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545B1 -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545B1
KR100429545B1 KR10-1999-0034014A KR19990034014A KR100429545B1 KR 100429545 B1 KR100429545 B1 KR 100429545B1 KR 19990034014 A KR19990034014 A KR 19990034014A KR 100429545 B1 KR100429545 B1 KR 10042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mbling code
channel
code
identifier
prim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182A (ko
Inventor
황승오
김재열
강희원
양경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9-003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545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CN200510067232XA priority patent/CN1674466B/zh
Priority to CNB008016917A priority patent/CN1206870C/zh
Priority to RU2001110373A priority patent/RU2214695C2/ru
Priority to US09/641,147 priority patent/US7221695B1/en
Priority to BRPI0007011A priority patent/BRPI0007011B1/pt
Priority to EP00952052.9A priority patent/EP1121818B1/en
Priority to EP05005497.2A priority patent/EP1549087B1/en
Priority to JP2001517816A priority patent/JP3992981B2/ja
Priority to CA002346845A priority patent/CA2346845C/en
Priority to PL34732700A priority patent/PL347327A1/xx
Priority to IL14248900A priority patent/IL142489A0/xx
Priority to PCT/KR2000/000916 priority patent/WO2001013655A1/en
Priority to ID20010769A priority patent/ID29477A/id
Priority to AU64813/00A priority patent/AU762032B2/en
Publication of KR20010018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182A/ko
Priority to IL142489A priority patent/IL142489A/en
Priority to ZA200102906A priority patent/ZA200102906B/xx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545B1/ko
Priority to US11/091,265 priority patent/US7869454B2/en
Priority to JP2005096144A priority patent/JP4744173B2/ja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04J13/0044OVSF [orthogonal variable spreading fa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04J13/18Alloc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a scrambling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이용하여 공통채널의 신
호를 혼화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신호 송신방법이, 가입자장치로부터 전용채
널의 할당이 요구될 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과정과, 결정
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가입자장치에 전송하고 응답을 대기하는 과
정과, 가입자장치로부터 응답메세지가 수신될 시 일차적 스크램블링 식별자와 이차
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 및 이차적 스크램
블링부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이용하여 공통채널의 신호
를 혼화하고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이용하여 전용채널의 신호를 혼화하여 전송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부호(Scrambling code)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채널용량을 확장하는 시스템에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 분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이하 CDMA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시스템 내의 기지국의 구분을 위해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는 기지국을 구분하는 목적 이외에도 기지국의 용량증대를 위한 방법의 하나로도 사용한다.
유럽방식인 W-CDMA의 UMTS 표준안에서는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부호를 구비하여, 상기의 기지국 구분과 기지국 용량증대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상기 UMTS 표준안에서는 기지국이 하나의 스크램블링 부호에 할당된 직교부호(Orthogonal Code)를 다 사용하여 더 이상 사용할 수 있는 직교부호가 없으면 다른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해 새로이 다시 직교부호를 할당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골드 시퀀스(GOLDsequence)를 사용하며, 상기 골드 시퀀스의 길이는 218-1이다. 상기의 218-1인 골드 시퀀스는 218-1개의 서로 다른 골드부호가 한 군(Group)을 이루며, 상기 스크램블링부호는 길이 218-1인 골드 부호의 앞의 처음 비트부터 칩 레이트(chip rate}의 0.01만큼을 선택하여 반복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의 기지국 구분을 위하여 사용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Primary Scrambling code)라 칭한다. 그리고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할 경우, 채널구분(channel separation)을 위하여 더 이상 할당할 수 있는 직교부호가 없으면, 기지국의 용량 증대를 위하여 사용되는 다른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Secondary Scrambling code)라 칭한다. 즉,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할 때 해당하는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할당할 수 있는 채널직교부호의 수는 일정한 값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램블링부호들을 복수개로 구비하고, 채널 용량이 부족할 때 현재 사용중인 스크램블링부호 이외에 사용하지않고 있는 다른 스크램블링부호를 설정하여 사용하면 그 만큼의 채널 용량을 확장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구별을 위해 사용되며,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전송된 동일한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가 가입자장치(User Equipment)에 수신되지 않도록 셀 반경을 고려하며,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수를 512로 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인접한 기지국들은 상기 512개의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들 중 서로 다른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기지국에서는 모든 가입자장치에게 공통으로 전송되는 공통제어채널들에 대해서는 반드시 기지국 고유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여 전송하며, 그 외의 하향전송(downling transmission) 채널들에 대해서는 일차적스크램블링부호 혹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전송한다.
상기 기지국의 용량증대를 위하여 사용되는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는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에 대응되고,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수 최대 512개 까지이고, 기지국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는 예로 UMTS의 하향전송(Downlink Transmission)을 들 수 있다.
도1은 UMTS의 하향전송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면 먼저 채널부호화(channel coding)와 인터리빙이 된 전용제어물리채널(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 : 이하 DPCCH라 칭한다)과 N개의 전용데이터물리채널(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 : 이하 DPDCH라 칭한다)들이 역다중화기(Demultiplexer) 100, 102, 104에 각각 입력되면, 상기 각각의 역다중화기100, 102, 104 들은 상기 DPCCH와 N개의 DPDCH 들을 I/Q신호로 나누어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역다중화기 100 출력된 I/Q신호들은 각각 승산기 110, 111에 입력된다. 상기 승산기 110, 111은 입력된 I/Q신호들을 채널구별을 위한 직교부호1과 승산하여 출력하고, 상기 승산과정을 수행한 후에 출력된 신호들은 혼화기(Scrambler) 120에 입력되어 혼화된다. 상기 도1의 역다중화기 102,...,104의 동작은 상기 역다중화기 100의 동작과 동일하며, 승산기 114,115 및 118,119는 각각 상기 승산기 110,111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고. 혼화기 124 및 128은 상기 혼화기 120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1의 스크램블링부호 생성기 150은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혼화기120, 124, 128에 전송한다. 상기 스크램블링부호 생성기 150에서 생성되는 스크램블링부호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와 기지국의 용량 증대를 위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가 생성되고,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는 혼화기에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전송하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는 혼화기에는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전송한다.
상기 도 1의 상기 각 혼화기 120,124,128은 입력된 상기 승산된 신호들과 스크램블링부호를 복소수 상에서 곱하여 실수부분은 합산기 130으로 전송하고, 허수 부분은 합산기 135로 전송한다. 상기 도 1의 합산기 130과 135는 각각 혼화된 실수부와 허수부의 신호들을 합하여 출력한다.
도 2는 상기 도1의 송신기에 따른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부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15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실제로 공통제어채널들은 항상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야한다. 그러나 다른 하향 전송 채널들은 직교부호의 부족현상이 발생되면,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항상 다수개의 스크램블링부호들을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도 2에서, 여러 채널들의 스크램블링부호에 대한 제어정보1-제어정보N 들이 각각 대응되는 N개의 골드시퀀스 생성기 211,212, 21N으로 입력되면, 각각의 골드 시퀀스 생성기211, 212, 21N들은 각각 입력된 제어정보1-제어정보N 들에 해당하는 골드 부호를 생성하여 I 채널 성분들은 그대로 출력하고, Q 성분들은 각각 대응되는 지연기221-22N들에 인가되어 일정 칩 동안 지연시킨 후 출력된다.
