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499B1 -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 Google Patents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499B1
KR100350499B1 KR1019990022496A KR19990022496A KR100350499B1 KR 100350499 B1 KR100350499 B1 KR 100350499B1 KR 1019990022496 A KR1019990022496 A KR 1019990022496A KR 19990022496 A KR19990022496 A KR 19990022496A KR 100350499 B1 KR100350499 B1 KR 10035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main microphone
sub
nois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02605A (en
Inventor
김석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2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99B1/en
Publication of KR20010002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6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15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 E06B2003/7023Door leaves characterised by the filling between two external panels of foam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54Fixing of glass panes or like plates
    • E06B3/64Fixing of more than one pane to a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송신측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transmission side noise in a wireless terminal.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송신측에서 다수의 경로를 형성하여 주위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구현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lement a device that can remove the surrounding noise by forming a plurality of paths on the transmitting side.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주마이크와, 상기 주마이크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격되고 상기 주마이크의 음성입력방향과 일정 각도이상 편향되어 주위의 잡음을 주로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마이크와, 상기 주마이크 및 상기 부마이크의 출력신호들 각각을 소정의 비율로 증폭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증폭기들과, 상기 증폭기들로부터 증폭된 상기 주마이크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마이크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기 위한 연산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 main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terminal user, at least one sub-mic spaced apart from the main micropho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fle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main microphone's voice input direction, to receive mainly ambient noise, and the main microphone And at least two amplifiers for amplifying each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sub-microphone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an operator for subtracting and outputting the sub-microphone output signal from the main microphone output signal amplified from the amplifiers. It is characterized by.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무선 단말기의 잡음 제거에 이용된다.It is used for noise reduction of wireless terminals.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송신측 잡음 제거장치{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Transmission side noise canceller in wireless terminal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측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도 1은 통상적인 무선 단말기에서 음성 입력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단말기는 하나의 마이크(11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코덱(CODEC : CODER DECODER 100)으로 입력하여 디지털신호처리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기지국으로 송신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moving noise at a transmitting side. FIG.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voice input terminal in a conventional wireless terminal. Referring to FIG. The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110 is input to a codec (CODEC: CODER DECODER 100) and transmitted to a base station (not shown) through digital signal processing.

통상적으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통화상의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은 수신단의 코덱 내부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저역통과필터(LPF : LOW PASS FILTER)를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본래 보코더(VOCODER)는 음성을 부호화 및 복호화(ENCODING AND DECODING)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데이터량이 상당히 많은 음성에서 잡음을 걸러내는 것은 중계 시스템에 상당한 부하를 촉발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라 중계 시스템이 송신측의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잡음을 제거한다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a method of removing noise on a cal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limited to removing noise by using a low pass filter (LPF: LOW PASS FILTER) for an analog signal input inside a codec of a receiver. Originally, VOCODER aims to encode and decode speech, but filtering out noise in speech with a large amount of data creates a significant load on the relay system.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t is very inefficient that the relay system removes noise by processing a signal input from a transmitting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의 송신측에서 잡음을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noise at the transmitting side of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하드웨어를 추가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저렴한 잡음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 cost noise canceling device by adding simple hardwa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능이 뛰어난 송신측 잡음 제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mission side noise canceller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의 잡음제거 장치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주마이크와, 상기 주마이크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격되고 상기 주마이크의 음성입력방향과 일정 각도이상 편향되어 주위의 잡음을 주로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마이크와, 상기 주마이크 및 상기 부마이크의 출력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율로 증폭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증폭기들과, 상기 증폭기들로부터 증폭된 상기 주마이크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마이크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기 위한 연산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ise canceling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 main microphone receiving a voice of a terminal user, and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main microphone, and the voice inpu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angle of the main microphone. One or more sub-microphones which are abnormally deflected to mainly receive ambient noise, two or more amplifiers for amplifying each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main microphone and the sub-microphone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 amplified signals from the amplifiers And a calculator for subtracting the sub-microphone output signal from the main microphone output signal and outputting the sub-microphone output signal.

도 1은 종래의 음성 입력단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voice input stag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위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음성 입력단의 개략적인 구성도.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oice input stage for removing ambient noi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앞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뒤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rom behind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위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음성 입력단의 개략적인 구성도.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oice input stage for removing ambient no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pecific details appea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ich is provided to aid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It will be self explanator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위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음성 입력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oice input stage for removing ambient nois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앞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3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를 뒤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Figure 3b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ack.

