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0257B1 -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 - Google Patents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0257B1
KR100350257B1 KR1019960703262A KR19960703262A KR100350257B1 KR 100350257 B1 KR100350257 B1 KR 100350257B1 KR 1019960703262 A KR1019960703262 A KR 1019960703262A KR 19960703262 A KR19960703262 A KR 19960703262A KR 100350257 B1 KR100350257 B1 KR 100350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iler
package
chamber
main body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쟝-삐에르 블랑
크리스티앙 페리오
Original Assignee
꽁빠니 메디떼라네엔느 데 까페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23085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502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FR9315677A external-priority patent/FR2713905B1/fr
Priority claimed from FR9410087A external-priority patent/FR2723524B1/fr
Application filed by 꽁빠니 메디떼라네엔느 데 까페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꽁빠니 메디떼라네엔느 데 까페 소시에떼 아노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2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Abstract

커피와 같은 온음료 탕제용 자동장치는, 보일러(3)와 마주보며 위치하여 서로서로(2 및 3) 접근하여 탕실(38)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몸체(2)로 되어 있다. 이 장치는, 우려낼 물질(8)을 포함하고 있는 개개의 포장물(6)을 수용하게 되며, 몸체(2)와 보일러(3)사이에서 포장물(6)을 임시로 고정시키도록 하는 수용 수단(4); 포장물(6)을 그의 위치에 고정시키며 수용 수단(4)이 있을 때 포장물(6)을 안내 및 수직 위치로 유지시키는 수단(5); 그리고 포장물(6)을 중력으로 간단히 방출시키는 자동 방출 수단(4)을 포함하며, 포장물의 변위는 장치의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이루어진다. 본 장치는 커피와 같은 온음료의 탕제를 완전 자동으로 준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
이러한 장치는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문헌 US-A-3,143,955 호는 위치유지수단과 수용 및 방출수단의 역할을 하는 메커니즘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음료 제조용 장치, 예컨대 우려낼 물질의 다수의 포장물을 길이방향으로 포함하는 스트립이 감겨진 드럼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술이 본 발명과 상이한 점은, 여러 가지 수단들의 구조와, 그리고 개개의 포장물을 사용하지 않고 포장물의 스트립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스트립의 본질적인 결점은, 이미 사용된 포장물과 미사용된 포장물이 장치 내에 공존하기 때문에 위생상의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문헌 DE-A-2,435,436 호는 커피 또는 차의 침출용 자동장치에 것이다. 퍼콜레이션 (percolation) 이 가능하도록 장치의 두 개의 주요 부품을 근접시키는 작동은 하우징 장착측의 반대측에 있는 회전 캠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하우징은 본 발명과 마찬가지로 우려낼 물질의 습윤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습윤수단은 매우 많은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그 제조에 많은 비용이 들며, 여과기의 구멍을 폐쇄하는 고무 디스크의 효력이 퍼콜레이션에 기인한 열에 의해 변질될 수 있다.
문헌 EP-A-0,093,366 호는, 가동 원통형 본체-고정 피스톤과 보일러의 조립체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유사하고, 포장물이 스트립 형태라는 점에서는 문헌 US-A-3,143,955 호와 유사한 기술특성을 갖는 커피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문헌들과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추출 그룹 내에 개별 포장물인 우려낼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그룹의 청소와 사용이 용이하다. 또, 포장물과 우려낼 물질의 방출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커피와 같은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고정 피스톤과 가동 원통형 본체로 형성된 그룹을 포함하며, 이 그룹은 보일러와 대향하고 있다. 한쪽의 보일러와 다른 쪽의 고정 피스톤 및 가동 원통형 본체는, 포장물의 위치유지수단과 수용 및 방출수단이 놓여있는 구역에 의해 분리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부분 단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 는 우려낼 물질의 포장물의 수용수단 및 위치유지수단의 사시도이며, 또한 포장물의 투입 및 방출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은 포장물이 사용 위치에 있으며 원통형 본체와 보일러는 서로 최대한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의 도 2 의 선 A-A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과 동일하지만, 여기서는 포장물이 보일러로 접근한 원통형 본체에 접해 있다.
도 5 는 도 3 및 도 4 와 동일하지만, 여기서는 원통형 본체의 이동이 완료되어 포장물이 상기 본체와 보일러 사이에 끼어져 있다.
도 6 은 포장물이 자동장치의 내부에 투입된 때의 도 1 의 상세부의 종단면이며, 이때 상기 포장물은 소정 위치에서 유지되며 서로 대향하고 있는 두 개의 필터에 의해 부분적으로 포위되어 있다.
도 7 은 도 6 과 동일하지만, 여기서는 두 개의 필터가 고정 피스톤과 가동원통형 본체의 작용에 의해 근접해 있어, 포장물은 이들 필터 사이에서 거의 완전히 포위되고, 그 주변부만이 상기 두 개의 필터 사이에서 밀봉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
도 8 은 도 7 과 동일하지만, 보일러에 의해 가열된 물이 포장물 내에 수용된 우려낼 물질을 습윤하고 있는 차이가 있으며, 가동 원통형 본체의 필터와 협동하는 멤브레인 밸브 (membrane valve) 는 우려낸 액체의 통과를 저지하고 있다.
도 9 는 도 8 과 동일하지만, 여기서는 도 8 과 달리 멤브레인 밸브의 형상이 보일러에서 나오는 증가된 물의 압력에 의해 변화되어, 우려낸 액체가 배출로를 통해 흘러나올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1 은 도 6 내지 도 9 에 대응하는 상세부의 종단면도이지만, 여기서는 고정 피스톤-가동 원통형 본체 그룹이 포장물의 주변부와 접하는 밀봉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는 도 11 과 동일하지만, 여기서는 가동 원통형 본체가 고정 피스톤의 영향에 의해 보일러 쪽으로 접근해 있어서, 밀봉부가 포장물의 주변부와 접촉하여 이 주변부를 보일러에 대해 압박하고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유지수단과 수용 및 자동방출수단의 구조 환경, 그리고 이 장치를 구성하는 본체와 보일러간의 상호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4 는 포장물을 위치유지수단과 수용 및 방출수단 내로 투입하는 때의 이들 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도 14 와 동일한 측면도이지만, 여기서는 본체가 보일러에 접근하고 있으며, 포장물은 수용위치에서 유지되고 있다.
도 16 은 도 15 와 동일한 측면도이지만, 여기서는 본체와 보일러가 서로에 대해 가장 가까이 접근해 있으며, 포장물은 침출실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도 17 은 도 16 과 동일한 측면도이지만, 여기서는 본체가 보일러에서 멀어지고 있으며, 포장물은 자동으로 방출되었다.
도 18 은 도 13 의 선 C-C 에 따른 정면도로서, 보일러에 형성된, 본체와 보일러를 서로 고정시키는 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도 19 는 도 16 의 선 B-B 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예]
본 발명은 커피와 같은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를 세 개의 상이한 실시예로서, 도 1, 도 10 및 도 13 에 도시하였다.
제 1 실시예는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데, 고정 피스톤 (1) 과 이 고정 피스톤 (1) 에 대해 움직일 수 있는 원통형 본체 (2) 로 형성된 그룹을 포함한다.
원통형 본체 (2) 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려낸 액체 (19) 를 위한 배출로 (20) 를 구비한다.
고정 피스톤 (1) 과 원통형 본체 (2) 로 형성된 상기 그룹은 보일러 (3) 에 대향하여 위치한다.
그룹 (고정 피스톤 (1) 및 원통형 본체 (2)) 과 보일러 (3) 는 수평으로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서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장치는 신규하고 창의적인 일련의 수단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우려낼 물질 (8) 을 함유하는 포장물 (6)을 위하여, 수용수단 (4), 자동방출수단 (4) 및 위치유지수단 (5) 이 제공된다.
이들 수단은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한편으로는 원통형 본체 (2) 와 포장물 (6), 다른 한편으로는 보일러(3) 와 포장물 (6) 사이에, 보다 상세하게는 원통형 본체 (2) 상에 위치하는 반실(39) 과 보일러 (3) 상에 위치하며 반실 (39) 과 대향하는 반실 (40) 사이에, 밀봉수단 (주변부 (13)) 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추출하기에 앞서 우려낼 물질 (8) 을 적시는 습윤수단 (7) 이 있다.
