are installed in the cradle 30, and the mobile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300 is pressed by the user while the mobile terminal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30. Drive to a state that can be provided with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cradle 30 is also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TS navigation (Navigation Kit) 400. When performing the actual navigation operation, the ITS terminal 400 should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through the cradle 30. However,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ITS terminal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300, and only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크래들 30의 외부에 설치된 버튼들 31∼33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 3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300 driven by buttons 31 to 33 installed outside the cradle 30 illustrated in FIG. 2.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 300은 안테나(ANT: Antenna), 제어부 310, 송수신부 320, 메모리 330, 키입력부 340, 표시부 350, 음성 처리부 360, 음성안내 IC(Integrated Circuit) 370,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ANT)는 상기 송수신부 320으로부터의 송신 신호를 무선망 200을 통해 정보 센터 100으로 송신하고, 상기 정보 센터 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상기 무선망 200을 통해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 310은 이동 단말기 300의 전반적인 동작, 특히 크래들 30에 설치된 버튼들 31∼33이 사용자에 눌리어지는 경우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310은 메뉴 버튼 31이 눌리어지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음성 입력 버튼 32가 눌리어지는 경우에는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비상호출 버튼 33이 눌리어지는 경우에는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obile terminal 300 includes an antenna (ANT), a controller 310, a transceiver 320, a memory 330, a key input unit 340, a display 350, a voice processor 360, an integrated voice circuit IC 370, and a microphone ( MIC: Microphone) and Speaker (SPK). The antenna ANT transmits the transmission signal from the transceiver 320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200 and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information center 100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200. The controller 310 allows the corresponding operation to be performed when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n particular, when the buttons 31 to 33 installed in the cradle 30 are press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menu button 31 is pressed, the controller 310 controls an operation as shown in FIG. 4 to be performed, and when the voice input button 32 is pressed, FIGS. 5, 7 and 8.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33 is pressed, the control as shown in FIG. 6 and 9 is controlled to be performed.

상기 송수신부 320은 상기 정보 센터 100으로 송신될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안테나(ANT)를 통한 상기 정보 센터 100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모리 3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수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프로그램 및 그 동작 수행에 따라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키입력부 340은 이동 단말기 300과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것이다. 상기 키입력부 340을 통해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모드를 설정할 수 있고, 네비게이션 서비스에 따른 각종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구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 35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처리중에 표시를 위한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 350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로 안내 화면이 표시되고,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화면들이 표시된다.The transceiver 320 outputs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and receives a signal from the information center 100 through the antenna ANT. The memory 330 stores a navigation program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ata processed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operation. The key input unit 340 is for an interface between the mobile terminal 300 and the user. The user may set a navigation mode through the key input unit 340 and request various navig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navigation service. The display unit 350 displays a screen for displaying during oper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route guidance screen as shown in FIG. 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0, and menu screens as shown in FIGS. 7 to 9 are displayed.

