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386B1 -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 Google Patents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386B1
KR100362386B1 KR1020000049822A KR20000049822A KR100362386B1 KR 100362386 B1 KR100362386 B1 KR 100362386B1 KR 1020000049822 A KR1020000049822 A KR 1020000049822A KR 20000049822 A KR20000049822 A KR 20000049822A KR 100362386 B1 KR100362386 B1 KR 10036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unit
printing
main body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8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16664A (en
Inventor
김경환
최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386B1/en
Publication of KR2002001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3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 G03G15/2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involving the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tep according to groups G03G13/02 - G03G13/20 specially adapted for copying both sides of an original or for copying on both sides of a recording or image-receiving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양면인쇄 유니트가 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개폐가능한 내장형을 이루고 있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개시한 것으로서,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전사로울러가 지지되는 도어패널과, 그 도어패널과 대면하여 인쇄용지 순환경로를 형성하며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태로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커버프레임과, 배지유니트의 배출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도어패널과 커버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수단과, 도어패널과 커버프레임의 대면부에 설치되어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인쇄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수단 및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현상유니트와 정착유니트를 따라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재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양면인쇄시 일면인쇄시와 비례적으로 대응하는 인쇄효율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잼(jam) 용지 처리를 보다 용이하고 간단한 조치에 의해 해소할 수 있다.Disclosed is a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double-sided printing unit is integrally installed on a main body to form a built-in typ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over frame is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and the cover frame by selectively constraining the cover fram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unit. A first guide means for guiding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and a second conveying means for transferring the printing paper onto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installed on the facing surface of the door panel and the cover frame, and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Printed paper to be conveyed on the printing paper conveying path formed along the developing unit and the fixing unit. And second guide means for guiding re-entr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inting efficiency that is proportional to that of one-side printing at the time of double-sided printing, and to eliminate jam paper processing by easier and simple measures.

Description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본 발명은 레이저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면인쇄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소위 내장형(built-in type) 양면인쇄 유니트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pri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o-called built-in type duplex printing unit to maximize the duplex printing efficiency.

주로 컴퓨터 네트워크상에 연결되어 원하는 정보를 페이지 단위로 인쇄하기 위한 대표적인 화상형성장치의 하나인 레이저 프린터는, 기존의 도트 프린터나 잉크제트 프린터와는 달리 대전된 감광매체에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그 정전잠상을 토너 입자(toner particle)에 의해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하여 인쇄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키는 전자사진 인쇄방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은 레이저 프린터는 통상 1매의 인쇄용지 양면에 각각 원하는 정보를 순차적으로 인쇄할 수 있는 양면인쇄 유니트를 구비하고 있다.Laser printers, which are one of the representative image forming apparatuses for printing desired information on a page basis mainly connected to a computer network, unlike conventional dot printers or ink jet printers, laser printers scan a laser beam on a charged photosensitive medium to prevent electrostatic latent images. And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method in which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is developed into a visible image by toner particles to transfer and fix on a printing paper. Such a laser printer is usually provided with a duplex printing unit capable of sequentially printing desired information on both sides of one sheet of printing paper.

종래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양면인쇄 유니트는 프린터 본체와 분리되어 소위, 옵션에 의해 필요시 착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aser printer, the duplex printing unit has a structure that is separated from the printer main body so as to be detachable when necessary by a so-called option.

따라서, 종래 레이저 프린터의 경우 사용자가 옵션에 의해 양면인쇄 유니트를 별도 구매하여 선택적으로 장착 사용하게 됨에 따라 구매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laser printer, as the user purchases the duplex printing unit separately by using an option and selectively installs it, the purchase cost is increased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use.

또한, 종래 레이저 프린터는 양면인쇄 유니트가 프린터 본체와 분리되어 착탈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양면인쇄를 위한 인쇄용지 순환경로 형성에 있어서 여러가지 구조적인 제약이 따르게 되므로 인쇄용지 순환경로가 길고 복잡하고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laser print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duplex printing unit is detached from the printer body and thus detached from the printer body, various structural restrictions are followed in forming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 double-sided printing. There are many cases.

따라서, 종래에는 프린터장치의 외형 규격을 소형화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양면인쇄시 일면인쇄에 비례적으로 대응하는 효율을 얻기가 어려워 인쇄효율이 격감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related art,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external standard of the printer device,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efficiency corresponding to one-sided printing at the time of double-sided printing.

즉, 종래의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일면인쇄시 예컨대, A4 용지를 분당 32매 프린팅할 수 있는 경우에 있어서 양면인쇄시에는 대략 28매 전후의 인쇄용지를 프린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종래의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양면인쇄시 일면인쇄시에 비하여 대략 80 내지 85% 정도로 인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at is,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es such as copiers and laser printers can print about 28 sheets of printing paper when printing on both sides, for example when 32 sheets of A4 paper can be printed on one side. . Therefore,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the printing efficiency is lowered by about 80 to 85% compared to when printing on one side when printing on both sides.

한편,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 등과 같은 종래의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는 인쇄동작과정에서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인쇄용지 이송경로가 프린터 본체 내부에 대부분 클로우즈(close)되도록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며 극히 일부분의 인쇄용지 이송경로만 프린터 본체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es, such as a copier or a laser printer, a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a printing paper feed path through which printing paper is conveyed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is fixed so as to be mostly closed inside the printer main body, and only a part of the printing is performed. Only the paper feed path is formed to be exposed from the printer body.

따라서,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잼(jam) 용지에 대한 처리 및 수리보수 등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한 문제점을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구성상의 문제점이 가동효율 저해 요인으로 작용한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is not easy to handle and repair the jam paper, so as not only has an inconvenience in use, but also such a configuration problem acts as a deterrent to the operation efficiency.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양면인쇄 유니트가 본체에 일체로 구비되도록 소위 내장형으로 형성하여 보다 콤팩트한 구성을 가지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d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so-called built-in type so that the double-sided printing unit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main body. To provide a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ore compact configuration.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양면인쇄시 일면인쇄시와 동일한 인쇄효율을 얻을 수 있는 인쇄용지 순환경로가 형성된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capable of obtaining the same printing efficiency as double-sided printing.

