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673B1 -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673B1
KR100442673B1 KR10-2001-0047026A KR20010047026A KR100442673B1 KR 100442673 B1 KR100442673 B1 KR 100442673B1 KR 20010047026 A KR20010047026 A KR 20010047026A KR 100442673 B1 KR100442673 B1 KR 10044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oadcast
channel
outpu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667A (ko
Inventor
임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1-0047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6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1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04H40/2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 H04H40/90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 - 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atellite broadcast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07Interfacing a plurality of external cards, e.g. through a DVB Common Interface [DVB-C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MPEG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성 방송 송수신 세트는 스크램블링 또는 비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역다중화 및 복조화시켜 소정의 유선 라인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무선 채널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원격 수신 세트는 위성 방송 송수신 세트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복조시켜 비디오 신호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하고,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스피커에 출력한다.
그 결과, 유료 방송을 위한 스크램블 방식 가운데 CI 규격을 채택한 다수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설계하므로써 하나의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이한 디지털 위성 방송 채널의 유/무료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수개의 유/무료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하나의 셋탑 박스를 통해 수신되는 유/무료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System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 multi-channel sig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위성 방송수신기에서 공통 인터페이스(COMMON INTERFACE; 이하 CI) 방식으로 스크램블(Scramble)이 걸려 있는 다중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행 대부분의 디지털 위성 방송 방식은 엠펙(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규격을 따르고 있다. 방송용 MPEG 규격인 MPEG-2는 국제 표준인 ISO/IEC 13818-1 내지 3에 규정되어 있는데, 이들은 각각 ISO/IEC 13818-1(시스템 규격), ISO/IEC 13818-2(비디오 규격), ISO/IEC 13818-3(오디오 규격)이다. 여기서, 시스템 규격은 시간 다중화된(time_multiplexed) 신호열인 트랜스포트 스트림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에 관한 규정이다.
이러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은 188 바이트로 구성된 신호이고, 이 신호는 크게 헤더(Head) 부분과 페이로드(Payload)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이때, 헤더 부분에는 신호의 시작을 알려주는 정보와 페이로드 부분에 실려있는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나타내주는 패킷 확인자(PID; Packet Identifier) 번호가 들어있으며, 페이로드 부분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 정보, 음성 정보, 또는 부가 정보가 실려있다.
이때 PID 번호는 시간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PID를 보고 현재의 패킷이 비디오 패킷인지 오디오 패킷인지, 또는 부가 정보 패킷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디지털 위성 방송은 크게 무료 방송과 유료 방송으로 나눌 수 있다.
여러 개의 디지털 위성 방송의 무료 방송을 동시에 받아 보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튜너와 여러 개의 MPEG 디멀티플렉서/디코더(DEMUX/DECODER) 등을 설치해야 하나, 여러 개의 디지털 위성 방송의 유료 방송을 동시에 받아보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과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위성 방송수신기에서 공통 인터페이스(CI) 방식으로 스크램블이 걸려 있는 다중의 위성 방송 신호를 원격지에서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채널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상기한 도 5의 일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신호 수신부 112, 114 : 튜너/채널 복조기
120 : 디스크램블링부 122, 124 : PCMCIA 소켓
130 :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 132 : TS 인터페이스부
134 : 호스트 인터페이스부 136 : I2C 인터페이스부
140 : 호스트 CPU 150 : 신호출력부
160 : 스위칭부 170 : 메인 방송수신 세트
180 : 무선 송신부 200 : 원격 수신 세트
210 : 무선 수신부 220 : 원격 방송수신 세트
230 : 원격 제어부(RF RCU)
152, 154 : 역다중화기/MPEG 복호기/아날로그 인코더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는, 스크램블링 또는 비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역다중화 및 복조화시켜 소정의 유선 라인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소정의 무선 채널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위성 방송수신 세트; 및
상기 위성 방송수신 세트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복조시켜 상기 비디오 신호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스피커에 출력하는 복수의 원격 수신 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원격 수신 세트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성 방송수신 세트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경유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크램블링부;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조화시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상기 A/V 스위치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A/V 신호를 상기 원격 수신 세트에 무선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 및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방송 신호의 유료 여부를 체크하여, (ⅰ) 무료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출력부에 바이패스하고, (ⅱ) 유료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램블링부에 디스크램블링을 요청하고, 그의 응답에 따라 제공되는 디스크램블링된 위성 방송 신호를 상기 신호출력부에 출력하는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상기 신호출력부를 제어하는 호스트 CPU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한 