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564B1 -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564B1
KR100359564B1 KR1020000028986A KR20000028986A KR100359564B1 KR 100359564 B1 KR100359564 B1 KR 100359564B1 KR 1020000028986 A KR1020000028986 A KR 1020000028986A KR 20000028986 A KR20000028986 A KR 20000028986A KR 100359564 B1 KR100359564 B1 KR 10035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ms
service
network
internet
servic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0224A (ko
Inventor
윤기주
Original Assignee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5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04L41/0253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using browsers or web-pages for accessing managemen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6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notification, e.g. enhancement of specific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logs of notifications; Post-processing of notif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인터넷상에서 작거나 또는 큰 단위로 구축된 네트워크 환경에 대해 전체적인 운영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장비 및 회선의 사전 장애 방지 및 장애 복구에 대한 NMS 서비스를 한곳의 NMS 센터에서 구축 및 운영하는 형태로 제공하는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서비스 이용업체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NMS 서비스를 운영하는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웹서버에서 서비스 이용업체 인증 및 NMS 서비스를 위한 NMS 모니터용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이용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UMS서버에서 PSTN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이용업체의 운영자에게 장애 발생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메일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업체의 운영자에게 장애 발생 경고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Method Using Interne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웹브라우저를 통하여 인터넷상에서 작거나 또는 큰 단위로 구축된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에 대해 전체적인 운영 상황을 모니터링하며 네트워크 시스템의 사전 장애 방지 및 장애 복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초기 연구 모델이었던 네트워크는 거대한 규모로 발전하였다. 초기 몇 명의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관리할 수 있었던 네트워크 규모가 이제는 규모 자체가 커졌을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시스템의 다양성과 전문화로 인해 계속적인 기술 인력 및 비용 부담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질수록 여러 다양한 문제점들이 야기된다. 네트워크의 규모가 커진다는 것은 그 네트워크에 사용되는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이 늘어나고, 그에 따라 시스템 구동은 더욱 복잡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발생되는 문제는 이기종의 하드웨어와 응용프로그램들이 하나의 네트워크 규모에 포함되므로 서로의 호환 가능성이 적어지고 시스템 운영상 충돌 가능성이 커질 수 있어 다양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러한 네트워크 전반을 소수의 인력으로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해질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관리만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여 NMS(Network management System)라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관리 툴이 개발되고 있다.
NMS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라는 표준이 제정되었고, 이러한 SNMP에 보안 기능을 더욱 강화시킨 SNMP II 및 Secure SNMP가 표준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NMS는 단지 관리의 기능뿐만 아니라 차후 네트워크 확장을 위한 분석 툴로서도 가치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에 NMS를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체는 초기에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니터링을 위해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이 NMS의 계속적인 유지 보수 및 운영을 위하여 계속적인 인력의 투입이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새롭게 추가되는 기능을 NMS에 부여하기 위해서 NMS 구축에 대한 추가적인 투자 비용의 지출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NMS의 구축 및 운영에 따른 비용은 구축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규모에 따라 달라지지만, 최소의 관리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장비의 투자 개발 및 운영 인력에 대한 비용은 최소 1억 이상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월 유지비도 상당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NMS는 대기업 정도의 인력 및 자금의 여유가 있는 기업 대상에만 한정되어 왔다. 소규모의 기업체는 NMS의 구축 및 운영에 대한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그에 따르는 인력 및 비용의 문제로 인해서 쉽게 접근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상에서 운영되는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가 개발되어 네트워크 장애 복구 및 사전 장애 방지 서비스를 최소한의 비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자금 및 인력이 여유가 있는 특정한 기업이 자사만을 위해 NMS용 시스템 및 네트워크 장비를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기업이 이 서비스의 중심이 되는 센터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정형화된 시스템을 공유하여 NMS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서비스로 인해 각 크고 작은 기업체는 NMS에 대한 개발 및 운영 인력을 두지 않고 센터에서 모든 NMS 서비스를 지원 받고 네트워크 관리에 대해서 단순히 모니터링만 할 수 있는 최소의 인원만으로 운영이 가능하고, 초기 가입 설치비용 및 월운영 비용만으로 그 기업체에서 자체적으로 구축한 NMS 서비스만큼 우수한 성능의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혜택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금력 및 기술력이 확보되지 못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 네트워크 관리 센터의 개념으로서 인터넷을 이용하여 기술적인 부분과 구축 및 운영에 대한 부분들을 정형화시켜 어떠한 기업체든지 네트워크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통합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NMS 서비스를 인터넷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NMS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서비스 이용 업체의 서비스 가입 및 시스템 정보에 대한 입력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4는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면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애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도 5는 이용업체의 네트워크 장애 상태 감지 및 통보 절차에 대한 흐름도.
