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6003B1 - 디바이스드라이버적재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드라이버적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6003B1
KR100436003B1 KR1019960070213A KR19960070213A KR100436003B1 KR 100436003 B1 KR100436003 B1 KR 100436003B1 KR 1019960070213 A KR1019960070213 A KR 1019960070213A KR 19960070213 A KR19960070213 A KR 19960070213A KR 100436003 B1 KR100436003 B1 KR 100436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driver
loaded
memory
loading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1321A (ko
Inventor
전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7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6003B1/ko
Priority to JP9354272A priority patent/JPH10198553A/ja
Publication of KR19980051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1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6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된 후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탑재하고 수행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 방법은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배열을 바꾸어 메모리 상에 목적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적재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과정;
상기 영역에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는 과정
부팅시 메모리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종 어드레스를 구하는 과정;
상기 영역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패킷을 작성하는 과정;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스트레이트지 루틴 및 인터럽트 루틴을 수행하여 초기화하는 과정 ;
부팅시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종 어드레스에 상기 영역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브의 주소를 연결하는 과정;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상주시키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 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있어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적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된 후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적재하고 수행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스 시스템에서 하드웨어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통상 디바이스 드라이버라 칭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은 "SYS"라는 파일 확장자를 가진다. 이렇게 "SYS"라는 확장자를 갖는 파일은 명령어를 입력하는 수단으로는 실행될 수가 없고 반드시 명령어 프롬프트가 표시되기 전에 컴퓨터 운영체계에 의해 CONFIG.SYS라는 파일내에서 수행되어야 하며, 이때 CONFIG.SYS파일 내에는 "DEVICE ="이라는 문장과 함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지정해 주도록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시디롬을 구동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이름이 CDROMDRV.SYS라고하고 이 파일이 C:\DRIVE라는 디렉토리에 존재하며, 옵션을 /D:MSCD001이라는 명령어를 지정해주어야 한다고 가정했을 때 CONFIG.SYS파일 내에는 다음과 같은 명령어가 있어야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구동된다.
DEVICE = C:\DRIVER\CDROMDRV. SYS /D:MSCD001
이와 같은 명령어가 CONFIG.SYS 파일 내에 있으면 시스템은 CDROMDRV.SYS라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컴퓨터 시스템의 램(ram)이라는 메모리에 상주시킴에 의하여 시디롬을 구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용하는 하드웨어 장치의 종류가 2개 이상이며 이에 따라 각각의 하드웨어를 구동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도 2개 이상이라고 할 때,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인식했다 하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2개 이상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중 한가지를 적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이는 도스의 제약사항으로 응용 프로그램 작성자가 수정할 수 없는 제약사항으로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통상 프로그램이 하드웨어를 인식했을 경우 인식된 결과를 도스에 건네주기 위하여는 종료코드를 사용하여야 하며, 종료 코드에 설정된 숫자 (0에서 255까지의 정수)는 에러레벨이라는 도스가 인식하는 변수로 전달되는데 이때 이를 구별하는 명령어인 "if errorlevel x goto label_x"는 CONFIG.SYS 파일 내에서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하드웨어를 인식하고 인식한 하드웨어에 해당하는 종료코드에 따라 if 문을 사용하여 해당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는 방법은 CONFIG.SYS파일내에서는 구현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은 CONFIG.SYS파일 내에서는 if errorlevel문을 사용할 수 없다는 점과 도스가 부팅된 후 autoexec.bat파일 내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확장자가sys인 파일)를 수행시킬 수 없다는 제약사항에 의한 것이다. 여기서 첫 번째 제약은 도스 자체의 문제점이므로 도스를 설계한 회사가 아니면 이를 수정할 수 없다.
