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016B1 - 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 Google Patents

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016B1
KR100446016B1 KR10-2001-0061367A KR20010061367A KR100446016B1 KR 100446016 B1 KR100446016 B1 KR 100446016B1 KR 20010061367 A KR20010061367 A KR 20010061367A KR 100446016 B1 KR100446016 B1 KR 10044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izer
user
management center
center server
edu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3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100116A (en
Inventor
김시명
Original Assignee
김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명 filed Critical 김시명
Priority to KR10-2001-006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6016B1/en
Publication of KR2001010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016B1/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지타이저에 놓여진 책자(교재)를 인식하여, 상기 책자(교재)에 대한 부연 정보들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하여 컴퓨터 미숙련자들도 손쉽게 책자(교재)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 응용 교육용 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입력하고, 사용자에게 동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들을 관리할 관리센타 서버;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정 책자(교재)의 교육내용을 갖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된 컨텐츠를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교육 컨텐츠 제작사 단말기; 상기 관리센타 서버에 기존의 사용자 교육과 디지타이저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전송을 위한 디지타이저용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의 전송용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센타 서버에서 전송될 사용자의 교육내용과 사용자의 사용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유아 및 초, 중, 고생을 교육시키기 위한 각 사용자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invention recognizes booklets (teaching materials) placed on the digitizer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so that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booklets (teaching material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so that even computer inexperienced users can easily read information related to booklets (teaching materi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based digitizer for obt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 education content producer terminal capable of producing content having education contents of a predetermined booklet (teaching material) to be provided to a user, and transmitting the produced content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to be provided to the user; A transmission terminal of a digitizer program produc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program related to an existing user education and a digitizer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And a terminal of each user for receiving education contents of the user to be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and information for the user's use, and for teaching infant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escription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특히,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디지타이저에 놓여진 책자(교재)를 인식하여, 상기 책자(교재)에 대한 부연 정보들이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도록 하여 컴퓨터 미숙련자들이 손쉽게 책자(교재)와 관련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인터넷 교육 컨텐츠의 전달 방법인 텍스트나 동영상등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학습 효과면이나 혹은 단말기를 다루기 어려운 유아들에게는 정보 획득이 불가능하며 스스로 학습을 하고 싶은 의욕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based digitizer.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booklet placed on the digitizer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so that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bookle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based digitizer that enables the computer unskilled person to easily obtain information related to a booklet. The existing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cquire information for the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in handling the terminal or learning effect, and the result is that the motivation to learn by themselves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On-Line)상의 교육용 컨텐츠 제공에 있어서, 서버에서 사용자의 단말기(PC)를 통하여 제공하는 각종 학습용 컨텐츠를 단말기(PC)에 장착되어있는 마우스를 통하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측에서 배포 또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디지타이저를 이용하여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여, 유아 등과 같이 컴퓨터 미숙련자들이 손쉽게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제공사에서 제작된 책자(책자(교재))를 디지타이저 위에 올려놓고 디지타이저에 부착된 펜 마우스를 이용하여 배포된 책위의 그림이나 글자를 선택하면 인터넷에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PC) 화면을 통해 책위의 그림 또는 글씨의 부연 설명이나 그림에 관련된 동영상, 구연동화등이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rough the terminal (PC) of the user in the server in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 on the Internet (On-Line) Rather than acquiring information through a mouse mounted on a terminal (PC), the learning contents are distributed or acquired by a digitizer possessed by a user so that the information is acquired by a computer unskilled person such as an infa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based digitizer to easily obtain the desired inform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a booklet (booklet) prepared by a content provider on a digitizer. Select the picture or text on the distributed book using the pen mouse attached to the If the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system for network-based digitizer to be provided, such as video, storytelling related to clarifications or drawing a picture or text in chaekwi through the connected user terminal (PC) screen on the Internet.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디지타이저 응용 통합정보 전달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izer application integrated information deliver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about main part of drawing ※

10 : 학습컨텐츠 교육 관리 센타 11 : 관리 센터 서버10: Learning Contents Education Management Center 11: Management Center Server

12 : 학습정보전달 처리시스템 13 : 디지타이저 관리시스템12: Learning Information Transfer Processing System 13: Digitizer Management System

