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2792B1 -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 Google Patents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2792B1
KR100402792B1 KR10-2001-0006285A KR20010006285A KR100402792B1 KR 100402792 B1 KR100402792 B1 KR 100402792B1 KR 20010006285 A KR20010006285 A KR 20010006285A KR 100402792 B1 KR100402792 B1 KR 100402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ersonal information
server
terminal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2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66081A (en
Inventor
라충섭
이유현
방효식
안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6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792B1/en
Publication of KR20020066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0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79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이 개시된다. 단말기와 서버에는 상호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블루투스 송수신기 또는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기가 마련된다.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변동된 개인정보가 소정의 포멧을 갖는 동기화데이터로 변환되어 서버에 전송되며, 서버는 이를 수신하여 동기화데이터를 그 포멧에 기초하여 해석함으로써 변동된 개인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갱신한다. 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변경된 내용이 동기화된다. 서버와 단말기간의 송수신 방법으로는, 기존에 존재하는 단문메세지 서비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말기와 서버간에 무선으로 개인정보 동기화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개인정보의 동기화가 매우 편리하게 수행되며 또한 실시간으로 수행된다.A method of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server is disclosed. The terminal and the server are provided with a Bluetooth transceiver or an infrared data transceiver to enable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relessly. When a change occurs in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synchronization data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receives the data and interprets the synchronization data based on the format. Extract and update personal information using it. If a change occur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on the server, the change is synchronized in a similar manner. As a transmission / reception method between the server and the terminal, an existing short message service may be used. Since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data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the synchroniz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s very convenient and is performed in real time.

Description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본 발명은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와 서버 중 일방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타방에 전송함으로써 단말기와 서버에 각각 저장된 개인정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and more particularly, when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one of the terminal and the server is changed,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is synchronized in real time by transmitting them to the other. It is about how to.

최근에는 휴대폰이나 PDA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에 각종 편의 기능이 부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편의 기능 중의 하나로서 단말기에 개인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이 보편화되고 있다. 또한, 단순히 단말기에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을 넘어서, 특정의 서버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갱신하는 방식도 등장하고 있다.Recently, various convenience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a communication terminal that a user can carry,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As one of such convenience functions, a function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in a terminal has become common. In addition, a method of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in a specific server and upd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using the same has emerged, in addition to simply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in a terminal.

이와 같이 서버와 단말기에 각각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경우에는, 일방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관한 데이터를 타방에 전송시켜 동일한 데이터로 만드는 동기화 수단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동기화 수단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단말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거나,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상시 동일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의 서버에 개인정보를 저장함으로써,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교체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단말기에 기존의 데이터를 일일이 입력하는 불편함이 없게 된다.In the case of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e server and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a synchronizat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data rela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one side to the other and making the same data must be provided. By using such synchronization means, the user may transmit the data stored in the terminal to the server or the same information may be stored at all times by transmitting the data stored in the server to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user stores personal information in a specific server, so that even if the terminal is lost or replaced, there is no inconvenience in inputting existing data into a new terminal one by one.

도 1 및 도 2는 단말기와 서버간에 개인정보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종래의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and 2 illustrate a conventional method for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도 1에서, 사용자의 단말기(20)와 개인정보 관리시스템(PIMS :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을 제공하는 개인용 컴퓨터(30)는 시리얼 케이블(serial cable)(4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는 케이블(40)로 단말기(20)와 컴퓨터(30)를 연결한 후 컴퓨터(30) 내에 있는 소정의 개인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삭제하거나 수정하는 등의 갱신작업을 하며, 이 갱신된 데이터는 케이블(40)을 통해 단말기(2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는 단말기(20)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대해서도 컴퓨터(30)에 전송하여 저장하는 상기와 같은 갱신작업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20)와 컴퓨터(30)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동기화된다.In FIG. 1, a user's terminal 20 and a personal computer 30 providing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IMS) are interconnected by a serial cable 40. After the user connects the terminal 20 and the computer 30 with a cable 40, the user performs an update operation such as deleting or modify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predetermine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in the computer 30. The upda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 through the cable 40 and stored. In addition, the user may perform the above-described update operation of transmitting and storing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20 to the computer 30. Accordingly,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20 and the computer 30 are synchronized.

