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267B1 -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267B1
KR100448267B1 KR10-2001-0071167A KR20010071167A KR100448267B1 KR 100448267 B1 KR100448267 B1 KR 100448267B1 KR 20010071167 A KR20010071167 A KR 20010071167A KR 100448267 B1 KR100448267 B1 KR 10044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unit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data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744A (ko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267B1/ko
Publication of KR20030040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에 연결되며 무선송신부 및 무선수신부를 구비하는 제1 무선부와, 상기 제2안테나에 연결되며 전용 무선수신부를 구비하는 제2 무선부를 포함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 가능하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구성된 접이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외부 단말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바디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단말로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를 위한 연결인지를 확인하는 질의를 하는 과정과, 상기 질의에 따른 상기 외부단말로부터 응답 및 상기 서브바디 개방중 적어도 하나가 있으면 상기 제1 무선부 및 제2 무선부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상태가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이면 상기 제1 무선부 및 제2 무선부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가 아니면 상기 제2 무선부의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제1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FOLDABLE MOBILE TERMINAL CAPABLE OF HIGH DATA RATE SERVIC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일부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1x와 연계될 경우 초고속 무선인터넷서비스의 품질이 개선될 수 있는 HDR(High-speed data rates) 서비스를 준비중에 있다. 이는 HDR 서비스가 별도의 음성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지만, 대신 기존 유선 초고속인터넷서비스를 능가할 만큼 뛰어난 데이터 전송능력을 지니게 되기 때문이다.
2세대 망을 이용한 초고속 무선데이터 통신으로 일컫는 cdma2000-1x EVDO(Evolution Data Only)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HDR(High-speed data rates) 서비스는 2.5세대라고 불리는 cdma2000-1x(IS95C)보다 전송속도가 10배 이상 빨라 동기식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3G: 3rd Generation) 기술로 분류하고 있다. HDR 서비스는 데이터 전용 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순방향 최고 2.4Mbps, 역방향 최고 153.6Kbps 데이터 전송속도(data rate)를 제공하며 고속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에 적합한 기술이다. HDR 서비스는 기존의 cdma2000-1x(IS95C) 네트웍이나, 개별 데이터 네트웍 내의 데이터 전송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존의 CDMA 네트웍으로는, 일부 채널들이 음성에서 데이터로 변경된다. 하지만 HDR 서비스는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과 CDMA의 조합을 사용하여 각 채널을 여러 명의 사용자가 공유하지만,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처럼 고정된 시간 대역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에만 사용하는 형식을 취한다. IP(Internet Protocol) 패킷들과 인터넷 접속에 최적화되어 있는 HDR의 데이터 전송속도는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기지국까지의 거리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그에 따라 EVDO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유선 초고속 인터넷을 능가하는 2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속도로 서비스가 가능하며 실시간으로 동영상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두 개의 안테나를 채용한 공간 다이버시티 기법을 사용하고 두 개의 무선 수신부를 구성하여 페이딩(fading)에 의한 수신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는 두 개의 안테나 및 두 개의 무선 수신부를 함께사용함에 따라 배터리 전력 소모가 커졌으며, 두 개의 무선 수신부 관련된 각종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배터리 전력 소모와 두 개의 무선 수신부 관련된 각종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줄일 수 있는 단말기 동작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에 연결되며 무선송신부 및 무선수신부를 구비하는 제1 무선부와, 상기 제2안테나에 연결되며 전용 무선수신부를 구비하는 제2 무선부를 포함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 가능하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구성된 접이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외부 단말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바디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단말로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를 위한 연결인지를 확인하는 질의를 하는 과정과, 상기 질의에 따른 상기 외부단말로부터 응답 및 상기 서브바디 개방중 적어도 하나가 있으면 상기 제1 무선부 및 제2 무선부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상태가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이면 상기 제1 무선부 및 제2 무선부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가 아니면 상기 제2 무선부의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제1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블록 구성도로서, HDR(High-speed data rates) 서비스를 위해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 기법이 채용된 두 개의 안테나와 두 개의 무선 수신부를 함께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이다. 도 1에서, 두 개의 안테나(ANT1,2)중 제1 안테나 ANT1은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는 안테나로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휴대가 간편해야 하는 목적에 부합되는 무지향성의 리트랙터블(retractable) 안테나 형태가 적합하다. 두 개의 안테나(ANT1,2)중 제2 안테나 ANT2는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에 탈착 가능한 안테나로서, 신호 페이딩에 의한 수신정보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 안테나 ANT1과 함께, HDR(high-speed data rates) 서비스 시에 사용될 것이다.