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5410B1 -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5410B1
KR100375410B1 KR10-1999-0032845A KR19990032845A KR100375410B1 KR 100375410 B1 KR100375410 B1 KR 100375410B1 KR 19990032845 A KR19990032845 A KR 19990032845A KR 100375410 B1 KR100375410 B1 KR 100375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recep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8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47458A (en
Inventor
김태화
Original Assignee
김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화 filed Critical 김태화
Priority to KR10-1999-003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5410B1/en
Priority to AU16924/00A priority patent/AU1692400A/en
Priority to PCT/KR1999/000751 priority patent/WO2000038337A1/en
Publication of KR2000004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4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541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이 감지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음모드로서 수신음을 발생하는 수신모드와 진동을 구현하는 진동모드를 구비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충격감지부; 및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의 수신모드가 수신음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출력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모드를 수신음 모드에서 진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수신모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정보통신단말기 예컨대 핸드폰에서 수신음모드를 진동모드로 바꾸는 것을 잊은 경우, 핸드폰의 수신음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주머니 또는 가방 안에 소재된 핸드폰의 근처에 약간의 충격을 가함으로써 핸드폰에서 발생되는 수신음이 바로 꺼지기 때문에 수신음이 소음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충격을 가함에 따라서 진동모드 뿐만이 아니라 발광모드, 묵음모드 또는 통화모드가 구현되며, 이동물과 고정물이 서로 접촉되는 횟수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의 세기를 검출할 수 있는 저가의 충격센서로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sens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is sensed,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device, wherein the reception generates a reception sound as a reception sound mode for receiving a signal.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bration mode for realizing a mode and vibratio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hock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shock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detection output; And receiving a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mo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a reception sound mode, and then receiving a signal to generate a reception sound. And a mode control unit. Accordingly, when the user forgets to change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slight shock is applied to a cell phone located in a pocket or a bag to quickly remove the reception sound of the mobile phone. Since the reception sound is turned off immediately, the reception sound is prevented from being silenced, and as a shock is applied, not only the vibration mode but also the light emission mode, the silent mode, or the call mode are realized, and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by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object and the fixtu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d as a low-cost shock sensor that can detect the strength of the.

Description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의하여 수신음모드가 진동모드로 전환토록 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detect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device, and in particular,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or switching the reception sound mode to a vibration mode by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det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device.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 핸드폰과 같은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와 HPC(Handheld PC) 등을 포함하는 정보통신단말기는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고, 기지국의 증대에 따라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크게 증대되는 실정이다.In general,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ing wireless telephones, mobile phon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ce) and HPCs (Handheld PCs), etc., can be used while being carried. Therefore, the situation is greatly increased.

종래 기술에서 정보통신단말기는 다이얼용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전화 기능을 제어하게 되는데, 전화수신시에 전화벨로 사용되는 수신음을 진동모드 또는 수신음모드로 전환하기 위하여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버튼을 조작하여야 한다.In the prior art,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s a telephone function by operating a button for dialing. In order to switch a reception sound used as a telephone ring to a vibration mode or a reception sound mode, a button provided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ust be operated. do.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정보통신단말기는 사용자가 수신음모드에서 진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잊은 경우, 공공장소, 음악회 또는 공식석상 등에서 수신음이 발생되면, 상기 수신음을 끄기 위하여 주머니 또는 가방안에 있는 핸드폰을 꺼내어 핸드폰의 버튼 또는 플립을 조작할 때까지 시간이 상당히 경과되기 때문에 그 정숙함을 깨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hen a user forgets to switch from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when a reception sound is generated in a public place, a concert or a public seat, etc., a mobile phone in a pocket or a bag to turn off the reception sound. There was a problem that breaks the quietness because the time elapses until the user can take out the button or flip the phon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으로 스위칭되어서 단말기의 수신음모드를 진동모드 또는 비수신음모드로 전환시키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 및 상기 장치를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and a device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detect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switched to a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by a user to switch the reception sound mode of the terminal to a vibration mode or a non-receipt sound mode. It is to provide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detect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충격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impact detection unit of FIG.

