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3716B1 -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3716B1
KR100353716B1 KR1020000064912A KR20000064912A KR100353716B1 KR 100353716 B1 KR100353716 B1 KR 100353716B1 KR 1020000064912 A KR1020000064912 A KR 1020000064912A KR 20000064912 A KR20000064912 A KR 20000064912A KR 100353716 B1 KR100353716 B1 KR 100353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me
speed dial
address book
input
con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525A (ko
Inventor
김호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4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37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3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37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단축 다이얼 기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축 다이얼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축 다이얼방법은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이루어지는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며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에 있어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입력된 자음으로 시작되는 음절로 시작되는 이름을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검색된 이름과 전화번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SPEED DIAL METHOD FOR PHONE}
본 발명의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축 다이얼(speed dial)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에 있어서 단축 다이얼 기능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사용되어 왔었던 유,무선 전화기나 이동 전화단말기, 인터넷 전화기 등은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통상적인 단축 다이얼 기능은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서로 다른 단축 다이얼 숫자에 대응되게 등록된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축 다이얼 숫자에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다이얼하여 발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다이얼하고자하는 전화번호를 모두 입력시키지 않아도 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단축 다이얼 숫자만 입력시켜 발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축 다이얼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에 각각 대응하는 단축 다이얼 숫자들을 숙지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에따라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이 적은 경우에는 단축 다이얼 숫자들을 기억하기 용이하지만,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이 많은 경우에는 단축 다이얼 숫자들을 기억하기 매우 어렵다. 이뿐만 아니라 단축 다이얼 숫자는 키패드상의 0부터 9까지 10개의 숫자를 사용하므로 단축 다이얼 개수가 제한되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단축 다이얼 기능은 비록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이지만 적지 않은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축 다이얼 기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축 다이얼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축 다이얼방법은 본 발명의 방법은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로 이루어지는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며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에 있어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입력된 자음으로 시작되는 음절로 시작되는 이름을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검색된 이름과 전화번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도 1에서 메모리부(102)와 키패드(key pad)(104)와 터치 스크린 입/출력장치(106)와 RF(Radio Frequency) 모듈(module)(110)과 베이스밴드 (baseband) 처리부(112)와 코덱(CODEC: Coder-Decoder)(114)에 연결되는 제어부(100)는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휴대용 이동 전화기의 각 부분을 제어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처리한다. 그러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전화 통화나 데이터 통신, 무선 인터넷 접속에 대한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어부(100)와 연결되는 메모리부(102)는 롬(RO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한다. 롬은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램은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한다. 플래쉬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은 주소록 데이터베이스도 플래쉬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키 패드(104)는 숫자 버튼과 기능 버튼들을 포함한 각종 버튼들을 구비하여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 입력을 제어부(100)에 제공한다. 표시부(10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구비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LCD 화면상에 표시한다. RF 모듈(110)은 안테나(108)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상기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는 제어부(100)와 RF 모듈(110)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B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1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나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 모듈(110)에 인가하며, RF 모듈(110)로부터 인가되는 아나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0)에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00)와 연결된 코덱(114)은 증폭부(116)를 통해 마이크(118) 및 스피커(120)와 접속되며, 마이크(118)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부호화(encoding)하여 음성데이터를 제어부(100)로 출력하고 제어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PCM 복호화(decoding)하여 증폭부(118)를 통해 음성신호를 스피커(120)로 출력한다. 증폭부(116)는 마이크(118)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나 스피커(12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데, 스피커(120)의 음량과 마이크(118)의 이득을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조정한다. 링거(ringer)(122)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벨소리를 발생하고, 바이브레이터(vibrator)(124)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진동을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 전화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주소록에 등록된 이름들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름의 첫번째 음절이 시작되는 자음을 입력하거나 아니면 적어도 2개이상, 즉 적어도 첫번째와 두번째 음절이 각각 시작되는 자음을 연속으로 입력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화를 걸고자 하는 사람의 이름이 '홍길동'이라고 하면 'ㄱ' 또는 'ㄱ,ㅎ' 또는 'ㄱ,ㅎ,ㄱ'를 연속되게 입력하되, 마지막 입력하는 자음에 대하여는 키를 길게 입력시켜 일정시간동안 지속 입력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편의상 이와 같이 자음을 1개 또는 2개 이상 입력하되 마지막 자음에 대하여는 길게 입력시키는 것을 '단축 다이얼 자음 입력'이라 한다. 이와 같이 자음을 입력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단축 다이얼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키패드(104)의 키들중에 해당하는 자음이 할당된 키를 입력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는 통상적인 메뉴에서 각종 모드를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설정하거나 해제하도록 하면 된다.