도 6은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절차에 대한 흐름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NMS 서비스 운영자의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NMS 서비스 이용 업체의 서비스 모니터링용 네트워크 시스템; 이 네트워크 시스템과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기반의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는 LAN(Local Area Network) 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NMS 운영자가 접속하여 모니터링 할수있는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 센터 시스템내에 존재하는 각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인터넷 상에서 모니터링하고 운영이 가능한 NMS용 웹서버;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모니터링 하다가 장애가 발생하면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PSTN망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무선망을 통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UMS 서버; 및 TCP/IP의 인터넷 망을 통하여 메일을 전송하는 메일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위와 같은 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NMS 서비스 과정은 서비스 이용업체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NMS 서비스를 운영하는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웹서버에서 서비스 이용업체 인증 및 NMS 서비스를 위한 NMS 모니터용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이용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UMS서버에서 PSTN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이용업체의 운영자에게 장애 발생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메일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업체의 운영자에게 장애 발생 경고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NMS 서비스를 인터넷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NMS 서비스 운영자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NMS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1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기반 인터넷망을 이용하고 물리적으로는 LAN(Local Area Network) 라인을 통해 운영자 웹사이트가 운영되는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에 연결된다. 이 센터 시스템(20)내에는 각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인터넷 상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웹서버(21)가 존재하고, 또한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동안 장애가 발생하면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PSTN망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무선망을 통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UMS 서버(22) 및 TCP/IP의 인터넷 망을 통하여 메일을 전송하는 메일서버(23)등이 존재한다. 또한 각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인터넷상에서 모니터링하는 웹서버(21)에는 통합 NMS 서비스 시스템이 구현되어 있고, 서비스 이용 업체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21a) 및 서비스 제공에 대한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b)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정보 및 그 정보들을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시켜 추출해 줄 수 있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 21c)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서 NMS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방법의 흐름도는 도 2 도시되어 있다.
서비스 이용 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10)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없이 NMS 서비스를 운영하는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에 접속하여(S21), 운영자 웹서버(21)에서 서비스 회원 인증 및 NMS 서비스 구현을 위한 홈페이지를 제공받을 수 있다(S22). 이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 업체(10)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계속 모니터링 받고(S23), 만약 장애가 발생하면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의 UMS(22)서버에서 PSTN 라인 또는 무선망을 통해 장애 발생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 받을 수 있다(S24). 또한,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의 메일 서버(23)에서 TCP/IP 인터넷망을 통하여 장애 발생 경고 메일을 받을 수 있다(S24). 장애 발생 메시지를 받은 서비스 이용 업체의 운영자와 NMS 서비스 센터는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신속하게 장애를 복구하게 된다(S25).
서비스 이용 업체의 서비스 가입 및 시스템 정보에 대한 입력 과정이 도 3에 도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NMS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하여 제공받고자 원하는 업체는 웹브라우저에 NMS 서비스 센터의 URL을 입력하면(S31)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의 웹서버(21)에 접속된다(S32). 웹서버(21)에 접속되는 동시에 업체 웹브라우저에는 NMS 서비스 센터(20)에서 운영하는 주요 서비스에 대한 메인 메뉴 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S33). 메인 메뉴 정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사인지를 판단하고(S34) 만약 서비스에 가입한 회원사라면 가지고 있는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한다(S41). 입력된 서비스 이용 업체의 ID와 패스워드가 웹서버(21)의 가입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세트 정보와의 매칭 여부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21c)에 의해 확인된다(S42).