도 3은 도 1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가 구비된 정보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shock is detected in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68.. 충격감지부 4.. 충격스위치1, 68. Shock detection unit 4. Shock switch

5, 64.. 제어부 10.. 질량체5, 64. Controls 10. Mass

20.. 제1부재 30.. 제2부재20. First member 30. Second member

40, 45.. 지지대 50.. 검출부40, 45. Support 50. Detection

60.. 탄성부재 61.. 안테나60. Elastic member 61. Antenna

62.. 통신부 65.. 발광부62 .. Communication unit 65 .. Light emitting unit

66.. 수신음 발생부 69.. 진동구현부66 .. Reception sound generator 69 .. Vibration implementation

70.. 정보통신단말기 V.. 전원70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inal V .. Pow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음모드로서 수신음을 발생하는 수신모드와 진동을 구현하는 진동모드를 구비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충격감지부; 및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의 수신모드가 수신음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출력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모드를 수신음 모드에서 진동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수신모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sens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including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vibration mode for implementing vibration as a reception sound mode for receiving a signal. A terminal, comprising: an impact sensing unit for generating a sensing output by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And receiving a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mo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a reception sound mode, and then receiving a signal to generate a reception sound. And a mode control unit.

상기 충격감지부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의하여 이동되는 질량물과, 상기 질량물이 이동되면서 접촉되도록 상기 질량물의 주위에 위치되는 고정물을 포함하고, 상기 질량물과 상기 고정물이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질량물 또는 고정물 중의 어느 하나에 인가된 전원이 다른 하나로 도통되는 충격스위치; 및 상기 충격스위치의 질량물 또는 고정물 중 어느 하나에서 도통되어 출력되는 상기 전원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impact sensing unit includes a mass that is moved by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 fixture positioned around the mass so that the mass is in contact with the mass, and the mass is in contact with the fixture. An impact switch in which power applied to either water or a fixture is conducted to the other; And a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power that is conducted and output from any one of the mass or the fixture of the impact switc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음모드로서 수신음을 발생하는 수신모드와 진동을 구현하는 진동모드를 구비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충격감지부; 및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서 수신모드가 수신음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출력이 발생하면, 상기 수신모드를 비수신음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는 수신모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during shock detection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vibration mode for realizing a reception sound and vibratio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n impact detection unit for generating a detection output by detecting an impact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And a reception mode controller for receiving a signal in a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mode is set to a reception sound mode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generating a reception sound, and then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to a non-receiving sound mode when the shock output is generated. Characterized by includ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음모드로서 수신음을 발생하는 수신모드와 진동을 구현하는 진동모드를 구비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충격감지부; 및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의 수신모드가 진동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일정시간동안 진동이 발생되도록 하는 예비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모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출력이 발생하면, 상기 예비모드를 유지시키는 수신모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during shock detection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a signal and a vibration mode for realizing a reception mode for generating a reception sound and vibratio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hock detection unit for generating a detection output by detecting a shock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And a preliminary mode for generating a vib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signal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mo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a vibration mode, and in the preliminary mode state, a sensing output is generated in the shock detector. If so,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ption mode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reserve mo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를 구비한 정보통신단말기는,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상기 정보통신단말기로의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신호수신부; 수신음모드에서, 상기 신호수신부의 신호 수신에 따라 이동통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수신음을 발생하는 수신음 발생부; 진동모드에서, 상기 신호수신부의 신호 수신에 따라 이동통신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상기 정보통신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구현부; 외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출력을 발생하는 충격감지부; 및 상기 수신음 발생부에서 상기 수신음 발생 후,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발생된 감지출력에 의하여 상기 수신모드를 상기 수신음모드에서 상기 진동모드로 전환하는 수신모드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sens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or receiv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ignal receiver; A reception sound generator for generating a reception sound for notifying that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in response to the signal reception of the signal receiver; In the vibration mode, the vibration implementation unit for vibrating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or notifying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reception of the signal receiver; A shock detector configured to detect a shock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and generate a sensing output; And a reception mode controller configured to switch the reception mode from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by the detection output generated by the impact detector after the reception sound is generated by the reception sound generator.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a shock is detected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는 충격감지수단인 충격감지부(1)와 제어수단인 수신모드 제어부(5)를 포함한다.As shown, the apparatus for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at the time of shock detection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act detection unit 1 as shock detection means and a reception mode control unit 5 as control means.

