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208B1 -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208B1
KR100407208B1 KR10-2001-0042834A KR20010042834A KR100407208B1 KR 100407208 B1 KR100407208 B1 KR 100407208B1 KR 20010042834 A KR20010042834 A KR 20010042834A KR 100407208 B1 KR100407208 B1 KR 100407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coming
alarm sound
proximit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078A (ko
Inventor
김복기
이석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208B1/ko
Priority to US10/021,925 priority patent/US7206613B2/en
Publication of KR20030008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2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20Circuits for coupling gramophone pick-up, recorder output, or microphone to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서 갑작스런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귀의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착신 경보음 조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착신이 있는 경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정상 레벨로 조정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ALERT SOUND LEVEL DURING INCOMING CALL IN PORTABLE PHONE}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incoming call)에 따른 착신 경보음(alert sound)을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착신이 있는 경우 정해진 착신 경보 타입에 따라 착신 경보음 또는 진동을 발생하거나 램프를 점멸시켜 사용자에게 알린다. 사용자는 이러한 여러가지 착신 경보 타입들 중에 원하는 타입을 선택하여 이용한다. 예전의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착신 경보음은 부저(buzzer)를 사용하여 출력하여왔었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수화부를 귀에 밀착시키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 사용되는데, 이와 같이 사용자의 귀에 밀착되거나 근접된 상태에서 착신이 있는 경우에 갑작스런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귀의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었다. 이러한 경우의 예를 들면, 통화를 종료한 다음에 미처 휴대용 전화기를 귀로 부터 멀리 이격시키기 전에 착신이 있는 경우, 발신키를 누른 다음에 통화를 시작하기 위해 휴대용 전화기를 귀에 가까이 가져가는 경우 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착신 경보음을 4화음, 16화음 등과 같은 다화음의 벨소리로 출력하도록 구현하고 있는 추세인데, 다화음의 벨소리는 스피커를 사용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착신 경보음을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스피커를 음성을 출력하는데 사용되는 스피커와 별도로 휴대용 전화기에 설치하는 경우, 휴대용 전화기의 소형화나 외형 디자인에 제약을 주게 된다. 이에 따라 수화부에 설치된 1개의 스피커를 음성과 착신 경보음을 출력하는데 공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수화부에 설치된 1개의 스피커를 음성과 착신 경보음을 출력하는데 공용하는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갑작스런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귀의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로 대두된다. 이는 사용자가 귀에 대는 수화부의 스피커를 통해 착신 경보음이 출력되므로 사용자의 귀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이고 부저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음압이 크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부를 귀에 밀착시키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 착신이 있는 경우에는 갑작스런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귀의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갑작스런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사용자가 놀라거나 귀의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설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착신이 있는 경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정상 레벨로 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착신이 있는 경우 처음에는 착신 경보음을 낮은 레벨로 발생하였다가 일정 시간, 예를 들어 2초의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정상 레벨로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놀라거나 귀의 손상을 입게 되지 않고 착신을 인지하고 휴대용 전화기를 귀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놓는 등 미리 대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착신이 있을 때 무조건 처음에는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낮게 발생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상태라면, 착신 경보음을 일정 시간 경과 후 정상 레벨로 바뀌기 전까지는 듣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착신에 응답하기 까지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커버의 열림 여부, 인체의 근접 여부, 착신 경보음 조정모드의 셋팅 여부 등에 근거하여 처음에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저 레벨로 발생할 것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정상 레벨로 발생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의 열림 여부는 플립 또는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기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플립 또는 폴더 타입의 커버를 열게 되는 것을 감안하여, 커버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는 착신 경보음을 처음부터 정상 레벨로 발생하고자 적용하는 조건이다. 인체의 근접 여부는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부에 사용자의 귀가 근접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착신 경보음을 처음부터 정상 레벨로 발생하고자 적용하는 조건이다. 착신 경보음 조정모드의 셋팅 여부는 본 발명에 따라 처음에 착신 경보음을 저 레벨로 발생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장치를 포함한 휴대용 전화기의 블록구성도로서, 통상적인 이동 전화기에 적용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콘트롤러(controller)(100)는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또는 인터넷 접속을 포함한 각종 기능을 위한 처리 및 제어하는 블록으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신 경보음 조정 기능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콘트롤러(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롬(Read OnlyMemory)(102)은 콘트롤러(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Random Access Memory)(104)은 콘트롤러(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제공된다. 