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982B1 -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 Google Patents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982B1
KR100395982B1 KR10-2000-0066232A KR20000066232A KR100395982B1 KR 100395982 B1 KR100395982 B1 KR 100395982B1 KR 20000066232 A KR20000066232 A KR 20000066232A KR 100395982 B1 KR100395982 B1 KR 100395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s
dialing
key input
mobile phone
inpu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23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36189A (en
Inventor
박진용
한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0-0066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982B1/en
Publication of KR20020036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61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982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부에 각각 장착되는 12개의 다이얼 버튼을 하나의 육각 형상 구조의 다이얼 버튼으로 형성하여 다이얼링 선택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에 의하면, 다이얼 버튼 및 메탈돔의 숫자를 줄여 휴대폰 사이즈를 줄이고 원가 절감을 최대한 확보해 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다 더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된 휴대폰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in a mobile phone which forms a dial button of one hexagonal structure, each of 12 dial buttons mounted on a front portion of a mobile phone case to recognize a dialing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dialing recogni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dial button and the metal dome to reduce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and ensure the most cost savings, thereby reducing the needs of consumers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esigns that can be me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users with more diverse designs of mobile phones.

Description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Dialing recognition device on mobile phone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부에 각각 장착되는 12개의 다이얼 버튼을 하나의 육각 형상 구조의 다이얼 버튼으로 형성하여 다이얼링 선택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dial button having a hexagonal structure of 12 dial button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case so that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can be recogniz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for mobile phones.

종래의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버튼은 "1, 2, 3, 4, 5, 6, 7, 8, 9, 0, #, *" 등 12개의 버튼이 각각 분리 장착되어 있으며, 그 휴대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12개의 버튼과 접촉되어 사용자가 상기 12개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누르면 그에 따른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12개의 메탈돔이 상기 12개의 버튼이 위치하는 대응된 위치에 장착되어 사용되었다.The buttons formed on the front of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case is equipped with twelve buttons, such as "1, 2, 3, 4, 5, 6, 7, 8, 9, 0, #, *", respectively. Inside the case, twelve metal domes,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twelve buttons and selectively press the twelve buttons to generate a dialing selection signal, are mounted and us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where the twelve buttons are locat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을 사용할 경우, 휴대폰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있는 추세에서 12개의 버튼을 각각 독립적으로 만들어주기에는 공간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기구적으로도 크기가 작아지는 휴대폰에 12개의 버튼을 만들어주는 과정에서 버튼과 버튼 사이의 공간이 줄게됨에 따른 미성형 및 금형이 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of space is lowered to make each of the 12 buttons independently in the trend that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is getting smaller, and also the size is mechanically In the process of making 12 buttons on a mobile phone that is small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nmolding and mold are bitten as the space between the buttons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육각 형상 구조로 다이얼 버튼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다 더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된 휴대폰을 제공해주기 위한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implementation of the dial button in one hexagonal structure to the user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designs more divers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for a mobile phone to provide a mobile phone with a desig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는,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부에 형성된 육각형상 구조의 각 꼭지점을 따라 "1, 3, 5, 7, 9, *" 를 표시하는 6개의 버튼과 상기 6개의 버튼 사이에 "2, 4, 6, 8, 0, #"의 숫자가 표시되는 6개의 숫자 버튼과 상기 6개 버튼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선택되어 눌리는 경우 그 버튼이 눌린 길이만큼 하부로 이동하여 6개의 메탈돔중 해당하는 메탈돔과 각각 접촉하는 접촉돌기와 상기 6개의 버튼 중심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6개의 버튼중 하나의 버튼이 메탈돔과 접촉시 5개의 버튼이 메탈돔과 접촉되지 않도록 시소 기능을 갖는 지지돌기로 이루어진 키입력 버튼, 및 상기 키입력 버튼의 각 꼭지점에 장착된 6개 버튼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접촉돌기와 근접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6개의 버튼중 임의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누르면 해당하는 근접한 접촉돌기와 접촉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6개의 메탈돔으로 구성된 키입력 버튼부; 및상기 키입력 버튼부내 메탈돔으로부터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다이얼링 선택신호에 상응한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aling recognition apparatus for a mobile phone, which displays "1, 3, 5, 7, 9, *" along each vertex of a hexagonal structure formed on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case. 6 buttons which are displayed with the number "2, 4, 6, 8, 0, #" between the 6 buttons and the 6 buttons, and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6 buttons, the button is selected by the user When pressed, the button moves downwards by the length of the button, and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ix buttons and the contact protrusion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corresponding metal domes of the six metal domes. A key input button comprising a support protrusion having a seesaw function so that the five button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tal dome, and the contact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ix buttons mounted at each vertex of the key input button. A key input button unit comprising six metal domes for contacting with a corresponding adjacent contact protrusion and generating a corresponding dialing selection signal when a user selectively presses any button among the six buttons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is in close proximity to the first button;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ial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metal dome in the key input button unit and to perform a dial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록도,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휴대폰의 개략정면도,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mobile phone shown to explain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휴대폰의 개략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obile phone shown to explain the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키입력 버튼부 110 : 키입력 버튼100: key input button 110: key input button