도 2에는 무선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단말기(20)와 무선인터넷을 통해 웹사이트를 제공하는 PIMS서버(35)간에 개인정보를 동기화 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20)를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신호를 발송하면, 단말기(20)는 기지국(23)과 무선인터넷 게이트웨이서버(WAP gate way server)(25)를 통해 인터넷(27)에 접속되며, 이에 따라 인터넷(27)을 통해 단말기(20)는 PIMS서버(35)에 연결된다. 단말기(20)와 PIMS서버(35)가 상호 연결된 후에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게, 일방의 변경 데이터를 타방에 전송함으로써 단말기(20)와 PIMS서버(35)간의 개인정보 동기화가 이루어지게 된다.2 illustrates a method of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a terminal 20 capable of accessing a wireless internet and a PIMS server 35 providing a website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When the user sends a wireless Internet access signal through the terminal 20, the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27 through the base station 23 and the WAP gate way server (25), Accordingly, the terminal 20 is connected to the PIMS server 35 through the Internet (27). After the terminal 20 and the PIMS server 35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similarly to the above, personal information is synchronized between the terminal 20 and the PIMS server 35 by transmitting one change data to the other.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40)로 연결하는 방식은, 사용자가 단말기(20)와 컴퓨터(30)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40)을 마련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또한 컴퓨터(30)와 단말기(20)가 케이블(40)로 연결가능한 근거리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인정보 동기화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또한 사용자가 단말기(20)를 휴대하고 이동하는 중에는 개인정보의 동기화가 어렵게 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as shown in FIG. 1, the method of connecting the cable 40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provide a separate cable 40 for connecting the terminal 20 and the computer 30. 30 and the terminal 20 should be in close proximity to the cable (40). Therefore, it is very inconvenient to synchronize personal information, and it is difficult to synchronize personal information while the user is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20.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27)에 접속하는 방식에 따르면, 단말기(20)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또한, 항상 인터넷에 접속된 상태에서만 개인정보의 신규등록, 조회, 삭제, 수정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말기(20)의 PIMS기능과 서버(35)의 PIMS기능은 상호 무관한 것으로서, 이들간에 변경된 개인정보의 동기화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두 데이터의 데이터의 포맷 및 그 송수신 방식이 사전에 규정되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개인정보의 동기화를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이 단말기(20)와 서버(35)에 각각 마련되어야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method of accessing the Internet 27 as shown in FIG. 2, the terminal 20 must have a browser for accessing the Internet, and also newly register personal information only when connected to the Internet at all times. Inquiry, deletion, modification, etc. can be made. In addition, since the PIMS function of the terminal 20 and the PIMS function of the server 35 are not related to each other, in order to synchronize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therebetween, the format of the data of the two data and its transmission / reception scheme should be defined in advance. To this end, separate programs for synchron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in the terminal 20 and the server 35, respective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개인정보와 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용이하게 동기화시킬 수 있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that can easily synchronize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도 1은 종래의 단말기와 서버간의 개인정보 동기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1 is a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ethod of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도 2는 종래의 동기화 방식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2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synchronization metho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단말기와 서버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nd a server for performing a method for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 방식을 도시하는 도면,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단말기와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도 6은 데이터타입 코드의 예시도,6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data type code;

도 7은 단말기와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a terminal and a server; an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0 : 단말기 125 : 메모리120: terminal 125: memory

128 : 기지국 인터페이스부 129 :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28: base station interface unit 129: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0 : PIMS서버 135 : 인터넷 인터페이스부130: PIMS server 135: Internet interface unit

137 : 개인정보 저장부 139 :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37: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39: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45 : 인터넷 220 : 단말기145: Internet 220: terminal

223 : 기지국 225 : 무선인터넷 게이트웨이 서버223: base station 225: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27 : 인터넷 230 : PIMS서버227: Internet 230: PIMS Serv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간의 상기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은,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무선으로 데이터의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수신수단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개인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식별가능한 소정의 포멧을 갖는 동기화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동기화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동기화데이터를 상기 포멧에 기초하여 해석함으로써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단말기 내의 상기 개인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a portable terminal and a server, the method comprising: provid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for enabling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wirelessl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When a change occur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nd / or the server,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synchronization data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identifiable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to the server and / or the terminal. Transmitting; 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at the server and / or the terminal by us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Extracting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by interpreting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data based on the format; And upd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server and / or the terminal by using the extracted personal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송수신수단은 블루투스 송수신기 또는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에 존재하는 단문메세지의 송수신용 SMS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may be configured as a Bluetooth transceiver or an infrared data transceiver, and may also be configured as an SMS system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existing short messages.

