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5112B1 - 무선호출수신기의신규메시지빠른읽기를위한메시지관리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호출수신기의신규메시지빠른읽기를위한메시지관리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5112B1
KR100415112B1 KR1019960065961A KR19960065961A KR100415112B1 KR 100415112 B1 KR100415112 B1 KR 100415112B1 KR 1019960065961 A KR1019960065961 A KR 1019960065961A KR 19960065961 A KR19960065961 A KR 19960065961A KR 100415112 B1 KR100415112 B1 KR 10041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ew message
memory area
read
mess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7467A (ko
Inventor
정우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5112B1/ko
Publication of KR1998004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7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51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H04W88/023Selective call receivers with message or information receiving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 호출 수신기에서 메시지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신규로 수신되는 메시지를 위한 특정 메모리영역을 할당하고, 신규 메시지가 수신되면 메시지의 종류에 무관하게 일단 상기 특정 메모리영역에 그 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그 메시지가 읽힌 다음에 그 메시지가 개인용 혹은 정보메시지중 어느 것인지 판단하여 해당 종류의 메시지 전용 메모리영역에 옮겨 저장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읽히지 않은 메시지에 대한 빠른 읽기를 하는 데 사용한다.

Description

무선호출수신기의 신규 메시지 빠른 읽기를 위한 메시지 관리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호출 수신기에 있어서 메시지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읽히지 않은 메시지(unread message)에 대한 빠른 읽기(view)를 수행하기 위해 특정 메모리영역에 메시지를 모으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양방향 무선 호출 수신기는 개인용(personal) 메시지 및 정보(information) 메시지를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한다. 현재 읽혀지지 않은 개인용 메시지와 정보 메세지가 있다고 가정할 때, 이들 메시지를 읽으려면 먼저 한 종류의 메시지를 읽은 후 메뉴(menu)를 완전히 빠져 나와서 다시 다른 종류의 메시지를 읽는 작업을 해야한다. 즉 개인용 메시지를 먼저 읽는다고 가정하면, 이 개인용 메시지들을 모두 읽은 이후에 다시 같은 형태의 작업을 반복하여 정보 메시지들을 읽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매우 번거로움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새로운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각각의 메시지 종류 즉 개인용 혹은 정보에 따라 해당 메모리영역에 나누어 저장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메시지의 종류마다 별도의 메모리영역을 할당하여 저장하게 되면 읽을 때도 각각 할당된 영역으로부터 읽어와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의 종류 구분없이 빠르게 읽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번거로움이 따를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빠르게 읽을 수 있도록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의 메시지 저장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관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호출수신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RF부 11은 무선호출정보를 수신하여 주파수변환, 복조 및 파형정형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상기 RF부 11의 출력은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 무선호출 정보가 된다. 상기 RF부 11의 출력은 디코더 12로 인가된다. 상기 디코더 12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무선호출수신기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즉 아이들모드 (idle mode)에서는 프리앰블(preamble)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동작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며, 배치모드(batch mode)에서는 워드싱크(word synchronization)데이터 및 설정된 프레임(frame)데이터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한 프레임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원래의 데이터 형태로 변환한다. 제어부 15는 상기 디코더 12로부터 출력되는 디코딩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부 15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경보 기능을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경보부 17은 상기 제어부 15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제어신호에 의해 호출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톤신호 또는 진동 신호 등과 같은 경보신호를 발생한다. 표시부 16은 상기 제어부 15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의해 호출측의 메세지 및 무선호출수신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메모리 15는 무선호출수신기에 할당된 고유 어드레스 정보 및 프레임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도 2a ∼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의 메시지 저장 상태도이다. 참조부호 Pm, Im 및 nm은 각각 개인용 메시지, 정보 메시지 및 새로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영역(이하 각각 제1∼3메모리 영역이라 함.)이다. 참조부호 A1∼A15은 해당 영역내에 각 메시지를 저장하는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1메모리영역 Pm에 표시되어 있는 참조부호 PM1, PM2 및 PM3는 개인용 메시지를 나타낸다. 상기 제2메모리영역 Im에 표시되어 있는 참조부호 IM1, IM2는 정보 메시지를 나타내는 참조부호이다. 상기 제3메모리영역 nm에 표시되어 있는 참조부호 NM1, NM2는 새로 수신된 메시지 및 이전에 수신되었으나 읽히지 않은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새로 수신된 메시지는 개인용 메시지이거나 정보 메시지이거나 상관없이 우선 제3메모리영역 nm에 저장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 메모리영역에 5개의 메시지를 저장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관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15에, 이미 읽은 데이터가 제1 및 제2 메모리영역 Pm, Nm에 각각 개인용 메시지 PM1 및 PM2, 정보 메시지 IM1이 저장되어 있고, 제3메모리영역 nm에 이전에 수신되었으나 읽히지 않은 데이터 NM1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가정하고 설명한다.