111 : 버튼 112 : 숫자 버튼111: button 112: number buttons

113 : 접촉 돌기 114 : 지지 돌기113: contact protrusion 114: support protrusion

120 : 메탈돔 200 : 제어부120: metal dome 200: control unit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의 기능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는 키입력 버튼부(100); 및 제어부(200)로 구성되어 있다.1 is a functional block diagram of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ey input button unit 100; And a control unit 200.

상기 키입력 버튼부(100)는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부에 육각 형상의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상기 휴대폰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20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The key input button unit 100 is formed in a hexagonal structure on the front of the mobile phone case, and serves to output a dialing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o the control unit 200 mounted inside the mobile phone.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키입력 버튼부(100)로부터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다이얼링 선택신호에 상응한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controller 200 receives a dial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key input button unit 100 and performs a dial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또한, 상기 키입력 버튼부(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버튼(111), 6개의 숫자 버튼(112), 다수개의 접촉돌기(113), 및 지지돌기(114)를 구비한 키입력 버튼(110); 및 6개의 메탈돔(120)으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key input button unit 100, as shown in Figures 2 and 3, six buttons 111, six number buttons 112,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113, and support protrusions ( A key input button 110 having a 114; And six metal domes 120.

상기 키입력 버튼(110)내에 장착된 6개의 버튼(111)은, 하나의 육각형상의 구조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육각형상 구조의 각 꼭지점을 따라 "1, 3, 5, 7, 9, *" 가 표시되는 위치에 장착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누르면 상기 6개의 메탈돔(120)중 선택된 메탈돔(120)을 터치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키입력 버튼(110)은 육각 형상의 구조 말고도 원형, 팔각 등 다양한 형상의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The six buttons 111 mounted in the key input button 110 are formed in one hexagonal structure and have "1, 3, 5, 7, 9, *" along each vertex of the hexagonal structure. At the same time, the user presses the selected metal dome 120 among the six metal domes 120. Here, the key input button 110 may be formed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ular, octagonal as well as the hexagonal structure.

한편, 상기 키입력 버튼(110)내에 장착된 6개의 숫자 버튼(112)은 상기 6개의 버튼(111) 사이에 "2, 4, 6, 8, 0, #"의 숫자로만 표시한 것으로, 사용자에게 다이얼링시 눌러야 할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the six number buttons 112 mounted in the key input button 110 are displayed only by the numbers of “2, 4, 6, 8, 0, #” between the six buttons 111 and the user. It tells the location to press when dialing.

상기 키입력 버튼(110)에 장착된 각각의 접촉돌기(113)는 상기 6개의 버튼(1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6개의 버튼(111)을 선택적으로 누르면 그에 따라 선택된 접촉돌기(113)가 버튼(111)과 함께 하강하여 상기 6개의 버튼(111)에 대응된 위치에 장착된 메탈돔(120)중 해당하는 메탈돔(120)과 접촉하는 역할을 한다.Each of the contact protrusions 113 mounted on the key input button 11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s of the six buttons 111 so that the user selectively presses the six buttons 111 to thereby select the selected contact. The protrusion 113 descends together with the button 111 to serve to contact the corresponding metal dome 120 of the metal domes 120 moun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ix buttons 111.

한편, 상기 키입력 버튼(110)의 중심 부분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돌기(114)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6개의 버튼(111)중 하나의 버튼(111)이 메탈돔(120)과 접촉시 5개의 나머지 버튼(111)이 메탈돔(120)과 접촉되지 않도록 시소 기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키입력 버튼(110)의 재질은 고무 또는 우레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upport protrusion 114 integrally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key input button 110 is 5 when one button 111 of the six buttons 111 in contact with the metal dome 1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remaining buttons 111 serve to maintain the seesaw function so as not to contact the metal dome 120. At this time, the key input button 110 may be made of rubber or urethane film.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dialing recognition method in a mobile 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a 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키입력 버튼부(100)로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First, the controller 200 receives a dialing selection signal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from the key input button unit 100.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키입력 버튼부(100)로부터 입력받은 다이얼링 선택신호가 키입력 버튼(110)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는 6개의 버튼(111)에 상응한 다이얼링 선택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n,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key input button unit 100 is a dialing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six buttons 111 corresponding to each vertex of the key input button 110. Judge.

