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052B1 - Cart for stacking freight - Google Patents

Cart for stacking fre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052B1
KR100426052B1 KR10-2002-0006241A KR20020006241A KR100426052B1 KR 100426052 B1 KR100426052 B1 KR 100426052B1 KR 20020006241 A KR20020006241 A KR 20020006241A KR 100426052 B1 KR100426052 B1 KR 100426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ifter
cylinder
rail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2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66078A (en
Inventor
박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빅
Priority to KR10-2002-000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052B1/en
Publication of KR20030066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0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05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3Automatically gui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와 좌,우로 움직이며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리프트 장치가 이송장치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팔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트럭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재함의 높이와 넓이를 감지하여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운반차는 트럭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의 운반차가 적절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사용되어 화물을 유동성 있게 운반하므로 화물칸의 크기와 높이에 구애받지 않고 능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truck, and in particular, a transport device that moves along the rail and a lift device that moves left and right and loads or unloads cargo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transport apparatus to transport cargo using a pallet. Cargo loading truck configured to detec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loading box regardless of the type of truck so that one load can be loaded or unloaded on a truck at the same time or on a pallet basis. It is about. Such a truck can be actively operated regardless of the size and height of the cargo box because the multiple trucks are properly connected or individually used to transport the cargo in accordance with the length of the truck.

Description

화물 적재용 운반차{CART FOR STACKING FREIGHT}Cargo for Cargo Loading {CART FOR STACKING FREIGHT}

본 발명은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와 좌,우로 움직이며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리프트 장치가 이송장치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팔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트럭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재함의 높이와 넓이를 감지하여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go loading truck, and in particular, a transport device that moves along the rail and a lift device that moves left and right and loads or unloads cargo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transport apparatus to transport cargo using a pallet. Cargo loading truck configured to detect the height and width of the loading box regardless of the type of truck so that one load can be loaded or unloaded on a truck at the same time or on a pallet basis. It is about.

일반적으로 화물 적재 시스템은 생산 공정을 거쳐 완성된 물품을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를 통해 밖으로 배출한 후 사람이 수작업으로 물품을 운반하여 화물 운반을 위하여 차량에 적재하고 있다.In general, the cargo loading system discharges the finished product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through a conveying device such as a conveyor after the production process is carried out by a person to manually transport the goods to load in the vehicle for cargo transportation.

즉, 완성된 물품이 컨베이어에 의해 생산라인 밖으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물품은 포장 단위로 포장되어 다시 컨베이어에 의해 적재 장소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화물은 다른 적재 장소 또는 물건을 다른 장소로 배송하기 위해 트럭 등의 화물차량에 의해 운송되며, 이러한 운송을 위해 컨베이어에 의해 운반된 화물을 작업자가 화물차량에 직접 날라 차량에 적재를 하고 있다.That is, the finished article is discharged out of the production line by the conveyor, and the discharged article is packaged in a packing unit and transferred back to the loading place by the conveyor. The cargo thus transported is transported by a cargo vehicle such as a truck to deliver another place of loading or goods to another place, and the cargo carried by the conveyor for such transportation is carried by a worker directly to the freight vehicle to be loaded on the vehicle. Doing.

근래에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자동화 장비의 개발이 이루어져 이송장치에 의해 배출된 화물을 로봇을 이용하여 적당한 위치에 적재하고, 그 후에 작업자들이수작업을 통해 화물을 화물차량에 적재하거나, 또는 화물차량이 멀리 있는 경우에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여 화물차량에 적재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velopment of automation equipment has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cargo discharged by the conveying device is loaded at a suitable position by a robot, and then the workers load the cargo into the freight vehicle by manual work, or the freight vehicle If it is far away, the forklift is used to transport the cargo and load it in the freight vehicle.

이와 같이 화물을 운송하기 위해 화물을 이송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여러 단계에 거쳐 다수의 작업자가 직접 화물을 운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작업자의 인력수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As such, in a system for transferring cargo to transport cargo, many workers have to carry the cargo directly through several steps, which exposes them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and the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workers. There is a problem that arises.

이와 같은 문제를 로봇이나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통해 일부 해소하고 있으나, 로봇과 같은 장비는 고가의 장비일 뿐 아니라 정밀 기계이기 때문에 실외에 노출된 상태로 사용되게 되면, 잦은 고장과 장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Some of these problems are solved through equipment such as robots and forklifts, but equipment such as robots are not only expensive equipment but also precision machines. There is a problem.

그리고 지게차와 같은 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필수적으로 화물 운반을 위해 팔레트를 사용하여야 하고, 차량의 크기에 따른 각각의 다른 크기의 팔레트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차량 크기에 맞는 팔레트를 따로 구비하여 따로따로 적재해 놓아야 하는 문제로 인해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When using equipment such as a forklift, pallets must be used for cargo transportation, and pallets of different siz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ehicle must be used. Due to the problem to be done, the work efficiency is greatly reduced.