14 : 데이터 베이스 20 : 사용자14: Database 20: User

21 : 디지타이저 22 : 홈페이지 접속 단축 버튼21: Digitizer 22: Homepage shortcut button

23 : 디지타이저용 펜 마우스23: pen mouse for digitizer

30 :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 31 : 교육 컨텐츠 제작사 단말기30: education content production system 31: education content production company terminal

40 : 디지타이저용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50 : 디지타이저 교육용 책자 제작 시스템40: program production system for digitizer 50: digitizer education book production system

51 : 디지타이저 교육용 책자 제작사 단말기51: digitizer educational book production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디지타이저 응용 교육용 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입력하고, 사용자에게 동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들을 관리할 관리센타 서버;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정 책자(교재)의 교육내용을 갖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된 컨텐츠를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교육 컨텐츠 제작사 단말기; 상기 관리센타 서버에 기존의 사용자 교육과 디지타이저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전송을 위한 디지타이저용 프로그램 제작 시스템의 전송용 단말기; 및 상기 관리센타 서버에서 전송될 사용자의 교육내용과 사용자의 사용을 위한 정보를 수신하고 유아 및 초, 중, 고생을 교육시키기 위한 각 사용자의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관리센타 서버는, 사용자 운영 및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단말기를 갖는 디지타이저 통합정보자원 관리시스템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단말기를 갖는 통합정보 전달 처리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는 디지타이저 및 디지타이저 펜 마우스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디지타이저 상부에 상기 관리센타 서버에 등록된 책자(교재)를 올려놓고, 책자(교재)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는, 터치 영역 정보를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센타 서버는, 터치 영역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등록된 컨텐츠를 상기 디지타이저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디지타이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링크된 교육용 홈페이지로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단축접속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는, 상기 디지타이저 상부에 놓여있는 책자(교재)의 그림 및 글씨의 부연설명, 그림에 관련된 해설이나 동영상, 구연동화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관리센타 서버는, 디지타이저의 위치 및 디지타이저에 놓인 책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작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for inputting information data on the digitizer application training program and operation,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user and manage users; An education content producer terminal capable of producing content having education contents of a predetermined booklet (teaching material) to be provided to a user, and transmitting the produced content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to be provided to the user; A transmission terminal of a digitizer program produc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program related to an existing user education and a digitizer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And a terminal of each user for receiving education contents of the user to be transmitt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and information for using the user, and for teaching infant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center server includes a digitizer integrate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system having a database related to user operations and educational contents, a terminal managing the database,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contents registered in the database to a user. In addition, the user's terminal further includes a digitizer and a digitizer pen mouse, and put a booklet (teaching material)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on the digitizer, and a booklet. When touch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extbook I, the touch area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registered content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touch area information to the digitizer to be output on the user's terminal screen. The digitizer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et homepage shortcut button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to a linked education homepag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Th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may include: It is characterized by at least one of the description of the booklet (textbook) and the text of the book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digitizer, commentary or video related to the picture, the storytelling. Providing a homepage designed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books And a go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도 1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시스템은 디지타이저 응용 컨텐츠 관리 센타(10)의 서버를 위주로 교육컨텐츠 제작(30) 단말기, 디지타이저 프로그램 제작(40) 단말기, 교육용 책자 제작(50) 단말기가 일체를 이루어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overall system is based on a server of the digitizer 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center 10. The education content production 30 terminal, the digitizer program production 40 terminal, and educational use The booklet production terminal 50 is integrated to form a system.

상기 교육 컨텐츠 제작(30) 단말기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제작된 기존에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교육을 하였던 다양하고 우수한 교육 컨텐츠(Contents)를 디지타이저 응용, 교육 회원에 가입한 사용자의 단말기로 관리 센터(10)의 서버를 통해 제공한다.그리고, 상기 디지타이저 프로그램 제작(40) 단말기는 관리 센터(10)의 서버와 각각의 사용자의 단말기 상호간에 디지타이저 응용 교육과정과 그 과정의 결과 데이터에 관련된 내용을 온라인(On-Line)을 통해 주고받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Network)를 구축하고, 교육용 책자와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운영되는 책자의 부연설명, 동화상, 음성정보 등을 일치하게 하여 사용자들이 스스로 학습을 할수 있게 디지타이저 프로그램을 관리 센터(10)의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제공해 준다.The education content production terminal 30 is a terminal of a user who subscribes to a digitizer application and a training member using various and excellent education contents that have been educated to users through the Internet. The digitizer program production 40 terminal provides contents related to the digitizer application training course and the result data of the process between the server of the management center 10 and the terminal of each user. Build a network to send and receive online, and digitizer for users to learn on their own by matching the descriptions, moving images, and voice information of educational books and books operated on the Internet homepage. The program is provided to the user's terminal through the server of the management center (10).