상기 음성 처리부 360은 상기 마이크(MIC)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처리하고, 또한 상기 스피커(SPK)로 출력될 음성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음성안내 IC 3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기능 수행시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한 음성을 발생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마이크(MIC)는 사용자로부터의 음성을 입력하고, 입력된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피커(SPK)는 사용자에게 출력될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MIC)로는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위해 설정하는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고,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서는 음성의 경로 안내 정보 및 목적지 설정 요구 정보가 출력된다. 상기 음성 처리부 360, 상기 음성안내 IC 370, 마이크(MIC) 및 스피커(SPK)는 도 2에 도시된 ITS 단말기 400에서도 동일하게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ITS 단말기 400에 구비된 구성요소들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은 이동 단말기 300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가정한다는 사실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voice processor 360 process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and also processes a voice signal to be output to the speaker SPK. The voice guidance IC 370 is for generating a voice for guiding a user when performing a naviga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 MIC inputs a voice from a user, converts the input voice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voice. The speaker SPK converts an electrical signal to be output to a user into voice. For example, destination information set by the user for route guidance is input to the microphone MIC, and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destination setting request information of voice are output through the speaker SPK. The voice processor 360, the voice guidance IC 370, the microphone (MIC) and the speaker (SPK) are the same components are also provided in the ITS terminal 400 shown in Figure 2, the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TS terminal 400 It may also be performed by the components provided in the. However, as described abo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umed to be performed inside the mobile terminal 300.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크래들 30에 설치된 제1 버튼(메뉴 버튼) 31이 눌리어질 시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 3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which is driven when the first button (menu button) 31 installed in the cradle 30 shown in FIG. 2 is pressed.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메뉴 버튼 31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지는 경우 도 3의 제어부 310은 네비게이션의 메인 메뉴를 표시부 350에 표시한다(410단계). 상기 네비게이션의 메인 메뉴는 길안내, 주변시설물 찾기, 교통정보, 생활정보, 즐겨찾기 기능, 보조기능에 대한 항목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 메뉴의 표시는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경로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도중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메뉴 버튼 310이 눌리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 310은 안내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가 스피커(SPK)를 통해 음성으로 안내되도록 한다(420단계). 경로 안내 정보의 저장중에 상기 메뉴 버튼 310이 눌리어지는 경우, 상기 제어부 310은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입력해 새로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상태를 전환시킨다. 즉, 길 안내 화면이 표시되도록 한다(410단계에서의 1번 "길안내"가 선택되는 경우, 도 7의 710단계에서의 메뉴화면 참조).Referring to FIG. 4, when the menu button 31 is pressed by the user, the controller 310 of FIG. 3 displays a navigation main menu on the display 350 (step 410). The main menu of the navigation is to select items for road guidance, surrounding facility search, traffic information, living information, favorite function, auxiliary function. The display of the main menu means that the mobile terminal 300 is switched to a navigation mode so that a user can request a desired service. When the menu button 310 is pressed by the user whil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provided, the controller 310 causes the information about the route to be guided to be voiced through the speaker SPK (step 420). When the menu button 310 is pressed while stor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controller 310 switches th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300 so that a user may input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and receive new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at is, the route guidance screen is displayed (when "No. 1 route" in operation 410 is selected, see the menu screen in operation 710 of FIG. 7).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크래들 30에 설치된 제2 버튼(음성입력 버튼) 32가 눌리어질 시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 3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크래들 30에 설치된 제2 버튼(음성입력 버튼) 31이 눌리어짐에 응답한 이동 단말기 300의 구동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which is driven when the second button (voice input button) 32 installed in the cradle 30 shown in FIG. 2 is pressed. 7 and 8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driv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second button (voice input button) 31 installed in the cradle 30 illustrated in FIG. 2 being pressed.

상기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음성입력 버튼 32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지는 경우의 동작은 2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상기 음성입력 버튼 32가 미리 설정된 시간보다 짧게 눌리어지는 경우이고, 두 번째는 상기 음성입력 버튼 32가 상기 설정된 시간보다 길게 눌리어지는 경우이다. 전자의 경우에 응답하여서는 자동으로 경로안내 전화걸기 동작이 수행되고(도 5의 510단계), 후자의 경우에 응답하여서는 자동으로 교통정보 전화걸기 동작이 수행된다(도 5의 520단계).5, 7 and 8, the operation in the case where the voice input button 32 is pressed by the user is divided into two types. In the first case, the voice input button 32 is pressed shorter than the preset time, and in the second case, the voice input button 32 is pressed longer than the preset time. In response to the former case, the route guidance dial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step 510 of FIG. 5), and traffic information dial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latter case (step 520 of FIG. 5).