또한 상기와 같은 지게차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화물차량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화물을 직접 운반하여 적재해야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게 된다.In addition, even if the forklift is used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load the cargo to the freight vehicle, the problem still remains that the operator must carry the cargo directly load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화물 적재용 운반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장치와 좌,우로 움직이며 화물을 상차 또는 하차시키는 리프트 장치가 이송장치에 장착되게 구성되어 팔레트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하는 트럭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도록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재함의 높이와 넓이를 감지하여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ight loading carriage, and in particular, the transfer device and the left and right moving and moving the cargo along the rail to load or unload cargo The lifting device is designed to be mounted on the conveying device so that the trucks carrying pallets can be loaded or unloaded one cargo at the same time or pallets, regardless of the type of truck. It is to provide a cargo loading truck which is configured to detect and load the cargo in an appropriate loading standar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차에 적재되는 화물이 얹혀진 팔레트의 폭을 센서로 감지하여 이송차량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화물차량의 정차위치에 따라 적재되는 상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ct the width of the pallet on which the cargo is loaded on the truck with a sensor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port vehicle, and also to adjust the loading state according to the stop position of the truck have.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프터를 상하로 유동되게 하는 실린더의 위치를 변경하여 운반차에 장착되는 리프트장치의 모멘트를 감소되게 하고, 리프터의 연결 수단을 변경하여 화물이 적재되는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Further,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cylinder for causing the lifter to flow up and down to reduce the moment of the lift device mounted on the vehicle, and to change the connection means of the lifter damage of the vehicle loaded with cargo Is in preventing.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 특징은 상기 시스템은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칸과 근접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 측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장착되는 운반차로 구성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이용되는 운반차에 있어서, 운반차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111)의 양 측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 홈(113)이 형성된 측면판(112)과, 상기 베이스(111)의 하부면 네 귀퉁이에 장착되는 가이드(116)를 갖는 바퀴(117)와, 상기 베이스 하부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나선이 형성된 구멍(119)을 갖는 슬라이더(118)와, 상기 가이드 홈(113)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부가 연결되는 "┏┓" 형상의 고정판(121) 및 상기 고정판(121)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집게(123)를 포함하는 리프터(120)와, 베이스의 전방 상단부면에 장착되어 리프터와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 및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장착되고, 하부면 네 귀퉁이에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스크류바와,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 또는 밸트에 의해 스크류바의 일 측 단부와 연결되는 모터와, 길이방향의 양 측 바퀴에 장착되는 구동모터와, 베이스 프레임의 중앙 하부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장착되는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의 로드의 맞은 편 베이스 프레임 측면에 장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이송장치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One fea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for transporting cargo to a position close to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freight vehicle and on the rails and the rail embedded in the groun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In a carriage used for a cargo loading system constituted by a mounted carriage, the carriage is erected vertically at both side ends of the plate-shaped base 111 and has a guide groove 113 of constant length along the inner surfac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 plate 112, the wheel 117 having a guide 116 mount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1, and a spiral hole 119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lider 118 having, and the fixed groove 121 of the "슬라이딩" shape that is mounted on the guide groove 113 and slides up and down and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and on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121 A lifter 120 comprising a pair of tongs 123 extending forwardly from the cylinder, and a cylinder mounted on the front upper end surface of the base and connected by the lifter and the hinge; And a base frame having wheels mounted at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a screw bar mount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base frame, and mounted at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to one end of the screw bar by gears or belts. A motor to be connected, a drive motor mounted to both of the longitudinal wheels, a cylinder mount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and a connector mounted to the side of the base frame opposite the rod of the cylinder; It is comprised by the conveying apparatus.

상기 리프터는 베이스에 길이방향으로 세워지며, 상부가 연결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일 측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집게와, 상기 고정판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거치대와,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와, 고정판의 상부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도그와, 거치대에 장착되어 도그의 다른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fter is er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base, the fixing plate is connected to the top, a pair of forceps extending forward from one side upper end of the fixing plate, a cradle formed in the rea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por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by a hinge, the dog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at the front end, and a cylinder mounted on the cradle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og. desirable.

그리고, 상기 리프터는 실린더의 로드 단부가 상기 리프터의 집게의 후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의 폭(또는 직경)이 가이드 홈의 폭 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며, 또한 측면판의 뒷면에 하중 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뒤쪽에 센서 지지대가 형성되어 리프터가 실린더의 로드 단부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며, 리프터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nd, the lifter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rod end of the cylinder is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tongs of the lifter,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guide protrusion is formed slightly less than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and also the back of the side plate The load sensor is mounted on, the sensor support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guide groove so that the lifter is rotated at an angle around the rod end of the cylinder, it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load of the cargo loaded on the lifter.

또한, 상기 리프트 장치는 화물차량과 리프트 장치의 거리를 조절을 위해 상기 스크류바에 연결되는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리프트 장치의 전면부에 센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ift device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ensor on the front of the lift devic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screw bar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eight vehicle and the lift device.

