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7681B1 - 차량에있어서의부하의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에있어서의부하의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7681B1
KR100347681B1 KR1019960701092A KR19960701092A KR100347681B1 KR 100347681 B1 KR100347681 B1 KR 100347681B1 KR 1019960701092 A KR1019960701092 A KR 1019960701092A KR 19960701092 A KR19960701092 A KR 19960701092A KR 100347681 B1 KR100347681 B1 KR 100347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witch element
switch
loa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5396A (ko
Inventor
레온하르드 볼
클라우스 뮐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6070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7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7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33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electric motors with control arrangements
    • H02H7/083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for electric motors with control arrangements with H-bridge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3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 H02P7/0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DC motors by means of a H-bridge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58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using information of the actual current val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68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design or special circuit elements
    • F02D2041/2072Bridge circuits, i.e. the load being placed in the diagonal of a bridge to be controlled in both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86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with means for detecting circuit failures
    • F02D2041/2093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with means for detecting circuit failures detecting short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9Monito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부하 내의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며, 여기서 각 스위치 소자에 대해 이 스위치 소자 내를 흐르는 전류가 모니터링되며 또한 단락을 검출하기 위해 평가되는, 차량에 있어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에 있어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종래 기술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을 상위 개념적으로 기재한 차량에 있어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독일 특허 공개 제3625091호(미국 특허 제4,951,188호)에서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 공개 공보에서는 4개의 스위치 소자를 갖는 브릿지 회로의 출력단이 제안되어 있으며, 여기서 브릿지 대각점 간에 배치된 부하를 통과하는 전류가 측정되어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된다. 부하를 통과하는 전류가 소정의 최대치를 초과하면, 부하 범위 내에서의 단락이 추정되어, 출력단은 비상 주행 운전을 행하기 위해 1 %의 스위치온 펄스 튜티 팩터가 제공되도록 스위치오프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방해 방사(disturbing radiatio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단시간의 장해인 경우에도 최종단이 스위치오프되어 비상 운전이 도입되는 일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장치의 사용도가 제한된다.
유럽 특허 제A60331호에서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T1 내지 T4)를 갖는 차량에 있어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구동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며 부하 내의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준다. 또한, 유럽 특허 제A60331호에 의하면 각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가 측정되며 각각 개개로 소정치를 초과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된다. 과전류가 검출되면, 부속된 트랜지스터가 새로운 투입 펄스의 개시까지 스위치오프된다. 단락이 장시간 계속될 때 출력 전체가 스위치오프된다. 이 때문에 부하 내를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며, 소정의 목표치와 비교되어 제한치를 초과한 때 목표치와의 차를 적분하는 적분기의 출력에 의해 직류 모터 설정기가 스위치오프된다. 따라서, 장해가 단시간인 경우에도 부속된 스위치 소자를 개방시키므로, 이것에 의해 장치의 사용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특히 단시간의 장해 경우에도 사용도가 개선되며 또한 장치의 조작 신뢰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부하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의하면, 부하 조작 장치는 장치 전체의 하나의 구성 부품으로의 집적화 및 전기식 조절 모터를 조작하기 위한 마이크로 컴퓨터와의 결합에 의해, 드로틀 플랩 또는 디젤 분사 펌프와 같은 내연 기관의 출력 설정 소자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제는 독립 청구항의 특징항에 개재된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발명의 이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부하 조작 장치의 범위 내에서 단시간의 장해가 검출되어도 그것에 대해 반드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따라서 장치의 사용도가 현저히 개선된다.
장치의 각 스위치 소자 내를 흐르는 전류가 측정되어 소정의 최대치를 초과 되는가의 여부가 검사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최대 전류를 초과한 때, 시한 소자가 스타트되고 이 초과가 소정의 시간에 걸쳐 계속된 때에 최초 에러가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단시간의 장해가 장치를 스위치오프시키는 일은 없다. 에러 검출은 사이클 구동 신호와는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구동 신호가 상시 하이 레벨 또는 로우 레벨을 갖고 있는 때에도 에러는 검출된다.