이들 수단 또한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수단 (4) 과 자동방출수단 (4) 은 화살표 F1과 F2 를 따라 움직이는 단일의 동일한 신축식 받침대 (11) 로 구성된다.
이 받침대 (11) 는 하부 위치에 놓여진다. 받침대 (11) 는 고정 피스톤 (1)-가동 원통형 본체 (2) 의 그룹과 보일러 (3) 사이의 공간이 최대일 때, 즉 본체 (2) 가 도 1 및 도 10 의 F5 를 따라 보일러 (3) 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할때, 우려낼 물질 (8) 의 포장물 (6) 을 임시로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받침대 (11) 는 F2 를 따라 이동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수용수단 (4) 을 구성하여, 포장물 (6) 이 F7 을 따라 투입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포장물 (6)의 중지는 두 개의 반실 (39 및 40) 사이에서 행해진다.
우려내기 또는 침출이 행해진 후에, 받침대 (11) 는 F1 을 따라 수축됨으로써 자동방출수단 (4) 을 형성하는데, 이에 따라 사용된 포장물 (6) 이 화살표 F8을따라 단순 중력에 의해 방출된다.
위치유지수단 (5) 은 수직으로 위치한 두 개의 측면 홈 (10) 을 구비하며, 이 측면 홈 (10) 내에서 우려낼 물질 (8) 의 포장물 (6) 이 수직으로 미끄러진다.
상기 측면 홈 (10) 은 포장물 (6) 을 거의 수직상태로 유지시켜, 두 개의 반실 (39 및 40) 에 대해 거의 평행한 상태로 위치시키며, 이들 반실 (39 및 40) 은 서로 협동하여 포장물 (6) 을 고정시키게 된다.
우려낼 물질 (8) 을 함유하는 포장물 (6) 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우려낼 물질 (8) 을 덮는 가요성 중앙부 (12) 와 밀봉 및 고정을 위한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변부 (13) 로 이루어진 디스크 형식이다.
이러한 포장물 (6) 은 본 출원인에 의해 이미 특허 출원되어 있다. 이 출원은 제 9,310,760호 (1993년 9월 6일) 로 등록되어 있다.
이러한 포장물 (6) 은 고정 피스톤 (1) 과 가동 원통형 본체 (2) 로 형성된 그룹과 보일러 (3) 를 포함하는 자동장치 내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으면서, 보일러가 그 내부의 고정 피스톤에 의해 움직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본체가 고정된다.
그룹 (고정 피스톤 (1) 및 원통형 본체 (2)) 과 보일러 (3) 는, 반실 (39) 및 반실 (40) 내에 각각 위치하여 필터 (14 또는 15) 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필터 (14) 는 그룹 (고정 피스톤 (1) 및 원통형 본체 (2)) 의 반실 (39) 내에 위치하며, 필터 (15) 는 보일러 (3) 의 반실 (40) 내에 위치한다.
이러한 필터 (14) 와 필터 (15) 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되며, 원통형 본체 (2) 가 보일러 (3) 에 접근할 때 포장물 (6) 의 중앙부 (12) 를 완전하게 둘러쌀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 상태에서 두 개의 반실 (39 및 40) 은 침출실 (38)을 형성한다.
따라서, 포장물 (6) 의 주변부 (13) 는, 도 1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14 및 15) 가 F6 을 따라 서로 접근할 때, 본체 (2) 의 필터 (14) 와 보일러 (3) 의 필터 (15) 사이에서 밀봉수단의 역할을 한다.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구멍 (16) 이 수평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는 가동 원통형 본체 (2) 의 필터 (14) 는 상기 본체 (2) 쪽으로 표면이 굽은 멤브레인 밸브 (membrane valve; 17) 를 포함하는데, 이 멤브레인 밸브 (17)의 오목한 형상은 상기 필터 (14) 와 함께 공간 (18) 을 형성한다.
필터 (15) 에도 또한 구멍들이 천공되어 있다.
필터 (14) 의 모든 구멍 (16) 은 상기 공간 (18) 내로 개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침출 (lixiviation) 이 시작된다.
보일러 (3) 는 예컨대 수도밸브 (도시 생략) 로부터 유입된 물을 가열한다.
압력이 충분하다면, 밸브 (33) 가 개방되어 포장물 (6) 이 놓여진 침출실 (38) 내로 가열된 물을 통과시킨다. 이것이 도 8 에 도시되어 있다.
멤브레인 밸브 (17) 는 두 개의 상태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려낸 액체 (19) 의 통과를 방지하는 오목한 상태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려낸 액체 (19) 의 통과를 허용하는 편평한 상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멤브레인밸브 (17) 의 형태 변경은 우려낸 액체 (19) 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이 약하면 멤브레인 밸브 (17) 는 변형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압력이 도 9 의 화살표 P15 를 따라 증가하면 멤브레인 밸브 (17) 는 F10 을 따라 변형되어, 우려낸 액체 (19) 는 화살표 F11 을 따라 배출로 (20) 를 통해 흐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해 포장물 (6) 의 내부에 존재하는 우려낼 물질 (8) 을 습윤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습윤수단 (7) 은, 가동 원통형 본체 (2) 의 필터 (14) 와 멤브레인 밸브 (17), 그리고 멤브레인 밸브 (17) 와 대향하는 필터 (14) 의 구멍 (16) 의 배치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및 도 10 에 따르면, 가동 원통형 본체 (2) 는 예컨대, 수도밸브 (도시생략) 로부터의 물의 출입을 가능하게 하는 도관 (21) 을 구비한다.
이 도관 (21) 의 내부의 개구는 가동 원통형 본체 (2) 의 챔버 (27) 내에 형성되며, 이 챔버 (27) 의 크기는 고정 피스톤 (1) 에 의해 결정되므로, 이에 의해 그룹 (고정 피스톤 (1) 및 원통형 본체 (2)) 은 단동 잭 (jack) 을 형성하여, 물이 챔버 (27) 내로 유입될 때에는 두 개의 필터 (14 및 15)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고, 물이 유출될 때에는 상기 공간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고정 피스톤 (1) 에 대한 가동 원통형 본체 (2) 의 F5 또는 F6 에따른 운동에 의해, 두 개의 필터 (14 및 15) 사이에서 포장물 (6) 이 조여질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및 자동방출수단 (4) 을 형성하는 신축식 받침대 (11) 는 가동 원통형 본체 (2) 에 형성된 두 개의 베어링 사이에서 복원 스프링 (23) 에 대항하여 슬라이딩 안내축 (22) 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 안내축 (22) 의 자유 말단부는 스프링 (25) 의 힘에 대항하여 장착된 제어 캠(24) 과 협동한다.
이 제어 캠 (24) 은 도 1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F3 및 F4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고정 피스톤 (1) 에는 받침대 (26) 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받침대 (26) 는 고정 피스톤 (1) 과 가동 원통형 본체 (2) 사이에 형성된 챔버 (27) 의 부피가 최소일 때 제어 캠 (24) 과 협동하고, 이에 의해 제어 캠 (24) 은 안내축 (22) 상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게 되어, 신축식 받침대 (11) 를 복원 스프링 (23) 의 추진력 하에 신장시켜 수용수단 (4) 을 형성한다.
이러한 신장된 상태에 의해, 새로운 포장물 (6) 을 수용할 수 있다. 이는 화살표 F2 에 상응한다.
역방향의 이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일러 (3) 는 접촉부 (28) 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접촉부 (28) 에 의해 받침대 (11) 가 지지되고 보일러 (3) 에 대한 본체 (2) 의 접근력에 의해 화살표 F1 에 따른 수축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그룹 (고정 피스톤 (1) 및 본체 (2)) 의 챔버 (27) 의 부피가 도관 (21) 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에 의해 증가할 때 이루어지며, 받침대 (11) 를 수축시켜 자동방출수단 (4) 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사용된 포장물 (6) 이 단순 중력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유지수단 (5) 을 구성하는 측면 홈 (10) 은 도 3 과 같이, 그룹 (고정 피스톤 (1) 및 본체 (2)) 과 보일러 (3) 사이의 공간이 최대가 될 때 두 개의 필터 (14 및 15) 의 중간에서 측면 홈 (10) 을 유지시키는 스프링 (30) 의 힘에 대항하여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축 (29) 과 협동하는데, 이에 의해 사용된 포장물 (6) 은 필터 (14 및 15) 로부터 분리되어 받침대 (11) 가 수축된 때에 방출될 수 있다.