상기 충격감지부(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한다.The shock detector 1 detects a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수신모드 제어부(5)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되는 무선통화를 제어하며, 충격을 감지한 충격감지부(1)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여 정보통신단말기의 수신음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시키는데, 실시예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회로를 포함한다.The reception mode control unit 5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of mobile communication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verts the reception sound mo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to the vibration mode by inputting the output of the shock detection unit 1 that detects a shock. An embodiment includes an electronic circuit comprising a microprocessor.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when the shock detection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즉,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는 사용자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충격감지부(1)에서 감지한다.That is, the device for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when the shock is detected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enses the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by the user in the shock detection unit (1).

상기 감지에 따라서 충격감지부(1)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수신모드 제어부(5)로 입력되고, 이에 따라서 정보통신단말기인 핸드폰에서 출력되는 수신음 예컨대 벨(bell) 소리가 수신모드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하여 진동모드로 전환된다.In response to the detection, a signal output from the shock detection unit 1 is input to the reception mode control unit 5. Accordingly, a reception sound, for example, a bell sound output from a mobile phone, which i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s inputted by the reception mode control unit 5. The control is switched to the vibration mode.

이때, 상기 진동모드 대신에 다른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전화의 수신상태가 지속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를 발광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instead of the vibration mo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may be provided as another embodiment, and may emit light to indicate that the reception state of the phone continues.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수신음인 상기 벨소리 대신에 일정시간동안 진동되고, 그 다음에 수신음으로서 벨소리가 발생되는 예비모드를 구비한다. 그러면, 일정시간동안 진동되는 예비모드 상태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지한 사용자가 정보통신단말기인 핸드폰의 외관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진동되는 상기 예비모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예비모드의 진동을 바로 감지하면, 정보통신단말기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전화수신시에 상기 벨소리가 전혀 발생되지 않도록 동작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 spare mode is provided in which a sound is vib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stead of the ringtone, which is a reception tone, and then a ringtone is generated as a reception tone. Then, in the preliminary mode in which the vibration is gen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user who senses the generated vibration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preliminary mode in which the user vibrates by impacting the appearance of the cellular phone, which i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when the user senses the vibration of the reserve mode immediately, the user may be operated to not generate the ringtone at the time of receiving a call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예비모드 상태에서 충격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에 상기 예비모드의 진동은 수신음모드로 전환되면서 벨소리가 발생된다.At this time, if the shock is not applied in the preliminary mode state, the vibration of the preliminary mode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is switched to the reception sound mode to generate a ringtone.

이와 같이, 사용자가 주위에 소음을 유발시키지 않고 단순히 정보통신단말기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진동모드로 전환된 핸드폰으로 통화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충격모드는 에티켓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As such, the shock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n etiquette mode because the user can talk to the mobile phone switched to the vibration mode by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causing noise to the surroundings.

또한,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됨에 따라서 정보통신단말기가 충격에 의하여 수신음모드에서 진동모드로 수신모드가 변경되고, 통화가 끝난 후에 상기 진동모드는 다시 수신음모드로 변경된다. 즉, 다음 차례의 신호 수신시에 외부충격에 의하여 수신음모드에서 진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Further, as set by the program, the reception mode is changed from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by the impac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vibration mode is changed back to the reception sound mode after the call. That is, it is prepared to switch from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by external shock at the next signal reception.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충격모드는 통화를 하기 위한 통화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음이 발생된 후, 플립을 열거나 또는 통화버튼을 누룸없이 정보통신단말기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바로 통화할 수 있다. 이때, 충격이란 사용자가 정보통신단말기를 건드림에 따른 터치(touch)부터 정보통신단말기를 가볍게 흔들어서 충격을 가하는 것까지 포함됨은 자명한 것이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hock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call mode for making a call. For example, after the reception sound is generated, a call can be made immediately by opening a flip or applying an impact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pressing a call button. At this time, the shock is obvious to include the impact from the touch (touch) as the user touche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o shake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lightly.

도 2는 도 1의 충격감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감지부(1)는 충격스위치(4)와 검출부(50)를 포함한다.2 is a view showing the impact detection unit of FIG. 1, the impact detection unit 1 includes an impact switch 4 and a detection unit 50.

상기 충격스위치(4)는 질량체(10), 제1부재(20) 및 제2부재(30)를 포함한다.The impact switch 4 includes a mass body 10, a first member 20, and a second member 30.

상기 질량체(1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소정의 질량을 갖는다.The mass 10 has a predetermined mass so as to be sensitive to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제1부재(20)는 질량물로서 일단이 지지대(40)에 고정되고, 타단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질량체(10)가 연결되며, 전원(V)이 인가된다.One end of the first member 20 is fixed to the support 40 as a mass, extends in the other end, and the mass body 10 is connected to an end thereof, and a power source V is applied.

