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2603B1 -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2603B1
KR100442603B1 KR10-2001-0014435A KR20010014435A KR100442603B1 KR 100442603 B1 KR100442603 B1 KR 100442603B1 KR 20010014435 A KR20010014435 A KR 20010014435A KR 100442603 B1 KR100442603 B1 KR 100442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cket data
symbols
channel
scrambling sequ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4588A (ko
Inventor
권환준
최호규
조영권
배창훈
홍우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2603B1/ko
Priority to US10/100,873 priority patent/US7886142B2/en
Publication of KR2002007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2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2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04J13/0048Wals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패킷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채널장치와 상기 패킷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에서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타 단말기들에 의해 인식될수 없도록 암호화하기 위한 기지국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장치가, 상기 제어정보를 부호화하고 복수의 비트들의 열로 구성된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발생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의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발생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CRAMBLING OF PACKET DATA CHANNEL AND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 및 패킷데이터제어채널을 스크램블링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채널(F-PDCH) 및 패킷데이터제어채널을 스크램블링(Scrambling)할 때,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다른 정보를 이용해 생성된 스크램블링 코드로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은 데이터 전송만을 지원하는 형태와 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성 전송을 동시에 지원하는 형태로 크게 구분되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은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은 고속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러 명의 사용자가 같은 채널을 시분할(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하여 사용하게 한다.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은 특정 시점에서 상기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로 TDM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에 대한 여러 가지 제어 정보를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혹은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 Packet Data Control Channel)을 통하여 전송해야 한다. 상기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여러 사용자들은 특정 시점에서 전송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하여 어느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인지, 상기 데이터는 어떤 길이로 전송되고 있는 지, 어떠한 데이터율로 어떠한 변조방식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있는 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전혀 모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이러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패킷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는 서브패킷(Sub-packet) 길이 정보, MAC(Media Access Control) ID, 데이터율, 변조방식, 페이로드(Payload) 크기, 서브패킷 아이디(SPID : Sub-packet ID),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채널아이디(Channel ID)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단위를 서브패킷(Sub-packet)이라 칭하며, 서브패킷(Sub-packet) 길이정보란 상기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로 TDM되어 전송되는 데이터의 시간적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데이터의 전송 길이가 가변적인 시스템에서는 이를 반드시 알려 주어야 한다. MAC ID란 사용자 구분을 위한 식별자로써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각 사용자에 대하여 시스템 억세스(Access) 시에 MAC ID를 할당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율은 상기 서브패킷(Sub-packet) 길이의 시간적 길이를 가지고 전송되는 데이터의 전송 속도를 의미하며, 상기 변조방식이란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가 QPSK, 8PSK, 16QAM, 64QAM 등의 변조 방식들 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변조된 데이터인지를 나타낸다. 상기 페이로드(Payload) 크기란 하나의 서브패킷(Sub-packet)을 구성하는 정보 비트수를 의미하며 상기 서브패킷 아이디(SPID)는 일련의 서브패킷(Sub-packet)들의 각각에 대한 식별자로써 재전송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ARQ(Automatic Repeat Request) 채널아이디(Channel ID)는 한 사용자에게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기 위한 식별자로써 병렬 전송 채널을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 정보로 서브패킷(Sub-packet) 길이 정보 2 비트, MAC ID 6 비트, 페이로드(Payload) 크기 2 비트, SPID 2 비트, ARQ 채널 아이디(Channel ID) 2 비트 등이 있으며, 상기 데이터율과 상기 변조방식은 상기 서브패킷(Sub-packet) 2 비트와 페이로드(Payload) 크기 2 비트 그리고 다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에 사용되는 월시 함수 정보 등에 따라 결정된다. 다시 말해서 고속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모든 단말들은 시스템 억세스(Access)시, 각 단말별로 MAC ID를 할당받고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 후, 이를 복조하여 MAC ID를 보고서 자신의 패킷인지 아닌지를 판단한 후, 자신의 패킷인 경우,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을 복조하여 획득한 서브패킷(Sub-packet) 길이, 페이로드(Payload) 크기, SPID, ARQ 채널 아이디(Channel ID),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된 월시 함수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복조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수신되는 서브패킷(sub-packet)의 데이터율 및 변조 방식에 대한 정보는 상기 획득한 서브패킷(Sub-packet) 길이, 페이로드(Payload) 크기, 패킷 데이터 채널에 사용된 월시 함수 정보들의 조합으로 알아 낼 수 있다.
상기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Forward Primary Packet Data Control Channel)와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Forward Secondary Packet Data Control Channel)의 두 개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로 나누어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정보들을 전송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한편, 상기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채널로써 도 1과 같은 구조의 F-PDCH(Forward Packet Data Channel)을 통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 때 다른 사용자가 데이터를 복조하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참조부호 102의 스크램블러(Scrambler)를 이용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부호기(encoder) 101은 입력되는 순방향 공통패킷데이터채널(Forward Shared Packet Data Channel)의 정보비트들의 열을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출력한다.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 102는 패킷 데이터를 스크램블링 하기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를 발생한다. 배타적가산기103은 상기 부호기 101로부터의 상기 부호심볼들을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를 이용해 스크램블링(scrambling)하여 출력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기102와 상기 배타적가산기103를 통칭하여 스크램블러(scrambler)로 칭하기로 한다. 채널인터리버(Channel Interleaver)104는 상기 배타적가산기103로부터의 상기 스크램블링된 부호심볼들을 소정 인터리빙 규칙에 의해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천공기(Puncturing)105는 상기 채널인터리버104의 출력을 주어진 규칙에 의해 천공하여 출력한다. 변조기(Modulator)106은 상기 천공기105의 출력을 변조하여 변조 심볼들을 출력한다. 반복기(Sequence Repetition) 107은 상기 변조기106으로부터의 변조심볼들을 소정 회수 반복하여 출력한다. 역다중화기(Symbol Demux)108은 상기 반복기107로부터 출력되는 심볼을 서브채널의 개수에 따라 역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월시커버기(32-chip Walsh Cover)109는 상기 역다중화기108의 출력들을 길이 36의 소정 월시부호로 확산하여 출력한다. 이득조정기(Walsh Channel Gains)110은 상기 월시커버기109의 출력들을 이득 조정하여 출력한다. 가산기(Walsh Chip Level Summer)111은 상기 이득조정기110의 출력들을 칩 레벨로 가산하여 출력한다.