측면 홈 (10), 축 (29) 및 스프링 (30) 의 조합은 사용된 포장물 (6) 의 분리수단을 형성한다.
만일 이러한 분리수단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축축한 상태인 사용된 포장물 (6) 을 단순 중력에 의해 방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측면 홈 (10) 은 정지상태에서 본체 (2) 와 보일러 (3) 의 중간에 위치한다. 본체 (2) 가 F6 을 따라 보일러 (3) 에 접근할 때, 본체 (2) 는 포장물 (6) 과 먼저 접촉하기 시작하며, 이때 축 (29) 과 스프링 (30) 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것이 도 4 에 도시되어 있다. 본체 (2) 가 F6 을 따라 더 이동하면, 포장물 (6) 과 위치유지수단 (5) 이 F16 에 따른 스프링 (30) 의 힘에 대항하여,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3) 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한다.
F5 를 따라 역으로 이동할 때, 스프링 (30), 축 (29) 및 위치유지수단 (5)은 서로 협동하여,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포장물 (6) 은 본체 (2) 와 보일러 (3) 의 거의 중간에 위치한다. 따라서, 위치유지수단 (5) 이 F17을 따라 스프링 (30) 의 추진력에 의해 F16 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포장물 (6) 이 분리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 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피스톤 (1)-가동 원통형 본체 (2) 의 그룹의 반실은 가요성 요소 (31) 를 구비하는데, 이 가요성 요소 (31) 는 불량한 크기를 갖거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다른 성질을 갖는 포장물 (6) 의 부피 변화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요소 (31) 는 포장물 (6) 의 경질 주변부를 보완하여, 한편으로는 포장물 (6) 과 본체 (2), 다른 한편으로는 포장물 (6) 과 보일러 (3) 사이의 밀봉을 확실하게 만든다.
도 10 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서는, 그룹 (고정 피스톤 (1) 및 본체 (2))과 보일러 (3) 가 스프링 (37) 의 힘에 대항하여 F12 를 따라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두 개의 필터 (35 및 36) 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필터에 의해 사용된 포장물 (6) 의 분리가 용이해 진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분리수단은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분리수단과 다르다.
이 경우, 위치유지수단 (5) 과 수용 및 자동방출수단 (4) 이 더 이상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면의 간략화를 위해, 습윤수단 (7), 보다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밸브 (17)를 이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다.
제 3 실시예는 커피와 같은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장치는 도 13 내지 도 17 에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인 방식과 마찬가지로, 이 장치는 보일러 (3) 와 대향하는 본체 (2) 로 구성되는 그룹을 포함한다.
본체 및 보일러는 수평축을 따라 배치되며, 화살표 F6 (도 15 참조) 을 따라 서로 접근할 수 있고, 화살표 F13 (도 17 참조) 을 따라 떨어질 수 있다.
도 13 은 정지상태에 있는 자동장치를 도시하는데, 도 14 내지 도 17 은 침출을 허용하는 여러 상태에 있는 동일한 자동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4 에서는, 우려낼 물질을 함유하는 포장물 (6) 이 화살표 F7을 따라 투입된다.
도 15 에서는,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F6 을 따라 서로 접근한다.
도 16 에서는, 본체 (2) 와 보일러 (3) 사이의 접근이 완료된다. 이것은 내부에 포장물 (6) 이 위치한 침출실 (38) 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도 17 은 화살표 F13 을 따라 보일러 (3) 에 대하여 본체 (2) 를 떨어뜨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의해 우려낸 액체가 화살표 F11 을 따라 배출된 후에 화살표 F8 (도 16 참조) 을 따라 포장물 (6) 이 자동으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화살표 F8 은 도 16 에 나타냈지만, 이 도 16 에서 본체 (2) 와 보일러 (3) 는 아직 떨어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화살표 F8 은 포장물 (6)의 자동 방출 동작을 예상한 것이다.
실제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 (2) 의 이동은 챔버 내로 도입된 물에 의해 변위하는 피스톤-챔버 조립체 (도시 생략) 에 의해 행해진다. 이러한 물의 도입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4 를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본체 (2) 가 F6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역으로의 이동은 물의 배출 F14 (도 17 참조) 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에 의해 본체 (2) 가 F13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발명의 핵심은, 본체 (2)-보일러 (3) 조립체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며, 또한 하나 이상의 수평의 축 (41) 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가동 받침대 (32) 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축 (41) 을 중심으로 한 가동 받침대 (32) 의 회전운동은,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5 를 따라 이루어진다. 역방향으로의 운동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2를 따른 단순 중력에 의해 행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가동 받침대 (32) 는 침출실 (38) 의 부근에 위치하며, 두 개의 말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첫 번째 위치는 침출실 (38) 의 평면 내에 있는 위치 즉, 도 14 및 도 15 에 도시된 가동 받침대 (32) 의 위치이며, 이 위치에서는 받침대 (32) 가 이미 투입된 포장물 (6) 을 수용할 수 있다. 두 번째 위치는 도 13, 도 16 및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출실 (38) 의 평면 바깥에 있으며, 이 위치에서 받침대 (32) 는 포장물 (6) 의 방출수단의 역할을 한다.
실제로, 상기 받침대 (32) 는 거의 수직인 두 개의 측면 직립부 (42) 를 갖춘 등자 (stirrup) 로 구성되는데, 이들 측면 직립부 (42) 는 축 (41) 과 각각 협동하며 횡부재 (43) 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어, 받침대 (32) 가 침출실 (38) 의 평면 내에 있을 때 포장물 (6) 을 수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입에서 방출까지의 포장물 (6) 의 이동, 즉 화살표 F7 및 F8 을 따른 이동이 적절하게 되기 위해서는, 자동장치가 위치유지수단 (5) 을 필요로 하는데, 이에 의해 포장물 (6) 이 침출실 (38) 의 평면 내에서 항상 머물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위치유지수단 (5) 은 단순 중력에 의해 포장물 (6) 을 위에서 아래로 수직방향으로 안내한다.
이 위치유지수단 (5) 은 수직 홈을 갖춘 두 개의 요소로 구성되는데, 그 내부로 포장물 (6) 이 미끄러져 수직한 상태로 유지되며, 이 요소 각각은 침출실 (38) 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홈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해하는 바와 같이, F25 에 역방향인 복귀운동이 단순 중력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에, F25 에 따른 운동은 보일러 (3) 에 대한 본체 (2) 의 운동에 따른다.
이를 위하여, 받침대 (32) 는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서로 접근할 때에 보일러 (3) 와 협동하는 제어 캠 (44) 을 구비한다.
실제로, 도 15 및 도 1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캠 (44) 은 보일러 (3) 와 직접 협동하지는 않지만, 본체 (2) 가 이동할 때에 보일러 (3) 와 접촉하게 되는 접촉대 (52) 와 간접적으로 협동한다. 접촉대 (52) 와 제어 캠 (44) 은 F23을 따라 접근한다.
제어 캠 (44) 의 형상에 의해 받침대 (32) 전체가 F25 를 따라 선회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받침대 (32) 는 침출실 (38) 의 평면 내의 위치로부터 이 평면 바깥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운동에 의해, 받침대 (32) 가 침출실 (38) 의 평면 내에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어 방출수단이 설정된다.
그러나,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포장물 (6) 을 침출실 (38) 에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때에는 포장물 (6) 이 방출될 수 없다.
물론, 도 1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떨어져 있을때에는, 받침대 (32) 는 포장물 (6) 의 방출을 허용하도록 침출실 (38) 의 평면에서 벗어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받침대 (32) 는 돌기 (46) 를 갖춘 연장부 (45) 를 포함하는데, 이 연장부 (45) 는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떨어져 있을 때 본체 (2) 와 협동하여 받침대 (32) 가 침출실 (38) 의 평면 내의 위치로 자동 복귀되는 것을 지연시키며 포장물 (6) 이 자동 방출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 (46) 의 자유 말단부는 경사져 있으며 본체 (2) 도 경사진 날개부 (47) 를 구비하고 있어, 이들 경사진 부분들이 협동하여 침출실 (38) 의 평면 바깥의 위치로 받침대 (32) 가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또한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멀어지기 시작할 때 상기 평면 내의 위치로 받침대 (32) 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경사진 돌기 (46) 와 경사진 날개부 (47) 의 운동은 화살표 F26 을 따라 행해진다.