또한,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에서 발생되는 잼(jam) 용지에 대한 처리를 보다 용이하고 간단한 조치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내부 고장시 수리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보유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jam paper generated on the printing paper conveyance path by easier and simple measures, and at the same time to facilitate repair and repair in the event of an internal failu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요부가 오픈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외관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n state of a main por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인쇄용지 픽업유니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개략적 부분 사시도,3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pickup unit shown in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인쇄용지 이송수단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해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taken to illustrate an example of the printing paper transport mean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양면인쇄 유니트의 요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사시도,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duplex printing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수동급지 트랜스퍼 유니트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manual feed transfer un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면인쇄 동작과정과 인쇄용지 이송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printing on one s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양면인쇄 동작과정과 인쇄용지 이송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 duplex printing operation process and printing paper feed path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수동급지에 의한 인쇄 동작과정과 인쇄용지 이송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ting operation process and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by manual feeding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20...인쇄용지 카세트 30...포토센서10, 20 ... Print paper cassette 30 ... Photo sensor

50...수동급지 카세트 80...배지대50 ... Bypass Cassette 80 ... Tray

110...본체 111...고정패널110 ... body 111 ... fixed panel

112...커버패널 120...픽업 유니트112 Cover panel 120 Pick-up unit

121...레버브라켓 122...픽업로울러121 Lever bracket 122 Pick-up roller

130...현상 유니트 131...감광드럼130 Developing unit 130 Photosensitive drum

132...전사로울러 140...토너공급 유니트132 ... Transfer roller 140 ... Toner supply unit

150...레이저 스캐닝 유니트(LSU) 160...정착 유니트150 ... Laser Scanning Unit (LSU) 160 ... Fixing Unit

161...가압로울러 162...히팅로울러161 Pressing roller 162 Heating roller

170...배지유니트 175...배지방향결정 가이드부재170 ... Medium unit 175 ... Medium orientation guide member

177...배지로울러 178...백업로울러177 ... badge roller 178 ... backup roller

180...양면인쇄 유니트 181...도어패널180 Duplex Unit 181 Door Panel

186...커버프레임 189...용지반전 가이드부재186 ... Cover frame 189 ... Paper reversing guide member

190...트랜스퍼 유니트 191...슬라이드 플레이트190 ... Transfer Unit 191 ... Slide Plate

196...오픈 플레이트 L...회동레버196.Open plate L ... Swivel lever

G1, G2...가이드부재G1, G2 ... guide member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쇄용지 카세트와, 그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니트와, 픽업된 인쇄용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수단과, 인쇄용지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와, 인쇄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압착하여 이미지화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니트와, 상기 정착유니트를 통과한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켜 그 이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순환시키는 양면인쇄 유니트 및 이미지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인쇄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유니트를 포함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 상기 정착유니트에 의해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상기 배지유니트에 반전된 상태로 이송된 인쇄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현상유니트에 재진입시키는 인쇄용지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과 대면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된 내장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inting paper cassette detachably installed on a main body,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the printing paper loaded on the cassette, and the picked up printing paper. First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toner in one direction, a developing unit for forming a toner image on printing paper, a fixing unit for compressing and fixing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to an image image, and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A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double-sided printing unit which recirculates one printing sheet into the developing unit and circulates to form an image on the back side thereof,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ing sheet on which the image image has been fixed. The double-sided printing unit is one-sided printing is completed by the fixing unit and the doub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in type integrally installed to face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form a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in the inverted state to the paper unit to re-enter the developing unit.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 상기 본체에 대해 일측이 회동하여 오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는 또 다른 특징점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적 특징점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가 양면인쇄 효율 극대화를 위한 최단거리의 인쇄용지 순환경로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쇄용지 순환경로가 대략 본체의 상하 수직적인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보적인 타원형 트랙상을 이루게 된다.Accord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uplex printing unit has another feature of being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is rotatable and ope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This configuration feature is to ensure that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hortest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 maximizing the duplex printing efficiency,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is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pproximately Complementary elliptical tracks.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전사로울러가 지지되는 도어패널과; 상기 도어패널과 대면하여 그 사이에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순환경로가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커버프레임과; 상기 배지유니트의 배출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커버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수단과;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대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인쇄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수단; 및 상기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와 상기 정착유니트를 따라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plex printing unit includes: a door panel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nd supporting the transfer roller; A cover fram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a circulation path through which printing paper is transported is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and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First guiding means for selectively confin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unit to enter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and the cover frame; Second conveying means installed on a facing portion of the door panel and the cover frame to convey printing paper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And second guide means for guid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onto the printing paper conveying path formed along the developing unit and the fix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인쇄용지 카세트는 상기 본체에 적어도둘 이상이 상하 나란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설치되며, 특히 상기 배지유니트를 통해 배출되는 인쇄용지의 배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특징적 구성을 가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paper cassette is installed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are stacked on the main body side by side in a vertical state, in particular installed to be detach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Has a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배지유니트는 인쇄용지를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하여 배출시키도록 구동되는 배지방향 결정수단으로서, 상기 정착유니트를 거쳐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간섭하여 그 이송방향을 선택적으로 결정지우는 제1자세와 제2자세로 세팅되도록 상기 배지유니트의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지유니트의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에 설치되는 배지로울러 및 그와 대응하여 구동되는 백업로울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unit is a discharge direction determining means that is driven to select and discharge the printing paper in any on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interferes with the printing paper conveyed through the fixing unit And a guide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printing paper transfer path of the discharge unit to set the first and second postures to selectively determine the transfer direction thereof, and the printing paper of the discharge unit to enabl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riv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discharge roller installed on the transfer path and a backup roller driven correspondingly.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수동급지 카세트가 설치되고, 상기 인쇄용지 카세트와 상기 현상유니트 사이의 본체에는 상기 수동급지 카세트로부터 픽업된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수동급지 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트랜스퍼 유니트가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ual feed cassett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the manual paper feed path through which the printing paper picked up from the manual feed cassette is transferred to the main body between the printing paper cassette and the developing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ed transfer unit is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from th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는, 다수의 회전로울러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회전로울러와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텐션로울러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탑재되어 상방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오픈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er unit has a slide plate provided so that a plurality of rotation roller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tension rolle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rotation rollers, respectively, and are mounted on the slide plate in an upward rotation.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n open plat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요부가 오픈된 상태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복사기나 레이저 프린터 등과 같은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에서 같이 본체(110)에 콘트로울러부(미도시)와 엔진부(100A)가 내장된다.Figure 1 schematically shows the appearance of the main por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 state, as in the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copying machine, a laser printer, etc. Not shown) and the engine unit 100A is incorporated.

상기 콘트로울러부는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해석하여 인쇄할 화상데이타를 상기 엔진부(100A)에 단위 페이지 형태의 제어신호로 송출하게 되며, 또한 상기 엔진부(100A)의 여러 구동장치 등을 시퀀스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출하게 된다.The controller unit analyz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mputer and sends image data to be printed to the engine unit 100A as a control signal in the form of a unit page, and sequentially drives various driving devices of the engine unit 100A and the like.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ignal is transmitted.