호스트 CPU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설정하는 A/V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스크램블링 또는 비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역다중화 및 복조화시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위성 방송 신호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수신기의 구동에 따라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하나 이상의 수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방송 신호가 미수신되는 경우에는 노시그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신호의 유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무료 방송 신호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소정의 유선 라인을 통해 연결된 방송수신 세트측에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단계(b)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유료 방송 신호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1 디스크램블링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디스크램블링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소정의 유선 라인을 통해 연결된 방송수신 세트측에 출력하는 단계;
(e) 원격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수신 세트로부터 위성 방송 신호의 무선 수신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f) 상기 단계(e)에서 무선 수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수신 요청 신호가 현재 출력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g) 상기 단계(f)에서 현재 출력중인 방송 채널인 경우에는 유/무료 여부를 체크하여, 무료 채널인 경우에는 무선 채널로 변환하여 상기 원격 수신 세트측에 송출하는 단계;
(h) 상기 단계(g)에서 유료 채널인 경우에는 해당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제2 디스크램블링 수단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디스크램블링 수단의 부재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단계(h)에서 제2 디스크램블링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방송 신호를 제2 디스크램블링하고, 디스크램블링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호화한 후 무선 채널로 변환하여 상기 원격 수신 세트측에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유료 방송을 위한 스크램블 방식 가운데 CI 규격을 채택한 다수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설계하므로써 하나의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이한 디지털 위성 방송 채널의 유/무료 방송을 수신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다수개의 유/무료 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도 하나의 셋탑 박스를 통해 수신되는 유/무료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면,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수신 장치는 신호 수신부(110), 디스크램블링부(120),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 호스트 CPU(140) 및 신호출력부(150)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10)는 복수의 튜너를 포함하여, 각각의 튜너에 연결된 안테나를 경유하여 복수의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제공받아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에 출력한다.
디스크램블링부(120)는 복수의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 즉 복수의 CI 모듈(122, 124, ..., 12n)을 포함하여,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스크램블링 처리된 위성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 처리하고, 디스크램블링 처리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에 출력한다. 여기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는 바이억세스(Viaccess), 코낙(Conax), 크립웍스(Cryptwork), 이르데토(Irdeto) 및 나그로비젼(Nagravision)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스크램블링되어 입력될 수 있다.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속성을 체크하여 무료 방송 신호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신호출력부(150)에 바이패스 출력하고, 유료 방송 신호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디스크램블링부(120)에 출력하며, 디스크램블링부(120)로부터 피드백되어 입력되는 디스크램블링 처리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제공받아 신호출력부(150)에 출력한다.
호스트 CPU(140)는 신호 수신부(110),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 및 신호출력부(150)를 제어하는데, 보다 상세히는, 디지털 위성 방송기의 다중 채널 수신 장치의 구동에 따라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를 리셋하여 초기화하고,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로부터 디스크램블링부(120)의 각 CI 모듈의 상태를 체크한 신호에 따라 호스트 CPU(140)에 전달하면, 호스트 CPU(140)는 디스크램블링부(120)의 각 CI 모듈을 초기화한다.
이때 호스트 CPU(140)는 각 CI 모듈을 판단하여 어떤 종류의 CI 모듈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어떤 종류의 CI 모듈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체크하는 이유는 어느 하나의 CI 모듈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하나의 위성 방송 신호를 다른 하나의 CI 모듈을 사용하기 위함이다.
신호출력부(150)는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40)로부터 제공되는 무료 방송 타입의 위성 방송 신호나 디스크램블링 처리된 위성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조시켜 각각 A/V 신호(A1,V1)(A2, V2),...,(An, Vn)를 출력한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부(130)는 TS 인터페이스부(132), 호스트 인터페이스부(134) 및 I2C 인터페이스부(136)를 포함한다.
TS 인터페이스부(132)는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n개의 TS 신호를 입력받아서 m개의 CI 모듈과 TS를 주고받은 후 n개의 TS 신호를 신호출력부(150)에 출력한다. 여기서, TS_IN_1(TS_OUT_1), TS_IN_2(TS_OUT_2), ...., 및 TS_IN_n(TS_OUT_n)과 TS_IN_M1(TS_OUT_M1), TS_IN_M2(TS_OUT_M2), ...., 및 TS_IN_Mm(TS_OUT_Mm)은 매트릭스 구조로서 어떠한 TS 입력단과 어떠한 TS 출력단과도 연결될 수 있고, 각 연결은 I2C 라인으로 호스트 CPU(140)로부터 제어받는다. 만약 신호 수신부(110)로부터 출력되는 TS_IN_n이 스크램블 신호가 아닌 무료방송신호라면 신호출력단(150)으로 직접 출력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부(134)는 각 CI 모듈(122, 124, ..., 12n)을 제어하기 위해 호스트 CPU(140)와 CI 모듈(122, 124, ..., 12n)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호스트 CPU(140)와 연결되는 제어 신호(141)는 RESET, CE(CHIP ENABLE), RD(READ), WR(WRITE), WAIT/ACK, INT(INTERRUPT) 등의 신호가 된다. 또한 호스트 인터페이스부(134)로부터 출력되어 디스크램블링부(120)와 연결되는 신호는 크게 각 모듈에 연결되어 각 모듈을 제어하는 신호와, 전체 모듈에 연결되어 전체 모듈을 제어하는 신호로 나눌 수 있다.
