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5346B1 -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5346B1
KR100365346B1 KR1019970046402A KR19970046402A KR100365346B1 KR 100365346 B1 KR100365346 B1 KR 100365346B1 KR 1019970046402 A KR1019970046402 A KR 1019970046402A KR 19970046402 A KR19970046402 A KR 19970046402A KR 100365346 B1 KR100365346 B1 KR 100365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gonal code
quasi
code
orthogonal
wal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992A (ko
Inventor
강희원
정하봉
양경철
김재열
안재민
김영기
노종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7004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5346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B988084910A priority patent/CN1160878C/zh
Priority to EP98944316A priority patent/EP1013009B1/en
Priority to PCT/KR1998/000274 priority patent/WO1999013599A1/en
Priority to JP2000511270A priority patent/JP3888852B2/ja
Priority to RU2000104858A priority patent/RU2178621C2/ru
Priority to BR9812038A priority patent/BR9812038A/pt
Priority to CA 2298690 priority patent/CA2298690C/en
Priority to US09/149,924 priority patent/US6377539B1/en
Priority to DE1998633382 priority patent/DE69833382T2/de
Priority to ES98944316T priority patent/ES2256956T3/es
Publication of KR19990024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346B1/ko
Priority to JP2003412580A priority patent/JP3895721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4Orthogo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Abstract

월시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길이가 N인 쿼시 직교부호가,
Figure pat00034
와 같이 i번째 직교부호 WK(t)(1≤k≤N, 1≤t≤N)과 쿼시 직교부호 Si(t)(1≤i≤X, 1≤t≤N)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으며,
Figure pat00035
와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i'번째 줄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고,
Figure pat00036
과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직교부호의 k번째 줄의 길이 N의 M 등분의 각 길이 N/M 의 각 부분들을 부분 상관도를 취했을 때 상관도 값이
Figure pat00037
을 넘지않는다.
여기서 |=0,1,2, ---, log2M-1이며, WK(t)는 길이가 N이고 개수가 K인 직교부호를 의미하고(1≤k≤N), Si(t)는 길이가 N인 쿼시 직교부호를 의미하며(1≤i≤X), X는 상기 <수학식 1>-<수학식 3>를 만족하는 쿼시부호의 숫자를 의미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쿼시 직교부호 생성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호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쿼시 직교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호 분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CDMA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용량 증대를 위한 방법 중에 한 가지로써, 직교부호(orthogonal code)에 채널 구분(channel seperation)를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직교부호에 의한 채널 구분을 실행하는 예는 IS-95/IS-95A의 순방향 링크(forward link)를 들 수 있으며, 역방향 링크(reverse link)에서도 시간 동기조정(time alignment)을 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 IS-95/IS-95A의 순방향 링크에서 적교부호에 의할 채널 구분은 도 1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도 1에서 직교부호는 w로 표시되어 있으며, 각 채널은 미리 배정된 직교부호에 의해 구분되고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w는 월시부호(Walsh code)가 될 수 있다. 상기 IS-95/IS-95A 순방향 링크는 R=1/2인 컨벌루션 코드(convolution code)를 쓰고, bpsk 변조(bi phase shift keying modulation)를 하며, 대역폭(band width)이 1.2288MHz이므로, 1.2288M/(9.6k*2)=64가 된다. 따라서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95/IS-95A의 순방향 링크는 직교부호를 이용하여 64명의 채널 구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임의의 변조 방법이 결정되고 최소 데이터 전송율(minimum data rate)이 결정되면, 가용한 직교부호의 숫자가 정해진다. 그러나 차세대 CDMA 시스템(futur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에서는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제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채널을 증가시키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차세대 CDMA 시스템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제어채널(control channel)들을 구비하여 용량을 증대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도 채널 사용량이 증대되면 사용 가능한 직교부호의 수가 제한된다. 이런 경우 채널 용량을 증가시켜도 사용할 수 있는 직교부호의 수의 제한에 따라 채널 용량의 증가에 제한을 갖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상기 직교부호에 최소 간섭(minimum interference)을 주며, 가변 데이터 전송율(variable data rate)에 대해서도 최소 간섭을 줄 수 있는 의사 직교부호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직교부호에 최소 간섭을 주는 쿼시 직교부호를 생성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CDMA 시스템에서 상기 직교부호에 최소 간섭을 주는 의사 직교부호를 생성하여 채널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직교부호와 쿼시 적교부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길이가 N인 상기 쿼시 직교부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쿼시 직교부호가,
Figure pat00038
와 같이 i번째 직교부호 Wk(t)(1≤k≤N, 1≤t≤N)과 쿼시 직교부호 Si(t)(I≤i≤X, 1≤t≤N)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으며,
Figure pat00039
와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i'번째 줄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고,
Figure pat00040
과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직교부호의 k번째 줄의 길이 N의 M 등분의 각 길이 N/M 의 각 부분들을 부분 상관도를 취했을 때 상관도 값이
Figure pat00041
을 넘지않는다.
여기서 |=0,1,2, ---, log2M-1이며, Wk(t)는 길이가 N이고 개수가 K인 직교부호를 의미하고(1≤k≤N), Si(t)는 길이가 N인 쿼시 직교부호를 의미하며(1≤i≤X), X는 상기 <수학식 1>-<수학식 3>를 만족하는 쿼시부호의 숫자를 의미한다.
도 1은 직교부호에 의한 채널 구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월시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 간의 부분 상관도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 Q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매트릭스 Q'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쿼시 직교부호 생성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데에 따른 쿼시 직교부호 생성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쿼시 직교부호를 이용하여 채널을 확장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쿼시 직교부호 및 월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파일럿/제어 채널에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고 트래픽 채널 각각에 월시 의사직교부호를 사용하는 예의 대역 확산기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파일럿/제어 채널에 월시 직교부호를 사용하고 트래픽 채널에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예의 대역확산기를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CDMA 시스템에서 채널 용량의 증대 또는 단일 셀(single cell)의 용량을 극대화가 요구되는 상황하에서 직교부호에 최소 간섭을 주는 의사 직교부호를 생성하며 CDMA 시스템에 적용하는 하는 것이다.
상기 쿼시 직교부호는 하기의 <수학식 1>-<수학식 3>을 만족하여야 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0,1,2, ---, log2M-1이다.