상기 엔진부(100A)는 상기 콘트로울러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사진방식 인쇄과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현상유니트(130)와 레이저빔 스캐닝 유니트(LSU; 150), 토너공급 유니트(140) 및 인쇄용지에 토너화상을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니트(미도시) 등을 포함한다.The engine unit 100A performs a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proces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includes a developing unit 130, a laser beam scanning unit (LSU) 150, a toner supply unit 140, and the like. And a fixing unit (not shown) for fixing the toner image onto the printing paper.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주요 특징점의 하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인쇄 유니트(180)가 본체(110)의 배지측(B)면과 대면하여 오픈 가능하도록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소위, 내장형(built-in type)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겠지만, 양면인쇄 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인쇄용지 순환경로를 최단 거리로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duplex printing unit 180 can be opened to face the discharge side B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1. The so-called built-in type is installed. This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but to form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in the shortest distance in order to maximize the duplex printing efficiency.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180)는 본체(100)와 상보적인 작용에 의해 인쇄용지 순환경로(도 2의 부호 "C" 참조)를 형성하게 된다.The duplex printing unit 180 forms a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see symbol “C” in FIG. 2) by a complementary action with the main body 100.

상기한 인쇄용지 순환경로는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배지유니트(170)상에 반전된 상태로 이송된 인쇄용지가 양면인쇄 과정을 거치기 위하여 선택적인 구속에 의해 상기 엔진부(100A)로 재진입하기 위한 이송경로로 이용된다.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is transported for reentry into the engine unit 100A by selectively restrain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in the inverted state on the discharge unit 170 after one side printing is completed. Used as a rout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또 다른 주요 특징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인쇄용지 카세트(10)(20)가 본체(110)의 급지방향(a)과 배지방향(b)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되도록 설치되며, 다층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다.Further, another main featur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ure 1, the unit printing paper cassette 10, 20, the feeding direction (a) and discharg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It is provided so that attachment or detachment may be carried out in substantially ortho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b), and it is installed in a multilayered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또 다른 주요 특징점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동작 과정에서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인쇄용지 이송경로의 주요부가 상기 본체(110)의 내부로부터 대부분 노출되도록 오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another main featur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ure 1, the main portion of the printing paper transport path to which the printing paper is transported during the printing operation process of the main body 110 It is formed to be openly exposed to most of the interior.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상기 엔진부(100A)와 상기 단위 인쇄용지 카세트(20)의 사이에 소위,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본체(110)로부터 슬라이딩에 의해 노출되어 오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트랜스퍼 유니트(190)가 구비되며, 이 트랜스퍼 유니트(190)에는 수동급지 카세트(50)로부터 이송되는 수동급지 이송경로(도 2의 부호 "T"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transfer unit 190, which is configured between the engine unit 100A and the unit printing paper cassette 20, is configured in a so-called drawer type and is exposed by sliding from the main body 110 so as to be opened. The transfer unit 190 is provided with a manual paper feed path (see symbol “T” in FIG. 2) which is fed from the manual paper feed cassette 50.

이와 같은 구성은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에서 발생되는 잼(jam) 용지에 대한 처리를 보다 용이하고 간단한 조치에 의해 해소할 수 있는 동시에 내부 고장시 수리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Such a configura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function that can solve the jam paper generated on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by easier and simple measures, and at the same time, make the repair and repair easier in the case of an internal failure. .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 특징점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중심으로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main featur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s follows.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는 상기 단위 인쇄용지 카세트(10)(20)의 상방에 각각 위치하여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1매씩 순차적으로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니트(120)가 설치되어 있다.The pickup unit 120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10 to sequentially pick up one sheet of printing paper, which is positioned above the unit printing paper cassettes 10 and 20, respectively.

상기 픽업유니트(120)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인쇄용지 카세트(10)(20)의 착탈상태와 인쇄용지 적재레벨에 따라 그 세팅포지션 레벨이 달라지는 픽업로울러(122)와, 그 픽업로울러(1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레벨을 조정해 주기 위하여 힌지구조를 가지고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픽업레버(121)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pickup unit 120 includes a pickup roller 122 whose setting position level varies according to a detachable state of the unit printing paper cassettes 10 and 20 and a printing paper loading level. In addition, the pickup roller 122 includes a pickup lever 121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110 with a hinge structur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ickup roller 122 and adjusting the level thereof.

상기 픽업로울러(122)는 예컨대, 구동모터(M1)의 출력축과 연결된 벨트(미도시)나 기어(미도시)에 연결되는 구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pickup roller 122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for example,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a belt (not shown) or a gear (not shown) connect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riving motor M1.

상기 본체(110)의 배지측(B) 고정패널(111)에는 상기 픽업유니트(120)에 의해 픽업된 인쇄용지를 엔진부(100A)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제1이송수단으로서, 상기 인쇄용지 카세트(10)(20)의 용지출구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회전로울러(113)(115) 및 그에 각각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된 복수의 텐션로울러(114)(116)를 구비한다.The printing paper cassette is a first transfer means for transferring the printing paper picked up by the pickup unit 120 to the engine unit 100A on the discharge side B fixing panel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a plurality of rotation rollers 113 and 115 rotatably installed on the paper exit side of the (10) and (20) 20 and a plurality of tension rollers 114 and 116 respectively installed to rotate correspondingly thereto.

상기 회전로울러(113)(1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본체(110)의 배지측(B) 하방부의 고정패널(111)에 설치된 공용의 회전축(111a)상에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 the rotary rollers 113 and 115 have a common rotary shaft installed in the fixing panel 111 below the discharge side B of the main body 110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M. As shown in FIG. It is arrange | positioned on 111a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그리고, 상기 텐션로울러(114)(116)는 상기 본체(110)의 고정패널(111)과 대면한 상태로 설치되어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커버패널(112)의 내측에 설치되며,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바이스되는 공용의 회전축(112a)상에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로울러(113)(115)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ension rollers 114 and 116 are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y face the fixed panel 111 of the main body 110 and are installed inside the cover panel 112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and a spring (not shown). It is arranged at approximately equal intervals on the common rotating shaft 112a which is elastically struck by) so as to elastically press the rotating rollers 113 and 115.

한편, 상기 본체(110)의 고정패널(111)과 커버패널(112)의 사이에는 상기 인쇄용지 카세트(10)(20)로부터 픽업된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이송경로가 형성되는데, 상기 커버패널(112)의 내측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박판 리브(112b)가 수직상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인쇄용지와 마찰되는 면적을 최소화시켜 인쇄용지 이송시에 발생할 수 있는 잼(jam)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fixing panel 111 and the cover panel 112 of the main body 110 is formed a transport path for transporting the printing paper picked up from the printing paper cassette 10, 20, the cover panel ( On the inner side of 112, as shown, a plurality of thin ribs 112b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vertically. This configuration is to minimize the area rubbed with the printing paper to suppress the jam (jam) that may occur during the transfer of the printing paper.