종래기술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 102는 상기 MAC 아이디 6비트와 상기 데이터율을 나타내는 4비트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램블러 102는 상기 부호기101로부터의 부호심볼들과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를 배타적 가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가 데이터율과 MAC 아이디를 전혀 알지 못하는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상기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과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모든 사용자들이 수신할수 있기 때문에, 다시 말해 다른 사용자의 MAC 인덱스와 데이터율 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데이터 보호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기지국은 제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과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두 개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들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하고, 모든 단말기들은 상기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과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하여 복조하도록 되어 있다. 즉, 모든 단말들에게 특정 단말기의 패킷 데이터에 대한 제어정보가 무방비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의 부호심볼들을 패킷데이터를 수신하는 특정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 생성된 스크램블링 코드로 스크램블링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부호심볼들을 패킷데이터를 수신하는 특정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해 생성된 스크램블링 코드로 스크램블링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패킷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할 때,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가 아니면서 동시에 기지국과 데이터가 전송될 해당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정보인 롱코드(Long Code), MAC ID, R-CQICH(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SSI(Serving Sector Indicator) 등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하여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다른 사용자들은 모르는 정보인 단말 고유의 Long Code, MAC 인덱스, R-CQICH(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SSI(Serving Sector Indicator) 등을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채널장치와 상기 패킷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에서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타 단말기들에 의해 인식될수 없도록 암호화하기 위한 기지국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장치가, 상기 제어정보를 부호화하고 복수의 비트들의 열로 구성된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발생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의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발생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채널(Forward Packet Data Channel) 채널에 대한 순방향 링크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램블러의 구조 및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Forward Primary Packet Data Control Channel)에 대한 순방향 링크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Forward Secondary Packet Data Control Channel)에 대한 순방향 링크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한 순방향 링크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한 순방향 링크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한 순방향 링크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8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한 순방향 링크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한 순방향 링크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 채널에 대한 순방향 링크 수신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순방향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확산에 사용하는 월시함수의 길이나 월시 함수의 번호, 상기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와 비트수, 시퀀스 반복기의 반복 회수와 같은 특정 상세 내용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 내용 없이 또는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순방향 링크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송신되는 링크를 의미하며, 역방향 링크는 단말기에서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링크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패킷데이터채널(PDCH)의 송신기(도 1)에서, 스크램블러(102,103)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스크램블러로 변경함으로써 패킷데이터의 제어정보가 무방비로 노출되는 시스템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패킷데이터를 보호하고,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스크램블러를 구현한 시스템에 대해서도 패킷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사용자가 알 수 없는 정보인 단말 고유의 롱코드(Long Code), MAC 아이디, R-CQICH(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비트, SSI(Serving Sector Indicator) 등을 초기치로 하여 구현된 스크램블러를 패킷 데이터의 제어정보를 전송하는 제1패킷 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 및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에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제1패킷데이터제어 채널 및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의 구조와 단말기(수신기)의 동작에 따라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 및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 모두에 상기 제안한 스크램블러를 구현하거나,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만 상기 제안한 스크램블러를 적용하는 데, 이는 모든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스크램블러를 구현할 때 생길 수 있는 다른 단말들의 오동작을 막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하기의 실시 예에서 도 3과 도 4와 같은 구조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를 갖는 시스템에서는 모든 단말이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MAC ID 6비트를 보고 패킷 데이터 채널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자신의 데이터인지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면 다른 단말들이 MAC ID를 잘못 인식하여 자칫 자신의 패킷 데이터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패킷 데이터로 잘못 인식하는 오동작을 발생시킬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MAC ID 6 비트를 보고 자신의 데이터인지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시스템에서는 MAC ID가 전송되는 채널에 대해서 스크램블링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하기의 실시 예에서 도 5와 도 6과 같은 구조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를 갖는 시스템에서는 MAC ID 6비트를 직접 보고 사용자 구분을 하는 것이 아니라 MAC ID에 따라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월시함수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역확산한 후, 그 에너지가 특정 임계치를 넘는 지, 아닌지에 따라 자신의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자신의 패킷 데이터인 경우에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복조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 5와 도 6과 같은 구조를 갖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모든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들에 대해서 스크램블링을 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CQICH 비트는 단말기가 1.25ms 마다 측정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순방향 공통 파일롯(common pilot)의 수신 에너지를 나타내는 5비트 정보이다. 이 정보는 기지국과 해당 단말기만 알고 있는 값으로 해당 단말기를 구분할수 있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SI는 현재 액티브 셋(active set) 내의 섹터 번호를 나타낸다. 비록 동일 섹터라 하더라도 사용자마다 다른 번호를 부여하기 때문에 이 정보도 사용자 구분 정보로 사용될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의 구조와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1의 공지된 패킷데이터채널 송신기에 스크램블러를 적용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이를 제 1 혹은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구현했을 경우에도 그 동작은 동일하다.