상기 <수학식 1>-<수학식 3>에서 Wk(t)는 길이가 N이고 개수가 N인 직교부호를 의미하고(1≤k≤N), Si(t)는 길이가 N인 쿼시 직교부호를 의미한다(1≤i≤X). 여기서 X는 상기 조건1 - 조건3을 만족하는 쿼시부호의 숫자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조건1은 i번째 직교부호 Wk(t)(1≤k≤N, 1≤t≤N)과 쿼시 직교부호 Si(t)(1≤i≤X, 1≤t≤N)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와 같은 조건2는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i'번째 줄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수학식 3>과 같은 조건3은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직교부호의 k번째 줄의 길이 N의 M 등분의 각 길이 N/M 의 각 부분들을 부분 상관도를 취했을 때 상관도 값이
Figure pat00042
을 넘지말아야 한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1>과 같은 조건1은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의 전체상관도 특성(full correlation property)를 나타내고, θNmin은 길이가 N인 제1차 리드-뮬러(Reed-Muller) 부호의 커버링 래디우스(covering radius)를 만족하는 값으로, 이론상 가장 작은 상관도 특성을 갖는 값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수학식 2>와 같은 조건2는 상기 쿼시 직교부호 상호 간의 전체적인 상관도(full correlation)특성에 대한 조건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수학식 3>과 같은 조건3은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 간의 부분 상관도(partial correlation)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조건3의 특성은 도 2와 같다 M은 2m(0≤m≤log2N)으로 표현되며, 상기 부분 상관도는 데이터 서비스를 지원할 시에 데이터 전송율에 상승되면서 좌표부호의 N/M부분을 전송하게 되며, 이때의 상관도 특성을 만족하는 조건이다. 예를들어 N=256인 경우에
Figure pat00043
값은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at00002
상기 <표 1>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예를들어 N=1024, m=2인 경우, 길이가 1024인 직교부호와 길이 256 동안 부분 상관도를 고려하는데, 이는 길이가 256인 직교부호와 직교부호 이외의 시퀀스 간에 전체 상관도 바운드(full correlation bound)인 θNmin을 고려하면 된다. 하기의 <표 2>는 상기 길이 N과 최소 상관도 값 θNmin의 관계 예를 표시하고 있다.
[표 2]
Figure pat00003
상기 조건1과 조건2를 만족하는 시퀀스 들에 대한 연구는 현재 활발하며, 길이가 22m이며 상기 조건1과 조건2를 만족하는 시퀀스로는 카사미 시퀀스(Kasami sequence)가 있다. 즉, 상호 간의 상관도(cross correlation) 특성이 좋은 시퀀스 패밀리(sequence family)로는 카사미 시퀀스 패밀리(Kasami sequence family)가 있으며, 카사미 시퀀스 패밀리의 상관도(full correlation) 특성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조건3을 만족하는 시퀀스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그러나 가변 데이터 전송율을 지지하는 IS-95B나 차세대 CDMA 시스템(future CDMA system)에서 상기 조건3은 매우 중요한 조건이라 할 수 있다.
먼저 길이가 22m인 시퀀스 중에서 조건1과 조건2를 만족하는 카사미 시퀀스는 m-시퀀스 자신을 포함하여 2m개가 존재하고, 상기 카사미 시퀀스 군을 하기 <수학식 4>와 같이 표현하기로 한다.
Figure pat00004
여기서 t=0, ..., 22m-2이고, So(t)는 m-시퀀스이다.
상기 <수학식 4>의 완성된 집합 k의 시퀀스 들과 이런 시퀀스들을 모두 순환 쉬프트(cyclic shigts)하면 도 3과 같은 매트릭스 Q(matrix Q)를 만들 수 있다. 상기 매트릭스의 행(row)은 2m*22m이 되고, 열(column)은 22m이 된다. 여기에서 열 치환(column permutation)을 하면 첫번째 22m행으로 부터 월시 직교부호 부호들을 만들 수 있음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제 우리는 길이가 22m인 직교부호 들과 상기 조건1 및 조건2를 만족하는 (2m-1)*22m시퀀스들을 가지게 된다.
이제 (2m-1)*22m시퀀스들 중에 조건3을 만족하는 시퀀스들을 추출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추출한 시퀀스들 중에서 직교 시퀀스(orthogonal sequence)들을 그룹화(grouping)해야한다. 그러나 매트릭스 Q는 이렇게 그룹화되어 있으나 열 치환 이후 매트릭스 Q의 변형된 모습은 상기와 같이 그룹화 되어 있지않다.
그러나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 직교 시퀀스들 끼리 재 그룹화(regrouping)된 매트릭스 Q'를 구할 수 있다. 즉, 상기 Q'을 살펴보면, 2m개의 직교그룹들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길이가 22m인 쿼시 직교부호 후보 시퀀스(Quasi orthogonal candidate sequence)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511단계에서 길이가 22m-1인 m-수열을 생성하고, [choose m-sequence (여기서 t=0,1,...,22m-2)], 512단계에서 상기 511단계에서 생성된 수열에서 (2m+1) 간격으로 항들을 추출하여 주기 2m-1인 부분 수열을 생성한다.[Fix subsequence from m(t), msub(t)=m((2m+1)t)]. 이후 513단계에서 상기 512단계에서 선택한 수열이 전부 0인 수열인가 검사하며
Figure pat00044
, 이때 검사 결과가 0이면 514단계에서 0이 아닌 부분 수열을 생성한다[msub(t)=m((2m+1)t+1)].
상기 513단계 및 514단계 수행 후 515단계에서는 카사미 시퀀스를 열 쉬프트(column shift)한 것을 열 치환(column permutation)하는 함수(function)를 정의한다. [Define mapping σ from {0,1, ...,22m-2} to {1,2,...,22m-1}|σ(t)=
Figure pat00045
.
이후 516단계에서 상기 512단계에서 생성된 부분 수열을 열 쉬프트하여 2m-1개의 수열을 만든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의한다.
Figure pat00005
그리고 517단계에서는 상기 516단계에서 생성된 수열을 상기 515단계에서 구현 치환 함수된 의해 열 치환시킨다. 즉, 상기 517단계에서는 새로운 수열을 생성하는데, 이는 하기와 같다.