상기 제2부재(30)는 고정물로서 원형상으로 구비되고, 제1부재(20)의 연장된 타단이 상기 원형상의 내측으로 내재되며, 지지대(45)에 지지된다.The second member 3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as a fixtur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20 is embedded inside the circular shape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45.

상기 검출부(50)는 충격스위치(4)로부터 발생되는 전원(V)을 검출하는 전자회로이다.The detector 50 is an electronic circuit for detecting the power supply V generated from the impact switch 4.

이하, 상기와 같이 충격스위치(4)와 검출부(5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충격감지부(1)에 대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hock detection uni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impact switch 4 and the detection unit 50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즉,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제1부재(2O)의 타단에 구비되는 질량체(10)에 상기 충격이 인가되기 때문에 제1부재(20)가 휘어지고, 이에 따라서 제1부재(20) 또는 질량체(10)가 제2부재(30)에 접촉된다.That is,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since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mass body 1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200, the first member 20 is bent, and accordingly, the first member 20 or The mass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mber 30.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스위치(4)는 외부로부터 실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이동되는 질량물로서 점선으로 도시된 제1부재(10a)가 고정물인 제2부재(30)에 접촉되면, 제1부재(10a) 또는 제2부재(30)중의 어느 하나에 인가된 전원(V)이 다른 하나로 도통된다.As shown in FIG. 2, the impact switch 4 is a mass that is moved by an impact applied in the direction of a solid arrow from the outside, and the second member 30 whose first member 10a shown in dotted line is a fixture.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V applied to either one of the first member 10a or the second member 30 is conducted to the other.

또한, 상기 질량물의 휘어짐을 유발시키는 탄성부재는 두께, 길이 및 재질에 따라서 탄성의 세기가 조정된다. 즉, 상기 질량물에 인가되는 일정크기 이상의 충격만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that causes the bending of the mass of the elastic strength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length and material. That i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may be adjusted to detect only the impact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pplied to the mass.

다른 실시예로서 제1부재(20)가 고정되고, 제2부재(30)가 탄성부재(6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질량물과 고정물은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되는 질량물로서 점선으로 도시된 제2부재(30a)가 이동되어서 고정물인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는 질량체(10)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원(V)이 제2부재(30)로 연결되며, 검출부는 제1부재(20)로 연결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member 20 may be fixed, and the second member 30 may b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60. That is, the mass and the fixture can be interchanged. As shown in FIG. 2, as the mass to be moved, the second member 30a shown in dotted lines may be moved to contact the mass 10 or the first member 20 that is a fixture. In this case, the mass body 10 may not be provided. 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power supply V is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30, and the det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ember 20.

그러면, 탄성을 가지며 지지대(45)에 고정되며 탄성부재(60)에 연결되는 제2부재(30)는 원형상으로 되는 고리 자체가 소정의 질량을 가지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운동된다. 이때, 도면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 또는 제2부재(30)의 운동방향은 지면에 개략 수직되는 방향이다.Then, the second member 30 having elasticity and fixed to the support 45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60 is shown as a dotted line by an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because the ring itself having a circular shape has a predetermined mas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dotted line in the drawing or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econd member 30 is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이와 같이, 제2부재(30)를 지지하는 탄성부재(60)의 휘어짐에 의하여 제2부재(30)가 제1부재(20) 또는 질량체(10)에 접촉됨에 따라서 제1부재(20)에 인가된 전원(V)이 지지대(45)에 고정된 제2부재(30)로 도통되고, 제2부재(30)에 연결된 검출부(50)에서 상기 전원(V)이 검출된다. 따라서 상기 검출된 신호를 입력하는 수신모드 제어부(5)는 수신음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시킨다.As such, the second member 30 contacts the first member 20 or the mass body 10 due to the bending of the elastic member 60 supporting the second member 30 to the first member 20. The applied power V is conducted to the second member 30 fixed to the support 45, and the power V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50 connected to the second member 30. Therefore, the reception mode control unit 5 for inputting the detected signal switches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한편, 제1부재(20)는 그 탄성력에 따라서 도면에서 도시된 방향 이외의 방향 예컨대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는 동작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탄성력을 크게 하면, 정보통신단말기의 위치 또는 중력에 따라서 휘지 않기 때문에 외부에서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가 제2부재(30)와 서로 접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member 20 may not be operated in a force applied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on shown in the figure, for examp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force. That is, when the elastic force is increased, the mass body 10 or the first member 20 may contact the second member 30 only when an impact is applied from the outside because it does not be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r gravity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e.