또한, 상기 동기화데이터는,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개인정보에 관한 것임을 식별시키는 데이터타입코드, 상기 개인정보의 변동 형식을 식별시키는 변경형식코드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변동형식코드는, 새로이 데이터를 추가하는 명령인 신규코드, 기존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인 삭제코드, 및 기존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수정시키는 명령인 수정코드 등으로 구성된다.Preferably, the synchronization data includes a data type code for identifying that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relates to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a change format code for identifying a variat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variation type code may include a new code that is a command for adding new data, a deletion code that is a command for deleting at least some data from existing data, a modification code that is a command for modifying at least some data among existing data, and the like. It consists of.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의 양이 상기 서버와 상기 단말기간에 하나의 프레임으로 송수신 가능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를 복수의 상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기 동기화데이터로 구획하여 상기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송신 및 수신한다. 이때, 구획된 각각의 상기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프레임의 전송순서에 관한 정보를 갖는 전송순서코드, 상기 동기화데이터의 전체 프레임개수에 관한 정보를 갖는 프레임수코드, 및 각각의 상기 프레임이 하나의 상기 동기화데이터에 속하는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데이터그룹코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mount of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exceeds the capacity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one frame between the server and the terminal,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is divided into the synchronization dat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and the respective frames are sequentially Send and receive with In this case, each of the partitioned frames includes a transmission order code having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order of each of the frames, a frame number code having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frames of the synchronization data, and each of the frames has one It is preferable to have a data group code indicating that the frame belongs to the synchronization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와 서버간에 무선으로 개인정보 동기화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게 되므로 개인정보 갱신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수행된다. 또한,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정보에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개인정보의 변동 사항이 실시간(real time)으로 갱신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relessl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personal information updating is very convenient. In addition, when a change occur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or the server, the chang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pdated in real tim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단말기(120)와 서버(13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저장하는 단말기(120)로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30 for implemen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case where a user uses a mobile phone as the terminal 120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is shown.

단말기(120)는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포맷의 변환작동을 수행하는 제어부(121), 휴대폰의 전면에 마련된 조작패널 등으로 구성된 입력부(122), 액정화면 등과 같은 장치로 구성된 표시부(123), 사용자에게 통화음 등과 같은 각종 음향을 제공하기 위한 음성처리부(126)와 스피커(127),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5), 기지국에 대해 무선으로 통화에필요한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28), 및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서버(130)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39)를 가지고 있다.The terminal 120 controls the entire operation and performs a data format conversion operation, a control unit 121, an input unit 122 composed of an operation panel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a display unit 123 composed of a device such as an LCD screen, A voice processing unit 126 and a speaker 127 for providing various sounds such as a call sound to the user, a memory 125 for storing various data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a wireless base station required for a call Base station interface unit 128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other data, and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9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server 130 to perform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PIMS서버(130)는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데이터포맷의 변환작동을 수행하는 제어부(131), 사용자가 개인용 컴퓨터(140)를 이용하여 인터넷(145)을 통해 서버(130)에 접속할 경우 인터넷(145)을 통해 컴퓨터(140)와 인터페이싱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인터넷 인터페이스부(135),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개인정보 저장부(137), 및 무선으로 단말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39)를 가지고 있다.The PIMS server 130 controls the entire operation and performs the conversion operation of the data format, the control unit 131, when the user connects to the server 130 via the Internet 145 using the personal computer 140, the Internet 145 Internet interface 135, which provides a means for interfacing with the computer 140 through the user, a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37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and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terminal 120 It has a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139 for.