본 발명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음성 입력단은 주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주마이크(210)와 상기 주마이크(210)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격되고 상기 주마이크의 음성입력방향과 일정 각도이상 편향되어 주위의 잡음을 주로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마이크(211, 212)와, 상기 주마이크(210)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출력신호를 감산하기 위한 연산기(200)와, 상기 주마이크(210) 및 상기 부마이크(211, 212)와 상기 연산기(200) 사이에 각각 연결되어 소정의 비율로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증폭기(220, 221, 222)로 이루어진다.The voice input terminal of th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spaced apart from the main microphone 210 and the main microphone 210 for receiving a user's vo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is defle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voice input direction of the main microphone. At least one sub-microphone 211 and 212 for receiving the noise of the main microphone, an operator 200 for subtracting the output signal input from the sub-microphone from the output signal input from the main microphone 210, and the main microphone. Two or more amplifiers 220, 221, and 222 connected between the microphone 210, the sub-mics 211 and 212, and the calculator 200, respectively, for amplifying a signal at a predetermined rati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화중에 주마이크(21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A)로부터 부마이크(211, 21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B,C)를 감산하여 신호를 처리하도록 되어있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is processed by subtracting signals B and C input through the sub microphones 211 and 212 from the voice signal A input from the user through the main microphone 210 during a call. It is. This is expressed as an equation.

여기서 상기 a,b,c는 증폭기들(220, 221, 222)의 증폭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증폭기들(220, 221, 222)는 각각의 신호(A, B, C)를 소정 비율(a, b, c)로 증폭함으로써 연산에 의한 신호의 감쇠를 보상할 수 있다.상기 주마이크(210)의 위치는 단말기를 사용할 시에 사용자의 입과 밀접하여 주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부마이크(211, 212)의 위치는 주마이크(210)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며, 소리가 입력되는 방향이 주마이크의 입력방향에 비교하여 부마이크(211)는 90°, 부마이크(212)는 180°의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주마이크(210)로는 사용자의 음성이, 부마이크(211, 212)는 주로 주위의 잡음이 입력되도록 배치되었다.Here, a, b, and c represent amplification ratios of the amplifiers 220, 221, and 222. The amplifiers 220, 221, and 222 may compensate for the attenuation of the signal due to the operation by amplifying each of the signals A, B, and C at a predetermined ratio (a, b, c). The location of the user 210 is arranged so that the user's voice is mainly input in close proximity to the user's mouth when the terminal is used. The positions of the sub microphones 211 and 212 are spaced apart from the main microphone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irection in which sound is input is 90 ° compared to the input direction of the main microphone, and the sub microphone 211 is 90 °. ) Was allowed to deflect in the direction of 180 °. Therefore, the user's voice is input to the main microphone 210, and the main microphones 211 and 212 are mainly arranged to input ambient noise.

도 3a 및 도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마이크(211)는 단말기의 표시부 상단에, 부마이크(212)는 단말기의 뒷면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산기(200)는 계산시간을 고려하여 별도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HIP SET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반 오디오 신호 취득용으로 사용되는 OP-AMP를 사용하여 연산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sub microphone 211 may be attached to the top of the display unit of the terminal, and the sub microphone 212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terminal. In addition, the calculator 200 may use a separat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hip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alculation time, and may perform an operation function by using an OP-AMP used for obtaining a general audio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통화 시에 주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주마이크(210)의 신호로부터 주위의 잡음이 주로 입력받는 부마이크(221, 212)의 신호를 감산하여 줌으로써 송신측에서 주위의 잡음을 제거하도록 하였다.Briefly describing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btracting the signal of the sub-microphones (221, 212) mainly receives the ambient noise from the signal of the main microphone (210) that receives the user's voice mainly during the call By zooming in, the sender removes ambient nois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위의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음성 입력단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voice input stage for removing ambient noi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의 구성은 주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주마이크(210)와 상기 주마이크(210)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격되고 상기 주마이크(210)의 음성입력방향과 일정 각도이상 편향되어 주위의 잡음을 주로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마이크(211, 212)와, 상기 주마이크(210) 및 부마이크(211, 21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들 각각을 소정 비율로 증폭하기 위한 제 1, 제 2 및 제 3 증폭기(220, 221, 222)와, 상기 증폭기들(220, 221, 222)에 의해 증폭된 상기 주마이크(210) 및 상기 부마이크(211, 212)의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부(410)와, 상기 샘플링부(410)의 출력신호들 각각을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영역 변환부(420)와, 상기 주마이크(210)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42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부마이크(211, 212)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4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감산하기 위한 잡음 제거부(430)와, 상기 잡음 제거부(4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시간영역 변환부(440)로 이루어진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spaced apart from the main microphone 210 and the main microphone 210 for receiving a user's vo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and the voice input direction and the predetermined angle or more of the main microphone 210. One or more sub-microphones 211 and 212, which are biased to mainly receive ambient noise, and a first signal for amplifying each of the signals input from the main microphone 210 and the sub-microphones 211 and 212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output signals of the second and third amplifiers 220, 221 and 222, and the main microphone 210 and the sub microphones 211 and 212 amplified by the amplifiers 220, 221 and 222, respectively. A sampling unit 410 for sampling, a frequency domain conversion unit 420 for converting each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sampling unit 410 into data in a frequency domain, and input by the main microphone 210 From the data output from the frequency domain converter 420 A noise canceller 430 for subtracting data input by the sub-microphones 211 and 212 and output from the frequency domain converter 400, and a time domain for data output from the noise remover 430 It consists of a time domain conversion unit 440 for converting into a signal.