심미적이고 실용적인 목적에서, 장치의 종축에 직교하며 거의 평행한 축(41)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덮개 (48) 가 제공된다. 이 덮개 (48) 는 침출실 (38) 의 평면 내에 있을 때에는 새로운 포장물 (6) 의 투입을 금지하며, 침출실 (38) 의 평면 바깥에 있을 때에는 새로운 포장물 (6) 의 투입을 허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축 (41) 은 덮개 (48) 및 받침대 (32) 를 위한 것이다.
평면 내의 위치와 평면 바깥의 위치 사이에서의 덮개 (48) 의 운동은 화살표 F20 (도 14 참조) 을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행해진다. 역방향 운동은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탄력성을 가지면서 받침대 (32) 에 장착된 연장부 (58) 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상기 연장부 (58) 는 덮개 (48) 에 있는 돌기 (57) 와 협동한다.
덮개 (48) 가 F20 을 따라 조작될 때, 탄성의 연장부 (58) 는 F21 을 따라 변형되어 덮개 (48) 가 돌기 (57) 에 의해 침출실 (38) 의 평면 내의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게 해주는 일정량의 에너지를 축적할 수 있게 한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2) 는 보일러 (3) 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다.
본체 (2) 는 화살표 F18 및 F19 를 따라 두 개의 주요 지점에서 접근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보일러 (3) 에 대한 본체 (2) 의 고정은, 한편으로는 접촉대 (52) 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본체 (2) 의 하부에 위치하는 암형 (female) 급속연결부 (56) 에서 행해진다.
암형 급속연결부 (56) 는 수형 (male) 급속연결부 (55) 와 협동하여, 물이 F24 를 따라 유입될 때 본체 (2) 와 보일러 (3) 를 F6 을 따라 서로 접근시키거나, 및/또는 물이 F14 를 따라 배출될 때 F13 을 따라 본체 (2) 를 보일러 (3) 에 대해 멀어지게 한다.
접촉대 (52) 에서의 두 번째 고정 지점은 이 접촉대 (52) 에 위치하는 두 개의 수형 고정부재 (49) 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들 수형 고정부재 (49) 는 보일러 (3) 의 본체에 형성된 암형 고정부재 (50) 에 끼워진다.
따라서, 각각의 수형 고정부재 (49) 는 큰 직경의 돌출부에 의해 자유 말단부에서 종료하는 길이방향 원통형 본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조립체는 보일러 (3) 에 배치된 고정수단 (51) 에 의해 보어 (53) 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 (51) 은 회전축 (54) 상에 장착되며, 이 고정수단 (51) 에 형성된 보어 (53) 는 수형 고정부재 (49) 가 암형 고정부재 (50) 내에 있을 때 수형 고정부재 (49) 의 위치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을 갖는다.
고정수단 (51) 의 단순한 회전에 의하여, 가변의 폭을 갖는 원호형상의 각각의 보어 (53) 는 가장 큰 폭을 갖는 부위에서 수형 고정부재 (49) 의 돌출부를 통과시키며, 또한 가장 작은 폭을 갖는 부위에서는 각각의 수형 고정부재 (49) 를 소정 위치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보일러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이 보일러에 접근하여 침출실을 형성하는 본체로 형성된 그룹을 포함하는, 커피와 같은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를 제안하는데, 이장치는,
우려낼 물질을 함유한 개별 포장물을 위한 수용 및 자동방출수단, 및
상기 개별 포장물의 위치유지수단을 본체와 보일러 사이에서 침출실의 위치에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 및 자동방출수단은, 침출실의 하부 위치로 신장될 때에는 상기 개별 포장물을 본체와 보일러 사이에서 임시로 고정시키며, 수축될 때에는 상기 개별포장물을 통과시켜 단순 중력에 의한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신축식 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침출실은 두 개의 반실로 구성되며, 그 중 하나의 반실은 본체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반실은 보일러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본체의 표면과 보일러의 표면은 서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침출실은 두 개의 반실이 이웃하고 있을 때 형성되며, 상기 우려낼 물질의 개별 포장물은 밀봉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침출실이 형성될 때 개별 포장물은 두 개의 반실 사이에 끼워진다.
본 자동장치는, 우려낼 물질을 덮는 가요성 중앙부 및 경질의 고정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변부로 구성되어 있는 포장된 개별 분량 형식의 우려낼 물질의 포장물을 사용하며, 상기 포장물의 주변부는 본체의 반실과 보일러의 반실이 서로 접근할때 이들 반실과 반실 사이에서 밀봉수단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와 보일러에는 필터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가 이들 본체와 보일러의 반실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는 침출실이 형성될 때 포장물의 중앙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둘러쌀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본 자동장치는 반실 내에 본체 쪽을 향해 위치하는 습윤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 습윤수단은 본체의 반실의 필터, 및 상기 본체의 반실과 필터 사이의 공간에 있는 멤브레인 밸브로 이루어진다.
본체의 필터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수평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본체를 향하는 상기 필터의 표면에 멤브레인 밸브가 배치되고, 이 멤브레인 밸브의 오목면은 상기 필터와 함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 전체는 이 공간 내로 통해져 있다.
멤브레인 밸브는 두 개의 상태 즉, 우려낸 액체의 통과를 방지하는 오목면 상태와, 그리고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우려낸 액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평면 상태 사이에서 변화한다.
본체의 반실은 우려낸 액체를 위한 배출로를 구비하며, 이 배출로의 입구는 반실과 멤브레인 밸브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신축식 요소는 신장된 위치에서는 수용수단을, 그리고 수축된 위치에서는 포장물의 단순 중력에 의한 자동방출수단을 형성하는 받침대이며, 상기 신축식 요소는 복원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안내축 상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안내축의 자유말단부는 스프링의 작용에 대항하여 장착되어 있는 제어 캠과 협동한다.
포장물의 위치유지수단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장착된 하나 이상의 축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은 위치유지수단을 본체와 보일러 사이의 중간에 유지시켜, 본체와 보일러 사이의 공간이 최대가 될 때 포장물을 분리시킨다.
고정 피스톤을 더 포함하여, 이 경우에, 본체는 이 고정 피스톤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본체는 챔버 내로의 물의 유입 및 챔버로부터의 물의 유출을 위한 도관을 구비하고, 본체와 고정 피스톤으로 이루어진 그룹은 상기 도관을 통한 물의 유출 또는 유입에 의해 챔버의 부피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단동 잭을 형성함으로써, 본체를 보일러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멀어지게 하거나 가깝게 접근시킨다.
고정 피스톤에는 챔버의 부피가 최소일 때 제어 캠과 협동하는 받침대가 장착되어 있어, 수용수단이 설정되고 자동방출수단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신축식 요소는 새로운 포장물을 수용할 수 있는 신장 상태가 된다.
보일러는 본체와 보일러가 서로 접근할 때 수용수단의 완충장치 역할을 하는 접촉부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수용수단은 해제되고 자동방출장치가 설정되며, 이에 의해 신축식 요소는 수축 상태가 된다.
본체의 반실과 보일러의 반실은 포장물의 부피의 변화를 흡수하는 가요성 요소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와 보일러는 수평인 종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로서, 본체와 보일러로 이루어지는 그룹, 및 포장물의 위치유지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와 보일러는, 본체-보일러의 조립체의 길이방향축에 직교하며 수평인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동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대는 두 개의 위치 즉, 포장물의 수용수단의 역할을 하는 침출실의 평면 내에서의 위치와, 그리고 포장물의 방출수단의 역할을 하는 침출실의 평면 바깥에서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받침대는, 축과 각각 협동하며 받침대가 침출실의 평면 내에 있을 때 포장물을 수용하는 횡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수직한 두 개의 측면 직립부를 포함하는 등자로 구성된다.
포장물의 위치유지수단은 받침대의 부근에 존재하여, 포장물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안내한다.