단말기(120)와 서버(130)에 설치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29, 139)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데,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송수신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적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기(IrDA)를 사용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 송수신기 또는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말기(120)와 서버(130)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케이블로 연결하는 종래의 방식과 비교할 때, 별도의 케이블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편리함이 제공되고 또한 더욱 먼 거리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개인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게 된다.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29 and 139 installed in the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3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a Bluetooth transceiv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relessly at a short range may be used, and an infrared data transceiver IrDA may be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using infrared rays. Since the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30 using a Bluetooth transceiver or an infrared data transceiver,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necting by cable, the convenience of no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cable is provided and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from a long distance. Therefore,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synchronize personal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말기(220)는 기지국(223)을 통해 무선인터넷 게이트웨이서버(225)와 연결되어 있으며, 왑게이트웨이서버(225)는 단말기(220)를 인터넷(227)을 통해 PIMS서버(230)에 연결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개인용 컴퓨터(235)를 이용하여 인터넷(227)에 접속함으로써 서버(230)에 액세스(access)할 수 있다.4 is a view showing another method for performing 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25 through the base station 223, and the swap gateway server 225 connects the terminal 220 to the PIMS server 230 through the Internet 227. In addition, a user may access the server 230 by connecting to the Internet 227 using a personal computer 235.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220)의 일반적인 통화기능이나 무선인터넷 접속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단문메세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동기화 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단말기(220)와 서버(230)에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29, 139)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며,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은 기존의 단문메세지 송수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사업자의 기지국(223) 및 단문메세지용 서버 등으로 구성되게 된다. 단말기(220) 및 PIMS서버(230) 내부의 구성 중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29, 139)를 제외한 타부분의 구성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f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provided by a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using a general call function or a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of the terminal 220 is provided. Shows. Therefore,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terminal 220 and the server 230 do not need to provide separate wireless data transceivers 129 and 139 for performing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ns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wirelessly includes a base station 223 of 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providing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service and a server for short message.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parts of the terminal 220 and the PIMS server 230 except for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29 and 139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 3.

단말기(220)와 서버(230)간에 개인정보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이들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개인정보 동기화에 관한 데이터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의 포맷이 사전에 정해져야 한다. 도 5는 단말기(120)와 서버(130)간에 개인정보 동기화를 위해 상호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포멧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단문메세지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동기화시키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 포멧을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데이터 포멧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문메세지를 이용하여 개인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전술한 도 3에 도시된바와 같은 단말기(20)와 서버(30)간의 개인정보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transmit / receive data for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between the terminal 220 and the server 230, a format of data for identifying that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m is data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ust be determined in advance.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ormat of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for mutual synchron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the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30. A method of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short messa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It shows the data format to implement. The data format as described below shows an example for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using a short message as shown in FIG. 4, but this method is similar to the terminal 20 as shown in FIG. 3. The same may be applied to a method of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the servers 30.

도 5에서, 통상적으로 단문메세지 데이터의 한 프레임은 메세지의 식별을 위한 메세지ID코드, 단문메세지의 긴급도를 나타내는 우선순위코드, 프라이버시코드, 사용자데이터코드, 및 기타 단문메세지 송수신에 필요한 여러 코드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데이터코드는 일반적으로 단문메세지에서 발신자가 수신자에게 전송하는 실질적인 데이터를 나타내는 코드로서, 통상적으로 80바이트의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80바이트의 데이터 중 상위 5바이트를 개인정보 변경을 위한 데이터임을 식별시키기 위한 데이터로 그 용도를 변경하여 사용한다.In FIG. 5, typically, one frame of short message data includes a message ID code for identifying a message, a priority code indicating the urgency of the short message, a privacy code, a user data code, and other codes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hort messages. Consists of. The user data code is generally a code representing actual data transmitted from the sender to the receiver in a short message, and is generally 80 bytes in size. The upper 5 bytes of the 80 bytes of data are used to identify the data for changing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purpose thereof is changed and used.

사용자데이터코드는, 데이터의 타입을 지정하는 데이터타입코드, 같은 그룹에 속하는 데이터임을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ID코드, 전체 프레임의 개수를 나타내는 프레임수코드, 각 프레임들의 전송순서를 나타내는 전송순서코드, 개인정보의 변경 형식을 나타내는 변경형식코드, 및 실질적으로 전송될 개인정보 데이터를 나타내는 데이터코드 등의 다양한 코드 영역들로 구분된다.The user data code includes a data type code specifying a data type, a data ID code for identifying data belonging to the same group, a frame number code indicating the total number of frames, a transmission sequence code indicating a transmission order of each frame, and an individual. It is divided into various code areas such as a change form code indicating a change form of information, and a data code indicating a personal information data to be substantially transmitted.