상기 첨부 도면 도 1에 의해 구현된 학습 시스템을 첨부 도면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기술하면,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 응용 컨텐츠 관리 센타(10)내의 서버(11)를 주축으로 구성된다.상기 디지타이저 응용 컨텐츠 관리센타(10)내의 서버(11)는 사용자 운영 및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14)를 갖고 있으며, 교육 내용은 유아용 교육 내용, 초,중,고 학습 교육 내용, 외국어 교육 내용, 수학교육 내용, 기타 학습용 교육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다.또한 상기 서버(11)는 상기 데이터베이스(14)를 관리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 통합정보자원 관리시스템(13)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4)를 사용자에 보내줄 수 있는 통합정보전달 처리시스템(12)을 포함하고 있다.그리고, 상기 서버(11)의 데이터베이스(14)는 교육 컨텐츠(30)와 교육용 책자(50)의 교육 내용을 위주로 하여 구성된다.그리고, 인터넷 교육 컨텐츠를 제작하는 디지타이저용 교육 프로그램 입력 시스템(30)과 교육용 책자 제작 시스템(50)은 각 기능이 디지타이저 프로그램(40)을 통하여 디지타이저에 결합된 교육 컨텐츠를 디지타이저 응용 컨텐츠 관리센터(10)내의 서버(11)에 입력 관리하기 위한 단말기(31)(51)를 각각 보유한다.또한, 디지타이저 응용 컨텐츠 관리센터(10)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 운영과 교육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디지타이저 응용 교육 프로그램 사용자(20)의 단말기로 전달하기 위하여 각 사용자는 디지타이저 응용 컨텐츠 교육에 관련된 내용을 수신하고 질의 응답 할 수 있는 디지타이저(21)를 보유한다.즉, 사용자가 디지타이저용으로 개발된 책자(교재)를 상기 디지타이저(21)에 올려놓으면, 상기 디지타이저(21)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관리센타 서버(11)로 책자(교재)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센타 서버(11)는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상에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책자(교재)와 동일한 책자(교재)가 표출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디지타이저용 펜 마우스를 이용하여 책자(교재)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매칭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리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화면상에 표출되도록 한다.또한, 상기 디지타이저(21)와 디지타이저에 부착된 홈페이지 접속 단축 버튼(22)을 통하여 홈페이지에 자동 접속하며 디지타이저용 펜 마우스(23)을 통하여 배포된 책자를 통하여 스스로 학습을 한다.또한, 각 사용자(20)는 사용자 운영 및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수시로 디지타이저 응용 교육 컨텐츠 관리센터(10)에 전송하여 관리 센터가 각 사용자들을 관리 감독할 수 있도록 한다.The learning system implemen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s shown in FIG. 2, the server 11 in the digitizer 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center 10 is mainly configured. The server 11 in the digitizer 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center 10 has a database 14 related to user operation and education content, and the education content is education content for infant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and foreign languages. Education content, mathematics education content, other educational content, etc. The server 11 also includes a digitizer integrate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system 13 capable of managing the database 14, and the database. And an integrated information transfer processing system 12 capable of sending the user 14 to the user. The database 14 of the server 11 includes educational content 3. 0) and education booklets 50, and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booklet 50. The education program input system 30 and the education booklet production system 50 for digitizers for producing Internet education content have respective functions as digitizer programs (40). Each of the terminals 31 and 51 for input and management of the educational content coupled to the digitizer to the server 11 in the digitizer 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center 10 is also provided. The digitizer application content management center 10 Each user has a digitizer 21 that can receive and answer questions related to digitizer application content education to deliver a database of user operations and training possessed by