또한, 검출된 단시간의 장해를 카운트하여 검출된 장해가 소정수에 도달한 때에 에러 응답을 출력함으로써, 장치의 조작 신뢰성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이 점에 있어서, 또한 각각의 스위치 소자 내를 흐르는 전류를 소정의 최대치로 제한하는 전류 제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유리하며, 이것에 의해 단시간의 장해 경우에도 신속한 응답이 행해져 본의 아니게 구동 상태가 저지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장치의 사용도가 제한되는 일이 없으며, 한편 장해를 검출하여 검출된 장해를 장시간 계속하는 에러 상태 동안 카운트하는 것에 의한 장시간 검사 및/또는 시간 조건에 의한 장시간 검사는 조작의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
주기적인 구동에 있어서, 에러 카운터가 소정의 카운트 레벨에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 구동 펄스 동안 에러로서 검출된 스위치 소자는 다음 구동 펄스에서 재스위칭온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스위치 소자가 정확하게 작동하고 있을 때에 에러 카운터의 카운트를 저감시키는 것은, 시스템의 조작 기간 중에 각각의 시점에서 발생하는 분포 에러가 장치를 스위치오프시키는 것을 방지하므로 특히 유리하다.
조작 장치의 특히 유리한 구조에 의해, 기능성이 제한되는 일이 없고 표준 IC 하우징 내로의 집적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구성 부품의 가격이 저렴하게 되며 구성 부품의 신뢰성이 증대된다.
소정의 응답 수단을 구비한 장기 전류 제한 이외에 저 전압 보호, 과 전압 보호, 과대 온도 보호 및/또는 공급 전압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소자의 충전 펌프에서의 전압 모니터링과 같은 그외의 보호 기구를 구비한 보충 양태가 매우 유리하다.
마이크로컴퓨터가 특정의 전제 조건 하에서, 에러로서 검출된 조작 장치를 재스위칭온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며, 이 경우 에러 카운터가 리셋트된다. 에러의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는 출력단을 재스타트시키는 것을 수회 시도할 수 있다.
컴퓨터의 사이클 주파수가 25 KHz라고 가정하여, 카운터가 예를 들어 10까지 카운트될 때 에러 카운터는 400 마이크로초 경과 후에 풀(full)로 된다. 이것은 순간 에러 상태(예를 들어 EMV)의 경우, 밀리초의 범위 내에서 카운터는 바로 풀로 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가 에러 카운터를 저감시키면서 적어도 1회 출력단을 재스타트하는 것을 시도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이 방법이 매우 유리한 것을 알았다.
내연 기관의 출력 설정 소자를 조작하기 위해 직류 모터 또는 스텝 모터의 조작을 사용한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부터 특히 이점이 얻어진다.
상기 이외의 이점은 실시예에 관한 이하의 설명 및 청구 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이하에서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를 구비한 제어 장치의 전체 블럭도를 도시하고, 제2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상세 블럭 회로도가 도시되며, 제3도에는 제2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실시예의 설명
제1도는 마이크로컴퓨터(10)와, 부하(62)의 조작 장치(12)를 도시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0)는 입력 라인(14 내지 16)을 갖고 있으며, 입력 라인(14 내지 16)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10)는 측정 장치(18 내지 20)와 결합되어 있다. 제1 구동 라인(22) 및 제2 구동 라인(24)에 대해 마이크로컴퓨터(10)는 장치(12)의 입력 E1 내지 E2와 각자 결합되어 있다. 모터의 구동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 E2 내지 El에 공급되는 신호는 라인(22 내지 24)에 공급되는 신호를 반전시킴으로써 얻어진다. 다른 결합 라인(26)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10)는 장치(12)의 입력 Dl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결합 라인(28)에 의해 장치(12)의 출력 FF와 마이크로컴퓨터(10)는 결합되어 있다. 제2 마이크로컴퓨터(11)를 설치해도 좋으며, 마이크로컴퓨터(11)는 라인(27)을 통해 장치(12)의 입력 D2와 결합되어 있다. 이 제2 마이크로 컴퓨터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기능(가솔린 분사 및 점화)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마이크로컴퓨터에는 측정 장치(1004 내지 1006)로부터의 입력 라인 (1000 내지 1002)이 공급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0 및 11)은버스 시스템(1008)을 통해 정보 및 제어 변수를 교환한다