도 4에 따른 구성에 의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by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Figure 4 as follows.

마이크들(210, 211, 212)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는 증폭기(220, 221, 222)에 의해 소정 비율로 증폭된 후, 샘플링부(410)으로 입력된다. 샘플링부(410)로 각각 입력된 신호는 소정 주파수로 샘플링되어 디지털 신호로 바뀌게 된다. 상기 샘플링된 신호는 주파수 영역 변환부(420)에서 각각 퓨리에 변환에 의해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된다. 즉, 각각의 데이터를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잡음 제거부(430)에서는 주마이크(210)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부마이크(211, 212)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성분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감산하여 출력한다. 즉, 주마이크(210)로 입력된 잡음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잡음이 제거된 데이터는 시간영역 변환부(440)로 입력되어 역퓨리에 변환에 의해 다시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게 된다. 상기 샘플링부(410), 주파수 영역 변환부(420), 잡음 제거부(430), 시간영역 변환부(440)는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signals input through the microphones 210, 211, and 212 are amplified by the amplifiers 220, 221, and 222 at a predetermined ratio, and then input to the sampling unit 410. The signals respectively input to the sampling unit 410 are sampled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and converted into digital signals. The sampled signal is converted into data in the frequency domain by Fourier transform in the frequency domain converter 420. In other words, each data is converted into frequency components. The noise removing unit 430 subtracts and outputs data input by the main microphone 210 and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component and input by the sub microphones 211 and 212 and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component. That is, the noise input to the main microphone 210 is removed. The noise-free data is input to the time domain converter 440, and is then converted into a time domain signal by an inverse Fourier transform and output. The sampling unit 410, the frequency domain converter 420, the noise remover 430, and the time domain converter 440 may be implemented by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chip. to be.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실시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ly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디지털 신호처리에 의해 주파수 영역 데이터로 변환된 주마이크(210)의 신호로부터 부마이크(212)의 신호를 감산하여 줌으로써, 송신단에서 주위의 잡음을 제거하여 송신할 수 있다.By subtracting the signal of the sub-microphone 212 from the signal of the main microphone 210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data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remove and transmit the surrounding noise at the transmitting en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화 시에 주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주마이크의 신호로부터 주위의 잡음을 주로 입력받는 부마이크의 신호를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감산하여 줌으로써, 송신측에서 주위의 잡음을 효과적이며 경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ubtracting the sub-microphone signal mainly received from the main microphone signal mainly receiving the user's voice during a call by analog or digital signal processing, the ambient noise at the transmitting sid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removed effectively and economically.

Claims (5)