따라서 제2 안테나 ANT2는 단말기 본체의 상단 부위에 돌출되는 것을 가능한 한 피하기 위해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등의 평면 안테나 구조나 SMD(Surface Mounted Device) 형태의 칩 안테나(chip antenna) 구조, 외부 단말과 연결하기 위한 전송 라인을 이용한 안테나 구조, 이어폰을 이용한 안테나 구조, 악세사리를 이용한 안테나 구조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안테나 ANT2는 소형화 및 경량화 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추세에 따른 단말기 사이즈 및 단말기 디자인의 제약, 제2 안테나 ANT2의 위치 선정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HDR서비스가 제공되지 않을 경우에는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선부(10)는 제1 안테나 ANT1에 연결된 듀플랙서(12)와, 무선 송수신부(14)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부(24)의 제어 하에 음성데이터뿐만 아니라 저속 및 고속 데이터(서킷 데이터, 패킷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2 무선부(16)는 제2 안테나 ANT2에 연결된 안테나 접속부(18)와, 전용 무선 수신부(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부(24)의 제어 하에 제2 안테나 ANT2를 통해서 인가되는 음성 데이터뿐만 아니라 저속 및 고속 데이터(서킷 데이터, 패킷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 무선부(16)에 포함된 안테나 접속부(18)는 사용자의 제2 안테나 장착 또는 안테나 접속 행위에 의해 제2 안테나 ANT2를 전용 무선 수신부(20)와 접속되게 한다. 안테나 접속 검출부(22)는 제2 안테나 ANT2가 전용 무선 수신부(20)에 접속됨을 검출하여 제어부(24)에 인가한다.
제어부(24)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24)는 고속 데이터 전송(HDR) 서비스를 위한 제2 안테나 ANT2의 접속 여부 및 외부 단말의 연결 여부에 따라,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가 고속 데이터 전송(HDR)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인지에 따라, 스위치(36)를 제어하여 배터리 전원부(34)로부터 제2 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 BATT를 공급시키거나 차단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서브 바디 개방여부에 따른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배터리 전원부(34)로부터 제2 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 BATT를 공급시키거나 차단되게 한다.
배터리 전원부(34)는 스위치(36)를 통해서 배터리 전원 BATT를 제2 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로 공급하고, 제1 무선부(10)의 무선 송수신부(14)로는 어떠한 스위치 없이 바로 공급한다. 배터리 전원부(34)의 배터리 전원 BATT는 제1 무선부(10)의 무선송수신부(14) 및 제2 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 이외의 다른 회로부들에게도 공급되지만, 도 1에는 본 발명의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 무선부(10)의 무선송수신부(14) 및 제2 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로 공급되는 배터리 전원 BATT만을 도시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외부 단말 인터페이스부(26)는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외부단말과의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상기 외부 단말 인터페이스부(26)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USB(Universal Serial Bus),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장치일 수 있다. 표시부(28)는 제어부(24)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키입력부(30)는 다수의 숫자키들 및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24)로 출력한다. 메모리부(31)는 이동단말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와 제어부(24)의 동작 제어시 또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한 동작 수행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있다. 음성처리부(32)는 제어부(24)의 제어 하에, 제1 무선부(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중 음성데이터를 스피커(speaker)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microphone) MIC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제1 무선부(10)로 출력한다. 서브바디 개폐 감지부(38)는 키패드를 보호하기 위해 메인바디(main body)상에 서브바디(sub-body)가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접이형 단말기(foldable terminal)에 있어서의 서브바디의 열림과 닫힘을 감지하여 제어부(24)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HDR서비스를 위해 외부 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고 사용자에 의해 서브바디가 개방되면, 고속 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2개의 수신경로를 함께 사용하도록 한다. 요컨대, 제1 무선부(10) 및 제2 무선부(16)에 함께 배터리 전원 BATT를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10,16)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그에 따라 2개의 안테나(ANT1,2)를 사용한 공간다이버시티 기법으로 고속데이터의 수신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HDR 서비스를 위한 외부단말 연결이 없는 상태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HDR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일 경우에만 수신신호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2개의 수신경로를 함께 사용하도록 한다. HDR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가 아닐 경우 즉, 슬립모드(sleep mode), 아이들모드(idle mode), 음성통화를 위한 트래픽 모드, 저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일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부(34)의 배터리 전원 BATT가 제2무선부(16)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그에 따라 제1 무선부(10)에만 배터리 전원 BATT가 인가된다. 결과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제2 무선부(16)에 관련된 신호 처리를 하지않는 것만큼의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제2 무선부(16)에 공급해야 되는 만큼의 배터리 전원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2의 200단계 내지 208단계, 및 216단계는, HDR 서비스를 위해 외부 단말이 이동통신단말과 연결되거나 HDR서비스를 위해 외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된 후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개방되면, 고속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2개의 수신경로를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도 2의 206단계 내지 216단계는, HDR 서비스를 위한 외부단말 연결 또는 외부단말 연결후의 서브바디 개방이 없는 경우의 동작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가 HDR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가 될 경우에만 고속데이터를 정확하게 수신하기 위하여 2개의 수신경로를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HDR서비스 등을 위하여 외부단말을 이동통신단말에 연결하면, 제어부(24)는 도 2의 200단계에서 외부 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외부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는 외부단말 인터페이스부(26)를 통한 제어부(24)의 주기적인 검사에 의해 판단된다.