또한, 질량체(10)와 제2부재(30)가 외부로부터 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서로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V)이 서로 도통되지 않고, 이에 따라서 전원(V)의 소비가 저감된다.In addition, when the mass 10 and the second member 3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a force is not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power supplies V do not conduct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ies V is reduced.

또, 상기 질량물과 고정물로 되는 상기 충격스위치(4)의 제1부재(20) 또는 제2부재(30)는 적어도 어느 하나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전기적으로 검출토록 하는 압전소자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전소자는 정보통신단말기의 내부 또는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In addition, the first member 20 or the second member 30 of the impact switch 4, which is made of the mass and the fixture, may be a piezoelectric element for electrically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impacts applied from the outside. . In this case,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한편,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서로 접촉되어 있든지 또는 이격되어 있든 지에 상관없이 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면,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와 제2부재(30)가 서로 접촉되었다가 떨어지거나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가 힘이 인가되는 방향으로 전후 진동되면서 제2부재(30)와 여러 차례 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에 의하여 전원(V)이 변환되기 때문에 검출부(50)에서 이를 검출할 수 있다.Meanwhile, a signal may be detected regardless of whether the mass 10 or the first member 20 and the second member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mass body 10 or the first member 20 and the second member 3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all off or the mass body 10 or the first member 20 is applied to the force It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member 30 several times while vibrating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As such, since the power source V is converted by the contact, the detection unit 50 may detect the same.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가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하여 제2부재(30) 내에서 진동되면서 양측으로 접촉되는 경우, 상기 접촉되는 횟수만큼의 신호가 검출부(50)에서 검출된다. 따라서, 검출되는 횟수를 카운트함에 의하여 가해지는 충격의 세기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스위치(4)는 충격크기의 정도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로 사용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ass body 10 or the first member 20 contacts both sides while vibrating in the second member 30 by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ignal is detected as many times as the contact number. Is detected at 50. Therefore, since the intensity of the impact applied by counting the number of times of detection can be detected, the impact switch 4 can be used as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he degree of impact size.

결국,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와 제2부재(30)가 서로 접촉되도록 외부로부터 충격스위치(4)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접촉에 의하여 적어도 한 번 이상의 신호가 발생된다. 이에 따라서 검출부(50)에서 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신호가 수신모드 제어부(5)를 포함하는 정보통신단말기의 중앙제어부에서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설정되는 프로그램으로 가능하다.As a result, when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mpact switch 4 such that the mass 10 or the first member 20 and the second member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signal is generated by the contact. . Accordingly, the detection unit 50 can detect the signal, and it is possible to set the program so that the detected signal can be identified by the central control unit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the reception mode control unit 5.

즉, 평상시에 질량체(10) 또는 제1부재(20)와 제2부재(30)가 서로 접촉하는 것은 감지하지 않고, 수신음이 발생하고 있으며, 동시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를 감지하여 정보통신단말기의 제어부에서 수신음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하는것은 제어부에 포함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설정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가능하다.That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mass body 10 or the first member 20 and the second member 30 is not detected in normal times, but a reception sound is generated and a force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in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by a program set in the microprocessor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이러한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정보통신단말기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detailed method of setting such a program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belong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외부로부터 정보통신단말기인 핸드폰에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스위치(4)에 의하여 그 충격이 감지되고, 감지된 것을 신호로 변환시키는 검출부(50)에서 신호가 검출된다. 이에 따라서 검출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의 제어부는 소리가 발생되는 수신음모드를 단말기를 진동시키는 진동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정보통신단말기인 핸드폰은 사용자의 겉옷의 주머니 속 또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가방의 내부 등과 같이 소재 위치와는 무관하게 상기 충격이 가해지는 것이 감지되면 바로 진동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As such,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cellular phone, which i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the impact is detected by the impact switch 4, and a signal is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50 that converts the detected signal into a signal. Accordingly, the controller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detected signal as an input can switch the reception sound mode in which the sound is generated to the vibration mode for vibrating the terminal. In this case, the cellular phone, which is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mmediately switched to a vibration mod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mpact is appli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the material, such as a pocket of a user's outer clothing or a bag hel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충격스위치(4)는 실시예로서 2차원으로 인가되는 힘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만, 상기 2차원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충격스위치(4)를 더구비하면, 예컨대 3차원으로 인가되는 힘을 감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hock switch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detect a force applied in two dimensions as an embodiment, when the impact switch 4 is further provi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two dimensions, for example, in three dimensions The force applied can be detected.