위치유지수단은 두 개의 수직 홈을 포함하며, 그 내부로 포장물이 미끄러져수직상태로 유지되고, 각각의 홈은 침출실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대는 본체와 보일러가 서로 접근할 때 본체 또는 보일러와 협동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캠을 포함하며, 이 제어 캠은 받침대가 상기 침출실의 평면 내의 위치로부터 이 평면 바깥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받침대를 제어하며, 받침대의 역방향 이동은 본체와 보일러가 서로 멀어질 때 단순 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받침대는 본체와 보일러가 멀어질 때에 본체 또는 보일러와 협동하는 돌기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는 침출실의 평면 내의 위치로 받침대가 자동 복귀되는 것을 지연시키며 포장물의 방출을 용이하게 한다.
돌기의 자유 말단부는 경사져 있고, 본체 또는 보일러는 경사진 날개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 및 날개부의 경사진 부분들은 협동하여 받침대가 침출실의 평면 바깥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받침대가 상기 평면 내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장치의 종축에 직교하며 평행한 하나 이상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덮개가, 새로운 포장물의 투입을 방지하는 침출실의 평면 내의 위치와, 새로운 포장물의 투입을 허용하는 상기 평면 바깥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받침대가 회전하는 축과 덮개가 회전하는 축은 동일한 축이다.
본체는 보일러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다.
두 개의 필터가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사용된 포장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하기 첨부된 도면들은 참고예로서 주어지며,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의해 본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6)

  1. 보일러 (3) 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이 보일러 (3) 에 접근하여 침출실 (38)을 형성하는 본체 (2) 로 형성된 그룹을 포함하는, 커피와 같은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로서,
    우려낼 물질 (8) 을 함유한 개별 포장물 (6) 을 위한 수용 및 자동방출수단 (4), 및
    상기 개별 포장물 (6) 의 위치유지수단 (5) 을 상기 본체 (2) 와 보일러 (3) 사이에서 침출실 (38) 의 위치에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용 및 자동방출수단 (4) 은, 침출실 (38) 의 하부 위치로 신장될 때에는 상기 개별 포장물 (6) 을 본체 (2) 와 보일러 (3) 사이에서 임시로 고정시키고, 수축될 때에는 상기 개별 포장물 (6) 을 통과시켜 단순 중력에 의한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신축식 요소 (11)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실 (38) 은 두 개의 반실 (39 및 40) 로 구성되며, 그 중 하나의 반실 (39) 은 본체 (2) 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반실 (40) 은 보일러 (3) 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본체 (2) 의 표면과 보일러 (3) 의 표면은 서로 대향하고 있고, 상기 침출실 (38) 은 두 개의 반실 (39 및 40) 이 이웃하고 있을 때 형성되며, 상기 우려낼 물질 (8) 의 개별 포장물 (6) 은 밀봉수단 (13) 을 구비하고 있어, 침출실 (38) 이 형성될 때 개별 포장물 (6) 은 두 개의 반실 (39 및 40)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우려낼 물질 (8) 을 덮는 가요성 중앙부 (12) 및 경질의 고정 테두리를 형성하는 주변부로 구성되어 있는 포장된 개별 분량 형식의 우려낼 물질 (8) 의 포장물 (6) 을 사용하며, 상기 포장물 (6) 의 주변부는 본체 (2) 의 반실 (39) 과 보일러 (3) 의 반실 (40) 이 서로 접근할 때 이들 반실 (39) 과 반실 (40) 사이에서 밀봉수단 (13) 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 (2) 와 보일러 (3) 에는 필터 (14, 15; 35, 36) 의 역할을 하는 플레이트가 이들 본체 (2) 와 보일러 (3) 의 반실 (39 및 40) 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필터 (14, 15; 35, 36) 는 침출실 (38) 이 형성될 때 포장물 (6) 의 중앙부 (12) 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둘러쌀 수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반실 (39) 내에 본체 (2) 쪽을 향해 위치하는 습윤수단 (7) 을 더 포함하며, 이 습윤수단 (7) 은 본체 (2) 의 반실 (39) 의 필터 (14, 35), 및 상기 본체 (2) 의 반실 (39) 과 필터 (14, 35) 사이의 공간에 있는 멤브레인 밸브 (17)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2) 의 필터 (14, 35) 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 (16) 이 수평방향으로 천공되어 있으며, 본체 (2) 를 향하는 상기 필터 (14, 35) 의 표면에 멤브레인 밸브 (17) 가 배치되고, 상기 멤브레인 밸브 (17) 의 오목면은상기 필터 (14, 35) 와 함께 공간 (18) 을 형성하며, 상기 구멍 (16) 전체는 이 공간 (18) 내로 통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밸브 (17) 는 두 개의 상태 즉, 우려낸 액체 (19) 의 통과를 방지하는 오목면 상태와, 그리고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우려낸 액체 (19) 의 통과를 허용하는 평면 상태 사이에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본체 (2) 의 반실 (39) 은 우려낸 액체 (19) 를 위한 배출로 (20) 를 구비하며, 이 배출로 (20) 의 입구는 반실 (39) 과 멤브레인 밸브 (17)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신축식 요소 (11) 는 신장된 위치에서는 수용수단 (4) 을, 그리고 수축된 위치에서는 포장물 (6) 의 단순 중력에 의한 자동방출수단 (4) 을 형성하는 받침대이며, 상기 신축식 요소 (11) 는 복원 스프링 (23) 의 힘에 대항하여 안내축 (22) 상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안내축 (22) 의 자유 말단부는 스프링 (25) 의 작용에 대항하여 장착되어 있는 제어 캠 (24) 과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포장물 (6) 의 위치유지수단 (5) 은 스프링 (30) 의 힘에대항하여 장착된 하나 이상의 축 (29) 에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 (30) 은 위치유지수단 (5) 을 본체 (2) 와 보일러 (3) 사이의 중간에 유지시켜, 본체 (2) 와 보일러 (3) 사이의 공간이 최대가 될 때 포장물 (6) 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 피스톤 (1) 을 더 포함하며, 이 경우에 본체 (2) 는 이 고정 피스톤 (1) 에 대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본체 (2) 는 챔버 (27) 내로의 물의 유입 및 챔버 (27) 로부터의 물의 유출을 위한 도관 (21) 을 구비하고, 본체 (2) 와 고정 피스톤 (1) 으로 이루어진 그룹은 상기 도관 (21) 을 통한 물의 유출 또는 유입에 의해 챔버 (27) 의 부피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단동 잭을 형성함으로써, 본체 (2) 를 보일러 (3) 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멀어지게 하거나 가깝게 접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고정 피스톤 (1) 에는 챔버 (27) 의 부피가 최소일 때 제어 캠 (24) 과 협동하는 받침대 (26) 가 장착되어 있어, 수용수단 (4) 이 설정되고 자동방출수단 (4) 은 해제되며, 이에 의해 신축식 요소 (11) 는 새로운 포장물 (6) 을 수용할 수 있는 신장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일러 (3) 는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서로 접근할 때 수용수단 (4) 의 완충장치 역할을 하는 접촉부 (28)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수용수단 (4) 은 해제되고 자동방출장치 (4) 가 설정되며, 이에 의해 신축식 요소 (11) 는 수축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본체 (2) 의 반실 (39) 과 보일러 (3) 의 반실 (40) 은 포장물 (6) 의 부피의 변화를 흡수하는 가요성 요소 (31)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본체 (2) 와 보일러 (3) 는 수평인 종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6.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로서,
    본체 (2) 와 보일러 (3) 로 이루어지는 그룹, 및
    포장물 (6) 의 위치유지수단 (5) 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 (2) 와 보일러 (3) 는, 본체 (2)-보일러 (3) 의 조립체의 길이방향축에 직교며 수평인 하나 이상의 축 (41) 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가동 받침대 (32) 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받침대 (32) 는 두 개의 위치 즉, 포장물 (6) 의 수용수단의 역할을 하는 침출실 (38) 의 평면 내에서의 위치와, 그리고 포장물 (6) 의 방출수단의 역할을 하는 침출실 (38) 의 평면 바깥에서의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32) 는, 축 (41) 과 각각 협동하며 받침대 (32) 가 침출실 (38) 의 평면 내에 있을 때 포장물 (6) 을 수용하는 횡부재 (43) 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수직한 두 개의 측면 직립부 (42) 를 포함하는 등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포장물 (6) 의 위치유지수단 (5) 은 받침대 (32) 의 부근에 존재하여, 상기 포장물 (6) 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수직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위치유지수단 (5) 은 두 개의 수직 홈 (10) 을 포함하며, 그 내부로 포장물 (6) 이 미끄러져 수직상태로 유지되고, 각각의 홈 (10) 은 침출실 (38) 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0. 제 16 항 또는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32) 는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서로 접근할 때 상기 본체 (2) 또는 보일러 (3) 와 협동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 캠 (44) 을 포함하며, 이 제어 캠 (44) 은 받침대 (32) 가 상기 침출실 (38) 의 평면 내의 위치로부터 이 평면 바깥의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받침대 (32) 를 제어하며, 받침대 (32) 의 역방향 이동은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서로 멀어질 때 단순 중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1.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32) 는 본체 (2) 와 보일러 (3) 가 멀어질 때에 상기 본체 (2) 또는 보일러 (3) 와 협동하는 돌기 (46) 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연장부 (45) 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 (46) 는 침출실 (38) 의 평면 내의 위치로 받침대 (32) 가 자동 복귀되는 것을 지연시키며 포장물 (6) 의 방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46) 의 자유 말단부는 경사져 있고, 본체 (2) 또는 보일러 (3) 는 경사진 날개부 (47) 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 (46) 및 날개부 (47) 의 경사진 부분들은 협동하여 받침대 (32) 가 침출실 (38) 의 평면바깥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받침대 (32) 가 상기 평면 내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3.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본 장치의 종축에 직교하며 평행한 하나이상의 축 (41)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덮개 (48) 가, 새로운 포장물 (6) 의 투입을 방지하는 침출실 (38) 의 평면 내의 위치와, 새로운 포장물 (6) 의 투입을 허용하는 상기 평면 바깥의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32) 가 회전하는 축 (41) 과 상기 덮개 (48) 가 회전하는 축 (41) 이 동일한 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5. 제 16 항에 있어서, 본체 (2) 는 보일러 (3) 에 대하여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26. 제 4 항에 있어서, 두 필터 (35, 36) 는 스프링 (37) 의 힘에 대항하여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사용된 포장물 (6) 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장치.