도3은 UMTS의 하향전송 수신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수신기의 경우 기지국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하여 전송한 공통 제어채널신호를 반드시 역혼화(Descrambling)할 수 있어야하고, 동시에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 혹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로 혼화되어 전송되는 다른 하향전송채널들에 대하여 역혼화할 수 있어야 하다. 따라서 상기 수신기는 다수개의 스크램블링부호들을 생성하여 수신된 하향전송채널들에 대한 역혼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도 3에서 가입자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들은 I/Q 성분들이 각각 역혼화기 310과 315으 로 입력된다. 상기 스크램블링부호 생성기 300은 각각의 채널에 해당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들과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들을 동시에 생성하여 역혼화기 310과 315에 전송한다. 상기 역혼화기 310과 315는 입력된 수신신호 I+jQ를 상기 스크램블링부호 생성기 300으로부터 전송 받은 스크램블링부호의 켤레값(conjugate value)과 곱하여 역확산한 후, 승산기320, 322 및 324, 326에 역혼화된 I/Q 성분들을 출력한다. 상기 역혼화기 310과 315에서 출력된 신호들은 승산기 320과 324로 입력되어 각각의 채널에 할당된 직교부호들과 곱해져서 역확산된 후, 각각 다중화기(Multiplexer) 330 및 335에 입력되어 다중화된후 출력된다.
도4는 상기 도3의 수신기에 따른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부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스크램블링부호 생성기30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공통제어채널들은 항상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로 혼화되어 전송되며, 그 외의 다른 채널들은 시스템의 용량에 따라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 혹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로 혼화되어 전송되므로, 가입자장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 뿐만이 아니라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도 생성할 수 있어야한다. 또한 상기의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는 동시에 수신되어 역혼화 되어야 하므로 가입자 장치에서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채널들의 스크램블링부호에 대한 제어정보들이 다수의 골드시퀀스 생성기 411, 412에 입력되면, 상기 각각의 2개의 골드 시퀀스 생성기411, 412는 각각의 제어정보에 해당하는 골드 부호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골드부호에서 I성분은 그대로 출력되고, Q성분은 각각 대응되는 지연기421, 422에 인가되어 일정 칩 동안 지연된 후 출력된다.
도 5는 상기 도 2와 도 4에서 도시되어진 골드시퀀스 생성기의 구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골드시퀀스는 두 개의 서로 다른 m-시퀀스의 배타적논리합으로 생성된다. 상기 도 5의 상위 쉬프트 레지스터 500의 m-시퀀스 생성 다항식은 f(x)=x18+x7+1이고, 하위 쉬프트 레지스터 510의 생성 다항식은 f(x)=x18+x10+x7+x5+1이다.
상기 도 5의 골드 시퀀스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골드 부호는 512*512 = 262,144개이다. 상기 골드 시퀀스 생성기에서 생성된 골드 부호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로 나뉘어진다. 상기 261,144개의 골드 부호 중에 512개가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가 되고, 각각의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에 511개의 골드 부호가 대응되어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집합을 이루게 된다.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는 0에서 511까지의 십진수의 이진수 값을 초기치로 갖는 도 5의 상위 레지스터500과 언제나 초기치로 모든 쉬프트 레지스터에'1'의 값을 갖는 하위 쉬프트 레지스터 510과 배타적합 연산을 하여 512개가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는 도 5의 상위 레지스터 500의 초기치로 i+512*k을 입력하여 생성된다. 상기 i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부호숫자이며, k는 1에서 511까지의 값을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에는 511개의 2차적 스크램블링부호가 대응된다. 상기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는 각각의 기지국에서 단 하나 만이 사용되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는 기지국의 필요에 따라 사용된다.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는 일차적 공통제어채널 (Primary Common Control Channel: 이하 P_CCPCH라 칭한다)을 혼화하는 경우에 반드시 사용되며, 그 외의 다른 하향 물리채널들은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또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집합에서 선택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되어 전송된다.
상기 도1, 도2, 도3, 도4, 도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크램블링부호는 단 하나만이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기지국의 요구에 따라 여러 개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들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또한 가입자 장치 또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을 올바르게 수신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스크램블링부호 발생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도 5의 골드 시퀀스 생성기를 살펴보면, 상기 도5의 골드 시퀀스 생성기는 동시에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해내지 못하고 하나의 스크램블링부호만을 생성하며,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만큼의 골드 시퀀스 생성기들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도 5의 골드 시퀀스 생성기에서 생성되는 부호는 총 262,144개이다. 각각의 기지국에서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 1개,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 511개만 가져도 최소한의 통신은 가능하고, 기지국 장비의 크기를 고려해볼 경우 스크램블링부호 262,144개의 저장하고 있는 것은 별다른 문제가 아닐 것이다. 그러나 각 기지국을 이동하면서 통화해야 하는 가입자장치는 각 기지국이 어떤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모든 스크램블링부호(262,144개)를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262,144개의 스크램블링부호 들의 저장 공간은 가입자 장치의 크기를 고려한다면, 가입자장치에 상당 공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도 5에서 생성되는 골드 부호로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한다면, 상기 기지국이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채널부호가 부족할 경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채널들을 혼화해서 채널들을 전송할 때 가입자장치에게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정보를 알려주게된다. 그러나 상기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나타내는 숫자 512부터 262,133중에 하나를 전송해야 하므로, 18비트에 달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정보를 가입자 장치에게 전송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확장시 사용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효과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이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채널을 할당할 시 가입자 장치에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정보 및 채널직교부호의 정보를 전송하여 가입자 장치의 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장치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분석하여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및 상기 수신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생성하고, 이 마스크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1은 UMTS 기지국의 하향전송(downlink transmission)의 송신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송신기에 따른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UMTS 가입자 장치의 하향전송의 수신기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수신기에서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골드시퀀스 생성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러 개의 골드코드를 동시에 생성하는 골드 코드 생성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도7에서 도시되어진 마스크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지국에서 스크램블링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서 스크램블링 코드를 생성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 그리고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마스크의 수 및 일차적 및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마스크를 구성하는 메시지의 비트 수 등과 같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가입자 장치라는 용어는 이동국 또는 단말기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또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primary scrambling code)라는 용어는 기지국의 구분을 위하여 사용되는 부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secondary scrambling code)는 기지국의 채널 용량을 확장하기 위한 사용되는 부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는 기지국에서 모든 가입자장치들에 공통으로 전송하는 채널(예를들면 공통제어채널 등)에는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할당하는 것으로 가정하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는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가 부족할 경우 전용채널에 할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primary ID)와 m-시퀀스의 연산에 의해 생성되고,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및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secondary ID)와 m-시퀀스의 연산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구성하는 부호로서 골드부호가 사용되는데, 골드부호는 상관도 성질이 우수한 서로 다른 두 개의 m-시퀀스의 합으로 생성되어진다. 길이 L을 갖는 상기의 두 m-시퀀스를 m1(t), m2(t)라 하면,상기의 m-시퀀스로부터 생성되는 골드 부호의 집합은 L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서로 다른 L개의 골드 시퀀스간에는 상관도 성질이 우수하다. 상기의 골드 시퀀스의 집합을 다음 <수학식1>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을 살펴보면, 상기 골드 부호들의 집합은 상기 m-시퀀스 m1(t)를 순환이동(Cyclic shift)시킨 시퀀스와 상기 m-시퀀스 m2(t)의 합으로 구성된 모든 시퀀스들의 집합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m1(t)를 τ 만큼 순환 이동시킨 시퀀스와 상기 m-시퀀스 m2(t)의 합을 gτ라 칭하기로 한다. 그러면 하기의 <수학식 2>의 관계가 성립한다.