Figure pat00006
이후 518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거쳐 나온 수열들을 사용해서 쿼시직교부호를 도 4와 같이 나열한다. 이때 직교부호인 월시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7
도 6은 길이가 22m+1인 해시 직교부호 후보 시퀀스(Quasi orthogonal candidate sequence)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611단계에서 616단계 까지의 동작은 상기 도 5의 511단계에서 516단계의 동작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상기 616단계에서 수행 후 617단계에서는 새로 생성한 수열 ei(t)를 2회 반복시킨다. 즉, 새로운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8
즉, 상기 617단계에서는 생성된 수열 ei(t)를 2번 반복시키면, 하기 <표 4>와 같은 형태가 되며, 이때 각 수열 e'i(t)의 행은 2m-1이 되고 열은 22m+1이 된다.
[표 4]
Figure pat00009
이후 618단계에서는 상기 617단계에서 생성한 수열 ei(t)를 이용하여 쿼시 직교부호를 생성한다. 이때 직교부호인 월시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10
상기 도 5 및 도 6과 같은 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쿼시 직교부호의 시퀀스들은 직교 특성을 갖는 한 그룹 전체이거나 모두 아닌 상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선택되는 M-시퀀스에 따라 선택되는 그룹의 수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하기의 <표 5>는 상기와 같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선택되는 시퀀스들을 쿼시 직교부호 시퀀스라 칭하기로 한다.
[표 5]
Figure pat00011
이때 상기 e'i(t)는 길이가 22m+1이고 ei(t)는 길이가 22m인 시퀀스이다. 물론 상기 e'i(t)는 서로 다른 ei(t)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조합 가능한 개수는 (2m-1)*(2m-1)이지만, 어떤 경우에도 상기 e'i(t)의 개수는 2m-1이다. 예를들어 길이가 512인 경우, 상기 <표 5>의 ***로 표시한 바와 같이 2m=8의 첫 번째 M-시퀀스를 사용하는 경우에 쿼시 직교부호 세트의 개수는 6*512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월시부호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그 이상의 직교부호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면 채널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월시부호와 최소 간섭을 발생하며 고정 된 상관도(fixed correlation) 값을 제공한다. 예를들면 쿼시 직교부호와 월시부호 간의 상관 값(correlation value)이 N=64인 경우는 8 또는 -8 만을 갖는다. 또한 N=256이고 이에 대한 부분 상관도(길이 N=64인 동안) 값도 8 또는 -8 만을 갖는다. 이는 예측 간섭 양을 정확하게 알 수 있음을 의미하며, 상당히 양호한 특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쿼시 직교부호는 월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모든 CDMA 시스템의 링크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직교부호들과 더불어 상기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의 옵션들을 고려할 수 있다.
먼저 옵션1은 월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면서 가변 데이터 전송율로 서비스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쿼시 직교부호를 길이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사용하고, 또한 모든 쿼시 직교부호 시퀀스를 전체 길이로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옵션2는 월시 직교부호 그룹과 쿼시 직교부호 그룹 중의 한 그룹을 선택하여 두 개의 직교 세트(orthogonal set)를 만들고, 두 그룹 모두 가변 데이터 전송율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옵션3은 월시 직교부호 그룹과 모든 쿼시 직교부호를 하나의 그룹으로 사용하여 모두 가변 데이터 전송율을 지지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쿼시 직교부호 그룹 간에 랜덤 코드(ramdom code) 특성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세가지 옵션들의 특성을 감안하여 사용하려는 응용의 종류에 따라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월시 직교부호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변조하는 측과 복조하는 측이 미리 약속된 직교부호 번호를 서로 주고 받으면 되는데,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약속된 직교부호 번호와 그룹번호(도 4의 Q' 매트릭스 ei(t)의 i 인덱스)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경우 직교부호 그룹을 그룹0이라 하고, 그 이후로 2m-1 까지 그룹의 번호를 다시 정의하면 된다.
상기 쿼시 직교부호 그룹을 상기 직교부호 그룹 처럼 가변 데이터 전송율을 갖는 시스템에 사용하려 할 때의 방법을 살펴본다. 상기 쿼시 직교부호 그룹의 앨리먼트는 직교부호 번호와 그룹 번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그룹 번호는 상기 도 4에서 어떤 ei(t)가 선택되어 되어졌나를 의미한다. 상기 쿼시 직교부호 그룹에서 가변 데이터 전송율을 서비스하는 방법은 미리 배정된 직교부호 번호로 월시 직교부호 그룹 처럼 사용한 후 길이 N 마다 배정된 ei(t)를 더해주면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IS-95/IS-95A의 순방향 링크에서 월시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여 채널 용량을 확장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서 월시 직교부호는 w로 표시되어 있으며, 각 채널은 미리 배정된 직교부호에 의해 구분되고 있다. 또한 상기 도 7에서 쿼시 직교부호는 s로 표시되어 있으며, 트래릭 채널에 할당된다.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IS-95/IS-95A의 순방향 링크는 월시 직교부호를 이용하여 64명의 채널 구분을 수행할 수 있으며, 쿼시 직교부호는 상기 월시 직교부호의 3배에 해당하는 192명의 채널을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시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면 3배의 채널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월시 직교부호 및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대역확산기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의 송신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이동 통신시스템의 구성은 상기 IS-95와 다른 방식으로서, 파일럿 채널, 제어 채널 및 트래픽 채널 비트 스트림들을 각각 구분하여 별개의 스트림을 구성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제1신호변환부811은 입력되는 파일럿/제어채널 데이타 비트 스트림(pilot/control channel data bit stream)을 입력하여 신호 변환한다. 상기 제1신호변환부811은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에서 0을 +1 신호로 변환하고 1을 -1신호로 변환하여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에 출력한다. 제2신호변환부813은 입력되는 트래픽채널 데이타 비트 스트림(traffic channel data bit stream)을 입력하여 신호 변환한다. 상기 제2신호변환부813은 입력되는 비트 스트림에서 0을 +1 신호로 변환하고 1을 -1신호로 변환하여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에 출력한다.
