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1505B1 -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 - Google Patents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1505B1
KR100431505B1 KR10-2002-0039725A KR20020039725A KR100431505B1 KR 100431505 B1 KR100431505 B1 KR 100431505B1 KR 20020039725 A KR20020039725 A KR 20020039725A KR 100431505 B1 KR100431505 B1 KR 10043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card
processing unit
restriction
top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5237A (ko
Inventor
김성일
강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단정보통신
Priority to KR10-2002-0039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505B1/ko
Publication of KR2004000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2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for identification purposes, e.g. storing user identification data, preferences, personal settings o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8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 H04N21/4183External card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client device, e.g. for conditional access providing its own processing capabilities, e.g. external module for video de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장치이며, 상기 카드 슬롯에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판독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는 카드 처리부; 및 상기 카드 처리부로부터 스마트 카드 장착에 따른 신호가 제공되면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 내장된 제한 수신 시스템별로 해당 명령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제공한 다음에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가 어떠한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도 하나의 카드 슬롯을 통하여 다수의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디지털 셋탑 박스를 통하여 다수의 원하는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device for distinguishing cards and digital set-top box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셋탑 박스(digital set-top box)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디지털 셋탑 박스의 슬롯에 장착되는 카드를 인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방송 서비스 개념이 구조적, 기술적으로 변화되어 시청자들에게 보다 많은 프로그램과 양질의 방송을 제공하는 유료 TV 및 페이퍼뷰(pay-per-view)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다양한 프로그램 중 시청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시청한다는 가입자 위주의 방송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텔레비젼은 이러한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능이 없으므로 별도의 셋탑 박스가 요구된다. 셋탑 박스는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위성 안테나의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고 위성 안테나에서 수신한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처리한다.
이러한 디지털 셋탑 박스에는 제한 수신 시스템(이하, "CAS(Conditional Access System)"라고 명명됨)이 내장되어 있다. CAS는 정당한 시청 권한을 가진 수신자만이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주파수대 변환기(scrambler), 키 관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관리의 3개 분야로 나뉘어지며, 스마트 카드(smart card)를 사용하여 복호화에 필요한 키(control word)를 찾아낸다. 프로그램별로 서로 다른 CAS가 사용되기 때문에, CAS별로 서로 다른 키를 가지는 스마트 카드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셋탑 박스는 하나의 슬롯에서 서로 다른 CAS와 호환되도록 제작된 다수의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이 보고자 하는 두 개 이상의 방송이 서로 다른 스마트 카드를 사야지만 볼 수 있는 경우에는, 카드를 사더라도 셋탑 박스에 내장된 슬롯이 다수의 카드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송을 모두 시청할 수 없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스마트 카드를 사용하는 방송인 경우에는 다시 해당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셋탑 박스를 사야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지털 셋탑 박스가 서로 다른 CAS와 호환되도록 제작된 다수의 스마트 카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디지털 셋탑 박스가 다수의 CAS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두 개 이상의 다양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인식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른 카드 인식 장치는,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 슬롯에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판독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는 카드 처리부; 및 상기 카드 처리부로부터 스마트 카드 장착에 따른 신호가 제공되면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 내장된 제한 수신 시스템별로 해당 명령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제공한 다음에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가 어떠한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중앙 처리부의 판별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명령어 전송에 따른 에러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응답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스마트 카드 인식 장치.
또한, 상기 중앙 처리부는,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에 내장된 하나의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선택적으로 재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제한수신 시스템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다른 특징에 따른 카드 인식 방법은,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카드 슬롯에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는 단계; b) 상기 내장된 제한 수신 시스템의 명령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에러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응답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내장된 모든 제한 수신 시스템의 명령어를 스마트 카드로 제공하여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를 다시 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b)와 c)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설정 횟수 이상 상기 b)와 c) 단계를 수행하여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 단계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하나의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선택적으로 재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는,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저장부; 카드 슬롯에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판독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는 카드 처리부; 상기 카드 처리부로부터 스마트 카드 장착에 따른 신호가 제공되면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 내장된 제한 수신 시스템별로 해당 명령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제공한 다음에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가 어떠한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와 호환되는 제한 수신 시스템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에 내장된 하나의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선택적으로 재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의 구조도이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셋탑 박스(200)는, 튜너(210), 중앙 처리부(220), 카드 처리부(230), 저장부(240), 표시부(250), 디코더(260), 오디오 신호 변환부(265), 비디오 인코더(270)를 포함한다.