KR1019960703262A 1993-12-20 1994-12-13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 KR1003502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15677 1993-12-20
FR9315677A FR2713905B1 (fr) 1993-12-20 1993-12-20 Machine automatique pour la préparation d'infusions de boissons chaudes.
FR9410087 1994-08-10
FR9410087A FR2723524B1 (fr) 1994-08-10 1994-08-10 Perfectionnements aux machines pour la preparation d'infusions de boissons chaudes
PCT/FR1994/001455 WO1995017121A1 (fr) 1993-12-20 1994-12-13 Machine automatique pour la preparation d'infusions de boissons chaud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257B1 true KR100350257B1 (ko) 2002-12-28

Family

ID=26230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3262A KR100350257B1 (ko) 1993-12-20 1994-12-13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5755149A (ko)
EP (1) EP0735837B1 (ko)
JP (1) JP3629661B2 (ko)
KR (1) KR100350257B1 (ko)
CN (1) CN1056504C (ko)
AT (1) ATE253859T1 (ko)
AU (1) AU699759B2 (ko)
BR (1) BR9408356A (ko)
CA (1) CA2178595C (ko)
CZ (1) CZ294409B6 (ko)
DE (1) DE69433324T2 (ko)
DK (1) DK0735837T3 (ko)
ES (1) ES2210279T3 (ko)
HU (1) HU219923B (ko)
OA (1) OA10301A (ko)
PL (1) PL174771B1 (ko)
PT (1) PT735837E (ko)
RO (1) RO115013B1 (ko)
RU (1) RU2129830C1 (ko)
UA (1) UA29495C2 (ko)
WO (1) WO1995017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0209A1 (en) * 2004-04-13 2005-10-27 Nexsol Technologies, Inc. A machine interfaced coffee pods including o-ring and a brew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67142B1 (de) * 1997-02-18 2001-05-09 Eldom Rothrist Ag Espressomaschine
WO1998047418A1 (fr) * 1997-04-21 1998-10-29 Compagnie Mediterraneenne Des Cafes S.A. Procede de transformation d'une machine express a extraction verticale de cafe en une machine a extraction horizontale et appareil ainsi transforme
EP0887036B1 (de) * 1997-06-27 2000-11-15 Eldom Rothrist Ag Mit Filterkapsel arbeitende Espressomaschine
NL1007171C2 (nl) * 1997-09-30 1999-03-31 Sara Lee De Nv Samenstel voor gebruik in een koffiemachine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houder en pouch van dat samenstel.
FR2769483B1 (fr) * 1997-10-10 2000-07-13 Mediterraneenne Cafes Perfectionnement aux moyens de transfert d'un conditionnement dans une machine automatique pour realiser des boissons chaudes
FR2769484B1 (fr) 1997-10-10 2003-08-01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Dispositif de securite pour une machine automatique de preparation de boissons chaudes
FR2770987B1 (fr) 1997-11-14 2000-01-21 Mediterraneenne Cafes Chambre d'extraction pour machine automatique pour la preparation de boissons chaudes
CH692443A5 (de) * 1998-01-26 2002-06-28 Fianara Int Bv Kaffeemaschine.
CH692444A5 (de) * 1998-01-26 2002-06-28 Fianara Int Bv Kaffeemaschine.
EP1000574A1 (fr) * 1998-11-16 2000-05-1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rocédé et dispositif d'extraction d'une capsule fermée
ES2182390T3 (es) 1998-12-24 2003-03-01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Camara de extraccion para maquina automatica para la preparacion de bebidas calientes.
FR2788955B1 (fr) * 1999-01-28 2001-04-06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e cafe
IT1310537B1 (it) * 1999-02-22 2002-02-18 Simac Vetrella Sp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caffe' espresso
FR2792813B1 (fr) * 1999-04-27 2001-06-29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Dispositif et procede de commande de la fermeture et de l'ouverture d'une chambre d'extraction de machine a cafe
NL1012847C2 (nl) 1999-08-17 2001-02-20 Sara Lee De Nv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koffie.
IT1321007B1 (it) 2000-02-07 2003-12-18 Francesco Bonanno Gruppo automatico per lo sfruttamento di caffe' e altre bevandemacinate ad azionamento idraulico
EP1153561B1 (fr) * 2000-05-09 2005-07-27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substance
FR2812528B1 (fr) * 2000-08-02 2002-10-31 Rolland Versini Groupe percolateur a chambre d'infusion mobile et demontable sans outillage
DE60103767T2 (de) * 2000-09-06 2005-07-14 Mars, Incorporated (A Corporation Of Delaware, Usa) Methode und gerät zum brühen von kaffee
FR2833825B1 (fr) * 2001-12-24 2004-07-02 Carasso Bossert S A Porte-filtre a cafe
US20030226449A1 (en) * 2001-12-24 2003-12-11 Philippe Carasso Coffee Filter holder
FR2840176B1 (fr) * 2002-06-03 2004-08-06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Dispositif de production de boisson par infusion
CN1306895C (zh) * 2002-03-01 2007-03-28 地中海咖啡公司 通过浸泡制备饮料的设备
EP1551263B1 (en) 2002-09-27 2009-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for preparing coffee
US7334799B2 (en) * 2002-12-23 2008-02-26 Caterpillar Inc. Sealing device for a turbocharger
ES2256601T3 (es) * 2003-02-07 2006-07-16 Nestec S.A. Modulo de exctraccion con cierre lineal para preparar una bebida a presion a partir de una capsula.
FR2856572B1 (fr) 2003-06-25 2006-07-28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Dispositif de production de boisson par infusion
FR2856571B1 (fr) * 2003-06-25 2005-08-19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Dispositif de production de boisson par infusion
EP1495702A1 (fr) * 2003-07-10 2005-01-12 Nestec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capsule
DE10334542A1 (de) * 2003-07-29 2005-02-17 Pav Patentverwertung Kg Brühvorrichtung mit elastischem Element zum Niederhalten des Kaffeepads
ITGE20030105A1 (it) * 2003-12-11 2005-06-12 Termozeta Spa Macchina per caffe' espresso.