{g}_{tau}(t)~=~{m}_{1}(t+ tau)+{m}_{2}(t)
이때 상기 <수학식 2>를 구성하는 m-시퀀스들의 주기가 218-1이면, 상기 m1(t)를 최대 218-1만큼 순환이동 시킬 수 있고, 상기 m1(t)의 순환이동과 m2(t)의 합으로 생성되는 골드 부호의 집합의 원소의 개수는 상기 m1(t)가 순환 이동할 수있는 주기와 같은 수인 218-1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루어질 골드부호의 집합은 <수학식 3>과 같은 생성다항식을 가지는 m-시퀀스 m1(t)와 , <수학식 4>와 같은 생성다항식을 가지는 m-시퀀스 m2(t)의 합으로 이루어지는 골드부호들을 원소로 하며, 상기 골드 부호들의 개수는 218-1이다.
f(x)=x18+x7+1
f(x)=x18+x10+x7+x5+1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골드 부호의 생성에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되는 마스크의 개수만큼 동시에 골드부호가 생성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동시에 발생하는 여러 개의 골드 부호의 생성 방법은 순환 이동하는 m-시퀀스 m1(t)를 생성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의 메모리값들에 마스크함수를 취함으로 얻어질 수 있다.
종래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방식에서는 m-시퀀스 m2(t)의 초기값을 고정시킨 후, m-시퀀스 m1(t)의 초기값에 스크램블링 부호 인덱스의 이진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서로 다른 골드 부호를 발생시켜, 상기 발생된 각기 다른 골드 부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방식과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본 발명의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방식은 스크램블링 부호의 인덱스 값을 m1(t)에 적용시켜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한 종래의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방식과는 다르게 m1(t)와 m2(t)의 초기값을 고정시키고, 상기 m1(t)에 의해 발생되는 m-시퀀스에 서로 다른 마스크를 취하여, 상기의 마스크들에 의해서 생성되는 골드 부호가 각각 다르게 생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m1(t)와 m2(t)의 초기값은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사용한다. 상기 두 개의 m-시퀀스의 초기값을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사용하는 이유는 각 기지국마다 서로 다른 초기값을 사용하여 마스크를 취한 후 골드 부호를 생성하면, 각각의 기지국에서 생성된 골드부호중에 동일한 부호가 생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이유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모든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m-시퀀스 m1(t)와 m2(t)의 초기값은 동일하게 하고, m1(t)에 적용되는 마스크를 다르게 하여 각기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마스크 함수들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골드부호들을 동시에 생성하는 생성기와, 상기 생성기에 적용되는 마스크 구조와, 상기 생성기를 이용할 경우 여러 개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및 여러 개의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줄이기위하여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및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필요에 의해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6은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러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6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의 구조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m-시퀀스의 생성을 위한 쉬프트 레지스터 2개와, 상위 쉬프트 레지스터의 메모리 값들과 마스크 계수들을 입력으로 받아 새로운 m-시퀀스를 만들어 내는 마스크부로 이루어지는 골드 부호 생성부 601과, 생성된 골드 부호를 I 채널과 Q 채널로 입력시켜 I 채널은 직접 출력하고, Q 채널은 일정 칩(chip)동안 지연시켜 출력하여 복소수 스크램블코드를 만드는 스크램블링부호 발생부가 있다. 상기 스크램블코드 발생부는 지연기 631-63N을 포함한다.
상기 도6의 골드 부호 생성기 601에서 출력되는 골드 부호의 수는 골드 부호 생성기내에 마스크부의 수와 동일하여 각기 생성된 서로 다른 골드 부호들은 I 채널은 직접 출력하고, Q 채널은 일정 칩(chip)동안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기 631-63N에 입력되어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가 생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6에서 서로 다른 골드 부호를 동시에 생성하는 골드 부호 생성기601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쉬프트 레지스터701 및 703은 각각 18개의 메모리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 m-시퀀스 m1(t) 및 m2(t)를 발생한다. 그리고 배타적 연산기(exclusive OR gate) 721,722 및 731-73N은 각각 입력된 비트들에 대하여 배타적 합 연산을 수행한다. 마스크부711-71N 들은 각각의 서로 다른 마스크 계수를 가지고 동작을 하며, 따라서 상기 마스크부들의 수 만큼 서로 다른 m-시퀀스를 동시에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 N은 마스크부의 숫자에 해당하며, 양의 정수이고, 기지국이나 가입자장치가 스크램블링 부호가 필요한 만큼의 값을 가진다. 도6의 지연기631-63N 들은 상기 마스크부711-71N들의 수와 동일한 수로 구비되며, 각각 대응되는 배타적합 연산기731-73N에 의하여 생성된 골드부호를 입력으로 받아 일정 칩동안 지연시켜 스크램블링 부호의 허수 성분을 생성한다.
상기 도 7a 및 도 7b는 m-시퀀스의 생성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 갈로아 방법과 피보나치 방법을 사용 한 골드부호생성기에 대하여 도시하였다.[참고문헌 :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Handbook revised edition, Marvin K.Simon, Jim K. Omura, Robert A. Scholtz, Barry K.Levitt, 1985, McGraw-Hill] 상기 도7a는 피보나치 방법을 사용한 골드 부호 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7b는 갈로아 방법을 사용한 골드 부호 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두 골드부호 발생기의 구조는 서로 다르나 동일한 골드 부호를 발생하도록 설계하였다. 상기 도7a 및 도 7b는 m-시퀀스 생성부인 쉬프트 레지스터의 구조만 다르며, 그 외의 기능은 유사하다. 도 7의 701은 쉬프트 레지스터로서, 길이가 18이고, m-시퀀스 m1(t)의 생성 다항식 f(x)=x18+x7+1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m1(t)의 생성 다항식은 생성부호의 연속되는 심볼들에 대하여 하기 <수학식 5>의 궤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상기 m-시퀀스 m1(t)의 생성 다항식 f(x)=x18+x7+1 에 대하여, 종래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에서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의 이진 표현치를 상기 생성다항식의 초기값으로 사용했다. 즉,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는 512개이고, 각각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에 부합하는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511개로 이루어진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집합 512개이므로, 종래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는 총 512*512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을 위해 0에서 262,143까지의 숫자의 이진표현치를 초기치로 하여 서로 다른 골드 부호 262,144개를 생성했다.
상기 도 7a 및 도 7b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에서는 m-시퀀스 m1(t)의 생성 다항식 f(x)=x18+x7+1 의 초기값으로 임의의 이진수 18비트를 선정한다. 단 상기 임의의 이진수 18비트는 m-시퀀스 m2(t)의 생성다항식 f(x)=x18+x10+x7+x5+1 에서 사용하는 초기치를 제외한 임의의 18비트 이진수이다.