경로안내 전화걸기 동작시,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자동으로 상기 정보센터 100에 접속되어 음성의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음성입력 버튼 32가 짧게 선택되는 경우(도 7의 710단계), 상기 제어부 310은 상기 정보센터 100에 접속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접속됨에 응답하여 상기 정보센터 100은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요구한다.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면(720단계), 이후에 상기 정보센터 100은 해당하는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 300으로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한다(730단계). 경로 안내 정보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부 310에 제어하에 경로 안내 음성이 스피커(SPK)를 통해 안내되고, 경로 안내 화면이 표시부 350에 표시된다(740단계).When the route guidance call operation is performed, the mobile terminal 300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and is in a state capable of receiving voice route guidance information. More specifically, when the voice input button 32 is shortly selected (step 710 of FIG. 7), the controller 310 accesses the information center 100. In response to the mobile terminal 300 being connected, the information center 100 requests a user to input a destination for voice guidance. In response to the request, when the user inputs a destination for the route guidance by voice (step 720), the information center 100 generates correspon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300. 300 receiv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step 730). In response to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being received, the route guidance voice is guided through the speaker SPK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0, and the route guidance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350 (step 74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로 안내 동작중 이동 단말기의 표시부 350에 표시되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configur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50 of a mobile terminal during a route guide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참조번호 11은 방향 전환 이미지(Image) 표시이다. 참조번호 12는 교차로 명칭 및 방면 표시창이다. 이때 1라인에 10자 입력이 가능하고, 문자 처리 부분은 백회색(white gray)으로 처리해서 구분하고, 표시창의 가운데에 정렬되도록 한다. 참조번호 13은 같은 크기의 폰트(font) 4자리로서 거리를 표시하기 위한 창이다. 1번째, 2번째, 3번째 칸에는 0, 1, 2, 3, 4, 5, 6, 7, 8, 9가 표시되고, 4번째 칸에는 KM,M이 표시된다. 10KM 이상인 경우에는 거리를 사사오입하여 999KM ∼ 10KM까지 4칸으로 표시한다. 1KM 이상인 경우에는 거리를 소수점을 넣어서 9.9KM ∼ 1.0KM까지 4칸으로 표시한다. 1KM 미만인 경우에는 거리를 990M ∼ 0M까지 4칸으로 표시한다. 참조번호 14는 목적지까지의 거리를 표시하기위한 창이다. 1KM 이상인 경우에는 거리를 소수점을 넣어서 999.9KM ∼ 1.0KM로 표시한다. 1KM 미만인 경우에는 거리를 990KM ∼ 0M까지 표시한다. 참조번호 15는 목적지까지의 도착 예정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창이다. 참조번호 16은 차량 방향 표시, 차량 방향을 기준으로 한 목적지 방향 표시, GPS 수신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창이다. 참조번호 17은 현재 주행중인 도로번호를 표시하기 위한 창이다. 이때 1라인에 10자 입력이 가능하고, 문자 처리 부분은 백회색(white gray)으로 처리해서 구분하고, 표시창의 가운데에 정렬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10, reference numeral 11 denotes a direction change image. Reference numeral 12 is an intersection name and a display window. In this case, 10 characters can be input in one line, and the character processing part is processed by white gray, and align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window. Reference numeral 13 is a window for displaying the distance as four digit fonts of the same siz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lumns, 0, 1, 2, 3, 4, 5, 6, 7, 8, and 9 are displayed, and in the fourth column, KM and M are displayed. In the case of 10KM or more, the distance is rounded off and displayed in 4 spaces from 999KM to 10KM. In the case of 1 KM or more, the distance is expressed in four spaces from 9.9 KM to 1.0 KM with a decimal point. In the case of less than 1KM, the distance is expressed in 4 spaces from 990M to 0M. Reference numeral 14 is a window for displaying the distance to the destination. In the case of 1 KM or more, the distance is displayed as 999.9 KM to 1.0 KM with a decimal point. In the case of less than 1 KM, the distance is displayed from 990 KM to 0M. Reference numeral 15 is a window for displaying the estimated time of arrival to the destination. Reference numeral 16 is a window for displaying a vehicle direction, a destination direction based on the vehicle direction, and a GPS reception state. Reference number 17 is a window for displaying the current road number. In this case, 10 characters can be input in one line, and the character processing part is processed by white gray, and align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window.

다시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경로안내 전화걸기 동작은 음성입력 처리조건이 사전에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수행된다(도 5의 530단계 참조). 그러나, 음성입력 처리조건이 사전에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설정한 경로 안내 정보를 받을 것인가를 질의하는 메시지가 표시되게 된다(540단계). 이때 사용자가 아니오를 선택하면, 음성입력 메뉴로 되돌아가게 되고(550단계), 예를 선택하면 상기 정보센터 100과 접속되어(570단계) 음성으로 설정된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미설명한 560단계에서는 위치 데이터를 요청하는 동작이 수행된다.Referring to FIGS. 5, 7 and 8 again, the path guide dialing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when the voice input processing condition is automatically set in advance (see step 530 of FIG. 5). However, if the voice input processing condition is manually set in advance, a message for asking the user whether to receiv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set by voice is displayed (step 540). In this case, if the user selects NO, the screen returns to the voice input menu (step 550). If the user selects YES, the user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step 570) to receive route guidance information set as voice. In operation 560, the operation for requesting location data is performed.