데이터타입코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데이터타입코드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고유의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예컨데, 150은 화상데이터를, 151은 멜로디 데이터를, 152는 주소록 데이터를, 153은 스케쥴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160은 재전송을 요하는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이들 중 개인정보 데이터는 코드번호 152인 주소록 데이터와 153인 스케쥴 데이터 등이다. 따라서, 사용자데이터코드 영역의 첫번째 바이트에 152 또는 153이 기록되어 있으면, 데이터코드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가 개인정보 데이터임을 알 수 있게 된다.The data type code indicates the type of data to be transmitted, a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6, a data type code is assigned a unique code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150 represents image data, 151 represents melody data, 152 represents address book data, 153 represents schedule data, and 160 represents data requiring retransmission. Among them, personal information data is address book data with code number 152, schedule data with 153 and the like. Therefore, if 152 or 153 is recorded in the first byte of the user data code area, it can be seen that the data recorded in the data code area is personal information data.

하나의 개인정보 데이터의 양이 데이터코드 영역에 모두 수용될 수 없는 경우(예컨데, 사용자데이터코드에 할당된 80바이트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인정보 데이터가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획되어 전송되며, 데이터ID코드 영역은 전송되는 데이터들이 같은 그룹 내의 데이터임을 표시한다. 따라서, 동시에 다수의 메세지가 전송되는 경우에 같은 데이터ID코드를 갖는 메세지들로 이루어진 그룹은 원래 하나의 데이터였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같은 데이터ID코드를 갖는 메세지들의 데이터를 모두 조합하면 전체 데이터가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프레임수코드는 구획된 데이터들의 전체 프레임수를 나타내며, 전송순서코드는 전체 프레임들 중 몇번째 프레임에 해당되는가를 나타낸다.If the amount of one personal information data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data code area (for example, when it exceeds 80 bytes allocated to the user data code), the personal information data is divided into multiple frames and transmitted. The code area indicates that the data to be transmitted is data in the same group. Thus, when multiple messages are transmitted at the same time, a group of messages having the same data ID code indicates that the data was originally one data. Therefore, combining all data of messages having the same data ID code results in total data. In such a case, the frame number code represents the total number of frames of the partitioned data, and the transmission order code represents the number of frames of the entire frames.

도 7에는 상기와 같은 데이터 포멧을 갖는 메세지들이 전송된 경우의 예를 도시되어 있다. 데이터타입이 '152'이므로 개인정보 데이터 중 주소록에 관한 데이터임을 나타내고, 두 메세지의 데이터ID코드가 모두 '67'이므로 두 메세지는 같은 그룹 내의 데이터임을 나타낸다. 또한, 프레임수코드가 '2'이므로 두 개의 메세지가 조합되어 하나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구성함을 알 수 있고, 도 7의 a)는 전송순서코드가 '1'이고 도 7의 b)는 전송순서코드가 '2'이므로 a)도의 메세지가 전반부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고 b)도의 메세지가 후반부의 데이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코드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들을 추출하여 a)도의 데이터와 b)또의 데이터를 순서대로 배열함으로써 전체 개인정보 데이터가 추출되게 된다.7 shows an example in which messages having the data format as described above are transmitted. Since the data type is '152', it indicates that the data is related to the address book among personal information data. Since the data ID codes of both messages are '67', it indicates that the two messages are within the same group. In addition, since the frame number code is '2', it can be seen that two messages are combined to form one personal information data. FIG. 7 a) shows that the transmission order code is '1' and b) shows FIG. Since the sequence code is '2', it can be seen that the message in a) has data in the first half and the message in b) has data in the second half. Therefore, by extracting the data recorded in the data code area and arranging the data of a) and the data of b) in order, the entire personal information data is extract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데이터 동기화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흐름도에 대한 설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데이터 동기화 과정을 설명하며, 여기서 단말기(220) 및 서버(230) 내의 각 부분에 대해서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각 부분과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인용한다.8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lowchart, a process of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where each part of the terminal 220 and the server 230 is shown in FIG. 3. Reference is made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parts in the examples.

단말기(220)와 서버(230)간에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상호 송수신이 가능한 수단(도 3의 실시예에서는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29, 139)가 이에 해당되며, 도 4의 실시예에서는 단문메세지 전송시스템이 이에 해당된다.)이 마련되어 있다(S10). 단말기(220)에 저장된 개인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S20), 단말기(220) 내의 제어부(121)는 변동된 개인정보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포멧에 따라 동기화데이터로 변환시키고(S30), 변환된 데이터를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28)를 이용하여 기지국(223)에 송출한다(S40).Means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terminal 220 and the server 230 (in the embodiment of FIG. 3, the wireless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29, 139 corresponds to this). In the embodiment of FIG. 4, the short message transmission system This corresponds to this) (S10). When a change occur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220 (S20), the controller 121 in the terminal 220 converts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into synchronization data according to the data format as shown in FIG. 5 (S30). In operation S40, the conver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223 using the base station interface unit 128.

