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612B1 - 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612B1
KR100430612B1 KR10-2001-0062351A KR20010062351A KR100430612B1 KR 100430612 B1 KR100430612 B1 KR 100430612B1 KR 20010062351 A KR20010062351 A KR 20010062351A KR 100430612 B1 KR100430612 B1 KR 100430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essage
portable terminal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2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32119A (en
Inventor
송병문
류대성
최성순
Original Assignee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이더덴닷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2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612B1/en
Publication of KR2003003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1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61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와 원거리 무선통신망을 상호 중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부, 메시지 송수신부, 인증부, 메시지 저장부,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 및 이동통신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인접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메시지 저장부 및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와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 저장부는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접속부는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망으로 송신하며, 상기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전송함으로써 근거리 통신 기능만 가지며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을 받은 휴대용 단말기는 모두 중계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elay system for relaying a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y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 authentication unit, a message storage unit, a message application un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wherein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o the message storage unit and a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transmits a signal stored in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the message storage unit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he authentication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essage storing unit stor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has only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nd has been authenticated by the authentication unit. All portable terminals can acces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lay function.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 및 중계 시스템{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체적으로 이동통신망에 접속할 수 없는 휴대용 단말기가 인접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망 접속기능을 사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 중계를 가능하게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relaying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function of a mobile terminal adjacent to a mobile terminal that cannot connect to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itself is possible. It is about.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한국의 성인 남녀 거의 대부분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 고가의 단말기 구입대금 및 기본요금 등의 부담 때문에 간단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또한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이들의 이동통신망에 대한 접속 필요성 역시 커지고 있지만 이동통신 모듈의 가격부담 때문에 고가 모델에만 한정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expands, almost all Korean adults and men carr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inadequate to be used for the purpos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mple data due to the burden of expensive terminal purchase cost and basic charge. In addition, as the spread of portable terminals such a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ncreases, the necessity for accessing thei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is increasing, but due to the price burden of mobile communication modules, they are limited to high-priced models.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통신망과 상호 중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를 무선 통신망과 상호 중계하기 위한 중계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ay system for relay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relay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중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와 원거리 무선통신망을 상호 중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부, 메시지 송수신부, 인증부, 메시지 저장부,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 및 이동통신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인접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메시지 저장부 및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와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전송하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메시지 저장부는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저장하며; 상기 이동통신 접속부는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망으로 송신하며, 상기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을 받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서는 모두 중계해주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betwee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long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a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 authentication unit, a message storage unit, a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o the message storage unit and a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transmits a signal stored in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the message storage unit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he authentication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message storing unit stor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It provides a rel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바람직하기는,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첫 중계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받아서 상기 인증부를 통하여 인증을 받은 후에 신호를 송수신한다.Preferably,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receiv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when receiving the first relay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after authentic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메시지 타입이면 이를 복조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스트림 타입이면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실시간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전송한다.Preferably,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demodulat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stores the message in the message storage unit.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is a stream type,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s the message to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in real time. The signal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is mod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is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in real time.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인증부는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정보 확인 요청을 받을 경우 이를 확인해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연결 상태를 알려준다.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unit confirms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nd stores the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In case of request from the department, the connection status is informed.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는 상기 이동통신 접속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스트림 타입이면 실시간으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접속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메시지 타입이면 상기 메시지 저장부로 전송한다.Preferably,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transmits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in real time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is a stream type, and transmits the message transmission unit to the message storage unit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is a message type.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ID이다.Preferably,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n ID of the portable terminal.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개이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복수개의 휴대용 단말기들의 인증 정보들을 모두 저장한다.Preferably, the portable terminal is plural, and the authentication unit stores al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ther technical problem,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 무선통신망;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망을 상호 중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망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서버; 및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중계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요금을 부과하는 과금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증서버에 의해 인증을 받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서는 모두 중계해주는 휴대용 단말기 중계 시스템을 제공한다.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lays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 authent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having a charging server that charges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ys the mobile terminal. Provide a relay system.

