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563B1 - Universal serial bus device - Google Patents

Universal serial bus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563B1
KR100407563B1 KR10-2001-0034189A KR20010034189A KR100407563B1 KR 100407563 B1 KR100407563 B1 KR 100407563B1 KR 20010034189 A KR20010034189 A KR 20010034189A KR 100407563 B1 KR100407563 B1 KR 100407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mode
bus
universal serial
signal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4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95877A (en
Inventor
신광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3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563B1/en
Publication of KR2002009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5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56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22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 G06F11/2205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 G06F11/221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computer hardware by testing during standby operation or during idle time, e.g. start-up testing using arrangements specific to the hardware being tested to test buses, lines or interfaces, e.g. stuck-at or open line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2Coupling between buses using switching circuits, e.g. switching matrix, connection or expansion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는 테스트 모드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제어 라인들 (단자들 또는 핀들), 데이터 신호들을 입/출력할 수 있는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 (단자들 또는 핀들),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 회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스위치 회로들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데이터 트랜시버의 버스 리시버와 버스 트랜스미터의 개입없이 시리얼 버스와 USB 코어가 직접 연결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위치 회로들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상기 USB 코어의 개입없이 상기 버스 리시버의 특성이 상기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측정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위치 회로들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상기 USB 코어의 개입없이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의 특성이 측정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 트랜시버와 USB 코어가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테스트될 수 있다.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disclosed herein includes two control lines (terminals or pins) for providing test mode signals, test data lines (terminal or pins) capable of input / output data signals, and a plurality of It includes switch circuits of. The switch circuits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serial bus and the USB core to be directly connected in the test mode of operation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bus receiver and the bus transmitter of the data transceiver. The switch circuits can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receiver through the test data terminals without intervention of the USB cor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In addition, the switch circuits all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transmitter to be measured in the test mode of oper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the USB core. Therefore, according to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ceiver and the USB core can be tested individually or independently.

Description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UNIVERSAL SERIAL BUS DEVICE}Universal Serial Bus Devic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본 발명은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시리얼 버스와 펑션 디바이스(function device) 사이에 연결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device)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versal serial bus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device connected between a serial bus and a function device.

최근, 퍼스널 컴퓨터에 적합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이하, "USB"라 약칭함)이라 불리는 새로운 표준이 발표되었다. 상기 새로운 표준에 따라, 키보드, 마우스 그리고 게임 패드와 같은 다양한 주변 장치들의 연결 장치들이 동일한 형태로 만들어졌다. 상기 주변 장치들은 퍼스널 컴퓨터의 USB 포트들에 연결 장치들을 연결함으로써 사용된다. USB 표준에 적합한 주변 장치들은 또한 시장에 분포되어 왔다.Recently, a new standard called Universal Serial Bus (hereinafter abbreviated as "USB") suitable for personal computers has been released. According to the new standard, connecting devices of various peripheral devices such as keyboards, mice, and game pads are made in the same form. The peripheral devices are us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devices to the USB ports of the personal computer. Peripherals that conform to the USB standard have also been distributed on the market.

도 1에는 USB 인터페이스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시리얼 버스(200)와 펑션 디바이스(400)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데이터 트랜시버(data transceiver)(120)와 USB 코어(140)를 포함한다. 상기 USB 코어(140)에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압 조정기, 시리얼 인터페이스 엔진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기가 제공될 것이다. 전압 조정기는, 예를 들면, 0V-5V의 제 1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0V-3.3V의 제 2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트랜시버(12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리시버(bus receiver)(122)와 버스 트랜스미터(bus transmitter)(124)를 갖는다. 상기 데이터 트랜시버(120)의 버스 리시버(122)는 제 1 및 제 2 전원 전압들을 이용하여 버스 지향 포맷(bus-specific format)으로 변조된 데이터 신호들을 인터페이스 지향 포맷의 데이터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데이터 트랜시버(120)의 버스 트랜스미터(124)는 그 반대로 변환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엔진은 상기 인터페이스지향 신호들과 디바이스 지향 포맷의 데이터 신호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디바이스 지향 포맷의 데이터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펑션 디바이스(400)를 제어한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SB interface device.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is connected between the serial bus 200 and the function device 400.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includes a data transceiver 120 and a USB core 140. The USB core 140 will be provided with a voltage regulator, a serial interface engine and a device controlle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voltage regulator supplies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of 0V-3.3V, for example, using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of 0V-5V. The data transceiver 120, as shown in FIG. 2, has a bus receiver 122 and a bus transmitter 124. The bus receiver 122 of the data transceiver 120 converts data signals modulated in a bus-specific format to data signals in an interface-oriented format using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voltages. The bus transmitter 124 of the data transceiver 120 converts in reverse. The interface engine implements an interface between the interface oriented signals and data signals in a device oriented format. The device controller controls the function device 400 in response to data signals in the device oriented format.

USB 장치의 테스트는 크게 데이터 트랜시버의 특성 테스트와 USB 펑션 테스트로 나누어진다. 도 1 및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데이터 트랜시버(120)와 USB 코어(140)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테스트시 발생되는 문제가 데이터 트랜시버(120)에 관련된 특성 문제인지 또는 펑션 에러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힘들다. 결론적으로, 데이터 트랜시버(120)의 특성을 테스트하는 경우 USB 코어(140)를 고려해야 하고 USB 코어의 특성을 테스트하는 경우 데이터 트랜시버(120)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USB 장치를 테스트하는 것이 상당히 번거롭다.Testing USB devices is largely divided into data transceiver characteristic tests and USB function tests. 1 and 2, the data transceiver 120 and the USB core 140 are closely connected.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whether the problem that occurs during the test is a characteristic problem related to the data transceiver 120 or a function error. In conclusion, testing USB devices is considerably cumbersome because the USB core 140 should be considered when t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ransceiver 120 and the data transceiver 120 should be considered when te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B core.

