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820B1 -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820B1
KR100429820B1 KR10-2004-0003816A KR20040003816A KR100429820B1 KR 100429820 B1 KR100429820 B1 KR 100429820B1 KR 20040003816 A KR20040003816 A KR 20040003816A KR 100429820 B1 KR100429820 B1 KR 100429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humbnail
reproduction
recording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13069A (en
Inventor
박봉길
이희수
정태윤
정현권
박성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820B1/en
Publication of KR2004001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30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820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381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dentifiers, e.g. barcodes, RFI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5Modified version of the image, e.g. part of the image, image reduced in size or resolution, thumbnail or screennail

Abstract

본 발명은 썸네일을 정의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장치는.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소정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비트스트림의 특정 구간을 썸네일로 지정함으로써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을 기록하는 장치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defining thumbnails. The recor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identifier of the program, a playback start time information, and a playback duration information for defin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for a program including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identifier of the program, the reproduction start time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duration tim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Accordingly, a device for record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can be obtained by designating a specific section of the bitstream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as a thumbnail.

Description

썸네일 데이터를 기록 장치{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식별하거나 대표하는 썸네일을 기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cording a thumbnail for identifying or representing at least one program.

썸네일(Thumbnail)은 "엄지손톱 크기 만한 그림"이라는 의미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많은 양의 이미지나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거나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크기가 큰 원본 데이터를 보다 작은 이미지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Thumbnails are derived from the meaning of "thumbnail-sized pictures," which represent relatively large original data in smaller images so that a large amount of images or data can be quickly retrieved or managed.

종래 썸네일이 정의된 기록매체에는 오디오 데이터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N개의 A/V(Audio/Video) 비트스트림이 기록되어 있다. 하나의 비트스트림은 영화 또는 뮤직비디오 등의 컨텐츠가 기록된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 정의되는 썸네일은 하나의 정지화(still picture)로 구성되므로, 썸네일을 가리키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썸네일 포인터는 비트스트림의 한 지점을 가리키게 된다. 즉, 종래 썸네일 정의방식에 따르면,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은 정지화만을 정의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영화 또는 뮤직비디오와 같은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검색정보로서 제공되는 썸네일은 정지화만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러나, 한 장의 정지화만으로 표시되는 썸네일은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거나 대표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해당 프로그램의 내용이 무엇인지 전달하기가 용이하지 않다.In a conventional recording medium in which thumbnails are defined, N A / V (Audio / Video) bitstreams in which audio data and / or video data are multiplexed are recorded. One bitstream means a program in which content such as a movie or a music video is recorded.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ly defined thumbnail is composed of one still picture, the thumbnail pointer as a navig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thumbnail points to a point of the bitstream. That i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humbnail definition method, only still pictures without audio data can be defined. Therefore, even in a program including moving picture content such as a movie or a music video, the thumbnail provided as search information is composed of only still pictures. However, thumbnails displayed with only one still picture are not easy to identify or represent video content, and are not easy to convey to the user what the content of the program 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해당 프로그램을 보다 적절히 대표하며 식별하기 쉽도록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을 기록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cord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so as to more appropriately represent and identify the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rogram and a thumbnail pointer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rogram of FIG. 3 and a thumbnail pointer;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지정하기 위한 기록장치의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for specifying thumbna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의 블록도,6 is a block diagram of a playback apparatus for reproducing thumbna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rd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cord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의 802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tep 802 of FIG. 8;

도 10은 도 8의 802단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step 802 of FIG. 8;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11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method of playing a thumbn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1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laying a thumbnai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produc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기록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n identifier of the program for defin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for a program including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and start of playback in the program A controller for generating time information and reproduction duration information; 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identifier of the program, the reproduction start time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du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목적은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기록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is a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comprising: an identifier of the program for defin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for a program including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in the program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playback start information and playback end information; 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 내의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생성하며,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기록하거나,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playback start position and playback end position in the program as the playback start information and playback end information, and the recording unit records the playback start position and the playback end posi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생성하며,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기록하며 상기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은, 상기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unit generates the reproduction start time and the reproduction end time in the program as the reproduction start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end information, and the recording unit records the reproduction start time and the reproduction end time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starts the reproduction. The time and playback end time are preferably represented by an identifier of a start frame and an identifier of a last frame constituting the thumbnail.

