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509B1 - 전자장치동작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장치동작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509B1
KR100430509B1 KR1019960031747A KR19960031747A KR100430509B1 KR 100430509 B1 KR100430509 B1 KR 100430509B1 KR 1019960031747 A KR1019960031747 A KR 1019960031747A KR 19960031747 A KR19960031747 A KR 19960031747A KR 100430509 B1 KR100430509 B1 KR 10043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command
information
key cod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1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679A (ko
Inventor
하루미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1263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443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19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51343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79A/ko
Priority to KR10-2003-0074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3Interprocessor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17Interconnection of audio or video/imaging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87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recorde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명령을 처리하기 위해 마이크로컴퓨터에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고 명령 구동형 명령 세트가 도입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 마이크로컴퓨터(1)는 IEEE-1394 직렬 버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간에 AV/C-CTS에 대한 전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이는 AV/C-CTS와 LANC 신호간에 양방향 변환을 행한다. 모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마이크로컴퓨터(1)에 대하여 LANC 신호들을 전송/수신한다. 메커니즘 제어 마이크로컴퓨터(1)는 모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 메커니즘을 제어한다. 또한, 모드 제어 마이크로컴퓨터(2)에 메커니즘의 상태를 알린다. IEEE-1394의 벤더 유니크 명령(vendor unique command)을 이용함으로써 독자적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마다에 다른 회사들에 의한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타켓 키 코드(target key code)를 수용할 때(과정(2)), 제어기는 암호 함수와 그에 대한 타켓 키 코드에 기초하여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계산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가 부착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개방 명령을 전송한다(과정(3)). 개방 명령을 수용할 때, 타켓은 명령내의 타켓 키 코드를 복호화한다. 이때, 복호화의 결과가 자체의 타켓 키 코드와 같으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한 개방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Electronic equipment,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본 발명은, 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접속되고 각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독자적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이 라이센스 계약하에 다른 회사에 의해서도 이용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신호들과 제어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는 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접속되고, 각 전자 장치들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상에서 아날로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명령/상태를 운송(carry)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가 접속되고 각 전자 장치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IEEE-1394 직렬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이 고려된다. IEEE-1394 직렬 버스를 이용한 통신에서, 디지털 비디오 테이프 기록기들,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들,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들, 및 개인 컴퓨터들(이후, 간단히 장치라 칭함)과 같은 전자 장치들은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연결되고,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들과 같은 정보 신호들과 접속 제어 명령들과 같은 제어 신호들에 대한 통신이 각 장치들간에 이루어진다.
IEEE-1394 직렬 버스를 이용한 통신에서는, 각 제작자가 자체의 어플리케이션을 얻기 위해 벤더 유니크 명령을 제공한다(각 회사간 호환성을 제공하는 기본 명령은 벤더 유니크 명령과 개별적으로 정의된다.). 제작자를 나타내기 위해 벤더 유니크 명령의 패킷(packet)에 회사 ID가 부착되는 것이 규정된다. 따라서, 벤더 유니크 명령을 이용하여 얻어진 어플리케이션은 기본적으로 제작자에 대해서만 유효하다.
독자적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이더라도 때로는 다른 회사들에 유효하다. 어플리케이션이 공통 명령으로서 등록된 일반적인 적응성(applicability)을 갖지 않을 때, 특정 제작자에 의해 독자적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은 때론 다른 제작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된다. 다른 제작자가 그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벤더 유니크 명령을 사용할 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제작자의 회사 ID가 사용되어야 한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 제작자가 정식 라이센스 계약하에 회사 ID를 사용하도록 다른 제작자에게 허용하면, 다른 회사는 또한 그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벤더 유니크 명령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졌고, 독자적으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마다에 다른 회사에 의해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버스를 통해 복수의 전자 장치가 접속되고 각 전자 장치들간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으로서, IEEE-1394 직렬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이 고려된다. IEEE-1394 직렬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디지털 비디오 카셋트 기록계(이후, "비디오 카셋트 기록기"는 간단히 "VCR"이라 칭함),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들,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들, 및 개인 컴퓨터들과 같은 전자 장치들(이후, 간단히 장치들이라 칭함)은 IEEE-1394 직렬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디지털 오디오/비디오 신호들과 같은 정보 신호들과 접속 제어 명령들과 같은 제어 신호들에 대한 각 장치들간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IEEE-1394 직렬 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오디오/비디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 트랜잭션 세트인 AV/C-CTS(Audio Video/Control Command Transaction Set)가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장치 제어 프로토콜(protocol)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VCR 등의 동작은 상기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 시스템에서 다른 장치로부터 제어될 수 있다. AV/C-CTS는 예를 들어, "재생 일시정지(PB PAUSE) 상태로 가라[go to playback pause(PB PAUSE) status]"와 같은 최종 상태를 디지털 VCR에 지정하는 "모드 구동형(mode drive type)" 명령 세트이다.
한편, 외부로부터 아날로그 VCR의 동작을 제어하는 시스템으로서, LANC(Local Application Control Bus System: 등록 상표)가 현재 유행하고 있다. LANC에 있어서, 아날로그 VCR을 예를 들어, PB PAUSE 상태로 되도록 의도되는 경우에는, 재생 상태를 확인한 후에 "PAUSE" 명령이 전송된다. LANC는 소위 "명령 구동형"이라 칭하여진다.