본 발명의 목적은 테스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that can improve test reliabilit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트랜시버 (transceiver)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data transceiver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 그리고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4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iversal serial bus interface device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USB 인터페이스 장치 122 : 버스 리시버100: USB interface device 122: bus receiver

124 : 버스 트랜스미터 140 : USB 코어124: bus transmitter 140: USB core

200 : 시리얼 버스 300, 320, 340, 360 : 스위치 회로200: serial bus 300, 320, 340, 360: switch circuit

380 : 제어 로직 400 : 펑션 디바이스380: control logic 400: function device

(구성)(Configuration)

상술한 제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시리얼 버스와 펑션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직렬 인터페이스 회로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과; 상기 시리얼 버스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DP, DM)에 각각 연결된 버스 리시버 및 버스 트랜스미터와;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테스트 동작 모드를 알리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 (TestMode1, TestMode2)가 각각 인가되는 제 1 및 제 2 제어 단자들과; 상기 버스 리시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받아들이거나 상기 버스 트랜지스미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Universial Serial Bus) 코어와;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과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리시버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어 로직과;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전달하는 제 1 스위치 회로 (SW1)와;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로 전달하는 제 2 스위치 회로 (SW2)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제 3 스위치 회로 (SW3)와; 그리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직접 전달하는 제 4 스위치 회로 (SW4)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erial interface circuit connected between a serial bus and a function device comprises: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A bus receiver and a bus transmitter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data lines DP and DM of the serial bus, respectively; First and second control terminals to which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indicating the test operation mode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re applied; A universal serial bus that accepts data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through the bus receiver or outputs data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through the bus transistor; A core; Control logic to selectively activate the bus receiver or the bus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nd a select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data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or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re transferred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first switch circuit SW1; A second signal transmitt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to the bus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second test mode signal or data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to the bus transmitter; A switch circuit SW2; A third switch circuit (SW3) for transferr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And a fourth switch for directly transferr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the selection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a circuit SW4.

(작용)(Action)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USB 코어와 데이터 트랜시버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테스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With such a device, not only is it easy to perform the test by electrically separating the USB core and the data transceiver in the test operation mode, but also the tes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참도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신규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는 테스트 모드 신호들을 제공하기 위한 2개의 제어 라인들 (단자들 또는 핀들), 데이터 신호들을 입/출력할 수 있는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 (단자들 또는 핀들), 그리고 다수의 스위치 회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스위치 회로들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데이터 트랜시버의 버스 리시버와 버스 트랜스미터의 개입없이 시리얼 버스와 USB 코어가 직접 연결 가능하게 한다. 상기 스위치 회로들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상기 USB 코어의 개입없이 상기 버스 리시버의 특성이 상기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을 통해 측정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스위치 회로들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상기 USB 코어의 개입없이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의 특성이 측정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에 따르면, 데이터 트랜시버와 USB 코어가 개별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테스트될 수 있다. 이는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novel universal serial bu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wo control lines (terminals or pins) for providing test mode signals, test data lines (terminals or pins) capable of inputting / outputting data signals, and It includes a plurality of switch circuits. The switch circuits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 the serial bus and the USB core to be directly connected in the test mode of operation without the involvement of the bus receiver and the bus transmitter of the data transceiver. The switch circuits can meas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receiver through the test data terminals without intervention of the USB core in a test mode of operation. In addition, the switch circuits all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transmitter to be measured in the test mode of operation without intervention of the USB core. Therefore, according to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transceiver and the USB core can be tested individually or independently.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lat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도 3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기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shown in FIG.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에 따른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는, 도 3을 참조하면, 2개의 제어 단자들(403, 404)과 2개의 데이터 라인들(단자들 또는 핀들)(405, 406)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단자들(403, 404)에는 USB 장치의 테스트 동작 모드를 알리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TestMode1, TestMode2)이 각각 인가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405, 406)은 데이터 신호들이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외부 장치(예를 들면, 테스트 장비 또는 다른 디바이스)로 또는 외부 장치에서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로 전송 가능하게 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405, 406)은 다른 단자들 또는 핀들과 공유 가능하다.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TestMode1, TestMode2)은 배타적으로 활성화된다. 예를 들면,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될 때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는 비활성화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비활성화될 때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는 활성화된다.In the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wo control terminals 403 and 404 and two data lines (terminals or pins) 405 and 406. This is provided.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indicating the test operation mode of the USB device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control terminals 403 and 404. The data lines 405 and 406 enable data signals to be transmitted from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to an external device (eg, test equipment or other device) or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The data lines 405 and 406 are shareable with other terminals or pins. In the test mode of operation,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are exclusively activat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inactivate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deactivated,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ctivated.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USB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버스 리시버(122), 버스 트랜스미터(124), USB 코어(140), 제 1 내지 제 4 스위치 회로들(300, 320, 340, 360), 그리고 제어 로직(380)을 포함한다. 상기 USB 코어(140)에는,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압 조정기, 시리얼 인터페이스 엔진 그리고 디바이스 제어기가 제공될 것이다. 전압 조정기는, 예를 들면, 0V-5V의 제 1 전원 전압을 이용하여 0V-3.3V의 제 2 전원 전압을 공급한다. 상기 버스 리시버(122)는 제 1 및 제 2 전원 전압들을 이용하여 버스 지향 포맷으로 변조된 데이터 신호들을 인터페이스 지향 포맷의 데이터 신호들로 변환하고,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124)는 그 반대로 변환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엔진은 상기 인터페이스 지향 신호들과 디바이스 지향 포맷의 데이터 신호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실행한다. 상기 디바이스 제어기는 상기 디바이스 지향 포맷의 데이터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펑션 디바이스(400)를 제어한다.Referring to FIG. 3, the USB interface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s receiver 122, a bus transmitter 124, a USB core 140, and first to fourth switch circuits 300, 320, 340, and 360. And control logic 380. The USB core 140 will be provided with a voltage regulator, a serial interface engine and a device controller,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voltage regulator supplies a second power supply voltage of 0V-3.3V, for example, using a first power supply voltage of 0V-5V. The bus receiver 122 converts data signals modulated in a bus oriented format using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voltages into data signals in an interface oriented format, and the bus transmitter 124 converts vice versa. The interface engine implements an interface between the interface oriented signals and data signals in a device oriented format. The device controller controls the function device 400 in response to data signals in the device oriented format.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300)는 데이터 라인들(DP, DM), 버스 리시버(122) 그리고 USB 코어(140)에 연결된다. 제 1 스위치 회로(300)는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 라인들(DP, DM) 상의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USB 코어(140)로 직접 전달한다. 제 1 스위치 회로(300)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또는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비활성화될 때 버스 리시버(12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USB 코어(140)로 전달한다.3,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s DP and DM, the bus receiver 122 and the USB core 140.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directly transmits data signals on the data lines DP and DM to the USB core 140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n the test operation mode.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transmits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122 to the USB core 140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or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inactivated.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버스 트랜스미터(124), USB 코어(140) 그리고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DP_T, DM_T)에 연결된다.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 VM_OUT)이 버스 트랜스미터(124)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게다가,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외부로부터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405, 406)에 데이터 신호들이 인가되는 경우,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된 외부 데이터 신호들을 버스 트랜스미터(124)로 전달한다.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 VM_OUT)을 버스 트랜시버(124)로 전달한다.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is connected to the bus transmitter 124, the USB core 140, and the test data lines DP_T and DM_T.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transmits th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to the bus transmitter 124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n the test operation mode. Block it. In addition, when data signals are applied to the test data terminals 405 and 406 from the outside in the test operation mode,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receives the input external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Deliver data signals to bus transmitter 124.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transmits th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to the bus transceiver 124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상기 제 3 스위치 회로(340)는 버스 리시버(122)와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405, 406)에 연결된다. 제 3 스위치 회로(340)는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버스 리시버(12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405, 406)로 전달한다. 상기 제 4 스위치 회로(360)는 USB 코어(140)와 데이터 라인들(DP, DM)에 연결된다. 제 4 스위치 회로(360)는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 및 선택 신호(OE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 VM_OUT)을 데이터 라인들(DP, DM)로 직접 전달한다. 선택 신호(OEN)는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된다.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TestMode1, TestMode2)이 모두 비활성화되는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제 3 및 제 4 스위치 회로들(340, 360)은 비활성화된다.The third switch circuit 340 is connected to the bus receiver 122 and the test data terminals 405 and 406. The third switch circuit 340 transfers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122 to the test data terminals 405 and 406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n the test operation mode. The fourth switch circuit 360 is connected to the USB core 140 and the data lines DP and DM. The fourth switch circuit 360 receives th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and the selection signal OEN in the test operation mode. Directly to the media (DP, DM). The select signal OEN is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are both inactivated, the third and fourth switch circuits 340 and 360 are inactivated.