도면의 참조부호 30은 상기 회전로울러(113)(115)와 텐션로울러(114)(116)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하기 위한 포토센서로서, 인쇄용지 검출여부에 따라 그 상류에 마련되어 있는 정렬로울러(31)와 백업로울러(32)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정렬로울러(31)와 백업로울러(32)는 상기 현상 유니트(130)에 진입하는 인쇄용지를 정위치 및 정속도로 정렬 제어하여 상기 현상 유니트(130)에서 정상적인 화상형성 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Reference numeral 30 in the drawing denotes a photo sensor for detect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by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rotary rollers 113, 115 and the tension rollers 114, 116 in a non-contact manner, depending on whether the printing paper is detected. The driving of the alignment roller 31 and the backup roller 32 provided upstream is controlled. As a result, the alignment roller 31 and the backup roller 32 align and control the printing paper entering the developing unit 130 at the correct position and at the constant speed so that the developing unit 130 may perform a normal image forming operation. Give it.

상기 현상 유니트(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컨대 코로나(corona) 방전에 의해 대전되어 레이저빔 스캐닝 유니트(LSU; 150)로부터의 레이저빔 조사에 의해 인쇄화상의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31)을 구비한다.The developing unit 130 is detachably installed from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1, and is charged by, for example, corona discharge to irradiate the laser beam from the laser beam scanning unit (LSU) 150. And a photosensitive drum 131 on which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f a printed image is formed.

도면의 참조부호 160은 상기 감광드럼(131)과 전사로울러(132)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가압하여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니트로서, 가압로울러(161) 및 히팅로울러(162)을 구비한다.Reference numeral 160 in the drawing denotes a fixing unit for pressing and fixing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by the photosensitive drum 131 and the transfer roller 132, and includes a pressing roller 161 and a heating roller 162. do.

도면의 참조부호 170은 상기 정착유니트(160)에 의해 이미지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인쇄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유니트로서, 상기 배지유니트(170)에는 복수의 이송로울러(172)와 백업로울러(173)가 서로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지 유니트(170)에서는 이송로울러(172)와 백업로울러(173)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인쇄용지를 결정된 배지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참조부호 175는 상기 인쇄용지 이송경로(P)의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송되어 오는 인쇄용지를 구속하여 그 배출방향을 선택적으로 결정지우기 위해 회동하게 되는 배지방향결정 가이드부재를 나타내고, 177 및 178은 인쇄용지의 배출방향에 따라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배지로울러 및 백업로울러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170 in the drawing denotes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printing paper on which the fixing of the image image is completed by the fixing unit 160. The discharge unit 170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172 and a backup roller 173. Are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discharge unit 170 transfers the printing paper in the discharge direction determined by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transfer roller 172 and the backup roller 173. Here, reference numeral 175 denotes a discharge direction guide member which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P) and rotates to restrain the printing paper which is conveyed and to selectively determine its discharge direction. 177 and 178 denote a discharge roller and a backup roller which are controlled to enabl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depending 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상기 가이드부재(175)는 인쇄용지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공용의 회전축에 다수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인쇄용지의 선단부를 원하는 이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상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The guide member 175 is formed to have a shape structure that can be arranged in equal intervals on the common rotating shaft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to guide the leading end of the printing paper in the desired transport direction.

상기 양면인쇄유니트(180)는, 본체(100)의 배지측(B) 상방부에 각각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전사로울러(132)가 지지되는 도어패널(181)과, 그 도어패널(181)의 외측면과 대면하여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일면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가 반전되어 순환하는 순환경로를 형성하게 되는 커버프레임(186)을 포함한다.The double-sided printing unit 18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charge side B of the main body 100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ed, and a door roller 181 on which a transfer roller 132 is supported therein, and the door panel 181. The cover frame 186 is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to form a circulation path in which one side of the printed paper is inverted and circulated.

상기 커버프레임(186)의 자유단에는 상기 배지유니트(170)의 인쇄용지 배출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도어패널(181)과 상기 커버프레임(186)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C)로 안내하여 진입시키기 위해 세팅포지션이 변화되도록 구동되는 용지반전 가이드부재(189)가 설치된다.Printing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181 and the cover frame 186 by selectively restrain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printing paper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unit 170 on the free end of the cover frame 186. In order to guide and enter the paper circulation path (C), a paper inversion guide member 189 driven to change the setting position is provided.

상기 용지반전 가이드부재(189)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쇄용지의 폭방향으로 설치된 공용의 회전축(189a)에 다수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인쇄용지의 선단부를 원하는 이송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형상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paper reversing guide member 189 is arranged on the common rotating shaft 189a instal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at equal intervals to guide the tip of the printing paper in a desired conveying direction. It is formed to have a shape structure.

상기 도어패널(181)과 상기 커버프레임(186)의 대면부에는 복수의 회전로울러(182)(187) 및 텐션로울러(183)(188)가 대응적으로 설치되어 그들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인쇄용지를 순환 이송시키게 된다.A plurality of rotary rollers 182, 187 and tension rollers 183, 188 are correspondingly installed on the surface portions of the door panel 181 and the cover frame 186, and the printing paper is driven by their rotational driving force. Circulating conveyed.

상기 회전로울러(182)(18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도어패널(181)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공용의 회전축(181a)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The rotation rollers 182 and 187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a common rotation shaft 181a installed to cross the door panel 181 so as to be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M as shown in FIG. 5. .

상기 텐션로울러(183)(188)는 상기 커버프레임(186)의 내측에 설치되며,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탄성바이스되는 공용의 회전축(186a)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회전로울러(182)(187)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The tension rollers 183 and 188 are installed inside the cover frame 186 and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a common rotation shaft 186a elastically viced by a spring (not shown). 187) is elastically pressed.

한편, 상기 도어패널(181)과 커버프레임(186)의 사이에는 양면인쇄를 위해 일면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순환경로가 형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패널(181)과 커버프레임(186)의 대면부에는 각각 다수의 박판 리브(181b)(186b)가 수직상으로 등간격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인쇄용지가평면상을 따라 이송되는 경우에 쉽게 평면상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잼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door panel 181 and the cover frame 186 is formed a circulation path for transporting the printed paper on which one-side printing is completed for double-sided printing, the door panel 181 and the cover frame ( A plurality of thin ribs 181b and 186b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facing portions of the 186. This configuration is for preventing jams and the like by preventing the printing paper from being easily adsorbed on the plane when transported along the plane.