튜너(210)는 위성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노이즈 제거한 다음에 디지털 셋탑 박스가 처리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LNB(low noise block converter, 10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 중 소정 채널의 신호만을 선택하여 증폭한다.
중앙 처리부(220)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튜너(210)로부터 제공되는 신호가 처리되어 오디오 또는 비디오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300)가 어떠한 CAS와 호환되는 카드인지를 판별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처리부(220)는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300)를 리셋시키는 카드 리셋부(221), 리셋된 스마트 카드(300)가 어떤 CAS에 해당하는 카드인지를 판별하는 카드 판별부(222), 스마트 카드(300)를 내장된 CAS와 연결시키는 연결부(223)를 포함하며, 튜너를 통해 수신되어 출력되어 방송 신호 처리를 제어하는 신호 처리 제어부(224)를 더 포함한다.
카드 처리부(230)는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300)를 판독하는 카드 판독부(231), 중앙 처리부(220)의 제어에 따라 스마트 카드(300)의 구동 및 리셋 동작을 수행하는 카드 구동부(232)를 포함한다.
저장부(240)에는 디지털 셋탑 박스가 처리하는 두 개 이상의 CAS 즉, CAS용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저장부(240)에 저장된 CAS는 필요에 따라 중앙 처리부에 리드되어 방송의 제한 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표시부(250) 카드 슬롯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가 처리 가능한 카드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LED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디코더(260)는 신호 처리 제어부(224)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며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로 분리한다. 오디오 신호 변환부(265)는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화시켜 TV의 라디오 입력으로서 출력하며, 비디오 인코더(270)는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TV 비디오 입력으로서 출력한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280,RS232C), 전원을 공급하는 발진기(285, VCXO: Voltage Controlled Crystal Oscillator), EEPROM(290)을 더 포함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셋탑 박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카드 슬롯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과정을 중점으로 하여 디지털 셋탑 박스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드 인식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특정 방송을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해당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키가 저장되어 있는 스마트 카드를 디지털 셋탑 박스의 카드 슬롯에 장착하거나,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카드 처리부(230)의 카드 판독부(231)는 스마트 카드 장착되었음을 감지하고 이를 중앙처리부(220)로 보고한다(S100).
이에 따라 중앙 처리부(220)는 카드 슬롯에 장착된 스마트 카드가 어떠한 종류의 CAS에 사용될 수 있는 카드인지를 판별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앙 처리부(220)의 카드 리셋부(221)는 카드 처리부(230)로 장착된 스마트 카드(300)를 리셋시키라고 명령한다.
카드 처리부(230)의 카드 구동부(232)는 중앙 처리부(22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장착된 스마트 카드(300)를 리셋시키고, 카드 판독부(231)는 리셋된 스마트 카드(300)의 기본 정보를 판독하여 중앙 처리부(220)로 제공한다(S110).
스마트 카드의 기본 정보는 ISO7816에 정의된 ATR(answer to reset)이며, 카드 종류에 상관없이 스마트 카드이면 제공되어야 하는 공통 규격이다. ATR은 TS(The initial Character), TO(The Format Character), TA(i)TB(i)TC(i)TD(i)(The Interface Characters), T1 T2...TK(Historical Characters), TCK(Check Character)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ATR은 특별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중앙 처리부(220)는 카드 구동부(232)를 디폴트(default) 값으로 세팅한다. 중중앙 처리부(220)는 스마트 카드로부터의 기본 정보인 ATR을 분석하여 카드에 맞는 환경으로 카드 구동부(232)를 세팅시킨다.