바람직하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중계를 요구할 경우, 특정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통신망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금이 부과되지 않도록 한다.Preferably, when the mobile terminal requests a rel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s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pecific number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harged.

바람직하기는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개이며,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휴대용 단말기들의 인증 정보들을 모두 저장한다.Preferably, the portable terminal is plural,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stores al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상기 본 발명에 의하여 근거리 통신 기능만 가진 휴대용 단말기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무선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terminal having only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can access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1)는 근거리 통신부(111), 메시지 송수신부(121), 인증부(141), 메시지 저장부(131),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 및 이동통신 접속부(161)를 구비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for relay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a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1, an authentication unit 141, a message storage unit 131, a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is provided.

휴대용 단말기(미도시)는 근거리 통신 기능만을 가지고 있으며, 원거리 통신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는 단말기, 예컨대,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노트북 컴퓨터,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A portable terminal (not shown) has only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nd has no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 notebook computer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This correspond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근거리 통신부(111)는 인접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근거리 통신부(111)는 소정의 통신 규약, 예컨대 IEEE 802.1x 기준을 따르거나 블루투쓰(Bluetooth)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근거리 통신부(111)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연결종료 신호가 오거나 메시지 송수신부(121)로부터 연결중단 신호를 받지 않는 한 한번 설정된 휴대용 단말기와의 근거리통신을 연결 상태로 유지하고 있으면서 메시지 송수신부(121)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111 may be implement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protocol, for example, the IEEE 802.1x standard or by using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Bluetoot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1 maintain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set once, until the connection termi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connection stop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21. Receives the signal and transmits it to the portable terminal.

메시지 송수신부(121)는 근거리 통신부(1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메시지 저장부(131) 또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 전송하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및 메시지 저장부(131)에 저장된 신호를 근거리 통신부(111)로 전송한다. 메시지 송수신부(12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첫 중계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 예컨대 ID(Identification)를 받아서 인증부(141)를 통하여 인증을 받은 후에 신호를 송수신한다. 메시지 송수신부(12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 요청이 메시지 중계요청이면 즉, 근거리 통신부(1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메시지 타입이면 이를 복조하여 메시지 저장부(131)에 저장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중계요청이 스트림 중계요청이면 즉, 근거리 통신부(111)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스트림 타입이면 상기 신호를 실시간으로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송수신부(121)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부터 스트림 타입의 신호를 전송받아서 실시간으로 근거리 통신부(111)로 전송하고, 메시지 저장부(131)에 저장된 신호를 변조하여 근거리 통신부(111)로 전송한다.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1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to the message storage unit 131 or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and the signal and message storage unit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The signal stored in 131 is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When receiving the first relay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1 receiv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n identification (I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after being authenticated through the authenticating unit 141. If the relay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 message relay request, that is,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is a message type, the message transceiver 121 demodulates the stored message in the message storage unit 131. If the relay request is a stream relay request, that i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111 is a stream type,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1 receives the stream type signal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and transmits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111 in real time, modulates the signal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131 to the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 111).

메시지 송수신부(121)는 인증부(141)로부터 인증을 받은 뒤 정상적인 중계절차를 진행하며, 일정 기간 인증값을 저장하여 동일한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요청이 발생한 경우 이를 인증해 준다.Afte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from the authentication unit 141,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1 proceeds with the normal relay procedure, and stores the authentication value for a certain period and authenticates the authentication request of the same portable terminal.