참조부호 207은 초기상태 값 설정의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부호기202의 출력 시작점에서 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 값이 MAC ID 6비트와 SSI 3비트를 이용하여 [1 1 1 1 1 1 1 1 r5 r4 r3 r2 r1 r0 s2 s1 s0]로 설정된 경우를 보여준다. 여기서, r5 r4 r3 r2 r1 r0 는 서비스 초기 설정시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MAC 아이디를 나타내고, s2 s1 s0 는 SSI 3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초기 값은 패킷 데이터 전송때마다 제어기 209에서 결정하는데, 상기 제어기 209는 전송될 패킷 데이터가 어떤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인지에 따라 해당 단말의 MAC ID 6비트와 SSI 3 비트를 가져와 상기 쉬피트 레지스터의 초기 값을 설정한다. 상기 선형 피드백 쉬프트 레지스터208의 구조를 가진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 204는 매 심볼클럭마다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값들을 왼쪽으로 쉬프트시켜 한 클럭마다 하나의 스크램블링 비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가산기 206은 상기 부호기202의 출력과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 204의 출력을 배타적 가산(XOR)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 204는 공시된 TIA/EIA/IS-2000 표준 문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롱코드(long code) 생성기를 사용할수 있으며,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다.
참조부호 207은 초기상태 값 설정의 하나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부호기202의 출력 시작점에서 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 값이 MAC ID 6비트와 SSI 3비트를 이용하여 [1 1 1 1 1 1 1 1 r5 r4 r3 r2 r1 r0 s2 s1 s0]로 설정된 경우를 보여준다. 여기서, r5 r4 r3 r2 r1 r0 는 서비스 초기 설정시 각 사용자에게 할당된 MAC 아이디를 나타내고, s2 s1 s0 는 SSI 3비트를 나타낸다. 상기 초기 값은 패킷 데이터 전송때마다 제어기 209에서 결정하는데, 상기 제어기 209는 전송될 패킷 데이터가 어떤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인지에 따라 해당 단말의 MAC ID 6비트와 SSI 3 비트를 가져와 상기 쉬피트 레지스터의 초기 값을 설정한다. 상기 선형 피드백 쉬프트 레지스터208의 구조를 가진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 204는 매 심볼클럭마다 레지스터들에 저장된 값들을 왼쪽으로 쉬프트시켜 한 클럭마다 하나의 스크램블링 비트를 발생시킨다. 그러면, 가산기 206은 상기 부호기202의 출력과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 204의 출력을 배타적 가산(XOR)하여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 204는 공시된 TIA/EIA/IS-2000 표준 문서에서 정의하고 있는 롱코드(long code) 생성기를 사용할수 있으며,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 동작은 상기와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과 데이터를 수신할 해당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정보들(Long Code, MAC 인덱스, R-CQICH(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SSI(Serving Sector Indicator))을 가지고 생성된 스크램블링 코드로 패킷데이터채널의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여 전송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상기 패킷데이터채널의 패킷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각각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와 제2패킷데이터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보여준다. 상기 도 3과 상기 도 4의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수신 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모든 단말기들은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신호와 길이4의 4개의 월시함수들의 각각을 곱해 역확산하여 에너지를 측정하고, 4개의 에너지측정값들중 가장 큰 에너지측정값을 갖는 월시함수가 어떤 것인지를 판단하여 서브패킷(sub-packet) 길이정보를 얻어낸다. 그리고, 수신된 부호심볼들을 (12,6) 블록 디코딩하여 6비트의 MAC ID를 획득하고, 상기 MAC 아이디를 보고서 수신되는 패킷데이터가 자신의 데이터인지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인지를 알아낸다. 만일, 자신의 데이터인 경우,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복조하게 된다. 상기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복조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에 대한 여러 가지 제어 정보를 얻어낸 후, 이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PDCH)을 복조한다. 상기 도 3과 도 4와 같이 MAC ID 정보를 디코딩을 통하여 알아내는 시스템에서는 상기 MAC ID가 전송되는 채널에 스크램블링을 하게 되면, 다른 사용자들이 MAC ID를 잘 못 인식하게 될 확률이 커지므로 MAC ID가 전송되는 채널은 스크램블링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에서는 제 2 패킷 데이터 채널만 스크램블링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는 전송될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구분정보(MAC ID)와 상기 전송될 패킷 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서브패킷길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부호기301은 사용자구분정보(MAC ID) 6 비트를 부호화하여 슬롯당 12개의 부호심볼들을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부호기301은 6비트 정보를 블록 부호화하여 12개의 심볼들을 출력하는 (12,6) 블록 부호기(block encoder)를 사용한다. 월시커버기302는 패킷데이터의 길이를 나타내는 서브패킷(sub-packet) 길이정보에 따라 길이4의 월시부호 4개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부호기301로부터의 상기 부호심볼들을 월시커버링(covering)하여 48개의 심볼들을 출력한다. QPSK 변조기303은 상기 월시커버기302로부터의 상기 월시커버링된 심볼들을 QPSK 변조하여 I채널과 Q채널로 각각 24개의 변조심볼들을 출력한다. 월시확산기303은 상기 QPSK변조기 303으로부터의 상기 변조심볼들과 상기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할당된 길이 64의 월시함수를 곱해 확산하여 1536개의 칩들(chips)을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와 상기 서브패킷길이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제어정보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나머지 제어정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 정보, ARQ채널식별(ARQ Ch ID) 정보, 서브패킷 식별(Subpacke ID : SPID)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부호기401은 상기 나머지 제어정보들에 해당하는 정보비트열(6비트)을 부호화하여 48개의 심볼들을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부호기 401은 6비트의 입력 정보를 블록 부호화하여 48개의 심볼들을 출력하는 (48,6) 블록 부호기를 사용한다.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402는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17탭 선형 피드백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의 동작원리와 동일하게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상태 값은 다른 사용자가 알 수 없는 정보들로 설정한다. 예를들어, 단말 고유의 롱코드(Long Code), MAC 인덱스, R-CQICH(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이하 RCQICH라 칭함) 비트, SSI(Serving Sector Indicator)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 전체 혹은 일부의 조합으로 상기 쉬프트레지스터의 초기상태 값을 설정한다. 배타적가산기403은 상기 스크램브링 코드생성기402에서 발생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와 상기 부호기401에서 출력되는 부호심볼들을 배타적 가산(또는 스크램블링)하여 출력한다. QPSK변조기404는 상기 배타적가산기403로부터의 상기 스크램블링된 부호심볼들을 QPSK변조하여 I채널 및 Q채널로 각각 24개의 변조심볼들을 출력한다. 월시확산기405는 상기 QPSK변조기404로부터의 상기 변조심볼들과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할당된 길이 64의 월시함수를 곱해 확산하여 1536개의 칩들(chips)을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의 부호심볼들 스크램블링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와 제2패킷데이터채널 송신기를 보여준다. 상기 도 5와 도 6의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송신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단말기의 수신동작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모든 단말기들은 패킷 데이터 서비스 초기 설정시 사용자 고유 할당된 길이 512 월시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의 신호를 역확산하여 에너지를 측정하고, 상기 에너지측정값이 특정 임계치 이상이면 자신의 패킷으로 판단하고, 제 1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과 제 2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수신 복조하여 패킷 데이터 제어 정보를 얻는다. 