도 2의 200단계의 판단에서 외부 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되면, 제어부(24)는 도 2의 2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서브바디 개폐 여부를 검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외부단말을 연결하고 그 후 서브바디 개방을 하게 되면 사용자가 HDR서비스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 서브바디 개방은 서브바디 개폐 감지부(38)에 의해 감지되며, 그에 대응된 서브바디 개방신호가 제어부(24)에 제공된다.
그러면, 도 2의 202단계 후 제어부(24)는 도 2의 204단계로 진행하여, 서브바디 개방신호의 유무에 따라 서브바디가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서브바디가 개방되면 제어부(24)는 도 2의 216단계로 진행한다. 이에, 제어부(24)는 도 2의 216단계에서 제1 무선부(10) 및 제2 무선부(16)에 함께 배터리 전원 BATT를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10,16)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4)는 제1 무선부(10) 및 제2 무선부(16)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게 위해 스위치(36)를 온(on)시켜, 제2 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에도 배터리 전원부(34)의 배터리 전원 BATT가 공급되게 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24)는 2개의 안테나(ANT1,2)를 사용한 공간다이버시티 기법으로 고속데이터의 수신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외부단말을 연결한 후 서브바디 개방이 없으면 제어부(24)는 도 2의 206단계로 진행하여 외부 단말로 HDR서비스를 위한 연결인지를 확인하는 질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후 208단계로 진행하여 외부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도 2의 208단계의 판단에서, 상기 외부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있으면 제어부(24)는 도 2의 216단계로 진행하여 제1 무선부(10) 및 제2 무선부(16)에 함께 배터리 전원 BATT를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10,16)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24)는 제1 무선부(10) 및 제2 무선부(16)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게 위해 스위치(36)를 온(on)시켜, 제2 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에도 배터리 전원부(34)의 배터리 전원 BATT가 공급되게 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24)는 2개의 안테나(ANT1,2)를 사용한 공간다이버시티 기법으로 고속데이터의 수신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2의 208단계의 판단에서 상기 외부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없으면 제어부(24)는 도 2의 210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의 현재 모드를 검사한다. HDR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모드들로는, 슬립모드(sleep mode), 아이들모드(idle mode), 음성통화를 위한 트래픽 모드, 저속 데이터 서비스(예컨대, 전송속도: 14.4kbps, 64kbps, 154kbps 등)를 위한 트래픽 모드, 및 HDR서비스(전송속도: 순방향 최고 2.4Mbps, 역방향 최고 153.6Kbps)를 위한 트래픽 모드가 있다.
도 2의 21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부(24)는 도 2의 212단계로 진행하여, 단말기의 현재 모드가 HDR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인가를 판단한다. 단말기의 현재의 모드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프로토콜에 의해서 설정되며,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기지국 각각은 현재의 모드를 인식하고 있다. 만약 단말기의 현재 모드가 HDR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이면 216단계로 진행하여, 제1 무선부(10) 및 제2 무선부(16)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10,16)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하지만 도 2의 212단계의 판단에서 HDR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가 아닐 경우 즉, 슬립모드(sleep mode), 아이들모드(idle mode), 음성통화를 위한 트래픽 모드, 저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일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부(34)의 배터리 전원 BATT가 제2무선부(16)의 전용 무선 수신부(20)에 인가되지 않도록 스위치(36)를 오프시킨다. 그래서 HDR서비스를 위한 트래픽 모드가 아닐 경우에는 제2 무선부(16)에는 배터리 전원 BATT가 공급되지 않고 제1 무선부(10)에만 배터리 전원이 공급된다. 그 결과 제2 무선부(16)에 관련된 신호 처리를 하지 않는 것만큼의 제어부(24)의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줄일 수 있고, 제2 무선부(16)에 공급해야 되는 만큼의 배터리 전원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단말 연결 후 서브바디 개방 체크 또는 외부 단말로부터의 응답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배터리 전원공급 및 그에 대응된 무선부 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고속데이터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전력 소모와 두 개의 무선 수신부 관련된 각종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부하를 줄이게 된다.