도 5에서 참조부호 L은 상기 인쇄용지 이송경로(P)와 순환경로(C)상에 설치되어 인쇄용지와의 접촉에 의해 회동하게 되는 회동레버(L)로서, 상기 회동레버(L)는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나 솔레노이드 등에 연결된 회동축에 지지되며, 이송되는 인쇄용지와 접촉하여 회동하게 됨에 따라 인쇄용지의 이송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역할을 하게 된다.In FIG. 5, reference numeral L denotes a rotation lever L installed on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P and the circulation path C to rotate by contact with the printing paper, wherein the rotation lever L is, for example. It is supported by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a limit switch or a solenoid,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conveyed printing paper, thus serving 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transport position of the printing paper.

도 2의 참조부호 G1은 상기 인쇄용지 순환경로(C)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상기 엔진부(100A)의 현상유니트(130)와 상기 정착유니트(160)를 따라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P)상으로 재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나타낸다.Reference numeral G1 of FIG. 2 denotes a printing paper conveying path P formed along the developing unit 130 and the fixing unit 160 of the engine unit 100A for printing the paper conveyed onto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C. FIG. A guide member for reentering into the phase is show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진부(100A)에 형성되는 인쇄용지 이송경로(P)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용지가 본체(100)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송되도록 수직적인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P formed in the engine unit 100A forms a vertical path such that the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그리고,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180)의 도어패널(181)과 커버프레임(186)의 사이에 형성되는 인쇄용지 순환경로(C)는 인쇄용지가 본체(10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송되도록 수직적인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C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181 and the cover frame 186 of the duplex printing unit 180 is vertical so that the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It will form a path.

따라서, 상기 엔진부(100A)에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P)와 상기 양면인쇄유니트(180)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C)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보적인 타원형 트랙상의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Therefore,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P formed in the engine unit 100A and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C formed in the double-sided printing unit 180 form a path on the complementary elliptical track as shown in FIG. 2. Done.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인쇄용지 이송경로에 따르면, 양면인쇄를 위한 인쇄용지 순환경로를 최단거리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인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 규격을 보다 소형화시키기에 유리한 구성을 이루게 된다.According to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of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form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 the double-sided printing in the shortest distance to improve the printing efficiency and to improve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 configuration that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is achieved.

도 2의 참조부호 50은 수동급지 카세트이고, 60은 수동급지 카세트(50)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로울러(61)을 구비한 픽업유니트를 보인 것이다.Reference numeral 50 in FIG. 2 denotes a manual feed cassette, and 60 shows a pickup unit having a pickup roller 61 for picking up printing paper loaded on the manual feed cassette 50.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픽업유니트(60)의 픽업로울러(61)에 의해 상기 수동급지 카세트(50)로부터 픽업된 인쇄용지는 상기 엔진부(100A)와 상기 단위 인쇄용지 카세트(20) 사이의 본체(110)에 설치된 트랜스퍼 유니트(190)를 통하여 상기 엔진부(100A)에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P)상으로 이송된다.Accord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paper picked up from the manual feed cassette 50 by the pickup roller 61 of the pickup unit 60 is the engine unit 100A and the unit printing paper. It is conveyed on the printing paper conveyance path P formed in the engine part 100A through the transfer unit 190 provided in the main body 110 between the cassettes 20.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90)는 소위,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본체(110)로부터 슬라이딩에 의해 오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ransfer unit 190 is configured in a so-called, drawer type is installed in a state capable of opening by sliding from the main body 110.

도 6은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90)가 본체(110)로부터 오픈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회전로울러(192)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플레이트(191)와, 상기 다수의 회전로울러(192)와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텐션로울러(197)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1)상에 탑재되어 상방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오픈 플레이트(196)를 구비한다.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unit 190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110.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192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slide plates 191 are provided. It has a plurality of tension rollers (197)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rotary rollers 192,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on the slide plate (191) and has an open plate (196) opened and closed by upward rotation.

상기 텐션로울러(19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픈 플레이트(196)상에 설치된 판스프링체(198)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어 상기 회전로울러(192)를 일정한 텐션력으로 가압하는 상태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하도록 되어 있다.The tension roller 197 is elastically biased by a leaf spring body 198 installed on the open plate 196 as shown in order to freely rotate in a state of pressing the rotary roller 192 with a constant tension force. It is.

상기한 바와 같은 트랜스퍼 유니트(19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191)와 오픈 플레이트(196)는 상보적으로 작용하여 상기 수동급지 카세트(50)로부터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엔진부(100A)로 이송시켜 주기 위한 수동급지 이송경로(T)를 형성하게 된다. 도 6의 참조부호 L은 도 5에 의해 설명된 회동레버(L)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회동레버를 나타낸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unit 190 as described above, the slide plate 191 and the open plate 196 is complementary to the printing paper conveyed from the manual feed cassette 50 by the engine unit 100A The manual feed feed path (T) for feeding to the to form a. Reference numeral L in FIG. 6 denotes a pivoting lever configured to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pivoting lever L described by FIG. 5.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인쇄동작 과정에 있어서, 상기한 회동레버(L)들이 각각 인쇄용지와 접촉하는 시점에 따라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인쇄용지 이송경로(P)와 순환경로(C) 및 수동급지 이송경로(T)상에 마련되어 있는 가이드부재(175)(189)와 회전로울러(113)(115), 정렬로울러(31), 이송롤울러(182)(187), 회전로울러(131)(133) 및 배지로울러(178) 등의 구동로울러를 포함하는 구동계를 시퀀스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In the printing operation proces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s outputted according to the point of time when the rotation levers L come in contact with printing paper, respectively, are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P and the circulation path ( C) and the guide members 175 and 189 and the rotary rollers 113 and 115, the alignment roller 31, the feed rollers 182 and 187 provided on the manual feed feed path T, and the rotary rollers. The driving system including the driving rollers 131 and 133 and the discharge roller 178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controlling the sequence sequentially.

도 2의 미설명된 참조부호 80은 인쇄가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어 적재되는 배지대를 나타낸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80 of FIG. 2 denotes a discharge bin on which printed sheets are discharged and stacke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면인쇄와 양면인쇄 및 수동급지 인쇄시의 동작과정과 각 구성요소들의 기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ingle-sided printing, the double-sided printing and the manual feeding printing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activation state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면인쇄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엔진부(100A)의 인쇄용지 이송경로(P)상에 도시되어 있는 진하고 굵은 선은 인쇄과정상의 인쇄용지 이송경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First, Figure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nting process of one s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 and thick lines shown on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P) of the engine unit 100A is printed in the printing process The paper feed path is shown.