보다 상세히는, 각 모듈을 제어하는 신호에는 RESET, CD(CARD DETECT), CE(CARD ENABLE), READY/ACK, WAIT 등과 같이 각 개별 모듈 별로 제어해야 하는 신호이다. 또한 전체 모듈을 제어하는 신호는 OE(OUTPUT ENABLE), WE(WRITE ENABLE), READ, WRITE 등의 신호이다.
또한 호스트 인터페이스부(134)의 다른 기능으로는 어드레스/데이터 버스(ADDRESS/DATA BUS)의 버퍼 제어 기능이다. 이때 어드레스/데이터 버스는 호스트 CPU(140)에서 전체 모듈에 직접 연결되는데, 각 버스 라인에는 제어 가능한 버퍼가 사용된다. 또한 어드레스/데이터 버스는 호스트 CPU(140)와 메모리 사이의 버스와 공용하므로 버퍼를 사용하여 모듈의 데이터와 메모리의 데이터가 혼선이 되지 않도록 한다. 호스트 인터페이스부(134)에서 이 버퍼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I2C 인터페이스부(136)는 TS 인터페이스부(132)로부터 출력되어 신호출력부(150)에 입력되는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TS_OUT_1, TS_OUT_2,..., TS_OUT_n)에 따라 구동되어 TS 인터페이스부(132)와 호스트 인터페이스(134)의 구동을 각각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채널 수신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채널 수신 장치는 제1 및 제2 튜너/채널 복조기(112)(114),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 제1 및 제2 역다중화기/MPEG 복호기/아날로그 인코더(152)(154), 제1 및 제2 PCMCIA 소켓(122)(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공통 인터페이스(CI; Common Interface) 방식을 통해 다중의 스크램블이 걸려있는 위성 방송 신호들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수신기이다.
제1 및 제2 튜너/채널 복조기(112)(114)는 각각 상이한 위성 방송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여, 수신된 각각의 TS을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700)에 출력한다. 이때까지는 디스크램블되지 않은 상태의 TS이고, 각각의 튜너/채널 복조기(112)(114)는 제1 역다중화기/MPEG 복호기/아날로그 인코더(154)에 내장된 호스트 CPU(155)에 의해 제어된다.
호스트 CPU(155)가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를 초기화하면 제1 및 제2 PCMCIA 소켓(122)(124)에 삽입되어 있는 조건부 억세스 모듈(Conditional Access Module; 이하 CAM)(도시하지 않음)을 초기화한다. 우선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가 초기화되면 제1 및 제2 튜너/채널 복조기(112)(114)로부터 입력되는 채널중 록킹(Locking)되어 있는 제1 입력 신호(TS_IN_1)를 제2 역다중화기/MPEG 복호기/아날로그 인코더(154)에 제1 출력 신호(TS_OUT_1) 형태로 바이패스 출력한다.
호스트 CPU(155)는 TS가 무료 또는 유료방송인지를 확인하여, 무료방송이면 이 TS를 MPEG2 복호기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엔코딩한 후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TS를 분석한 결과 유료방송이면, 어떤 방식의 스크램블방식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CAM의 입출력단(TS_IN/OUT)을 연결하도록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에 명령을 주고,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매트릭스 스위치를 이용하여 해당 CAM으로 TS를 입력시킨 후 디스크램블되어 피드백되는 신호를 역다중화기(DEMUX)로 출력시킨다. 그런 다음 MPEG2 복호기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인코딩한 후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동시에 두 채널의 스크램블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크램블링 처리하여 각각 독립적인 비디오/오디오 출력을 내기 위해서는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다음과 같이 매트릭스 스위치를 구동해야 한다.
즉,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제1 및 제2 튜너/채널 복조기(112)(114)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입력 신호(TS_IN_1, TS_IN_2)를 제공받아 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1 PCMCIA 소켓(122)에 인가하고, 나머지 어느 하나의 신호를 제2 PCMCIA 소켓(124)에 인가하여야 한다.
또한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제1 및 제2 튜너/채널 복조기(112)(114)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 입력 신호(TS_IN_1, TS_IN_2)가 무료 방식일 경우에는 제1 및 제2 역다중화기/MPEG 복호기/아날로그 인코더(152)(154)에 각각 바이패스 출력한다.
그러면, 각각 안테나를 통해 2개의 위성 방송 신호가 동시 입력되어 이를 출력하는 경우의 다양한 예를 설명한다.