3a단계에서 제어부 15는 디코더 12로부터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새로운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3b단계에서 제3메모리영역 nm에 상기 새로운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3c단계에서 경보부 17을 구동시켜 사용자에게 메시지의 수신을 알린다. 이후 3d단계에서 리드키(read key)의 입력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리드키는 사용자가 메시지수신 사실을 인지한 다음, 그 메시지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 입력하게 되는 키이다. 상기 리드키의 입력이 감지된 경우 3e단계에서 상기 제3메모리영역 nm의 데이터를 역순으로 읽어 표시부 16에 표시한다. 그리고 이들 읽혀진 데이터를 각각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혹은 2메모리영역 Pm, Im에 옮겨 저장한다. 한편, 3a단계에서 신규메시지 수신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 3d단계로 진행하여 리드키의 입력을 체크하는 것은 새로운 메시지의 수신은 되지 않았더라도 임의의 시점에 사용자가 그동안 읽지 않았던 데이터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 대비한 것이다.
도 4는 상기 도 3중 3e단계에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3메모리영역 nm에 새로 수신된 데이터 NM2와 이전에 확인하지 않은 데이터 NM1이 각각 하나씩 저장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어부 13은 4a단계에서 제3메모리영역을 액세스하기 위한 어드레스의 발생을 제어한다. 이때 발생되는 어드레스는 가장 나중에 저장된 메시지를 가장 먼저 읽을 수 있도록 상기 가장 나중에 저장된 메시지가 저장된 곳을 지정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4b단계에서 상기 어드레스에 의거 제3메모리영역을 액세스하여 메시지를 읽은 다음, 이를 표시부 16을 통해 표시한다. 4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 13은 상기 메시지의 종류가 개인용인지 아니면 정보인지 판단한다. 도시된 (P)는 개인용, (I)는 정보를 표시하는 참조부호이다. 상기 판단결과 개인용이면 4e단계에서 도 2b에서 ②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1메모리영역 Pm에 옮겨 저장한다. 반면에 정보 메시지이면 4d단계로 진행하여 ①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2메모리영역 Im에 옮겨 저장한다. 도 2c는 상기 동작이 완료되었을 때 메모리 15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4f단계는 전술한 4a에서 발생한 어드레스가 첫번째 어드레스인지 체크하는 것인데, 이는 제3메모리영역내의 메시지를 모두 읽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ㄴ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수신된 메시지를 메시지의 종류에 관계없이 빠르게 읽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신규 메시지에 대한 빠른 읽기를 위해 메시지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리드키와,
    소정의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제1∼제3메모리영역으로 이루어진 메모리와,
    신규 메시지의 수신을 감지할 때마다 상기 제3메모리영역에 상기 신규 메시지를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리드키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3메모리영역으로부터 저장된 메시지들을 역순으로 읽어내어 상기 표시부에 전달하며, 상기 읽어낸 각 메시지가 개인용메시지인지 정보메시지인지에 따라 상기 제1 혹은 제2메모리영역에 옮겨 저장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메모리영역에 저장된 메시지들은 현재 수신되었거나 이전에 수신후 현재까지 읽히지 않은 메시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제3메모리영역을 구비한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신규 메시지에 대한 빠른 읽기를 위해 메시지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신규 메시지의 수신 여부를 체크하여 신규 메시지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메모리영역에 상기 신규 메시지를 저장하고 메시지의 수신을 경보하는 제1과정과,
    상기 경보후, 리드키의 입력 여부를 체크하여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제3 메모리영역에서 상기 신규 메시지를 읽어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신규 메시지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1 혹은 제2메모리영역에 옮겨 저장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65961A 1996-12-14 1996-12-14 무선호출수신기의신규메시지빠른읽기를위한메시지관리장치및방법 KR10041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61A KR100415112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호출수신기의신규메시지빠른읽기를위한메시지관리장치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5961A KR100415112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호출수신기의신규메시지빠른읽기를위한메시지관리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467A KR19980047467A (ko) 1998-09-15