이동통신사업자(도시되지 않음)는 단문메세지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무선인터넷 게이트웨이서버(225)에 제공하며, 이에 따라 PIMS서버(230)는 인터넷 인터페이스부(135)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단문메세지를 전송받는다(S50). PIMS서버(230)가 변동된 개인정보에 해당되는 이 단문메세지를 수신하면, PIMS서버(230)는 수신된 동기화데이터를 전술한 바와 같은 포멧에 기초하여 해석함으로써 데이터코드 영역에 기록된 개인정보 변경 내용을 추출한다(S60). 그리고 나서, PIMS서버(230) 내의 제어부(131)는 추출된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저장부(137) 내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70).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not shown) receives the short message data and provides it to the wireless Internet gateway server 225. Accordingly, the PIMS server 230 uses the internet interface 135 to send the short message over the Internet. Received transmission (S50). When the PIMS server 230 receives this short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the PIMS server 230 interprets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data based on the above-described format to change the personal information recorded in the data code area. Extract the content (S60). Then, the control unit 131 in the PIMS server 230 updates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age unit 137 by using the extracted personal information (S70).

이때, 변경형식코드에 기록된 내용이 '신규'코드인 경우에는 새로이 데이터를 추가하고, '삭제'코드인 경우에는 기존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삭제하며, '수정'코드인 경우에는 기존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수정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 또한, 순차적으로 수신된 다수의 메세지가 동일한 데이터ID코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프레임수코드에 기록된 수 만큼의 프레임들이 모두 수신된 후에 동일한 데이터ID코드를 갖는 프레임들 내의 데이터들을 전송순서코드에 기록된 숫자의 순서대로 배열한다. 이에 따라 전체 개인정보 변경 데이터의 추출이 완료되며, 이에 기초하여 개인정보를 갱신하게 된다.In this case, if the content recorded in the modified format code is 'new' code, new data is added, and if the 'delete' code is used, at least some of the existing data is deleted, and if the 'modified' code is existing Work to modify the data of at least some of the data. In addition, when a plurality of messages sequentially received have the same data ID code, after all of the number of frames recorded in the frame number code are received, the data in the frames having the same data ID code are transferred to the transmission order code. Arrange in the order of the recorded numbers. Accordingly, the extraction of the entire personal information change data is complet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is updated based on this.

사용자가 컴퓨터(235)등을 이용하여 PIMS서버(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변경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한 경우에는(S120), 상기와 반대의 경로를 통해 단말기(220)에 단문메세지 서비스 기능을 이용한 개인정보 동기화가 수행된다. 즉, PIMS서버(230) 내의 제어부(131)는 변경된 개인정보의 포맷을 변환하여(S130) 그의 단문메세지 데이터를 인터넷 인터페이스부(135)를 이용하여 인터넷(227)을 통해 이동통신사업자(도시되지 않음)의 이동통신용 서버에 전송하고, 이동통신사업자의 서버는 이를 기지국(223)을 통해 단말기(220)에 전송한다(S140). 단말기(220)는 기지국 인터페이스부(128)를 이용하여 이를 수신하여(S150),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S160)을 동기화된 개인정보를 메모리(125)에 저장하게 된다(S170).When the user performs a task such as changing personal information data previously stored in the PIMS server 230 by using the computer 235 or the like (S120), the terminal 2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20 through the reverse path.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using the short message service function is performed. That is, the control unit 131 in the PIMS server 230 converts the format of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S130) and converts the short message data thereof through the internet 227 using the internet interface unit 135 (not shown). Not transmitted), and the serv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provider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220 through the base station 223 (S140). The terminal 220 receives the information using the base station interface unit 128 (S150), and stores the same personal information as described above (S160) in the memory 125 (S170).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존재하는 단문메세지 서비스의 사용자데이터 영역을 이용하여 개인정보 동기화 데이터에 필요한 데이터 포멧을 정의함으로써, 단말기(220)와 PIMS서버(230)간의 개인정보를 용이하게 동기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by defining a data format required for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data using the user data area of the existing short message service,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the terminal 220 and the PIMS server 230 can be easily You can synchronize.