이러한 제약에 의하여 한 번 도스가 부팅되고 나면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적재할 수 없으므로 CONFIG.SYS을 다시 작성하고 컴퓨터 시스템을 다시 부팅시키지 않으면 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된 후 도스 프롬프트상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탑재하고 수행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배열 순서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하는 메모리의 구성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 방법은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배열을 바꾸어 메모리 상에 목적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적재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과정;
상기 영역에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는 과정
부팅시 메모리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종 어드레스를 구하는 과정;
상기 영역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패킷을 작성하는 과정;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스트레이트지 루틴 및 인터럽트 루틴을 수행하여 초기화하는 과정;
부팅시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종 어드레스에 상기 영역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브의 주소를 연결하는 과정;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상주시키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l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2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기 위하여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배열 순서를 바꾸는 과정을 설명하는 메모리의 구성도이다.
도스가 로딩된 상태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브를 메모리에 적재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라운처(launcher)라고 하면,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다음과 같은 명령을 입력함에 실행된다.
A> launcher d:\path\filename. sys /option
여기서 d:\path는 filename.sys가 있는 경로명을 나타내고, filename.sys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파일명이다. 상기 명령이 입력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처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적재되고, 그 후 메모리에 적재된 라운처 프로그램이 재배치되는 과정을 거친다(Sl). 도 2의 A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명령이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입력되면 라운처 프로그램이 현재까지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다음 위치에 적재된다. 도 2에 있어서, a 부분은 도스 및 부팅시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등이 적재된 영역을 나타내고, b 부분은 라운처 프로그램이 적재된 영역이며, c부분은 프로그램이 적재되지 않은 부분을 나타낸다. 이렇게 적재된 라운처 프로그램은 도 2의 B와 같이 메모리 상에서 자신의 위치를 64킬로바이트의 공간을 비운 다음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라운처 프로그램을 현재의 위치로부터 64킬로바이트 만큼 떨어진 곳에 복사하고, 라운처 프로그램의 코드 세그먼트(CS: Code Segment)를 64킬로바이트 더한 만큼 이동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64킬로바이트의 공간은 라운처 프로그램에 의해 적재될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위치할 공간이며, 도 2의 B에서 영역 b로 표기되어 있다. 통상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크기는 64킬로바이트 보다 작으므로 상기 공간에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충분히 적재된다.
이와 같이 라운처 프로그램은 메모리 상에 64킬로바이트의 공간을 확보한 다음 상기 영역에 명령어 행에서 지정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읽어 들인다(S2).
다음으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형태로 미리 메모리에 로드되어 있던 최후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어드레스를 구한다(S3).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반드시 스트레이트지(strategy) 루틴과 인터럽트 interrupt) 루틴을 가지고 있고 이를 초기화 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명령어 패킷을 작성한다(S4). 도스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초기화하거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인터럽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에 해당하는 명령어 패킷을 가지고 있다. 통상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동하기 위한 명령에 패킷은 도스내에 탑재되어 있고 부팅과정에서 메모리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이러한 도스의 명령어 패킷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스가 부팅된 후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별도로 메모리에 적재하였으므로 이러한 도스 내부의 명령어 패킷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동시키기 위하여는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명령이 패킷이 메모리 상에 적재되어 있어야만 한다. 명령어 패킷의 작성은 디바이스 드라이버 파일의 속성에 맞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초기화시키기 위한 명령어 패킷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0 패킷 전체 크기(바이트수): 24를 저장한다.
+l 유닛명: 0을 지정한다.
+2 명령어 코드: 0은 초기화 명령임을 나타낸다.
+3 상태 플레그: 8000H는 에러임을 나타내고, 0000H는 정상임을 나타낸다
+5 사용하지 않는 8바이트 정보: 0으로 채워져 있다.
+l3 유닛수: 0을 지정한다.
+14 브레이크시 되돌아올 주소(세그먼트:오프셋)
+18 입력 파라미터가 있는 곳의 선두주소(세그먼트:오프셋)
옵션을 읽어들여 저장한 곳의 선두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22 다음에 위치하는 드라이버 번호: 0을 지정한다.