집적 구성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제1도에서 도시된 장치 (1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자기 부하를 조작하는 전(full) 브릿지 출력단을 포함하며, 전자기 부하는 브릿지 회로의 대각점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시된 브릿지 회로는 4개의 스위치 소자(30, 32, 34, 36)를 포함하며, 스위치 소자(30, 32, 34, 36)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스위치 소자(30)의 접속점은, 스위치 소자(32)의 접속점과 동일하게 라인(38 내지 40)을 통해 작동 전압의 양극(42)과 결합되어 있다. 스위치 소자(30)의 제2 접속점은 결합 라인(44)을 통해 스위치 소자(34)의 제1 접속점과 결합되며, 한편 스위치 소자(34)의 다른 접속점은 라인(46)을 통해 작동 전압의 음극(48)과 결합되어 있다. 동일하게, 스위치 소자(32)의 제2 접속점은 라인(50)을 통해 스위치 소자(36)의 제1 접속점과 결합되며, 스위치 소자(36)의 다른 접속점은 라인(52)을 통해 작동 전압의 음극(48)에 결합되어 있다. 라인(54)은 결합 라인(44)부터 전류 측정 저항(55)을 통해 장치(12)의 접속점(56)에 결합되며, 한편 라인(58)은 라인(50)으로부터 장치(12)의 제2 접속점(60)에 결합되어 있다. 접속점(56 및 60) 사이에 부하 (62)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하로서 직류 모터가 사용되며, 한편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부하(62)가 스텝 모터의 권선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스텝 모터의 권선에 있어서는 각 상에 대해 장치(12)가 설치되며 장치(12)는 각각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와 결합되어 있다.
구동소자는 구동소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스위치 소자(30, 34, 36)의 각각에 할당되면, 스위치 소자의 제어 접속부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라인(64)은 구동 소자(66)를 스위치 소자(30)와 결합시키고, 라인(68)은 구동 소자(70)를 스위치 소자(34)와 결합시키고, 라인(72)은 구동 소자(74)를 스위치 소자(32)와 결합시키고, 라인(76)은 구동 소자(78)를 스위치 소자(36)와 결합시킨다. 이하에서 구동소자의 구조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스위치 소자로서 소위 전류 검지 MOSFET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출력을 구비하며, 이 출력을 통해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된다. 이 출력 라인은 각각의 스위치 소자에 부속된 구동 소자에 결합되어 있다. 측정 라인(84)이 스위치 소자(30)로부터 구동 소자(66)에, 측정 라인(88)이 스위치 소자(32)로부터 구동 소자(74)에, 측정 라인(92)이 스위치 소자(34)로부터 구동 소자 (70)에, 측정 라인(96)이 스위치 소자(36)로부터 구동 소자(78)에 공급되어 있다.
제1도에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소자에는 각각에 부속된 스위치 소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다른 입력 라인이 공급되어 있다. 구동 소자(66)는 라인(98)을 통해 장치(12)의 입력 El과 결합되어 있다. 또한, 라인(110)은 장치 (12)의 입력 El부터 내지는 라인(98)으로부터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인버터를 통해 구동 소자(70)에 결합되어 있다. 라인(112)은 입력 E2부터 구동 소자(74)에 결합되고, 한편 라인(114)은 동일 입력으로부터 내지는 라인(112)으로부터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인버터를 통해 구동 소자(78)에 결합되어 있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스위치 소자(30 및 36)는 El과 결합되며, 스위치 소자(32 및 34)는 E2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구동 소자(66)는 라인(100)을 통해 장치(12)의 입력 Dl과 결합되어 있다. 동일하게, 입력 Dl은, 경우에 따라, 라인(100)을 통해 다른 구동 소자(70, 74 및 78)와 결합되며, 이것이 제1도에서 동일 부호로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마이크로컴퓨터(11)가 설치되며, 제2 마이크로컴퓨터(11)는 장치(12)의 입력 D2를 통해 입력 Dl과 동일하게 장치(12)의 소자와 결합되어 있다[라인(101) 참조]. 마이크로컴퓨터는 신뢰성의 이유로 출력단을 스위치 오프 및 재스위치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컴퓨터(11)는 출력단을 제어하지 않고 여기서는 가솔린 분사 및/또는 점화를 제어하는 컴퓨터로서 사용된다. 입력 Dl 및 D2의 입력 신호는 장치(12) 내에서 논리적으로 OR 결합되어 있다.