스마트 카드(300)의 리셋이 완료되면, 중앙 처리부(220)의 카드 판별부(222)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 내장된 즉, 저장부(240)에 저장된 CAS 별로 해당하는 스마트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스마트 카드(300)로 제공하여, 장착된 스마트 카드가 어떠한 명령어에 응답하는지를 판단한다(S120).
구체적으로, 카드 판별부(222)가 제1 CAS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카드 처리부(230)로 제공하면 카드 구동부(232)가 해당 명령어를 스마트 카드(300)로 전달하며, 이후, 스마트 카드(300)는 전달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생성된 응답 메시지는 카드 판독부(231)를 통하여 중앙 처리부(220)로 제공된다.
중앙 처리부(220)의 카드 판별부(222)는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해당 명령어를 인식할 수 없다는 에러 메시지가 제공된 경우에는, 장착된 카드가 제1 CAS에 해당하는 카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CAS에 해당하는 명령어를 제공한다(S130).
장착된 스마트 카드가 CAS의 명령어에 대하여 정상적인 응답 메시지를 보낼때까지, 판별부(222)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 내장된 모든 CAS별로 해당 명령어를 스마트 카드로 보내는 판별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중앙 처리부(220)는 IS07816에 명시되어 있는 표준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스마트 카드(300)와 통신하기 때문에, CAS와 장착된 스마트 카드가 서로 명령어가 맞지 않아도 카드가 에러 메시지를 리턴함으로써 호환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카드에도 이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내장된 모든 CAS에 대한 명령어를 스마트 카드로 전송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스마트 카드로부터 에러 메시지가 제공된 경우에는, 판별 동작이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실패 횟수를 카운트하기 위한 변수값을 +1 증가시키고, 증가된 변수값과 설정 횟수를 비교하여 설정 횟수를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변수값이 설정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S110)로 복귀하여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스마트 카드를 다시 리셋시킨 다음에 내장된 CAS별로 명령어를 전송하는 판별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S140∼S160).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판별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에러를 보안하기 위하여 판별 동작을 1회만 수행하지 않고 설정 회수 이상 수행하여 장착된 스마트 카드가 어떤 CAS와 호환되는 카드인지를 판별한다.
그러나, 판별 동작을 설정 횟수 이상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하여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에러 메시지가 전송되면, 카드 판별부(222)는 현재 디지털 셋탑 박스에는 장착된 스마트 카드와 호환되는 CAS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S170). 이 경우 카드 판별부(222)는 표시부(250)를 구동시켜 장착된 스마트 카드(300)가 사용 불가능함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외에도, 카드 사용 불가 메시지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디코더(260)로 제공하여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되도록 하여, 도시하지 않은 텔레비젼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한편, 위에 기술된 판별 동작에 따라, 스마트 카드(300)로부터 명령어에 따른 정상적인 응답 메시지가 제공되면, 판별부(222)는 장착된 스마트 카드(300)가 상기 명령어를 가지는 CAS와 호환 가능한 카드인 것으로 판단한다(S180).
이와 같이 장착된 스마트 카드가 어떤 CAS와 호환될 수 있는 종류인지가 판별되면, 중앙 처리부(220)의 연결부(223)는 장착된 스마트 카드와 해당 CAS를 연결시키기 전에 다시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켜야 하는지를 판단한다(S190). CAS가 기계어 코드인 라이브러리(library)를 제공한 경우에는 연결에 앞서서 스마트 카드를리셋시켜야 한다. 따라서 연결부(223)는 장착된 스마트 카드와 호환되는 CAS가 라이브러리를 제공한 경우, 카드 처리부(230)로 리셋 명령어를 제공하여 스마트 카드가 리셋되도록 한다(S200).