월시 직교부호발생기914는 해당 채널의 부호 인덱스에 의해 월시 직교부호Wi를 발생하여 상기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마스킹부819에 출력한다. 쿼시 직교부호발생기815는 해당 채널의 부호 인덱스에 의해 쿼시 직교부호Si를 발생하여 상기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에 인가한다. PN부호 발생기817은 실수부 및 허수부의 PN부호 PNi 및 PNq를 발생하여 상기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에 인가한다. 상기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는 상기 입력되는 신호변환부811 및 813의 출력을 각각 설정된 채널에서 월시 직교부호Wi 및 쿼시 직교부호Si와 승산하여 확산하고, 이 신호를 다시 상기 PN 부호 PNi 및 PNq와 승산하여 PN 마스킹하여 Xi 및 Xq신호를 발생한다. 기저대역 여파기821은 상기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에서 확산 출력되는 Xi 및 Xq를 기저대역으로 여파하여 출력한다. 주파수천이기823은 상기 기저대역 여파기8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RF신호로 천이시켜 무선송신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도 8은 동기 복조의 이득을 얻기 위하여 기준신호인 파일럿/제어채널과 통화 채널이 한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점유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한 사용자의 단말은 통화 채널로 1 또는 0의 데이타비트를 송신하고, 파일럿/제어채널로 통화 채널을 동기 복조하기 위한 기준신호인 1 또는 0의 데이타를 송신한다. 상기 파일럿/제어채널 및 통화채널의 1 또는 0의 데이타들은 각각 제1신호변환부811 및 제2신호변환부813에 의하 0은 +1의 신호로 변환되고 1은 -1의 신호로 변환되어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에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는 상기 입력신호와 월시 직교부호 및 쿼시 직교부호와 승산하여 기저대역의 확산된 복소수신호를 발생하여 기저대역 여파기817에 출력한다. 이때 실수 성분은 Xi이며 허수 성분은 Xq가 된다. 그러면 상기 기저대역 여파기821은 OQPSK(Offset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 및 여파하며, 주파수천이기823은 상기 기저대역 여파기821의 출력을 RF의 확산된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는 다중 경로 지연에 대하여 강한 상관도 특성을 만들어주기 위한 확산부로써 여러가지의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도 9는 파일럿/제어 채널에 쿼시 직교부호Si를 사용하고 통화 채널에 월시 직교부호Wi를 사용하며, PN 마스킹을 복소수로 하는 경우의 직교부호 확산 및 PN 마스킹부819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파일럿/제어 채널에 월시 직교부호Wi를 사용하고 통화 채널에 쿼시 직교부호Si를 사용하며, 복소수 PN 마스킹을 하지 않은 경우의 직교부호 확산 및 PN 마스킹부819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제1확산기911은 상기 파일럿/제어채널의 신호를 입력하여 쿼시 직교부호Si와 승산하여 확산된 di신호를 출력한다. 제2확산기913은 통화채널의 신호를 입력하여 월시 직교부호Wi와 승산하여 확산된 d1신호를 출력한다. 반복기917은 상기 피엔부호 발생기817에서 출력되는 PN부호 PNi 및 PNq를 설정 횟수 반복하여 출력한다. 복소수 승산기919는 상기 제1확산기911 및 제2확산기913에서 출력되는 확산신호 di 및 dq와 상기 반복기917에서 출력되는 PN부호 PNi 및 PNq를 승산하여 복소수 승산하여 PN 마스킹된 Xi 및 Xq를 발생한다. 상기 복소수 승산기91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복소수 연산 동작을 수행하여 복소수로 PN 마스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9에서 파일럿/제어채널과 통화채널에 할당되는 쿼시 직교부호Si와 월시 직교부호Wi는 직교부호를 구성하는 각각의 서브 부호(sub code)들도 서로 달라야 한다. 따라서 이런 방법으로 직교부호 확산 및 피엔 마스킹부819를 구성하는 경우, 파일럿/제어채널과 통화채널 간에는 완전한 도달시간 동기를 맞출 수 있으며, 따라서 상호 간의 간섭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도 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일럿/제어채널에 월시 직교부호Wi를 사용하고 통화채널에 쿼시 직교부호Si를 사용하여, PN 마스킹을 복소수로 하지 않는 경우의 직교부호 확산 및 PN 마스킹부819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제1확산기1011은 상기 파일럿/제어채널의 신호를 입력하여 월시 직교부호Wi와 승산하여 확산된 di신호를 출력한다. 제2확산기1013은 통화채널의 신호를 입력하여 쿼시 직교부호Si와 승산하여 확산된 di신호를 출력한다. 가산기1015는 제1확산기1011에서 출력되는 확산신호 di와 제2확산기1013에서 출력되는 확산신호 dq를 가산하여 di+dq신호를 발생한다. 가산기1017은 제2확산기1013에서 출력되는 확산신호 dq와 제1확산기1011에서 출력되는 확산신호 di를 가산하여 dq+di신호를 발생한다. 반복기1121은 상기 피엔부호 발생기817에서 출력되는 PN부호 PNi 및 PNq를 설정 횟수 반복하여 출력한다. 승산기1123은 상기 가산기1015에서 출력되는 확산신호 di+dq와 상기 반복기1017에서 출력되는 PN부호 PNi를 승산하여 마스킹된 Xi를 발생한다. 승산기1125는 상기 가산기1017에서 출력되는 확산신호 dq+di와 상기 반복기1017에서 출력되는 PN부호 PNq를 승산하여 마스킹된 Xq를 발생한다.