상업화를 위해 현재 개발 중인 디지털 VCR은 AV/C-CTS 및 LANC 모두를 카피(copy)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에서도, 모든 동작 제어들이 모드 구동형 명령에 의해 다루어질 수 없다. 예를 들면, 동조기에 의한 채널 선택의 경우에, 스테이션명(station name)이나 채널 번호를 나타내는 명령은 모드 구동형으로 전송되지만, 방송들 자체는 서로 다르고, 장치들에 미리 설정된 채널들도 또한 지역들에 따라 다르다. 또한, 사용자의 동작과 접점인 적외선 원격 명령기[이후 "원격 명령기(remote commander)"는 간단히 "리모콘(remocon)"이라 칭함]는 명령 구동되고 "채널+/채널-"과 같은 채널 업/다운의 지시를 위한 명령 구동형 명령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대한 명령 세트로서, 명령 구동형 명령 세트를 AV/C-CTS와 별개로 배치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지만, 이런 경우에, 제어될 장치인 디지털 VCR이 세 형태의 명령 세트들에 대응하므로, 명령들을 처리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후, "마이크로컴퓨터"는 간단히 "마이콘(micon)"이라 칭함]상의 부하는 증가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대해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명령들을 처리하는 마이콘상의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고 명령 구동형 명령 세트를 도입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장치 및 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각 전자 장치들 간에 정보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에 대해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제작자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얻어진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여기서,
제어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들을 제어될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제어될 전자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어하는 장치는 미리 결정된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를 제어될 장치에 전송하고, 제어될 장치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미리 결정된 암호 신호를 포함할 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가능하게 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이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각 전자 장치들 간에 정보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에 대한 통신이 이루어지며, 여기서, 전자 장치의 모드를 관리하는 제 1 제어 수단과 버스를 통해 전송/수신되는 명령/응답을 처리하는 제 2 제어 수단이 제공되고, 아날로그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어 수단이 준비한 명령 구동형 명령은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상에 상기 제 2 제어 수단에 의해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복수의 전자 장치가 버스를 통해 접속되고 각 전자 장치들간에 정보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에 대한 통신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에서, 아날로그 장치를 제어하는 명령 구동형 명령은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상에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는 장치에 대한 제작자 정보를 포함하고 모드 구동형 명령 세트를 운송(carry)하도록 적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벤더 유니크 프레임(vendor unique frame)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AC/C command transaction set)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AV/C 명령 트랜잭션에 의해 정의된 벤더 유니크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어플리케이션 No.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어기/타켓(target)간의 명령/응답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벤더 유니크 명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타켓 키 코드(target key code)에 대한 질의 명령/응답을 도시한 도면.
도 8a 내지 도 8d는 어플리케이션 K에 대한 개방 제어 명령/응답을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로서 정확한 값이 지정될 때 개방/폐쇄에 대한 질의 명령/응답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폐쇄 명령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사용권을 갖는 회사의 회사 ID에 대한 등록 리스트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타켓 키 코드와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간에 대응하는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타켓의 구성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디지털 VCR의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AV/C-CTS의 프레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LANC의 WORD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DIFcon과 MODEcon에서의 처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8은 모드 전이 테이블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AV/C-CTS에서 벤더 유니크 프레임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벤더 유니크 명령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LANC의 어플리케이션 No.를 할당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LANC 시스템에서의 명령 할당에 대한 규칙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VCR에 대한 Command(기본 기능)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23에서의 명령 코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5는 상태 질의에 의해 얻어진 VCR 정보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VCR 모드 코드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27은 질의 명령 및 응답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8은 VCR에 대한 Command(특정 기능)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29는 동조기 제어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상태 질의에 의해 얻어진 동조기 정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1은 카메라 제어에 대응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도 31에서의 명령 코드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상태 질의에 의해 얻어진 카메라 정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 34는 모드 전이를 일으키는 경우에 명령을 처리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다음의 순서로 설명된다.
(1) 벤더 유니크 명령
(2) 다른 회사에 의한 벤더 유니크 명령의 사용
(3) 시스템 내용에 대한 설명
(3-1) 어플리케이션의 개방
(3-2) 암호화 조건
(3-3)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정보
(3-4)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 방법
(3-5) 개방중의 명령
(3-6) 어플리케이션의 폐쇄
(3-7) 어플리케이션의 폐쇄와 실행에 대한 조건
(4) 어플리케이션의 보호
(4-1) 회사 ID에 의한 관리
(4-2) 타켓 키 코드(target key code) 설정
(4-3) 암호 함수 fk
(5) 타켓의 동작 및 구성
(1) 벤더 유니크 명령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용 기능 제어 프로토콜(이후, 간단히 FCP로 칭함)에서는 복수의 명령 트랜잭션 세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벤더 유니크 프레임을 위한 포맷을 도시한다. CTS(Command Transaction Set) = 1110은 벤더 유니크 프레임임을 도시한다. 이때, 3-바이트 벤더 ID(IEEE에 의해 규정된 회사 ID)가 CTS에 대해 4 비트 이후에 사용된다. 벤더는 벤더 ID와 벤더 유니크를 나타내는 CTS 이외의 것들을 선택적으로 정의 및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되는 명령 세트 및 명령 응답의 전송 및 수신과 같은 트랜잭션은 벤더에 의존한다. 필요한 경우, 프레임 길이를 4 바이트(사분) 유닛들로 만들도록 0 패드 바이트들(zero pad bytes)이 배열된다.
도 2는 AV 장치 제어를 위한 명령 트랜잭션 세트인 AV/C(Audio Visual/Control) 명령 트랜잭션 세트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CTS = 0000은 이것이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임을 나타낸다.
또한,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에 있어서, 벤더 유니크는 벤더가 자유롭게명령을 정의할 수 있도록 동작 코드(OPC)로서 정의된다. 그러나, 명령/응답의 트랜잭션은 AV/C 명령 트랜잭션에 따른다. 도 3은 이러한 경우에서의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다. OPC = 00h는 이것이 벤더 유니크임을 나타낸다. 3-바이트 회사 ID는 상술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벤더 ID로 사용된다.
(2) 다른 회사에 의해 벤더 유니크 명령의 사용
FCP에서, 다른 노드(node)를 제어하는 노드는 제어기라 칭하고, 제어될 노드는 타켓이라 칭한다. 상기 제어기와 타켓을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진다.
벤더 유니크 명령은 벤더 ID에서 기재된 회사 ID를 소유한 회사에 의해 정의 및 사용되지만, 어플리케이션에 따라서는, 다른 회사가 때로는 동일한 명령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있다.
회사 ID = xxxxxxh를 갖는 회사 A와 회사 ID = yyyyyyh를 갖는 회사 B의 예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진다. 회사 A는 벤더 유니크 명령으로서 어플리케이션 K에 대해 유니크 명령을 정의하고 회사 A의 제품에 대해 동일한 명령을 사용한다. 회사 B는 회사 A의 벤더 유니크 명령을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 K을 회사 B의 제품에서도 또한 대응시키려는 의도가 있다. 회사 B의 대응 방법들이 존재한다. 즉, 회사 B가 제어기를 제작하고 타켓으로서 회사 A의 제품을 제어하는 경우와, 회사 B가 회사 A의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타켓으로서 제품을 제작하는 경우가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회사 A의 벤더 유니크 명령이 이용되지 않으면 어플리케이션 K가 얻어질 수 없다.
이후에 설명되는 시스템은 벤더 유니크 명령들의 소유자(possessor)인 회사가 벤더 유니크 명령들을 이용함으로써 달성한 수 개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을 제한된 회사에서 가능하게 한다.