교통정보 전화걸기 동작이 수행되면 표시부 350에는 사용자가 교통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표시된다(도 8의 810단계 및 820단계). 상기 표시된 화면상에서 교통정보가 선택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이 표시된다(830단계). 이때 사용자는 음성으로 원하는 지역을 입력함으로써(1번을 선택하는 경우)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현재 차량의 주행 전방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2번을 선택하는 경우), 수도권 지역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3번을 선택하는 경우), 고속도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4번을 선택하는 경우), 최근에 수신한 정보를 다시 제공받을 수 있다(5번을 선택하는 경우).When the traffic information dial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 display unit 350 displays a screen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raffic information (steps 810 and 820 of FIG. 8). If traffic information is selected on the displayed screen, a screen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traffic information of a desired region is displayed (step 830).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desired area by voice (if selecting No. 1) to be provided with traffic information of the desired area, and may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f the driving front of the current vehicle (when selecting No. 2), You can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from the metropolitan area (if you choose No. 3), you can be provided with highway information (if you choose No. 4), and you will be provided with recently received information again (Choice No. 5). ).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크래들 30에 설치된 제3 버튼(비상호출 버튼) 33이 눌리어질 시 구동되는 이동 단말기 300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크래들 30에 설치된 제3 버튼 33이 눌리어짐에 응답한 이동 단말기 300의 구동 동작에 따른 메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which is driven when the third button (emergency call button) 33 installed in the cradle 30 shown in FIG. 2 is pressed.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nu screen according to a driving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300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f the third button 33 installed in the cradle 30 illustrated in FIG. 2.

상기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비상호출 버튼 33은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이 상기 정보센터 100으로 비상 호출을 하도록 하는 버튼이다. 이러한 버튼 33은 차량 운행중 사고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상호출 버튼 33이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지면(도 9의 910단계), 비상 호출을 확인하는 과정이 수행된다(도 6의 610단계, 도 9의 920단계). 사용자가 비상 호출을 확인하면(화면상에서 예를 선택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은 상기 정보 센터 100에 접속하여 비상 호출을 하게 된다(도 9의 930단계, 도 6의 620단계). 이때 차량의 위치 데이터가 상기 정보 센터 100으로 통보되며, 상기 이동 단말기 300의 전화번호도 함께 통보된다. 이후에 상기 정보 센터 100에서 전화가 오면 사용자는 안내원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게 된다(도 4의 940단계).6 and 9, the emergency call button 33 is a button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300 to make an emergency call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The button 33 may be used when an accident or emergency occurs while driving a vehicle. When the emergency call button 33 is pressed by the user (step 910 of FIG. 9), a process of confirming an emergency call is performed (step 610 of FIG. 6 and step 920 of FIG. 9). When the user confirms the emergency call (select yes on the screen), the mobile terminal 300 accesses the information center 100 to make an emergency call (step 930 of FIG. 9 and step 620 of FIG. 6). At this time, the location data of the vehicle is notified to the information center 100, and the 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300 is also notified. Afterwards, when the call comes from the information center 100, the user can request help from a receptionist (step 940 of FIG. 4).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를 구비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 뿐만 아니라 전형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s an example in a navigation system that provides a navigation function to users through a mobile termina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a typical navigation system as well as a navigation system having a mobile terminal.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목적지까지의 전체 경로 설정을 원터치(One-touch) 방식으로 제공하여 운전중 사용자는 불필요한 조작없이도 편리하게 경로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운전중에 불필요한 조작에 따른 사고의 위험성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one-touch method for setting the entire route from the navigation system to the destination,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receive the route guidance service without any unnecessary operation during operation.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move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unnecessary operation during operation.