먼저, 인쇄용지가 적재된 단위 인쇄용지 카세트 10 및/또는 20을 본체(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컴퓨터 명령에 따른 콘트로울러부의 동작 제어에 의해 픽업유니트(120)의 픽업로울러(122)가 인쇄용지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 구동함에 따라 1매의 인쇄용지를 픽업하여 이송로울러 31 또는 33과 텐션로울러 32 또는 34의 사이로 이송시키게 된다.First, while the unit printing paper cassettes 10 and / or 20 on which the printing paper is loaded are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he pickup roller 122 of the pickup unit 120 is controlled by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ntroller unit according to a computer command. As it rotates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ing paper, one printing paper is picked up and transferred between the feeding roller 31 or 33 and the tension roller 32 or 34.

상기와 같이 픽업된 인쇄용지는 상기 이송로울러(31 또는 33)와 텐션로울러(32 또는 34)의 회전 구동력과 상기 가이드부재(G)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현상 유니트(130)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인쇄용지가 현상 유니트(130)에 진입하기 직전에 상기 포토센서(30)에 의해 감지되어 정렬로울러(31)와 백업로울러(32)에 의해 정속도 및 정위치 상태로 정렬된다.The printing paper picked up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by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transfer roller 31 or 33 and the tension roller 32 or 34 and the guide member G, and is conveyed to the developing unit 130. At this time, the printing paper is sensed by the photosensor 30 immediately before entering the developing unit 130 and aligned by the alignment roller 31 and the backup roller 32 at the constant speed and the fixed position.

이와 같이 정렬된 인쇄용지는 현상 유니트(130)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감광드럼(131)과 전사로울러(132)에 의해 인쇄용지에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즉, 코로나(corona) 방전에 의해 대전된 감광드럼(131)의 표면에 레이저빔 스캐닝 유니트(LSU; 150)가 레이저빔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그 정전잠상에 토너입자를 부착시켜 현상된 가시(可視) 화상이 감광드럼(131)과 전사로울러(132)의 압착작용과 전사로울러(132)에 인가된 고압(토너와는 반대극성으로 보통 "+" 극성을 가짐)의해 인쇄용지상에 옮겨지게 된다. 이후, 인쇄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은 정착 유니트(160)의 정착로울러(161)와 히팅로울러(162)의 가열압착에 의해 프린트된 화상으로 정착된다.The sorted printing paper passes through the developing unit 130, wherein the toner image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by the photosensitive drum 131 and the transfer roller 132. That is, the laser beam scanning unit (LSU) 150 scans a laser beam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attaching toner particles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31 charged by corona discharge. The visible image is compress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31 and the transfer roller 132 and applied to the transfer roller 132 by the high pressure applied to the transfer roller 132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e toner, usually having a "+" polarity). Will be moved. Thereafter, the toner imag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is fixed to the printed image by thermal compression of the fixing roller 161 and the heating roller 162 of the fixing unit 160.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원하는 화상이 프린트된 인쇄용지는, 상기 배지 유니트(170)에 구비된 가이드부재(175)에 의해 그 배지방향이 결정되어 배출된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75)는 인쇄작동 초기 오퍼레이팅시에 미리 그 배지방향을 결정하는 신호입력에 따라 선택적으로 회동하여 세팅포지션이 결정된다.The printing paper on which the desired image is prin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is determined by the guide member 175 provided in the discharge unit 170 and discharged. That is, the guide member 175 is selectively rotat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input for determining the discharge direction in advance at the time of initial printing operation to determine the setting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부재(175)에 선택적인 세팅포지션에 따라 인쇄용지의 배지방향을 본체(110)의 전후방 즉, 도면의 좌우방향 양측중에서 어느 일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is discharged to either one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main body 110, that i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ing in accordance with the optional position of the guide member 175. It becomes possible.

이와 같은 구성은 인쇄화상이 상방으로 노출되도록 배지되는 소위, 페이스-업(face-up) 상태의 배출과, 인쇄화상이 하방으로 은폐되도록 배지하는 소위, 페이스-다운(face-down) 상태의 배출을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된다.Such a configuration may include discharge of so-called face-up state in which the print image is discharged upwardly and discharge in so-called face-down state in which the print image is discharged downwardly concealed. You can select to do it.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양면인쇄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면중 양면인쇄 유니트(180)의 인쇄용지 순환경로(C)상에 도시되어 있는 진하고 굵은선은 인쇄과정에서 인쇄용지가 순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이송경로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Next, a duplex printing operation proces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thick and thick lines shown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C) of the duplex printing unit 180 in the drawing shows the transport path including the process of printing the paper in the printing process.

도 7에 의해 설명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일면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지 유니트(170)의 이송경로상에서 반전된 상태로 배지로울러(177)와 백업로울러(178)에 의해 위치정렬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배지로울러(177)는 역회전 구동되도록 시퀀스 제어됨에 따라 일면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는 상기 배지대(80)측으로 이송된다.The printing paper, which has been printed on one side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is inverted on the transport path of the discharge unit 170 as shown in FIG. 8 to the discharge roller 177 and the backup roller 178. Are aligned. At the same time, as the discharge roller 177 is sequence controlled to be driven in reverse rotation, the printing paper on which one side printing is completed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stage 80.

상기 배지로울러(177)의 역회전 구동에 이어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180)의 상단부에 구비된 용지반전 가이드부재(189)가 상방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그 세팅위치가 결정되도록 시퀀스 제어된다.Following the reverse rotation driving of the discharge roller 177, the setting position is determined so that the setting position of the paper reversing guide member 189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double-sided printing unit 180 is determined upward.

상기한 바와 같은 시퀘스 제어는 엔진부(100A)에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의 회동레버(L)들에 의해 작동되는 리미트 스위치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원의 제어에 따르게 된다.The sequence control as described above is subject to control of a drive source such as a limit switch or a solenoid operated by the rotation levers L on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formed in the engine unit 100A.

이로써, 상기 배지 유니트(170)의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배지대(80)측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는 상기 용지반전 가이드부재(189)의 간섭에 의해 구속되어 상기 도어패널(181)과 커버프레임(186)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C)로 진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입된 일면인쇄가 완료된 인쇄용지는 제2이송수단을 이루고 있는 회전로울러(182)(187) 및 텐션로울러(183)(188)의 회전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송된다.As a result, the printing paper conveyed to the discharge table 80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discharge unit 170 is constrain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paper reversing guide member 189, and thus the door panel 181 and the cover frame 186 are separated. Enter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C) formed between. The printing paper on which the one-side printing is entered in this way is conveyed downwar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ry rollers 182 and 187 and the tension rollers 183 and 188 forming the second conveying means.