인증부(14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한다. 즉, 인증부(14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메시지 송수신부(121)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정보 확인 요청을 받을 경우 이를 확인해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부(111)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연결 상태를 알려준다. 인증부(141)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중계 요청을 받을 경우 유효한 통신채널을 설정하는 역할도 한다. 인증부(141)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의 구성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중계기로서 이용을 허가한 휴대용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입력 및 저장한 뒤 이를 인증정보로 사용하기도 한다.The authenticator 141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authentication unit 141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firms it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1, and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11 Stores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message and informs the connection status when a request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unit 151. The authentication unit 141 also serves to set up a valid communication channel when receiving a relay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authentication unit 141 may input and store a list of portable terminals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permits to use as a repeate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and then use it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메시지 저장부(131)는 메시지 송수신부(121) 및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저장한다.The message storage unit 131 stores th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ceiver 121 and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는 이동통신 접속부(161)로부터 받은 스트림 타입의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곧바로 메시지 송수신부(121)로 전송하고, 이동통신 접속부(161)로부터 메시지 타입의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메시지 저장부(131) 저장한다.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는 메시지 저장부(131)에 저장된 신호를 읽어 들여 응용프로그램의 본 목적에 부합하도록 가공한 뒤 이동통신 접속부(161)를 통해 무선통신망으로 전송하거나 휴대용 단말기의 작업 요청 성격에 따라 직접 처리한 결과를 메시지 송수신부(121)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한다.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는 이동통신 접속부(161)로부터 신호를 받은 후, 인증부(141)를 통해 휴대용 단말기와 연결이 유효한지 검증 후 이 정보를 메시지 저장부(131)에 저장한다.When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receives the stream type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immediately transmits the received signal of the message type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The message storage unit 131 stores the message.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reads the signal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131, processes it to meet the present purpose of the application program, and transmits 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or the nature of the work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direct processing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message transceiver 121.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receives a signal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verifies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is valid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141, and stores this information in the message storage unit 131.

이동통신 접속부(161)는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상기 무선통신망으로 송신하며, 상기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151)로 전송한다. 이동통신 접속부(161)는 일반적으로 소정 소프트웨어, 예컨대 퀄컴사에서 제공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며, 무선통신망으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호를 열 수 있도록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제공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151.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161 generally uses predetermined software, such as software provided by Qualcomm, and provides an API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to transmit a signal or open a call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인증부(141)는 상기 복수개의 휴대용 단말기들의 인증 정보들을 모두 저장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들 중 하나가 중계를 요청할 경우, 인증부(141)가 휴대용 단말기의 ID를 확인하여준다.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may be connected, and at this time, the authentication unit 141 stores all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Therefore, when one of the portable terminals requests relay, the authenticator 141 confirms the ID of the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중계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계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201), 이동통신 단말기(221), 무선통신망(NT), 인증 서버(211) 및 과금 서버(221)를 구비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rela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relay system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20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21,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an authentication server 211, and a charging server 221.

휴대용 단말기(201)는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지며, 원거리 통신 기능은 갖지 않는다. 따라서, 직접 무선통신망(NT)에 접속할 수 없다. 휴대용 단말기(201)로는 PDA나 노트북 컴퓨터 등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201 h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nd no telecommunication function.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The portable terminal 201 may be a PDA or a notebook computer.

이동통신 단말기(231)는 휴대용 단말기(201)와 무선통신망(NT)을 상호 중계하며, 무선통신망(NT)을 통해서 인증 서버(211) 및 과금 서버(221)와 접속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relays the portable terminal 20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and is connected to the authentication server 211 and the charging server 221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인증 서버(211)는 휴대용 단말기(201)가 이동통신 단말기(231)를 통하여 무선통신망(NT)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휴대용 단말기(201)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인증 서버(211)는 휴대용 단말기(201)의 인증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이동통신 단말기(231)로부터 휴대용 단말기(201)의 인증정보 확인 요청을 받을 경우 이를 확인해준다.The authentication server 211 authenticates the validity of the portable terminal 201 when the portable terminal 201 transmits a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The authentication server 211 stores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1 and confirms this 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201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과금 서버(221)는 이동통신 단말기(231)가 휴대용 단말기(201)의 중계를 완료한 후에 휴대용 단말기(201)에 요금을 부과한다.The charging server 221 charges the mobile terminal 201 aft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completes the relay of the mobile terminal 201.