상기 도 10에서 파일럿/제어채널에 할당하는 월시 직교부호와 통화채널에 할당되는 쿼시 직교부호Si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달라야한다. 이런 방법으로 직교부호 확산 및 피인 마스킹부819를 구성하는 경우, 파일럿/제어채널과 통화채널 간에는 완전한 도달시간 동기를 맞출 추 있으며, 따라서 상호 간의 간섭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월시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면, 채널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 9와 같은 대역확산기를 사용하는 경우, 파일럿 및 제어채널에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고 트래픽 채널에 월시 직교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반대로 상기 도 19과 같은 대역확산기를 사용하는 경우, 파일럿 및 제어채널에 월시 직교부호를 사용하고 트래픽 채널에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방법 이외에도 제어 채널과 파일럿 채널을 구분하여 월시 직교부호 및 쿼시 직교부호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채널, 파일럿 채널, 트래픽 채널 들을 선택적으로 구분하여 원하는 채널에서 각각 월시 직교부호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직교부호에 최소의 간섭을 주는 쿼시 직교부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채널을 구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직교부호의 제한된 상관없이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여 채널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1)

  1.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에 있어서,
    할당되는 직교부호 인덱스에 대응되는 직교부호와 쿼시직교부호 마스크 인덱스에 대응되는 마스크를 합성하여 쿼시직교부호를 생성하는 쿼시직교부호 발생기와,
    제1 입력신호를 상기 쿼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제1확산기와,
    할당되는 직교부호의 번호에 대응되는 직교부호를 생성하는 직교부호 발생기와,
    제2 입력신호를 직교부호로 확산하는 제2확산기와,
    상기 제1확산기와 제2확산기에서 출력되는 직교확산신호들을 피엔시퀀스로 대역 확산하는 피엔확산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직교부호와의 부분 상관 값이 최소 부분상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부분상관 한계값이 하기 <수학식 11>의 조건을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Figure pat00012
    여기서 Si(t)는 쿼시직교부호이고, Wi(t)는 직교부호이며, N은 직교부호의 길이이고, M은 데이터 레이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변수이며,
    Figure pat00046
    은 최소 부분 상관 한계값,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직교부호와의 전체 상관값이 최소 전체상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의 전체 상관값이 최소 전체 상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월시부호와의 최소 전체상관값이 하기 <수학식 12>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의 최소 전체상관값이 하기 <수학식 1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Figure pat00013
    여기서 Si(t)는 쿼시직교부호이고, Wi(t)는 직교부호이며, N은 직교부호의 길이이고, M은 데이터 레이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변수이며, θNmin은 최소 부분 상관 한계값이고, Si'(t)는 다른 쿼시직교부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산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이트가 가변되면 상기 쿼시직교부호의 정해진 길이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7.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방법에 있어서,
    할당되는 직교부호 인덱스에 대응되는 직교부호와 쿼시직교부호 마스크 인덱스에 대응되는 마스크를 합성하여 쿼시직교부호를 생성하는 쿼시직교부호 발생기 와,
    적어도 하나의 입력신호를 상기 쿼시직교부호로 제1확산하고, 다른 입력신호를 상기 직교부호로 확산하는 제2확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확산된 신호 및 제2확산된 신호를 각각 피엔시퀀스로 대역 확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등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직교부호와의 부분 상관 값이 최소 부분 상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등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부분상관 값이 하기 <수학식 14>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방법.
    Figure pat00014
    여기서 Si(t)는 쿼시직교부호이고, Wi(t)는 직교부호이며, N은 직교부호의 길이이고, M은 데이터 레이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변수이며,
    Figure pat00047
    은 최소 부분 상관 한계값.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직교부호와의 전체 상관 값이 최소 전체상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의 전체 상관 값이 최소 전체 상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월시부호와의 최소 전체상관 값이 하기 <수학식 15>의 조건을 만족하고, 상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의 최소 전체상관 값이 하기 <수학식 1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통신 방법.
    Figure pat00015
    여기서 Si(t)는 쿼시직교부호이고, Wi(t)는 직교부호이며, N은 직교부호의 길이이고, M은 데이터 레이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변수이며, θNmin은 최소 부분 상관 한계값이고, Si'(t)는 다른 쿼시직교부호.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확산을 위해 입력되는 신호의 레이트가 가변되면상기 쿼시직교부호의 정해진 길이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방법.
  13. 월시부호와 쿼시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길이가 22m인 상기 쿼시 직교부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길이가 22m인 m 수열을 생성한 후, 2m+1간격으로 항들을 선택하며 주기 2m-1인 부분 수열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수열에서 0인 아닌 부분수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부분 수열들을 연결하여 2m-1 개의 수분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수열을 열 치환함수에 의해 열치환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열치환된 수열들을 직교부호와 더하여 직교부호 및 다른 쿼시직교부호의 전체 상관값이 최소 전체상관값 보다 작은 쿼시직교부호 후보군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쿼시직교부 후보군에서 가변 데이터 레이트시 상기 직교부호와의 부분 상관값이 최소 부분상관 값을 만족하는 쿼시직교부호들을 선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쿼시 직교부호 생성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쿼시직교부호를 2회 반복하여 22m+1인 쿼시직교부호를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쿼시직교부호 생성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하기의 <수학식 17>과 같이 i번째 월시 직교부호 Wk(t)(1≤k≤N, 1≤t≤N)과 쿼시 직교부호 Si(t)(1≤i≤X, 1≤t≤N)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고, 하기의 <수학식 18>과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i'번째 줄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으며, 하기의 <수학식 19>와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월시 직교부호의 k번째 줄의 길이 N의 M 등분의 각 길이 N/M 의 각 부분들을 부분 상관도를 취했을 때 상관도 값이
    Figure pat00048
    을 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쿼시 직교부호 생성 방법.
    Figure pat00016
    여기서 |=0,1,2, ---, M-1이며, Wk(t)는 길이가 N인 k번째 왈시이고 사용 가능한 월시부호의 수가 N인 직교부호를 의미하고(1≤k≤N), Si(t)는 길이가 N인 쿼시직교부호를 의미하며(1≤i≤X), X는 상기 <수학식 17>-<수학식 19>를 만족하는 쿼시부호의 숫자를 의미한다.