그리고, 또한 상기 구동모터는 이송장치가 구부러진 레일 상에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고, 안정되도록 기어박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rive motor may include a gearbox so that the movement is easy and stable when the transfer device moves on the bent rail.

상기 이송장치는 연결구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위치 감지센서갖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transfer device has a position sensor moun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가 설치된 적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loading system equipped with a cargo for trans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Figure 2 is a front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argo-carrying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운반차의 일 구성요소인 리프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부분 절개된 정단면도 이고,3A is a front sectional view partially cut away to show the structure of a lift device that is one component of the carriage shown in FIG. 2, FIG.

도 3b는 리프트 장치의 측면도이고,3b is a side view of the lift device,

도 3c는 리프트 장치의 평면도이고,3c is a plan view of the lift apparatus,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운반차의 일 구성요소인 이송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정면도이고,Figure 4a is a front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ransport device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carriage shown in Figure 2,

도 4b는 이송장치의 저면도이고,4b is a bottom view of the conveying apparatus,

도 5a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운반차의 하부면에 장착된 클램프의 사시도이고,FIG.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mp moun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age shown in FIGS. 4A and 4B;

도 5b는 클램프가 레일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amp is engaged with the rail,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에 다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a to 6f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go-carrying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0 ... 운반차 110 ... 리프트장치100 ... truck 110 ... lift

111 ... 베이스 112 ... 측면판111 ... Base 112 ... Side Plate

113 ... 가이드홈 114 ... 센서 지지대113 ... guide groove 114 ... sensor support

115 ... 거치대 116 ... 가이드115 ... Cradle 116 ... Guide

117 ... 바퀴 118 ... 슬라이더117 ... Wheels 118 ... Sliders

119 ... 구멍 120 ... 리프터119 ... hole 120 ... lifter

121 ... 고정판 122 ... 가이드 돌기121 ... fixing plate 122 ... guide protrusion

123 ... 집게 124 ... 힌지123 ... tongs 124 ... hinge

125a,125b ... 하중 감지센서,센서 130 ... 도그125a, 125b ... load sensor, sensor 130 ... dog

131 ... 힌지 132 ... 걸림턱131 ... hinge 132 ... jamming jaw

141,142,143 ... 실린더 150 ... 이송장치141,142,143 ... cylinder 150 ... feeder

151 ... 베이스 프레임 152 ... 레일151 ... Base frame 152 ... Rail

153 ... 스크류 바 154 ... 바퀴153 ... screw bar 154 ... wheels

155 ... 기어박스 156 ... 구동모터155 ... gearbox 156 ... drive motor

157 ... 연결구 158 ... 위치 감지센서157 ... End Connection 158 ... Position Sensor

161,162 ... 실린더 170 ... 모터161,162 ... Cylinder 170 ... Motor

180 ... 클램프 181 ... 베이스180 ... clamp 181 ... base

182 ... 구멍 183 ... 고정발182 ... holes 183 ...

200 ... 컨베이어 300 ... 레일200 ... conveyor 300 ... rail

400 ... 화물차량 500 ... 화물400 ... freight vehicles 500 ... freigh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가 설치된 화물 적재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re is schematically shown a cargo loading system equipped with a freight loading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시스템은 화물(500)을 화물차량(400)의 적재칸과 근접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200)와 상기 컨베이어(200)의 양 측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레일(300) 및 상기 레일(300)에 장착되는 운반차(100)로 구성된다.The system includes a conveyor (200) for transporting the cargo (500) to a position close to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cargo vehicle (400) and a rail (300) and the rail (300) embedded in the groun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200). It is composed of a transport vehicle 100 mounted on.

이와 같은 화물 적재 시스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화물차량(400)이 화물(500)의 상차 또는 하차를 위하여 상기 양 측으로 설치된 레일(300)의 사이에 정차하게 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such a cargo loading system schematically, the freight vehicle 400 is stopped between the rails 300 installed on both sides for loading or unloading the cargo 500.

그 후에 상기 컨베이어(200)에 의해 화물(500)이 이송되면, 상기 레일(300)에 장착된 운반차(100)가 상기 화물(500)을 들어 상기 레일(300)을 따라 이동되어 화물차량(400)의 적재칸에 화물(500)을 싣게 된다.Thereafter, when the cargo 500 is transferred by the conveyor 200, the transport vehicle 100 mounted on the rail 300 is moved along the rail 300 to lift the cargo 500 to move the cargo vehicle ( The cargo 500 is loa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400).

이와 같이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켄베이어(200)는 종래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이하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에 대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kenveyer 200 for carrying the cargo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configuration, and thu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port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차(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운반차(100)는 레일(300)을 따라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 이송장치(150)와 상기 이송장치(150)의 상부에 장착되어 전,후로 움직이며, 화물(500)을 상차 또는 하차하게 되는 리프트 장치(110)로 구성된다.2, there is shown a transport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 vehicle 100 is moved to the left and right along the rail 300, the transport device 15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port device 150 It is equipped with a lift device 110 that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loads or unloads the cargo 500.