상기 제어부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상기 썸네일을 재생함에 있어 사용될 부가 효과를 정의하는 부가 효과 정보를 더 생성하고,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부가 효과 정보를 더 기록하며, 상기 부가 효과 정보는,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됨을 정의하거나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이 사용됨을 정의하거나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 playback)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controller further generates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defining additional effects to be used in reproducing the thumbnail a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he recording unit further records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ler, and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includes: Defining the use of fade-in in the first half of playback, or the definition of fade-out in the second half of playback, or the definition of freeze after playback in the second half of playback. More preferr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1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일 구현예로서 광 디스크에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로서 N 개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각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N 개의 썸네일 포인터가 기록되어 있다. 영화, 뮤직비디오 등의 동영상 컨텐츠를 포함하는 각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된다.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디지털 데이터를 가리킨다. 다만, 각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s an embodiment of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 programs are recorded as presentation data and N thumbnail pointers corresponding to each program are recorded as navigation information. Each program including moving image content such as a movie or a music video is recorded as one bitstre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bitstream refers to digital data in which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are multiplexed. However, each program may be recorded in one or more bitstreams as necessary.

도 2는 도 1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rogram and a thumbnail pointer of FIG. 1.

도 2를 참조하면, 썸네일 포인터는 대응 비트스트림의 일 구간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썸네일 포인터는 비트스트림 식별자(AV bitstream ID), 시작 프레임 오프셋(Start Frame offset), 마지막 프레임 오프셋(Last Frame offset)을 포함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리드-인 효과(Lead IN Effect), 및 리드-아웃 효과(Lead OUT Effect)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thumbnail pointer indicates one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bitstream. More specifically, the thumbnail pointer includes an AV bitstream ID, a start frame offset, and a last frame offset. Furthermore, a lead in effect and a lead out effect may be further included as necessary.

비트스트림 식별자는 N 개의 비트스트림 중 대응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필드이다. 시작 프레임 오프셋 및 마지막 프레임 오프셋은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의 하나인 썸네일 포인터의 필드에 해당되며, 선택된 비트스트림 중 시작 프레임이 기록된 위치 및 마지막 프레임이 기록된 위치를 파일시스템에 의해 억세스 가능하도록 표시한 값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썸네일은 대응 비트스트림의 빗금친 부분에 대응되며, 썸네일은 동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다.The bitstream identifier is a field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bitstream among N bitstreams. The start frame offset and the last frame offset correspond to the fields of the thumbnail pointer which is one of the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the thumbna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file system indicates the position where the start frame and the last frame are recorded among the selected bitstreams. Means a value marked as accessible by. Accordingly, the thumbnail corresponds to the hatched portion of the corresponding bitstream, and the thumbnail can be reproduced as a video.

한편,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썸네일의 재생시 부가되는 부가 효과로서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한 필드로서, 리드-인 효과는 재생 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하며 리드-아웃 효과는 재생 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리드-인 효과로는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될 수 있고, 리드-아웃 효과로는 페이드-아웃(fade-out) 또는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after-playback)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썸네일이 보다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다만,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동영상으로 재생되는 썸네일을 정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드는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다른 부가효과로 변경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ead-in effect and lead-out effect are fields that define the screen processing effect as an additional effect added during the playback of the thumbnail. The lead-in effect specifies the screen processing effect int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playback. Specifies the picture processing effect introduced later in playback. For example, fade-in may be used as a lead-in effect, and fade-out or freeze-after-playback may be used as a lead-out effect. Can be used, so that thumbnails can be played more naturally and effectively. However, since the lead-in and lead-out effects are not necessarily fields for defining thumbnails to be reproduced as moving images, they may be omitted or changed to other additional effects as necessary.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3 is a reference diagram for explaining a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의 일 구현예로서 DVD(Digital Video Disc)에는 프리젠테이션 데이터로서 N개의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고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각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N개의 맵 테이블과 썸네일 포인터가 기록되어 있다. 프로그램은 본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된다. 비트스트림은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가 멀티플렉싱된 디지털 스트림 데이터이다. 다만, 각 프로그램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an embodiment of the recording medi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 programs are recorded as presentation data and N map tables and thumbnail pointers corresponding to each program as navigation information are recorded on a DVD (Digital Video Disc). Is recorded. The program is recorded in one bitstrea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itstream is digital stream data in which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are multiplexed. However, each program may be recorded in one or more bitstreams as necessary.