상기 제어 로직(380)은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TestMode1, TestMode2)과 선택 신호(OEN)에 응답하여 버스 리시버(122) 또는 버스 트랜스미터(12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될 때, 제어 로직(380)은 선택 신호(OEN)의 로직 상태에 관계없이 리시버 선택 신호(SEL)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트랜스미터 선택 신호(SEL#)는 비활성화된다.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2 테스트 모드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될 때, 제어 로직(380)은 선택 신호(OEN)의 로직 상태에 관계없이 리시버 선택 신호(SEL)를 비활성화시킨다. 이때, 트랜스미터 선택 신호(SEL#)는 활성화된다.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TestMode1, TestMode2)이 비활성화되는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제어 로직(380)은 선택 신호(OEN)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트랜스미터 선택 신호(SEL#)를 활성화시키고 리시버 선택 신호(SEL)를 비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제어 로직(380)은 선택 신호(OEN)의 비활성화에 응답하여 트랜스미터 선택 신호(SEL#)를 비활성화시키고 리시버 선택 신호(SEL)를 활성화시킨다.The control logic 380 selectively activates the bus receiver 122 or the bus transmitter 124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and the selection signal OEN.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in the test operation mode, the control logic 380 activates the receiver selection signal SEL regardless of the logic state of the selection signal OEN. At this time, the transmitter selection signal SEL # is deactivate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in the test operation mode, the control logic 380 deactivates the receiver selection signal SEL regardless of the logic state of the selection signal OEN. At this time, the transmitter selection signal SEL # is activated.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are deactivated, the control logic 380 activates the transmitter selection signal SEL # and selects the receiver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selection signal OEN. Deactivate signal SEL.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control logic 380 deactivates the transmitter selection signal SEL # and activates the receiver selection signal SEL in response to the deactivation of the selection signal OE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스위치 회로들 및 제어 로직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witch circuits and the control logic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스위치 회로(300)는 2개의 멀티플렉서들(MUX1, MUX2)로 구성되며, 각 멀티플렉서는 2개의 입력 단자들(D0, D1), 선택 단자(S) 그리고 출력 단자(Y)를 갖는다. 멀티플렉서(MUX1)의 D0 입력 단자에는 버스 리시버(122)의 출력 데이터 신호(VP_IN_0)가 인가되고, D1 입력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DP) 상의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멀티플렉서(MUX1)의 선택 단자(S)에는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인가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로우 레벨일 때 D0 입력 단자가 선택되고,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하이 레벨일 때 D1 입력 단자가 선택된다. 그렇게 선택된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 단자(Y)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멀티플렉서(MUX2)의 D0 입력 단자에는 버스 리시버(122)의 다른 출력 데이터 신호(VM_IN_0)가 인가되고, D1 입력 단자에는 데이터 라인(DM) 상의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멀티플렉서(MUX2)의 선택 단자(S)에는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인가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로우 레벨일 때 D0 입력 단자가 선택되고,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하이 레벨일 때 D1 입력 단자가 선택된다. 그렇게 선택된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 단자(Y)를 통해 출력된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includes two multiplexers MUX1 and MUX2, and each multiplexer includes two input terminals D0 and D1, a selection terminal S, and an output terminal ( Y) The output data signal VP_IN_0 of the bus receiver 122 is applied to the D0 in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MUX1, and the data signal on the data line DP is applied to the D1 input terminal.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pplied to the selection terminal S of the multiplexer MUX1. The D0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low level, and the D1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high level. The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thus selected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Y. The other output data signal VM_IN_0 of the bus receiver 122 is applied to the D0 in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MUX2, and the data signal on the data line DM is applied to the D1 input terminal.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pplied to the selection terminal S of the multiplexer MUX2. The D0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low level, and the D1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high level. The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thus selected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Y.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로우 레벨일 때, 제 1 스위치 회로(300)는 버스 리시버(12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IN_0, VM_IN_0)을 USB 코어(300)로 전달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하이 레벨일 때, 제 1 스위치 회로(300)는 버스 리시버(122)를 경유하지 않고 데이터 라인들(DP, DM) 상의 데이터 신호들을 USB 코어(300)로 직접 전달한다. 즉,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제 1 스위치 회로(300)는 버스 리시버(122)를 상기 USB 코어(140)와 전기적으로 분리한다.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t the low level,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transmits the data signals VP_IN_0 and VM_IN_0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122 to the USB core 300.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t a high level,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directly transfers data signals on the data lines DP and DM to the USB core 3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bus receiver 122. To pass. That is, in the test operation mode,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electrically disconnects the bus receiver 122 from the USB core 140.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면,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2개의 멀티플렉서들(MUX3, MUX4)로 구성되며, 각 멀티플렉서는 2개의 입력 단자들(D0, D1), 선택 단자(S) 그리고 출력 단자(Y)를 갖는다. 멀티플렉서(MUX3)의 D0 입력 단자에는 USB 코어(140)의 출력 데이터 신호(VP_OUT)가 인가되고, D1 입력 단자에는 테스트 데이터 라인(DP_T) 상의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멀티플렉서(MUX3)의 선택 단자(S)에는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인가된다.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로우 레벨일 때 D0 입력 단자가 선택되고,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하이 레벨일 때 D1 입력 단자가 선택된다. 그렇게 선택된 입력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 단자(Y)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멀티플렉서(MUX4)의 D0 입력 단자에는 USB 코어(140)의 다른 출력 데이터 신호(VM_OUT)가 인가되고, D1 입력 단자에는 테스트 데이터 라인(DM_T) 상의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다. 멀티플렉서(MUX4)의 선택 단자(S)에는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인가된다.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로우 레벨일 때 D0 입력 단자가 선택되고,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하이 레벨일 때 D1 입력 단자가 선택된다. 그렇게 선택된 입력 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가 출력 단자(Y)를 통해 출력된다.4,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is composed of two multiplexers MUX3 and MUX4, each of which has two input terminals D0 and D1, a selection terminal S and an output. It has a terminal Y. The output data signal VP_OUT of the USB core 140 is applied to the D0 in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MUX3, and the data signal on the test data line DP_T is applied to the D1 input terminal.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pplied to the selection terminal S of the multiplexer MUX3. The D0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low level, and the D1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high level. The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thus selected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Y). The other output data signal VM_OUT of the USB core 140 is applied to the D0 input terminal of the multiplexer MUX4, and the data signal on the test data line DM_T is applied to the D1 input terminal.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pplied to the selection terminal S of the multiplexer MUX4. The D0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low level, and the D1 input terminal is selecte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high level. The data signal applied through the input terminal thus selected is output through the output terminal Y.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로우 레벨일 때,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 VM_OUT)을 버스 트랜스미터(124)로 전달한다.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하이 레벨일 때,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USB 코어(140)와 버스 트랜스미터(124)를 전기적으로 분리한다.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t the low level,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transmits th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to the bus transmitter 124.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t the high level,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electrically disconnects the USB core 140 and the bus transmitter 124.