+23 짝수를 채우기 위해 0을 지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명령어 패킷을 작성한 후 명령어 패킷의 선두 주소를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트레이트지 루틴의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6번지를 호출한다(S5). 다음으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8번지에는 인터럽트 루틴의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여기를 호출한다 (S6). 이 루틴을 호출하고 나면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상주부분에 대한 크기가 ax레지스터에 리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라운처 프로그램을 통하여 메모리에 상주시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초기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컴퓨터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하기 위하여 현재 로딩중인 디바이스 드라이버보다 먼저 메모리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주소를 변경하여야한다(S7).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주소 변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0번지부터 4바이트에는 다음 번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지정하는 주소 값이 기록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스는 첫 번째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감지하면 그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0번지부터 4바이트에 기록된 어드레스로부터 다음번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있는 곳의 위치를 알 수 있고, 다음번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0번지부터 4바이트를 참조하여 계속 다른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찾아낼 수 있다. 또한 CONFIG.SYS에 의해 메모리에 적재된 마지막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0번지부터 4바이트에는 마지막으로 절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0FFFFH,0FFFFH로(4바이트)이라는 식별 표식이 기록되어 있다. 라운처 프로그램은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종 어드레스에 현재 메모리에 읽어들인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주소를 연결한다. 또한 현재 읽어들인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초 0번지부터 4바이트에는 이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최종 디바이스 드라이버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l값을 기록한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기존에 메모리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라운처 프로그램에 의해 메모리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연결된다. 끝으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크기만큼 메모리에 상주시키는 과정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S8).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적재 가능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시디롬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여 하드 디스크 디바이스 드라이버등 각종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CONFIG.SYS에서 적재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외에 하나 또는 다수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더 메모리에 상주시킬 수가 있다. 즉 메모리에 적재하기를 원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명칭을 라운처 프로그램에 옵션의 형태로 지정하여 주면 라운처 프로그램은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원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적재한다. 라운처 프로그램에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지정하여 주는 일반적인 형태는 아래와 같다.
launcher d:\path\filename. sys /option
이와 같은 명령은 autoexec.bat 파일 내에 배치작업에 의하여 처리되도록 할 수 도 있고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으며,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장착된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종류를 파악한 경우에는 if 명령과 goto명령을 결합하여 장착된 하드웨어 디바이스에 맞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메모리에 자동으로 적재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동하고자 하는 하드웨어 장치를 시디롬이라 하고 이를 인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를 편의상 detected.exe라 한다.)을 동작시켜 인식된 결과가 A사 제품이면 1을 B사제품이면 2를 리턴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였다하면 각 회사의 제품에 맞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인 A.sys와 B.sys 파일을 다음과 같이 선택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detected. exe
if errorlevel 2 goto company_A
if errorlevel 1 goto company_B
goto finish
: company_A
launcher c:\A. sys /option
goto finish
: company_B
launcher c:\B. sys /option
goto finish
:finish
이와 같이 하였을 경우 A사 및 B사 별로 각각의 구동용 프로그램이 들어가있는 부트 디스켓 또는 부트시디 또는 부트 내용이 담긴 하드디스크를 각각 작성하지 않고도 하나의 부트 디스켓 또는 부트시디 또는 부트 내용이 담긴 하드디스크에서 원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메모리에 적재할 수 있으므로, 각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한 부팅디스크 작성에 따른 중복투자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새로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기 위하여 컴퓨터 시스템을 다시 부팅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제거 할 수 있다.

Claims (3)

  1. 컴퓨터 시스템의 부팅이 완료된 후 도스 프롬프트 상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탑재하고 수행시키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방법으로서,
    메모리에 적재된 프로그램의 배열을 바꾸어 메모리 상에 목적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적재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과정;
    상기 영역에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적재하는 과정
    부팅시 메모리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종 어드레스를 구하는 과정;
    상기 영역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패킷을 작성하는 과정;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스트레이트지 루틴 및 인터럽트 루틴을 수행하여 초기화하는 과정;
    부팅시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최종 어드레스에 상기 영역에 적재된 디바이스 드라이브의 주소를 연결하는 과정;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메모리에 상주시키고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적재될 상기 영역의 크기는 64킬로바이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 적재될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시디롬 디바이스 드라이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적재방법.