상기의 m1(t)의 생성 다항식 f(x)=x18+x7+1 의 초기값으로 임의의 이진수 18비트는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사용되는 값이다. 각 기지국에서 m1(t)의 초기값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이유는 서로 다른 골드 부호의 발생을 마스크를 이용하므로,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초기치를 사용해서, 마스크를 이용할 경우 각 기지국 사이에서 동일한 골드 부호가 생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도 7에서는 m1(t)의 초기값으로 <1,0,0,0,0,0,0,0,0,0,0,0,0,0,0,0,0,0>을 사용한다.
상기 도7의 703은 상기 701 쉬프트 레지스터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m-시퀀스 m2(t)의 생성다항식 f(x)=x18+x10+x7+x5+1을 표현한 것이다. 상기 m-시퀀스 m2(t)의 초기값은 또한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하게 사용하는 값이며, 본 발명의 활용예에서는 703 쉬프트 레지스터의 초기값을 <1,1,1,1,1,1,1,1,1,1,1,1,1,1,1,1,1,1>으로 한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701의 메모리 값들은 마스킹부711-71N에 입력되며, 이때 상기 각 마스킹부711-71N들은 각각 설정된 마스크 계수들과 상기 입력되는 m-시퀀스 m1(t)를 연산하여 새로운 m-시퀀스를 생성한다.
상기 마스크부 711-71N은 각각의 마스킹부마다 다른 마스크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마스크부711-71N의 역할은 입력되는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 701의 메모리 값들에 대하여 각각 설정된 대응되는 마스크 계수를 곱한 후에 합을 취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 701의 메모리 값들과 마스크 계수 간의 곱셈 및 합은 이진(binary) 연산이다.
도 8은 상기 마스크부 711-71N의 마스크 구조의 활용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801과 같은 구조를 갖는 마스크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골드부호를 생성하는 마스크의 활용 예이다. 상기 도 8의 801과 같은 마스크의 길이는 18이며, MSB(Most Significant Bit: 제일 왼편에 위치한 비트)부터 9비트를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를 이진 표현하는부분(primary ID)으로 할당했으며, 나머지 9비트를 널데이터 (Null data)로 할당하였다. 상기 801 마스크의 상위 9비트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512개를 표시하는데 사용한다.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이나 가입자장치에서 하향전송을 위한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고 싶으면 0-511까지의 숫자 중 원하는 숫자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상기 801 마스크의 상위 9비트에 입력하여 골드부호를 발생시키면 원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12를 할당받은 기지국이 상기 12에 해당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려면, 상기 801의 마스크 상위 9비트에 <0,0,0,0,0,1,1,0,0>을 입력한 후 도 7과 같은 구조를 갖는 골드부호발생기601에 적용시켜 스크램블링부호기에 사용하면 12에 해당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핸드오프 지역에 있는 가입자 장치가 12번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는 기지국과의 통신중에, 핸드오프될 목표기지국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찾기 위하여 12번이 아닌 다른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동시에 발생시키려 한다면, 상기 가입자 장치는 발생을 원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로 마스크를 만들어 상기 도 7의 마스크부에 입력시키면 12번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과 동시에 원하는 다른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이 가능하다.
상기 도8의 810과 같은 구조를 갖는 마스크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골드 부호를 생성하는 마스크의 활용예이다. 상기 도8의 810 마스크는 길이가 18이며, MSB부터 9비트를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primaryID)으로 할당했으며, 나머지 9비트중에 N비트를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secondary ID)으로 할당했고, 9-N 비트를 널 데이터 부분(null data)으로 할당했다. 상기 810과 같은 마스크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나타내는 부분은 상기 801마스크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나타내는 부분과 구조와 역할이 동일하다. 상기 마스크810에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을 N비트로 할당하는 것은 기지국이 사용하게 될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에 유연성을 갖추기 위해서 이다. 각각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에 부합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최대수는 511개이지만 기지국의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실제 사용에서는 상기의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최대 개수보다 적게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이동통신시스템마다 사용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에 따라 N의 값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로 4비트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상기 마스크810의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의 역할은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의 역할과 동일하다. 일예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12로 모든 채널을 혼화해서 전송하던 기지국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12와 같이 사용되던 채널직교부호를 모두 다 사용하여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기로 결정하면, 기지국은 1에서 최대 511까지의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중에 임이의 숫자를 골라 마스크810의 하위 9비트에 입력하여 마스크810을 구성하여 상기 도 6의 구조를 가지는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기의 마스크부에 적용하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동시에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예에발생시킬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번호를 4라고 가정하면, 마스크810에 입력되는 마스크의 계수값은 primary ID가 <0,0,0,0,0,1,1,0,0>이 되고 secondary ID 값이 <0,0,0,0,0,0,1,0,0>이 된다. 따라서 상기 마스크810은 <0,0,0,0,0,1,1,0,0,0,0,0,0,0,0,1,0,0>이 된다. 이때 상기의 마스크810의 계수 값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511개까지 다 사용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입력된 값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라 m개의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한다고 하면, log2m의 정수 값보다 1비트만큼 큰 상기 마스크801의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표현부 N비트에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숫자의 이진표현을 입력하면 된다. 예를들면 16개의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secondary ID는 4비트가 된다.
상기 도 8의 마스크801과 마스크810은 마스크 구조의 활용예의 한가지이고,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 9비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 N비트의 위치는 바뀔 수 있다. 상기 도 8의 두 가지 마스크 구조의 활용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골드부호를 만드는 마스크에서 반드시 들어가야 할 정보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나타내는 숫자 0-511의 이진 표현이고,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골드부호를 생성하는 마스크에서 반드시 들어가야 할 정보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나타내는 숫자 0-511의 이진표현과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나타내는 숫자 1에서 최대 511을 표시하는 N비트이다. 또한 상기 도8의 마스크810에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표시하는 부분을 널 데이터로 표시하면, 상기 도 8의 마스크8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위한 마스크가 된다. 하기 <표 1>은 상기 도 8의 마스크의 여러 가지 활용예에 대하여 도시한 표이고, 하기 <표 1>에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는 16으로 가정하였다.
기지국 인덱스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인덱스 마스크 비고
1 0 <0,0,0,0,0,0,0,0,1,0,0,0,0,0,0,0,0,0>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마스크
4 <0,0,0,0,0,0,0,0,1,0,1,0,0,0,0,0,0,0>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마스크
13 <0,0,0,0,0,0,0,0,1,1,1,0,1,0,0,0,0,0>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마스크
243 0 <0,1,1,1,1,0,0,1,1,0,0,0,0,0,0,0,0,0>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마스크
3 <0,1,1,1,1,0,0,1,1,0,0,1,1,0,0,0,0,0>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마스크
12 <0,1,1,1,1,0,0,1,1,1,1,0,0,0,0,0,0,0>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마스크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스크를 사용하여 골드 부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분류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마스크를 사용한 도 6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를 사용하는 기지국의 하향 전송 송신장치와 가입자장치의 하향 전송 수신장치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위하여 별도의 저장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상기 마스크를 사용하는 도 6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들의 분류는 마스크801에 입력되는 0-511가지의 숫자의 이진표현으로 가능하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들의 분류도 상기 도 8의 마스크810 구조의 활용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 기지국과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값이 동일하다 할지라도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값으로 분류가 되어 있으므로, 인접 기지국간에 동일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가 생성될 수 없으며, 역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동일하게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도 마스크에 입력되는 0-511까지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숫자와 1에서 최대 511 사이의 값을 갖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숫자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들과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들의 분류에 있어서 기지국이나 가입자장치에서 별도의 기능 및 저장공간이 필요가 없다.