the digitizer application education program user 20. That is, when the user puts a booklet (teaching material) developed for the digitizer on the digitizer 21, The digitizer 21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 booklet (teaching material)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11 through the user's terminal, and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11 holds a booklet (teaching material) possessed by the user on the screen of the user's terminal. When the user touch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booklet using the digitizer pen mouse, the user reads the content stored in the database from the database and displays it on the user's terminal screen. In addition, the homepage is automatically connected to the homepage through the digitizer 21 and the homepage connection shortcut button 22 attached to the digitizer, and self-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a booklet distributed through the digitizer pen mouse 23. Each user 20 transmits and manages contents related to user operation and training from time to time to the digitizer application education content management center 10. Allow the center to supervise each user.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하지만 새로 발명된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법은 책이라는 매개체를 통하여 컴퓨터나 인터넷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특히 유아들이나 초등학교 저학년들의 학습을 스스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도구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발명은 책과 디지타이저를 통하여 학문적인 학습을 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연스럽게 단말기(PC)와 인터넷에 관련된 교육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또한, 본 발명은 학생을 둔 학부모들의 사 교육비를 줄여주며, 정형화되어 있고 천편일률적인 인터넷 교육에 대한 불신을 디지타이저와 응용 책자(교재)들의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하여 스스로 학습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As discussed above, however, the newly invented digitizer learning method is a tool that serves as a supplementary tool to help the computer and the internet to eliminate the objection to the computer or the Internet through book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not only academic learning through books and digitizers, but also naturally seeing educational effects related to the terminal (PC) and the Internet.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cost of private education for parents with students, and can lay the groundwork for self-learning using various contents of digitizers and applied booklets (textbooks) for the distrust of formal and uniform Internet education. To provide students with a new educational system The.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들의 측면에서 보면 과다한 사교육비의 해결과 스스로 학습을 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 저가로 양질의 컨텐츠를 확보할 수 있으며, 관리센터와 연계되어 On-Line 교육의 새로운 기회를 갖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유아의 경우 디지타이저를 통한 학습과 함께 자연스러운 IT교육도 병행 할 수 있으며, 초등학교의 경우는 영어등 외국에 학습의 부책자(교재)로도 채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from the user's perspecti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undation for solving excessive tutoring expenses and self-learning, ensuring high quality content at low cost, and providing new opportunities for on-line training in connection with management centers. You can have i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fants, natural IT education can be combined with learning through a digitizer, a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it can be adopted as a booklet (learning material) of learning abroad such as English.

