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509B1 -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509B1
KR100429509B1 KR1019970078103A KR19970078103A KR100429509B1 KR 100429509 B1 KR100429509 B1 KR 100429509B1 KR 1019970078103 A KR1019970078103 A KR 1019970078103A KR 19970078103 A KR19970078103 A KR 19970078103A KR 100429509 B1 KR100429509 B1 KR 100429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cellular
satellit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8020A (ko
Inventor
김승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7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50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63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multiple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telephony service to a mobile station, i.e. mobile satellite service
    • H04B7/18569Arrangements for system physical machines management, i.e. for construction 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maintenance
    • H04B7/18571Arrangements for system physical machines management, i.e. for construction 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maintenance for satellites; for fixed or mobil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셀룰라 통신부와 위성통신부를 가지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위성통신부를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제 1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하는 주통신부와 제 2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하는 제 1분리부를 가지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통신 모드 시 제 1분리부를 상기 주통신부로부터 분리하여 제 1통신 모드로 통화하고, 상기 제 2통신 모드에서 상기 주통신부에 상기 제 1분리부를 부착하여 제 2통신 모드로 통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이용.

Description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셀룰라 통신부와 위성통신부를 가지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성통신부를 착탈할 수 있는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통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를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130)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두 개의 무선주파수부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무선주파수부 중 하나는 셀룰라통신용 무선주파수부(110)이고, 다른 하나는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300)이다. 상기 셀룰라통신용 무선주파수부(110)는 셀룰라 기지국에서 송신된 제 1무선신호를 제 1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하고,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300)는 위성에서 송신한 제 2무선신호를 제 2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하고, 이를 중간주파수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통상적으로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통신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셀룰라용 무선주파수부(110)를 동작시켜 셀룰라망을 자동 혹은 수동으로 선택하여 통신하며,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300)를 선택하여 통신을 한다. 베이스밴드부(120)는 상기 셀룰라통신용 무선주파수부(110)와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300)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수를 입력받아 기저대역신호로 복조하여 출력한다. 전원부(200)는 배터리로 구성되며,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전반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듀얼모드 위성이동통신단말기는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기능을 구현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현재 셀룰라 영역은 세밀해지고 있는 추세여서 사용자는 위성통신 서비스보다는 셀룰라 서비스를 더 많이 받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통신부와 위성통신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반 셀룰라 영역에서 셀룰라 통신부를 사용할 경우에도 위성통신부를 같이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크기, 가격, 무게등이 커지게 되며,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 구성을 모듈별로, 즉 셀룰라 영역에서는 위성통신부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위성통신 영역에서는 위성통신부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이동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제 1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하는 주통신부와 제 2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하는 제 1분리부를 가지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통신 모드 시 제 1분리부를 상기 주통신부로부터 분리하여 제 1통신 모드로 통화하고, 상기 제 2통신 모드에서 상기 주통신부에 상기 제 1분리부를 부착하여 제 2통신 모드로 통화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는 주통신부(100)와 제 1분리부(300)와 제 2분리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주통신부(100)는 셀룰라 영역에서 셀룰라 통신을 하는 셀룰라 통신부이다. 그리고 상기 제 1분리부(300)는 상기 주통신부와 연결되고, 위성통신부로서 셀룰라 영역이 아닌 곳에서 위성을 통해 통신을 한다. 제 2분리부(200)는 상기 주통신부(100)와 제1분리부(300)에 착탈할 수 있고, 상기 주통신부(100)와 제1분리부(300)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통상적으로 주통신부(100)는 안테나(ANT1)와, 셀룰라 통신용 무선주파수부(110)와, 베이스밴드부(120)와,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제어부(130)는 제2분리부(2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안테나(ANT1)는 셀룰라 영역에서 통신시 제 1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1무선신호는 통상적으로 800MHz ~ 900MHz 대의 주파수를 사용한다. 셀룰라 무선주파수부(110)는 제2분리부(2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안테나(ANT1)를 통해 수신된 제 1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베이스밴드부(120)는 제2분리부(200)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셀룰용 무선주파수부(110)으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수를 기저대역신호를 복조한다.
제1분리부(300)는 위성통신용 안테나(ANT2)와,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310)로 이루어지고, 셀룰라 영역이 아닌 곳에서 주통신부(100)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위성통신용 안테나(ANT2)는 셀룰라 영역이 아닌 곳에서 위성으로부터 송신된 제 2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2무선신호는 통상적으로 1.5GHz대 L밴드의 주파수이다.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310)는 상기 위성통신용 안테나(ANT2)를 통해 수신된 제 2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주통신부(100)의 베이스밴드부(120)로 출력한다.
제2분리부(200)는 배터리인 전원부로 구성되며, 상기 주통신부(100)에 부착되거나 또는 주통신부(100)와 제1분리부(300)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량이 많은 셀룰라 모드시에는 위성통신부를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배터리의 수명을 늘릴 수 있으므로 활용상의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제 1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하는 주통신부와 제 2통신 모드에서 통신을 하는 제 1분리부를 가지는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통신 모드 시 제 1분리부를 상기 주통신부로부터 분리하여 제 1통신 모드로 통화하고, 상기 제 2통신 모드에서 상기 주통신부에 상기 제 1분리부를 부착하여 제 2통신 모드로 통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통신부가,
    상기 셀룰라 모드 시 통신을 하기 위한 셀룰라 통신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분리부가,
    상기 위성통신 모드 시 통신을 하기 위한 위성통신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4.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셀룰라 모드 시 셀룰라 기지국을 통해 통신을 하는 주통신부와,
    상기 셀룰라 모드 시 상기 주통신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위성통신 모드에서 상기 주통신부에 부착하여 위성을 통해 통신을 하는 제 1분리부와,
    상기 주통신부와 제1분리부에 착탈되고, 상기 주통신부와 제1분리부에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제 2분리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주통신부는,
    셀룰라 영역에서 통신시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셀룰라용 안테나와,
    상기 제2분리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셀룰라용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셀룰라용 무선주파수부와,
    제2분리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셀룰용 무선주파수부(110)으로부터 출력된 중간주파수로부터 기저대역신호를 검출하는 베이스밴드부와,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베이스밴드부를 제어하여 기저대역신호를 검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제1분리부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중간주파수로 변환하는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제2분리부는,
    배터리로서 상기 주통신부와,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용 무선주파수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KR1019970078103A 1997-12-30 1997-12-30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KR100429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03A KR100429509B1 (ko) 1997-12-30 1997-12-30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103A KR100429509B1 (ko) 1997-12-30 1997-12-30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20A KR19990058020A (ko) 1999-07-15
KR100429509B1 true KR100429509B1 (ko) 2004-07-16