예를 들어 주소록에 등록된 이름과 전화번호가 하기 표 1과 같다고 가정할 때, 연속으로 입력하는 자음의 개수와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검색된다.
주소 이름 전화번호
01 김호규 02-280-1234
02 김성주 02-280-2345
03 김흥순 02-280-3456
04 권도헌 02-280-4567
05 박성주 02-280-5678
06 전두구 02-280-6789
07 최우혁 02-280-7890
08 정명수 02-280-8901
09 명대리 02-280-9012
10 조승환 02-280-0123
11 고소영 031-200-1234
12 구홍도 031-200-2345
만일 사용자가 'ㅈ'를 입력하였다면, '정우진' 및 '전두구'와 각각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검색되고, 'ㄱ,ㅎ'를 입력하였다면, '김호규' 및 '김흥순'과 각각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검색되며, 'ㄱ,ㅎ,ㄱ'를 입력하였다면, '김호규'와 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가 검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검색되는 이름과 전화번호는 표시부(106)의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여 발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상기한 도 1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를 (200)∼(220)단계로 보인 것이다. 제어부(100)는 (200)단계에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202)단계에서 단축 다이얼 자음이 입력되면, 즉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이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입력되고 마지막 키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204)단계에서 첫번째 검색 여부를 확인한다.
만일 첫번째 검색인 경우에는 (206)단계에서 입력된 자음들의 입력 순서에 해당하는 순서의 음절들이 각각 대응하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이름을 메모리부(102)의 주소록에서 검색하고, (208)단계에서 검색된 이름의 주소를 임시 주소록으로 저장한다. 여기서 검색된 이름의 주소를 임시 주소록으로 저장하는 것은, 예를 들어 자음을 1개만 입력시켜 첫번째 검색을 한 결과, 검색된 이름들이 많을 경우 확인하기 곤란하므로 이름에서 첫번째 검색한 음절에 뒤이어지는 음절의 자음을 추가로 입력시켜 검색을 할 경우 검색 시간을 신속히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첫번째 검색한 음절에 뒤이어지는 음절의 자음이 추가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주소록에 등록된 전체 이름에 대해 다시 검색할 필요없이 이미 검색한 이름들에 포함되므로 검색 범위를 이들로만 한정함으로써 검색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검색된 1개 또는 2개 이상의 이름과 전화번호를 (210)단계에서 화면상에 표시하고, (212)단계에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선택하면 (220)단계로 진행하여 선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하여 발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선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하여 발신을 하는 것은 통상적인 단축 다이얼에서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212)단계에서 전화번호를 선택하지 않으면, (214)단계에서 종료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예를 들어 종료키를 누르면 (216)단계에서 종료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추가적인 검색을 할 경우에는 상기한 (202)단계로 되돌아 간다.
한편 상기 (204)단계에서 첫번째 검색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자음의 입력 순번에 해당하는 순서의 음절이 입력된 자음으로 시작되는 이름을 (218)단계에서 임시 주소록에 저장된 주소에 대하여 주소록에서 검색하고, 상기한 (210)단계를 수행한다.
