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5331B1 -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5331B1
KR100395331B1 KR10-2001-0006320A KR20010006320A KR100395331B1 KR 100395331 B1 KR100395331 B1 KR 100395331B1 KR 20010006320 A KR20010006320 A KR 20010006320A KR 100395331 B1 KR100395331 B1 KR 100395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ne number
voice
phone
phone book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6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6097A (ko
Inventor
박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6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5331B1/ko
Publication of KR20020066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6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5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04M1/27457Management thereof, e.g. manual editing of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처리방법이, 음성 정보 등록모드에서 음성 정보 및 음성 다이알링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수신된 전화번호를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과정과, 수신된 전화번호가 폰북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같을 시 이를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이후 키패드를 통해 수신되는 수정된 이름과 함께 상기 폰북에 저장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삭제방법이, 삭제모드시 수신전화번호가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번호인가 검사하는 과정과,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번호이면 상기 폰북에서 전화번호 및 이름을 삭제하고 삭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함께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OF PHONE BOOK IN MOBILE TELEPHONE HAVING VOICE DIALING FUNC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폰 북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의 다이알링을 수행하는 방법은 키패드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법과, 음성 정보를 저장하고 다이알링시 사용자의 음성 정보에 의해 다이알링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상기 키패드를 통해 다이알링하는 방법은 키패드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에 전화번호들 및 대응되는 정보를 미리 저장시켜 놓고 통화 시도시 이를 억세스하여 다이알링하는 방법과, 통화시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직접 다이알링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음성 다이알링 방식은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이름 및 음성 데이터 등)는 음성 정보로 저장하고 이에 따른 전화번호는 키패드를 통해 저장시킨 후, 통화시도시 음성 정보를 말하여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에서 전화번호 삭제할 경우 음성 다이얼링(voice dialing)을 위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 이름, 전화번호가 삭제되지 않고 음성 다이얼링을 위한 저장영역에 계속 남아있었으며, 음성 다이얼링에서 이름을 수정할 경우 폰북에서의 이름과 서로 다르게 표시되었다.
그러므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에서 전화번호 삭제할 경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 이름, 전화번호가 삭제되지 않게 되므로, 음성 다이얼링에서 이름을 수정할 경우 폰북에서의 이름과 서로 다르게 표시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혼동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번호 삭제할 경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 이름, 전화번호를 폰북에서 삭제하고, 음성 다이얼링에서 이름을 수정할 경우 폰북에서도 이름을 동시에 수정되어 사용자로 음성 다이얼링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다이알링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삭제시 대응되는 음성정보도 함께 폰 북에서 삭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 다이알링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를 수정할 때 대응되는 음성정보도 함께 폰북에서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 다이얼링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에서 음성 정보를 삭제할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만 삭제하여 기존의 전화번호와 이름을 폰북에 계속 유지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번호 입력 시 폰북에 동일한 전화번호가 있으면 폰북에서의 이름의 표시하도록 하여 수정 및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처리방법이, 음성 정보 등록모드에서 음성 정보 및 음성 다이알링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폰북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같을 시 이를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이후 키패드를 통해 수신되는 수정된 이름과 함께 상기 폰북에 저장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음성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삭제방법이, 삭제모드시 수신전화번호가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번호인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번호이면 상기 폰북에서 전화번호 및 이름을 삭제하고 상기 삭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함께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의 정보를 등록 및 수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에 저장된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음성 다이얼링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phone book)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발명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폰북에서 전화번호를 삭제할 경우 음성 다이얼링을 할 수 없도록 음성 데이터를 제거하도록 하고 그와 반대로 음성 데이터를 삭제할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만 삭제하여 기존의 전화번호와 이름을 폰북에 계속 유지시키도록 하는 방법과, 음성 다이얼링의 전화번호 입력 시 폰북과 같은 전화번호가 있으면 폰북에서의 이름의 표시하도록 하여 수정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폰북에서 전화번호 삭제할 경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 이름, 전화번호가 삭제하고, 음성 다이얼링에서 이름을 수정할 경우 폰북에서도 이름을 동시에 수정되어 사용자로 음성 다이얼링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다이얼링과 폰북과 연계방법은 음성 다이얼링 전화번호 저장하는 과정과삭제하는 과정에서 폰북의 이름과 연계시켜 처리한다.