본 시스템의 도입은 다른 회사가 벤더 유니크 명령을 사용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금지하지만,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사용 권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선 경우에서, 회사 B는 회사 A의 어플리케이션 K에 대한 벤더 유니크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3) 시스템 내용에 대한 설명
(3-1) 어플리케이션의 개방
타켓은 벤더 유니크 명령에 의해 얻어지는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개방(open) 상태"와 "폐쇄(closed) 상태"를 갖는다. 개방 상태는 명령을 수용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폐쇄 상태는 명령이 수용되더라도 실행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벤더 유니크 명령은 공개적으로 발표된 명령이 아니므로, 제 3자(예를 들면, 회사 C)가 권리 없이 회사 A의 회사 ID = xxxxxxh를 부착하고 명령을 전송하면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모든 어플리케이션은 항상 폐쇄 상태에 놓인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K는 벤더 유니크 명령을 정의하는 회사 A뿐만 아니라, 사용 권리를 갖는 회사 B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K가 개방 상태에 놓인 이후에 실행된다. 개방 상태로 놓는 수단을 가르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사용 권리를 제공하는 것과 같다.
(3-2) 암호화 조건
제어기는 개방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면서 개방 명령을 타켓에 전송한다. 이런 경우에, 제어기와 타켓간에 동의가 설정되어, 개방 명령은 미리 정해진 코드로 전달될 때에만 유효하게 된다. 이 코드는 제 3 자에 의해 인식되지 않아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코드는 회사 A와 회사 B간에 미리 결정된다. 이런 경우에, 그 값은 모든 장치들에 대해 다르게 되거나 동일한 장치에 대해 시간에 의존하도록 적응된다.
상기 코드는 암호의 형태로서 고려될 수 있고, 소비자의 장치에 사용되도록 의도되므로, 제어기와 타켓 모두에 대한 부담이 가능한 덜어지도록 한 개의 칩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또한 코드가 간단히 취급될 수 있을 필요가 있다. 소비자의 장치에서, 상품이 일단 팔리면, 암호 시스템을 순차적으로 바꾸는 것은 어렵다.
(3-3)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정보
각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데 필요한 정보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진다.
(1) 어플리케이션 No.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를 나타내는 코드는 어플리케이션 No.라 칭한다. 도 4 는 어플리케이션 No.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는 1 바이트로 나타내진다. 어플리케이션 No.이 01h에서 FEh까지 할당될 수 있을 때, 254형까지의 어플리케이션이 카피될 수 있다. 00h는 각 어플리케이션들과 공통으로 사용되므로 사용(예약)으로부터 금지된다. 또한, FFh는 어플리케이션의 수가 증가되는 경우에 확장을 위해 예약된다.
(2) 암호 함수 f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할 때 어플리케이션 No.과 함께 전송되는 "키(key)"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로 칭한다.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형성하는 방법(암호화)은 어플리케이션마다에 다르고, 회사 A와 회사 B간에 미리 결정된다. 이는 암호 함수(f)로 정의되고, 어플리케이션 K의 암호 함수는 fk로 정의된다.
(3) 타켓 키 코드
타켓 키 코드는 모든 타켓에 결정된 값으로서,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형성하는 기본이다.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는 모든 장치에서 다른 타켓 키 코드를 부착하는 것과 같은 수단에 의해 심지어 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도 변경된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할 때, 제어기는 타켓 키 코드 질의 명령을 타켓에 전송하고, 응답을 얻음으로써 현재 타켓 키 코드를 인식한다.
(4)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
암호 함수 f에 의해 암호화된 타켓 키 코드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이다. 즉, 어플리케이션 K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내질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 = fk(타켓 키 코드)
(3-4)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하는 방법
제어기가 타켓의 어플리케이션 K를 개방 상태에 놓는 방법에 대해 설명이 이루어진다.
(1) 명령 전송 과정
도 5는 제어기/타켓간의 명령/응답에 대한 도면을 도시한다.
먼저, 제어기는 타켓 키 코드 질의 명령을 타켓에 전송한다(과정(1)). 그에 대한 응답으로서, 타켓은 즉시 자체의 타켓 키 코드를 복귀시킨다(과정(2)).
타켓 키 코드를 할 때, 제어기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계산하기 위해 암호 함수 fk를 타켓 키 코드와 곱한다.
그후, 제어기는 계산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와 어플리케이션 No.를 부착하여 타켓에 어플리케이션 개방 명령을 전송한다(과정(3)).
개방 명령을 받을 때, 타켓은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No.의 어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가 여부를 확인한다. 어플리케이션이 대응되어 있으면, 복호화를 위해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암호 함수 fk의 역함수에 곱한다.
타켓은 복호화의 결과가 자체의 타켓 키 코드와 같은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같은 경우, 먼저, 유효한 어플리케이션 K 개방 명령으로 간주하고 어플리케이션 실행 가능한 개방 상태로 들어간다.
어플리케이션 K를 개방 상태로 할 때, 타켓은 어플리케이션 K가 개방 상태로 되어 있음을 알리도록 제어기에 응답을 복귀시킨다(과정(4)).
(2) 명령 포맷
도 1 및 도 3을 참조로 설명된 바와 같이, 벤더 유니크 명령은 벤더 유니크 프레임 또는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는데,명령 구조로서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를 이용하는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벤더 유니크 명령의 구조를 도시한다. 벤더가 각각 정의한 3 바이트 벤더 ID에 이어지는 영역만이(OPR 4 이후에) 도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명령/응답의 트랜잭션은 AV/C 명령 트랜잭션 세트에 따른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명령은 본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는다. 이는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정의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타켓 키 코드 질의에 대한 명령/응답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No.가 kkh로서 정의되고, 타켓 키 코드가 16 비트 1234h로서 정의된다. 타켓 키 코드의 길이는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정의될 수 있다.
타켓 키 코드는 모든 장치/어플리케이션마다에 다른 값을 취하거나 랜덤수를 취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으므로, 질의는 항상 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실행을 초기화하는 것에 대해 이루어진다. 도 7a는 질의 명령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OPR 4는 어플리케이션 No.이고, OP 5에서의 10h와 OP 7에서의 71h는 타켓 키 코드 질의를 도시한다. 또한, OP 7 및 OP 8은 FFh(더미)로서 정의된다.
질의 명령에 얻어진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경우(어플리케이션 K), 타켓은 OP 7 및 OP 8에 16 비트 타켓 키 코드 1234h를 부착한 응답 "안정"을 제어기에 회답한다.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지 않으면, 타켓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 명령과 같은 내용을 갖는 "비-이행(Not Implemented)"의 응답을 복귀시킨다.