상기 리프트 장치(11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111)의 양 측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측면판(112)이 장착되는데, 상기 측면판(112)은 그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 홈(113)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lift apparatus 110 is equipped with side plates 112 which are vertically mounted at both side ends of the plate-shaped base 111. Guide grooves 113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113)의 뒤쪽 위치에는 상기 가이드 홈(113)과 평행하게 센서 지지대(114)가 형성되어 이하 설명되는 리프터(120)에 장착되는 하중 감지센서(125a)를 지지하게 된다.In addition, a sensor support 114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guide groove 113 in parallel with the guide groove 113 to support the load sensor 125a mounted to the lifter 120 described below.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의 하부면에는 네 귀퉁이의 가이드(116)에 감싸여지는 형태로 바퀴(117)가 장착되는데, 상기 바퀴(117)는 이하 설명되는 이송장치(150)의 레일(152)의 상부면에 위치되어 미끄러지도록 작동되며, 상기 가이드(116)는 상기 바퀴(117)가 레일 상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이탈되지 않도록 레일(152)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다.In addition, a wheel 117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1 in a form surrounded by the four corner guides 116. The wheel 117 is a rail 152 of the transfer apparatus 150 described below. The guide 116 is positioned to slid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nd the guide 116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rail 152 so that the wheel 117 does not escape upward, downward, left, and right on the rail.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의 하부면 중앙부에는 슬라이더(118)가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118)는 이송장치(150) 레일(152)의 길이방향과 상응하는 방향으로 내부에 나선이 형성된 구멍(119)을 갖는다. 상기 슬라이더(118)는 이하 설명되는 이송장치(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장착되는 스크류바(153)에 연결되어 운반차(100)를 이송장치(150)의 레일(15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a slider 118 is mount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11, and the slider 118 has a hole having a spiral formed therein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52 of the transfer device 150 ( 119). The slider 118 is connected to the screw bar 153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veying device 150 to be described below to slide the transport vehicle 100 along the rail 152 of the conveying device 150 Make it possible.

상기 리프트 장치(110)의 측면판(112)에 형성된 가이드 홈(113)에는 실린더(141)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리프터(120)가 장착되는데, 상기 리프터(120)는 세로로 형성되어 상부가 연결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의 일 측 상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집게(123)를 가지며, 상기 고정판(121)의 후면부에는 거치대(115)가 형성된다.The guide groove 113 formed in the side plate 112 of the lift device 110 is mounted with a lifter 120 which slides up and down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41, and the lifter 120 is formed vertically. It has a fixing plate 121 is connected to the top and a pair of tongs 123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of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121, the cradle 115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21.

그리고, 상기 고정판(121)의 측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이드 홈(113)에 상응하는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 돌기(122)의 폭(또는 직경)은 상기 가이드 홈(113)의 폭 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어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프터(120)가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를 중심으로 약간의 각도(약 2 내지 5도)로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는 상기 리프터(120)의 집게(123)의 후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된다.In addition, a guide protrusion 122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 113 is formed in a side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21, and the width (or diameter) of the guide protrusion 122 is the guide groove 113. Slightly less than the width of the c) is configured such that the lifter 120 can be rotated at a slight angle (about 2 to 5 degrees) about the rod end of the cylinder 141 a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rod end of the cylinder 141 is connected to a position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forceps 123 of the lifter 120.

이와 같이 실린더(141)의 로드에 연결된 리프터(120)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정확하게 말하면 틴들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리프터(120)가 화물(500)을 하차하기 위하여 하강하는 경우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중 감지센서(125a)의 작동에 의해 멈추게 되지만, 실제 작동에 있어서는 동작에 있어 오차가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은 오차에 의해 리프터(120)의 하강에 의해 화물차량(500)의 적재칸이 눌려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us allowing the lifter 120 connected to the rod of the cylinder 141 to rotate (or, precisely, the tindle movement) at an angle is described below when the lifter 120 descends to unload the cargo 500. Likewise, the load is stopped by the operation of the sensor 125a, but in actual operation, an error occurs in the operation. This is to prevent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freight vehicle 500 is pressed and damaged by the lowering of the lifter 120 by such an error.

그리고,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를 리프터(120)의 집게(123) 후단부에 근접되게 연결하는 것은 집게(123) 위에 얹혀지는 화물(500)의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를 최소로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connecting the rod end of the cylinder 141 to the rear end of the tongs 123 of the lifter 120 to minimize the moment generated by the load of the cargo 500 placed on the tongs 123. For sake.