맵 테이블은 소정 데이터의 재생시간정보에 대해 파일시스템에 의해 억세스 가능한 위치정보를 매핑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하며, 썸네일 포인터는 각 비트스트림에 대해 정의된 썸네일을 가리킨다.The map table plays a role of mapping positional information accessible by the file system to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of predetermined data, and a thumbnail pointer indicates a thumbnail defined for each bitstream.

도 4는 도 3의 프로그램과 썸네일 포인터의 관계도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program and a thumbnail pointer of FIG. 3.

도 4를 참조하면, 썸네일 포인터는 맵 테이블을 통해 대응 비트스트림의 일 구간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썸네일 포인터는 비트스트림 식별자(AV bitstream ID), 시작 프레임 식별자(Start Frame ID),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LastFrame ID)를 포함한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리드-인 효과(Lead IN Effect), 및 리드-아웃 효과(Lead OUT Effect)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thumbnail pointer indicates one section of the corresponding bitstream through the map table. More specifically, the thumbnail pointer includes an AV bitstream ID, a start frame ID, and a last frame ID. Furthermore, a lead in effect and a lead out effect may be further included as necessary.

비트스트림 식별자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특히 N 개의 비트스트림 중 썸네일에 대응되는 비트스트림을 선택하기 위한 필드이다. 시작 프레임 식별자 및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특히 재생구간정보에 해당된다.The bitstream identifier is a field for selecting, as navigation information, a bitstream corresponding to a thumbnail among N bitstreams. The start frame identifier and the last frame identifier are navigation information for defining a thumbna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 particular, are corresponding to playback period information.

동영상은 조금씩 다르게 표현된 복수개의 정지 화상을 빠르게 보여줌으로써 구현된다. 즉, 동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1 초 당 소정 개수(예: 30개)의 정지화를 뿌려주어야 한다. 동영상을 이루는 정지화 하나 하나를 프레임(frame)이라고 하며, 1 초에 뿌려주는 프레임의 개수를 프레임 율(frame rate)이라 한다. 따라서, 프레임 식별자는 재생시간정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한편, 맵 테이블은 DVD 규격에 따라 정의된 네비게이션 정보의 하나로서, 소정 데이터의 재생시간정보와 기록위치정보를 매핑시켜준다. 따라서, 썸네일 포인터 #n에 대응되는 맵 테이블 #n을 참조하면 시작 프레임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로부터 지정된 썸네일이 기록된 위치값을 알아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썸네일은 시작 프레임 식별자를 갖는 프레임에서부터 마지막 프레임 식별자를 갖는 프레임에 의해 동영상으로 재생된다.The moving picture is implemented by quickly displaying a plurality of still images expressed slightly differently. That is, in order to implement a video, a predetermined number (eg, 30) of still images should be sprayed per second. Each still picture that constitutes a video is called a frame, and the number of frames to be sprayed per second is called a frame rate. Therefore, the frame identifier has the same meaning as the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the map table is one of navigation information defined according to the DVD standard, and maps reproduction time information and recording position information of predetermined data. Therefore, referring to the map table #n corresponding to the thumbnail pointer #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value at which the specified thumbnail is recorded from the start frame identifier and the last frame identifier. Accordingly, the thumbnail is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from the frame having the start frame identifier to the frame having the last frame identifier.