모니터 유닛(30)은 장치(12)의 다른 구성 부품을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구동 소자와 다중 결합되며, 이 다중 결합은 제1도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간단히 도시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라인(102)(FF)을 통해 모니터 유닛(80)과 구동 소자가 결합되어 있다. 라인 (102)을 통해 라인(103)이 장치(12)의 출력 FF에 결합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결합 라인(104)(FF2)을 통해 모니터 유닛(80)은 모든 구동 소자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라인(118)(I1), 라인(119)(I2), 라인(1010)(I3), 라인(1012)(I4)을 통해 모니터 유닛(80)은 구동 소자(66, 70, 74, 78)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모니터 유닛(80)에 라인(106)이 공급되어 있다. 라인(106)을 통해 모니터 유닛(80)은 유닛(1014)과 결합되며, 유닛(1014)은 유닛(80)의 구성 부분이어도 좋고 또한 다른 에러 모니터를 구성하고 있다. 유닛(1014)에는 라인(107)을 통해 동작 전압의 측정값이, 라인(108)을 통해 장치(12)(칩, 기판)의 온도 측정값이, 라인(109)을 통해 기준 전압의 측정값이, 또한 라인(111)을 통해 스위치 소자(30 및 32)의 충전 펌프의 전압 측정값이 공급된다. 비교 소자(1016, 1018, 1020, 1022)에 있어서 이들의 값이 상한 및/또는 하한과 비교되며, 그들 각각의 출력 신호는 OR 결합되어 있다[게이트(1024)]. 게이트(1024)의 출력 라인은 라인(106)이다.
라인(120 및 122)을 통해 모니터 유닛(80)에 입력 El 및 E2가 결합되며, 또한 유닛(80)에는 입력 Dl 및 D2가 결합되어 있다[라인(100, 101)].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기본 기능을 이하에서 내연 기관의 드로틀 플랩 (throttle flap)을 제어하는 전자식 엔진 출력 제어 장치의 바람직한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모터(62) 내지 권선(62)을 구비한 스텝 모터가 드로틀 플랩과 결합되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10)는, 마이크로컴퓨터(10)에 입력 라인(14 내지 16)을 통해 측정 장치(18 내지 20)로부터 공급되는 가속 페달 위치, 엔진 회전 속도, 엔진 온도 등의 운전 변수에 근거한 장치의 구동 신호를 발생하고, 구동 신호는 라인(22 및 24)을 통해 펄스 폭 변조된 펄스 신호의 형상으로 공급된다. 구동 신호의 목표치는 마이크로컴퓨터(11)로부터 공급해도 좋다. 이 구동 신호는 컴퓨터 (10)에 의해 위치 제어의 범위 내에서 조절된다.
이 경우 구동 신호는 서로 반전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El에 존재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치 소자(30)가 단락되거나 스위치 소자(34)는 인버터에 의해 개방되며, 또한 그 역도 행해진다. 동일하게 입력 E2에 존재하는 신호에 의해 동시에 스위치 소자(32)는 개방되고, 인버터에 의해 스위치 소자(36)는 단락된다. 이것에 의해 급속한 전류의 형성 및 스위치오프, 따라서 모터의 정확한 위치 결정이 가능해진다.
정상 운전에 대해서는 장치(12)의 작동 상태가 이하와 같이 형성된다.
X(임의), 0, 1(논리 레벨), E(스위치 단락) A(스위치 개방)
본 발명에 의한 장치(12)의 보호 및 모니터링의 방법을 이하에서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모니터 유닛(80) 및 조작 소자(66)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제2도에서, 제1도와 동일한 소자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주목해야 할 점은, 조작 소자(66)의 구성은,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제2도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조작 소자(70, 74 및 78)의 구성에 대응한다는 점이다.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동일하게 제2도에는 입력 E2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것은 스위치 소자(30)와의 관계에 있어서 입력 E2가 어떠한 기능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위치 소자(32 및 34)에 대해서는, 입력 El 대신에 그것에 대응하여 입력 E2가 삽입되어야 한다.