반면, 상기 에너지측정값이 상기 특정 임계치 이하이면, 자신의 패킷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고 수신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 도 5와 도 6과 같이 특정 사용자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월시 함수를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역확산하고, 역확산 심볼의 에너지를 측정하여 자신의 패킷인지 아닌 지 판단하는 시스템에서는 모든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에 대하여 스크램블러를 구현하여도 다른 단말의 수신 동작에 전혀 문제가 없다. 따라서 모든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여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패킷 데이터 제어 정보를 보호하고, 나아가 패킷 데이터 채널을 보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부호기501은 2 비트의 서브패킷(sub-packet) 길이 정보를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부호기501은 2비트 입력정보를 블록 부호화하여 3개의 심볼들을 출력하는 (3,2) 블록 부호기를 사용한다.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502는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17탭 선형 피드백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의 동작원리와 동일하게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상태 값은 제어기504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알 수 없는 정보들로 설정된다. 예들들어, 단말 고유의 롱코드(Long Code), MAC 인덱스, R-CQICH(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비트, SSI(Serving Sector Indicator)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 전체 혹은 일부의 조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배타적가산기503은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502에서 발생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와 상기 부호기501에서 출력되는 상기 부호심볼들을 배타적 가산(XOR)하여 출력한다. 제어기504는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사용자에게 할당된 사용자 구분정보(MAC ID)에 따라 스위치 505 및 월시확산기 506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라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이 전송될 복소채널(I채널 및 Q채널) 및 사용할 월시함수가 정해지는 경우이다. 따라서,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와 복소채널 및 월시함수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매핑테이블을 구비하고, 사용자구분정보에 대응하는 복소채널 및 월시함수를 상기 매핑테이블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스위치505 및 월시확산기 506을 제어한다. 상기 스위치505는 상기 제어기504의 제어하에 상기 스크램블러503로부터의 스크램블링된 심볼들을 I채널(도면에서 위) 혹은 Q채널(도면에서 아래)로 스위칭한다. 상기 월시확산기506은 상기 제어기50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위치505를 통해 입력되는 심볼들을 길이 512의 해당 월시함수로 확산하여 1,536칩(chips)을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 채널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는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와 상기 서브패킷길이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제어정보들을 전송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나머지 제어정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로드 크기(Payload size) 정보, ARQ채널식별(ARQ Ch ID) 정보,서브패킷 식별(Subpacket ID : SPID)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부호기601은 상기 나머지 제어정보들에 해당하는 정보비트열(6비트)을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부호기601은 6비트의 입력정보를 블록 부호화하여 12개의 심볼들을 출력하는 (12,6) 블록 부호기(block encoder)를 사용한다.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기602는 상술한 도 2와 같은 17탭 선형 피드백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의 동작원리와 동일하게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상태 값은 상기 제어기504에 의해 다른 사용자가 알 수 없는 정보들로 설정한다. 예를들어, 단말 고유의 롱코드(Long Code), MAC 인덱스, R-CQICH(Reverse 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비트, SSI(Serving Sector Indicator)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 전체 혹은 일부의 조합으로 설정할수 있다. 상기 배타적가산기603은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602에서 발생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와 상기 부호기601에서 발생하는 부호심볼들을 배타적 가산하여 출력한다. QPSK 변조기604는 상기 배타적가산기603로부터의 상기 스크램블링된 부호심볼들을 QPSK 변조하여 I채널 및 Q채널로 각각 6개의 변조심볼들을 출력한다. 월시확산기605는 상기 QPSK변조기604로부터의 상기 변조심볼들과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할당된 길이 256의 월시함수를 곱해 확산하여 1536개의 칩들(chips)을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의 부호심볼들을 모두 스크램블링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술한 송신기들에 대응하는 수신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의 수신기는 상기 도 3의 송신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월시역확산기 701은 수신신호를 상기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에서 사용했던 월시함수로 역확산하여 I채널과 Q채널로 각각 24개의 심볼들을 출력한다. QPSK복조기702는 상기 월시역확산기 701로부터의 상기 24개의 심볼들을 QPSK복조하여 48개의 심볼들을 출력한다. 월시역확산기 703은 상기 QPSK복조기702로부터의 상기 48개의 심볼들을 길이 4의 월시함수 4개로 역확산하여 각각 12개의 심볼들을 출력한다. 에너지검출기 704는 상기 월시역확산기 703으로부터의 4가지의 12개의 심볼들의 각각에 대해 에너지를 검출하고,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심볼들에 대응하는 월시함수로부터 서브패킷(Sub-packet) 길이 정보를 얻어낸다. 수신기는 상기 송신기와 마찬가지로 서브패킷길이와 월시함수 사이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매핑테이블을 저장하고 있고, 송신기에서 사용한 월시함수를 검출함으로써 서브패킷 길이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상기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12개의 심볼들을 복호기705로 출력한다. 상기 복호기705는 상기 에너지검출기 704로부터의 상기 12개의 심볼들을 복호하여 6 비트의 사용자구분정보(MAC ID)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사용자구분정보(MAC ID)를 보고서 자신의 데이터인지 다른 사용자의 데이터인지를 알아낸후 자신의 데이터인 경우,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이 복조될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의 수신기는 상기 도 4의 송신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월시역확산기801은 수신신호를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에서 채널확산에 사용한 길이 64의 월시함수로 역확산하여 24개의 변조심볼들을 출력한다. QPSK복조기802는 상기 역확산기801로부터의 상기 24개의 심볼들을 QPSK복조하여 48개의 심볼들을 발생한다.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803은 상기 도 4의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에서 사용했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와 동일하다. 배타적가산기 804는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803에서 출력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와 상기 QPSK복조기 802에서 출력되는 심볼들을 배타적 가산하여(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48개의 심볼들을 발생한다. 복호기805는 상기 배타적가산기804로부터의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상기 48개의 심볼들을 (48,6) 블록 디코딩하여 6비트의 제어정보를 얻어낸다. 여기서, 상기 제어정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브패킷식별(SPID) 정보 2 비트, ARQ 채널 식별정보 2 비트, 페이로드(Payload) 크기 정보 2 비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정보는 이후 패킷데이터채널(PDCH)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1패킷데이터 제어채널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의 수신기는 상기 도 5의 송신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제어기 907은 앞서 설명한 사용자구분정보와 복소채널 및 월시함수의 대응관계를 저장하는 매핑테이블에 근거하여 월시역확산기 901과 스위치 902를 제어한다. 즉, 기지국으로부터 할당받은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월시함수를 상기 월시역확산기 901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복소채널(I채널 혹은 Q채널)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스위치902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 907은 에너지 검출기 906의 결과에 따라 복호기 905의 동작여부를 결정한다. 