DE102004004834B4 (de) * 2004-01-30 2017-01-05 BSH Hausgeräte GmbH Kaffeemaschine mit einer Schublade zum Zuführen eines Kaffeepads
EP1579793B1 (en) * 2004-03-26 2007-07-11 ILLYCAFFE' S.p.A. Beverage extraction assembly for extracting a beverage from a particulate substance contained in a cartridge
US7437990B2 (en) * 2004-05-14 2008-10-21 Duch Enrique Gamez All-in-one disposable container for making coffee, tea and other mixed beverages
ITTO20040374A1 (it) * 2004-06-04 2004-09-04 Sgl Italia Srl Macchina percolatrice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DE202004014738U1 (de) * 2004-09-22 2006-02-09 Pav Patentverwertung Kg Brühvorrichtung mit Heißwasserauslauf
ITMI20042256A1 (it) * 2004-11-22 2005-02-22 Antonio Locati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realizzazione di infusi in genere in particooare caffe'espresso
US20060254428A1 (en) * 2005-05-14 2006-11-16 Glucksman Dov Z Coffee making apparatus
US7730829B2 (en) * 2005-05-25 2010-06-08 Sunbeam Products, Inc. Beverage brewer
DE602005010583D1 (de) * 2005-09-27 2008-12-04 Nestec Sa Extraktionsmodul für eine auf Kapseln basierte Getränkemaschine
DE102005055182B4 (de) * 2005-11-18 2015-05-21 BSH Hausgeräte GmbH Partikelsieb für Pad-Kaffeemaschinen
DE202005019207U1 (de) * 2005-12-07 2006-02-09 SEVERIN ELEKTROGERÄTE GmbH Pad für die Zubereitung von Getränken wie Kaffee o.dgl., sowie Halter für ein solches Pad
PT1859714E (pt) * 2006-05-24 2009-03-25 Nestec Sa Dispositivo de infusão e sistema de infusão de cápsulas com um porta-cápsulas para facilitar introdução e remoção de cápsulas
PT1859712E (pt) * 2006-05-24 2009-02-02 Nestec Sa Módulo de perfuração de cápsulas
ITMI20061307A1 (it) * 2006-07-06 2008-01-07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FI20060194A1 (it) 2006-08-04 2008-02-05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ITFI20070028A1 (it) * 2007-02-07 2008-08-08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con un dispositivo di centraggio delle capsule.
GB2447024A (en) 2007-02-27 2008-09-03 Kraft Foods R & D Inc A dispensing machine for hot or cold drinks
ATE454073T1 (de) * 2007-03-06 2010-01-15 Nestec Sa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aus einer kapsel
GB2449420B (en) 2007-05-18 2009-10-21 Kraft Foods R & D Inc Improv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422B (en) 2007-05-18 2009-09-16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213B (en) 2007-05-18 2011-06-2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beverage cartridges
GB2449421B (en) 2007-05-18 2009-09-09 Kraft Foods R & D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GB2449630B (en) * 2007-05-18 2010-01-06 Kraft Foods R & D Inc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and methods for operating beverage preparation machines
FR2916336A1 (fr) * 2007-05-21 2008-11-28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Systeme de production de boissons par infusion
CA2688378C (en) * 2007-06-05 2017-03-07 Nestec S.A. Single-use capsule for preparing a food liquid by centrifugation
BRPI0812339B1 (pt) * 2007-06-05 2020-08-1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Sistema e método para a preparação de um líquido alimentício e dispositivo para a preparação de alimento líquido
US8431175B2 (en) * 2007-06-05 2013-04-30 Nestec S.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or food liquid and system using brewing centrifugal force
EP2152608B1 (en) * 2007-06-05 2012-12-26 Nestec S.A. Capsule and method for preparing a food liquid by centrifugation
ATE504228T1 (de) * 2007-06-05 2011-04-15 Nestec 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tränks oder flüssigen nahrungsmittels
US7980168B2 (en) * 2007-06-26 2011-07-19 Maurer Scott D Hot beverage maker with filter deforming member
CL2008002963A1 (es) * 2007-10-04 2010-01-22 Nestec Sa Dispositivo calentador para una maquina para la preparacion de alimento liquido o bebida, que comprende una unidad termica con una masa metalica, a traves de la cual circula el liquido, y acumula calor y lo suministra al liquido, y tiene uno o mas componentes electricos asegurados en forma rigida a la unidad termica; y maquina.
CN103169378B (zh) 2007-10-04 2016-09-07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饮料冲煮单元
CN102133048B (zh) * 2007-10-04 2014-04-30 雀巢产品技术援助有限公司 用于饮料制备设备的集成的加热器
WO2009098720A1 (en) * 2008-02-05 2009-08-13 Ides Ltd. Granular infusion cartridge loading and ejecting device and related beverage dispensing machine
PT2679120T (pt) * 2008-03-14 2017-02-14 Mocoffee Ag Aparelho e cápsula para a preparação de uma bebida
BRPI0910773A2 (pt) 2008-04-22 2015-09-29 Nestec Sa montagem modiular de uma máquina para preparo de bebidas
JP2011518597A (ja) * 2008-04-28 2011-06-30 タタ ティー リミテッド 新鮮で温かい飲料の自動ポッドコンベア及び浸出アセンブリ
RU2466673C2 (ru) * 2008-04-28 2012-11-20 Тата Глобал Бевереджес Лимите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вежих горячих напитков и их дозирования
US8915177B2 (en) * 2008-08-08 2014-12-23 Nestec S.A. Beverage machine with carrying handle and configurable appearance and side functions
US8512784B2 (en) * 2008-09-02 2013-08-20 Nestec S.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ed beverage production using centrifugal forces
HUE027580T2 (en) * 2008-09-02 2016-10-28 Nestec Sa A method for preparing a food liquid stored in a capsule by centrifugation and a composition according to such a process
PT2378931E (pt) 2008-12-09 2013-02-14 Nestec Sa Sistema de preparação de alimento líquido para preparar um alimento líquido por centrifugação
CN201356446Y (zh) * 2008-12-30 2009-12-09 薛胜利 一种新型胶囊式咖啡机
EP2208450A1 (en) * 2009-01-14 2010-07-21 Nestec S.A. Modular system with small footprint autonomous module
IT1393007B1 (it) * 2009-03-12 2012-04-11 Emmebielle S R L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mediante infusione di bevande mediante capsule
MX2011013568A (es) * 2009-06-17 2012-02-22 Sara Lee De Bv Capsula, sistema y metodo para la preparacion de una bebida y un metodo para la fabricacion de tal capsula.