  16.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에 있어서,
    할당되는 직교부호 인덱스에 대응되는 직교부호와 쿼시직교부호 마스크 인덱스에 대응되는 마스크를 합성하여 쿼시직교부호를 생성하는 쿼시직교부호 발생기와,
    송신신호를 부호 변환 및 역다중화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신호변환부의 출력을 상기 생성된 쿼시직교부호로 직교 확산하여 채널을 구분하는 적어도 하나의 확산기와,
    상기 확산기에서 출력되는 직교확산신호를 피엔시퀀스로 대역확산하는 피엔 확산기로 구성된 것을 특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하기의 <수학식 20>과 같이 i번째 월시 직교부호 Wk(t)(1≤k≤N, 1≤t≤N)과 쿼시 직교부호 Si(t)(1≤i≤X, 1≤t≤N)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고, 하기의 <수학식 21>과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i'번째 줄의 전체 상관도가 θNmin을 초과하지 않으며, 하기의 <수학식 22>와 같이 쿼시 직교부호의 i번째 줄과 월시 직교부호의 k번째 줄의 길이 N의 M 등분의 각 길이 N/M 의 각 부분들을 부분 상관도를 취했을 때 상관도 값이
    Figure pat00049
    을 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Figure pat00017
    여기서 |=0,1,2, ---, M-1이며, Wk(t)는 길이가 N인 k번째 왈시이고 사용 가능한 월시부호의 수가 N인 직교부호를 의미하고(1≤k≤N), Si(t)는 길이가 N인 쿼시 직교부호를 의미하며(1≤i≤X), X는 상기 <수학식 20>-<수학식 21>를 만족하는 쿼시부호의 숫자를 의미.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기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이트가 가변되면 상기 쿼시직교부호의 정해진 길이의 일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통신 장치.
  19.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채널신호를 쿼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제1확산기와,
    입력되는 다른 채널신호를 월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제2확산기와,
    상기 제1 및 제2확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PN 시퀀스로 복소확산하는 PN확산기로 구성되며,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쿼시직교부호와 월시직교부호 간에 하기 <수학식 23>으로 표현된 제1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Figure pat00018
    여기서 |=0,1,2, ---, M-1이며, Wk(t)는 월시직교부호이고, Si(t)는 쿼시 직교부호이고, N은 월시직교부호의 길이와 같고, M은 데이터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Figure pat00050
    은 최소상관값을 나타낸다.
  20. 제19항에 있어서, N=256이고 M=16일 때 최소 부분 상관 임계값이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N=256이고 M=32일 때 최소 부분 상관 임계값이 4인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쿼시직교부호가 월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식 24>와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식 25>와 같은 제3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Figure pat00019
    여기서 Wk(t)는 월시직교부호를 나타내고, N은 월시직교부호의 의 길이이며, θNmin은 최소 전체상관 임계값을 나타내고, S'i(t)는 다른 쿼시 직교부호를 의미한다.
  23.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채널신호를 쿼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다른 채널신호를 월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과정과,
    상기 출력되는 확산 신호들을 PN 시퀀스로 복소확산하는 과정을 구비하며,
    상기 쿼시직교부호는 월시직교부호와의 부분상관값이 최소 부분상관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으며, 쿼시직교부호와 월시직교부호 간의 상기 부분상관값은 하기 <수학식 26>과 같은 제2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
    Figure pat00020
    여기서 1≤i≤N, 1≤k≤N, 1≤t≤N, |=0,1,2, ---, M-1이며, Wk(t)는 월시직교부호이고, Si(t)는 쿼시 직교부호이고, N은 월시직교부호의 길이와 같고, M은 데이터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Figure pat00051
    은 최소 부분상관값을 나타낸다.
  24. 제23항에 있어서, N=256이고 M=16일 때 최소 부분 상관 임계값이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N=256이고 M=32일 때 최소 부분 상관 임계값이 4인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쿼시직교부호가 월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식 27>과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식 28>과 같은 제3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
    Figure pat00021
    여기서 Wk(t)는 월시직교부호를 나타내고, N은 월시직교부호의 의 길이이며, θNmin은 최소 전체상관 임계값을 나타내고, S'i(t)는 다른 쿼시 직교부호를 의미한다.
  27.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에 있어서,
    입력되는 채널신호를 쿼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제1확산기와,
    입력되는 다른 채널신호를 월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제2확산기와,
    상기 제1 및 제2확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PN 시퀀스로 복소확산하는 PN확산기와,
    상기 복소확산신호들으 여파하는 기저대역여파기와,
    상기 여파된 신호를 RF신호로 쉬프팅하는 RF쉬프터로 구성되며,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쿼시직교부호와 월시직교부호 간에 하기 <수학식 31>과 같은 제1조건을 만족하는 부분상관값을 가지며, 월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 식 32>와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식 33>과 같은 제3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Figure pat00022
    여기서 1≤i≤N, 1≤k≤N, 1≤t≤N, |=0,1,2, ---, M-1이며, Wk(t)는 월시직교부호이고, Si(t)는 쿼시 직교부호이고, N은 월시직교부호의 길이와 같고, M은 데이터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Figure pat00052
    은 최소 부분상관값을 나타내고, θNmin은 최소 부분상관 임계값을 나타낸다.
  28. 제27항에 있어서, N=256이고 M=32일 때 최소 부분 상관 임계값이 4인 것을 특징으로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월시직교부호 및 쿼시직교부호의 길이가 256일 때,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월시직교부호 및 쿼시직교부호 간의 부분 상관값이 최소 부분상관 임계값인 16을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장치.
  30.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채널신호를 쿼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과정과,
    입력되는 다른 채널신호를 월시직교부호로 확산하는 과정과,
    상기 제1 및 제2확산기들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들을 PN 시퀀스로 복소확산하는 과정과,
    상기 복소확산신호들을 기저대역으로 여파하는 과정과,
    상기 여파된 신호를 RF신호로 쉬프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쿼시직교부호가 상기 쿼시직교부호와 월시직교부호 간에 하기 <수학식 34>와 같은 제1조건을 만족하는 부분상관값을 가지며, 월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식 35>와 제2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며, 다른 쿼시직교부호와 하기 <수학식 36>과 같은 제3조건을 만족하는 전체상관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
    Figure pat00023
    여기서 1≤i≤N, 1≤k≤N, 1≤t≤N, |=0,1,2, ---, M-1이며, Wk(t)는 월시직교부호이고, Si(t)는 쿼시 직교부호이고, N은 월시직교부호의 길이와 같고, M은 데이터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가변되며,
    Figure pat00053
    은 최소 부분상관값을 나타내고, θNmin은 최소 부분상관 임계값을 나타낸다.
  31. 제30항에 있어서, 최부분 상관 임계값
    Figure pat00054
    은 (N/M)1/2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 통신방법.