이와 같은 데이터포멧을 이용한 개인정보 동기화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 송수신기 또는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기 등으로 구성된 무선데이터 송수신부(129, 139)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동기화 데이터를 송수신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데이터 포멧 중 단문메세지 전송을 위한 코드들(메세지ID코드, 우선순위코드, 프라이버시코드 등)은 불필요할 것이며, 사용자데이터코드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포멧(데이터타입코드 내지 데이터코드)만을 사용하여 개인정보 동기화 데이터를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무선데이터 송수신기가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동기화를 위한 수단으로만 이용되지 않고 다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단말기(120) 및 서버(130)에 마련되는 경우라면, 이러한 다양한 기능들과 개이정보 동기화 기능을 구분하여 식별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포멧을 더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using the data format may be similarly applied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 3, since the personal data synchronization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using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129, 139 configured as a Bluetooth transceiver or an infrared data transceiver, the short message is transmitted among the data formats shown in FIG. Codes (message ID code, priority code, privacy code, etc.) will be unnecessary and personal data synchronization data can be constructed using only the data format (data type code or data code) recorded in the user data code area. . Of course, if the wireless data transceiver is not only used as a means for synchronizing person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provided in the terminal 120 and the server 130 to perform various other functions, these various functions and information information. A separate data format may be further provided to distinguish and identify the synchronization func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로 마련되는 블루투스 송수신기 또는 적외선데이터 송수신기 등과 같은 무선데이터 송수신부, 또는 기존에 존재하는 단문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기와 서버간에 개인정보 동기화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기 또는 서버에 저장되어 있던 개인정보에 변경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 개인정보의 변동 사항이 실시간(real time)으로 갱신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번거로운 갱신작업 없이도 항상 개인정보의 갱신에 의한 관리가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data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using a wireless data transceiver, such as a Bluetooth transceiver or an infrared data transceiver, or an existing short message service. In addition, when a change occurs i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or the server, the chang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may be updated in real time. Therefore, the user can always manage by update of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cumbersome update work.

Claims (10)

각각 개별적으로 개인정보의 저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간의 상기 개인정보 동기화방법에 있어서,In the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rver capable of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respectively,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무선으로 데이터의 상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송수신수단을 마련하는 단계;Provid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for enabling mutua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wirelessly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상기 단말기 및/또는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개인정보에 변동이 발생한 경우,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를 상기 단말기와 상기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상기 개인정보에 관한 것임을 식별시키는 데이터타입코드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동기화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At least one having a data type code for identifying that the data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server is related to the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the terminal and / or the server is changed. Converting the data into synchronization data consisting of a fram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server and / or the terminal;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동기화데이터를 상기 송수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단말기에서 수신하는 단계;Receiving the synchronization data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at the server and / or the terminal by us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eans; 수신된 상기 동기화데이터를 상기 데이터타입에 기초하여 해석함으로써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Extracting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by interpreting the received synchronization data based on the data type; And 추출된 상기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 및/또는 상기 단말기 내의 상기 개인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And upda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server and / or the terminal by using the extracted personal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신수단은 블루투스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Bluetooth transceiv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신수단은 적외선 데이터 송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rared data transceiv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수신수단은 단문메세지의 송수신이 가능한 SMS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means is 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MS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hort messag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기화데이터는, 상기 개인정보의 변동 형식을 식별시키는 변경형식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And the synchronization data comprises a change format code for identifying a change forma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변동형식코드는, 새로이 데이터를 추가하는 명령인 신규코드, 기존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데이터를 삭제하는 명령인 삭제코드, 및 기존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의 데이터를 수정시키는 명령인 수정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The variation type code includes a new code that is a command to add new data, a deletion code that is a command to delete at least some data of existing data, and a modification code that is a command to modify data of at least some of the existing data. Personal information synchroniz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의 양이 상기 서버와 상기 단말기간에 하나의 프레임으로 송수신 가능한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변동된 상기 개인정보를 복수의 상기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상기 동기화데이터로 구획하는 단계; 및Dividing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into the synchronization data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rames when the amount of the changed personal information exceeds a capacity that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one frame between the server and the terminal; And 구획된 상기 동기화데이터의 상기 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송신 및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each frame of the partitioned synchronization data sequentially.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구획된 각각의 상기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프레임의 전송순서에 관한 정보를 갖는 전송순서코드, 및 상기 동기화데이터의 전체 프레임개수에 관한 정보를 갖는 프레임수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Each of the divided frames has a transmission order code having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order of each of the frames, and a frame number code having information on the total number of frames of the synchronization data. .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구획된 각각의 상기 프레임은, 각각의 상기 프레임이 하나의 상기 동기화데이터에 속하는 프레임임을 표시하는 데이터그룹코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정보 동기화방법.And wherein each of the partitioned frames has a data group code indicating that each of the frames belongs to one of the synchronization data.
KR10-2001-0006285A 2001-02-09 2001-02-09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KR100402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285A KR100402792B1 (en) 2001-02-09 2001-02-09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285A KR100402792B1 (en) 2001-02-09 2001-02-09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081A KR20020066081A (en) 2002-08-14
KR100402792B1 true KR100402792B1 (en) 2003-10-22