도 1은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1증폭부(140)는 스피커(160)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제2증폭부(150)는 마이크(170)로부터 발생되는 음성 신호를 증폭한다. 키패드(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 문자 및 숫자 정보를 발생하는 키들을 구비하며, 또한 음성 다이알링 위한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 키(이하 음성 모드키라 칭한다)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0)는 다이얼링 및 각종제어 명령키 신호를 발생한다. CPU(120)는 상기 키패드(110)의 출력을 입력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고,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신호처리기(191)을 통해 수신한후 해당 구성요소에 제공하도록 명령하며, 또한 각종 송신 데이터를 발생시켜 상기 신호처리기(191)을 통해 기지국으로 발신 명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CPU(120)은 음성 다이알링시의 기능을 제어하며,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다이알링을 위한 폰북의 음승 정보 삭제 및 변경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메모리(100)은 각종 ID 데이터(identification data),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및 인식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CPU(120)에 의해 억세스된다. 또한 상기 메모리1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폰북(phone book)을 구비하며, 상기 CPU(120)의 제어하에 삭제 및 수정되는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삭제 및 수정한다. 표시부(130)는 상기 CPU(12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증폭부(190)는 음성신호 및 각종 송수신 데이터를 증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RF송신부(180)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증폭부(190)에 제공하고, 상기 증폭부(180)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 및 음성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발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처리기(191)는 CODEC(Coder/Decoder) 기능과 MODEM(Modulator/Demodulator) 기능을 구비하여 상기 송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한다. 즉, 상기 신호처리기(191)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고, 수신되는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조 및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1과 같은 구성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음성모드키가 발생되면 상기 CPU(120)는 이를 감지하고, 음성 다이알링 위한 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등록, 변경 또는 삭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상기 CPU(120)는 마이크(170)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메모리(100)에 저장하고, 상기 음성정보에 대응되는 전화번호 및 이름을 상기 메모리(100)의 폰북에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가 키패드(110)를 사용하여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상기 CPU(120)는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와 상기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며, 상기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같으며 이름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110)을 이용하여 상기 전화번호를 수정할 수 있으며, 상기 CPU(120)는 상기 수정되는 전화번호 정보를 표시부(130) 상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수정된 전화번호의 이름은 다시 폰북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수정된 이름이 폰북에서도 표시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110)를 이용하여 상기 폰북에 저장되어있는 전화번호를 삭제할 경우, 상기 CPU(120)은 및 상기 폰북에서 음성 다이얼링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폰북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폰북은 전화번호, 이름 및 음성 정보등을 함께 저장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폰북은 전화번호 및 이름 정보만을 저장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는 별도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후자의 경우 상기 음성 메모리와 상기 폰북은 서로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
도 2는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정보 입력시 폰북과 연계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키패드(110)를 통해 음성모드키가 입력되면, 상기 CPU(120)는 222단계에서 음성모드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모드는 음성 다이알링을 위해 전화번호 및 음성정보를 등록, 삭제 및 변경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상기 음성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CPU(120)는 224 및 226단계에서 마이크(170)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 정보와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수신되는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후 상기 CPU(120)는 228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상기 메모리(100)의 폰북에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들과 비교한다. 이때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상기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 상기 CPU(120)은 238단계 및 240단계를 수행하여 이름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와 이름을 상기 표시부(130)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동시에 상기 폰북에 전화번호, 이름을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폰북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같으면, 상기 CPU(120)는 상기 (228)단계에서 이를 인지하고, 230단계에서 상기 폰북에 표시된전화번호와 이름을 표시부(130) 상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CPU(120)는 232단계에서 폰북의 이름을 수정하는가 검사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130) 상에 폰북에 저장된 저장된 전화번호와 이름이 표시되면, 즉, 입력한 전화번호가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이면, 키패드(110)를 이용하여 상기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의 이름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0)를 통해 수정하고자 이름에 대한 정보수가 수신되면, 상기 CPU(120)는 232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36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동시에 폰북에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 및 이에 대응되는 이름을 저장한다. 그러나 상기 232단계에서 이름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폰북에 이전의 이름 및 전화번호를 유지시킨다.