리셋이 완료되면, 연결부(223)는 스마트 카드(300)와 호환되는 CAS에서 제공되는 라이브러리의 규칙에 따라 스마트 카드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당 라이브러리를 선택한다(S210). 그리고,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스마트 카드(300)와 CAS에 연결시킨다(S220). 즉, 연결부(223)는 선택된 CAS 라이브러리가 제공하는 함수 중에서 가장 초기화 단계인 CAS 라이브러리 초기 함수를 호출한다. 이 함수가 호출되면 선택된 CAS는 그 이후에 진행될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 카드가 디지털 셋탑 박스에 장착된 후 카드 판별에 따라 방송을 시청하는데 필요한 모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단계(S190)에서, 장착된 스마트 카드와 해당 CAS를 연결시키기 전에 다시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바로 스마트 카드(300)와 CAS를 연결시킨다.
이러한 스마트 카드에 대한 모든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중앙 처리부(220)는 셋탑 박스의 다른 부분에 대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며,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TV의 라디오 또는 비디오 입력으로 출력한다.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위성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튜너(210), 중앙 처리부(220), 디코더(260), 오디오 신호 변환부(265), 비디오 인코더(270)를 통하여 처리하는 과정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기술임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도 하나의 카드 슬롯을 통하여 다수의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하나의 디지털 셋탑 박스를 통하여 다수의 원하는 방송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을 내장한 하나의 디지털 셋탑 박스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방송을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다.

Claims (8)

  1.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드 슬롯에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판독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는 카드 처리부; 및
    상기 카드 처리부로부터 스마트 카드 장착에 따른 신호가 제공되면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 내장된 제한 수신 시스템별로 해당 명령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제공한 다음에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가 어떠한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
    를 포함하는 카드 인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의 판별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명령어 전송에 따른 에러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응답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카드 인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에 내장된 하나의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선택적으로 재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과 연결시키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카드 인식 장치.
  4.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디지털 셋탑 박스에서 카드 슬롯에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카드 슬롯에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는 단계;
    b) 상기 내장된 제한 수신 시스템의 명령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단계; 및
    c)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에러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해당하는 응답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해당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드 인식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내장된 모든 제한 수신 시스템의 명령어를 스마트 카드로 제공하여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를 다시 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b)와 c)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설정 횟수 이상 상기 b)와 c) 단계를 수행하여도 상기 스마트 카드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사용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카드 인식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하나의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선택적으로 재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과 연결시키는 카드 인식 방법.
  7. 다수의 제한 수신 시스템이 내장되어 있는 저장부;
    카드 슬롯에 스마트 카드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장착되는 스마트 카드를 판독하며,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리셋시키는 카드 처리부;
    상기 카드 처리부로부터 스마트 카드 장착에 따른 신호가 제공되면 스마트카드를 리셋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리셋부, 내장된 제한 수신 시스템별로 해당 명령어를 상기 스마트 카드로 제공한 다음에 스마트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메시지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가 어떠한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되는 카드인지를 판별하는 판별부를 포함하는 중앙 처리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와 호환되는 제한 수신 시스템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에서 허용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 및 처리하도록 하는 디지털 셋탑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부는,
    상기 스마트 카드가 상기 디지털 셋탑 박스에 내장된 하나의 제한 수신 시스템과 호환 가능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의 요구에 따라 상기 스마트 카드를 선택적으로 재리셋시킨 다음에 상기 제한 수신 시스템과 연결시키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셋탑 박스.