플래쉬 램(flash RAM)(106)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키 패드(key pad)(108)는 1 ~ 0의 숫자 키들과, 메뉴, 통화, 지움, 종료, *, #, 음량(volume) 등 다수 기능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콘트롤러(10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110)는 콘트롤러(100)의 제어에 따른 화상정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콘트롤러(100)와 연결된 오디오 처리부(112)와, 오디오 처리부(112)에 접속된 마이크(114) 및 스피커(116)는 전화 통화, 음성 녹음, 착신 경보음 출력 등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또한 RF(Radio Frequency) 모듈(120)은 안테나(118)를 통해 이동 전화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베이스밴드 처리부(122)를 통해 콘트롤러(100)로부터 입력되는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RF신호를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복조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22)를 통해 콘트롤러(100)에 제공한다. 베이스밴드 처리부(122)는 RF 모듈(120)과 콘트롤러(100)간에 송,수신되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처리한다. 커버 개폐 센서(124)는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여 콘트롤러(100)에 알린다. 이러한 커버 개폐 센서(124)는 통상적으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폴더 타입의 휴대용 전화기(200)인 경우에는 하우징(204)내에 설치되어 커버인 폴더(202)가 닫히면 폴더(202)에 의해 눌리고 열리면 복원됨으로써, 폴더(202)가 닫혀 접힌 상태와 도 2와 같이 열려 있는 상태를 감지하는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근접 센서(126)는 설정 거리 이내로 인체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한 것으로, 도 2에 보인 휴대용 전화기(200)의 수화부(206)에 설치되어 수화부(206)에 설정 거리 이내로 인체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여 콘트롤러(100)에 알린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100)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 처리흐름도를 (300)∼(316)단계로 보인 도 3을 참조하면, 콘트롤러(100)는 (300)단계에서 착신이 있는 경우 (302)단계에서 커버 개폐 센서(124)에 의해 커버의 열림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커버가 열려 있지 않는 경우에는 (314)단계에서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로 발생한다. 이와 달리 커버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304)단계에서 근접 센서(126)에 의해 인체의 근접 여부를 검사한다. 만일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 즉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308)단계에서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한다. 여기서 저 레벨은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부를 귀에 밀착시키거나 근접시킨 상태에서도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놀라거나 귀에 손상을 입히지 않게 되는 레벨로 미리 설정된다. 이러한 레벨은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부를 귀에 밀착시키거나 근접시킨 상태를 감안하면 아주 작게 설정하여도 된다. 이후 (310)단계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즉 저 레벨로 착신 경보음을 출력하기 시작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312)단계에서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정상 레벨로 조정한다.
한편 상기한 (304)단계에서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306)단계에서 착신 경보음 조정모드의 셋팅 여부를 검사한다. 착신 경보음 조정모드는 통상적인 착신 경보 타입을 셋팅하는 메뉴에 추가로 설정해 놓아 사용자가 셋팅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 놓는다. 만일 착신 경보음 조정모드가 셋팅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한 (314)단계로 진행하고, 착신 경보음 조정모드가 셋팅되어 있다면 상기한 (3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한 (312)단계나 (314)단계를 수행한 다음에는 (316)단계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을 종료한다. 이후 사용자가 착신에 응답하거나 발신자가 전화를 끊어 착신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통상적인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한 (308)∼(310)단계에서도 일정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착신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통상적인 처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처음에는 착신 경보음을 낮은 레벨로 발생하였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정상 레벨로 조정함으로서 사용자가 착신을 인지하고 휴대용 전화기를 귀로부터 멀리 이격시켜 놓는 등 미리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었든지 갑작스런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놀라거나 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결정하는 조건으로서 커버의 열림 여부, 수화부에 인체의 근접 여부, 착신 경보음 조정모드의 셋팅 여부를 모두 적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착신이 있는 경우라면 무조건 착신 경보음을 저 레벨로 발생한 후 정상 레벨로 조정하도록 적용할 수도 있고, 이들 조건 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착신 경보음의 레벨도 저 레벨과 정상 레벨의 2단계로 조정하는 예를 들었으나, 더 많은 단계로 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처음에는 착신 경보음을 낮은 레벨로 발생하였다가 일정 시간이 경과한 다음에 정상 레벨로 조정하여 사용자가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용 전화기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었든지 갑작스런 착신 경보음으로 인해 놀라거나 귀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플립 또는 폴더 타입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 개폐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서 착신 경보음을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커버의 열림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저 레벨로 상기 착신 경보음을 출력하기 시작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상기 정상 레벨로 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4. 수화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화부에 설정 거리 이내로 인체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서 착신 경보음을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인체의 근접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보다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저 레벨로 상기 착신 경보음을 출력하기 시작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상기 정상 레벨로 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5. 