본 발명에 따른 제 3 스위치 회로(340)는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를 인에이블 신호로서 사용하는 2개의 버퍼들(B1, B2)로 구성된다. 버퍼(B1)의 입력 단자에는 버스 리시버(12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VP_IN_0)가 인가되고, 버퍼(B1)의 출력 단자는 테스트 데이터 단자(405)에 연결된다. 버퍼(B2)의 입력 단자에는 버스 리시버(12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VM_IN_0)가 인가되고, 버퍼(B2)의 출력 단자는 테스트 데이터 단자(406)에 연결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될 때, 제 3 스위치 회로(340)는 버스 리시버(122)로부터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IN_0, VM_IN_0)을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405, 406)로 전달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비활성화될 때, 제 3 스위치 회로(340)는 비활성화된다.The third switch circuit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two buffers B1 and B2 that use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as an enable signal. The data signal VP_IN_0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122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buffer B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buffer B1 is connected to the test data terminal 405. The data signal VM_IN_0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122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buffer B2,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buffer B2 is connected to the test data terminal 406.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the third switch circuit 340 transfers the data signals VP_IN_0 and VM_IN_0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122 to the test data terminals 405 and 406. .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inactivated, the third switch circuit 340 is inactivat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스위치 회로(360)는 상기 선택 신호(OEN)와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에 응답하여 동작하며, 앤드 게이트(G1)와 2개의 버퍼들(B3, B4)로 구성된다. 앤드 게이트(G1)의 양 입력 단자들에는 선택 신호(OEN)와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각각 인가된다. 버퍼(B3)의 입력 단자에는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VP_OUT)가 인가되고, 버퍼(B3)의 출력 단자는 데이터 라인(DP)에 연결된다. 버퍼(B4)의 입력 단자에는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VM_OUT)가 인가되고, 버퍼(B4)의 출력 단자는 데이터 라인(DM)에 연결된다. 버퍼들(B3, B4)은 앤드 게이트(G1)의 출력이 활성화될 때(OEN='H', TestMode1='H')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 VM_OUT)를 데이터 라인들(DP, DM)로 전달한다. 만약 OEN 및 TestMode1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로우 레벨이면, 버퍼들(B3, B4)은 비활성화된다.As shown in FIG. 4, the fourth switch circuit 360 operates in response to the selection signal OEN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and includes an AND gate G1 and two buffers B3,. B4). The selection signal OEN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are applied to both input terminals of the AND gate G1, respectively. The data signal VP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buffer B3,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buffer B3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P. The data signal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buffer B4,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buffer B4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DM. The buffers B3 and B4 stor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when the output of the AND gate G1 is activated (OEN = 'H', TestMode1 = 'H'). Transfer to lines DP and DM. If either of the OEN and TestMode1 signals is low level, the buffers B3 and B4 are inactivated.