제어기가 타켓에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K의 개방 제어 명령과 그의 응답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는 16 비트5678h로 정의된다.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의 길이는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결정될 수 있다.
명령에 부착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의 지정값이 타켓에 의해 소유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의 값과 다르고, 개방이 불가능하면, 제어기에는 "거절(Rejected)"의 응답이 기본적으로 복귀된다. 그러나, 제 3 자가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0000h에서 FFFFh까지 하나씩 시도해 볼 수 있다. 그러면, 개방될 수 없을 때에도, "수용(Accepted)"의 응답이 의도적으로 복귀된다. 도 8c 및 도 8d는 개방할 수 있는 예(정확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 = 5678h 대신에 5679h가 지정)를 도시한다. 제 3 자는 단순히 개방 명령의 트랜잭션에 의해 개방이 성공되었는가 여부를 인식할 수 없으므로, 개방된 동안이면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나 질의를 전송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어플리케이션이 개방 상태인가 또는 폐쇄 상태인가 여부에 대한 질의는 또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부착하여 전송된다.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에 대한 지정값이 정확하면 "수용(Accepted)"이 복귀되고, 응답으로 정확하지 않으면 "거절(rejected)"이 복귀된다. 도 9a 및 도 9b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로 정확한 값(5678h)이 지정된 경우에서의 명령 및 응답의 예를 도시한다.
(3-5) 개방 중의 명령
어플리케이션이 개방(실행 가능한 상태)된 동안에만, 타켓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명령을 수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1 바이트가 어플리케이션 No.를 도시하는 것을 제외하면, 명령 포맷은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결정된다.
어플리케이션이 개방 상태인가 폐쇄 상태인가 여부에 관계없이 대응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에, 응답으로서 "비-이행(Not Implemented)"이 복귀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개방 상태에 있지 않더라도,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결정된 OPC로 지정된 것에 대응하지 않으면, 응답으로서 "비-이행(Not Implemented)"이 복귀된다.
(3-6) 어플리케이션의 폐쇄
기본적으로, 타켓인 장치는 전원이 OFF 상태로 되면 자동적으로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폐쇄 상태로 되게 한다. 전원이 ON 상태로 다시 되어도, 폐쇄 상태는 계속된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완료하면, 제어기는 폐쇄 명령을 타켓에 전송한다. 도 10은 폐쇄 명령들의 예들을 도시한다. 이때, 명령은 폐쇄의 경우에서도 또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부착하여 전송된다. 폐쇄 명령을 수용할 때, 타켓은 폐쇄 명령의 어플리케이션 No.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폐쇄 상태로 되게 한다. 이런 경우에,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의 값이 다를 때에도, 폐쇄 상태로 되게 한다. 이 시스템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항상 폐쇄 상태로 되고, 실행될 때에만 개방되는 것이 기본이다.
그런데, 개방 상태에서 수용 가능한 명령이 폐쇄 상태에서 수신되면, 응답으로서 "거절"이 복귀된다.
(3-7) 어플리케이션의 폐쇄와 실행에 대한 조건
오랜 시간 주기동안 개방되어 있을 때 문제를 일으키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일단 개방된 후 배타적으로 제어되려하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여러 경우들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하기 적합한 실행 조건 등은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결정된다. 아래에 예가 도시된다.
(1) 개방 시간에서의 제한
개방 상태에서 유지되더라도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이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긴 동안 엑세스되지 않는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폐쇄된다. 타임 아웃되는 순간은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결정된다.
(2) 버스 비정상에 대한 과정
재설정이 버스에 적용될 때, 강제적으로 폐쇄된다.
(3)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허용되는 장치들의 수
복수의 제어기로부터의 제어가 허용되지 않도록 적응된다. 타켓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했었던 제어기를 기억하고, 그 제어기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에 대한 명령만을 수용한다. 이런 경우에, 다른 제어기로부터의 명령은 개방중이더라도 거절된다.
(4) 어플리케이션의 보호
암호화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가 전송되더라도, 어플리케이션은 완전히 보호될 수 없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권리를 갖지 않은 제 3 자도 제어기와 타켓간의 통신 내용을 가로챌 수 있으므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와 가로채진 타켓 키 코드에 근거하여 암호 함수(fk)가 결정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4-1) 회사 ID에 의한 관리
이러한 상황에 대해 어플리케이션을 보호하는 수단이 고려된다. 사용 권리를 갖지 않은 제 3 자가 타켓으로 장치를 제작하면, 제 3 자를 검출하고 제어기상의 부하가 무시 가능하면, 다음의 방법의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지 않도록 금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인 컴퓨터가 제어기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예로 설명이 이루어진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대상(object)으로서 회사 ID의 개인 컴퓨터상에 등록된다. 벤더 ID 질의 명령은 타켓에 전송되어 응답에 부착된 벤더 ID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IEEE-1394 직렬 버스에 대응하는 장치의 내부에 노드 유니크 ID가 기록되므로, 이 질의는 예를 들어, 도 5에서의 과정(1) 이전에 행해진다. 제 3 자인 회사 C(회사 ID=zzzzzzh)가 회사 A의 벤더 ID=xxxxxxh에 기초하여 벤더 유니크 명령을 수용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K를 실행할 수 있는 타켓을 권리없이 제작하는 경우에서도, 제어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사 C가 등록된 ID의 리스트에 기초하여 등록되지 않았음을 인식할 수 있으므로, 제어기는 어플리케이션 K의 작동을 금지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어플리케이션 K의 사용 권리를 얻은 회사의 수가 사실상 증가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예에서의 보호 방법은 리스트가 갱신될 수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4-2) 타켓 키 코드 설정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fk(타켓 키 코드)의 관계에 대해, 암호 함수(fk)의 복호화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와 타켓 키 코드의 표본수가 증가될 때 보다 용이해진다. 소비자의 장치로서 어플리케이션을 고려할 때, 특정 형태의 장치에서 타켓 키 코드는 자주 변하기보다는 때때로 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타켓 키 코드는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설정된다.
(1) 제품의 수에 의한 변화
타켓 키 코드는 예를 들면, 제품 10만개마다 변경된다. 제 3 자가 제어기를 제작할 때, 비록 초기 10만개의 제품에 대해서는 타켓 키 코드에 대응할 수 있지만, 이어서 제작된 제품은 제 3 자에 의해 제작된 제어기에 의해 동작되지 않는다.