또한, 상기 집게(123)의 상부면에는 화물(500)이 적절한 위치로 적재되도록 밀어 넣기 위하여 도그(130)가 위치되는데, 상기 도그(130)는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의 일 측에 힌지(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도그(130)의 전방 단부에는 걸림턱(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그(130)의 다른 일 측 단부에는 각 실린더(142,143)의 로드가 연결되는데, 상기 실린더(142,143)는 고정판(121)의 후방 측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된 거치대(115)에 장착된다.In addition, the dog 13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ngs 123 to push the cargo 500 to be loaded to an appropriate position, the dog 130 is a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21 Is rotatably mounted by the hinge 131 on one side of, the engaging end 132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dog 130. In addition, rods of the respective cylinders 142 and 143 ar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og 130, and the cylinders 142 and 143 are mounted on the holder 115 connected to the rear side of the fixing plate 12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베이스(111)의 전방 상단부면에는 실린더(141)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는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의 중앙 하부면에 힌지(124)에 의해 연결된다.In addition, a cylinder 141 is mounted on the front upper end surface of the base 111, and the rod of the cylinder 141 is hinged to the center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late 121 is connected. Connected.

상기 설명된 하중 감지센서(125a)의 장착 위치는 변경될 수 있고, 단지 리프터(120)의 집게(123)에 얹혀지는 화물(500)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nting position of the above-described load sensor 125a may be changed, and is preferably mounted at a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weight of the cargo 500 placed on the forceps 123 of the lifter 120.

그리고, 리프트 장치(110)의 전면부에는 센서(125b)가 장착되어 화물(500)이 적재되는 화물차량(400)과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 즉, 리프트 장치(110)가 이하 설명되는 이송장치(150)의 레일(152)을 따라 적재칸을 이동될 때, 적재칸과 리프트 장치(110) 간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하 설명되는 스크류바(153)에 연결되는 모터(1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a sensor 125b is mount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lift device 11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reight vehicle 400 on which the cargo 500 is loaded and the lift device 110. That is, when the lift device 110 is moved along the rail 152 of the transfer device 150 described below, the screw bar described below so as to maintain a proper distance betwee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lift device 110 The driving of the motor 170 connected to the 153 is controlled.

리프트 장치(110)가 이송장치(150)의 레일(152) 상에서 이동되는 정도를 제어하지 않는다면, 화물차량(400)이 레일(300) 사이에 정차하는 경우 보통은 일정하게 정차되지 않고, 항상 약간 삐딱한 상태로 정차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운반차(100)와 화물차량(400)의 측면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지 않는다.If the lift device 110 does not control the degree of movement on the rail 152 of the feeder 150, when the freight vehicle 400 stops between the rails 300, it is usually not constantly stopped, but always slightly Since the vehicle is stopped in a stiff state, the side surfaces of the transport vehicle 100 and the freight vehicle 400 are not kept in parallel with each other.

따라서, 센서(125b)를 이용하여 화물차량(400)과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유는 화물(500)을 적재하는 경우 적재되는 화물(500)이 적절한 위치에 적재되지 않으므로 각 운반차(100)에 장착된 리프트 장치(110)가 상기 이송장치(150)의 레일(152) 상에서 움직이는 거리를 별도로 조절하여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the reason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reight vehicle 400 and the lift device 110 by using the sensor 125b is that when the cargo 500 is loaded, the loaded cargo 500 is not load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lift device 110 mounted on the vehicle 100 needs to separately adjust the moving distance on the rail 152 of the transfer device 150.

여기서 상기 센서(125b)는 도 3a에서는 베이스(111)의 전면부에 장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팔레트의 폭을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sensor 125b is shown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base 111 in FIG. 3A, the sensor 125b may be changed to be moun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capable of detecting the width of the pallet.

상기 이송장치(150)는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152)을 갖는 베이스 프레임(15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152)의 상부에 얹혀지는 운반차(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베이스 프레임(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스크류바(15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The transfer device 150 is composed of a base frame 151 having a rail 15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 screw bar 153 is rotatably moun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151 so that the carriage 100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152 may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스크류바(153)에는 상기 설명된 리프트 장치(110)의 하부에 장착된 슬라이더(118)가 연결되고, 스크류바(153)의 일 측 단부에는 베이스 프레임(151)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는 모터(170)가 기어 또는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모터(170)의 구동력에 의해 스크류바(153)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여 상기 운반차(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한다.The screw bar 153 is connected to the slider 118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bove-described lift device 110, the one end of the screw bar 153 is mounted to one lower side of the base frame 151 The motor 170 is connected by a gear or a belt to allow the screw bar 153 to rotate forward or revers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70 to move the carriage 10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리고, 이송장치(150)가 레일(300)에 얹혀져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네 귀퉁이에는 각각 바퀴(154)가 장착되고, 이들 바퀴(154) 중 길이방향의 양 측 바퀴(154)에는 기어박스(155)를 갖는 구동모터(156)가 연결된다.In addition, wheels 154 are mounted at four corners of the base frame 151 so that the transfer device 150 may be mounted on the rails 300, and both whee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heels 154 may be mounted. A drive motor 156 having a gearbox 155 is connected to 154.