먼저 1개의 TP 소스(TS_IN_1만 사용)만 사용하는 경우에, 공통 인터페이스제어기(130)가 초기화하면 호스트 CPU(155)는 제1 튜너/채널 복조기(112)로부터 출력되는 제1 입력 신호(TS_IN_1)를 분석하여 무료 방송인지, 유료 방송인지를 확인한다. 만일 무료 방송이면 상기 TS는 제1 역다중화기/MPEG 복호기/아날로그 인코더(154)를 거쳐 제1 오디오/비디오(A1/V1)를 출력한다.
또한 TS를 분석한 결과 유료 방송이면, 어떤 방식의 스크램블인지를 확인하여 해당 CI 모듈의 입/출력단, 즉 PCMCIA 소켓을 연결하도록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에 명령을 주고,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매트릭스 스위치를 연결한다. 채널이 바뀌어 다른 스크램블 방식의 방송을 받으면 호스트 CPU(155)는 어떤 방식의 스크램블인지를 확인하여 다시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에 어떤 CI 모듈, 즉 PCMCIA 소켓을 사용할 것인지를 알려주고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이를 수행한다.
또한 여러 개의 TP 소스를 사용하는 경우도 기본적인 동작은 1개의 TP 소스만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과 같다. 다만 동일 방식으로 스크램블이 되어 있는 여러 TP를 동시에 받아 보는 경우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튜너/채널 복조기(112)(114)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즉 제1 및 제2 입력 신호(TS_IN_1, TS_IN_2)가 동일 방식으로 스크램블된 TS이다. 만약 이 방식의 CI 모듈, 즉 PCMCIA 소켓을 두 개 사용하고 있다면 호스트 CPU(155)는 이를 각 TS 입력에 하나씩 할당한다. 이 경우 동일 스크램블 방식의 TS도 같이 볼 수 있다.
그러나 PCMCIA 소켓이 하나만 있다면 제1 입력 신호(TS_IN_1)를 이에 할당하고 제2 입력 신호(TS_IN_2)에 대해서는 할당할 PCMCIA 소켓이 없으므로 호스트 CPU(155)는 이에 대한 경과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채널 수신 장치의 신호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디지털 위성 방송수신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되면 2개의 채널 복조기중 한쪽의 채널 수신부가 록킹되어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 후 무료방송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무료방송이면 CI모듈, 즉 PCMCIA 소켓을 거치지 않고 역다중화기(DEMUX)로 출력시킨 다음, MPEG2 복호화 처리 및 아날로그 인코딩한 후 최종적으로 비디오 오디오를 출력한다.
또한 유료방송이라면 스크램블링된 유료방송이므로 PCMCIA 소켓에 CAM이 삽입되어 있는지 확인 후 유료방송과 동일한 CAM이라면 스크램블된 방송을 인가시킨다. 디스크램블한 후 역다중화기(DEMUX)로 출력시킨다. 이때 PCMCIA 소켓에도 동일한 방식의 CAM이 삽입되어 있다면 PCMCIA 소켓의 출력을 다른 PCMCIA 소켓으로 인가시킨 후 역다중화기(DEMUX)로 출력한 후 MPEG2 복호화 처리 및 아날로그 인코딩한 후 비디오,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제1 PCMCIA 소켓(122)이 스크램블된 방송 방식과 다른 CAM이거나 혹은 동일한 CAM 그리고 CAM이 미삽입되어 있다면, 제2 PCMCIA 소켓(124)으로 인가시킨다. 이때 제1 PCMCIA 소켓(122)에 삽입되어 있는 CAM이 스크램블된 유료방송과 동일한 방식의 CAM일 때만 스크램블된 유료 방송 신호를 인가시킨다.
이 경우가 아니라면 제1 및 제2 PCMCIA 소켓(112, 114)에 CAM이 없거나, 동일한 CAM이 있더라도 적합한 스마트 카드가 없을 경우이므로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
다른 채널 수신부가 선택되어지면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채널이 록킹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무료 방송인지 여부를 체크하고, 무료 방송이면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PCMCIA 소켓을 거치지 않고 역다중화기로 출력시키는데, 위의 채널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 역다중화기로 출력되어야만 한다.