한편,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썸네일의 재생시 부가되는 부가효과로서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한 필드로서, 리드-인 효과는 재생 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하며 리드-아웃 효과는 재생 후반부에 도입되는 화면처리효과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리드-인 효과로는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될 수 있고, 리드-아웃 효과로는 페이드-아웃(fade-out) 또는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after-playback)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썸네일이 보다 자연스럽고 효과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드-인 효과 및 리드-아웃 효과는 동영상으로 재생되는 썸네일을 정의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필드는 아니므로, 필요에 따라 생략하거나 다른 부가효과로 변경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ead-in effect and lead-out effect are fields that define the screen processing effect as an additional effect added during the playback of the thumbnail. The lead-in effect specifies the screen processing effect introduced in the first half of the playback. Specifies the picture processing effect introduced later in playback. For example, fade-in may be used as a lead-in effect, and fade-out or freeze-after-playback may be used as a lead-out effect. Can be used, so that thumbnails can be played more naturally and effectively. Similarly, the lead-in and lead-out effects are not necessary fields for defining thumbnails to be reproduced as moving images, and thus may be omitted or changed to other additional effects as necessary.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지정하기 위한 기록장치의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recording apparatus for specifying thumbnail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록장치(5)는 DVD와 같은 광 디스크의 제작단계에서 제작업자에 의해 사용되거나 일반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썸네일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기록장치(5)에 의해 제작자의 의도에 따른 소정 프로그램 및 썸네일이 광 디스크(500)에 기록될 경우, 기록장치(5)는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1), 인코더(52), 및 기록부(53)를 구비한다. 제어부(51)는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한다. 기록부(52)는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500)에 프로그램을 기록하고, 제어부(51)로부터 제공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한다. 프로그램이 인코딩되지 않은 데이터로서 입력되는 경우(A), 인코더(52)는 이를 인코딩하여 기록부(53)로 전달한다. 프로그램이 인코딩된 디지털 데이터로 입력되는 경우(B), 곧바로 기록부(53)에 전달되어 광 디스크(500)에 기록된다.The recording device 5 is a device used by a manufacturer in the production stage of an optical disc such as a DVD or used to record a desired program or thumbnail by a general user. When a predetermined program and thumbnail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are recorded on the optical disk 500 by the recording apparatus 5, the recording apparatus 5, as shown in FIG. 5, includes a control unit 51, an encoder 52, and a recording unit. 53 is provided. The control unit 51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that defines thumbnails for programs including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The recording unit 52 records a program on the optical disc 500 as a recording medium, and records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51. When a program is input as unencoded data (A), the encoder 52 encodes it and delivers it to the recording unit 53. When a program is input as encoded digital data (B), it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recording unit 53 and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500.

한편, 일반 사용자가 자신의 의도에 따라 소정 프로그램 및 썸네일을 광 디스크(500)에 기록하는 경우 기록장치(5)는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51), 인코더(52), 및 기록부(53), 독출부(54) 및/또는 디코더(55)를 포함한다. 제어부(51), 인코더(52), 및 기록부(53)의 역할은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다만, 독출부(54)는 독출된 프로그램을 디코딩할 필요없이 출력가능한 경우 곧바로 출력하거나 디코딩이 필요한 경우 디코더(55)로 전달한다. 이에, 디코더(55)는 수신된 프로그램을 디코딩하여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eneral user records a predetermined program and thumbnail on the optical disk 500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the recording device 5, the control unit 51, the encoder 52, and the recording unit 53, referring to FIG. , Reader 54 and / or decoder 55. The roles of the control unit 51, the encoder 52, and the recording unit 53 ar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5. However, the reading unit 54 outputs the read program immediately if it can be output without decoding it or transfers it to the decoder 55 when decoding is necessary. Thus, the decoder 55 decodes and outputs the received program.

사용자는 독출부(54) 또는 디코더(55)에 인터페이싱된 디스플레이장치(도시되지 않음) 및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재생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썸네일로 지정하고자 하는 구간이 재생되기 시작하거나 재생이 완료되면 썸네일의 재생시작 및 재생완료를 제어부(51)로 입력하고, 제어부(5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재생시작 위치에서 재생완료 위치까지 썸네일로서 정의되도록 썸네일 포인터(및 맵 테이블)를 생성한다.The user starts to play a section to be designated as a thumbnail while watching a program 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not shown) and a speaker (not shown) interfaced to the reader unit 54 or the decoder 55. Upon completion, the playback start and playback completion of the thumbnail are input to the controller 51, and the controller 51 generates a thumbnail pointer (and map table) to be defined as a thumbnail from the playback start position input from the user to the playback completion position.

여기서,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이 기록된 대응 비트스트림을 알려주는 위치정보 및 대응 비트스트림에 있어서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을 알려주는 재생구간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정보는 비트스트림 식별자로 표시된다. 재생구간정보는 선택된 비트스트림에서의 썸네일로 지정된 구간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 또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의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중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에 대한 파일시스템에서의 오프셋값으로 표시되거나,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썸네일을 재생함에 있어 사용될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썸네일 포인터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the thumbnail includes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ing bitstream in which the thumbnail is recorded and playback s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section defined as a thumbnail in the corresponding bitstream.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bitstream identifier. The playback s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playback start position and playback end position or playback start time and playback end time of the section designated as thumbnails in the selected bitstream. Here, the play start position and the play end position are expressed as offset values in the file system for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mong the areas where the data of the section defined as the thumbnail are recorded, or the identifier and the last frame of the start frame constituting the thumbnail. It may be represented by an identifier of. In additi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the thumbnail may include a field defining a screen processing effect to be used in playing the thumbnail. In fact, the thumbnail pointer is navigation information for defining a thumbna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cludes a field for defining a screen processing effect as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장치의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playback apparatus for playing a thumbnail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재생장치(6)는 일반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프로그램 또는 썸네일을 재생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재생장치(6)에 의해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광 디스크(600)에 기록된 소정 프로그램 및/또는 썸네일이 재생되거나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광 디스크(600)에 기록된 소정 프로그램 및/또는 썸네일이 재생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재생장치(6)는 제어부(61), 디코더(62), 및 독출부(63)를 구비한다.The playback device 6 is a device used for playing back a desired program or thumbnail by a general user. The predetermined program and / or thumbnail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600 is reproduced by the reproduction device 6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producer, or the predetermined program and / or thumbnail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600 is reproduc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do. Referring to FIG. 6, the playback device 6 includes a control unit 61, a decoder 62, and a reading unit 63.