스위치 소자(30)는,제2도에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200)로 이루어지며, MOS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200)의 게이트 접속부가 라인(64)과 결합되며, 또한 그 소스 내지 드레인 접속부는 라인(38 내지 44)과 결합되어 있다. 측정 소자(82) 내에서 전류 IT가 트랜지스터에 의해 예를 들어 저항을 갖는 구성 소자에 의해 측정되어 라인(84)을 통해 조작 소자(66)에 공급된다. 대체 실시예로서 소위 「전류 검지 MOSFET」가 트랜지스터로서 사용되어도 유리하며, 이 트랜지스터는 전류 측정 전지를 갖고 있다.
이 경우, 조작 소자(66)는 본질적으로 3개의 소자로 이루어지며, 즉 논리 회로(202), 전류 제한 부분과, 필요한 경우 충전 펌프를 갖는 조작 회로(204) 및 비교기(206)로 이루어져 있다, 본질적으로 AND 게이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논리 회로 (202)에는, 라인(98)을 통해 입력 El이 공급되며, 라인(100)을 통해 OR 게이트(201)내에 집합된 입력 Dl 및 D2가 공급되며, 라인(102 및 104)을 통해 모니터 유닛(80)이 결합되며 비교기(206)의 출력 라인(208)이 결합된다. 라인(210)을통해 논리 회로(202)가 조작 회로(204)와 결합되며, 조작 회로(204)에는 또한 비교기(206)와 동일하게 라인(84)이 공급되어 있다. 조작 회로(204)의 출력 라인은 라인(64)을 형성하고, 라인(64)을 통해 조작 소자(65)와 스위치 소자(30)가 결합되어 있다. 비교기(206)의 출력 라인은 라인(208)을 통해 논리 회로(202)에 결합되고 또한 라인(118)을 통해 모니터 유닛에도 결합되어 있다.
모니터 유닛은 다음의 구성 소자, 즉 업/다운 카운트 수단(에러 카운트)(212) 및 본질적으로 OR 게이트로서 구성되어 있는 논리 회로(214)로 이루어져 있다.
카운트 수단(212)에는 라인(120)이 입력 El 내지 라인(98)으로부터, 라인(116)이 입력 Dl/D2 내지 라인(100)으로부터, 라인(222)이 논리 회로(214)로부터 공급된다. 카운트 수단(212) 내지 모니터 유닛(80)의 출력 라인은 라인(102)을 형성하고, 라인(102)은 구동 소자(66) 중의 논리 회로(202)에 공급되어 있다. 라인(103)은 라인(102)부터 장치(12)의 출력 FF에 결합되어 있다.
논리 회로(214)에는 라인(114)이 구동 소자(66)로부터 공급되며, 또한 라인 (119, 1010 및 1012)이 각각 구동 소자(70, 74 내지 78)로부터 공급된다.
라인(106)은 라인(104)으로서 모니터 유닛(80)으로부터 구동 소자(66)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도에서 도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는 스위치 소자(30)와 조작 소자(66)의 결합만을 도시하고 있다. 완전히 도시한 경우, 라인(100, 102 및 104)은 조작 소자(66)만이 아니라 다른 조작 소자(70, 74 및 78)에도 공급된다. 또한 모니터 유닛(80)에는,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 El 내지 라인(98)으로부터의 라인(120) 이외에 라인(122)이 입력 E2 내지 라인(l12/114)으로부터 공급된다. 이들 라인은, 부하(62)의 정방향 및 부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때에 에러 상태를 동시 평가하기 위해, 예를 들어 라인(120)과의 OR 결합을 통해 카운트 수단(212)에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제2도에서 도시된 기능을 에러가 없는 조작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마이크로컴퓨터(10)는 서로 반전된 펄스 형상의 구동 신호를 발생하고, 펄스형상의 구동 신호는 어떤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의 신호로부터의 반전에 의해 형성되며, 또한 컴퓨터(10)는 이들의 신호를 라인(22 및 24)으로부터 장치(12)의 입력 El 및 E2에 공급한다. 에러가 없는 조작의 경우, 논리 회로(202)에 존재하는 신호는, 라인(98)을 통해 조작 소자(66)에 공급된 펄스 변조 입력 신호가 라인(210)에 다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회로(204)에서 라인(210)을 통해 공급된 펄스 폭 변조 출력 신호가 트랜지스터를 제어하기 위해 처리된다. 예를 들면, 회로(204)는 전압 상승 회로(충전 펌프)를 포함하며, 전압 상승 회로는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온 오프를 확실히 행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는 펄스 폭 변조 구동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스위칭 온오프된다. 이것에 대해 반전 및 동기하여 스위치 소자(34)는 개폐된다. 입력 E2에 있어서의 입력 신호에 의해, 스위치 소자(32 및 36)는 상기와 같이 활성화되며, 이것에 의해 부하(62) 내를 펄스 폭 변조 신호의 펄스 폭으로 평균된 전류가 흘러 이러한 전류에 의해 위치 결정이 실행된다.