Family

ID=3733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103A KR100429509B1 (ko) 1997-12-30 1997-12-30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737B1 (ko) * 1999-02-13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성 통신용 휴대 단말기
US6526034B1 (en) 1999-09-21 2003-02-25 Tantivy Communications, Inc. Dual mode subscriber unit for short range, high rate and long range, lower rate data communications
KR100608779B1 (ko) * 2004-05-07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위성 방송 수신용 안테나 장치 및 이를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162A (ja) * 1993-06-25 1995-03-03 Alcatel Mobil Commun Fr 2モード携帯式デジタル信号送受信装置
US5535432A (en) * 1994-09-14 1996-07-09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ual-mode satellite/cellular phone with a frequency synthesizer
KR970055712A (ko) * 1995-12-02 1997-07-31 권혁조 이중모드 단말기로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접속하는 방법
US5663957A (en) * 1995-07-12 1997-09-02 Ericsson Inc. Dual mode satellite/cellular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9162A (ja) * 1993-06-25 1995-03-03 Alcatel Mobil Commun Fr 2モード携帯式デジタル信号送受信装置
US5535432A (en) * 1994-09-14 1996-07-09 Ericsson Ge Mobile Communications Inc. Dual-mode satellite/cellular phone with a frequency synthesizer
US5663957A (en) * 1995-07-12 1997-09-02 Ericsson Inc. Dual mode satellite/cellular terminal
KR970055712A (ko) * 1995-12-02 1997-07-31 권혁조 이중모드 단말기로 통신서비스 시스템을 접속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020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189B1 (ko) 다중주파수통신장치
EP1181779B1 (en) Multi-frequency band, multi-mode radio receiver, and associated method, having shared circuit elements
US820895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6216017B1 (en) Separable cellular tele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483836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gps enabled antenna
US20010046867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with functions for detecting and informing interference
WO2010133117A1 (zh) 移动通信终端的无线收发装置
AU748389B2 (en) Power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base station
WO2005088847A1 (en) Multimode/multiband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WO2006112255A1 (ja) 無線通信端末装置および伝送方式切替方法
US20050136906A1 (en) Mobile telephone terminal employing diversity
KR100429509B1 (ko) 위성통신부 착탈형 듀얼모드 이동통신단말기
CN101304580B (zh) 多频段移动通信装置
KR20130055537A (ko)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JPH09181660A (ja) 無線端末装置
KR200363911Y1 (ko) 이중모드/삼중모드이동단말기의전원제어장치
KR100252918B1 (ko) 이중대역 이동통신 단말기의 절전 장치
US11916578B2 (en) Radio frequency circuit, terminal device, and signal transmission method
EP1240721B1 (en) Frequency generation for cdma terminal with slotted receive mode
KR100673257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원공급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CN118101381A (zh) 通讯装置
KR20020051044A (ko) 단말기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매칭 장치
JP2002185396A (ja) 無線端末装置
KR20020023299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KR20000002709A (ko)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절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