SG176745A1 (en) * 2009-06-17 2012-01-30 Sara Lee De Bv Capsul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predetermined quantity of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EP2592021B1 (en) * 2009-08-19 2015-03-04 Nestec S.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coffee extract having a structure facilitating perforation for injection of water
US8658232B2 (en) * 2009-08-28 2014-02-25 Nestec S.A. Capsul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by centrifugation
CA2769423C (en) 2009-08-28 2016-11-08 Nestec S.A. Capsule system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by centrifugation
EP2485629B1 (en) 2009-10-05 2014-01-08 Nestec S.A. Ergonomic capsule extraction device
BR112012007796A2 (pt) * 2009-10-05 2016-08-30 Nestec Sa dispositivo de extração de cartucho
ITFI20090268A1 (it) * 2009-12-21 2011-06-2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gruppo di infusione per bevande con un sistema di chiusura idraulica"
JP2013521918A (ja) * 2010-03-19 2013-06-13 エヌ アンド ダブリュ グローバル ヴェンディング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注入組立体
WO2011144479A2 (en) * 2010-05-19 2011-11-24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system using capsules
FR2960402B1 (fr) * 2010-05-25 2013-01-11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Systeme de production de boissons par infusion
FR2960403B1 (fr) * 2010-05-25 2013-01-18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Ensemble pour machine de production de boissons par infusion
FR2960400B1 (fr) 2010-05-25 2013-01-18 Cie Mediterraneenne Des Cafes Machine a infusion de boissons
DE202010007919U1 (de) * 2010-06-12 2010-11-11 Mahlich, David Portionskapsel für pulverförmige oder flüssige Getränkebasisstoffe
ITFI20100139A1 (it) * 2010-06-29 2011-12-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gruppo di infusione con camera di infusione a volume variabile"
FR2963332B1 (fr) * 2010-07-28 2012-08-31 Andre Luciani Dosette de cafe a enveloppe flexible microporeuse ou microperforee
US20130312620A1 (en) * 2011-02-04 2013-11-28 Ethical Coffee Company Sa Device for inserting capsules
US9510705B2 (en) * 2011-04-13 2016-12-06 Patrick J. Rolfes Pre-packaged beverage brewer press
CA2866728C (en) * 2012-01-25 2020-04-28 Luna Technology Systems Lts Gmbh Brewing module
DE102012006414A1 (de) * 2012-03-30 2013-10-02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Brühvorrichtung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FR2988988B1 (fr) * 2012-04-04 2014-06-27 Technopool Sarl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boisson par infusion de dosette avec berceau pivotant
CN102824110A (zh) * 2012-08-16 2012-12-19 王荐品 一种胶囊式咖啡机
DE102012108653A1 (de) * 2012-08-20 2014-02-20 Eugster/Frismag Ag Elektrohaushaltgeräte Brü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Brühvorrichtung
FR2998463B1 (fr) * 2012-11-23 2015-01-23 Technopool Sarl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boisson par infusion de dosette avec berceau pivotant
KR102218870B1 (ko) * 2013-01-28 2021-02-23 치보 게엠베하 브루잉 모듈 및 장치
ITVR20130196A1 (it) * 2013-08-09 2015-02-10 Caffita System Spa Gruppo orizzontal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tilizzando capsule contenenti sostanze alimentari in polvere
WO2015082664A1 (en) * 2013-12-06 2015-06-11 Nestec S.A. Retractable guide in capsule handling device
EP2915465A1 (en) 2014-03-06 2015-09-09 Nestec S.A. Beverage production device for receiving a capsul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US20170225880A1 (en) * 2014-08-04 2017-08-10 Nestec S.A. Packs for preparing beverages
CN105496197B (zh) * 2014-09-23 2018-06-26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咖啡酿造装置及具有其的胶囊咖啡机
GB201521882D0 (en) * 2015-12-11 2016-01-27 Mars Inc Beverage preperation system and capsules
ITUB20160320A1 (it) * 2016-01-29 2017-07-29 Rdl S R L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da infusione contenuti in cialde di carta - filtro
PT109303B (pt) * 2016-04-07 2021-02-15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Dispositivo de extração com suporte de cápsula móvel
NL2017277B1 (en) * 2016-08-03 2018-02-14 Douwe Egberts Bv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an exchangeable capsule
WO2019113070A1 (en) 2017-12-05 2019-06-13 Prince Castle LLC Baked good handling system
FR3075492B1 (fr) * 2017-12-20 2020-01-03 Silec Cable Dispositif pour denuder un cable
KR102042454B1 (ko) * 2017-12-28 2019-11-08 부산커피협동조합 에스프레소 머신용 실린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스프레소 머신
US11140906B2 (en) 2018-01-05 2021-10-12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Bun separation
CN111818824B (zh) 2018-01-05 2023-09-26 马蒙食品服务技术公司 餐包保存柜
WO2019140241A1 (en) 2018-01-11 2019-07-18 Prince Castle LLC Systems and methods of food preparation
US11129498B2 (en) 2018-06-27 2021-09-28 Marmon Foodservic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of food preparation automation
NL2022190B1 (en) 2018-12-12 2020-07-03 Douwe Egberts Bv Air purge groove
IT201900019950A1 (it) 2019-10-29 2021-04-29 Bruno Bardazzi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estinato all’uso di cariche preconfezionate realizzate con un corpo contenitore in materiale flessibile
IT202000010360A1 (it) 2020-05-08 2021-11-08 Bruno Bardazzi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estinato all'uso di cariche preconfezionate realizzate con un corpo contenitore in materiale flessibile
IT202100014012A1 (it) * 2021-05-28 2022-11-28 Arteq S R L Gruppo erogatore per macchi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a capsu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2202A (en) * 1956-03-05 1960-09-13 Frank J Renner Apparatus for making coffee
FR1216342A (fr) * 1958-10-24 1960-04-25 Vendo Co Appareil pour défoncer des récipients et préparer des infusions de café et d'autres produits
US3143955A (en) * 1962-12-03 1964-08-11 Ernest B Rockwell Beverage brewing machine
US3269298A (en) * 1963-10-16 1966-08-30 John F Grundmann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US3446624A (en) * 1967-07-28 1969-05-27 William David Luedtke Disposable coffee drip brewer
DE2435436A1 (de) * 1974-07-23 1976-02-05 Wittenborgs Automatfa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frischgebruehter getraenke, wie kaffee oder tee
IT7821703V0 (it) * 1978-05-03 1978-05-03 Illy Caffe S P A Macchina per fare una tazza di caffe'.
IT1194662B (it) * 1980-06-11 1988-09-22 Giuseppe Stefano Pia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caffe' espresso,cappuccino,te',brodo o di altri infusi,azionata automaticamente,mediante un filtro a perdere,contenente una o piu' dosi di prodotti,introdotto a mo' di gettone
IT8122376V0 (it) * 1981-07-16 1981-07-16 Illycaffe Spa Macchina da caffe' espresso corredata di organi amovibili per consentire di estrarre caffe'espresso da cialde di caffe'.
IT1152110B (it) * 1982-05-04 1986-12-31 Illycaffe Spa Macchina automatica per fare caffe' espresso
CH665340A5 (fr) * 1985-06-28 1988-05-13 Nestle Sa Dispositif pour la distribution de cartouches dans un porte-cartouches pour machine a caf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100209A1 (en) * 2004-04-13 2005-10-27 Nexsol Technologies, Inc. A machine interfaced coffee pods including o-ring and a brew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506799A (ja) 1997-07-08
ES2210279T3 (es) 2004-07-01
AU1274995A (en) 1995-07-10
US5755149A (en) 1998-05-26
PT735837E (pt) 2004-04-30
RO115013B1 (ro) 1999-10-29
HU9601693D0 (en) 1996-08-28
WO1995017121A1 (fr) 1995-06-29
DE69433324D1 (de) 2003-12-18
EP0735837B1 (fr) 2003-11-12
CN1056504C (zh) 2000-09-20
EP0735837A1 (fr) 1996-10-09
HU219923B (hu) 2001-09-28
HUT74813A (en) 1997-02-28
AU699759B2 (en) 1998-12-17
RU2129830C1 (ru) 1999-05-10
CN1137742A (zh) 1996-12-11
CZ294409B6 (cs) 2004-12-15
DE69433324T2 (de) 2004-09-16
DK0735837T3 (da) 2004-03-08
CZ158396A3 (en) 1997-05-14
CA2178595C (fr) 2006-11-21
BR9408356A (pt) 1997-08-26
ATE253859T1 (de) 2003-11-15
UA29495C2 (uk) 2000-11-15
OA10301A (fr) 1997-10-07
PL315120A1 (en) 1996-10-14
PL174771B1 (pl) 1998-09-30
CA2178595A1 (fr) 1995-06-29
JP3629661B2 (ja)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257B1 (ko) 온음료 침출용 자동장치
AU2004212280B2 (en) Extraction module with linear closure for the pressurised preparation of a drink from a capsule
EP1859714B1 (en) Brewing device and brewing capsule system with a capsule holder for facilitating insertion and removal of capsules
TWI403442B (zh) 膠囊包裝(capsule)萃取裝置
ITFI20070188A1 (it) "grupp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e macchina comprendente detto gruppo di infusione"
WO20061262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beverages, in particular coffee, from single portion packages
EP2242406B1 (en) Machine for dispensing infusions from a pod preparation having a resetting device
CA2701543A1 (en) Beverage brewing unit
ITFI20070120A1 (it) Gruppo di posizionamento ed estrazione di cialde monouso per macchine da caffe'
JP3394785B2 (ja) 液体分離装置
US20200405091A1 (en) Beverage extraction unit with movable outflow obstructor
CN213216598U (zh) 连接装置及磨豆机
CN201070268Y (zh) 可自动压包、倒包的咖啡机
AU2012265565B2 (en) Beverage brewing unit
RU2021130631A (ru) Зава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напитка из одноразовой капсулы
ITMI980615U1 (it) Portafiltro per macchina da caffe' espres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