만일 회원으로 확인된 업체가 아니라면 가입 요청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S35) 계약 형태를 선택하여(S36)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형태로 회원가입을 유도한다(S37). 회원 가입시 표 1과 같은 회원사 정보를 입력받아(S38),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에 있는 웹서버(21)의 이용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21a)에 저장한다. 여기서, 표 1에 제시된 회원사 정보의 리스트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자료 항목명 형태 길이 정 의
업체명 Number 2 업체 식별 코드 * 주1
IDC Number 2 IDC 식별 코드 *주2
시스템명 Character 20 회원사 장비명
인터페이스 Character 14 장비 인터페이스
속도 Character 10 인터페이스 속도
IP 주소 Number 15 xxxx.xxx.xxx.xxx
TCP Port 번호 Number 4 TCP 번호
Netmask Number 15 xxx.xxx.xxx.xxx
CPU 임계값 Number 2 최대 40% 기준
트래픽 임계값 Number 3 장비의 트래픽 허용 한계 결정
최대 사용자수 Number 4 회원사 총사용자수
기종 Number 2 장비 모델 *주3
OS Character 10 장비 사용 OS
용도 Character 20 사용 내역 구분
설치 위치 Character 16 장비 설치 위치
운영 담당자 Character 12 장비 운영 담당자
설치일 Number 8 장비 설치일
변경일 Number 8 버전 업데이트일
부가 설명 Character 40 기타 부가 설명
* 주1:
10:증권사 계열, 20:관공서 계열, 30:ISP 사업자 계열, 40:기타 사업자
* 주2:
01:KIDC, 02:KT, 03: 하나로 통신, 04:하이텔, 05:두루넷
* 주3:
- 10~49: 네트워크 장비
11:L4-Switch(serveriron) 12:Bigiron4000 13: Bigiron8000
14:PAS(DS10) 21:Cisco 장비계열 31:Compak 장비 계열
- 50~80: 서버 장비
51: Sun 장비 계열 61: Compak 장비 계열 71:OS-Linux 장비 계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장비의 세부 내역 및 CPU 임계값, 트래픽 임계값 및 최대 사용자수는 NMS 운영상 회원사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애 요인 검색 및 성능 유지를 위한 유용한 자료가 된다.
또한, 회원 가입을 한 회원사는 업종별로 적합한 NMS 홈페이지를 제공받기 위한 업종 식별 코드를 제공받는다(S39). 신회원사는 업종 식별 코드를 입력하여 그 식별 코드별로 서로 다른 홈페이지를 제공받은 후에 자사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제공받고자 원하는 서비스 정보를 입력하게 되거나 해당기업체의 담당자와 협의후 NMS서비스에 필요한 부분을 구축후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S40). 이 서비스 정보 입력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전체 상태, 전용 회선 장애 상태, 시스템 장애 상태, 네트워크 장비 장애 상태, 동시 사용자수등 다양한 대상으로 회원사가 원하는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선택된 정보는 NMS용 웹서버(21) 내의 이용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21a)에 저장된다.
한편, NMS 운용시 장애 발생을 빠르게 운영자에게 통지하기 위해 표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운영자 정보를 이용 업체 정보 데이터베이스(21a)에 저장하게 된다(S38). 여기서 표 2에 제시된 운영자 정보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자료 항목명 형태 길이 정 의
업체 코드 Number 2 업체 코드 * 주1
이름 Character 12 운영자 성명
ID Character 10 영문(한글 사용 불가)
패스워드 Character 16 패스워드
근무지역 Character 12 운영자 근무처
전화번호 Number 14 사무실 전화번호
휴대폰 Number 13 장애 발생시 메시지 수신 번호
EMail Character 30 장애 발생시 메시지 발송 이메일주소
.* 주1:
10:증권사 계열, 20:관공서 계열, 30:ISP 사업자 계열, 40:기타 사업자
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S41) 지정된 회원사 정보에 맞추어 회원 인증을 받을 수 있다(S42). 그리고 업종 식별 코드를 입력하면(S43), 업종별 홈페이지가 제공되고(S44), NMS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 업체의 시스템내에서 회원사가 원하는 시간대에 지속적으로 운영 가능하다(S45).
NMS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21)에서 회원사에 대해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키며 네트워크 시스템의 장애를 확인하는 과정에 대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회원사는 인터넷을 통하여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모니터링을 받게 된다(S41a). 즉, 각 회원사는 NMS 서비스 센터가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상황을 인터넷을 통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 모니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회원 사의 네트워크 운영자가 일정 시간마다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작동시켜 네트워크 모니터닝이 시행되도록 해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의 웹서버(21)에서는 클론텝(Crontap,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구동하는 프로그램)동작시켜 그 내부에 있는 스크립트를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한다(S42a). 그러면 이 스크립트의 기능으로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계속적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 시키며 네트워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며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에 대한 사항을 경고하고 또한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서비스한다(S44a). 한편, 스크립트에서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NMS가 동작하면서 발생되는 모든 로그 데이터는 웹서버(21)의 NMS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b)에 저장되어 운영자가 원하는 어느 시점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21c)의 동작으로 항상 검색이 가능하다.