상기 기어박스(155)와 구동모터(156)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기어박스(155)는 상기 이송장치(150)의 속도를 변속하기 위한 기어박스로 이송장치(150)가 구부러진 레일(300) 상에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고, 안정되도록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기어박스(155)와 구동모터(156)는 종래에 공지된 변속장치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ear box 155 and the drive motor 156 are moun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51, the gear box 155 is a gear box for shifting the speed of the transfer device 150 ( When the 150 moves on the bent rail 300, the movement is easy to operate to be stable. The gear box 155 and the drive motor 156 may be configured using a transmission known in the art.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중앙 하부면에는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실린더(161)가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161)의 로드와 반대 방향의 베이스 프레임(151) 측면에는 연결구(157)가 장착되며, 상기 연결구(157)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 감지센서(158)가 장착된다.In addition, a cylinder 161 is mounted on the center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51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or 157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frame 151 opposite to the rod of the cylinder 161. The position sensor 158 is moun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nector 157.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하부에 장착되는 실린더(161)의 로드는 다른 이송장치(150)의 베이스 프레임(151) 측면에 장착되는 연결구(157)에 연결되어 이송장치(150)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The rod of the cylinder 161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51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157 mounted on the side of the base frame 151 of the other transfer device 15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devices 150. Done.

상기 위치 감지센서(158)는 이와 같은 이송장치(150)간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작동되는데, 이와 같은 이송장치(150) 간의 거리 조절은 다른 이송장치(150)의 베이스 프레임(151)과의 간격을 감지하는 위치 감지센서(158)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미도시)에서 실린더(161)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송장치(15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이유는 기존에 사용되는 팔레트의 폭이 적재되는 화물의 양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리프트 장치(110)의집게(123)가 사용되는 팔레트의 폭에 따라 적절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osition sensor 158 is operated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fer device 150, such a distance control between the transfer device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frame 151 of the other transfer device 150 The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61 by the signal of the position sensor 158 for detecting the. The reason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nveying device 150 in this way is because the width of the pallet used in the prior art is divided into two large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cargo to be loaded tongs 123 of the lift device 110 is used This is to ensure proper insertion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pallet.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을 도 6a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그(130)가 세워진 상태에서 컨베이어(200)에 의해 화물(500)이 이송되어 운반차(100)가 위치된 곳으로 멈추게 되면, 상기 이송장치(150)는 팔레트의 폭을 감지하여 실린더(161)를 작동하므로 각 이송장치(150) 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6A to 6B,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B. When stopped to the place, the transfer device 150 operates the cylinder 161 by detecting the width of the pallet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each transfer device 150.

그리고, 상기 리프터 장치(110)가 앞으로 전진하여 집게(123)를 팔레트에 삽입하게 되는 데 이때, 이송장치(150)의 일 측(베이스 프레임(151)뒤쪽 하부)에 장착된 클램프(180)가 실린더(162)의 작동에 의해 레일(300)에 맞물려 리프터 장치(110)가 화물(500)을 들어올릴 때 화물(500)의 하중에 의해 운반차(100)가 일 측(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Then, the lifter device 110 moves forward to insert the tongs 123 into the pallet. At this time, the clamp 180 mount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device 150 (lower back of the base frame 151) is When the lifter device 110 lifts the cargo 500 by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62, the carriage 100 is inclined to one side (front) by the load of the cargo 500. To prevent them.

상기 리프터 장치(110)가 화물(500)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뒤로 후진하여 하중의 배분을 안정되게 하면, 상기 클램프(180)가 레일(300)에서 해제되고, 이송장치(150)는 화물차량(400)의 적재칸 위치로 움직인다.When the lifter device 110 moves backward in the lifted state of the cargo 500 to stabilize the distribution of the load, the clamp 180 is released from the rail 300, and the transfer device 150 is a cargo vehicle ( Move to the stowage position of 400).

상기 위치에서 다시 상기 클램프(180)가 레일(300)에 맞물리고, 상기 리프트 장치(110)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적재칸 위치에 멈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리프트 장치(110)가 이동하는 거리는 미리 설정된 값만큼 이동하게 된다.In this position, the clamp 180 is engaged with the rail 300 again, and the lift apparatus 110 moves forward and stops at the loading compartment position, where the distance at which the lift apparatus 110 moves is set in advance. Will move by.

상기 리프트 장치(110)가 하강하여 상기 화물(500)을 화물차량(400)의 적재칸에 올려놓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리프트 장치(110)의 고정판(121) 뒤쪽에 장착된 하중 감지센서(125a)에 의해 화물(500)의 하중을 감지하여 화물(500)의 하중이 "0"이 되는 순간 실린더(141)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The lift device 110 is lowered to place the cargo 500 in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freight vehicle 400, in which the load detection sensor 125a mounted to the rear of the fixed plate 121 of the lift device 110 By detecting the load of the cargo 500 by the load of the cargo 500 is "0" the moment the operation of the cylinder 141 is stopped.