(2) 내장된 시계(캘린더)에 의한 변화
타켓 키 코드는 예를 들면, 동일한 장치에 대해 1년마다 변경된다. 1995년에 제작된 장치는 1995에 기초한 값의 티켓 키 코드를 갖는다. 제 3 자는 초기 단계에서의 타켓 키 코드에 기초하여 제어기를 제작한다. 따라서, 제 3 자의 제어기에 의해서도, 초기 단계에서는 동작이 가능하여도, 해가 지나면 동작되지 않는다.
(4-3) 암호 함수 fk
암호 함수 fk가 수치값 계산 공식이면, fk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와 타켓 키 코드의 샘플들의 수에 따라 간단히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이 소비자의 장치에 도입될 때, fk는 수치값 함수로 형성되지 않지만,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는 타켓 키 코드에 1대 1 관계로 할당되고, 기준 테이블은 어플리케이션 K를 사용할 권리를 갖은 회사에 fk로 전해진다. 도 12도 기준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암호 함수 fk를 결정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하나의 칩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서도 간단히 카피될 수 있다. 또한, 일단 상품이 팔린 후에도, 암호 시스템은ROM의 버전 업(version up)에 의해 비교적 간단히 변경할 수 있다.
(5) 타켓의 구성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타켓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켓으로서의 노드는 마이크로컴퓨터(1), 타켓 키 코드 메모리(2), 암호 함수 메모리(3), 시계(4), 및 통신 인터페이스(5)로 구성된다.
마이크로컴퓨터(1)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의 준비와 명령/응답의 통합된 준비의 개방/폐쇄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든 처리들을 제어한다.
타켓 키 코드 메모리(2)는 어플리케이션마다에 다른 타켓 키 코드를 소유한다. 또한, 복수의 타켓 키 코드가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그에 저장되어 해마다 타켓키 코드가 변경할 수 있다.
암호 함수 메모리(3)는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암호 함수 fk를 소유한다. 이 경우에, 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와 타켓 키 코드간의 기준 테이블을 저장한 ROM 테이블이다.
시계(clock)(4)는 마이크로컴퓨터(1)에 현재의 시계 정보를 알린다. 시계 정보를 참조로 마이크로컴퓨터(1)는 매년 경과될 때마다 타켓 키 코드를 판독하여 교환한다.
통신 인터페이스(5)는 IEEE-1394 직렬 버스(6)와 명령/응답을 전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오디오/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블록이 실제 타켓에는 제공되지만, 어플리케이션의 개방과 관계를 갖는 블록만이 도시된다.
제어기의 구성이 간략하게 설명된다. 도 13에서의 타켓에 대응하는 제어기는 마이크로컴퓨터, 암호 함수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제어기가 (4-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회사 ID에 의해 관리를 행하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대상으로서 회사의 회사 ID를 등록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갖는다.
도13에 도시된 타켓이 어플리케이션을 개방할 때까지의 동작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먼저, 제어기는 제어기에 의해 전송된 타켓 키 코드에 대한 질의 명령을 수용한다[도5 및 도 7a에서의 과정(1)을 참조]. 타켓 키 코드 메모리(2)를 참조하는, 마이크로컴퓨터(1)는 질의 명령에 얻어진 어플리케이션 No.에 대응하는 티켓 키 코드를 판독하고 통신 인터페이스(5)를 통해 "안정(Stable)" 응답을 전송한다[도5 및 도 7b에서의 과정(2)을 참조]. 질의 명령에 부착된 어플리케이션 No.에 대응하는 타켓 키 코드가 제공되지 않으면, "비-이행(Not Implemented)"응답이 전송된다(도 7c를 참조).
타켓으로부터 "안정(Stable)" 응답을 수신할 때, 제어기는 그에 부착된 타켓키 코드를 검출하고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준비하도록 통합된 암호 함수 메모리를 판독한다. 암호 함수 메모리는 타켓의 암호 함수 메모리(3)와 같은 방법으로 구성된다. 제어기는 준비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와 함께 개방 명령을 타켓에 전송한다[도 5 및 도 8a에서 과정(3)].
타켓내의 마이크로컴퓨터는 수용된 개방 명령에 부착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를 자체의 암호 함수 메모리(3)에 지정된 티켓 키 코드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와 비교한다. 즉, 이 경우에, 타켓 키 코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암호 함수의 역함수를 이용함으로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로부터 복호화되지 않지만, 제어기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암호화는 행해진다. 물론, 타켓 키 코드가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로부터 복호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교된 어플리케이션 키 코드가 서로 동일하면, 타켓은 어플리케이션을 개방 상태에 놓고, 어플리케이션이 개방 상태에 놓여있음을 알리도록 제어기에 "수용(Accepted)"응답을 복귀시킨다[도 5에서의 과정(4)을 참조].
본 발명을 실행하는 모드가 다음의 순서로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1)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VCR에 대한 제어 시스템
(2) 디지털 인터페이스 및 LANC
(3) LANC 명령을 디지털 인터페이스상에서 운송하는 방법
(4)코드 할당
(4-1) 어플리케이션 OPC를 할당하는 규칙
(4-2) VCR 제어(기본)코드
(4-3) VCR 제어(특정)코드
(4-4) 동조기 제어코드
(4-5) 카메라 제어 코드
(5) 명령-on/-off
(1) 본 발명의 적용되는 디지털 VCR에 대한 제어 시스템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VCR에 대한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VCR은 디지털 인터페이스 마이콘(이후, 간단히 DIFcon이라 칭함)(7), 모드 제어 마이콘(이후, 간단히 MODEcon이라 칭함)(8), 및 메커니즘 제어 마이콘(이후, 간단히 MECHAcon이라 칭함)(9)으로 구성된다.
DIFcon(7)은 IEEE-1294 직렬 버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연결된 다른 장치간에 AV/C-CTS의 전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AV/C-CTS와 LANC신호(추후 상세히 설명)간의 양방향 변환을 실행한다.
MODEcon(8)은 LANC 케이블(도시되지 않은)로 연결된 다른 장치간에 LANC신호의 전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DIFcon과 LANC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한다.
Mechacon(7)은 MODEcon(8)으로부터 전송된 명령에 따라 메커니즘을 제어한다. 또한, MODEcon(8)에 메커니즘의 상태를 알린다.
(2) 디지털 인터페이스 및 LANC
도 15는 AV/C-CTS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CTS=0000은 이것이 AV/C-CTS임을 나타낸다. 필요한 경우 프레임 길이를 4 바이트(사분)유닛으로 정의하도록 0패드 바이트가 배열된다.
한편, LANC는 VCR이 주변 장치에 대해 비디오 신호의 수직 싱크(vertical sync)신호와 동기화되는 통신의 마스터로 양방향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모든 필드(field)에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어 구성을 갖는 8단어 데이타를 전송/수신한다.