NMS 서비스가 실행되면서 장애 상태를 감지하고 회원사에게 통보를 하는 절차에 대하여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회원사는 인터넷을 통하여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20)의 웹서버(21)에 접속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 모니터링을 받게 된다. 클론텝 내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회원사의 장비 및 회선의 모니터링을 수행하다가 네트워크상에 장애가 발생하여 네트워크 시스템이 제대로 구동되지 않거나 또는 시스템이 로그 오프 되는 현상이 발생하면(S51) NMS용 웹서버(21) 내의 NMS의 동작으로 장애의 원인이 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성분을 모니터 화면상에 경보의 색깔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음성으로 장애에 대한 사항을 알려준다(S52). 또한, 동시에 회원사의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경보 메시지를 통보한다. 경보 메시지의 통보는 메일 서버에서 회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21a)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자 이메일 어드레스로 인터넷을 경유하여 운영자에게 이메일을 띄우거나 또는 회원사 정보 데이터베이스(21a)에 저장되어 있는 운영자 개인 휴대폰 번호 및 근무지 전화번호로 UMS 서버에서 PSTN 라인을 통해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거나 무선망을 통하여 무선 단문 메시지를 발송하는(S53, S54)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송된 경보 메시지를 확인한 운영자는 MNS 서비스 센터와 함께 장애 원인을 분석하여 장애 복구 작업을 하게 된다(S55). 장애가 복구된 다음에는 장애 성분의 색깔이 정상을 표시하는 색깔로 바뀌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다시 계속적인 NMS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S56). 한편, 장애가 발생한 원인에 관련되는 모든 데이터는 NMS용 웹서버(21)의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b)에 저장된다.
NMS의 운영 및 모니터링을 실시되면서 저장된 데이터는 분석을 통하여 데이터의 통계적인 부분을 모니터링하여 장애 발생 원인을 검출하거나 또는 과거의 자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향후 네트워크 시스템의 증설이나 장비의 증설을 위해 유용할 수 있다.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는 절차는 도 6에 도시되어있다.
웹페이지에 디스플레이되는 로그 데이터 분석 메뉴를 선택하고 동시에 로 데이터가 필요한 부분을 선정한다(S61).(예를 들면, 특정 네트워크 장비의 특정 시간대의 로그 데이터 또는 장애가 발생한 시점의 로그 데이터) 그러면, NMS용 웹서버(21)는 NMS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b)에 엑세스하여(S62) 요청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게 된다(S63). 또한, 필요한 로그 데이터 부분은 언제라도 출력 가능하다. 이 과정도 역시 웹서버(21)내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21c)의동작으로 NMS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21b)에 엑세스하여 요청된 데이터를 검색하여 출력하게 된다(S64). 이 출력된 정보는 네트워크 상태에 대한 자료보고 또는 로그 데이터 분석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수많은 기업에 대해 NMS 서비스를 제공하는 본 발명은 NMS 서비스 센터에서 업체의 전체 네트워크 시스템을 관리 및 통합 운영하는 형태의 서비스로서, 각 업체들은 자체의 NMS를 구축하지 않고도 통합 운영 NMS 서비스 센터에 가입함으로써, 개별 NMS 구축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NMS 구축 및 관리를 위한 별도의 인력을 두지 않고도 NMS 운영이 가능한 매우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서비스 방법이다. 인터넷을 통하여 어느 장소, 시간에 상관없이 업체 자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의 상태를 NMS 서비스 센터 시스템에 접속하여 모니터링해 볼 수 있다.