즉, 에너지 검출값이 특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 복호기 905를 동작시키고 에너지 검출값이 특정 임계치 미만인 경우 복호기 905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월시역확산기 901은 수신신호를 상기 제어기907에서 제공하는 월시 함수로 역확산하여 슬롯당 3개의 심볼들을 발생한다. 스위치 902는 상기 제어기907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월시역확산기 901에서 출력되는 I 및 Q 채널신호 중 하나를 배타적가산기904로 제공한다.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903은 상기 도 5의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에서 사용했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502와 동일하다. 상기 배타적가산기 904는 상기 스위치902를 통해 입력되는 심볼들과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 903에서 출력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배타적 가산(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출력한다. 에너지 검출기 906은 상기 배타적가산기904로부터의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심볼들에 대한 에너지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907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907은 상기 에너지측정값과 특정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임계치 이상이면 자신의 패킷으로 판단하여 일련의 다음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고, 특정 임계치 미만이면 자신의 패킷이 아닌 것으로 간주하고 수신 동작을 멈춘다. 복호기905는 상기 제어기907의 제어하에 상기 디스크램블러904로부터의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심볼들을 (3,2) 블록 디코딩하여 2비트의 서브패킷(sub-packet) 길이 정보를 발생한다. 상기 서브패킷 길이 정보는 이후에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및 패킷데이터채널(PDCH)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2패킷데이터제어 채널 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의 수신기는 상기 도 6의 송신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도 10의 수신기는 상기 도 9의 에너지 검출기 906에서 검출된 수신 에너지기 특정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기907에 의해 제어된다.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과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은 항상 동시에 수신되므로 수신기는 제1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해 수신에너지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기907이 상기 에너지검출값에 근거하여 제2패킷데이터채널의 수신여부를 결정할때까지 제2패킷데이터제어 채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일예로, 역확산 이전의 칩데이터 (1536개의 칩)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기 907의 결정에 따라 상기 칩데이터를 역확산하도록 할수 있다. 다른 예로, QPSK복조된 심볼들을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제어기907의 결정에 따라 상기 QPSK 심볼들을 디스크램블링하도록 할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에 대한 수신 동작을 어디까지 하고, 어떠한 데이터를 저장할 지는 구현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월시 역확산기1001은 수신신호를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에서 사용한 길이 256의 월시함수로 역확산하여 슬롯당 6개의 심볼들을 출력한다. QPSK 복조기1002는 상기 역확산기1001로부터의 상기 6개의 심볼들을 QPSK 복조하여 12개의 심볼들을 발생한다.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1003은 상기 도 6의 제2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기에서 사용한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602와 동일하다. 배타적가산기 1004는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생성기1003에서 출력되는 스크램블링 시퀀스와 상기 QPSK복조기1002에서 출력하는 상기 심볼들을 배타적 가산하여(또는 디스크램블링)하여 출력한다. 복호기1005는 상기 배타적가산기1004로부터의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심볼들을 (12,6) 블록 디코딩하여 6 비트의 제어정보를 얻어낸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브패킷식별(SPID) 정보 2 비트, ARQ 채널 식별정보 2 비트, 페이로드(Payload) 크기 정보 2 비트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정보는 이후 패킷데이터채널(PDCH)을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 패킷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Packet Data Control Channel)을 통해 전송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특정 사용자와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채널을 스크램블링함으로써 패킷 데이터 채널의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Scrambling)하여 다른 사용자가 순방향 패킷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복조할수 없도록 하고 이에 따라 순방향 패킷 데이터를 복조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패킷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채널장치와 상기 패킷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에서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타 단말기들에 의해 인식될수 없도록 암호화하기 위한 기지국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부호화하고 복수의 비트들의 열로 구성된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발생하는 부호화기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의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발생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러는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기지국장치에서 패킷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채널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부호기와,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러는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기지국장치에서 전송될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구분정보와 상기 전송될 패킷 데이터의 길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의 길이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열을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부호기와,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러로부터의 상기 스크램블링된 부호심볼들을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라 제1출력라인 혹은 제2출력라인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상기 제1출력라인과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1출력라인으로 접속될 때 상기 제1출력라인상의 상기 부호심볼들을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월시코드로 확산하는 제1확산기와,
    상기 제2출력라인과 접속되고 상기 스위치가 상기 제2출력라인으로 접속될 때 상기 제2출력라인상의 상기 부호화된 비트열을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월시코드로 확산하는 제2확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러는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기지국장치에서 전송될 패킷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송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나타내는 비트열을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부호기와,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는 스크램블러와,
    상기 스크램블러로부터의 상기 스크램블링된 부호심볼들을 변조하여 변조심볼들을 발생하는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로부터의 상기 변조심볼들을 정해진 월시함수로 확산하는 월시확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러는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구분정보와 상기 패킷데이터의 길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수신장치에 있어서,
    I채널 및 Q채널로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각각 미리 할당받은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월시코드로 역확산하여 심볼들을 발생하는 제1,제2역확산기와,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제1,제2역확산기의 출력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와,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스위치로부터의 심볼들을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러와,