이때, 상기에서 다이얼링 선택신호가 상기 키입력 버튼(110)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는 6개의 버튼(111)에 상응한 다이얼링 선택신호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키입력 버튼부(100)로부터 2개의 버튼(111)에 대한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At this time, if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is not a dialing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six buttons 111 corresponding to each vertex of the key input button 110, the control unit 200 is the key input button unit 100 Dialing selection signals for the two buttons 111 are received.

그런후,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키입력 버튼부(100)로부터 입력받은 2개의 버튼(111)에 대한 다이얼링 선택신호의 입력되는 시간 차이가 설정된 시간이내의 범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Thereafter,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time difference between the dialing selection signals for the two buttons 111 received from the key input button unit 100 is within a set time.

이때, 상기에서 2개의 버튼(111)에 대한 다이얼링 선택신호의 입력되는 시간 차이가 설정된 시간이내의 범위이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키입력 버튼(110)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는 6개 버튼(111) 사이의 숫자 버튼(112)이 선택되었음을 판단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다.At this time, if the input time difference of the dialing selection signals for the two buttons 111 is within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200 is six buttons corresponding to each vertex of the key input button 110. While determining that the number button 112 between 111 is selected, a corresponding dialing operation is performed.

반면에, 상기에서 다이얼링 선택신호가 상기 키입력 버튼(110)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는 6개의 버튼(111)에 상응한 다이얼링 선택신호이면, 상기 제어부(200)는 그 다이얼링 선택신호에 상응한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is a dialing selection signal corresponding to six buttons 111 corresponding to each vertex of the key input button 110, the control unit 200 dials corresponding to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Perform the action.

한편, 상기에서 2개의 버튼(111)에 대한 다이얼링 선택신호의 입력되는 시간 차이가 설정된 시간이내의 범위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키입력 버튼(110)의 각 꼭지점에 대응하는 6개 버튼(111) 사이의 숫자 버튼(112)이 선택되지 않았음을 판단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다이얼링 동작을 연속하여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put time difference of the dialing selection signals for the two buttons 111 is not within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200 is six corresponding to each vertex of the key input button 110 While determining that the number button 112 between the buttons 111 is not selected, a corresponding dialing oper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에 의하면,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부에 각각 장착되는 12개의 다이얼 버튼을 하나의 육각 형상 구조의 다이얼 버튼으로 형성하여 다이얼링 선택신호의 인식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다이얼 버튼 및 메탈돔의 숫자를 줄여 휴대폰 사이즈를 줄이고 원가 절감을 최대한 확보해 줄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보다 더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된 휴대폰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ialing recognition apparatus of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dial button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case are formed as dial buttons having a hexagonal structure so that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can be recognized. By reducing the number of dial buttons and metal domes, the mobile phone can be reduced in size and maximized cost savings. In addition, various designs have been applied to us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designs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There is a great effect that it can provide a mobile phone.