KR10-2002-0039725A 2002-07-09 2002-07-09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 KR10043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725A KR100431505B1 (ko) 2002-07-09 2002-07-09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725A KR100431505B1 (ko) 2002-07-09 2002-07-09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237A KR20040005237A (ko) 2004-01-16
KR100431505B1 true KR100431505B1 (ko) 2004-05-13

Family

ID=37315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725A KR100431505B1 (ko) 2002-07-09 2002-07-09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19B1 (ko) * 2008-06-26 2014-12-08 주식회사 케이티 아이피티브이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261B1 (ko) * 2003-07-11 2010-10-19 (주)휴맥스 디지털 방송 신호의 조건부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99120B1 (ko) * 2004-08-26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Osd 화면 상의 리셋 메뉴를 이용한 케이블카드 및 채널목록의 초기화방법 및 장치
JP2008527515A (ja) 2005-01-07 2008-07-24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読取器におけるチップカードの存在の検出器によって通信する方法、そのような存在検出器によって通信するチップカード及び読取装置
KR100751402B1 (ko) * 2005-12-14 200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cas 및 그 작동 방법
KR100793793B1 (ko) * 2006-04-18 2008-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기 및 수신 방법
KR100840573B1 (ko) * 2006-12-13 2008-06-2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수의 cam 모듈의 액세스 타임 최적화 방법
KR101343406B1 (ko) 2007-01-30 2013-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제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KR20100134065A (ko) * 2008-03-24 201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JP7028112B2 (ja) * 2018-09-05 2022-03-02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放送受信方法、放送受信装置および管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0190A (ja) * 1987-03-27 1988-10-05 Nec Corp Icカ−ド利用によるcatvコンバ−タ
KR19990056403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착탈식 스마트카드의 인터페이스장치
JP2000115748A (ja) * 1998-08-11 2000-04-21 Cselt Spa (Cent Stud E Lab Telecomun) マルチメディア・テレマティクス・サ―ビスのようなデジタルサ―ビスの制御された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0358229A (ja) * 1999-06-17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再生システム
KR20010105050A (ko) * 2000-05-18 2001-11-28 이 용 국 다중 채널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0190A (ja) * 1987-03-27 1988-10-05 Nec Corp Icカ−ド利用によるcatvコンバ−タ
KR19990056403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착탈식 스마트카드의 인터페이스장치
JP2000115748A (ja) * 1998-08-11 2000-04-21 Cselt Spa (Cent Stud E Lab Telecomun) マルチメディア・テレマティクス・サ―ビスのようなデジタルサ―ビスの制御された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0358229A (ja) * 1999-06-17 2000-1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放送再生システム
KR20010105050A (ko) * 2000-05-18 2001-11-28 이 용 국 다중 채널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419B1 (ko) * 2008-06-26 2014-12-08 주식회사 케이티 아이피티브이의 사용자 이동성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5237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6691A (en) Display control method for display having buttons representing selectable voting items in which only marks assigned to selected items continue to be displayed upon selection
US69548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font size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
US62431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ime and program status in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65189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on-screen guide for a multiple 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6505346B2 (en) Station jump loop
US20080074547A1 (en) Video display system, and main apparatus and sub apparatus included in video display system
KR20000068183A (ko) 정보 수신 장치 및 그 방법과, 정보 송신 장치 및 그 방법
EP091092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a television using a personal computer
KR100431505B1 (ko) 카드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이를 이용한 디지털 셋탑 박스
US20050158030A1 (en) Auto title frames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080418B1 (ko) 디지털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EP2426938A2 (en) Method for receiving viewing-restricted channel
US20030012377A1 (en) Interface module and decoder for host
US6968018B2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s
US76611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itializing cable card and channel list using reset menu on OSD screen
JP3145855B2 (ja) Catv視聴制御システム
KR101020901B1 (ko) 칩 카드 또는 칩 키와 같은 휴대형 물체의 전송 프로토콜자동 검출 방법
KR20060011450A (ko) Rfid를 이용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JPH10336621A (ja) 有料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US20020021309A1 (en) Future program action indication display
KR100820805B1 (ko) 멀티 시청을 위한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
KR100859152B1 (ko) 사용자 제한 장치를 구비한 디지털 방송 수신장치
US20020100048A1 (en) Upcoming program information display
US20020184425A1 (en) Decoder expansion system
KR100478781B1 (ko) 멀티 오.에스.디 기능을 갖는 위성방송 수신장치와 이의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