무선단말기의 잡음제거 장치에 있어서,In the noise canceling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주마이크와,A main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terminal user; 상기 주마이크로부터 소정 거리이상 이격되고 상기 주마이크의 음성입력방향과 일정 각도이상 편향되어 주위의 잡음을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마이크와,One or more sub-mics spaced apart from the main micropho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fle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oice input direction of the main microphone to receive ambient noise; 상기 주마이크 및 상기 부마이크의 출력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율로 증폭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증폭기들과,Two or more amplifiers for amplifying each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main microphone and the sub microphone at a predetermined ratio; 상기 증폭기들에 의해 각각 증폭된 상기 주마이크의 출력신호로부터 상기 부마이크의 출력신호를 감산하여 출력하기 위한 연산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단말기의 송신측 잡음제거 장치.And a calculator for subtrac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ub-microphone from the output signal of the main microphone, each amplified by the amplifiers. 삭제delete 무선단말기의 잡음제거 장치에 있어서,In the noise canceling device of a wireless terminal, 단말기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주마이크와,A main microphone for receiving a voice of a terminal user; 상기 주마이크로부터 일정 거리이상 이격되고 상기 주마이크의 음성입력방향과 일정 각도이상 편향되어 주위의 잡음을 입력받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마이크와,One or more sub-mics spaced apart from the main microphon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eflected by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voice input direction of the main microphone to receive ambient noise; 상기 주마이크 및 상기 부마이크의 출력신호 각각을 소정의 비율로 증폭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증폭기들과,Two or more amplifiers for amplifying each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main microphone and the sub microphone at a predetermined ratio; 상기 증폭기들에 의해 각각 증폭된 상기 주마이크의 출력신호 및 상기 부마이크의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링하고, 상기 샘플링된 출력신호들 각각을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며, 상기 주마이크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부마이크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감산하고, 상기 감산된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처리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송신측 잡음제거 장치.Samp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main microphone and the output signal of the sub-microphone, each amplified by the amplifiers, converting each of the sampled output signals into data in a frequency domain, and inputted by the main microphone to And a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for subtracting the data inputted by the sub-microphone and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from the data converted into the frequency domain, and converting the subtracted data into a signal of the time domain. Noise canceling device on the transmitting side of the terminal.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주마이크 및 상기 부마이크의 출력신호를 각각 샘플링하기 위한 샘플링부와,A sampling unit for sampling the output signals of the main microphone and the sub microphone, respectively; 상기 샘플링부의 출력신호들 각각을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주파수 영역 변환부와,A frequency domain converter for converting each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sampling unit into data of a frequency domain; 상기 주마이크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부마이크에 의해 입력되어 상기 주파수 영역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감산하기 위한 잡음 제거부와,A noise removing unit for subtracting data input by the main microphone and output from the frequency domain conversion unit from data input by the main domain microphone; 상기 잡음 제거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시간영역 변환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송신측 잡음제거 장치.And a time domain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data output from the noise remover into a time domain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삭제delete
KR1019990022496A 1999-06-16 1999-06-16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KR1003504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496A KR100350499B1 (en) 1999-06-16 1999-06-16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496A KR100350499B1 (en) 1999-06-16 1999-06-16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605A KR20010002605A (en) 2001-01-15
KR100350499B1 true KR100350499B1 (en) 2002-08-28

Family

ID=1959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496A KR100350499B1 (en) 1999-06-16 1999-06-16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4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7102A (en) * 2000-11-13 2002-05-18 조정남 Cellular phone and operation method by using an ica algorithm
KR20040014688A (en) * 2002-08-10 2004-02-18 주식회사 엑스텔테크놀러지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ressing noise in voic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774519B1 (en) * 2006-03-20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Communication device and calling method therefor
JP5555987B2 (en) 2008-07-11 2014-07-23 富士通株式会社 Noise suppression device, mobile phone, noise suppress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007810B1 (en) * 2008-08-27 2011-01-14 노형균 Earset integrated into handphone
CN102368793B (en) * 2011-10-12 2014-03-1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Cell phone and conversation signal proces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6997A (en) * 1990-03-27 1991-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ilencer
KR19980055766U (en) * 1998-06-02 1998-10-07 강일중 Ambient Noise Canceling Microphone Unit
KR19990001296A (en) * 1997-06-13 1999-01-15 윤종용 Adaptive Noise Canceling Device and Method
KR19990022727A (en) * 1995-06-07 1999-03-25 더글라스 안드레아 Noise Reduction and Noise Redu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76997A (en) * 1990-03-27 1991-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ilencer
KR19990022727A (en) * 1995-06-07 1999-03-25 더글라스 안드레아 Noise Reduction and Noise Reduction Device
KR19990001296A (en) * 1997-06-13 1999-01-15 윤종용 Adaptive Noise Canceling Device and Method
KR19980055766U (en) * 1998-06-02 1998-10-07 강일중 Ambient Noise Canceling Microphon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605A (en)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2526B (en) The wave absorption based on cepstrum distance for acoustic echo canceler device
TWI289020B (en) Apparatus and method of a dual microphone communication device applied for teleconference system
JP4036542B2 (en) Echo canceller
US20080112568A1 (en) Echo Canceller and Communication Audio Processing Apparatus
CN106448691A (en) Speech enhancement method used for loudspeaking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66638A1 (en) Echo Cancelling-Codec
KR100350499B1 (en) Tx-noise reducing apparatus in wireless telephone set
CN100576866C (en) The nonlinear echo arrester
WO2000013331A1 (en) Full-duplex speakerphone with wireless microphone
JP2578308B2 (en) Adaptive echo canceller
CN213716506U (en) Echo cancellation device
CN112637438B (en) Entrance guard double-end intercom method and system based on single-line transmission
KR10067741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noise using exterior microphone
KR100479204B1 (en) Apparatus for eliminating noise of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KR100279825B1 (en) Circuit to eliminate echoes and sidetones at the exchange
KR1011155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sound quality
JP2919422B2 (en) Echo canceller
KR20050013213A (en) Non stationary echo canceller
JP2006238148A (en) Handsfree telephone device
JP2868439B2 (en) GSM mobile phone
KR100913197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noise removal
JP2002290286A (en) Echo suppressor
JP2000353989A (en) Echo canceller
JPH09326730A (en) Echo cancellation device
KR20040108478A (en) Apparatus for removing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