    상기 디스크램블러로부터 출력되는 심볼들의 에너지를 측정하는 에너지검출기와,
    상기 에너지측정값이 소정 기준값을 넘을 경우 동작되며, 상기 디스크램블러로부터 출력되는 심볼들을 복호하여 상기 길이정보를 발생하는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러는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수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수신장치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소정 월시코드로 역확산하여 상기 다수의 제어정보들이 전송되는 채널의 심볼들을 추출하는 역확산기와,
    상기 역확산기로부터 출력되는 심볼들을 복조하여 복조심볼들을 발생하는 복조기와,
    상기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복조기로부터의 상기 복조심볼들을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러와,
    상기 디스크램블러로부터의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심볼들을 복호하여 상기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나타내는 비트열을 발생하는 복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램블러는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기지국장치에서 패킷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채널의 송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기지국장치에서 전송될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 구분정보와 상기 전송될 패킷 데이터의 길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의 송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 데이터의 길이정보를 나타내는 비트열을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된 부호심볼들을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라 제1출력라인 혹은 제2출력라인으로 스위칭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심볼들이 상기 제1출력라인으로 스위칭될 때 상기 제1출력라인상의 상기 부호심볼들을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월시코드로 확산하는 과정과,
    상기 부호심볼들이 상기 제2출력라인으로 스위칭될 때 상기 제2출력라인상의 상기 부호심볼들을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월시코드로 확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기지국장치에서 전송될 패킷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송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의 송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나타내는 비트열을 부호화하여 부호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심볼들을 스크램블링하는 과정과,
    상기 스크램블링된 부호심볼들을 변조하여 변조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변조심볼들을 정해진 월시함수로 확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를 나타내는 사용자구분정보와 상기 패킷데이터의 길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수신방법에 있어서,
    I채널 및 Q채널로 수신되는 수신신호를 각각 미리 할당받은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른 월시코드로 역확산하여 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구분정보에 따라 상기 I채널의 심볼들 및 Q채널의 심볼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스위치로부터의 심볼들을 디스크램블링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심볼들의 에너지를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에너지측정값이 소정 기준값을 넘을 경우,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심볼들을 복호하여 상기 길이정보를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복조하기 위해 필요한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수신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수신방법에 있어서,
    수신신호를 소정 월시코드로 역확산하여 상기 다수의 제어정보들이 전송되는 채널의 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되는 심볼들을 복조하여 복조심볼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패킷데이터를 수신할 사용자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를 이용해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고, 상기 복조심볼들을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디스크램블링하는 과정과,
    상기 디스크램블링된 심볼들을 복호하여 상기 다수의 제어정보들을 나타내는 비트열을 발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제51항에 있어서,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3. 패킷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데이터채널장치와 상기 패킷데이터의 복조를 위해 필요한 제어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제어채널장치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에서 전송되는 패킷데이터를 타 단말기들에 의해 인식될수 없도록 암호화하기 위한 기지국 패킷데이터제어채널 송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를 부호화하고 복수의 비트들의 열로 구성된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기와 상기 기지국만이 알고 있는 고유정보의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발생하고,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로 상기 부호화된 제어정보열을 스크램블링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4. 제53항에 있어서,
    주어진 생성다항식에 따른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선형피드백쉬프트 레지스터는 MAC 아이디, SSI(Serving Sector Indicator) 정보, R-CQICH(Reverse-Channel Quality Indicator Channel) 정보 및 롱코드 정보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초기상태로 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시퀀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0014435A 2001-03-20 2001-03-2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442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35A KR100442603B1 (ko) 2001-03-20 2001-03-2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US10/100,873 US7886142B2 (en) 2001-03-20 2002-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scrambling a packet data channel and a packet data control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speed packet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4435A KR100442603B1 (ko) 2001-03-20 2001-03-2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4588A KR20020074588A (ko) 2002-10-04
KR100442603B1 true KR100442603B1 (ko) 2004-08-02

Family

ID=19707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435A KR100442603B1 (ko) 2001-03-20 2001-03-20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86142B2 (ko)
KR (1) KR100442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1546A1 (en) * 2001-03-23 2002-12-05 Odenwalder Joseph P. Preamble channels
KR100424538B1 (ko) * 2001-05-29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797462B1 (ko) * 2001-10-13 2008-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 방법
WO2003030407A1 (en) 2001-09-29 2003-04-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ferring and /or receiving data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CN100590991C (zh) * 2002-01-30 2010-02-17 Lg电子株式会社 利用可变时隙长度扰频分组数据的方法及其设备
KR100932482B1 (ko) * 2002-05-03 2009-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셀 또는 섹터 스위칭을 위한 프레임 전송 방법
US6973579B2 (en) 2002-05-07 2005-12-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Generation of user equipment identification specific scrambling code for the high speed shared control channel
US7317735B1 (en) * 2002-06-27 2008-01-08 Broadcom Corporation Scrambler initialization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JP4025593B2 (ja) * 2002-07-11 2007-12-19 富士通株式会社 放送型通信データ配送装置および放送型通信システム