유료 방송이면 다른 채널이 사용하고 있지 않는 CI 모듈로 스크램블된 유료방송 신호를 인가해야 하고, 이때 사용되고 있지 않는 CI 모듈 슬롯에는 스크램블된 방송 신호와 동일한 방식의 CAM이 삽입되어 있어야만 한다. 다른 채널 신호가 없을 경우는 위의 채널 신호의 처리 흐름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의 처리 방법을 하기 하는 표 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CI 입력\CI 출력 TS_OUT_1 TS_OUT_2
무료 방송일 경우 TS_IN_1 CI 바이패스
TS_IN_2 CI 바이패스
TS_IN_1이유료 방송일 경우 CI 모듈 A(910)/CI 모듈 B(920)/CI 모듈 A(910) to B(920)/TS_IN_2 바이패스 CI 모듈 A(910)/CI 모듈 B(920)/TS_IN_2 바이패스
TS_IN_2가유료 방송일 경우 CI 모듈 A(910)/CI 모듈 B(920)/CI 모듈 A(910) to B(920)/TS_IN_1 바이패스 CI 모듈 A(910)/CI 모듈 B(920)/TS_IN_1 바이패스
TS_IN_1과 TS_IN_2이모두 유료 CI 모듈 A(910)/CI 모듈 B(920)/CI 모듈 A(910) to B(920) CI 모듈 A(910)/CI 모듈 B(920)/
여기서, 각각의 출력은 동시에 같은 입력을 선택할 수 없고, 단지 하나의 입력단과 연결된다.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입력신호(TS_IN_1, TS_IN_2)가 무료방송일 경우에,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는 각각의 채널부(610, 620)에서 입력되어지는 제1 입력 신호(TS_IN_1)와 제2 입력 신호(TS_IN_2)를 CI 모듈(910, 920)을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시키는데, 이때 제1 및 제2 출력 신호(TS_OUT_1, TS_OUT_2)에 연결될 수 있다. 단 1개의 출력에 동시에 2개의 입력 모두 연결할 수는 없다.
또한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입력 신호(TS_IN_1)가 유료방송일 경우에, 제2 입력 신호(TS_IN_2)는 무료방송의 경우 혹은 신호가 없을 경우이므로, 제2 입력 신호(TS_IN_2)는 바이패스 출력한다.
제1 입력 신호(TS_IN_1)가 출력될 수 있는 것은 제1 및 제2 출력 신호(TS_OUT_1, TS_OUT_2) 모두 가능하다. 이때 CI 모듈에 삽입되어 있는 CAM에 따라 연결이 달라진다. 즉, 제1 CI 모듈(PCMCIA 소켓(910))에 제1 입력 신호(TS_IN_1)의 유료 방송과 동일한 형태의 CAM이 삽입되어 있다면 제1 CI 모듈에서 디스크램블링하여 제1 또는 제2 출력 경로(TS_OUT_1 혹은 TS_OUT_2)로 출력을 내보낼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CI 모듈(PCMCIA 소켓(910, 920)) 모두에 CAM이 삽입되어 있을 경우 제1 CI 모듈PCMCIA 소켓(910)의 출력을 제2 PCMCIA 소켓(920)으로 인가시키는 경우가 있다.
또한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입력 신호(TS_IN_2)가 유료 방송일 경우에, 제1 입력 신호(TS_IN_1)가 유료 방송일 경우와 동일하고 단지 TS_IN_1 대신TS_IN_2로 대체하면 된다.
또한 표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입력 신호(TS_IN_1, TS_IN_2) 모두가 유료 방송일 경우에, 제1 입력 신호(TS_IN_1)의 유료방송과 동일한 CAM이 있는 슬롯으로 인가하고, 제2 입력 신호(TS_IN_2)의 유료방송과 동일한 CAM이 있는 슬롯으로 인가하고, 제1 출력인 TS_OUT_1은 CI모듈 A혹은 B중에 어느 쪽으로 호스트 CPU(812)에 의해 정해지면 제2 출력인 TS_OUT_2는 다른 쪽 CI모듈 출력으로 연결된다. 스크램블된 유료 방송이 다른 방식으로 되어 있고, CI 모듈의 CAM이 동일할 때, 이 때 스크램블된 유료 방송중 하나의 방송이 공통의 CAM 방식과 동일한 경우 CI모듈 A로 먼저 스크램블된 신호를 인가 후 다시 CI 모듈 B로 인가 후 출력으로 내보낸다. 이때 호스트 CPU에 의해 출력이 제1 출력, TS_OUT_1이 될지 제2 출력 TS_OUT_2가 될지 결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수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채널의 선택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100), 제1 채널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1 채널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200). 단계 S200에서 제1 채널이 미수신된 경우에는 신호가 없다는 노시그널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10). 또한 단계 S200에서 제1 채널이 수신된 경우에는 무료 방송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220), 무료 방송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CI를 바이패스하여 제1 또는 제2 복조기에 출력한다(단계 S230).
단계 S220에서 유료 방송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1 PCMCIA 소켓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40), 제1 PCMCIA 소켓이 존재한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1 PCMCIA 소켓에 제1 채널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크램블링한 후 제1 또는 제2 복조기 또는 제2 PCMCIA에 동일한 CAM이 있는 경우에는 제2 CI 모듈로 전송한다(단계 S250).