도 17도는 도 14에서의 DIFcon(7) 및 MODEcon(8)의 코드 처리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MODEcon은 LANC코드의 단어 4인 VCR 모드 코드에 의해 VCR의 동작 상태를 관리하고, DIFcon과의 통신에 관한 정보를 이동(transfers)시킨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된 메커니즘 모드에 대한 상태 질의 명령을 수신하면, DIFcon은 MODEcon으로부터 전송된 VCR 모드를 AV/C-CTS의 코드로 변환하고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태의 응답을 전송한다.
또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전송된 메커니즘 제어 명령(모드 구동형)은 DIFcon에 의해 LANC의 VCR 모드로 변환되고, MODEcon에 최종 모드로서 전송된다(이는 또한 구동되는 모드이다).
LANC로부터 전송된 명령(명령 구동형)에 대해, MODEcon은 같은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명령과 현재 모드에 기초한 모드 전이 테이블에 참조하여 제어될 모드를 인텍스하고, 또한 최종 모드로 관리한다.
도 18은 모드 전이 테이블의 일부를 도시한다. 모드 전이 테이블은 수직 칼럼(column)왼쪽에 VCR 모드를 도시하고, 상부 측면 로우(row)에는 명령을 도시한다. 특정 명령에 의해 특정 모드가 전이될 때, 지정된 전이 모드는 테이블의 교차 부분에서 설명된다. 교차 부분에 빈칸이면, 이는 명령이 수용되지 않거나 명령이 수용되었어도 모드가 전이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명령의 이름에 부착된 -on/-off는 명령 전달의 시작 및 종료를 위한 모서리를 나타낸다. LANC에서는 통신 에러를 고려해 명령을 수용하도록 두 번 이상 일치함이 점검되고, 모서리는 두 번 이상동안 일치함의 타이밍에 대응한다.
이러한 모드 전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MODEcon에 의해 발생된 최종 모드는 내부 통신을 통해 NECHAcon에 전달되고, 원하는 모드를 얻도록 메커니즘이 제어된다.
(3) LANC 명령을 디지털 인터페이스상에 운송하는 방법
AV/C-CTS에서, 벤더 유니크 프레임은 장치의 제작자가 명령을 선택적으로 정의할 수 있도록 OPC(Operation Code)로서 정의된다. 그러나, 명령/응답 트랜잭션은 AV/C-CTS에 따른다.
도 19는 AV/C-CTS에서 정의된 벤더 유니크 프레임의 구성을 도시한다. OPC=00h는 이것이 벤더 유니크임을 나타낸다. 벤더 ID는 3바이트 회사 ID를 이용한다. 회사 ID는 IEEE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AV/C-CTS에 따라 벤더 유니크 명령을 사용함으로써 LANC 명령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적응된다. 도20은 벤더 유니크 명령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 도면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를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No. 이외의 명령들이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정의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h에서 06h까지는 어플리케이션 No.으로서 LANC에 대해 사용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이 다른 장치에서 실행 가능하게 하도록,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암호 정보를 정의하고, 암호 정보가 수신될 때에만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코드 할당
(4-1) 어플리케이션 OPC를 할당하는 규칙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어플리케이션은 LANC에 제공되고, 동일한 규칙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정의된 OPC(operation code), OPR(operand)에 대해 코드가 할당된다. LANC에 있어서, 명령 코드와 상태 코드가 다르므로, 질의 시스템(4xh)과 제어 시스템(5xh)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PC로 분리된다. 도 22에 있어서, 타켓 키 코드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게 하는(개방 상태) 암호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기본으로서 제어될 장치의 코드이다.
제어 시스템은 LANC의 명령 전달 영역내의 단어 0, 1에 대응하고, 단어 0(Word 0)에 대응하는 지시는 어플리케이션 OPC와 어플리케이션 No.에 의해 나타내진다. 이때, LANC의 단어 1(Word 1)에 대한 명령 코드는 이것이 어플리케이션 OPR 1에 있는 것과 같이 할당된다. 따라서, 제어 시스템에서 명령의 연산수(operand)는 1바이트로 구성된다. 제어 시스템 명령은 AV/C-CTS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송된다.
VCR 모드와 같은 정보는 LANC에서 미리 정해진 주기에 출력된다. 그러나, LANC 명령이 디지털 인터페이스상에 운송될 때, 질의는 AV/C-CTS의 트랜잭션 규칙을 따르고 버스를 차지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보가 요구되고 그에 대해 응답이 이루어 질 때에만 이루어진다. 질의 시스템 명령은 AV/C-CTS의 상태 질의 명령에 따라 더미 코드와 함께 전송되고, 그에 응답으로서 더미 코드에 데이터가 채워진다.
(4-2) VCR 제어 (기본) 코드
제어 시스템은 LANC의 WORD 0, 1의 "VTR에 대한 명령(Command to VTR)(기본 기능)"에 대응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No.의 01h와 어플리케이션 OPC의 50h는 이것이 VCR에 지정된 기본 제어 명령임을 나타낸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OPR 1에 대해, LANC의 WORD 1에 대한 "명령 VTR(Command VTR)(기본 기능)"의 명령 코드는 그대로 할당된다. 도 24는 명령 코드들에 대한 할당 일부를 설명한다.
질의 시스템은 예를 들어, LANC의 WORD 4, 5, 6, 7의 카운터의 VCR 모드, VCR 상태, 및 수치 데이터에 대응한다. LANC의 코드 할당은 WORD 이름들이 도 25에서 기재된 LANC에 대응하는 영역내에 그대로 할당된다. 또한, 도 26은 VCR 모드에 대한 코드들의 예들을 도시하고, 도 27은 응답 및 질의 명령의 예를 도시한다.
(4-3) VCR 제어 (특정) 코드
제어 시스템은 LANC의 WORD 0, 1에 대한 "VCR에 대한 명령(Command to VTR)(특정 기능)"에 대응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No. 02h와 어플리케이션 OPC 50h는 이것이 VCR에 지정된 특정 제어 명령임을 나타낸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OPR 1에서, LANC(도시되지 않음)의 WORD 1에 대한 "VTR에 대한 명령(특정 기능)"의 명령은 그대로 할당된다. 편집 등에 관련된 명령들이 제공된다.
질의 시스템에서는, "VTR에 대한 명령(특정 기능)"의 명령에 대응하는 상태가 출력된다. 코드 할당은 LANC의 명령과 대응한다.