상기 도 7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드부호발생기의 마스크부 711-71N의 출력 비트는 각각 도 7의 703 쉬프트 레지스터에서 출력된 비트와 731-73N에서 배타적 논리합의 연산을 통하여 서로 다른 골드 부호를 생성한다. 상기 생성된 서로 다른 골드 부호는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데 사용된다.
도 9는 상기 도6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를 사용하는 기지국 동작의 일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901단계에서 가입자장치가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가 확인한다. 상기 가입자장치가 채널 할당을 요구하는 경우는 두가지의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 그 하나는 현재 전용채널을 할당받아 통신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경우가 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현재 채널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가 통신을 위한 전용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경우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장치의 채널 설정 요구가 최초로 통화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상기 901단계에서 가입자장치에서 채널의 할당 요구를 확인하면, 902단계에서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무선 자원 제어부(Radio Resource Controller: 이하 RRC라 칭한다.)는 현재 가입자의 수와 가입자에게 할당된 채널의 용량을 파악하여 일차적 스크램블링 코드와 같이 사용하는 채널직교부호의 부족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기지국은 902단계에서 채널할당을 요구한 가입자 장치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채널할당을 할 수 있는지, 아니면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할당할 수 있는 채널이 부족한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902단계에서 상기 RRC가 가입자 장치에게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할당할 채널직교부호가 있음을 확인하면, 903단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되는 채널의 마스크 및 할당된 채널직교부호의 정보를 가입자 장치에게 할당한다.
그러나 상기 902단계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같이 사용되는 채널 직교 부호의 부족하다고 파악되면, 상기 가입자장치의 새로운 채널 할당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RRC는 904단계에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할 것을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사용이 결정되면, 905단계에서 기지국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을 위해 마스크를 만든다. 이때 상기 생성되는 마스크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와, 새로 생성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가 이진수로 입력된다.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는 상기 904단계에서 결정되어 1에서 511 사이의 값을 갖고, 상기 마스크의 생성은 905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이때 생성되는 마스크는 도 8의 마스크 810과 같이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및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로 이루어지는 마스크가 될 수 있다. 도한 여기서 상기 m은 16(N=4bit)로 가정하고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새로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를 위한 마스크의 생성을 마친 후, 906단계에서 새로 생성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을 수신할 가입자장치에게 새로 생성되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정보 및 채널직교부호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이때 상기 가입자장치에 전송되는 스크램블링부호의 정보는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secondary ID)가 된다. 상기 가입자에게 전달되는 정보는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공통제어채널을 통해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하향 공통제어채널은 페이징채널(Paging channel: PCH) 또는 하향 억세스채널(foward Access channel: FACH)이 될 수 있다. 상기 가입자에게 전송되는 정보는 도 8의 마스크810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종래의 스크램블링 부호화기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한다는 정보와 512에서 262,133중에 새로 생성되는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로 이루어지는 정보를 전송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가입자장치에 알리기 위하여,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 전달에만 18비트가 전송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크램블링 부호화기를 사용하는 기지국과 가입자장치라면, 상기 기지국에서 가입자장치에게 전송할 정보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한다는 정보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정보 N비트를 전송하면 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81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secondary ID) 정보는 1에서 9비트 사이의 길이를 가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4비트로 가정하고 있다.
상기 907단계에서 도 8의 마스크810과 같은 이차적 스클램블링 부호의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기지국은 가입자장치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한다. 이때 상기 대기 중인 상태에서 상기 가입자장치로부터 ACK(Acknowledgement)를 수신하면, 908단계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905 단계에서 생성된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도 6의 구조를 가진 스크램블링 부호화기를 통해 지속적인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발생하는 동시에 새로이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기지국은 909단계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들과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로 혼화된 채널들을 각각 해당 가입자 장치들로 전송한다.
상기 도9의 경우와 달리 가입자가 기지국과의 통신 도중에 새로이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고,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같이 쓰이는 직교채널부호가 없을 경우, 기지국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되는 채널부호를 가입자장치에게 할당하게 되는데, 상기 이차적 스크렘블링 부호에 대한 정보는 상기 도 9의 경우와 달리 가입자 장치가 새로운 채널의 할당 요구 전에 기지국과 통신하고 있는 전용채널을 통해 전달된다. 즉, 상기 기지국은 현재 통신중인 가입자 장치에 채널을 할당할 때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정보를 전송하며, 이때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은 현재 통신중인 채널을 통해 전송한다.
도10은 상기 도9의 기지국 동작의 일예에 따른 가입자 장치의 동작의 일예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입자 장치는 1011단계에서 새로운 채널 할당을 요구하고 1002단계에서 기지국의 응답을 대기한다. 즉, 상기 가입자 장치가 새로운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면, 기지국은 가용한 채널들의 용량을 검사한 후 검사 결과에 따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가입자 장치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응답메세지가 수신되면, 상기 가입자장치는 1002단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응답메시지를 해석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는 기지국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을 가입자 장치에게 할당할 것인지 아니면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을 가입자 장치에게 할당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또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을 가입자 장치에게 할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상기 1002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이 할당된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가입자장치는 1003단계에서 상기 도 6와 같은 구조를 갖는 스크램블링 부호화기에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여 하향전송채널에 대한 역혼화 작업을 수행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하향전송채널을 수신한다.
그러나 상기 1002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이 할당된다는 정보가 있으면, 상기 가입자 장치는 1004단계에서 기지국에 ACK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후 상기 가입자장치는 1005단계에서 상기 1002단계에서 수신한 메시지에 전송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숫자를 파악한 후, 1006단계에서 상기 도 8의 마스크810 마스크와 같은 구조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 생성을 위한 마스크를 만든다.
그리고 1007단계에서 상기 가입자장치는 상기1006단계에서 만들어진 마스크와 상기 도 6과 같은 구조를 갖는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를 사용하여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되어 전송되는 공통제어채널의 역혼화를 위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도 발생시킨다. 이후 상기 가입자장치는 1008단계에서 생성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여 각각의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채널들애 대하여 역혼화작업 후 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환경에서 기지국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에 사용되는 채널직교부호를 다 사용했을 경우, 기지국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해야 하는데, 도 5의 종래 골드 부호 생성기라면 필요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개수만큼 상기 도 5의 종래 골드 부호 생성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도7의 활용예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골드 부호 생성기를 사용할 경우에는단 하나의 골드 부호 생성기에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마스크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마스크를 사용하여 동시에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에서도 필요한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만큼 마스크를 사용하여 생성해 낼 수 있다.
이동통신환경에서 가입자 장치가 종래의 도5의 골드부호 생성기를 사용할 경우, 기지국이 이차적 스크램블링 신호로 하향채널을 혼화하여 가입자 장치에게 전송하고 있다면, 가입자 장치는 기지국에서 기지국에 속한 가입자 장치에게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확산하여 전송하는 공통제어채널의 해석을 위해 일차적 스크램블링 신호도 역혼화(descrambling)할 수 있는 할 수 있도록 일차적 스크램블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혼화기(descrambler)와,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로 혼화된 공통제어채널이외의 다른 하향 전송 채널을 해석하기 위한 이차적 스크램블링 신호를 역혼화 할 수 있는 이차적 스크램블링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혼화기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그렇지만 가입자 장치에서 상기 도7의 골드 부호 생성기를 사용한다면 필요한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만큼 마스크만 사용하면 가기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의 동시 생성이 가능하다.