독출부(63)는 기록매체로서 광 디스크(600)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한다. 재생장치(6)는 비트스트림으로 기록된 썸네일을 디코딩하여 출력하거나(C), 디지털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한다(D). 예를 들어, 재생장치(6)가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거나 스피커(도시되지 않음) 및/또는 디스플레이부(도시되지 않음)와 인터페이싱하는 경우 썸네일은 디코더(62)를 통해 출력된다. 재생장치(6)가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디지털 장치 또는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경우 썸네일은 디코딩되지 않은 디지털 비트스트림으로 출력된다.The reading unit 63 reads the navigation information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600 as a recording medium. The playback device 6 decodes and outputs the thumbnails recorded in the bitstream (C) or outputs them in the digital bitstream (D). For example, a thumbnail when the playback device 6 includes a speaker (not shown) and / or a display portion (not shown) or interfaces with a speaker (not shown) and / or a display portion (not shown). Is output through the decoder 62. When the playback device 6 is connected to another digital device or network via a digital interface, the thumbnail is output as an undecoded digital bitstream.

여기서,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썸네일이 기록된 대응 비트스트림을 알려주는 위치정보 및 대응 비트스트림에 있어서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을 알려주는 재생구간정보를 포함한다. 위치정보는 비트스트림 식별자로 표시된다. 재생구간정보는 선택된 비트스트림에서의 썸네일로 지정된 구간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 또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의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 중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에 대한 파일시스템에서의 오프셋값으로 표시되거나,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표시될 수 있다. 더불어,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는 썸네일을 재생함에 있어 사용될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썸네일 포인터는 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화면처리효과를 정의하는 필드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the thumbnail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corresponding bitstream in which the thumbnail is recorded and playback sec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section defined as a thumbnail in the corresponding bitstream. The location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bitstream identifier. The playback s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as a playback start position and playback end position or playback start time and playback end time of the section designated as thumbnails in the selected bitstream. Here, the play start position and the play end position are expressed as offset values in the file system for the start position and the end position among the areas where the data of the section defined as the thumbnail are recorded, or the identifier and the last frame of the start frame constituting the thumbnail. It may be represented by an identifier of. In addition, the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the thumbnail may include a field defining a screen processing effect to be used in playing the thumbnail. In fact, the thumbnail pointer is navigation information for defining a thumbnai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cludes a field for defining a screen processing effect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록방법 및 재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recording method and the re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rd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단계를 통해 광 디스크(500)의 제작자 또는 일반 사용자는 기록장치(5)를 사용하여 의도한 바에 따라 프로그램 및 썸네일을 기록할 수 있다. 기록장치(5)는 외부로부터 소정 프로그램을 입력받아 기록부(53)를 통해 광 디스크(500)에 기록한다(701단계). 이 때, 입력된 프로그램은 인코더(52)에 의해인코딩된 후(A) 기록되거나, 이미 인코딩되어 입력된 경우에는 인코딩단계를 거치지 않고(B) 기록된다. 다음으로, 제어부(51)는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광 디스크(500)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500단계).Through the steps shown in FIG. 7, the producer or general user of the optical disc 500 can use the recording device 5 to record programs and thumbnails as intended. The recording apparatus 5 receives a predetermined program from the outside and records it on the optical disk 500 through the recording unit 53 (step 701). At this time, the input program is recorded after being encoded by the encoder 52 (A) or, if already encoded and input, is recorded without going through the encoding step (B). Next, the control unit 51 records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a thumbnail for the program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optical disk 500 (step 500).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기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cord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단계를 통해 일반 사용자는 기록장치(5)를 사용하여 광 디스크(500)에 이미 기록된 프로그램을 재생하여 시청하면서 썸네일로 지정하고자 하는 구간이 재생되기 시작하거나 재생이 완료되면 재생시작위치 또는 재생완료위치를 제어부(51)로 전달하는 방식에 의해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한다.Through the steps shown in FIG. 8, the general user plays back and watches a program already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500 using the recording apparatus 5, and when the section to be designated as a thumbnail starts to be played or is played, the playback is completed. The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the thumbnail is recorded by transmitting the start position or the reproduction completion position to the control unit 51.