상기 버스 리시버(122)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12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어 로직(380)은 2개의 인버터들(INV1, INV2), 앤드 게이트(G2) 그리고 오어 게이트(G3)로 구성된다. 인버터(INV1)는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를 반전시키며, 앤드 게이트(G2)의 양 입력 단자들에는 선택 신호(OEN)와 인버터(INV1)의 출력 신호가 각각 인가된다. 오어 게이트(G3)의 양 입력 단자들에는 앤드 게이트(G2)의 출력 신호와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각각 인가된다. 오어 게이트(G3)의 출력 신호는 트랜스미터 선택 신호(SEL#)로서 버스 트랜스미터(124)로 공급될 뿐만 아니라 인버터(INV2)를 통해 리시버 선택 신호(SEL)로서 버스 리시버(122)에 공급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되고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비활성화될 때, 제어 로직(380)의 출력 신호들(SEL, SEL#)의 로직 상태들은 선택 신호(OEN)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비활성화되고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활성화될 때, 선택 신호(OEN)에 관계없이 버스 트랜스미터(124)가 활성화되고 버스 리시버(122)가 비활성화된다.The control logic 380 for selectively activating the bus receiver 122 or the bus transmitter 124 consists of two inverters INV1, INV2, an end gate G2, and an or gate G3. The inverter INV1 inverts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and the selection signal OEN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inverter INV1 are applied to both input terminals of the AND gate G2, respectively. The output signal of the AND gate G2 and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are applied to both input terminals of the OR gate G3, respectively. The output signal of the OR gate G3 is supplied not only to the bus transmitter 124 as the transmitter selection signal SEL # but also to the bus receiver 122 as the receiver selection signal SEL through the inverter INV2.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and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deactivated, the logic states of the output signals SEL and SEL # of the control logic 380 are controlled by the selection signal OEN. Is determine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deactivated and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ctivated, the bus transmitter 124 is activated and the bus receiver 122 is deactivated regardless of the selection signal OEN. .

도 3 및 도 4를 통해 설명된 본 발명의 USB 장치는 2가지 테스트 동작 모드들을 지원한다. 하나의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USB 장치는 USB 코어(140) 및 데이터 트랜시버(120)의 버스 리시버(122)의 특성 테스트를 지원한다. 다른 하나의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USB 장치는 데이터 트랜시버(120)의 버스 트랜스미터(124)의 특성 테스트를 지원한다.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본 발명의 USB 장치는 종래 기술의 그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정상적인 동작 모드 및 테스트 동작 모드들에 대한 USB 장치의 동작이 참도 도면들에 의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The USB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supports two test operation modes. In one test mode of operation, the USB device supports test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receiver 122 of the USB core 140 and the data transceiver 120. In another test mode of operation, the USB device supports test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transmitter 124 of the data transceiver 120. In the normal mode of operation, the USB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 the same way as that of the prior art. The operation of the USB device for the normal operating mode and the test operating mod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ased on the trueness drawings.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TestMode1, TestMode2)은 비활성화된다.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의 비활성화에 따라 멀티플렉서들(MUX1, MUX2) 각각의 D0 입력 단자가 선택되기 때문에, 데이터 라인들(DP, DM) 상의 데이터 신호들은 버스 리시버(122)와 제 1 스위치 회로(300)를 통해 USB 코어(140)로 전달될 것이다. 또는,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의 비활성화에 따라 멀티플렉서들(MUX3, MUX4) 각각의 D0 입력 단자가 선택되기 때문에,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 VM_OUT)은 제 2 스위치 회로(320)와 버스 트랜스미터(124)를 통해 데이터 라인들(DP, DM)로 전달될 것이다. 이때, 제어 로직(380)은 선택 신호(OEN)에 따라 버스 리시버(122) 또는 버스 트랜스미터(124)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킨다.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 제 3 및 제 4 스위치 회로들(340, 360)은 비활성화된다. 즉, 정상적인 동작 모드에서는, 정상적인 데이터 인터페이스 기능이 수행된다.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are inactivated. Since the D0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multiplexers MUX1 and MUX2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eactivation of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the data signals on the data lines DP and DM are transferred to the bus receiver 122 and the first switch. It will be delivered to the USB core 140 via the circuit 300. Alternatively, since the D0 input terminal of each of the multiplexers MUX3 and MUX4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deactivation of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th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are second. The switch circuit 320 and the bus transmitter 124 will be transferred to the data lines DP and DM. At this time, the control logic 380 selectively activates the bus receiver 122 or the bus transmitter 124 according to the selection signal OEN. In the normal mode of operation, the third and fourth switch circuits 340 and 360 are deactivated. That is,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normal data interface function is performed.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비활성화되는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USB 코어(140) 및 데이터 트랜시버(120)의 버스 리시버(122)의 특성 테스트가 지원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te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and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inactivated, the characteristic test of the bus receiver 122 of the USB core 140 and the data transceiver 120 is performed. Can be supported.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될 때, 제어 로직(380)은 버스 리시버(122)를 활성화시키고 버스 트랜스미터(124)를 비활성화시킨다.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됨에 따라, 버스 리시버(122)와 USB 코어(140)는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반면에, 데이터 라인들(DP, DM)은 제 1 스위치 회로(300)를 통해 USB 코어(14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동시에, 버스 리시버(12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IN_0, VM_IN_0)은 제 3 스위치 회로(340)를 통해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405, 406)로 전달된다.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380 activates the bus receiver 122 and deactivates the bus transmitter 124. As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the bus receiver 122 and the USB core 140 are electrically disconnected, while the data lines DP and DM disconnect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Direct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SB core 140 through. At the same time, the data signals VP_IN_0 and VM_IN_0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122 are transmitted to the test data terminals 405 and 406 through the third switch circuit 340.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VM_OUT)를 버스 트랜스미터(124)로 전달한다. 하지만, 버스 트랜스미터(124)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3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은 데이터 라인들(DP, DM)로 전달되지 않는다. 만약 선택 신호(OEN)가 비활성화 상태이면, 제 4 스위치 회로(360)는 비활성화된다. 만약 선택 신호(OEN)가 활성화 상태이면, 제 4 스위치 회로(360)는 활성화된다. 후자의 경우, USB 코어(140)는 제 4 스위치 회로(360)를 통해 데이터 라인들(DP, DM)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다.Since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maintained in an inactive state,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transmits th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to the bus transmitter 124. However, since the bus transmitter 124 is inactiv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are not transmitted to the data lines DP and DM. If the selection signal OEN is in an inactive state, the fourth switch circuit 360 is inactive. If the selection signal OEN is in an activated state, the fourth switch circuit 360 is activated. In the latter case, the USB core 140 will b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lines DP and DM through the fourth switch circuit 360.