KR1019970046402A 1997-09-09 1997-09-09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KR100365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02A KR100365346B1 (ko) 1997-09-09 1997-09-09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US09/149,924 US6377539B1 (en) 1997-09-09 1998-09-09 Method for generating quasi-orthogonal code and spreader using the sa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CT/KR1998/000274 WO1999013599A1 (en) 1997-09-09 1998-09-09 Method for generating quasi-orthogonal code and spreader using the sa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0511270A JP3888852B2 (ja) 1997-09-09 1998-09-09 移動通信システムの準直交符号生成方法及び準直交符号を用いた帯域拡散装置
RU2000104858A RU2178621C2 (ru) 1997-09-09 1998-09-09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квазиортогонального кода и расширитель, использующий этот способ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BR9812038A BR9812038A (pt) 1997-09-09 1998-09-09 Aparelho de transmissão de canal para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cdma, e, processos de transmissão de canal para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cdma e para gerar códigos quase ortogonais de comprimento 22 m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utilizando códigos de walsh e códigos quase ortogonais
CNB988084910A CN1160878C (zh) 1997-09-09 1998-09-09 移动通信系统中产生准正交码的方法和采用该方法的扩频器
EP98944316A EP1013009B1 (en) 1997-09-09 1998-09-09 Method for generating quasi-orthogonal code and spreader using the sa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1998633382 DE69833382T2 (de) 1997-09-09 1998-09-09 Verfahren zur erzeugung von quasi-orthogonalen koden und spreizer dafür in einem mobilen kommunikationssystem
ES98944316T ES2256956T3 (es) 1997-09-09 1998-09-09 Procedimiento para generar codigos cuasi-ortogonales y extendedor que lo usa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CA 2298690 CA2298690C (en) 1997-09-09 1998-09-09 Method for generating quasi-orthogonal code and spreader using the sam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003412580A JP3895721B2 (ja) 1997-09-09 2003-12-10 移動通信システムの準直交符号生成方法及び準直交符号を用いた帯域拡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402A KR100365346B1 (ko) 1997-09-09 1997-09-09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992A KR19990024992A (ko) 1999-04-06
KR100365346B1 true KR100365346B1 (ko) 2003-04-11

Family

ID=19521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402A KR100365346B1 (ko) 1997-09-09 1997-09-09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377539B1 (ko)
EP (1) EP1013009B1 (ko)
JP (2) JP3888852B2 (ko)
KR (1) KR100365346B1 (ko)
CN (1) CN1160878C (ko)
BR (1) BR9812038A (ko)
CA (1) CA2298690C (ko)
DE (1) DE69833382T2 (ko)
ES (1) ES2256956T3 (ko)
RU (1) RU2178621C2 (ko)
WO (1) WO1999013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5346B1 (ko) * 1997-09-09 200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KR100318959B1 (ko) * 1998-07-07 2002-04-22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서로다른부호간의간섭을제거하는장치및방법
KR100346213B1 (ko) * 1998-09-08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4진 복소 준직교부호 생성 및 이를 이용한 확산장치 및 방법
IL135837A (en) * 1998-09-08 2004-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lex quasi-orthogonal quarterly code and transmitting a transmission signal by using quasi-orthogonal code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798736B1 (en) * 1998-09-22 2004-09-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able rate data
KR100310855B1 (ko) * 1998-09-25 2001-10-18 윤종용 이동통신 시스템의 준직교부호 생성 및 이를 이용한 확산장치및 방법
KR100383614B1 (ko) * 1998-10-19 2003-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할당장치및방법
KR100315709B1 (ko) * 1998-12-29 2002-02-28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의채널확산장치및방법
EP2141820B1 (en) * 1999-01-11 2013-09-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generating complex quasi-orthogonal cod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preading channel data using the quasi-orthogonal cod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JP3362009B2 (ja) * 1999-03-01 2003-01-07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RU2216105C2 (ru) 1999-05-12 2003-11-10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Способ выделения канала для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в системе подвижной связи
US6885691B1 (en) * 1999-08-02 2005-04-26 Lg Information & Communications, Ltd. Scrambling codes and channelization codes for multiple chip rate signals in CDM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1077532A1 (en) * 1999-08-17 2001-02-2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Spread Spectrum Signal Generator and Decoder for Single Sideband Transmission
US6643280B1 (en) * 1999-10-27 2003-11-0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of CDMA long codes
US7295509B2 (en) * 2000-09-13 2007-11-13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method in an OFDM multiple access system
US9130810B2 (en) 2000-09-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OFDM communications methods and apparatus
US6999500B2 (en) * 2000-11-03 2006-02-14 Qualcomm Inc. System for direct sequence spreading
US7596082B2 (en) 2001-06-07 2009-09-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Walsh space assignment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0586118C (zh) 2001-08-21 2010-01-27 英芬能技术公司 用于提高扩频通信系统中数据速率的方法和装置
US7697413B2 (en) * 2003-04-28 2010-04-13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generating a code mask for coding transmission over a traffic channel
JP2004363721A (ja) * 2003-06-02 2004-1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946913B1 (ko) * 2003-11-21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시스템에서 셀 식별을 위한 프리앰블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US8098592B2 (en) * 2004-04-05 2012-01-17 Alcatel Lucent Cellular data transmission time period estimation
US9137822B2 (en) 2004-07-21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signaling over access channel
US9148256B2 (en) 2004-07-2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Performance based rank prediction for MIMO design
US7551582B2 (en) * 2004-10-12 2009-06-23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walsh code assignments
US9246560B2 (en) 2005-03-10 2016-01-2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and rate control in a multi-input multi-output communication systems
US9154211B2 (en) 2005-03-1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beamforming feedback in multi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US8446892B2 (en) 2005-03-16 2013-05-21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tructures for a quasi-orthogonal multiple-access communication system
US9461859B2 (en) * 2005-03-17 2016-10-04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520972B2 (en) * 2005-03-17 2016-12-13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43305B2 (en) 2005-03-1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 transmission for a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84870B2 (en) 2005-04-01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 channel signaling
US9408220B2 (en) 2005-04-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quality reporting for adaptive sectorization
US9036538B2 (en) 2005-04-19 2015-05-19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single carrier FDMA systems
US8611284B2 (en) 2005-05-31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supplemental assignments to decrement resources