도 8을 참조하면, 기록장치(5)의 제어부(51)로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을 정의하기 위한 정보가 수신되면(801단계), 제어부(51)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광 디스크(500)의 소정 영역에 기록한다(802단계).Referring to FIG. 8, when information for defining a thumbnail for a corresponding program is received by the controller 51 of the recording apparatus 5 (step 801), the controller 51 generates navig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he recording unit 53 records the generated navigation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optical disk 500 (step 802).

도 9는 도 8의 802단계의 일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step 802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썸네일로 지정하고자 하는 구간의 재생이 시작되거나 종료되면 사용자는 기록장치(5)에 마련되어 재생시작위치 또는 재생종료위치를 알리기 위한 버튼(도시되지 않음)을 누른다. 이에, 제어부(51)는 썸네일의 위치정보로서 현재 재생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기록부(53)로 전달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프로그램 식별자를 기록한다(901단계). 또한, 제어부(51)는 썸네일의 재생구간정보로서 대응 비트스트림 중 버튼이 눌려진 시점에서 재생되고 있는 위치, 즉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알아내어 기록부(53)로 전달하며, 기록부(53)는 전달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기록한다(902단계).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전술한 바에 같이 썸네일로 정의된 구간의 시작위치 및 종료위치로서 파일시스템을 통해 억세스 가능한 오프셋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for example, when playback of a section to be designated as a thumbnail is started or ended, the user is provided in the recording device 5 to inform the playback start position or the playback end position (not shown). Press. Accordingly, the controller 51 transmits the identifier of the program currently being reproduced a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humbnail to the recording unit 53, and the recording unit 53 records the generated program identifier (step 901).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1 finds the position being reproduced at the time when the button is pressed in the corresponding bitstream as the reproduction section information of the thumbnail, that is,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nd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and transmits the recorded portion to the recording unit 53, and the recording unit 53. In step 902, the transferred playback start position and playback end position are recorded as navigation information. The playback start position and the playback end position may be expressed as offset values accessible through the file system as start positions and end positions of the section defined as thumbnails as described above.

다음으로, 제어부(51)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된 부가효과정보를 기록부(53)로 전달하고 기록부(53)는 입력된 부가효과정보를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기록한다(903단계). 다만, 부가효과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생략가능하다.Next, the controller 51 transmits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set as a default or selected 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recording unit 53, and the recording unit 53 records the input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as navigation information (step 903). However, the step of recording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can be omitted.

도 10은 도 8의 802단계의 다른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step 802 of FIG. 8.

도 10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제어부(51)는 썸네일의 위치정보로서 대응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기록부(53)로 전달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프로그램 식별자를 기록한다(1001단계). 또한, 제어부(51)는 대응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생성하고, 기록부(53)는 생성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기록한다(1002단계). 여기서, 재생구간정보, 즉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은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로 기록되거나(1002-1),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 및 썸네일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개수로 기록될 수 있다(1002-2).Referring to FIG. 10, similarly, the controller 51 transmits th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humbnail to the recording unit 53, and the recording unit 53 records the generated program identifier (step 1001).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1 generates a playback start position and playback end position in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the recording unit 53 records the generated playback start position and playback end position (step 1002). Here, the playback section information, that is, the playback start time and the playback end time are recorded as the identifier of the start frame and the last frame constituting the thumbnail (1002-1) or included in the identifier and thumbnail of the start frame constituting the thumbnail. At least some of the frames may be recorded (1002-2).