Claims (9)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부에 형성된 육각형상 구조의 각 꼭지점을 따라 "1, 3, 5, 7, 9, *" 를 표시하는 6개의 버튼과 상기 6개의 버튼 사이에 "2, 4, 6, 8, 0, #"의 숫자가 표시되는 6개의 숫자 버튼과 상기 6개 버튼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선택되어 눌리는 경우 그 버튼이 눌린 길이만큼 하부로 이동하여 6개의 메탈돔중 해당하는 메탈돔과 각각 접촉하는 접촉돌기와 상기 6개의 버튼 중심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6개의 버튼중 하나의 버튼이 메탈돔과 접촉시 5개의 버튼이 메탈돔과 접촉되지 않도록 시소 기능을 갖는 지지돌기로 이루어진 키입력 버튼, 및 상기 키입력 버튼의 각 꼭지점에 장착된 6개 버튼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접촉돌기와 근접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6개의 버튼중 임의의 버튼을 선택적으로 누르면 해당하는 근접한 접촉돌기와 접촉됨과 동시에 그에 상응한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발생시키는 6개의 메탈돔으로 구성된 키입력 버튼부; 및Six buttons displaying "1, 3, 5, 7, 9, *" along each vertex of the hexagonal structure formed in the front part of the mobile phone case, and "2, 4, 6, 8,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x number buttons displaying the numbers 0 and # "and the bottom of the six buttons, and when the button is selected and pressed by the user, the button moves downwards by the length of the button and corresponds to the six metal domes. And a contact protrusion contacting each of the metal domes, which are installed at the centers of the six buttons, and having a seesaw function so that five button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tal dome when one of the six buttons contacts the metal dome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hen the user selectively presses any of the six buttons in a state in which the key input button is formed of a protrusion, and the contact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six buttons mounted at each vertex of the key input button, A key input button unit consisting of six metal domes which are in contact with a corresponding adjacent contact protrusion and generate a corresponding dialing selection signal; And 상기 키입력 버튼부내 메탈돔으로부터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다이얼링 선택신호에 상응한 다이얼링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dialing selection signal from the metal dome in the key input button unit and to perform a dialing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ialing selection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6개의 숫자 버튼은, 다이얼링시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상기 키입력 버튼의 상부에 2, 4, 6, 8, 0, # 숫자로만 표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6개의 숫자 버튼중 "2"를 눌러 다이얼링 하는 경우 인접한 "1"과 "3"의 2개의 버튼이 동시에 눌리고 그 "1"과 "3"의 2개의 버튼 저면에 형성된 각 메탈돔이 설정된 시간이내의 범위로 다이얼링 선택신호를 제어부로 출력함에 따라 상기 "2"의 숫자 버튼의 다이얼링 동작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The six number buttons are displayed as only 2, 4, 6, 8, 0, # numbers on the top of the key input button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m when dialing, and the user presses "2" of the six number buttons. When dialing, two buttons of adjacent "1" and "3" are pressed simultaneously, and each metal dome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wo buttons of "1" and "3" outputs a dialing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ithin a set time period. Dialing recogni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performing the dialing operation of the number button of "2".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 버튼의 재질은 고무 또는 우레탄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의 다이얼링 인식장치.Dialing recognition device in a mobile phone,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key input button is a rubber or urethane fil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0-0066232A 2000-11-08 2000-11-08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KR1003959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32A KR100395982B1 (en) 2000-11-08 2000-11-08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6232A KR100395982B1 (en) 2000-11-08 2000-11-08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189A KR20020036189A (en) 2002-05-16
KR100395982B1 true KR100395982B1 (en) 2003-08-27

Family

ID=1969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232A KR100395982B1 (en) 2000-11-08 2000-11-08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982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351U (en) * 1986-12-10 1988-06-20
JPH11187102A (en) * 1997-12-24 1999-07-09 Hiroshi Yoshida Dial device for miniaturized telephone set
KR20000015421U (en)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imple keypad
KR20010077823A (en) * 2000-02-03 2001-08-20 김용숙 Korean character input device applying basic sentence
KR20020011714A (en) * 2000-08-04 2002-02-09 배한나 A dialing number input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200112533A (en)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Tower type air purify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5351U (en) * 1986-12-10 1988-06-20
JPH11187102A (en) * 1997-12-24 1999-07-09 Hiroshi Yoshida Dial device for miniaturized telephone set
KR20000015421U (en)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imple keypad
KR20010077823A (en) * 2000-02-03 2001-08-20 김용숙 Korean character input device applying basic sentence
KR20020011714A (en) * 2000-08-04 2002-02-09 배한나 A dialing number input device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20200112533A (en)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하나중공업 Tower type air purify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6189A (en)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7330B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US666495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and touch panel switch used therein
CN101238532A (en) Button input apparatus with display function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JP2007529949A (en) Cell phone keypad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keypad
KR100395982B1 (en) Device for dialing cognition in cellular phone
JP2002344583A (en) Operation panel for portable telephone set
JP2003209607A (en) Portable terminal
KR100677456B1 (en) Dom switch with multi contact point
CN205681517U (en) A kind of one touch dial older mobile phone
KR20050055841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sub lcd device useable both navigation key and lcd
KR101085162B1 (en) Key inpu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10008200A (en) Button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cellular-phone
KR20000060078A (en) Mobile terminal having improved structure
JPH0328616Y2 (en)
KR200239635Y1 (en) Phone Button Arrangement
KR200214782Y1 (en) Navigation Button for telephone
KR200238011Y1 (en) Telephone having Two Dial System
KR100625454B1 (en) Dome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switching contact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dome switch
KR20050027473A (en) Side button device of mobile phone
KR200381349Y1 (en) keypad for a handset
KR20060073202A (en) A display apparatus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72446B1 (en) Keypad and mobile terminal having it
JPH07221665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20040056582A (en) Key pad assembly
JP2001333165A (en) Mobile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