따라서 숫자를 입력하는 대신에 이름의 첫 음절 또는 연속되는 여러 음절들의 시작되는 자음을 입력하여 원하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단축 다이얼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이 많은 경우에도 단축 다이얼 숫자들을 사용자가 기억할 필요가 없으며, 단축 다이얼 개수도 키패드에 의해 제한을 받지 않아도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이동 전화기에 적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표시장치를 구비하여 등록된 단축 다이얼정보를 표시하는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유,무선 전화기나 인터넷 전화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또한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을 2개 이상 연속 입력하여 검색하는 예와 함께 검색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첫번째 검색 여부에 따라 임시 주소록을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이러한 과정들은 실제 제품에 적용할 때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하거나 생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름에 해당하는 자음을 입력하여 원하는 사람의 전화번호를 검색하여 단축 다이얼을 할 수 있으므로 주소록에 등록된 전화번호들이 많은 경우에도 단축 다이얼 숫자들을 사용자가 기억할 필요가 없으며, 단축 다이얼 개수도 키패드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등록된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며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에 있어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입력된 자음으로 시작되는 음절로 시작되는 이름을 상기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름과 전화번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이름과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하여 발신을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3.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등록된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며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에 있어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첫번째 검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첫번째 검색인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자음으로 시작되는 음절로 시작되는 이름을 상기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름의 주소를 임시 주소록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첫번째 검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자음의 입력 순번에 해당하는 순서의 음절이 상기 입력된 자음으로 시작되는 이름을 상기 임시 주소록에 저장된 주소에 대하여 상기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름과 전화번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이름과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하여 발신을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5.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등록된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며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에 있어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이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입력되고 마지막 키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입력된 자음들의 입력 순서에 해당하는 순서의 음절들이 각각 대응하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이름을상기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름과 전화번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이름과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하여 발신을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7. 이름과 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가 등록된 주소록을 데이터베이스로 구비하며 단축 다이얼 기능을 구비하는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에 있어서,
    문자 단축 다이얼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자음이 할당된 키 입력이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입력되고 마지막 키 입력이 일정시간동안 지속되면 첫번째 검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첫번째 검색인 경우에는 입력된 자음들의 입력 순서에 해당하는 순서의 음절들이 각각 대응하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이름을 상기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름의 주소를 임시 주소록으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첫번째 검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입력된 자음의 입력 순번에 해당하는 순서의 음절이 상기 입력된 자음으로 시작되는 이름을 상기 임시 주소록에 저장된 주소에 대하여 상기 주소록에서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이름과 전화번호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되는 이름과 전화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전화번호로 다이얼하여 발신을 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축 다이얼방법.
KR1020000064912A 2000-11-02 2000-11-02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KR100353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912A KR100353716B1 (ko) 2000-11-02 2000-11-02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912A KR100353716B1 (ko) 2000-11-02 2000-11-02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525A KR20020034525A (ko) 2002-05-09
KR100353716B1 true KR100353716B1 (ko) 2002-09-28

Family

ID=1969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912A KR100353716B1 (ko) 2000-11-02 2000-11-02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37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0897A (ko) * 2002-07-25 2004-02-0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문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휴대폰의 통화 연결방법
KR20040011991A (ko) * 2002-07-31 2004-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576549B1 (ko) * 2003-12-20 2006-05-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글 주소 문자열의 고속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0654916B1 (ko) * 2005-02-18 2006-12-06 주식회사 야호커뮤니케이션 전화 번호 검색 기능이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02054B1 (ko) * 2005-05-20 2008-02-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문자에 대응하는 착신자 정보를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제공 방법, 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525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40297A (ko) 이동 전화단말기에서 기능 선택방법
KR100353716B1 (ko) 전화기의 단축 다이얼방법
KR100238542B1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자 사전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KR100544774B1 (ko) 문자열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03934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인식을 통한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1149116B1 (ko) 전화번호 정보 검색 장치 및 방법
US20040047457A1 (en) Dialing apparatus for international prepaid phone card
KR20010018353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도움말 기능을 이용한 기능 선택방법
KR2004002671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100433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KR20010011028A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영어단어 학습방법
KR20010058798A (ko) 폰북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의 전화번호 등록 및 검색방법
KR100247041B1 (ko) 전화번호의 특정 자릿수 탐색에 의한 다이얼링 장치 및 방법
KR1006058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선된 전화번호 검색 기능을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4001199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4475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서 폰북 처리 방법
KR20060011630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폰북 검색 방법
KR20010060146A (ko) 표시부를 구비한 전화기에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60056603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전화번호 발신 방법
KR1004073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부재중 전화 검색 방법
KR10041189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팝 메뉴 서비스방법
KR20020022350A (ko) 통신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검색장치 및 방법
KR20050054661A (ko) 초기 화면에서 전화 번호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