다음으로, 제어부(51)는 디폴트로 설정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선택입력된 부가효과정보를 출력하고 기록부(53)는 부가효과정보를 기록한다(1003단계). 여기서, 부가효과정보는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을 사용함이 기록되거나(1003-1),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을 사용함이 기록되거나(1003-2),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 playback)을 사용함이 기록될 수 있다(1003-3). 마찬가지로, 부가효과정보를 기록하는 단계는 생략가능하다.Next, the control unit 51 outputs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set as default or selected and input from the user, and the recording unit 53 records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step 1003). Here,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is recorded using fade-in in the first half of reproduction (1003-1), or using fade-out in the second half of reproduction (1003-2). It may be recorded that using Freeze after playback later in playback (1003-3). Similarly, the step of recording the side effect information can be omitte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재생장치(6)는 광 디스크(600)로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thumb nail)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이 재생되도록 한다.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produc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yback device 6 reads out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a thumbnail for a program from the optical disc 600, and allows the thumbnail to be reproduced based on the read navigation information.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의 재생을 요구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63)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대응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독출하고(1101단계), 대응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독출한다(1102단계). 여기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일시스템을 통해 억세스 가능한 오프셋값을 의미한다. 더불어, 독출부(63)는 썸네일의 재생을 위해 정의된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하여 제어부(61)로 전달한다(1103단계). 제어부(61)는 전달받은 네비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재생한다(1104단계).When the user requests reproduction of a thumbnail for a predetermined program through the menu screen, as shown in FIG. 11, the reading unit 63 reads the identifier of the corresponding program as navigation information (step 1101), and the playback start position in the corresponding program. And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is read (step 1102). Here,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nd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mean offset values accessible through the file system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reading unit 63 reads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defined for the reproduction of the thumbnail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61 (step 1103). The controller 61 reproduces the thumbnail based on the received navigation information (step 1104).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2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method of reproduc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의 재생을 요구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63)는 썸네일을 정의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로서 위치정보 및 재생구간정보를 독출한다(1201단계). 다음으로, 제어부(61)는 독출된 위치정보 및 재생구간정보를 해석하여 독출부(63)로 전달하고, 독출부(63)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프레임을 독출하여 재생되도록 한다(1202단계).When the user requests reproduction of a thumbnail for a predetermined program through the menu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reading unit 63 reads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playback section information as navigation information defining the thumbnail (step 1201). Next, the control unit 61 interprets the read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sec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rea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reading unit 63. The reading unit 63 reads a plurality of frames constituting a thumbnai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To be reproduced (step 1202).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썸네일을 재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1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reproducing thumbnai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메뉴화면을 통해 소정 프로그램에 대한 썸네일의 재생을 요구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출부(63)는 광 디스크(600)의 소정 영역에 기록된 대응 프로그램의 식별자를 독출한다(1301단계). 또한, 독출부(63)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독출한다(1302단계). 여기서, 독출부(63)는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으로서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를 독출하거나(1302-1),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 및 썸네일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개수를 독출할 수 있다(1302-2).When the user requests reproduction of a thumbnail for a predetermined program through a menu screen, as shown in FIG. 13, the reading unit 63 reads an identifier of a corresponding program recorded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optical disc 600 (step 1301). ). In addition, the reading unit 63 reads out the playback start time and playback end time (step 1302). Here, the reading unit 63 reads the identifier of the start frame and the last frame constituting the thumbnail as the playback start time and the playback end time (1302-1), or includes it in the identifier and thumbnail of the start frame constituting the thumbnail. The number of the at least some frames may be read (1302-2).

다음으로, 제어부(61)는 대응되는 맵 테이블을 참조하여 독출된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에 매핑된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추출하고, 이에 독출부(63)는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독출한다(1303단계).Next, the control unit 61 extracts the play start position and play end position mapped to the read play start time and play end time with reference to the corresponding map table, and the readout unit 63 plays the play start position and play. The end position is read (step 1303).

독출부(63)는 또한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한다(1304단계). 이 때,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되거나(1004-1),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이 사용되거나(1304-2),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 playback)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부가효과정보가 독출될 수 있다(1304-3). 다만 광 디스크(600)에 부가효과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부가효과정보를 독출하는 단계가 생략된다.The reading unit 63 also reads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step 1304). At this time, a fade-in is used in the first half of playback (1004-1), a fade-out is used in the second half of playback (1304-2), or a freeze after playback in the second half of playback. Side effect information defining that (Freeze after playback) is used may be read (1304-3). However, when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is not recorded on the optical disc 600, the step of reading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is omitted.