이동통신 단말기(231)는 휴대용 단말기(201)가 중계를 요구할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231)가 사용하지 않는 특정 번호를 사용하여 휴대용 단말기(201)를 무선통신망(NT)에 접속시켜줌으로써 과금 서버(221)로 하여금 이동통신 단말기(231)에 요금을 부과하지 않게 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201 requests the rela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connects the mobile terminal 201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using a specific number which is not us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221 does not charg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101)에 복수개의 휴대용 단말기(201)들이 접속될 수 있다. 이 때, 인증 서버(211)는 이동통신 단말기(231)가 중계기로서 이용을 허가한 휴대용 단말기(201)들의 리스트를 입력 및 저장한 뒤 이를 인증정보로 사용하기도 한다.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201 may be connected to on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In this case, the authentication server 211 may input and store a list of the portable terminals 201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permits to use as a repeater, and then use it as authentication information.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접 무선통신망(NT)에 접속할 수 없는 휴대용 단말기(201)일지라도 이동통신 단말기(101,231)를 통하여 무선통신망(NT)에접속하여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211)를 이용한 중계 시스템을 이용하면 휴대용 단말기(201)는 주변의 임의의 이동통신 단말기(231)를 중계기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저가의 휴대용 단말기(201)를 가지고도 무선통신망(NT)에 접속하여 기본적인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PDA, 노트북 컴퓨터 등 임의의 휴대용 단말기(201)들이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갖춤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101,231)를 중계기로 이용해 무선통신망(NT)에 접속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부가서비스 개발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mobile terminal 201 cannot directly access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101 and 231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y connect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In addition, when the relay system using the authentication server 211 is used, the portable terminal 201 can use an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231 nearby as a repeater, thereby providing various services that are not limited by space. In addition, even a low-cost portable terminal 201 can be connect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to receive basic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nd any portable terminal 201 such as a PDA or a notebook computer has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Since the terminal (101,231) can b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NT) by using a repeater, it is possible to develop various types of additional services.

Claims (10)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와 원거리 무선통신망을 상호 중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부, 메시지 송수신부, 인증부, 메시지 저장부,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 및 이동통신 접속부를 구비하고,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an authentication unit, a message storage unit, a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인접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며;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nd receives a signal with the adjacent portable terminal;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상기 메시지 저장부 및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와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전송하며;The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to the message storage unit and a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transmits a signal stored in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and the message storage unit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상기 인증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을 수행하며;The authentication unit performs authent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메시지 저장부는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 및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저장하며;The message storing unit stor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상기 이동통신 접속부는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망으로 송신하며, 상기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을 받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서는 모두 중계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Rel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lay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첫 중계 요청을 받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인증정보를 받아서 상기 인증부를 통하여 인증을 받은 후에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When receiving the first relay reques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for relay, characterized in that after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rom the portable terminal after receiving authentication through the authent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메시지 타입이면 이를 복조하여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스트림 타입이면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전송하며,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는 실시간으로 상기 근거리 통신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is a message type, it is demodulated and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is a stream type, it is transmitted to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in real time, and the signal stored in the message storage unit. And modulate the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is transmitted to the local area communication unit in real tim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unit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증정보 확인 요청을 받을 경우 이를 확인해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근거리 통신부의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로부터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연결 상태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When receiv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messag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confirms it, and stores information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the connec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Rel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o inform the statu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응용프로그램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essage application program unit 상기 이동통신 접속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스트림 타입이면 실시간으로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통신 접속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메시지 타입이면 상기 메시지 저장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And transmitting the message to the message transceiver in real time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is a stream type, and to the message storage unit i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connection unit is a message typ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정보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The rel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s an ID of the portab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개이며, 상기 인증부는 상기 복수개의 휴대용 단말기들의 인증 정보들을 모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용 이동통신 단말기.The rela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and the authentication unit stores al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근거리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hort range communication function; 무선통신망;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상기 무선통신망을 상호 중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relays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무선통신망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인증 서버; 및An authentic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authenticating the validity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s a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상기 무선통신망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중계한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요금을 부과하는 과금 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을 받은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서는 모두 중계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중계 시스템.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relays the portab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has a charging server that charges the portab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relay system.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중계를 요구할 경우, 특정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무선통신망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요금이 부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중계 시스템.The portable terminal relay system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harg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connecting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pecific number when the portable terminal requests the relay.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복수개이며, 상기 인증 서버는 상기 복수개의 휴대용 단말기들의 인증 정보들을 모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중계 시스템.The portable terminal relay system of claim 8,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and the authentication server stores all authentication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portable terminals.
KR10-2001-0062351A 2001-10-10 2001-10-10 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KR1004306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351A KR100430612B1 (en) 2001-10-10 2001-10-10 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2351A KR100430612B1 (en) 2001-10-10 2001-10-10 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119A KR20030032119A (en) 2003-04-26
KR100430612B1 true KR100430612B1 (en) 2004-05-10