이러한 조건 하에서, 버스 리시버(122)의 특성이 USB 코어(140)의 동작을 고려할 필요없이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405, 406)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USB 코어(140)의 특성이 버스 리시버(122)와 버스 트랜스미터(124)의 동작을 고려할 필요없이 데이터 단자들(401, 402)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Under these 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receiver 122 can be measured through the test data terminals 405 and 406 without having to consider the operation of the USB core 140.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B core 140 can be measured through the data terminals 401 and 402 without having to consider the operation of the bus receiver 122 and the bus transmitter 124.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비활성화되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활성화되는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버스 트랜스미터(124)의 특성 테스트가 지원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 test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deactivated and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ctivated, the characteristic test of the bus transmitter 124 may be supported. More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활성화될 때, 제어 로직(380)은 버스 리시버(122)를 비활성화시키고 버스 트랜스미터(124)를 활성화시킨다.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2)가 활성화됨에 따라, 제 2 스위치 회로(320)는 USB 코어(14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VP_OUT, VM_OUT) 대신에 테스트 데이터 단자들(405, 406)에 인가되는 외부 테스트 데이터 신호들을 버스 트랜스미터(124)로 전달한다. 버스 트랜스미터(124)가 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32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은 데이터 라인들(DP, DM)로 전달된다.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380 deactivates the bus receiver 122 and activates the bus transmitter 124. As the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s activated,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is connected to the test data terminals 405 and 406 instead of the data signals VP_OUT and VM_OUT output from the USB core 140. Applies external test data signals to the bus transmitter 124. Since the bus transmitter 124 is activated,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second switch circuit 320 are transferred to the data lines DP and DM.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TestMode1)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제 3 및 제 4 스위치 회로들 (340, 360)은 비활성화된다. 이때, 버스 리시버(122)와 USB 코어(140)가 제 1 스위치 회로(30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더라도, 버스 리시버(122)가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USB 코어(140)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As the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s deactivated, the third and fourth switch circuits 340 and 360 are deactivated. At this time, even if the bus receiver 122 and the USB core 1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first switch circuit 300, since the bus receiver 122 is inactive, the USB core 140 is not affected. .

이러한 조건 하에서, 버스 트랜스미터(124)의 특성이 USB 코어(140)의 동작을 고려할 필요없이 데이터 단자들(401, 402)을 통해 측정될 수 있다.Under these cond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 transmitter 124 can be measured through the data terminals 401, 402 without having to consider the operation of the USB core 140.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동작 모드에서 USB 코어와 데이터 트랜시버를 전기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테스트를 수행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테스트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st is not only easy to perform the test by electrically separating the USB core and the data transceiver in the test operation mode, but also the test reliability can be improved.