이에, 제어부(61)는 독출된 프로그램 식별자,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및 부가효과정보)에 기초하여 썸네일을 구성하는 데이터, 즉 프레임이 독출되어 재생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61 allows the data constituting the thumbnail, that is, the frame, to be read out and reproduced based on the read program identifier, the reproduction start time, and the reproduction end time (and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비트스트림의 특정 구간을 썸네일로 지정함으로써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장치가 제공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apparatus capable of record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is provided by designating a specific section of a bitstream corresponding to one program as a thumbnail.

Claims (10)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A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 identifier of the program, a playback start time information, and a playback duration information for defin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for a program including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identifier of the program, the reproduction start time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dur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재생시작시간 정보 및 재생지속시간 정보는, 상기 썸네일에 포함된 소정 프레임의 식별자 및 상기 썸네일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 프레임의 개수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reproduction start time information and the reproduction duration time information are recorded with an identifier of a predetermined frame included in the thumbnail and the number of at least some frames included in the thumbnail.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A recording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 recording medium,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에 대해 동영상으로 재생가능한 썸네일(thumbnail)을 정의하기 위한 상기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navigation information including an identifier of the program for defining a thumbnail that can be reproduced as a moving picture for a program including video data and / or audio data, playback start information and playback end information in the program; And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하는 기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a recording unit for record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 내의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생성하며,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lay start position and a play end position in the program as the play start information and play end information.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재생시작위치 및 재생종료위치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recording unit records the reproduction start position and the reproduction end posi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시작정보 및 재생종료정보로서 상기 프로그램내의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생성하며,The control unit generates a reproduction start time and a reproduction end time in the program as the reproduction start information and reproduction end information,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상기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recording unit records the reproduction start time and the reproduction end time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재생시작시간 및 재생종료시간은, 상기 썸네일을 구성하는 시작 프레임의 식별자와 마지막 프레임의 식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playback start time and playback end time are identifiers of a start frame and an end frame of the thumbnai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썸네일을 재생함에 있어 사용될 부가효과를 정의하는 부가효과 정보를 더 생성하고,The controller further generates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defining additional effects to be used in playing the thumbnail, 상기 기록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부가효과정보를 더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recording unit further records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generated from the control unit.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부가효과정보로는 재생 전반부에 페이드-인(fade-in)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fade-in is used in the first half of reproduction as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상기 부가효과정보로는 재생 후반부에 페이드-아웃(fade-out)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fade-out is used later in the reproduction as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부가효과정보로는 재생 후반부에 프리즈 에프터 플레이백(freeze after playback)이 사용됨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장치.And the free effect after playback is used in the second half of the reproduction as the additional effect information.
KR10-2004-0003816A 2004-01-19 2004-01-19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KR100429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16A KR100429820B1 (en) 2004-01-19 2004-01-19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816A KR100429820B1 (en) 2004-01-19 2004-01-19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375A Division KR100429793B1 (en) 2001-02-05 2001-02-05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umbn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69A KR20040013069A (en) 2004-02-11
KR100429820B1 true KR100429820B1 (en) 2004-05-04

Family

ID=37320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816A KR100429820B1 (en) 2004-01-19 2004-01-19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82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3069A (en)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8613B2 (en) REPRODUCTION DEVICE AND REPRODUCTION METHOD, PROGRAM, RECORDING MEDIUM, AND DATA STRUCTURE
JP4865884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20060056800A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US7620295B2 (en)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umbnail recorded there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RU2420015C2 (en) Method and device to record and reproduce video data and information data carrier, on which video data is recorded
WO2002056314A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JP5355754B2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TWI330357B (en)
JP4807250B2 (en) Recording method
KR100429793B1 (en) Recording medium containing thumbnail
KR100429818B1 (en) Thumbnail data recording method
KR20050050444A (en) A recording apparatus, a reproducing apparatus, a recording method, a reproducing method and th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0429820B1 (en) Thumbnail data recording apparatus
KR100429821B1 (en) Thumnail data reproducing apparatus
KR100429819B1 (en) Thumbnail data reproducing method
KR20030066236A (en) Record medium player capable of automatically setting playback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06032195A1 (en) Multi-standar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recording and playing
KR100335409B1 (en) Optic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method and disk for providing menu function
JP2001346148A (en) Moving picture reproduction control method and picture reproducing device
JP2003109306A (en) Data recording method, data recorder, program and medium
RU2266625C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video data and data carrier, on which video data are recorded using said method and device
JP4564021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KR20080070201A (en) Method and reproduction apparatus of providing additional subtitle
KR20000001196A (en) Recording medium storing aspect ratio of target image and device and method for replaying target image
JP2003224790A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