단계 S240에서 제1 PCMCIA 소켓이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PCMCIA 소켓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260), 제2 PCMCIA 소켓이 존재한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2 PCMCIA 소켓에 제1 채널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크램블링한 후 제1 또는 제2 복조기에 출력한다(단계 S270). 또한 단계 S260에서 제2 PCMCIA 소켓이 미존재한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유료 방송에 적합한 스마트 카드의 부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80).
단계 S100에서 제2 채널이 선택된 경우에는 제2 채널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S300). 단계 S300에서 제2 채널이 미수신된 경우에는 신호가 없다는 노시그널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10). 또한 단계 S300에서 제1 채널이 수신된 경우에는 무료 방송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S310), 무료 방송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CI를 바이패스하여 미연결된 제1 또는 제2 복조기에 출력한다(단계 S320).
단계 S310에서 유료 방송이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1 PCMCIA 소켓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30), 제1 PCMCIA 소켓이 존재한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1 PCMCIA 소켓에 제1 채널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크램블링한 후 제1 또는 제2 복조기 또는 제2 PCMCIA에 동일한 CAM이 있는 경우에는 제2 CI 모듈로 전송한다(단계S340).
단계 S330에서 제1 PCMCIA 소켓이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 PCMCIA 소켓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단계 S350), 제2 PCMCIA 소켓이 미존재한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유료 방송에 적합한 스마트 카드의 부재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360). 또한 단계 S350에서 제2 PCMCIA 소켓이 존재한다고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2 PCMCIA 소켓에 제1 채널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크램블링한 후 제1 또는 제2 복조기에 출력한다(단계 S370).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은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일단을 통해 연결된 유선 라인을 통해 메인 수신 세트측에 제공하고, 타단을 통해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무선 채널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메인 셋탑 박스(100)와 상기한 무선 채널 변환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A/V 출력하는 원격 수신 세트(200)를 포함한다.
메인 셋탑 박스(100)는 신호 수신부(110), 디스크램블링부(120),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130), 호스트 CPU(140), 신호출력부(150), 스위칭부(160), 메인 방송수신 세트(170) 및 무선 송신부(180)를 포함하고, 상기한 도 1에서 언급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스위칭부(160)는 호스트 CPU(140)의 제어에 의해 신호출력부(150)로부터 제공되는 역다중화되고 복조된 오디오/비디오 신호(A1/V1, A2/V2, ...An/Vn)의 출력경로를 설정하여 메인 방송수신 세트(170)나 무선 송신부(180)에 제공한다.
메인 방송수신 세트(170)는 소정의 유선 라인으로 연결된 스위칭부(160)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역다중화되고 복조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제공받아 출력한다.
무선 송신부(180)는 스위칭부(160)의 출력 경로의 설정에 따라 입력되는 역다중화되고 복조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무선 채널로 변환하고, 무선 변환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원격 수신 세트(200)측에 송출한다. 여기서, 무선 송신부(180)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FM 변조하여 2.4GHz 밴드에 실어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격 수신 세트(200)는 무선 수신부(210), 원격 방송수신 세트(220) 및 원격 제어부(RF RCU)(230)를 포함하여, 메인 셋탑 박스(100)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 복조하고, A/V 신호로의 복원 및 출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채널 절환 요청에 따른 신호를 메인 셋탑 박스(100)측에 제공한다.
상기한 원격 제어부(230)는 원격 사용자측의 제어에 의해 채널 설정 요청을 메인 셋탑 박스(100)의 호스트 CPU(140)측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호스트 CPU(140)측에 채널 설정 요청 신호는 소정의 복조기(DEMULATOR; 미도시)를 통해 호스트 CPU(140)측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위성 방송 셋탑 박스를 통해서 다수개의 위성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성 방송 신호를 다수개의 출력 장치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한 도 5의 일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하나의 메인 방송수신 세트와 하나의 원격 방송수신 세트를 그 일례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V 스위칭단(160)에서는 무료 방송일 경우에는 각 시청자의 채널 선택 여부에 따라 출력을 한다.
무선을 이용한 원격 채널 선택은 RF RCU(230)를 컨트롤해서 사용하는데, 433.92㎒ 주파수대로 날아간 신호는 복호기(142)를 통하게 되고, 제2 역다중화/엠펙 복호기(154)에 내장된 호스트 CPU가 이를 인식해서 제2 역다중화/엠펙 복호기(154)에게 명령을 주어 원하는 채널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만일, 유선 라인을 통해 연결된 제1 TV(170)의 시청자가 보고 있는 채널을 원할 때에는 제2 역다중화/엠펙 복호기(154)에 내장된 CPU에서 A/V 스위치(160)에 명령을 주어 제1 TV(170)에 출력되는 A1/V1 출력 데이터를 무선 송신부(182)로 동시에 내보내주게 해준다.