또, 도 2에서 질량체(10)의 크기를 크게 하거나 제2부재(30)의 크기를 작게하여 상하운동되면서 서로 닿을 수 있도록 구성하면, 지면에 평행되는 상하의 충격이 인가되는 경우, 그 상하의 충격을 질량체(10)와 제2부재(30)가 서로 접촉되어 신호가 검출될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2, when the size of the mass body 10 is increased or the size of the second member 30 is reduced to be able to touch each other while moving up and down, the up and down impacts parallel to the ground are applied. The mass body 10 and the second member 30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detect a signal.

또, 수신음을 진동으로 전환하는 것 이외에 다른 실시예로서 수신되는 신호를 감지한 사용자가 정보통신단말기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converting the reception sound into vibra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user who senses the received signal may operate in a call mode that allows the user to talk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도 3은 도 1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가 구비된 정보통신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aratus for switching a reception mode when shock is detected in FIG. 1.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가 구비된 정보통신단말기(70)는 통신부(62), 제어부(64), 충격감지부(68), 수신음발생부(66), 발광부(65) 및 진동구현부(69)를 포함한다.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70 equipped with a device for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when the shock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mmunication unit 62, the control unit 64, the impact detection unit 68, the reception sound generator 66, the light emitting unit ( 65) and a vibration implementing unit 69.

상기 통신부(62)는 안테나(61)를 통하여 이동통신망과 통신된다.The communication unit 62 communicates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antenna 61.

상기 제어부(64)는 상기 통신부(62)를 통하여 상기 이동통신망과 통신되는 이동통신신호를 제어하고, 도시되지 않은 송수화기를 통한 통화를 제어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다이얼버튼 등을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64 controls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communica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62, controls a call through a handset (not shown), and includes a microprocessor and a dial button.

상기 충격감지부(68)는 충격감지부(1)를 포함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64)로 신호를 출력한다.The shock detection unit 68 includes a shock detection unit 1, and detects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to output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64.

상기 수신음발생부(66)는 제어부(64)의 제어에 따라서 수신음 예컨대 벨소리를 발생한다.The reception sound generator 66 generates a reception sound, for example, a ring t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64.

상기 발광부(65)는 제어부(64)의 제어에 따라서 빛을 발생시키는데 실시예로서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65 generates ligh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4, and includes an LED as an embodiment.

상기 진동구현부(69)는 제어부(64)의 제어에 따라서 핸드폰인 정보통신단말기(70)를 진동시킨다.The vibration implementing unit 69 vibrate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70 which is a mobile phon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4.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가 구비된 정보통신단말기(7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을 충격감지부(68)에서 감지하고, 충격감지부(68)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는 제어부(64)에 설정되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수신음발생부(66)에서 발생되는 수신음을 진동구현부(69)에서 발생되는 진동 또는 발광부(65)에서 발생되는 빛으로 전환시킨다.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70 equipped with a device for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during the shock det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shock detection unit 68 detects the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hock detection unit 68 The reception sound generated by the reception sound generator 66 is converted into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vibration implementation unit 69 or the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ssion unit 65 by a program set in the control unit 64 having an output of Let's do it.

또한, 상기 충격에 의하여 정보통신단말기(70)가 수신음모드에서 비수신음모드 예컨대 진동모드, 발광모드와는 별도의 비수신모드로서 소리를 발생하지 않는 묵음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수신상태는 정보통신단말기의 액정화면에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impact,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70 may be operated in a non-receiving mode, such as a vibration mode and a non-receiving mode, which is separate from the light emitting mode in the reception sound mode. In this case, the reception state may be displayed on the LCD screen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결국, 공공장소에서 소음으로 간주되는 수신음의 발생은 정보통신단말기(70)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수신음의 발생이 정지되거나 묵음화된다. 또한, 상기 충격에 의하여 정보통신단말기(70)가 바로 통화 가능하게 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generation of the reception sound, which is regarded as noise in public places, is impacted o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70 so that the generation of the reception sound is stopped or mut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70 may be immediately available to talk by the impact.

