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560B1 -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560B1
KR100400560B1 KR10-2001-0073614A KR20010073614A KR100400560B1 KR 100400560 B1 KR100400560 B1 KR 100400560B1 KR 20010073614 A KR20010073614 A KR 20010073614A KR 100400560 B1 KR100400560 B1 KR 10040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call
vibration
predetermined tim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825A (ko
Inventor
신희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560B1/ko
Publication of KR2003004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5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 수신에 따라 수신 모드가 벨소리 모드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벨소리를 출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통화 상태가 아닐 경우 소음을 측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소음의 크기가 기준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일정 시간동안 진동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 2 단계로 궤환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음이 심할 경우, 벨소리와 진동을 동시에 동작시켜 사용자의 수신 인식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시로 주위의 소음을 측정하여 진동을 동작 또는 정지시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METHOD FOR NOTIFYING INCOMING CALL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위의 소음 정도를 판단하여 소음이 심한 경우, 진동이 자동 동작되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수신 통보 방법은 호수신과 동시에 벨소리 모드일 경우, 주변 잡음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자동으로 벨소리 모드를 진동 모드으로 전환시킨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단말기를 몸에 휴대할 경우에만 고려한 것이므로, 단말기를 휴대용 가방에 소지할 경우에는 수신을 전혀 알수가 없다는 것이다.
둘째, 호수신과 동시에 한번만 소음을 판단하는 것은 사용자가 벨소리를 청취할 수 있는 개연성을 전혀 무시한 것이다.
세째, 호수신시에 소음을 판단하여 이후 소음의 원인이 제거되어도 진동으로 동작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호수신에 따라 벨소리 모드로 동작하고 있을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여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진동을 동시에 동작시키고, 수시로 소음의 세기를 측정하여 소음이 기준 레벨 이하일 경우 진동을 중지시키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호 수신에 따라 수신 모드가 벨소리 모드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벨소리를 출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통화 상태가 아닐 경우 소음을 측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소음의 크기가 기준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일정 시간동안 진동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 2 단계로 궤환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통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소음 측정 모듈 12 : 소음 판단 모듈
13 : 동작 모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 통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와,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20)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부(30)와, 복수개의 숫자 키와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10)로 키입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키입력부(40)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진동 동작을 수행하는 진동부(50)와,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벨 또는 멜로디 음을 재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알람 구동부(60)와,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신호를 승압시켜 안테나(70)로 출력하거나, 안테나(7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강압시켜 제어부로 출력하는 RF부(80)와, 음성 데이터의 압축 해제 동작을 수행하고 가청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마이크로부터 출력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 및 압축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마이크를 통해 출력된 외부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 모듈(11)과, 상기 측정된 소음 측정치가 기준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소음 판단 모듈(12)과, 상기 소음 판단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판단 결과값에 진동부를 동작 동작 또는 정지시키는 동작 모듈(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음 측정 모듈(11)은 소음을 측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현재 별도의 소음 측정을 위한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방법이나 종래의 EVRC 기술용으로 구성된 하드웨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즉, 마이크를 이용하여 주변의 노이즈를 측정하는 것인데, 마이크를 이용하여 소음으로 판단하기 위한 별도의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상기 소음 판단 모듈(12)은 상기 소음 측정 모듈로부터 얻어진 노이즈를 분석하여 사람이 벨소리를 인식할 수 없는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동작 모듈(13)은 상기 소음 판단 모듈로부터 기준 레벨 이상으로 판단되면 진동을 동작시키나, 기타의 또 다른 수신 통보 방법이 있을 경우 확장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 상에서의 동작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은 호 수신에 따라 수신 모드가 벨소리 모드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벨소리를 출력하는 단계(S100~S130)와;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통화 상태가 아닐 경우 소음을 측정하는 단계(S140~S160)와; 상기 측정된 소음의 크기가 기준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일정 시간동안 진동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 2 단계로 궤환되는 단계(S170~S190)로 이루어진다.
우선, 수신 호 발생에 따라(S100), 제어부(10)는 수신 모드가 진동 또는 벨소리 중 어떤 것으로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의 판단 결과, 진동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종료되고, 벨소리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제어부(10)는 소음 측정 타이머를 셋팅시켜(S120), 일정 시간(T1) 동안 벨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 후(S130), 즉, 상기 세팅된 소음 측정 타이머로부터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10)는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40).
상기 S140의 판단 결과, 통화 상태일 경우 종료되고,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통화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10)는 주기적으로 소음을 측정하도록 타이머를 셋팅시킨 후(S150), 소음을 측정한다(S160).
상기 S160의 측정 결과, 제어부(10)는 상기 측정된 소음이 기준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여(S170), 그 판단 결과, 기준 레벨 이상이면 진동을 동작시킨다(S180).
이 후, 상기 타이머에 셋팅된 일정 시간(T2) 경과 후(S190), 제어부(10)는 S140의 단계로 궤환되어 상술한 단계를 반복 수행하게 되는데, S140 단계의 수행 결과, 통화 상태이나 소음 측정시 기준 레벨 이하이면 진동을 정지시킨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소음이 심할 경우, 벨소리와 진동을 동시에 동작시켜 사용자의 수신 인식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시로 주위의 소음을 측정하여 진동을 동작 또는 정지시켜 전력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호 수신에 따라 수신 모드가 벨소리 모드일 경우, 일정 시간 동안 벨소리를 출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일정 시간 경과 후, 통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통화 상태가 아닐 경우 소음을 측정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측정된 소음의 크기가 기준 레벨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일정 시간동안 진동을 동작시킨 후, 상기 제 2 단계로 궤환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측정된 소음의 크기가 기준 레벨 이상일 경우, 진동을 동작시킴과 아울러 벨소리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KR10-2001-0073614A 2001-11-24 2001-11-24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KR10040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614A KR100400560B1 (ko) 2001-11-24 2001-11-24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3614A KR100400560B1 (ko) 2001-11-24 2001-11-24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25A KR20030042825A (ko) 2003-06-02
KR100400560B1 true KR100400560B1 (ko) 2003-10-08

Family

ID=2957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3614A KR100400560B1 (ko) 2001-11-24 2001-11-24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5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825A (ko) 2003-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ko) 부재중 알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부재중알림 방법
US20050059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muting an alert
KR10061714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착신 신호 자동 전환 방법
JP3791143B2 (ja) 携帯電話機
KR100400560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 통보 방법
JP2002319997A (ja) 携帯電話機
US66254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dio signal based answer call message generation
JP2001036611A (ja) 無線通信装置
JP2006325041A (ja) 着信通知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電話機
JP2002314633A (ja) 携帯端末装置
KR100362561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에서 스피커 출력 신호의 처리 방법
JP2000244633A (ja) 無線通信装置
KR101091245B1 (ko) 휴대단말기의 알람모드에서 수신알림 제한방법
KR100573481B1 (ko) 벨 모드 자동 전환을 통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알림방법
KR100918757B1 (ko) 호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067819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매너모드에서 상황을 알리는 방법
JP2004056651A (ja)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1155764B1 (ko) 고성 통화 억제기능을 갖는 단말기
JP4013431B2 (ja) 音声通信装置
JP2000197128A (ja) 無線通信機
KR100827149B1 (ko) 휴대단말기에서 호의 수신을 알리는 방법
KR101130007B1 (ko) 착신벨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 및 착신벨 제어방법
KR20030052455A (ko) 소음도에 따른 착신벨/진동모드변경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휴대전화기
KR20010009636A (ko) 무선전화단말장치의 유아 감시 방법
KR20070067342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취침 모드 진행시 수신정보 알림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