상기와 같은 경로상으로 이송된 인쇄용지는 상기 가이드부재(G1)(G2)들에 의해 상기 정렬로울러(31)와 백업로울러(32)측으로 재진입하게 된다. 이후의 인쇄용지는 일면인쇄시의 이송경로와 동일한 경로상으로 이송되어 양면인쇄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path as described above is re-entered to the alignment roller 31 and the backup roller 32 by the guide members G1 and G2. Subsequently, the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on the same path as that of the one-side printing to complete the two-sided printing process.

마지막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수동급지시 인쇄용지의 이송경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nally, referring to Figure 9 will be described the feed path of the printing paper during manual feeding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체(100)의 일측부에 장착된 수동급지 카세트(50)로부터 픽업유니트(60)의 픽업로울러(61)가 인쇄용지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구동에 의해 1매의 인쇄용지를 픽업하여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90)로 이송시키게 된다.From the manual feed cassette 50 moun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pickup roller 61 of the pickup unit 60 is picked up one sheet of printing paper by rotational driving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printing paper, and the transfer is performed. Transfer to the unit 190.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90)로 이송된 인쇄용지는 그 슬라이드 플레이트(191)와 오픈 플레이트(196)의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T)상에서 회전로울러(192)와 텐션로울러(197)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상기 배지대(60)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되는 인쇄용지는 상기 가이드부재(G2)에 의해 상기 정렬로울러(31)와 백업로울러(32)측으로 진입되도록 안내된다. 이후의 인쇄용지는 일면인쇄시의 이송경로와 동일한 경로상으로 이송되어 수동급지 인쇄과정을 완료하게 된다.The printing paper conveyed to the transfer unit 190 is applied to the rotation driving force of the rotary roller 192 and the tension roller 197 on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T formed between the slide plate 191 and the open plate 196. It is conveyed to the discharge stage 60 by the direction. The printing paper conveyed as described above is guided by the guide member G2 to enter the alignment roller 31 and the backup roller 32. Subsequently, the printing paper is transferred on the same path as that of the single-sided printing to complete the manual feeding proces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수동급지시 이송경로(T)상에서 발생되는 잼(jam) 용지 처리를 위하여,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190)의 슬라이드 플레이트(191)를 본체(100)로부터 슬라이딩시켜 빼내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오픈 플레이트(196)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오픈시킴으로써 잼 용지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처리해 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processing jam paper generated on the feed path (T) during manual feeding, the slide plate 191 of the transfer unit 190 from the main body 100 The jam sheet can be easily and simply processed by lifting and opening the open plate 196 upward in a state of sliding ou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이송되는 인쇄용지가 잼 처리되었을 경우, 상기 커버패널(112)과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180)의 도어패널(181) 및 커버프레임(186)의 자유단을 외측으로 회동시켜 오픈시킴으로써 잼 용지를 용이하고 간단하게 처리해 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veyed paper is jammed, the free end of the door panel 181 and the cover frame 186 of the cover panel 112 and the duplex printing unit 180. By rotating outwards, the jam sheet can be easily and simply process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ouble-side printing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unique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로, 양면인쇄를 위한 인쇄용지 순환경로를 최단거리로 형성함에 따라 양면인쇄시 일면인쇄에 실질적으로 비례하는 인쇄효율을 얻을 수 있다.First, by forming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 the double-sided printing in the shortest dista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rinting efficiency substantially proportional to the one-sided printing when printing on both sides.

실제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에 따르면 A4지의 일면인쇄시 분당 70매를 인쇄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 양면인쇄시에는 35매를 인쇄할 수 있게 되므로, 양면인쇄시에도 일면인쇄시와 비례적으로 대응하여 100%의 인쇄효율을 얻을 수가 있다.In fact, according to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ingle side of A4 paper is configured to print 70 sheets per minute, 35 sheets can be printed on double-sided printing. Correspondingly, printing efficiency of 100% can be obtained.

둘째로, 양면인쇄 유니트를 본체에 내장함에 따라 프린터장치의 외형 규격을 보다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비용을 저감시켜 줄 수 있는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Second, by embedding the duplex printing unit in the main body, not only can the printer standard be more compactly constructed, but also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purchase cost of the consumer. It can greatly improve the convenience of.

셋째로,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에서 발생되는 잼(jam) 용지에 대한 처리를 보다 용이하고 간단한 조치에 의해 해소할 수 있으므로 프린터장치의 가동효율 극대화를 기대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processing of jam paper generated on the printing paper feed path can be eliminated by easier and simple measures, it is expected to maximize the operating efficiency of the printer device.