도면과 명세서에서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re merely exemplary of the invention,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the invention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or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정보통신단말기 예컨대 핸드폰에서 수신음모드를 진동모드로 바꾸는 것을 잊은 경우, 핸드폰의 수신음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하여 주머니 또는 가방 안에 소재된 핸드폰의 근처에 약간의 충격을 가함으로써 즉시 수신음을 끄기 때문에 수신음이 소음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user forgets to change the receiving sound mode to the vibration mode 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immediately by applying a slight shock to a cell phone located in a pocket or a bag to quickly remove the sound of the mobile phone. Since the reception sound is turned off, the reception sound may be prevented from being muted.

또한, 충격을 가함에 따라서 진동모드 뿐만이 아니라 발광모드, 묵음모드 또는 통화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mplement a light emitting mode, a silent mode or a call mode as well as the vibration mode according to the impact.

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힘을 검출함에 있어서, 이동물과 고정물이 서로 접촉되는 횟수에 의하여 인가되는 힘의 세기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의 강도를 알 수 있는 저가의 충격센서로서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detecting the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strength of the applied force can be detected by the number of times the moving object and the fixtur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have.

Claims (13)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드로서 수신음을 발생하는 수신음모드와 비수신음 모드를 구비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ception tone mode for generating a reception tone and a non-reception tone mode as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a signal, 외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충격감지부; 및An impac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sensing output; And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의 수신모드가 수신음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음이 발생된 후,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출력이 발생하면, 상가 수신모드를 수신음 모드에서 비수신음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수신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되,Receiving a signal after receiving a signal in the state in which the reception mo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reception sound mode, when the shock output is generated in the shock detection unit, the reception for switching the additional reception mode from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non-receive sound mode Including a mode controller, 상기 충격 감지부는The shock detection unit 일단이 고정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와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충격 스위치, 및A first impact switch comprising a firs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hereto and a second member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ember; and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의 진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접촉시 형성되는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충격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a detec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hock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a path formed wh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ntacte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first member due to an impact from the outside. Device for switching reception mode when shock is detected in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충격 스위치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한 제 2 충격 스위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a second impact switch loca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impact swit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격스위치는The impact switch is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압전소자를 포함하고, 정보통신단말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a piezoelectric element for electrically detecting a shock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electrically detecting the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when the shock is detected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부재의 타단과 일체로 형성된 질량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a mass body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end of the first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부재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the first member is an elastic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충격감지부는The shock detection unit 일정크기 이상의 충격만을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pparatus for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when detecting a shock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only a shock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수신모드 제어부는The reception mode control unit 상기 수신모드가 수신음모드에서 비수신음 모드로 전환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상기 비수신음 모드를 상기 수신음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fter the reception mode is switched from the reception sound mode to the non-reception sound mod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non-reception sound mode is switched to the reception sound mode.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수신음 모드는 무음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the non-receiving sound mode is a silent m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수신음 모드는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램프를 점멸시키는 발광 점멸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The non-receiving sound mode is an apparatus for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when the shock is detected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shing light flashing mode for flashing the lamp provided on one si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수신음 모드는 통화를 연결하는 통화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the non-receiving tone mode is a call mode for connecting a cal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제 1 부재를 에워싸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the second member is positioned so as to surround the first member.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드로서 수신음을 발생하는 수신음모드와 비수신음 모드를 구비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 있어서,In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eception tone mode for generating a reception tone and a non-reception tone mode as a reception mode for receiving a signal, 외부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에 인가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감지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충격감지부; 및An impact sensing unit for sensing an impact applied to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from the outside to generate a sensing output; And 상기 정보통신단말기의 수신모드가 비수신음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비수신음 모드를 유지시키는 예비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예비모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출력이 발생하면, 상기 예비모드를 유지시키는 수신모드 제어부를 포함하되,And a preliminary mode for maintaining the non-receiving sound mode for a preset time when the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reception mode of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s set to the non-receiving sound mode, and in the preliminary mode state, the shock detection unit detects the output. If this occurs, including a reception mode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the reserve mode, 상기 충격 감지부는The shock detection unit 일단이 고정되고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 및 상기 제 1 부재와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제 1 충격 스위치, 및A first impact switch comprising a firs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hereto and a second member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ember; and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 1 부재의 진동으로 인한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접촉시 형성되는 경로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충격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And a detector configured to generate a shock detection signal by detecting a current flowing through a path formed when the first member and the second member are contacted due to the vibration of the first member due to an impact from the outside. Device for switching reception mode when shock is detected in communication terminal. 제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수신모드 제어부는The reception mode control unit 상기 예비모드 상태에서,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감지출력이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예비모드를 수신음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통신단말기에서의 충격감지시 수신모드를 전환하는 장치.In the preliminary mode state, if the detection output is not generated in the shock detection unit,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switching the reception mode when the shock detection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switching to the reception sound mode Device.
KR10-1999-0032845A 1998-12-10 1999-08-10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KR1003754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845A KR100375410B1 (en) 1998-12-10 1999-08-10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AU16924/00A AU1692400A (en) 1998-12-10 1999-12-08 An impromptu mode conversion and an information/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impromptu mode conversion
PCT/KR1999/000751 WO2000038337A1 (en) 1998-12-10 1999-12-08 An impromptu mode conversion and an information/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impromptu mode conver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46 1998-12-10
KR19980024646 1998-12-10
KR10-1999-0032845A KR100375410B1 (en) 1998-12-10 1999-08-10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458A KR20000047458A (en) 2000-07-25
KR100375410B1 true KR100375410B1 (en) 2003-03-10