가입자 장치에 대한 다른 예로 가입자장치가 이동통신환경에서 핸드오프지역에 존재하고 있다면 가입자장치가 속한 기지국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역혼화 할 수 있는 부호이외에도 핸드오프될 목표 기지국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찾기 위한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이 필요하다. 상기 목표 기지국의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찾는 과정은 가입자장치가 속한 기지국과 통신을 지속적으로 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동시 생성은 가입자장치가 반드시 구비하고 있어야하는 기능이다. 상기 도5의 골드 부호 발생기로는 여러 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역혼화하기 위해서는 역혼화하기 위한 스크램블링 부호의 수만큼 도5의 구조를 가지는 골드 부호 발생기를 구비해야 하지만, 본발명의 활용예에 따른 상기 도7의 골드부호발생기를 사용한다면 가입자장치에서 구비해야 하는 역혼화기에서 역혼화가 필요한 스크램블링 부호들을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역혼화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통통신시스템에서 기지국 송신장치와 가입자 수신장치의 스크램블링 부호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부호발생기를 이용하여 동시에 복수개의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제시된 스크램블링 부호기를 사용하면, 기지국 송신장치나 가입자 수신장치에 별도의 저장공간이 필요 없이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할 수 있어 기지국 송신장치와 가입자 수신장치의 하드웨어적 복잡도를 줄일 수 있으며 , 스크램블링 부호의 생성을 위한 골드 부호의 생성에서 마스크를 사용함으로 해서 하나의 스크램블링 부호기에서 동시에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 부호들의 생성이 가능하다. 또한 채널 용량을 확장하기 위하여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기지국은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정보를 전송하고 가입자장치는 이를 수신하여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의 수를 감축하여 용이하게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이용하여 공통채널의 신호를 혼화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신호 송신방법에 있어서,
    가입자장치로부터 전용채널의 할당이 요구될 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상기 가입자장치에 전송하고 응답을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가입자장치로부터 응답메세지가 수신될 시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식별자와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 및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이용하여 공통채널의 신호를 혼화하고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이용하여 전용채널의 신호를 혼화하여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 통신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할당시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같이 사용되는 직교채널부호의 용량을 분석하며, 상기 직교채널부호가 부족할 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를 결정하며,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와 같이 사용되는 채널직교부호의 용량이 부족하지 않을 시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사용을 결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 통신방법.
  17. 삭제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가 4비트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 통신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이 일차적 스크램블링 부호를 사용하는 공통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 통신방법.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정보를 전송하는 채널이 현재 통신중인 전용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 통신방법.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과정이,
    제1시퀀스와 서로 다른 마스크들을 연산하여 적어도 두 개의 마스크된 제1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크된 제1시퀀스들을 각각 각각 상기 제2시퀀스와 연산하여 스크램블링 부호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 부호들을 실수 성분의 스크램블링 부호로 출력하는 동시에 각각 지연하여 허수 성분의 스크램블링 부호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 통신방법.
  22. 채널할당 필요시 기지국에 새로운 채널의 할당을 요구하는 과정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메세지 수신시 상기 기지국에 응답 메세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에 의해 하향 전송되는 채널의 신호를 역혼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장치의 채널 통신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 부호를 생성하는 과정이,
    제1시퀀스와 서로 다른 마스크들을 각각 연산하여 적어도 두 개의 마스크된 제1시퀀스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마스크된 제1시퀀스들을 각각 상기 제2시퀀스와 연산하여 스크램블링 부호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 부호들을 실수 성분의 스크램블링 부호로 출력하는 동시에 각각 지연하여 허수 성분의 스크램블링 부호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가입자장치의 채널 통신방법.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공통채널을 통해 기지국에 주어진 구별코드를 나타내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사용하여 대역확산된 데이타를 이동국에 송신하는 과정과,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로 사용할 수 있는 채널들이 부족할 때 상기 이동국이 사용해야할 채널 확장을 위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가 4비트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채널이 공통제어채널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송신하는 채널이 현재 통신중인 전용채널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32. 초기동기 설정시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지국에 주어진 구별코드를 나타내는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획득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확장을 위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일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와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 조합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를 생성하는 과정과,
    수신되는 데이타 신호를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부호로 역확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가입자장치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가 4비트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가입자장치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채널이 공통제어채널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가입자장치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적 스크램블링부호의 식별자를 수신하는 채널이 현재 통신중인 하향 전용채널인 이동통신시스템의 가입자장치의 채널부호 통신방법.
KR10-1999-0034014A 1999-08-17 1999-08-17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KR10042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14A KR100429545B1 (ko) 1999-08-17 1999-08-17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PCT/KR2000/000916 WO2001013655A1 (en) 1999-08-17 2000-08-17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001110373A RU2214695C2 (ru) 1999-08-17 2000-08-17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кремблирующего кода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US09/641,147 US7221695B1 (en) 1999-08-17 2000-08-17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PI0007011A BRPI0007011B1 (pt) 1999-08-17 2000-08-17 método para comunicar id de código de embaralhamento e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EP00952052.9A EP1121818B1 (en) 1999-08-17 2000-08-17 Communicating a scrambling code identif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05005497.2A EP1549087B1 (en) 1999-08-17 2000-08-17 Generating a primary and a secondary scrambling code
JP2001517816A JP3992981B2 (ja) 1999-08-17 2000-08-17 移動通信システムのスクランブリング符号の識別者通信方法
CN200510067232XA CN1674466B (zh) 1999-08-17 2000-08-17 在移动通信系统中传送加扰码识别符的方法
PL34732700A PL347327A1 (en) 1999-08-17 2000-08-17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L14248900A IL142489A0 (en) 1999-08-17 2000-08-17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B008016917A CN1206870C (zh) 1999-08-17 2000-08-17 在移动通信系统中传送加扰码识别符的方法
ID20010769A ID29477A (id) 1999-08-17 2000-08-17 Metode untuk mengkomunikasikan id kode pengacak dalam sistem komunikasi bergerak
AU64813/00A AU762032B2 (en) 1999-08-17 2000-08-17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002346845A CA2346845C (en) 1999-08-17 2000-08-17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L142489A IL142489A (en) 1999-08-17 2001-04-05 A method of communicating the identity of a mixer ciph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ZA200102906A ZA200102906B (en) 1999-08-17 2001-04-09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1/091,265 US7869454B2 (en) 1999-08-17 2005-03-28 Method for communicating scrambling code I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5096144A JP4744173B2 (ja) 1999-08-17 2005-03-29 移動通信システムのスクランブリング符号の識別子通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14A KR100429545B1 (ko) 1999-08-17 1999-08-17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182A KR20010018182A (ko) 2001-03-05
KR100429545B1 true KR100429545B1 (ko) 2004-04-28

Family

ID=19607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014A KR100429545B1 (ko) 1999-08-17 1999-08-17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7221695B1 (ko)
EP (2) EP1549087B1 (ko)
JP (2) JP3992981B2 (ko)
KR (1) KR100429545B1 (ko)
CN (2) CN1674466B (ko)
AU (1) AU762032B2 (ko)
BR (1) BRPI0007011B1 (ko)
CA (1) CA2346845C (ko)
ID (1) ID29477A (ko)
IL (2) IL142489A0 (ko)
PL (1) PL347327A1 (ko)
RU (1) RU2214695C2 (ko)
WO (1) WO2001013655A1 (ko)