Claims (5)

  1. 삭제
  2. 서비스 이용업체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NMS 서비스를 운영하는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접속된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웹서버에서 서비스 이용업체 인증 및 NMS 서비스를 위한 NMS 모니터용 홈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홈페이지를 통해 상기 서비스 이용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이 진행되는 동안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UMS서버에서 PSTN 또는 무선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이용업체의 운영자에게 장애 발생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메일 서버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서비스 이용업체의 운영자에게 장애 발생 경고 메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MS 서비스센터의 NMS용 웹서버에서 제공된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모니터링 되는 단계에서 발생된 로그 데이터를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웹서버 내에 존재하는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애 요인 및 네트워크 시스템의 운용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서비스 가입업체가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의 웹서버 내에 존재하는 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로그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MS 서비스센터의 NMS용 웹서버에서 제공된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 이용업체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모니터링 되는 단계에서 상기 NMS 서비스센터 시스템에 설치된 클론 텝 파일내에 있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업체가 원하는 시간에 맞추어 상기 모니터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20000028986A 2000-05-29 2000-05-29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KR10035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86A KR100359564B1 (ko) 2000-05-29 2000-05-29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86A KR100359564B1 (ko) 2000-05-29 2000-05-29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224A KR20000050224A (ko) 2000-08-05
KR100359564B1 true KR100359564B1 (ko) 2002-11-07

Family

ID=19670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86A KR100359564B1 (ko) 2000-05-29 2000-05-29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5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444A (ko) * 2000-06-07 2000-09-05 심성식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장애처리시스템
JP2002077182A (ja) * 2000-08-29 2002-03-15 Sony Corp ネットワークエラー表示装置およびエラー検出表示方法
KR20020029221A (ko) * 2000-10-12 2002-04-18 김영배 원격제어 디지털 억세스 및 교차결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56302A (ko) * 2000-12-29 2002-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브라우저를 이용한 교환 시스템 관리 장치
KR20030027627A (ko) * 2001-09-29 2003-04-07 주식회사 케이티 통합메시지시스템 연동을 통한 망운용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476176B1 (ko) * 2001-11-10 2005-03-15 인터컴 소프트웨어(주) 서버 장애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89983A (ko) * 2002-05-20 2003-11-28 태진미디어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의 노래반주기 자가진단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40011663A (ko) * 2002-07-29 2004-02-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망의 장애 관리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445A (ja) * 1994-06-14 1995-12-22 Hitachi Ltd 階層型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JPH1117678A (ja) * 1997-06-19 1999-01-22 Nec Commun Syst Ltd 網管理装置の遠隔操作方式
JPH1131114A (ja) * 1997-07-10 1999-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ネットワークリモート管理システム
WO1999010808A1 (en) * 1997-08-22 1999-03-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networked devices
KR1999005618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비대칭 가입자라인 전송시스템의 시스템 유지 보수장치
EP0963076A2 (en) * 1998-05-31 1999-12-0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mputer internet remote management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KR20000026395A (ko) * 1998-10-20 2000-05-15 김영환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장애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34445A (ja) * 1994-06-14 1995-12-22 Hitachi Ltd 階層型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JPH1117678A (ja) * 1997-06-19 1999-01-22 Nec Commun Syst Ltd 網管理装置の遠隔操作方式
JPH1131114A (ja) * 1997-07-10 1999-02-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ネットワークリモート管理システム
WO1999010808A1 (en) * 1997-08-22 1999-03-04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networked devices
KR19990056189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비대칭 가입자라인 전송시스템의 시스템 유지 보수장치
EP0963076A2 (en) * 1998-05-31 1999-12-08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omputer internet remote management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KR20000026395A (ko) * 1998-10-20 2000-05-15 김영환 디지털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의 장애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0224A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295B1 (ko) 개인화된 접속주기 전체 이용행위 패턴분석을 이용한 비정상 행위 탐지시스템
US8544098B2 (en) Security vulnerability information aggregation
US7080144B2 (en) System enabling access to obtain real-time information from a cell site when an emergency event occurs at the site
KR20170082937A (ko) 개인화된 접속주기 전체 이용행위 2차 분석을 이용한 비정상 행위 탐지시스템
KR101619414B1 (ko) 개인화된 초기 이용행위 패턴분석을 이용한 비정상 행위 탐지시스템
CN101459925B (zh) 电信网络投诉管理系统及方法
US20020073364A1 (en) Fault notification method and related provider facility
US11632320B2 (en) Centralized analytical monitoring of IP connected devices
US20070203607A1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remote control system therefor, and remote operation device
JP2002525943A (ja) 電気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の統合監視・管理のための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JP2002330177A (ja) セキュリティ管理サーバおよびこれと連携して動作するホストサーバ
US20030086549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urt-ordered surveillance of call records
KR100359564B1 (ko) 인터넷을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US20020119786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telephone call records
CN101155229A (zh) 一种分布式防伪和产品信息追踪的方法和系统
KR101846193B1 (ko) It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US6975705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processing call processing failures occurring at a telephone switch control processor
US6807416B2 (en) Troubleshoot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6025434A (ja) 大容量障害相関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2037880A1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KR101619419B1 (ko) 개인화된 연속행위 패턴분석을 이용한 비정상 행위 탐지시스템
US20020019867A1 (en) Data transmission to network management system
KR20050058772A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인터넷 고장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JP3449425B2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監視支援システム
KR20010000659A (ko) 무선장비를 이용한 통합 네트워크 관리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