(4-4) 동조기 제어 코드
제어 시스템은 LANC의 WORD 0, 1에 대한 "동조기에 대한 명령(Command to Tuner)"에 대응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No.의 03h와 어플리케이션 0PC의 50h는 이것이 동조기에 지정된 제어 명령임을 나타낸다.
질의 시스템은 LANC의 Word 2, 3에 대한 "동조기 상태(Tuner Status)"에 대응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No.의 03h와 어플리케이션 OPC의40h는 이것이 동조기에 지정된 채널 질의 명령임을 나타내고, 어플리케이션 No.의 03h와 어플리케이션 OPC의 41h는 이것이 동조기에 지정된 상태 질의 명령임을 나타낸다.
(4-5) 카메라 제어 코드
제어 시스템은 LANC의 WORD 0, 1에 대한 "카메라에 대한 명령(Command to Camera)"에 대응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No.의 04h와 어플리케이션 OPC의 h는 이것이 카메라에 지정된 제어 명령임을 나타낸다. 도 32는 어플리케이션 OPR1의 할당에 대한 예들을 도시한다.
질의 시스템은 LANC의 WORD 2, 3에 대한 "카메라 상태(Camera Status)"에 대응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No.의 04h와 어플리케이션 OPC의 41h는 이것이 카메라에 지정된 상태 질의 명령임을 나타낸다.
(5) 명령 -on/-off
LANC는 모든 필드상에 주기적으로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이는 명령이 원격 제어기에 대한 키를 누르는 동안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종종 사용된다. 또한, LANC에 있어서, 명령을 전송하는 사이클의 수는 중요성(meaning)을 갖는다. 예를 들면, 동일한 명령들이 2 필드동안 연속적으로 전송될 때 명령이 유효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전송된 동일한 명령들은 전송이 연결되지 않을 때까지 중요성을 갖지 않는 경우와, 연속적인 전송에 중요성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있어서, 1 패킷(packet)에 의해 전송된 명령이 중요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명령들은 연속적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따라서, LANC에서 정의된 명령과 같은 코드로 할당된 명령은 "명령-on(Command-on)"(전송 시작)을 나타낸다. 연속적인 전송에서 중소성을 갖는 명령은 "명령-off(Command-off)"를 나타내는 코드로 개별적으로 할당된다.
도 34는 모드 전이를 일으키는 처리에 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디지털 인터페이스로부터의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 DIFcon은 수신된 명령이 LANC의 코드인가의 여부를 단계 S1에서 판단한다.
이때, LANC 코드인 경우 MODEcon으로 이동된다. MODEcon은 모드 전이 테이블을 참조로 최종 모드를 결정한다(단계 S4).
명령이 LANC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DIFcon은 명령을 VCR 모드의 코드로 변환하여 MODEcon에 이동시킨다.
한편, LANC 명령이 수신될 때, MODEcon은 명령의 엣지(edge)를 검출(단계 S3)하여, VCR 모드와 "명령-on", "명령-off"에 기초하여 전이의 지정시 모드를 결정한다(단계 S4).
따라서, 상술된 바와 같이, MODEcon에 의한 엣지 검출 처리는 "명령-on" 또는 "명령-off"의 형태로 디지털 인터페이스상에 LANC 명령을 전송함으로써 요구되지 않음으로, 그 처리는 간략화될 수 있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제작자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를 이용하는 원래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회사에 의해서도 또한 이용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마다에 사용이 허용/금지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복잡한 암호화를 이용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특히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장치의 내부 처리에 대한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고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명령 구동형 명령 세트가 도입될 수 있다.

Claims (3)

  1.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전자 장치들간에 정보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의 통신을 허용하는 버스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한 전자 장치로부터 제어되는 전자 장치로 적어도 제작자의 키 정보에 기초한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내의 상기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가, 상기 제작자의 키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다른 전자 장치내에 보유된 키 암호 정보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제작자의 키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상기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한 전자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암호 정보는 어플리케이션마다에 결정된 암호 함수와 각 전자 장치에 따라 결정된 키 코드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준비되고,
    상기 전송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하는 전자 장치에 질의 키 코드(inquiry key code)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되는 전자 장치로부터 회답되는 키코드 및 미리 정해진 내부 암호 함수에 기초하여 암호 정보를 준비하고, 상기 암호 정보를 상기 제어되는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
  2.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전자 장치들간에 정보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의 통신을 허용하는 버스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한 전자 장치로부터 제어되는 전자 장치로 적어도 제작자의 키 정보에 기초한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내의 상기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가, 상기 제작자의 키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다른 전자 장치내에 보유된 키 암호 정보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제작자의 키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상기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한 전자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어되는 상기 수신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지만,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잘못된 암호 신호의 수신에 따라 실행되고 있다고 상기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 알리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
  3.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각 전자 장치들간에 정보 신호들 및 제어 신호들의 통신을 허용하는 버스를 통해 접속된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한 전자 장치로부터 제어되는 전자 장치로 적어도 제작자의 키 정보에 기초한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포맷의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다른 전자 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내의 상기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가, 상기 제작자의 키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다른 전자 장치내에 보유된 키 암호 정보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제작자의 키 정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한 상기 미리 정해진 암호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전자 장치들 중 상기 한 전자 장치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하는 전자 장치에 제작자의 키 정보에 관한 질의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질의에 응답하여 제공된 상기 제작자 키 정보가 상기 전송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보유된 리스트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작자 키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
KR1019960031747A 1995-07-28 1996-07-29 전자장치동작제어방법 KR10043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077A KR100458144B1 (ko) 1995-07-28 2003-10-23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12633A JPH0944354A (ja) 1995-07-28 1995-07-28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95-212633 1995-07-28
JP95-219776 1995-08-04
JP7219776A JPH0951343A (ja) 1995-08-04 1995-08-04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077A Division KR100458144B1 (ko) 1995-07-28 2003-10-23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679A KR970007679A (ko) 1997-02-21
KR100430509B1 true KR100430509B1 (ko) 2004-08-30

Family

ID=265193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1747A KR100430509B1 (ko) 1995-07-28 1996-07-29 전자장치동작제어방법
KR10-2003-0074077A KR100458144B1 (ko) 1995-07-28 2003-10-23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077A KR100458144B1 (ko) 1995-07-28 2003-10-23 전자 장치 동작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247132B1 (ko)
EP (2) EP1024417B1 (ko)
KR (2) KR100430509B1 (ko)
CN (1) CN1143481C (ko)
DE (2) DE6961529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4811A (ja) * 1997-03-12 1998-09-25 Sony Corp 電子機器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3760460B2 (ja) * 1997-04-23 2006-03-2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10301492A (ja) 1997-04-23 1998-11-13 Sony Corp 暗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DE69834391T2 (de) * 1997-04-24 2006-09-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Datentransferverfahren