플립 또는 폴더 타입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 개폐 센서와, 수화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화부에 설정 거리 이내로 인체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서 착신 경보음을 발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커버의 열림 여부와 상기 인체의 근접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열려 있지 않거나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저 레벨로 상기 착신 경보음을 출력하기 시작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착신 경보음의 레벨을 상기 정상 레벨로 조정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6. 플립 또는 폴더 타입의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 개폐 센서와,
    상기 착신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와,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커버 개폐 센서에 의해 상기 커버의 열림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커버가 열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로 발생하고, 상기 커버가 열려 있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신 경보음을 상기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정상 레벨로 조정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장치.
  7. 플립 또는 폴더 타입의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화부에 설정 거리 이내로 인체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착신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와,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인체의 근접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로 발생하고,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신 경보음을 상기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정상 레벨로 조정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장치.
  8. 플립 또는 폴더 타입의 커버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개폐를 감지하는 커버 개폐 센서와,
    상기 휴대용 전화기의 수화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화부에 설정 거리 이내로 인체가 근접되는 것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와,
    상기 착신 경보음을 발생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처리부와,
    착신이 있는 경우 상기 커버 개폐 센서와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커버의 열림 여부와 상기 인체의 근접 여부를 검사하여, 상기 커버가 열려 있지 않거나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않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신 경보음을 정상 레벨로 발생하고, 상기 커버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상기 인체의 근접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상기 오디오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착신 경보음을 상기 정상 레벨보다 낮게 설정된 저 레벨로 발생한 후 착신이 계속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정상 레벨로 조정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장치.
KR10-2001-0042834A 2001-07-16 2001-07-16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KR100407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834A KR100407208B1 (ko) 2001-07-16 2001-07-16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US10/021,925 US7206613B2 (en) 2001-07-16 2001-12-13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level of alert sound in portab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834A KR100407208B1 (ko) 2001-07-16 2001-07-16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078A KR20030008078A (ko) 2003-01-24
KR100407208B1 true KR100407208B1 (ko) 2003-11-28

Family

ID=19712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834A KR100407208B1 (ko) 2001-07-16 2001-07-16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206613B2 (ko)
KR (1) KR1004072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31232B2 (en) * 2002-02-13 2007-06-12 Osann Jr Robert Courtesy answering solu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JP2003258944A (ja) * 2002-02-28 2003-09-1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および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KR100548370B1 (ko) * 2003-07-04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영상 송신 선택 장치
US7373181B2 (en) * 2003-10-24 2008-05-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er controllable modalities
US20050219228A1 (en) * 2004-03-31 2005-10-06 Motorola, Inc.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method
JP2006042077A (ja) * 2004-07-28 2006-02-09 Nec Corp 携帯通信端末および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量制御方法
GB2464868B (en) * 2004-09-22 2010-06-16 Avago Tech Ecbu Ip Folding telephone
US7196316B2 (en) * 2004-09-22 2007-03-27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ctivation sensor
US7292875B2 (en) * 2004-09-30 2007-11-06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device with ambient light sensor
US7522065B2 (en) * 2004-10-15 2009-04-21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sensing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315210B2 (ja) * 2007-03-27 2009-08-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
US20100177756A1 (en) * 2009-01-14 2010-07-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using multiple channels
TR201106373A2 (tr) * 2011-06-28 2013-01-21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Ş. Dokunmatik kontrol özellikli ekran cihazı.