하강을 멈춘 리프트 장치(110)는 미리 설정된 일정한 값 만큼의 거리를 후진하여 멈추고, 그 후에 실린더(142,143)를 작동시켜 도그(130)를 상기 집게(123)와 접하도록 회전시키고 나서, 다시 리프트 장치(110)를 전진시킨다. 이때 상기 리프트 장치(110)의 전면에 장착된 센서(125b)에 의해 화물차량(400)의 적재칸 위치와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거리만큼의 간격을 유지할 때 까지 상기 리프트 장치(110)를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화물(500)이 화물차량(400)의 적재칸을 벗어나지 않게 적재된다.The lift device 110 which has stopped descending stops by reversing the distance b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value, and then operates the cylinders 142 and 143 to rotate the dog 130 in contact with the tongs 123, and then lifts the device again. Advance 110. At this time, the sensor 125b mounted on the front of the lift device 110 detects the position of the load compartment of the freight vehicle 4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ft device 110 and maintains the distance as much as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evice 110 is advanced. By the above operation, the cargo 500 is loaded without leaving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freight vehicle 400.

이후에 상기 이송장치(150)는 리프트 장치(110)가 뒤로 후진하고, 상기 도그(130)는 세워지며, 클램프(180)가 레일(300)에서 해제된 후에 컨베이어(200)가 위치된 곳으로 되돌아오게 된다.Afterwards, the transfer device 150 is moved back to the lift device 110, the dog 130 is raised, and the conveyor 200 is located after the clamp 180 is released from the rail 300. Come back.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적재용 운반차는 하나의 단계로 별도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도중에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인력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의 팔레트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reight loading tru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worker in one ste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and also to reduce the cost according to the number of personnel It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palettes of various sizes.

그리고, 또한 화물차량에 1대분의 화물을 동시에 또는 팔레트 단위로 각각 상차 또는 하차할 수 있으며, 또한 리프터의 작동을 센서에 의해 제어하고, 또한 일정한 각도록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므로 트럭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절한 적재 규격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In addition, one cargo can be loaded or unloaded at the same time or on a pallet basis, and the lifter can be controlled by a sensor and can be rotated to a certain angle so that regardless of the type of truck. The advantage is that the cargo can be loaded to the appropriate loading standard.

리프터를 상하로 유동되게 하는 실린더의 위치를 화물이 적재되는 위치에 가깝게 연결하므로 리프트장치에 발생되는 모멘트를 감소되게 하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Since the position of the cylinder that allows the lifter to flow up and down is closely conn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cargo is loaded, the moment generated in the lift device is reduced, and thus the cargo can be loaded with less forc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will ha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6)