Claims (11)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센터와,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정보센터에 서비스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information cente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service-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in the navigation mode, and receiv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a wireless network wirelessly connecting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the device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n one touch,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장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크래들과,A cradle installed in the vehicle to mount and detach the mobile terminal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구동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Installed in the cradle,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ress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driven to recei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at least one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음성의 상기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button is a button for allowing the mobile terminal to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to receiv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of a vo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네비게이션 모드로 전환되도록 하는 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utton is a button for switching the mobile terminal to the navigation m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가 제공되는 도중에 상기 버튼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안내되는 경로에 대한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3, wherein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ile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is provided, the mobile terminal voicely guides information about the route to be guid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안내 정보의 저장중에 상기 버튼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입력해 새로운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mobile terminal of claim 3, wherein when the button is pressed while storing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he mobile terminal is switched to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receive new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inputting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로 비상 호출을 하도록 하는 버튼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button is a button for making the mobile terminal make an emergency call to the information center.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센터와,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정보센터에 서비스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는이동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n information cente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service-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in a navigation mode, and receiv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a wireless network wirelessly connecting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the method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n one touch,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장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크래들을 제공하는 과정과,Providing a cradle which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unted and detached, and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구동되도록 하는 버튼을 제공하는 과정과,Installed in the cradle,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ress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driven to recei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provide a button, 상기 버튼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하는 과정과,The mobile terminal accessing the information center when the button is pressed; 상기 정보센터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음성으로 입력하도록 요구하는 과정과,Requesting the information center to input a destination for voice guidance to the mobile terminal by voice; 상기 요구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를 입력할 시 상기 정보센터가 해당하는 경로 안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과,In response to the request, when the user inputs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he information center generates route guidance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oute guidance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정보센터로부터 전송된 경로 안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receiving, by the mobile terminal, route guid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center and guiding the receiv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by vo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경로 안내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the received route guidance information on the screen by the mobile terminal. 경로 안내 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센터와, 네비게이션 모드시 상기 정보센터에 서비스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정보센터와 상기 이동 단말기를 무선 접속하는 무선망을 포함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를 원터치로 구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An information center provid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route guidance information, a mobile terminal service-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in the navigation mode, and receiv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and a wireless network wirelessly connecting the information center and the mobile terminal; In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the method for driving the mobile terminal in one touch,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장착 및 탈착 가능하도록 상기 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장착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크래들을 제공하는 과정과,Providing a cradle which is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mobile terminal can be mounted and detached, and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terminal is mounted; 상기 크래들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되어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태로 구동되도록 하는 버튼을 제공하는 과정과,Installed in the cradle,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rad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pressed by the user,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center and driven to recei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provide a button, 상기 버튼이 눌리어질 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정보센터에 접속하여 상기 정보센터를 비상 호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And when the button is pressed, the mobile terminal accesses the information center and makes an emergency call to the information cent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눌리어짐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의 위치 데이터를 상기 정보센터에 자동 송신함에 의해 상기 정보센터를 비상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10.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9, wherein the mobile terminal automatically calls the information center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location data of the vehicle to the information center in response to the button being press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위치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도 송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0, wherein a telephone number of the mobile terminal is transmitted together with the position data of the vehicle.
KR10-2001-0067698A 2001-10-31 2001-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KR1004549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698A KR100454931B1 (en) 2001-10-31 2001-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698A KR100454931B1 (en) 2001-10-31 2001-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585A KR20030035585A (en) 2003-05-09
KR100454931B1 true KR100454931B1 (en) 2004-11-15

Family

ID=29567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698A KR100454931B1 (en) 2001-10-31 2001-10-31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493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75B1 (en) * 2002-07-04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transmi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684A (en) * 1997-08-04 1999-02-2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Traffic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20000012238A (en) * 1999-10-15 2000-03-06 이우열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3684A (en) * 1997-08-04 1999-02-26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Traffic information display system
KR20000012238A (en) * 1999-10-15 2000-03-06 이우열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5585A (en)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922B1 (en) Navigation system for providing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CN100549622C (en) Be applicable to the apparatus and method of guiding the opposing party position in the navigational system
US8577593B2 (en) Navigation system for hearing-impaired operators
KR100466738B1 (en) Information receiving device and method,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method,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JPH09319991A (en) Navigation system of portable telephone by voice
JP2008076412A (en) Navigation apparatus, navigation method, and navigation program
JP2000009479A (en) Navigation system
US6801832B2 (en) Method for giving navigation information to navigation terminal user
CN101275848B (en) Navigation apparatus having a picture frame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45493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in navigation system having it
JPH08145705A (en) On-vehicle navigation system
US723677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estination inform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7075968A (en) Display device
KR100667489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location information of a mobile phone user by a car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454970B1 (en) Method for searching facilities in a navigation system
JPH09222334A (en) Navigation device
KR100454927B1 (e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terminal equipment capable of processing voices for telephone call and navigation
EP1342052A1 (en) System and procedure for a voice-controlled telephone service for providing position-related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object
KR100525532B1 (en) Navigation system of mobile tele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JP2001272242A (en) Navigation system, guidance route announc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0425824B1 (en)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using car radio frequency
JP2002354098A (en) Cellular phone apparatus and cellular phone system
KR101041149B1 (en) Method of dispaying sub liquid crystal display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11295091A (en) Navigation apparatus
KR100375658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information to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