제1 TV(170)측에서 원하는 채널의 CAM 여부를 CI에 명령을 주어 확인케 하고, 없으면 경고 메시지가 뜨게되며, 제1 TV(170)나 제2 TV(220)에서 동시에 동일한 유료 방송이나 다른 유료 방송을 볼 경우에는 각 채널에 합당한 PCM CIA 소켓의 CAM이 두개가 존재하여야 한다.
무료 방송일 때와 마찬가지로 제2 TV(220)측에서 제1 TV(170)에서 보고 있는 채널을 원할 경우, 무료 방송일 때와는 다르게 명령을 받은 CPU는 제1 TV(170)에서 보고 있는 채널 정보를 인식해서 제2 튜너에 명령을 주어 해당된 TP를 찾게 하고, CI를 통해 CAM 여부를 판독한다.
이때 해당 TP에 대응하는 CAM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TP를 디스크램블 시켜 역다중화기/엠펙 복호기(152)와 A/V 스위치(160)를 통해 A2/V2를 무선송신부(182)에 출력하게 된다. 결국 동일 채널의 데이터가 다른 튜너를 통해 각기 역다중화기/엠펙 복호기(152)(154)를 통해 독립적인 신호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위성 방송의 유료 방송을 위한 스크램블 방식 가운데 공통 인터페이스(CI) 규격을 채택한 다수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설계하므로써 하나의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다수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이한 채널의 유/무료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채널을 동시에 수신하기 위한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구비한 하나의 셋톱 박스를 이용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PIP(Picture In Picture) 방식 등을 통해 다수개의 유/무료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 인터페이스 방식과 멀티 디코더를 통해 나온 A/V 신호들을 셋탑 박스에 장착된 RF 모듈과 안테나를 통해서 사용자가 시청을 원하는 장소에 있는 무선 수신부로 전송함으로써, 유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의 거리 단점을 보완하고, 스크램블이 걸려있는 다중의 채널을 다른 장소에서 동시에 다중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청할 수 있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경유하여 복수개의 디지털 위성 방송이 스크램블링 또는 비스크램블링된 복수개의 채널신호를 하나 이상의 tuner로 제공받아 출력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크램블링부,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조화시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및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위성 방송수신 세트; 및
    상기 다중 채널 위성 방송수신 세트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복조시켜 상기 비디오 신호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수단에 출력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소정의 스피커에 출력하는 복수의 원격 수신 세트;
    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수신 세트는,
    상기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전송을 요청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3.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경유하여 복수개의 디지털 위성 방송이 스크램블링 또는 비스크램블링된 복수개의 채널신호를 하나 이상의 tuner로 제공받아 출력하는 신호 수신부;
    상기 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 처리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디스크램블링부; 및
    상기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조화시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위성 방송수신 세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와,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와, 상기 신호출력부를 제어하는 호스트 CPU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위성 방송수신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CPU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신호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의 출력 경로를 설정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위성 방송수신 세트.
  6. 스크램블링 또는 비스크램블링된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를 제공받아 이를 역다중화 및 복조화시켜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위성 방송 신호 수신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수신기의 구동에 따라 디지털 위성 방송 신호의 하나 이상의 수신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단계(a)에서 선택된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의 방송 신호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방송 신호가 미수신되는 경우에는 노시그널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방송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방송 신호의 유료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단계(b)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가 무료 방송 신호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해당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소정의 유선 라인을 통해 연결된 방송수신 세트측에 출력하는 단계;
    (d) 상기 단계(b)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유료 방송 신호라 체크되는 경우에는 제1 디스크램블링 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고, 디스크램블링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호화하여 소정의 유선 라인을 통해 연결된 방송수신 세트측에 출력하는 단계;
    (e) 원격지에 위치하는 하나 이상의 원격 수신 세트로부터 위성 방송 신호의 무선 수신 요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f) 상기 단계(e)에서 무선 수신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수신 요청 신호가 현재 출력중인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g) 상기 단계(f)에서 현재 출력중인 방송 채널인 경우에는 유/무료 여부를 체크하여, 무료 채널인 경우에는 무선 채널로 변환하여 상기 원격 수신 세트측에송출하는 단계;
    (h) 상기 단계(g)에서 유료 채널인 경우에는 해당 방송 신호를 디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제2 디스크램블링 수단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여, 미존재하는 경우에는 디스크램블링 수단의 부재 메시지를 송출하는 단계; 및
    (i) 상기 단계(h)에서 제2 디스크램블링 수단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방송 신호를 제2 디스크램블링하고, 디스크램블링된 방송 신호를 역다중화 및 복호화한 후 무선 채널로 변환하여 상기 원격 수신 세트측에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중 채널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무선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위성 방송수신 세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수신부로부터 제공되는 위성 방송 신호의 유료 여부를 체크하여, (ⅰ) 무료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신호출력부에 바이패스하고, (ⅱ) 유료 방송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디스크램블링부에 디스크램블링을 요청하여, 그의 응답에 따라 제공되는 디스크램블링된 위성 방송 신호를 상기 신호출력부에 출력하는 공통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채널 위성 방송수신 세트.