화물을 화물차량의 적재칸과 근접된 위치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의 양 측으로 지면에 매설되는 레일(300) 및 상기 레일에 장착되는 운반차로 구성되는 화물 적재 시스템에 이용되는 운반차에 있어서,In a truck for use in a cargo loading system consisting of a conveyor for transporting cargo to a position close to the loading compartment of the cargo vehicle, a rail 300 buried in the ground on both sides of the conveyor and a carriage mounted on the rail , 상기 운반차(500)는,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111)의 양 측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의 가이드 홈(113)이 형성된 측면판(112)과, 상기 베이스(111)의 하부면 네 귀퉁이에 장착되는 가이드(116)를 갖는 바퀴(117)와, 상기 베이스 하부면 중앙부에 장착되는 나선이 형성된 구멍(119)을 갖는 슬라이더(118)와, 상기 가이드 홈(113)에 장착됨과 동시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상부가 연결되는 "┏┓" 형상의 고정판(121) 및 상기 고정판(121)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집게(123)를 포함하는 리프터(120)와, 상기 베이스(111)의 전방 상단부면에 장착되어 상기 리프터(120)와 힌지(124)에 의해 연결되는 실린더(141)를 포함하는 리프트 장치(110); 및The carriage 500 includes a side plate 112 that is vertically erected at both side ends of the plate-shaped base 111 and has a guide groove 113 of a constant length along an inner surfac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ase ( A slider 118 having a wheel 117 having a guide 116 mounted at four corner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111, a spiral hole 119 mounted at a center portion of the base bottom surface, and the guide groove 113. And a lifter 120 including a pair of forceps 123 extending forward from one upper end of the fixed plate 121 and the upper and lower sliding plate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ixed plate 121. A lift device (110) mounted to the front upper end surface of the base (111) and including a cylinder (141) connected by the lifter (120) and the hinge (124); And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레일(152)이 장착되고, 하부면 네 귀퉁이에 바퀴(154)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15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스크류바(153)와, 베이스 프레임(151)의 일 측 하부에 장착되어 기어 또는 밸트에 의해 스크류바(153)의 일 측 단부와 연결되는 모터(170)와, 상기 길이방향의 양 측 바퀴(154)에 장착되는 구동모터(156)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51)의 중앙 하부면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장착되는 실린더(161)와, 상기 실린더(161)의 로드의 맞은 편 베이스 프레임(151) 측면에 장착되는 연결구(157)를 포함하는 이송장치(150);The rail 152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base frame 151 on which the wheels 154 are mount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screw bar 153 mounted on the base frame 15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motor 170 mounted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base frame 151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crew bar 153 by a gear or a belt, and mounted on both side wheels 15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riving motor 156, the cylinder 161 mount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ral lower surface of the base frame 151, and the side of the base frame 151 opposite the rod of the cylinder 161. Transfer device 150 comprising a connector 157 to be;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Cargo loading carriag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21)은 후면부에 거치대(115)가 형성되고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가이드 돌기(122)가 형성되며 상부에 힌지(1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 단부에 걸림턱(132)이 형성되는 도그(130)를 구비하되, 상기 거치대(115)는 상기 도그(130)의 다른 일 측 단부에 연결되는 실린더(142,143)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plate 121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of the holder 115,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122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rotatably mounted by the hinge 131 on the front and It is provided with a dog 130 is formed on the end engaging jaw 132, the cradle 115 is a cargo loading,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cylinder (142,143)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og 130 For truck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120)는 상기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가 상기 리프터(120)의 집게(123)의 후단부에 근접된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122)의 폭(또는 직경)이 가이드 홈(113)의 폭 보다 약간 적게 형성되며, 또한 측면판(112)의 뒷면에 하중 감지센서(125a)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홈(113)의 뒤쪽에 센서 지지대(114)가 형성되어 리프터(120)가 실린더(141)의 로드 단부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며, 리프터(120)에 적재되는 화물(500)의 하중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According to claim 1, The lifter 12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rod end of the cylinder 141 is close to the rear end of the forceps 123 of the lifter 120, the width of the guide protrusion 122 (Or diameter)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113, the load sensor 125a is mounted on the back of the side plate 112, the sensor support 114 on the back of the guide groove 113 ) Is formed so that the lifter 120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round the rod end of the cylinder 141, and the load-carrying car,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load of the cargo 500 loaded on the lifter 12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장치(110)는 화물차량(400)과 리프트 장치(110)의 거리를 조절을 위해 상기 스크류바(153)에 연결되는 모터(17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리프트 장치(110)의 전면부에 센서(125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The lift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lift apparatus 11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motor 170 connected to the screw bar 153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reight vehicle 400 and the lift apparatus 110. Cargo loading tru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125b) in the front portion of (1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56)는 이송장치(150)가 구부러진 레일(300) 상에서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이 용이하고, 안정되도록 기어박스(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e motor 156 is a cargo load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gear box 155 so that the movement is easy and stable when the transfer device 150 moves on the bent rail 300 Carri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150)는 연결구(157)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위치 감지센서(15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적재용 운반차.The freight transport vehicle of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device (150) further comprises a position sensor (158) moun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nector (157).
KR10-2002-0006241A 2002-02-04 2002-02-04 Cart for stacking freight KR1004260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241A KR100426052B1 (en) 2002-02-04 2002-02-04 Cart for stacking fre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241A KR100426052B1 (en) 2002-02-04 2002-02-04 Cart for stacking freigh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515U Division KR200277232Y1 (en) 2002-02-04 2002-02-04 Cart for stacking freigh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078A KR20030066078A (en) 2003-08-09
KR100426052B1 true KR100426052B1 (en) 2004-04-14

Family

ID=3222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241A KR100426052B1 (en) 2002-02-04 2002-02-04 Cart for stacking fre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0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889A (en) * 2018-11-30 2019-04-05 苏州兄友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GV trolley being readily transpor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078A (en) 200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20707B2 (en) Lift-spoke type cargo handling equipment
CN107826786B (en) Logistics equipment
US9249001B2 (en) Universal load-lifting means for the palletless handling of goods to be loaded onto pallets
US3986620A (en) Palletizing apparatus for piece goods
US3883013A (en) Apparatus of applying skids of grating structure and removing the same
CN110683269A (en) Warehousing system
CN112299047B (en) Automatic cargo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CN112009597A (en) Automobile luggage rack and antenna base mixed sequencing and automatic butt-joint on-line and off-line system
CN211643469U (en) Goods stacking and correcting system
CN110803436A (en) Horizontal opening and closing cargo stacking correction system
JPH10212030A (en) Pallet stacking device
CN211768039U (en) Warehousing system
CN115605419A (en)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KR200277232Y1 (en) Cart for stacking freight
KR100426052B1 (en) Cart for stacking freight
CN115535649A (en) Quick unloading device suitable for box cargo container equipped with tray
EP3885306A1 (en) Battery powered lift truck
KR20190141948A (en) Cargo Transfer System for Vehicles
CN211643472U (en) Left-right opening and closing cargo stacking correction system
KR100416383B1 (en) System for sending freight
JPH09315520A (en) Article conveying device for article storing rack
CN115605421A (en) Loading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trucks with transverse pallets
JP3612806B2 (en) Winding roll vertical stacking palletizer and winding roll vertical stacking method on pallet
JPH0312012B2 (en)
JP3002935B2 (en) Stowag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