ZA (1) ZA20010290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363B1 (ko) 2009-03-19 2013-1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망에서의 스크램블 코드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1350898B1 (ko) * 2009-03-12 2014-01-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크램블 코드 운영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4262B1 (ko) * 1999-08-17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다중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 방법
KR100429545B1 (ko) * 1999-08-17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US7895616B2 (en) * 2001-06-06 2011-02-22 Sony Corporation Reconstitution of program streams split across multiple packet identifiers
US8099099B2 (en) * 2003-02-19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A2562549C (en) * 2004-04-12 2013-03-1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inimizing co-channel interference
US7529291B2 (en) * 2004-04-13 2009-05-05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structures for rapid code acquisi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CN1770906B (zh) * 2004-11-05 2010-04-1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同频硬切换方法
CN1783762B (zh) * 2004-11-29 2010-04-07 世意法(北京)半导体研发有限责任公司 数据处理方法、无线通信发送装置和无线通信接收装置
CN100391305C (zh) * 2004-12-17 2008-05-28 华为技术有限公司 高速下行分组接入的信道资源分配方法
US8325826B2 (en) 2005-03-09 2012-12-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gnals facilitating antenna control
KR20060110426A (ko) * 2005-04-19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주파수 망을 이용하는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CN101047939B (zh) * 2006-04-10 2010-05-12 华为技术有限公司 高速下行分组接入中许可证码的控制方法及装置
US7720485B2 (en) * 2006-07-14 2010-05-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assign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225186B2 (en) 2006-07-14 2012-07-17 Qualcomm Incorporated Ecoding and decod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22971B2 (ja) * 2006-07-28 2011-11-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逆拡散処理装置
US20080080432A1 (en) * 2006-10-02 2008-04-03 Jianmin Lu Carrying Mobile Station Specific Information in the Reverse Access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4444259B2 (ja) * 2006-10-03 2010-03-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下りリンクスクランブル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WO2008054126A1 (en) * 2006-11-01 2008-05-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uts for creating common physical channel
KR100945859B1 (ko) * 2006-11-01 2010-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 링크에서 공통 채널의 생성 방법 및 장치
US8320360B2 (en) * 2006-11-06 2012-11-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cell search
US7965689B2 (en) * 2007-05-14 2011-06-21 Motorola Mobility, Inc. Reference sequence construction for fast cell search
KR100921769B1 (ko) * 2007-07-12 200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셀 탐색 방법
KR20090009693A (ko) * 2007-07-20 2009-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셀 탐색 방법
EP2053568A1 (fr) * 2007-09-28 2009-04-29 Gemplus Procédé de génération de masques dans un objet communiquant et objet communiquant correspondant
US8848913B2 (en) * 2007-10-04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Scrambling sequence gen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87181B2 (en) * 2008-01-14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randomization
CN101521941B (zh) * 2008-02-25 2011-11-23 华为技术有限公司 指配应答信道的方法、系统及装置
US8687568B2 (en) * 2008-03-14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for discrimination of semi persistent scheduling grants
US9544776B2 (en) * 2008-03-25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edicated reference signals
US8923249B2 (en) * 2008-03-26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sequence gen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765182B (zh) * 2008-12-23 2012-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重定向用户终端的方法
KR100991957B1 (ko) 2009-01-20 2010-11-04 주식회사 팬택 광대역 무선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US8848637B2 (en) * 2009-08-07 2014-09-30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higher-order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GB2479713A (en) * 2010-04-12 2011-10-26 Faiz Alam A transmitter needs to identify itself only if it transmits to a receiver that is intentionally common
JP2012070111A (ja) * 2010-09-22 2012-04-05 Fuji Xerox Co Ltd 通信システム
US8805271B2 (en) * 2011-09-21 2014-08-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repeater
US10405042B2 (en) * 2016-03-11 2019-09-03 DISH Technologies L.L.C. Television broadcast dynamic recording calibration
CN110831013B (zh) * 2018-08-07 2023-06-02 黎光洁 同频多系统共存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6781A2 (en) * 1989-03-09 1990-09-12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Method for scrambling/descrambling data by word-by-word processing
EP0445354A2 (en) * 1990-03-08 1991-09-11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scrambling/descrambling data by word-by-word processing
KR950026145A (ko) * 1994-02-23 1995-09-18 구자홍 셀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 스크램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도용방지방법
US5550809A (en) * 1992-04-10 1996-08-27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Multiple access coding using bent sequences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EP0729240A2 (en) * 1995-02-24 1996-08-28 Roke Manor Research Limite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ellular mobile radio systems
JPH08331120A (ja) * 1995-06-02 1996-12-13 Oki Electric Ind Co Ltd スクランブル符号生成回路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95540A (ja) 1988-05-24 1989-11-29 Canon Inc 符号分割多元接続システム
WO1992007434A1 (en) 1990-10-23 1992-04-30 Omnipoi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US5204874A (en) * 1991-08-28 1993-04-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orthogonal cod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353352A (en) 1992-04-10 1994-10-04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Multiple access coding for radio communications
JP3003839B2 (ja) * 1993-11-08 2000-01-31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Cdma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581440B2 (ja) * 1994-05-11 1997-02-12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クランブル通信方式
RU2090004C1 (ru) 1994-10-18 1997-09-10 Иван Леонидович Кирьяшкин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US5844894A (en) * 1996-02-29 1998-12-01 Ericsson Inc. Time-reuse partitioning system and methods for cellular radio telephone systems
JPH09322218A (ja) * 1996-03-29 1997-12-12 Casio Comput Co Ltd 送受信システムもしくはそれに用いられる装置と方法
JPH09298490A (ja) * 1996-04-30 1997-11-18 Yozan:Kk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H09327059A (ja) 1996-06-07 1997-12-16 N T T Ido Tsushinmo Kk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選択方法およびその基地局装置と移動局装置
JP2800797B2 (ja) * 1996-08-12 1998-09-21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式
JP2815007B2 (ja) * 1996-12-05 1998-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可変レートcdma拡散回路
US5923650A (en) * 1997-04-08 1999-07-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verse link rate scheduling
SE9801241L (sv) * 1997-04-09 1998-10-10 Daewoo Telecom Ltd PC-CDMA-multibärfrekvenssystem
CN1202050A (zh) * 1997-06-09 1998-12-16 株式会社鹰山 扩频通信系统
US6370134B1 (en) * 1997-07-17 2002-04-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DM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5956368A (en) * 1997-08-29 1999-09-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Downlink channel handling with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5930366A (en) * 1997-08-29 1999-07-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Synchronization to a base station and code acquisition with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SE9703161L (sv) * 1997-09-02 1999-03-03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för telekommunikation