KR1019960070213A 1996-12-23 1996-12-23 디바이스드라이버적재방법 KR10043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213A KR100436003B1 (ko) 1996-12-23 1996-12-23 디바이스드라이버적재방법
JP9354272A JPH10198553A (ja) 1996-12-23 1997-12-24 Cd−romドライブの種類検出を行う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ブート方法及びデバイスドライバの搭載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0213A KR100436003B1 (ko) 1996-12-23 1996-12-23 디바이스드라이버적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321A KR19980051321A (ko) 1998-09-15
KR100436003B1 true KR100436003B1 (ko) 2004-10-08

Family

ID=37348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0213A KR100436003B1 (ko) 1996-12-23 1996-12-23 디바이스드라이버적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60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952A (ja) * 1990-08-22 1992-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バイスドライバ・ローディング方式
JPH04111148A (ja) * 1990-08-31 1992-04-13 Nec Corp システム構成変更方式
JPH05233511A (ja) * 1992-02-18 1993-09-10 Toshiba Corp 電子計算機システム
US5412798A (en) * 1991-12-27 1995-05-02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enabling access to device driver residing in resource memory corresponding to coupled resource by allowing memory mapping to device driver to be executed
JPH07191835A (ja) * 1993-12-27 1995-07-28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EP0718777A2 (en) * 1990-12-12 1996-06-2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onnecting mea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2952A (ja) * 1990-08-22 1992-04-03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バイスドライバ・ローディング方式
JPH04111148A (ja) * 1990-08-31 1992-04-13 Nec Corp システム構成変更方式
EP0718777A2 (en) * 1990-12-12 1996-06-26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onnecting means
US5412798A (en) * 1991-12-27 1995-05-02 Intel Corporation System for enabling access to device driver residing in resource memory corresponding to coupled resource by allowing memory mapping to device driver to be executed
JPH05233511A (ja) * 1992-02-18 1993-09-10 Toshiba Corp 電子計算機システム
JPH07191835A (ja) * 1993-12-27 1995-07-28 Toshiba Corp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1321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54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ing a computer system without loading a device driver into memory
US5604887A (en) Method and system using dedicated location to share information between real and protected mode device drivers
US6086623A (en) Method and implementation for intercepting and processing system calls in programmed digital computer to emulate retrograde operating system
US52146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 system reference diskette image from a system partition in a personal computer system
JP2650675B2 (ja) マルチモードマイクロプロセッサにおいて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方法及び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
JP3227542B2 (ja) 特定のコンピュータ・ハード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のために作成されたソフトウェアのバージョンの互換性を確保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5870520A (en) Flash disaster recovery ROM and utility to reprogram multiple ROMS
US200100396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 booting
US20080010446A1 (en) Portable apparatus supporting multiple operating systems and supporting method therefor
JPH06324849A (ja) オペレーティング・システム環境の起動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9151826A (ja) コンピュータメモリ装置のための変更可能な区画ブート記録
JPH07120248B2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内でシステム・ユーティリティを保護するための装置
JPH06242990A (ja) メモリパッチ装置
JP2681929B2 (ja) プログラム起動方式
JPS645330B2 (ko)
KR100223844B1 (ko) 옵션 자동 설정 회로
KR100436003B1 (ko) 디바이스드라이버적재방법
US6182207B1 (en) Microcontroller with register system for the indirect accessing of internal memory via auxiliary register
US200701690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in-system program
JP2002318703A (ja) 制御システム
JPS628831B2 (ko)
JPH07281986A (ja) 拡張ボード及び該ボードを用いた情報処理装置とその周辺装置の制御方法
JPH10198553A (ja) Cd−romドライブの種類検出を行う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ブート方法及びデバイスドライバの搭載方法
KR100222620B1 (ko) 다중 프로그램의 다운로드 방법
JP2664168B2 (ja) 情報処理装置の起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