EP1432261A1 (en) * 2002-12-20 2004-06-2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eiver specific data manipul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20050027679A (ko) * 2003-09-16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패킷 데이터 송/수신장치 및 방법
KR20050029254A (ko) * 2003-09-20 2005-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통신시스템의 슬리핑 스테이트에서 모드간의상태 천이를 위한 웨이크업 채널 전송 장치 및 방법
US7903810B2 (en) * 2003-09-26 2011-03-08 Broadcom Corporation Single instruction for data scrambling
US7756273B2 (en) * 2003-09-26 2010-07-13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bit-reversing and scrambling payload bytes in an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
US7751557B2 (en) * 2003-09-26 2010-07-06 Broadcom Corporation Data de-scrambler
KR100938103B1 (ko) * 2003-10-14 2010-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제어 채널의 제어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US7292856B2 (en) * 2004-12-22 2007-11-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forward-link and reverse-link handoffs
US7983674B2 (en) * 2005-06-16 2011-07-19 Qualcomm Incorporated Serving base station sel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254360B2 (en) * 2005-06-16 2012-08-28 Qualcomm Incorporated OFDMA control channel interlacing
KR20080072683A (ko) * 2005-10-27 2008-08-0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비트 디멀티플렉싱을 위한 방법 및장치
WO2008018934A2 (en) * 2006-05-09 2008-02-14 Ticketmaster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and processing
WO2007149997A2 (en) * 2006-06-21 2007-12-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easuring, communicating and/or using interference information
BRPI0713707A2 (pt) * 2006-06-21 2012-10-30 Qualcomm Inc métodos e aparelho de alocação de recurso sem fio
TWI372539B (en) * 2006-06-23 2012-09-11 Qualcom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overhead reduction for control channel packets
EP1944896A1 (en) 2007-01-09 2008-07-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figura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90003257A1 (en) * 2007-06-27 2009-01-01 Motorola, Inc. Apriori proactive retransmissions
US8169992B2 (en) 2007-08-08 2012-05-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plink scrambling during random access
US8155683B2 (en) * 2008-02-05 2012-04-10 Motorola Mobility, Inc.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specific scrambling
US8300587B2 (en) * 2009-08-17 2012-10-30 Nokia Corporation Initialization of reference signal scrambling
US8923905B2 (en) 2009-09-30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Scrambling sequence initialization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s
US8948097B2 (en) * 2009-09-30 2015-02-03 Qualcomm Incorporated UE-RS sequence initializ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432164B2 (en) 2009-10-15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ference signal sequence mapp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KR101762377B1 (ko) * 2010-04-07 2017-07-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US8750176B2 (en) * 2010-12-22 2014-06-1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intelligent association of control symbols
US8897398B2 (en) 2012-01-27 2014-11-2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rror rate estimation
US8990645B2 (en) 2012-01-27 2015-03-2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rror rate estimation
US9838226B2 (en) 2012-01-27 2017-12-05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intelligent scrambling of control symbols
US9450790B2 (en) 2013-01-31 2016-09-20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scrambling of control symbols
US9026791B2 (en) * 2013-03-11 2015-05-05 Qualcomm Incorporated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 (LFSR)
US9210010B2 (en) 2013-03-15 2015-12-08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symbols over multi-lane serial interfaces
US8917194B2 (en) 2013-03-15 2014-12-2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ext based line coding
US10608786B2 (en) * 2017-02-24 2020-03-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of specifying ordered sequences of coding sub-channels
US10028210B1 (en) 2017-03-23 2018-07-1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Encoding and decoding data for group common control channels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2064A (ja) * 1992-04-13 1993-11-05 Canon Inc 音声スクランブル回路、音声ディスクランブル回路および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5278907A (en) * 1993-03-01 1994-01-11 Transcrypt International, Inc. Analog scrambling with continuous synchronization
KR950022260A (ko) * 1993-12-01 1995-07-28 양승택 씨.디.엠.에이(cdma) 이동통신 기지국 변조장치의 채널 변조회로 및 그를 이용한 변조장치
US5727064A (en) * 1995-07-03 1998-03-10 Lucent Technologies Inc. Cryptographic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KR100266611B1 (ko) * 1998-03-26 2000-09-15 구자홍 데이터 스크램블링 회로
KR20010008808A (ko) * 1999-07-05 2001-02-05 이형도 무선랜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US6185199B1 (en) * 1997-07-23 2001-02-06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using time gate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KR20010033650A (ko) * 1998-10-28 2001-04-25 요트.게.아. 롤페즈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10057593A (ko) * 1999-12-17 2001-07-0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타 암호화/복호화장치및 그 방법
KR20010084170A (ko) * 2000-02-24 2001-09-06 서평원 공통 패킷 채널의 할당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268A (en) * 1980-03-31 1989-08-29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ddressable cable television control system with video format data transmission
US5659569A (en) * 1990-06-25 1997-08-19 Qualcomm Incorporated Data burst randomizer
US5600573A (en) * 1992-12-09 1997-02-04 Discovery Communications, Inc. Operations center with video storage for a television program packaging and delivery system
JPH07131443A (ja) * 1993-11-05 1995-05-19 Toshiba Corp 中継装置
JPH07235200A (ja) * 1994-02-24 1995-09-05 Toshiba Corp 半導体記憶装置
US5502767A (en) * 1994-05-27 1996-03-26 Sasuta; Michael Method for maintaining secure information synchronization on a control channel
JP3294739B2 (ja) * 1995-03-30 2002-06-24 三洋電機株式会社 Fm多重放送のスクランブルまたはデスクランブル方法
US5852290A (en) * 1995-08-04 1998-12-2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mart-card based access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security