본발명은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

Claims (15)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쇄용지 카세트와, 그 카세트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유니트와, 픽업된 인쇄용지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수단과, 인쇄용지에 토너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유니트와, 인쇄용지에 전사된 토너화상을 가열 압착하여 이미지화상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유니트와, 상기 정착유니트를 통과한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로 재진입시켜 그 이면에 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해 순환시키는 양면인쇄 유니트 및 이미지화상의 정착이 완료된 인쇄용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지유니트를 포함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A printing paper cassette detachably attached to the main body, a pickup unit for picking up the printing paper loaded on the cassette, first transfer means for conveying the picked up printing paper in one direction, and a toner image formed on the printing paper. A developing unit for heat-pressing and fixing a toner image transferred to a printing paper to fix it to an image image, and reprinting the printing pap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unit into the developing unit to form an image on the back side thereof. A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double-sided printing unit for circulating and a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 printing paper on which image fixing is completed,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The duplex printing unit, 상기 정착유니트에 의해 일면인쇄가 완료되어 상기 배지유니트에 반전된 상태로 이송된 인쇄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현상유니트에 재진입시키는 인쇄용지 순환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과 대면하여 일체적으로 설치된 내장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One side printing is completed by the fixing unit to integrally confront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form a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 selectively restrain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in the inverted state to the discharge unit and reentering the developing unit. Double-sided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ilt-in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 상기 본체에 대해 일측이 회동하여 오픈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the duplex printing unit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is rotatable and open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현상유니트와 정착유니트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와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는 상보적인 타원형의 트랙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a printing paper conveyance path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unit and the fixing unit and a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med on the duplex printing unit in the shape of a complementary elliptical tra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에는, 이송되는 인쇄용지와의 접촉에 의해 간섭되어 회동하도록 센싱수단에 연결된 회동레버가 설치되고, 상기 센싱수단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상태에 따라 인쇄용지의 이송위치와 속도정보를 신호로 검출하여 출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med in the main body, a rotation lever connected to the sensing means is installed so as to interfere and rotate by contact with the conveyed printing paper, and the sensing means transfers the printing paper according to the rotation state of the rotation lever. And speed information is detected and output as a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uplex printing unit, 상기 본체의 일측과 대면하여 그 사이에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순환경로가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커버프레임과;A cover frame which faces a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with a circulation path through which printing paper is transported and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상기 배지유니트의 배출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수단과;First guiding means for selectively confin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unit to enter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ver frame;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프레임의 대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인쇄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수단; 및Second conveying means installed on a facing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frame to convey printing paper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And 상기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와 상기 정착유니트를 따라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a second guide means for guid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onto the printing paper conveying path formed along the developing unit and the fixing unit.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면인쇄 유니트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uplex printing unit,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개폐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전사로울러가 지지되는 도어패널과;A door panel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be opened and closed and supported by the transfer roller; 상기 도어패널과 대면하여 그 사이에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순환경로가 형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한 상태로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커버프레임과;A cover fram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a circulation path through which printing paper is transported is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and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상기 배지유니트의 배출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선택적으로 구속하여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커버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인쇄용지 순환경로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1안내수단과;First guiding means for selectively confin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discharge path of the discharge unit to enter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formed between the door panel and the cover frame; 상기 도어패널과 상기 커버프레임의 대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인쇄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수단; 및Second conveying means installed on a facing portion of the door panel and the cover frame to convey printing paper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And 상기 인쇄용지 순환경로상으로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상기 현상유니트와 상기 정착유니트를 따라 형성된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으로 진입시키도록 안내하는 제2안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a second guide means for guiding the printing paper conveyed on the printing paper circulation path onto the printing paper conveying path formed along the developing unit and the fixing uni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쇄용지 카세트는 상기 배지유니트를 통해 배출되는 인쇄용지의 배출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착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the printing paper cassette is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printing pap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인쇄용지 카세트는 상기 본체에 적어도 둘 이상이 상하 나란한 상태로 적층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the printing paper cassette is installed on the main body so that at least two or more of them are stacked in a state of being parallel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1이송수단과 상기 현상유니트 사이의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에는 이송되는 인쇄용지의 통과여부를 감지하여 그 이송속도를 정속도로 제어하기 위한 인쇄용지 정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On the printing paper transfer path between the first transfer means and the developing unit, printing paper alignment means is provided for detecting whether the printing paper passes and controlling the transfer speed at a constant speed. Image forming apparatu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정렬수단은,The paper sheet aligning means of claim 9,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기 위한 포토센서와, 그 포토센서로부터의 신호출력에 따라 정속회전 구동되도록 제어되는 회전로울러 및 백업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a photo sensor for non-contact sensing of the conveyed printing paper, and a rotation roller and a backup roller controlled to be driven at a constant spe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output from the photo sensor.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배지유니트는 인쇄용지에 형성된 화상이 상방과 하방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선택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대향되는 양방향중 어느 한 방향으로 선택하여 인쇄용지를 배출시키도록 구동되는 배지방향 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The discharge unit determines the discharge direction driven to discharge the print paper by selecting in one of two opposite directions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image formed on the print paper can be discharged by selecting one of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in one direction. And a means for printing on both side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방향 결정수단은,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discharge direction determining means, 상기 정착유니트를 거쳐 이송되는 인쇄용지를 간섭하여 그 이송방향을 선택적으로 결정지우는 제1자세와 제2자세로 세팅되도록 상기 배지유니트의 인쇄용지이송경로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와, 정역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배지유니트의 인쇄용지 이송경로상에 설치되는 배지로울러 및 그와 대응하여 구동되는 백업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 guide memb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printing paper transfer path of the discharge unit so as to set the first posture and the second posture interfering with the printing paper conveyed through the fixing unit to selectively determine its conveying direction; And a backup roller installed on the printing paper transport path of the discharge unit to enable rotational driving, and a backup roller driven correspondingly thereto.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본체의 타측에는 수동급지 카세트가 설치되고, 상기 인쇄용지 카세트와 상기 현상유니트 사이의 본체에는 상기 수동급지 카세트로부터 픽업된 인쇄용지가 이송되는 수동급지 이송경로가 형성되어 있는 트랜스퍼 유니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The manual feed cassette is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transfer unit having a manual feed feed path through which the print paper picked up from the manual feed cassette is formed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between the printing paper cassette and the developing unit. A duplex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는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And the transfer unit is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from the main body.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유니트는,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transfer unit, 다수의 회전로울러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된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다수의 회전로울러와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텐션로울러를 가지며 상기 슬라이드 플레이트상에 탑재되어 상방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오픈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인쇄 가능한 화상형성장치.It includes a slide plate provided so that the plurality of rotation roller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nd a plurality of tension roller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rotation rollers, respectively, and mounted on the slide plate to open and close by upward rotation. A duplex printabl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00049822A 2000-08-26 2000-08-26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KR100362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822A KR100362386B1 (en) 2000-08-26 2000-08-26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822A KR100362386B1 (en) 2000-08-26 2000-08-26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664A KR20020016664A (en) 2002-03-06
KR100362386B1 true KR100362386B1 (en) 2002-11-23

Family

ID=19685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822A KR100362386B1 (en) 2000-08-26 2000-08-26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3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2802B2 (en) 2003-10-27 2006-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xing unit used with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43B1 (en) * 2002-05-09 2004-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uplex printing
KR100692572B1 (en) 2005-05-30 200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2802B2 (en) 2003-10-27 2006-11-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xing unit used with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664A (en)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51112A (en) Original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with it
US6882823B2 (en) Image forming system
KR20020067949A (en)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US654622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veniently upgradable to a duplex image forming apparatus
US843323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362386B1 (en) Image forming appratus capable of forming a duplex image on one sheet
JP3627401B2 (en) Paper reversing device
US80950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374299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296138B2 (en) Double-sided image forming device
US2006028590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both-sides printing function
US7241985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having supported openably upstream and downstream portion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nd forming apparatus
JP3528547B2 (en) Double-sided image recording device
KR10044909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duplex printing having a paper-mooring and reversal part
US20230176513A1 (en) Image forming device
JPH11268377A (en) Imaging apparatus
JP3791779B2 (en) Curling correction device for discharged paper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40422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102247B2 (en) Sheet material transport device
JP2703960B2 (en) Sheet feeding device
KR100433427B1 (en) Apparatus for sensing paper in an office machine
JP3215563B2 (en) Double-sided printing device
KR101674563B1 (en) Reversely transferring unit of a print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9990038171A (en) Paper reversing unit of duplexer
JP2020196598A (en) Sheet conveyance device, document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