US8879511B2 (en) 2005-10-27 2014-11-04 Qualcomm Incorporated Assignment acknowledgement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65194B2 (en) 2005-10-27 2013-10-22 Qualcomm Incorporated Puncturing signaling channel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462859B2 (en) 2005-06-01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Sphere decoding apparatus
US8599945B2 (en) 2005-06-16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rank prediction for a MIMO system
US9179319B2 (en) 2005-06-16 2015-11-0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sectorization in cellular systems
US7916694B2 (en) * 2005-07-19 2011-03-2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reducing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885628B2 (en) 2005-08-08 2014-11-11 Qualcomm Incorporated Code division multiplexing in a 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9209956B2 (en) 2005-08-22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Segment sensitive scheduling
US20070041457A1 (en) 2005-08-22 2007-02-22 Tamer Kadous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644292B2 (en) 2005-08-24 2014-02-04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transmission time interval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36974B2 (en) 2005-08-30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and SDMA support
US8045512B2 (en) 2005-10-27 2011-10-25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693405B2 (en) 2005-10-27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SDMA resource management
US9225488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Shared signaling channel
US9144060B2 (en) 2005-10-27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for shared signaling channels
US8582509B2 (en) 2005-10-27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Scalable frequency band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10651B2 (en) 2005-10-27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ootstraping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477684B2 (en) 2005-10-27 2013-07-02 Qualcomm Incorporated Acknowledgement of control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72453B2 (en) 2005-10-27 2015-10-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coding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system
US9088384B2 (en) * 2005-10-27 2015-07-21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ymbol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25416B2 (en) 2005-10-27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Varied signaling channels for a reverse link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82548B2 (en) 2005-11-18 2013-11-12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hem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GB2433397B (en) * 2005-12-16 2008-09-10 Toshiba Res Europ Ltd A configurable block cdma scheme
US8830983B2 (en) * 2005-12-20 2014-09-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generating code sequence and method of transmitting signal using the same
US7839308B2 (en) * 2007-02-09 2010-11-23 Qualcomm Incorporated Using codewor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92170B1 (en) 2007-06-15 2019-04-24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Wireless communication appartus and response signal spreading method
KR100930793B1 (ko) * 2007-11-26 2009-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데시메이션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송신단을 식별하는 수신 장치 및 방법
CN101335538B (zh) * 2008-06-18 2012-06-27 清华大学 一种扩频序列生成的方法和装置
US10218547B2 (en) * 2016-04-08 2019-02-26 Qualcomm Incorporated Filtered orthogonal binary phase shift keying modulation with low peak-to-average-power rati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15508A (en) * 1967-09-15 1973-02-06 Ibm Switching circuits employing orthogonal and quasi-orthogonal pseudo-random code sequences
US5088111A (en) * 1989-02-28 1992-02-11 First Pacific Networks Modulation and demodulation system employing AM-PSK and FSK for communication system using digital signals
US5103459B1 (en) * 1990-06-25 1999-07-06 Qualcomm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ignal waveforms in a cdma cellular telephone system
FR2706704B1 (fr) * 1993-06-09 1995-07-13 Alcatel Telspace Système de transmission numérique à étalement de spectre obtenu par codage pseudo-aléatoire basse fréquence de l'information utile et procédé d'étalement et de compression de spectre utilisé dans un tel système.
CA2127616C (en) * 1993-07-16 1999-02-09 Osamu Kato Mobile communication unit
US5987014A (en) * 1994-07-14 1999-11-16 Stanford Telecommunications, Inc. Multipath resistant, orthogonal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5654955A (en) * 1994-12-15 1997-08-05 Stanford Telecommunications, Inc. Network entry channel for CDMA systems
US5623485A (en) * 1995-02-21 1997-04-22 Lucent Technologies Inc. Dual mo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5623487A (en) * 1995-05-19 1997-04-22 Stanford Telecommunications, Inc. Doubly orthogonal code and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ZA965340B (en) * 1995-06-30 1997-01-27 Interdigital Tech Corp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JP3548657B2 (ja) * 1996-10-17 2004-07-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重信号の送信装置
US5864548A (en) * 1997-01-06 1999-01-26 Cwill Tele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modulation in synchronous CDMA communications
KR19990016606A (ko) * 1997-08-18 1999-03-15 윤종용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의 의사직교부호를 이용한 대역확산신호 발생장치 및 방법
KR100365346B1 (ko) * 1997-09-09 2003-04-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3382T2 (de) 2006-07-13
CN1160878C (zh) 2004-08-04
CA2298690C (en) 2006-08-22
KR19990024992A (ko) 1999-04-06
BR9812038A (pt) 2000-10-03
DE69833382D1 (de) 2006-04-13
JP2004153842A (ja) 2004-05-27
WO1999013599A1 (en) 1999-03-18
JP3895721B2 (ja) 2007-03-22
JP2002526947A (ja) 2002-08-20
CA2298690A1 (en) 1999-03-18
JP3888852B2 (ja) 2007-03-07
ES2256956T3 (es) 2006-07-16
US6377539B1 (en) 2002-04-23
RU2178621C2 (ru) 2002-01-20
CN1272266A (zh) 2000-11-01
EP1013009A1 (en) 2000-06-28
EP1013009B1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346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쿼시직교부호생성및쿼시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장치및방법
US748349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wideband signals via a communication system adapted for narrow-band signal transmission
US20020172264A1 (en) Partly orthogonal multiple code trees
KR100369801B1 (ko) 씨디엠에이이동통신시스템의의사직교부호를이용한대역확산신호발생장치및방법
JP3519053B2 (ja) Cdma通信システムの4進複素準直交符号の生成及びこれを用いる帯域拡散装置及び方法
KR20000047150A (ko) 이동통신시스템의채널확산장치및방법
JP3681335B2 (ja) Cdma通信システムの4進準直交符号生成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チャネル拡散装置及び方法
KR20000055966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채널확산 장치 및 방법
EP1034665A1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quasi-orthogonal code and spreading channel signal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321998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준직교부호 생성 방법및 이를 이용한 채널 확산장치 및 방법
KR100346213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4진 복소 준직교부호 생성 및 이를 이용한 확산장치 및 방법
KR19990025732A (ko) 이동 통신시스템의 준 직교부호의 생성방법 및 장치
KR10031085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준직교부호 생성 및 이를 이용한 확산장치및 방법
KR100805342B1 (ko) 직교 확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