상기 도 3은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폰북의 전화번호와 이름을 삭제하는 경우의 음성정보 삭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삭제하기 위한 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CPU(120)은 삭제모드를 설정한다. 이후 333단계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CPU(120)는 335단계에서 삭제하고자 하는 전화번호가 음성 다이알링에 사용되는 전화번호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전화번호가 음성 다이알링 기능이 가지지 않는 전화번호이면 상기 CPU(120)는 339단계에서 상기 폰북의 해당하는 전화번호 및 이름을 삭제한다. 그러나 상기 335단계에서 음성 다이알링에 해당되는 전화번호로 판단되면, 상기 CPU(120)는 337단계에서 상기 삭제하고자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 및 상기 폰북의 해당하는 전화번호 및 이름을 함께 삭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 삭제할 경우 음성 다이얼링을 위해 저장된 음성 데이터, 이름, 전화번호들을 한꺼번에 삭제할 수 있으며, 음성 다이얼링에서 이름을 수정할 경우 폰북에서도 이름을 동시에 수정할 수 있어 음성 다이얼링을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처리방법에 있어서,
    음성 정보 등록모드에서 음성 정보 및 음성 다이알링에 사용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폰북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가 폰북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같을 시 이를 표시하고,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를 이후 키패드를 통해 수신되는 수정된 이름과 함께 상기 폰북에 저장하고,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처리방법.
  2.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삭제방법에 있어서,
    삭제모드시 수신전화번호가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번호인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전화번호이면 상기 폰북에서 전화번호 및 이름을 삭제하고 상기 삭제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음성정보를 함께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 삭제방법.
KR10-2001-0006320A 2001-02-09 2001-02-09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처리 방법 KR10039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320A KR100395331B1 (ko) 2001-02-09 2001-02-09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6320A KR100395331B1 (ko) 2001-02-09 2001-02-09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097A KR20020066097A (ko) 2002-08-14
KR100395331B1 true KR100395331B1 (ko) 2003-08-25

Family

ID=2769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6320A KR100395331B1 (ko) 2001-02-09 2001-02-09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53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525A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음성 전화 번호부가 내장된 음성인식 자동 다이얼링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59525A (ko) * 1997-12-30 1999-07-26 구자홍 음성 전화 번호부가 내장된 음성인식 자동 다이얼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6097A (ko)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2278B2 (en) Dialing method for dynamically simplifying international call in cellular phone
CN1845564B (zh) 使用快捷键的呼叫发起方法及使用该方法的移动通信终端
US20120165014A1 (en) Wireless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395331B1 (ko) 음성 다이알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의 폰북 정보처리 방법
KR100432625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폰트 표시방법
US200700601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calling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H07147694A (ja) 携帯電話装置
KR100645765B1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목록 자동 갱신 방법
KR20040022286A (ko) 단문메시지를 통하여 분실한 휴대전화기의 위치를 찾는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전화기
JPH10164210A (ja) 携帯電話機
KR20040060636A (ko) 휴대폰 저장 전화번호부의 유선전화 이용장치
KR100839838B1 (ko)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KR100277070B1 (ko) 통신단말기의 발신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977993B1 (ko) 이동단말기의 수신거부 방법
KR20050095485A (ko) 휴대폰 동작의 원격제어방법
JPH11313140A (ja) 移動体通信装置
JP2005202644A (ja) 携帯情報端末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100539873B1 (ko) 이동단말기의미확인수신단문메시지검색방법
KR1006058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93728B1 (ko) 휴대폰용 전화기의 무료통화서비스 방법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KR20020017618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쇼트메시지 내용편집 및 전송방법
KR100790126B1 (ko) 폰 북의 개인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