AU702270B2 (en) * 1995-12-12 1999-02-18 Aeris Communications, Inc. Wireless application specific messaging and switching method
SE506320C2 (sv) * 1996-09-23 1997-12-01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detektera fel i ett nätverk
JP4110588B2 (ja) * 1997-03-19 2008-07-02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US6072788A (en) * 1997-04-07 2000-06-06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Forward link TDMA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091717A (en) * 1997-05-05 2000-07-18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ethod for scheduling packet data transmission
JP3912563B2 (ja) * 1997-12-15 2007-05-09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方法、並びに受信装置
US6393008B1 (en) * 1997-12-23 2002-05-21 Nokia Movile Phones Ltd. Control structures for contention-based packet data services in wideband CDMA
JP3473828B2 (ja) * 1998-06-26 2003-12-08 株式会社東芝 オーディオ用光ディスク及び情報再生方法及び再生装置
JP4162294B2 (ja) * 1998-07-03 2008-10-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複製制限機能を有する情報再生装置
US6351538B1 (en) * 1998-10-06 2002-02-26 Lsi Logic Corporation Conditional access and copy protection scheme for MPEG encoded video data
US6724813B1 (en) * 1998-10-14 2004-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licit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567390B1 (en) * 1999-03-29 2003-05-20 Lsi Logic Corporation Accelerated message decoding
US6622251B1 (en) * 1999-04-07 2003-09-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to put a mobile terminal into sleep when a frame control channel containing a location of slow broadcast channel does not include wakeup information
JP3704003B2 (ja) * 1999-08-16 2005-10-05 株式会社東芝 無線基地局装置、無線端末装置及び情報通信方法
EP1089273A3 (en) * 1999-09-30 2002-08-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scrambled part of content informatio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recorded therein
US6643318B1 (en) * 1999-10-26 2003-11-04 Golden Bridge Technology Incorporated Hybrid DSMA/CDMA (digital sense multiple access/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ethod with collision resolution for packet communications
WO2001039452A1 (en) * 1999-11-29 2001-05-31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losed loop power control for common downlink transport channels
TW529020B (en) * 2000-03-14 2003-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ncrypted data signal, data storage medium, data signal playback apparatus, and data signal recording apparatus
US7308575B2 (en) * 2000-03-30 2007-12-11 Arris Group, Inc. Data scrambling system for a shared transmission media
WO2001078489A2 (en) * 2000-04-07 2001-10-25 Broadcom Homenetworking, Inc. Frame-based communication with variable rate payload
US7158482B2 (en) * 2001-02-07 2007-01-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received data from corrupting previously processed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120134B2 (en) * 2001-02-15 2006-10-1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channel architecture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2064A (ja) * 1992-04-13 1993-11-05 Canon Inc 音声スクランブル回路、音声ディスクランブル回路およびコードレス電話装置
US5278907A (en) * 1993-03-01 1994-01-11 Transcrypt International, Inc. Analog scrambling with continuous synchronization
KR950022260A (ko) * 1993-12-01 1995-07-28 양승택 씨.디.엠.에이(cdma) 이동통신 기지국 변조장치의 채널 변조회로 및 그를 이용한 변조장치
US5727064A (en) * 1995-07-03 1998-03-10 Lucent Technologies Inc. Cryptographic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185199B1 (en) * 1997-07-23 2001-02-06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mission using time gate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KR100266611B1 (ko) * 1998-03-26 2000-09-15 구자홍 데이터 스크램블링 회로
KR20010033650A (ko) * 1998-10-28 2001-04-25 요트.게.아. 롤페즈 무선 통신 시스템
KR20010008808A (ko) * 1999-07-05 2001-02-05 이형도 무선랜에서의 데이터 암호화 방법
KR20010057593A (ko) * 1999-12-17 2001-07-05 박종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음성 및 데이타 암호화/복호화장치및 그 방법
KR20010084170A (ko) * 2000-02-24 2001-09-06 서평원 공통 패킷 채널의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38721A1 (en) 2002-09-26
KR20020074588A (ko) 2002-10-04
US7886142B2 (en)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2603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채널 및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을 스크램블링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46970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제어 채널 통신 장치 및방법
KR10062456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AU7675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burst pilot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74719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17456B1 (ko) 가변 레이트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5479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셀 식별 코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754552B1 (ko)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고속 공통 제어 채널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941338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유 서브 패킷 처리 방법
US20050169198A1 (en) Base station midamble selection
EP1130834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sending control method
KR2002005367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송수신장치 및 방법
EP1139596A1 (en) Spread spectrum modulation method with discontinous spreading code, corresponding demodulation method, mobile station and base stations
US6249517B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variety of transmission rates in spread spectrum CDMA system
US7940739B2 (en) Complex multiplexing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00796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 트래픽 채널 전송 장치 및 방법
US68888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erting sid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KR20020064575A (ko) 패킷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프리앰블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0703436B1 (ko) 고속 패킷 데이터 전송 이동통신시스템의 사용자 구별장치 및방법
KR100713488B1 (ko)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의 프리앰블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401189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제어명령전송장치및방법
KR20030091245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이동국에서 패킷데이터 제어 채널과패킷데이터 채널을 복조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