JP3329705B2 (ja) 1997-09-02 2002-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n符号発生装置及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US6173005B1 (en) * 1997-09-04 2001-01-09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810030B1 (en) * 1997-10-17 2004-10-26 Lucent Technology Dynamic and smart spreading for wideband CDMA
US6094228A (en) * 1997-10-28 2000-07-25 Ciardullo; Daniel Andrew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n viewable portion of a video signal
KR100319789B1 (ko) 1997-11-19 2002-01-05 다치카와 게이지 복수 부호계열 동시 생성기 및 그것을 사용한 cdma 무선수신장치
JP3492177B2 (ja) * 1997-12-15 2004-0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ma方式移動体通信機
JP3856261B2 (ja) * 1998-03-18 2006-12-13 ソニー株式会社 同期検出装置
PT1187358E (pt) * 1998-03-26 2005-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Dispositivo de comunicacoes por alargamento do espectro e metodo de comunicacoes por alargamento do espectro
KR100293934B1 (ko) * 1998-04-13 2001-07-12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공용채널 메시지 전송장치 및방법
JP3028800B2 (ja) * 1998-05-01 2000-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セルラシステム及びcdmaセルラシステムにおける拡散符号検出方法
US6324159B1 (en) * 1998-05-06 2001-11-27 Sirius Communication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with increased capacity through self-noise reduction
US6542484B1 (en) * 1998-05-15 2003-04-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de allocation for radiocommunication systems
US6504830B1 (en) * 1998-06-15 2003-01-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fast base synchronization and sector identification
US6278699B1 (en) * 1998-06-22 2001-08-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nchronization techniques and systems for spread spectrum radiocommunication
JP2000022682A (ja) * 1998-06-26 2000-01-21 Sony Corp 受信装置、無線伝送装置及び無線伝送方法
FI981546A (fi) * 1998-07-03 2000-01-04 Nokia Networks Oy Tiedonsiirtomenetelmä ja matkapuhelinjärjestelmä
KR100326320B1 (ko) * 1998-07-13 2002-03-08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 패킷데이터 통신장치 및 방법
WO2000008871A2 (en) * 1998-08-05 2000-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iversity combining signals on common channel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526091B1 (en) * 1998-08-17 2003-0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Communication methods and apparatus based on orthogonal hadamard-based sequences having selected correlation properties
US6724813B1 (en) * 1998-10-14 2004-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mplicit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141374A (en) * 1998-10-14 2000-10-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ultiple matched-filter PN vectors in a CDMA demodulator
GB9823467D0 (en) * 1998-10-28 1998-12-2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6339646B1 (en) * 1998-11-03 2002-01-1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Slotted mode code usage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567666B2 (en) * 1998-12-02 2003-05-20 Infineon Technologies North America Corp. Forward link inter-generation soft handoff between 2G and 3G CDMA systems
JP2000201101A (ja) * 1999-01-07 2000-07-18 Fujitsu Ltd 拡散通信システムとその移動機
US6836469B1 (en) * 1999-01-15 2004-12-28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6567482B1 (en) * 1999-03-05 2003-05-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ynchroniza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EP1175734A1 (en) * 1999-05-10 2002-01-30 Sirius Communication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speed software reconfigurabl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US6385264B1 (en) * 1999-06-08 2002-05-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between base stations in a wideband CDMA system
ES2219356T3 (es) * 1999-07-07 2004-1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para asignacion de canales y procedimiento para canal comun de paquetes en un sistema de acceso multiple por distribucion de codigo (amrc) de banda ancha.
US7123579B1 (en) * 1999-08-04 2006-10-1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non-orthogonal physical channels in the communications system
KR100429545B1 (ko) * 1999-08-17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KR100434262B1 (ko) * 1999-08-17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순방향 다중 스크램블링 코드 발생 방법
US6455822B1 (en) * 2000-10-11 2002-09-24 Mega Dynamics Ltd. Heat sink for a PTC heating element and a PTC heating member made thereof
US7130303B2 (en) * 2001-03-15 2006-10-31 Lucent Technologies Inc. Ethernet packet encapsulation for metropolitan area ethernet networks
US7586972B2 (en) * 2002-11-18 2009-09-08 The Aerospace Corpor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enhanced capacity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6781A2 (en) * 1989-03-09 1990-09-12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Method for scrambling/descrambling data by word-by-word processing
EP0445354A2 (en) * 1990-03-08 1991-09-11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Apparatus for scrambling/descrambling data by word-by-word processing
US5550809A (en) * 1992-04-10 1996-08-27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Multiple access coding using bent sequences fo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KR950026145A (ko) * 1994-02-23 1995-09-18 구자홍 셀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고유번호 스크램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도용방지방법
EP0729240A2 (en) * 1995-02-24 1996-08-28 Roke Manor Research Limite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ellular mobile radio systems
JPH08331120A (ja) * 1995-06-02 1996-12-13 Oki Electric Ind Co Ltd スクランブル符号生成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898B1 (ko) * 2009-03-12 2014-01-13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크램블 코드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343363B1 (ko) 2009-03-19 2013-12-2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통신망에서의 스크램블 코드 교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47327A1 (en) 2002-03-25
IL142489A (en) 2006-06-11
US7869454B2 (en) 2011-01-11
CN1674466B (zh) 2011-12-07
ID29477A (id) 2001-08-30
US20050169349A1 (en) 2005-08-04
BRPI0007011B1 (pt) 2016-08-16
EP1121818B1 (en) 2018-10-03
CA2346845C (en) 2005-11-01
JP2005253104A (ja) 2005-09-15
AU6481300A (en) 2001-03-13
JP3992981B2 (ja) 2007-10-17
EP1121818A1 (en) 2001-08-08
EP1121818A4 (en) 2004-05-19
EP1549087B1 (en) 2019-06-12
BR0007011A (pt) 2001-07-10
KR20010018182A (ko) 2001-03-05
RU2214695C2 (ru) 2003-10-20
IL142489A0 (en) 2002-03-10
WO2001013655A1 (en) 2001-02-22
CN1206870C (zh) 2005-06-15
US7221695B1 (en) 2007-05-22
JP2003507944A (ja) 2003-02-25
CN1320340A (zh) 2001-10-31
ZA200102906B (en) 2001-10-10
EP1549087A2 (en) 2005-06-29
CA2346845A1 (en) 2001-02-22
EP1549087A3 (en) 2006-01-04
CN1674466A (zh) 2005-09-28
AU762032B2 (en) 2003-06-19
JP4744173B2 (ja)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954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부호의 식별자 통신방법
KR100594042B1 (ko)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멀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RU2185031C1 (ru) Способ генерации скремблирующего кода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усмэ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993002B2 (en) Code power measurement for dynamic channel allocation
KR19990024992A (ko) 부호 분할 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쿼시직교 부호생성 및 이를 이용한 대역확산장치 및 방법
KR100346192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공통채널확산부호지정장치및방법
KR100226308B1 (ko) 스펙트럼 확산 통신용 확산부호 생성장치
EP1626514B1 (en) Method for managing uplink scrambling codes in WCDMA
AU751483B2 (en) A method for assigning spreading codes
KR10036025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 할당 방법
KR20040099359A (ko) 원격 통신 시스템, 기지국, 모바일 단말기, 원격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법 및 프로세서 프로그램 제품
KR10033280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 할당 방법
KR100332803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할당 방법
EP1434455B1 (en) Code-power measurement for dynamic channel allocation
KR10033280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 할당 방법
KR10033281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물리적 채널 할당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