Claims (43)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DP, DM)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DP, DM)에 각각 연결된 버스 리시버 및 버스 트랜스미터와, 상기 버스 리시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받아들이거나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Universial Serial Bus) 코어를 구비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에 있어서:First and second data lines DP and DM, a bus receiver and a bus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DP and DM,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the bus receiver. A universal serial bus apparatus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core for receiving data signals from data lines or outputting data signals through the bus transmitter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테스트 동작 모드를 알리는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 (TestMode1)가 인가되는 제 1 제어 단자와;A first control terminal to which a first test mode signal (TestMode1) indicating a test operation mode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is applied;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직접 전달하는 제 1 스위치 회로 (SW1, SW4)와;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the selection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data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or the universal serial bus. First switch circuits (SW1, SW4) for directly transferring data signals output from a core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과;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테스트 모드를 알리는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 (TestMode2)가 인가되는 제 2 제어 단자와;A second control terminal to which a second test mode signal (TestMode2) indicating a test mode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is applied;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과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리시버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어 로직과; 그리고Control logic to selectively activate the bus receiver or the bus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nd a select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의 제어 하에서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제 2 스위치 회로 (SW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a second switch circuit (SW3) for transferr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under control of the control logic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은 상기 테스트 동작 모드 동안 배타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re exclusively activated during said test mode of opera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버스 리시버가 활성화되게 하고 상스 버스 트랜스미터가 비활성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causes the bus receiver to be activated and the phase bus transmitter to be deactivated.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버스 리시버가 비활성화되게 하고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가 활성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causes the bus receiver to be deactivated and the bus transmitter to be activated.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이 모두 비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선택 신호 (OEN)에 따라 상기 버스 리시버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re deactivated, the control logic selectively activates the bus receiver or the bus transmitter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ignal (OEN).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어 로직은The control logic is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인버터와;A first inverter for inverting the first test mode signal;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받아들이는 앤드 게이트와;An AND gate receiving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an output of the inverter;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앤드 게이트의 출력을 받아들이는 오어 게이트와; 그리고An OR gate receiving the second test mode signal and an output of the AND gate; And 상기 오어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리시버는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고,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는 상기 오어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 second inverter for inverting the output of the or gate, wherein the bus receiver is activated / de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and the bus transmitter is activated / de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or gat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 (SW1, SW4)는The first switch circuits SW1 and SW4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1 멀티플렉서와;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one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nd the first test A first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a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st mode signal;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2 멀티플렉서와;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 second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one test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st mode signal; ;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조합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와; 그리고An AND gate outputting an enable signal by combining a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각각 받아들이고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버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First and second buffers respectively receiv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in response to an enable signal from the AND gat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서들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directly transfer data signals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선택 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들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When th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is activated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re first and second buffe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directly on two data lines.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 (SW3)는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버퍼들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The second switch circuit SW3 includes first and second buffers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라인들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로 전달하는 제 3 스위치 회로 (SW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a third switch circuit (SW2)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to the bus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second test mode signal. .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 3 스위치 회로 (SW2)는The third switch circuit SW2 is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1 멀티플렉서와; 그리고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one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and A first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a second test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via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second test mode signal; Wow; And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서들의 출력 단자들은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의 입력 단자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And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the second test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second test mode signal. A multiplexer, wherein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are connected to input terminals of the bus transmitter. 시리얼 버스와 펑션 디바이스 사이에 연결되는 직렬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In the serial interface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serial bus and the function device: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과;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상기 시리얼 버스의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DP, DM)에 각각 연결된 버스 리시버 및 버스 트랜스미터와;A bus receiver and a bus transmitter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data lines DP and DM of the serial bus, respectively;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테스트 동작 모드를 알리는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 (TestMode1, TestMode2)가 각각 인가되는 제 1 및 제 2 제어 단자들과;First and second control terminals to which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TestMode1 and TestMode2) indicating the test operation mode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re applied; 상기 버스 리시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받아들이거나 상기 버스 트랜지스미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Universial Serial Bus) 코어와;A universal serial bus that accepts data signals from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through the bus receiver or outputs data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through the bus transistor; A core;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과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리시버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어 로직과;Control logic to selectively activate the bus receiver or the bus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nd a select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전달하는 제 1 스위치 회로 (SW1)와;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data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or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re transferred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first switch circuit SW1;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로 전달하는 제 2 스위치 회로 (SW2)와;A second signal transmitt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to the bus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second test mode signal or data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to the bus transmitter; A switch circuit SW2;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제 3 스위치 회로 (SW3)와; 그리고A third switch circuit (SW3) for transferr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And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직접 전달하는 제 4 스위치 회로 (SW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 fourth switch circuit which directly transfers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a selection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Serial interface device comprising (SW4).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은 상기 테스트 동작 모드 동안 배타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re exclusively activated during the test mode of operation. 제 1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버스 리시버가 활성화되게 하고 상스 버스 트랜스미터가 비활성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n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causes the bus receiver to be activated and the phase bus transmitter to be deactivated.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버스 리시버가 비활성화되게 하고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가 활성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n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causes the bus receiver to be deactivated and the bus transmitter to be activated.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이 모두 비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선택 신호 (OEN)에 따라 상기 버스 리시버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nd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re deactivated, the control logic selectively activates the bus receiver or the bus transmitter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ignal (OEN).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어 로직은The control logic is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반전시키기 위한 제 1 인버터와;A first inverter for inverting the first test mode signal;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받아들이는 앤드 게이트와;An AND gate receiving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an output of the inverter;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앤드 게이트의 출력을 받아들이는 오어 게이트와; 그리고An OR gate receiving the second test mode signal and an output of the AND gate; And 상기 오어 게이트의 출력을 반전시키기 위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버스 리시버는 상기 제 2 인버터의 출력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고,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는 상기 오어 게이트의 출력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 second inverter for inverting the output of the or gate, wherein the bus receiver is activated / de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second inverter, and the bus transmitter is activated / deactivated in accordance with the output of the or gate. Serial interface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 (SW1)는The first switch circuit SW1 is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1 멀티플렉서와; 그리고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one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nd the first test A first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a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 second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one test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st mode signal; Serial interface device comprising a.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서들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directly transfer data signals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 (SW2)는The second switch circuit SW2 is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1 멀티플렉서와; 그리고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one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and A first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a second test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via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second test mode signal; Wow; And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서들의 출력 단자들은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의 입력 단자들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And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the second test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second test mode signal. And a multiplexer, wherein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are connected to input terminals of the bus transmitter.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 3 스위치 회로 (SW3)는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버퍼들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The third switch circuit SW3 includes first and second buffers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Characterized by a serial interface devic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제 4 스위치 회로 (SW4)는The fourth switch circuit SW4 is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조합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와; 그리고An AND gate outputting an enable signal by combining a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각각 받아들이고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버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First and second buffers respectively receiv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in response to an enable signal from the AND gate. Seria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4,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선택 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들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When th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is activated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re first and second buffe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directly on two data lin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DP, DM)과,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DP, DM)에 각각 연결된 버스 리시버 및 버스 트랜스미터와, 상기 버스 리시버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부터 데이터 신호들을 받아들이거나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Universial Serial Bus) 코어를 구비한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에 있어서:First and second data lines DP and DM, a bus receiver and a bus transmitter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DP and DM,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the bus receiver. A universal serial bus apparatus having a universal serial bus core for receiving data signals from data lines or outputting data signals through the bus transmitter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과;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의 테스트 동작 모드를 알리는 테스트 모드 신호 (TestMode2)가 인가되는 제어 단자와;A control terminal to which a test mode signal (TestMode2) indicating a test operation mode of the universal serial bus device is applied;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과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리시버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제어 로직과;Control logic to selectively activate the bus receiver or the bus transmitter in response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nd a select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직접 전달하거나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전달하는 제 1 스위치 회로 (SW1)와;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data signal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r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or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re transferred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first switch circuit SW1;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제 2 스위치 회로 (SW3)와; 그리고A second switch circuit (SW3) for transferr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And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 및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의 선택 신호 (OEN)에 응답하여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직접 전달하는 제 3 스위치 회로 (SW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 third switch circuit which directly transfers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a selection signal OEN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omprising: (SW4). 제 3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4, wherein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은 상기 테스트 동작 모드 동안 배타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rein said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re exclusively activated during said test mode of operation. 제 35 항에 있어서,36.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버스 리시버가 활성화되게 하고 상스 버스 트랜스미터가 비활성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causes the bus receiver to be activated and the phase bus transmitter to be deactivated. 제 3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6, 상기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버스 리시버가 비활성화되게 하고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가 활성화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n the second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the control logic causes the bus receiver to be deactivated and the bus transmitter to be activated. 제 3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7,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모드 신호들이 모두 비활성화될 때, 상기 제어 로직은 상기 선택 신호 (OEN)에 따라 상기 버스 리시버 또는 상기 버스 트랜스미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And when both the first and second test mode signals are deactivated, the control logic selectively activates the bus receiver or the bus transmitter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ion signal (OEN). 제 3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제 1 스위치 회로 (SW1)는The first switch circuit SW1 is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중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1 멀티플렉서와;그리고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one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nd the first test A first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a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1 입력 단자 (D0)와,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 중 다른 하나를 받아들이는 제 2 입력 단자 (D1)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선택 신호로서 받아들이는 선택 단자 (S)와, 그리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의해서 선택되는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 (Y)를 갖는 제 2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 first input terminal D0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a second input terminal D1 for receiving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A second multiplexer having a selection terminal S for accepting one test mode signal as a selection signal and an output terminal Y for outputting a data signal input through an input terminal selected by the first test mode signal; Serial interface device comprising a. 제 3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9, 상기 제 1 및 제 2 멀티플렉서들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 직접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multiplexers directly transfer data signals provided from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to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when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제 3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 (SW3)는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버스 리시버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테스트 데이터 라인들로 전달하는 제 1 및 제 2 버퍼들로 구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The second switch circuit SW3 includes first and second buffers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bus receiver to the first and second test data lines in response to the first test mode signal. Characterized by a serial interface device. 제 3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제 3 스위치 회로 (SW4)는The third switch circuit SW4 is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선택 신호와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를 조합하여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와; 그리고An AND gate outputting an enable signal by combining a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And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을 각각 받아들이고 상기 앤드 게이트로부터의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된 데이터 신호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버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 장치.First and second buffers respectively receiving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nd outputting the input data signals to the first and second data lines in response to an enable signal from the AND gate. Serial interfa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4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2,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선택 신호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 1 테스트 모드 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코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들을 통해 상기 제 1 및 제 2 데이터 라인들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 장치.When the selection signal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is activated and the first test mode signal is activated,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niversal serial bus core are first and second buffer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rried directly on two data lines.
KR10-2001-0034189A 2001-06-16 2001-06-16 Universal serial bus device KR1004075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89A KR100407563B1 (en) 2001-06-16 2001-06-16 Universal serial bus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4189A KR100407563B1 (en) 2001-06-16 2001-06-16 Universal serial bus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877A KR20020095877A (en) 2002-12-28
KR100407563B1 true KR100407563B1 (en) 2003-12-01