Family

ID=2769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285A KR100402792B1 (en) 2001-02-09 2001-02-09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27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999A (en) * 2002-07-26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up-dating a telephone number list of internet-pho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518A (en) * 2001-08-29 2003-03-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for managing tele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32876B1 (en) * 2001-10-19 2004-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in a fixed terminal equipment with data in a portable terminal equipment us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of
KR100689545B1 (en) * 2004-06-10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updated data
KR101173024B1 (en) * 2005-10-05 2012-08-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65A (en) * 1998-07-07 2000-02-07 신동훈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data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KR20010045365A (en) * 1999-11-04 2001-06-05 서평원 Synchronization syste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and synchronization method
KR20010051738A (en) * 1999-11-19 2001-06-25 니시무로 타이죠 Method for executing synchronous processing of data,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synchronous processing of data, and electronic instruments
KR20020036869A (en)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Pims data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 personal computer and pims server
KR20020063458A (en) * 2001-01-29 2002-08-03 인포뱅크 주식회사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Mobile-Terminal And Web Sync Serv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765A (en) * 1998-07-07 2000-02-07 신동훈 Mobile information terminal and data synchronizing method thereof
KR20010045365A (en) * 1999-11-04 2001-06-05 서평원 Synchronization syste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and synchronization method
KR20010051738A (en) * 1999-11-19 2001-06-25 니시무로 타이죠 Method for executing synchronous processing of data, recording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synchronous processing of data, and electronic instruments
KR20020036869A (en) * 2000-11-11 2002-05-17 구자홍 Pims data synchronization method between mobile station, personal computer and pims server
KR20020063458A (en) * 2001-01-29 2002-08-03 인포뱅크 주식회사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Between Mobile-Terminal And Web Sync Serv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999A (en) * 2002-07-26 200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up-dating a telephone number list of internet-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081A (en)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0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and content data acquiring system using the same
US7035629B2 (en) User interfac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a mobile terminal
KR100314175B1 (en) Mobile telephone unit having an sms phonebook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126989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information data in a mobile telephone
KR20060089805A (en) Apparatus for storing phone book and method for calling using the apparatus and mobile phone therefor
KR100566975B1 (en) remote function changing system of the cellular-pho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EP1796354B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log management during Bluetooth communication
KR100402792B1 (en) Method for synchronizing a personal information stored respectively in a terminal and a server
CN107135516B (en) Parameter test process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20080084157A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multi user interface in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therefor
KR20010001801A (en) Software update method by wireless network in wireless telephone set
KR20080082194A (en) Car navigation system, upgrade terminal, upgrade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20000073341A (en)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an image, image transmiss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 of
KR100365884B1 (en) Transmission Method of Business Card using Wireless Short Message
KR20060015362A (en) The mobile-phone and method for call history list
KR100606813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Exchangeing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Using Mobile Handset
KR100338732B1 (en) Data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KR20010107851A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ing corresponding Virtual Machine appli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Virtual Machine housed therein
KR100655063B1 (en) Method for managing editing a phrase i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077044A1 (en)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52671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drawing up a character message
KR100680747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asily updating Subscriber State Information on Home Location Register
KR200500905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browser image for mobile phone
KR10066156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data managing function using a grad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0725048B1 (en)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window on standby picture of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