EP0949614B1 (en) * 1997-07-17 2006-04-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ata managementapparatus
US6131129A (en) * 1997-07-30 2000-10-10 Sony Corporation Of Japan Computer system within an AV/C based media changer subunit providing a standarized command set
US6141702A (en) * 1997-07-30 2000-10-31 Sony Corporation Of Japan Model and command set for an AV/C-based disc media player recorder
EP1016271B1 (en) * 1997-09-18 2003-11-12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eripheral device via a digital bus
TW392402B (en) 1997-10-22 2000-06-01 Hitachi Ltd Method for using audio and video machine and audio and video machine system
JP3922817B2 (ja) * 1998-06-30 2007-05-30 株式会社東芝 通信ノード及び通信端末
US7246180B1 (en) * 1998-07-31 2007-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nection-confirmabl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nection-confirm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by which connection is conformable, recorder, recording system, recording method, method for recognizing correspondence between node and terminal, computer, terminal, and program recor
US6505255B1 (en) 1999-04-29 2003-01-07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er America, Inc. (Ita) Method for formatting and routing data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n internal network
US6496862B1 (en) 1998-08-25 2002-12-1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devices connected to an IEEE 1394 bus via a gateway device
US6804795B1 (en) 1999-04-02 2004-10-12 Sony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its repairing method
US6378000B1 (en) 1999-04-29 2002-04-23 Mitsubish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Address mapping in home entertainment network
US6633547B1 (en) 1999-04-29 2003-10-14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Command and control transfer
US6523064B1 (en) 1999-04-29 2003-02-1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Network gateway for collecting geographic data information
US7068674B1 (en) 1999-08-23 2006-06-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nodes in digital interface
US7143294B1 (en) * 1999-10-29 2006-11-28 Broadcom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e field upgradability with unpredictable ciphertext
JP4449141B2 (ja) * 2000-02-22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電源制御システム
US20040073667A1 (en) * 2002-10-11 2004-04-15 Hamilton Darin 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computer program applications
US6904468B2 (en) * 2003-03-25 2005-06-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for an alternative implementation of vendor unique commands
JP4578794B2 (ja) * 2003-09-30 2010-11-10 ソニー株式会社 マルチシステム、データ格納部アクセス装置およびデータ格納部アクセス方法
US20100161975A1 (en) * 2008-12-19 2010-06-24 Vixs Systems, Inc. Processing system with application security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TWI428758B (zh) * 2011-01-13 2014-03-01 Prolific Technology Inc 電腦系統之操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55A (ja) * 1992-07-24 1994-02-18 Sony Corp ビデオ信号の伝送方法及び記録装置
JPH0750725A (ja) * 1993-08-06 1995-02-21 Sony Corp 情報管理方式および情報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769A (en) * 1987-08-05 1989-09-12 Ibm Corporation Hardware assist for protecting PC software
US4918690A (en) * 1987-11-10 1990-04-17 Echelon Systems Corp. Network and intelligent cell for providing sens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and control
US5193208A (en) * 1990-05-14 1993-03-09 Sony Corporation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5196840A (en) * 1990-11-05 1993-03-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communications system for remotely located computers
GB9121203D0 (en) * 1991-10-04 1991-11-20 D2B Systems Co Ltd Local communication bus system and apparatus for use in such a system
US5282247A (en) * 1992-11-12 1994-01-25 Max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ata security in a computer system having removable memory
EP0640924A3 (en) * 1993-08-17 1997-04-23 Sony Corp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5499295A (en) * 1993-08-31 1996-03-12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eature authorization and software copy protection in RF communications devices
CA2136919A1 (en) * 1993-12-09 1995-06-10 John Timothy Hember Local area network encryption decryption system
US5787172A (en) * 1994-02-24 1998-07-28 The Merdan Group,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cryptographic link between elements of a system
US5473692A (en) * 1994-09-07 1995-12-05 Intel Corporation Roving software license for a hardware agent
US5689244A (en) * 1994-06-24 1997-11-18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5815678A (en) * 1995-07-14 1998-09-29 Adaptec,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s bus
US5758070A (en) * 1995-10-06 1998-05-26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for dynamically determining a network media type of a LAN using frame type identifying value from a configuration t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4755A (ja) * 1992-07-24 1994-02-18 Sony Corp ビデオ信号の伝送方法及び記録装置
JPH0750725A (ja) * 1993-08-06 1995-02-21 Sony Corp 情報管理方式および情報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144B1 (ko) 2004-11-26
EP1024417B1 (en) 2004-11-17
KR970007679A (ko) 1997-02-21
EP0756276B1 (en) 2001-09-19
CN1148766A (zh) 1997-04-30
DE69633877D1 (de) 2004-12-23
DE69615299D1 (de) 2001-10-25
EP0756276A1 (en) 1997-01-29
US6247132B1 (en) 2001-06-12
CN1143481C (zh) 2004-03-24
DE69633877T2 (de) 2005-11-03
US6381697B1 (en) 2002-04-30
EP1024417A1 (en) 2000-08-02
DE69615299T2 (de) 200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509B1 (ko) 전자장치동작제어방법
US6108718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JP4569790B2 (ja) 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EP0658010B1 (en) Audio video system with digital data bus
CA2245598C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ing multiple electronic devices
JP3870436B2 (ja) 情報信号記録機器及び通信方法
EP2196914B1 (en) Network system, control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nnection state discrimination method
KR100395385B1 (ko) 통신제어방법및전자기기
EP0932160B1 (en) Transmitting system, transmitting method,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H0233239B2 (ko)
US20010028645A1 (e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transmission device
JPH0951343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9980071008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944354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0620186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명령 및 응답 프레임 생성장치 및 방법
JPH07105447A (ja) 貸出し機器の課金システム
KR20000070296A (ko) 데이터통신방법 및 전자기기와 데이터통신 프로그램을 공급하는 프로그램 공급매체
JP200300697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531344B1 (ko) 버스 시스템에서의 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JP3678241B2 (ja)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3731590B2 (ja) マネージャ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JP2003304475A (ja) 予約管理システムおよび予約管理方法
JP2001230793A (ja) 機器制御方法及び伝送装置
JPH10172239A (ja) 情報信号ミキシング装置及びミキシング制御方法
JP2004007837A (ja) 電子機器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