Family

ID=2663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845A KR100375410B1 (en) 1998-12-10 1999-08-10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75410B1 (en)
AU (1) AU1692400A (en)
WO (1) WO2000038337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58B1 (en) * 2008-10-31 2009-11-13 조동성 A portable telephone
KR101114788B1 (en) * 2008-12-15 2012-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all in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019A (en) * 2001-07-25 2003-02-05 최운탁 Impact Control Handphon manner mode
KR20040033397A (en) * 2002-10-14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lethone ring signal changing method
KR100690178B1 (en) * 2004-12-29 2007-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voice introducing caller using a impact sensing in telephone and the telephone thereof
KR100768657B1 (en) * 2005-06-21 2007-10-18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user's current st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910A (en) * 1995-03-30 1996-10-18 Canon Inc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JPH08331212A (en) * 1995-06-01 1996-12-13 Nec Corp Portable telephone terminal with vib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3193B2 (en) * 1986-05-30 1995-07-05 日本電気株式会社 Individual selective call receiver
JPH06177817A (en) * 1992-12-08 1994-06-24 Nec Corp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KR970078106A (en) * 1996-05-13 1997-12-12 유기범 A pause sound stopping device caused by a shock in a pager
KR19990008987U (en) * 1997-08-14 1999-03-05 구본준 Beep Control of Wireless Pag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4910A (en) * 1995-03-30 1996-10-18 Canon Inc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JPH08331212A (en) * 1995-06-01 1996-12-13 Nec Corp Portable telephone terminal with vibra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058B1 (en) * 2008-10-31 2009-11-13 조동성 A portable telephone
KR101114788B1 (en) * 2008-12-15 2012-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all in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458A (en) 2000-07-25
WO2000038337A1 (en) 2000-06-29
AU1692400A (en) 2000-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48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Call in Absence of Mobile Terminal
US7027840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uting an alert
WO2010073472A1 (en) Mobile terminal device, method of operation notification, and program of operation notification
JP2006303565A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040214594A1 (en) Device having smart user alert
JP2003218989A (en) Call receiving device
KR100375410B1 (en) Apparatus for changing receive mode based on an impact applied to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dopting the device
JP2004274438A (en) Mobile phone
JP2005332118A (en) Portable terminal and information input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JP3791143B2 (en) Mobile phone
JP3068478B2 (en) Portable wireless devices
JPH10290473A (en)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59417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ontrol function through user touch detection and its control method
KR200224753Y1 (en) an operrating device of cellular phones awaking the arrival of signal
KR100688296B1 (en) Personal port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vibration mode of the personal portable device
KR1003482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ing receiving signal of mobile terminal
KR20010016666A (en) Mobile phone and its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changing ring indicator by sensing user contact
KR20010091722A (en) Circuit for controlling a ringer of a mobile phone and method thereof
KR20000020848U (en) Pager having a ring type
JPH11331327A (en) Portable terminal
JP2001358804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20045766A (en) an operrating device of cellular phones awaking the arrival of signal
JP2000244612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incoming automatic switch function
JPH08288986A (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KR19980019303A (en) Received message alarm method for cordless telecommunication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