JP5731362B2 (ja) * 2011-11-28 2015-06-10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3294381A (zh) * 2012-03-02 2013-09-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音量调节方法
TWI536658B (zh) * 2013-10-03 2016-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行動通訊裝置及其輻射功率調整方法
US10367950B2 (en) * 2014-06-11 2019-07-30 Lenovo (Singapore) Pte. Ltd. Device notification adjustment dependent on user proximity
CN204119279U (zh) * 2014-06-18 2015-01-21 锤子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WO2016039468A1 (ja) * 2014-09-12 2016-03-17 出光興産株式会社 圧力媒体油、及び該圧力媒体油の使用方法
WO2016119894A1 (en) * 2015-01-30 2016-08-04 Doro AB Proximity-based accidental lock screen command preven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N113258258B (zh) * 2020-02-10 2022-08-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辐射功率的调整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134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환 벨음량 자동 설정장치 및 방법
KR19990065104A (ko) * 1998-01-07 1999-08-05 김영환 휴대폰의 벨음량 조절장치
KR20010046293A (ko) * 1999-11-11 2001-06-15 서평원 전화기의 착신벨 음량 자동변경 방법
KR20010091722A (ko) * 2000-03-17 2001-10-23 박영서 휴대폰의 착신음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6951A (ja) * 1985-12-11 1987-06-19 Fujitsu Ltd リンガ音可変電話機
JPH03196745A (ja) * 1989-12-26 1991-08-28 Oki Electric Ind Co Ltd 電話機の呼出音の制御方法
JPH04260256A (ja) * 1991-02-14 1992-09-16 Canon Inc 電話装置
US5404582A (en) * 1992-11-27 1995-04-04 Motorola, Inc. Aural annunciator circuit for a receiver
JPH06307488A (ja) * 1993-04-22 1994-11-01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KR100222779B1 (ko) * 1995-11-06 1999-10-01 윤종용 전화기에서 전화벨 음량 조절 방법
US6560466B1 (en) * 1998-09-15 2003-05-06 Agere Systems, Inc. Auditory feedback control through user detection
JP4073096B2 (ja) * 1998-11-05 2008-04-09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制御装置及び着信音制御方法
JP2000270048A (ja) * 1999-03-12 2000-09-29 Aiwa Co Ltd 電話機
JP2000036853A (ja) * 1999-07-15 2000-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呼出音量制御手段付き通信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8134A (ko) * 1996-12-30 1998-09-25 김영환 벨음량 자동 설정장치 및 방법
KR19990065104A (ko) * 1998-01-07 1999-08-05 김영환 휴대폰의 벨음량 조절장치
KR20010046293A (ko) * 1999-11-11 2001-06-15 서평원 전화기의 착신벨 음량 자동변경 방법
KR20010091722A (ko) * 2000-03-17 2001-10-23 박영서 휴대폰의 착신음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06613B2 (en) 2007-04-17
US20030013496A1 (en) 2003-01-16
KR20030008078A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208B1 (ko) 휴대용 전화기의 착신 경보음 레벨 조정방법 및 장치
US77023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of push-to-talk (PTT) phone
JP3699018B2 (ja) 電話機の自動音量調整装置
EP0883958A1 (en) Portable telecommunications device having a waiting message generating means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KR100678166B1 (ko) 어쿠스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3266132B2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6042077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携帯通信端末の着信音量制御方法
KR20010010545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화음 자동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17204A (ko) 휴대폰의 착신음 음량 레벨 제어방법
JP4269019B2 (ja) 携帯通信端末機
KR100424624B1 (ko) 벨소리 제어 방법
JP2957469B2 (ja) 携帯型無線電話機
JP3033725B2 (ja) バイブレータ付き携帯電話機
KR10044795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자동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30009215A (ko)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전화 장치
KR1004969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 스피커 조절 방법
KR100469172B1 (ko) 수신신호에 따라 그 출력음량이 가변적인 휴대통신 단말기및 그 구현방법
KR100362561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신호의 처리 방법
JP2940516B2 (ja) 携帯電子機器
KR100566199B1 (ko) 송화음량에 따른 수화음량 자동 조절 전화기 및 그 방법
JP4918884B2 (ja) 携帯端末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200400954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주변 소음 정도에 따른 진동모드전환 장치 및 그 방법
JPH07231276A (ja) 携帯用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