또한, 본 발명은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교육 방법으로 교육의 표준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체계적인 커리큘럼 및 우수한 교사 확보 및 교육 환경과 안전성 등을 고루 갖춘 전문 교육기관을 설립함으로써 선진국 수준의 교육을 저렴하고 빠르게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accelerate the standardization of education by using a digitizer-based teaching method, and by establishing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has a systematic curriculum, excellent teachers, and 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afety, the education of advanced countries can be made cheaper. It is effective to make it happen quickly.

Claims (6)

디지타이저 응용 교육용 프로그램과 운영에 관한 정보데이터를 입력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전송하고 사용자들을 관리하는 한편,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터치영역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터치 영역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컨텐츠를 전송하는 관리센타 서버;Input information data related to the digitizer application educational program and operation, transmit the program and data to the user, and manage the users, receive the touch are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utside, and transmit the stored contents matched to the touch area information. A management center server;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정 책자(교재)의 교육내용을 갖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제작된 컨텐츠를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하는 교육 컨텐츠 제작사 단말기;An education content producer terminal capable of producing content having education contents of a predetermined booklet (teaching material) to be provided to a user, and transmitting the produced content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to be provided to the user; 상기 관리센타 서버에 기존의 사용자 교육과 디지타이저와 관련된 프로그램의 전송을 위한 디지타이저 프로그램용 제작 시스템의 전송용 단말기; 및A transmission terminal of a production system for a digitizer program for transmitting an existing user education and a program related to a digitizer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And 디지타이저 및 디지타이저 펜 마우스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디지타이저 상부에 상기 관리센타 서버에 등록된 교재를 올려놓고, 교재의 소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상기 디지타이저를 통해 입력되는 터치 영역 정보를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터치 영역 정보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수신받아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하여 유아 및 초, 중, 고등 학생을 교육시키기 위한 각 사용자의 단말기;A digitizer and a digitizer pen mouse are further included, and when a textbook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is placed on the digitizer and touches a predetermined area of the textbook, the touch area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digitizer is transferred to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A terminal of each user for educating infant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ent matching the touch area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to be output on a screen;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Learning system applying the network-based digitizer,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clud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타 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사용자 운영 및 교육 컨텐츠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단말기를 갖는 디지타이저 통합정보자원 관리시스템과,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단말기를 갖는 통합정보 전달 처리시스템,A digitizer integrate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system having a database related to user operation and education content, a terminal for managing the database, and a terminal for transmitting contents registered in the database to a user;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네트워크 기반 응용한 학습 시스템.Network-based network-based applied lear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타이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izer,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링크된 교육용 홈페이지로 자동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넷 홈페이지 단축접속버튼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based digitizer further comprises a shortcut button for internet homepage for automatically accessing a linked educational homepage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는,According to claim 1, Content provid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상기 디지타이저 상부에 놓여있는 책자(교재)의 그림 및 글씨의 부연설명, 그림에 관련된 해설이나 동영상, 구연동화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based digitiz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description of the picture and text of the booklet (teaching material) placed on the digitizer, commentary or video related to the picture, the storytel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센타 서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디지타이저의 위치 및 디지타이저에 놓인 책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제작된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기반의 디지타이저를 응용한 학습 시스템.A learning system using a network-based digitizer,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homepage designed to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digitizer and the position of the book placed on the digitizer.
KR10-2001-0061367A 2001-10-05 2001-10-05 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KR1004460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67A KR100446016B1 (en) 2001-10-05 2001-10-05 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367A KR100446016B1 (en) 2001-10-05 2001-10-05 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116A KR20010100116A (en) 2001-11-14
KR100446016B1 true KR100446016B1 (en) 2004-08-30

Family

ID=4577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367A KR100446016B1 (en) 2001-10-05 2001-10-05 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016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116A (en)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dwin-Jones The evolving roles of language teachers: Trained coders, local researchers, global citizens
Kingsley et al. Internet inquiry: Fundamental competencies for online comprehension
Matengu et al.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acticums: A literature review
Rennie et al. Digital learning: The key concepts
Thien et al. Applying Edmodo to serve an online distance learning system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Nong Lam University, Vietnam
Alizadeh et al. Case study 10, Japan: Smartphone virtual reality for tourism education—A case study
Billings The" next generation" distance education: Beyond access and convenience
Elkhoury et al. Designing for every student: Practical advice for instructional designers on applying social justice in learning design
JP2009070350A (en) Program for questioning and answering in direct association with arbitrary character string in educational materia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ACRL standards: Information literacy compentenc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KR20000054844A (en) Method of education by a 3D cyber character, 3D cyber education space and realtime mutual voice supports at internet
KR20140122415A (en) Method for generat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Elnadeef Transformative pedagogy towards using internet of things in teaching English at King Khalid University context from Digital Native Perspective
KR100446016B1 (en) Digitizer-adapted learning system based on network
Kearney-Volpe et al. Tangible Progress: Tools, Techniques, and Impacts of Teaching Web Development to Screen Reader Users
Haq Blended Learning Design For English Teaching: An Empirical Case Of Edmodo In Efl Class
Manichander Innovative Technology in Teacher Education
Sharmila ICT in education
Godfrey et al. Global perspectives on mobile learning in home economics/family and consumer sciences
Sanchez-Villalon et al. Multimedia integration for language e-learning: Content, context and the e-dossier.
Park Online learning of visual design course: Framework for the interactive learning
KR20000054708A (en) The extracting system for learning problems by the self-diagnosis on the internet, and the method for that
Lessa et al. Critical evaluation and use of digital information sources by distance library students from the Universidade Federal da Bahia: an analysis based on the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ACRL
Edries et al. Sign L-The Development of Sign Language System for Primary School Student
KR20010000850A (en) Preparatory fine art school sit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student attendance st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