KR100415112B1 true KR100415112B1 (ko) 2004-03-30

Family

ID=37423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5961A KR100415112B1 (ko) 1996-12-14 1996-12-14 무선호출수신기의신규메시지빠른읽기를위한메시지관리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5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2437A (ko) * 2001-07-11 2001-08-30 이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메시지 관리방법
KR100833872B1 (ko) * 2001-12-21 2008-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저장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962A (ko) * 1994-09-28 1996-04-20 배순훈 역광 보정 장치
KR960020053A (ko) * 1994-11-29 1996-06-17 구자홍 페이져의 메모리 확장방법 및 장치
KR970007610A (ko) * 1995-07-27 1997-02-21 배순훈 비디오 디스플레이 처리장치
KR0140496B1 (ko) * 1993-12-18 1998-07-01 김광호 무선호출 수신기의 메세지 확인방법
KR0143059B1 (ko) * 1992-08-28 1998-08-01 정용문 무선호출 수신기의 메세지 표시장치 및 방법
KR0174618B1 (ko) * 1995-02-23 1999-04-01 김광호 무선 호출기의 개선된 수신정보 확인회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059B1 (ko) * 1992-08-28 1998-08-01 정용문 무선호출 수신기의 메세지 표시장치 및 방법
KR0140496B1 (ko) * 1993-12-18 1998-07-01 김광호 무선호출 수신기의 메세지 확인방법
KR960012962A (ko) * 1994-09-28 1996-04-20 배순훈 역광 보정 장치
KR960020053A (ko) * 1994-11-29 1996-06-17 구자홍 페이져의 메모리 확장방법 및 장치
KR0174618B1 (ko) * 1995-02-23 1999-04-01 김광호 무선 호출기의 개선된 수신정보 확인회로 및 방법
KR970007610A (ko) * 1995-07-27 1997-02-21 배순훈 비디오 디스플레이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746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1431B1 (ko) 무선호출 시스템
CA2256927C (en) Portable radio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screen operating method,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293302B1 (ko) 선택호출수신기및그내부에메시지를저장하는방법
KR100279709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단축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940012897A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긴급 호 우선 표시방법
JP3012487B2 (ja) 伝言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6370519B1 (en) Method for storing and displaying telephone numbers of communication terminals
JP2771498B2 (ja) メッセージ表示機能付携帯無線機
KR100415112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신규메시지빠른읽기를위한메시지관리장치및방법
KR100312316B1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단문메시지서비스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806896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05153029A (ja) 情報管理装置
KR2005005130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화면분할을 통한 메시지 작성 방법
KR0143059B1 (ko) 무선호출 수신기의 메세지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63191B1 (ko) 무선호출기의 메모리 운용방법
JP2702436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US20020078156A1 (en) Display data transmitting method for mobile terminal
JPH09224270A (ja) 無線呼出用受信機
KR100263177B1 (ko) 무선호출기에서 읽지 않은 정보 메시지 보호방법
KR100263074B1 (ko) 무선호출기의 보호메시지 관리방법
KR100263075B1 (ko) 무선호출기의 메시지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JP2000078662A (ja) 移動通信端末
KR100605882B1 (ko) 착신음발생방법
JPH04225629A (ja) 選択呼出受信機
JPH07131840A (ja) 無線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