Claims (1)

  1. 제1, 제2 안테나와, 상기 제1안테나에 연결되며 무선송신부 및 무선수신부를 구비하는 제1 무선부와, 상기 제2안테나에 연결되며 전용 무선수신부를 구비하는 제2 무선부를 포함하여,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 가능하며, 메인바디와 서브바디를 구성된 접이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이 외부 단말 연결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브바디가 개방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바디가 개방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단말로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를 위한 연결인지를 확인하는 질의를 하는 과정과,
    상기 질의에 따른 상기 외부단말로부터 응답 및 상기 서브바디 개방중 적어도 하나가 있으면 상기 제1 무선부 및 제2 무선부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없으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모드상태가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이면 상기 제1 무선부 및 제2 무선부에 함께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고, 제1 및 제2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의 트래픽모드가 아니면 상기 제2 무선부의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고, 제1 무선부 관련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2001-0071167A 2001-11-15 2001-11-15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448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167A KR100448267B1 (ko) 2001-11-15 2001-11-15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167A KR100448267B1 (ko) 2001-11-15 2001-11-15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744A KR20030040744A (ko) 2003-05-23
KR100448267B1 true KR100448267B1 (ko) 2004-09-10

Family

ID=2956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167A KR100448267B1 (ko) 2001-11-15 2001-11-15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6208A (ko) 2017-11-16 2019-05-24 임예지 홍채인식을 이용한 자동현관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3054A1 (en) * 1998-05-26 1999-12-08 Globalstar L.P.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hybrid battery/capacitor power supply
JP2000049688A (ja) * 1998-07-30 2000-02-18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基地局における消費電力制御方法及びその方式
WO2001045301A1 (en) * 1999-12-13 2001-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transmit antennas
KR20030035026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405046B1 (ko) * 2001-10-30 2003-11-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사용 이력 관리에 의한배터리 대기시간 증대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3054A1 (en) * 1998-05-26 1999-12-08 Globalstar L.P.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hybrid battery/capacitor power supply
JP2000049688A (ja) * 1998-07-30 2000-02-18 Nippon Denki Ido Tsushin Kk 無線基地局における消費電力制御方法及びその方式
WO2001045301A1 (en) * 1999-12-13 2001-06-2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transmit antennas
KR20030035026A (ko) * 2001-10-29 200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405046B1 (ko) * 2001-10-30 2003-11-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서비스 사용 이력 관리에 의한배터리 대기시간 증대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744A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7087B1 (ko) 고속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437088B1 (ko)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US8892164B2 (en) Modular cell phone for laptop computers
US7844220B2 (en) Headset, portable communication system, and headset calling method
EP2090084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ual mode bidirectional audio communication
KR20010101795A (ko) 근거리 통신 제어 링크를 사용하여 무선 전화와 유선 전화사이의 진행중인 전화 호 전달
WO2006008610A1 (en) Antenna module for mobile phone
TW200524322A (en) Bluetooth terminal
EP1463246A1 (en) Communication of conversational data between terminals over a radio link
JP2004304521A (ja) アンテナ回路及び無線送受信装置
JP2004201188A (ja) 携帯電話アンテナ切替回路
KR100448267B1 (ko)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접이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KR100430594B1 (ko) 고속 데이터 전송속도 서비스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동작 제어방법
JP2010028416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429605B1 (ko)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통신단말기에서 무선 헤드셋의볼륨 제어방법
KR20020046744A (ko) 차량용 무선 핸드프리 유니트
JP2001196997A (ja) 携帯電話機
JP2002185387A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データ通信制御方法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JP2003258718A (ja) 無線通信装置、節電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2290415A (ja) ブルートゥースを利用した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JPH11150490A (ja) 無線通信装置
KR20020079115A (ko) 근거리 다자간 통신이 가능한 휴대폰
KR20050122528A (ko) 트라이 모드 처리 무선단말기 장치 및 핸드오버 방법
JPH07312779A (ja) コードレス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