KR10-2001-0047026A 2001-08-03 2001-08-03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42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026A KR100442673B1 (ko) 2001-08-03 2001-08-03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026A KR100442673B1 (ko) 2001-08-03 2001-08-03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67A KR20030012667A (ko) 2003-02-12
KR100442673B1 true KR100442673B1 (ko) 2004-08-02

Family

ID=27717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026A KR100442673B1 (ko) 2001-08-03 2001-08-03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2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73B1 (ko) 2005-08-24 2007-04-19 (주)현신미디어 사내 방송 시설의 티브이 양방향 컨버터 및 그 운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959B1 (ko) * 2002-04-30 200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셋탑박스 시스템 및 그시청방법
KR100452630B1 (ko) * 2002-11-22 2004-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안테나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46562A (ko) * 2002-11-27 2004-06-05 배종민 암호화된 무선 개인용 저장 셋톱박스
KR100959528B1 (ko) * 2003-06-19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위성 방송 수신기
WO2006080724A1 (en) * 2004-10-11 2006-08-03 Kaonmedia Co., Ltd. Digital broadcasting conditional access device having multiple contents descrambling, and method for the same
KR100727271B1 (ko) * 2005-10-06 2007-06-13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복수의 튜너를 갖는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방송 수신 시스템
KR100744852B1 (ko) * 2005-10-07 2007-08-0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다중 출력 방송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17513B1 (ko) * 2005-10-07 2007-05-11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다중 출력 방송 수신 시스템
KR100745364B1 (ko) * 2005-10-17 2007-08-02 가온미디어 주식회사 단일 셋톱박스를 이용한 방송채널 멀티 모니터링 시스템
JP2015039047A (ja) * 2009-09-15 2015-02-26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6994A2 (en) * 1992-12-09 1998-08-05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Digital cable headend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
KR19990055566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 제어방법
EP0966121A2 (en) * 1998-06-19 1999-12-22 Sony Corporation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programmes transmitted on a plurality of channel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eiving circuits
US6011597A (en) * 1996-06-08 2000-01-04 Fujitsu Limited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receiving system
KR20010105050A (ko) * 2000-05-18 2001-11-28 이 용 국 다중 채널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6994A2 (en) * 1992-12-09 1998-08-05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Digital cable headend for cable television delivery system
US6011597A (en) * 1996-06-08 2000-01-04 Fujitsu Limited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signal receiving system
KR19990055566A (ko) * 1997-12-27 1999-07-15 김영환 디지털 위성 방송 시스템의 수신기 제어방법
EP0966121A2 (en) * 1998-06-19 1999-12-22 Sony Corporation Receiver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 programmes transmitted on a plurality of channel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ceiving circuits
KR20010105050A (ko) * 2000-05-18 2001-11-28 이 용 국 다중 채널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73B1 (ko) 2005-08-24 2007-04-19 (주)현신미디어 사내 방송 시설의 티브이 양방향 컨버터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67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023B1 (ko) 다중 채널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N101861733B (zh) 使用ip传输流输入的smatv头端和操作该smatv头端的方法
KR100317629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서브채널정보표시방법
KR100442673B1 (ko) 다중 채널 송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4512780A (ja) 多重入力対応デコーダ
US20060184702A1 (en)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for sharing address and data pins of a cryptocard module and external memory
KR200277664Y1 (ko)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JP2000236523A (ja) Catvシステム用再送信装置
KR20010092488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부가서비스 데이터 처리 장치
CN111954047A (zh) 一种单cam卡解扰两路码流的方法及装置
JPH0969987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機
JPH11306132A (ja) 信号処理方法及び信号処理装置並びに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682145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gps를 이용한 위성 및 채널 자동검색 방법
EP0868083B1 (en) Digital television system
KR100707665B1 (ko) 위성 방송 수신기에서 다이젝을 이용한 lnb의 능동적h/v 선택 방법
KR100577378B1 (ko) 디지털방송 수신카드 인터페이스장치
KR100759234B1 (ko) 다른 방향들로부터 또는 다른 방향들로 신호들을 수신하거나 전송하도록 설계된 텔레비전 회로
KR100242318B1 (ko) 디지털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한 프로그램 내용 선택수신방법
JP3737261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468379B1 (ko) 디지털 방송 재생/저장 장치 및 방법
JP2008098970A (ja) デジタル放送受信システム
KR100577171B1 (ko)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통합 전자 프로그램
KR100320732B1 (ko) 디지털텔레비젼수상기에서채널정보표시방법
KR100662458B1 (ko) 방송수신장치의 외부 모듈 인터페이스장치
JP4329144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番組の伝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