Family

ID=2770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4189A KR100407563B1 (en) 2001-06-16 2001-06-16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5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455A (en) * 2006-05-11 2007-11-15 주식회사 팬택 Multi-cpu system of daisy chain sche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7948A (en) * 1998-05-13 1999-11-30 Nec Corp Operation testing method for serial bus interface macro circuit
JPH11328069A (en) * 1998-05-19 1999-11-30 Sony Corp Usb interface device
JP2000285036A (en) * 1999-03-30 2000-10-13 Fujitsu Ltd Interface test device
KR20010022816A (en) * 1997-08-12 2001-03-26 페레고스 조지, 마이크 로스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ontroller
US20020133649A1 (en) * 2001-03-14 2002-09-19 Ping-Ying Chu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f USB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2816A (en) * 1997-08-12 2001-03-26 페레고스 조지, 마이크 로스 A universal serial bus device controller
JPH11327948A (en) * 1998-05-13 1999-11-30 Nec Corp Operation testing method for serial bus interface macro circuit
JPH11328069A (en) * 1998-05-19 1999-11-30 Sony Corp Usb interface device
JP2000285036A (en) * 1999-03-30 2000-10-13 Fujitsu Ltd Interface test device
US20020133649A1 (en) * 2001-03-14 2002-09-19 Ping-Ying Chu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f USB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5877A (en) 200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95828A (en) Interface device for a phripheral equipment and priority control method therefor
US5467453A (en) Circuit for providing automatic SCSI bus termination
US6845420B2 (en) System for supporting both serial and parallel storage devices on a connector
US6900660B2 (en) IC with digital and analog circuits and mixed signal I/O pins
US7293124B2 (en) Storage device with parallel interface connector
EP1546898B1 (en) Interface integrated circuit device for a usb connection
US20050204224A1 (en) Programmable driver for an I/O pin of an integrated circuit
JP3565863B2 (en) JTAG high impedance test mode
US6920569B1 (en) Device configured as stand-alone or slave based on detection of power supply in a powered data bus system
JP3610424B2 (en) Electronic equipment and interface circuit
US7353307B2 (en) Linking addressable shadow port and protocol for serial bus networks
WO2002077835A1 (en) Communication control semiconductor device and interface system
JP4400937B2 (en) USB device
US6816939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I2C bus masters on a secondary side of an I2C multiplexor
KR100421050B1 (e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having logical circuit for conversive and immediate USB Host reset operation
US58841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configurable means of connection between an embedded processor and a personal computer
JP5054106B2 (en) Test equipment and circuit equipment
US200300745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signal pins on an interface between a system controller and peripheral integrated circuits
JP2002297275A (en) Data transferring device and computer device and device and docking station
KR100239716B1 (en) Diagnostic test apparatus of scsi controller
KR100407563B1 (en) Universal serial bus device
JP2002290490A (en) Electronic device
US6052746A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programmable pull device configured to enable/disable first function in favor of second function according to predetermined scheme before/after reset
JP2003505761A (en) How to extend a synchronous bus by an arbitrary length using a specific bus protocol
KR0121804B1 (en) Data bus controller having a level sett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