Family

ID=2956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351A KR100430612B1 (en) 2001-10-10 2001-10-10 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61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577B1 (en) * 2003-12-22 2006-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uthenticating method in complex mode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666437B2 (en) 2010-01-05 2014-03-04 Iota, Inc. Mobile communications resource management system
US10575355B2 (en) 2014-09-02 2020-02-25 Apple Inc. API for web access directly or through intermediary
US9526032B2 (en) 2014-09-26 2016-12-20 Apple Inc. Network bandwidth sharing for small mobile devices
WO2016144422A1 (en) 2015-03-06 2016-09-15 Apple Inc. Determining when to establish connection between mobile client and proxy devic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9678A (en) * 1996-02-13 1997-08-19 Toshiba Corp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JPH10163984A (en) * 1996-12-04 1998-06-1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00069186A1 (en) * 1999-05-07 2000-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communication system
WO2001013600A1 (en) * 1999-08-16 2001-02-22 Orblynx, Inc. Caching data in a network
KR20030005515A (en)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inuous communication method for using terminal
KR20030019381A (en) * 2001-03-30 2003-03-06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19678A (en) * 1996-02-13 1997-08-19 Toshiba Corp Cordless communication system
JPH10163984A (en) * 1996-12-04 1998-06-19 Nippon Denki Ido Tsushin Kk Radio communication system
WO2000069186A1 (en) * 1999-05-07 2000-1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communication system
WO2001013600A1 (en) * 1999-08-16 2001-02-22 Orblynx, Inc. Caching data in a network
KR20030019381A (en) * 2001-03-30 2003-03-06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used in radio lan system, control method of slav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program
KR20030005515A (en) * 2001-07-09 2003-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Continuous communication method for using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119A (en)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100B2 (en) Method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JP4892884B2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built-in wireless LAN, mobile phone system,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thereof
US865602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for disconnection process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2006002368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reless terminal, access server, and method therefor
US20080268814A1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20050190733A1 (en) Wireless LAN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LAN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LAN communication program
KR101100450B1 (en) Wireless access system, wireless access method, and access point device
JPH0833029A (en) Mobile station certifying system for private electronic exchange
CN101523959A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mmuni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near-field communications
US20080098105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mmunication-information management, wireless-communication device, and relay device
WO2006062194A1 (en)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CN103945564A (en) Wireless network connecting method and system and wireless access point equipment
CN104469679A (en) Position sha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wifi hot spot
JP2001320373A (en) Wireless lan system
JP4306727B2 (en) Communication fee billing system, communication fee billing method, and program
JPH11164374A (en) Method for initializing connection between mobile terminal and in-home base station
CN106572488B (en) WIFI hotspot sharing method of terminal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US7386299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constituting same
KR100430612B1 (en) Relay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laying mobile terminal
US20090221264A1 (en) Storage system of mobile terminal and access control method
US817054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notifying subscriber identity identity code notification apparatus
US20050102519A1 (en) Method for authentication of a user for a service offered via a communication system
CN107454557B (en) Router connection method and system
KR100293944B1 (en) User identification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23574A (en) Transa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