조작 중에 각각의 에러 종류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단락 또는 준단락 에러상태는 특히 위험하며, 이들은 예를 들면 부하(62) 내의 단락, 또는 부하(62)에 결합되는 라인의 접지 또는 작동 전압의 단락으로서 발생하는 일이 있다. 또한, 작동 전압이 소정의 최소치를 밑도는 경우 또는 작동 전압 및 기준 전압이 최대치를 초과한 경우에, 부하의 부정거동(不定擧動; undefined behavior)이 발생하는 일이 있다. 더우기, 장치(12)에 열 부하가 걸린 경우에 희망하지 않은 조작 상태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상기 에러 종류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12) 내에 보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단락 보호의 출발점은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의 측정이다. 이 경우, 각 스위치 소자에 전류 측정 소자, 예를 들어 제2도에 있어서의 측정 소자(8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측정된 전류는 조작 소자(204)에 공급되며 조작 소자(204)는 전류 제한 회로를 가지며(예를 들어 다이오드에 의해 형성됨), 이 전류 제한 소자는 소정의 최대치 ITmax로 전류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구동 신호에 영향을 준다. 이 수단은 2 내지 4 마이크로초의 범위 내에서 급속한 제한을 행한다. 또한 전류 측정치가 비교기(206)에 공급되어 비교기(206)는 전류를 소정의 최대치와 비교한다. 전류가 이 최대치를 초과한 경우 내지는 전류가 이 최대치와 동일한 경우(전류 제한), 비교기(206)는 그 출력에 있어서 신호 레벨을 변화시킨다. 이것에 의해 논리 회로(202)는 라인(98)을 통해 공급된 구동 신호가 라인(210)에 도달하는 것을 저지한다.
그 후, 비교기(206)에 의해 라인(118) 및 논리 회로(214)를 통해 에러 카운터가 1만큼 증가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동의 지연 스위치 부분은 논리 회로(202)를 통해 트랜지스터를 스위치 오프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류 제한 회로와 비교기의 최대치는 다르게 되어 있으며, 이 경우 비교기의 최대치는 전류 제한 회로의 최대치보다 작다.
트랜지스터를 스위칭오프시킴에 의해 트랜지스터 내를 흐르는 전류는 저하되어, 비교기의 출력 신호는 그 레벨을 다시 변경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라인(98)을 통해 논리 회로(202)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의 다음 펄스에 의해 트랜지스터를 다시 스위칭온시키는 시도가 행해진다. 스위치온이 계속해서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실시 예에 의해 트랜지스터는 다시 스위치오프되어 카운터(212)는 1만큼 증가된다. 에러 카운터가 소정의 값, 예를 들어, 10에 도달한 때, 에러 카운터는 그 출력 라인(102) 상의 레벨을 변경하고, 이것에 의해 한쪽에서는 트랜지스터가 논리 회로(202)를 통해 계속해서 스위치오프되는데, 즉 입력 신호의 펄스는 스위치 소자를 다시 스위치온하는 시도를 하지 않게 되고, 다른쪽에서는 출력 라인(103 및 28)을 통해 에러 메시지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송된다. 이 경우, 라인(102)을 통해 스위치 소자(30)만이 아니고 모든 스위치 소자가 스위치오프되지만, 한편 비교기(206)의 출력 신호는 이 비교기에 부속된 스위치 소자의 스위치오프에만 작용한다.
요약하자면, 전류가 Imax를 초과한 후에, 트랜지스터에 우선 전류 제한이 작동되며, 다음에 조작 신호 El 또는 E2와 전류 비교기의 결합에 의해 에러 카운터가 셋트된다고 말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를 스위치 오프할 때에 에러가 이미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검출되면, 에러 카운터(212)는 이 카운터 상태가 0 이상인 경우, 라인(120)을 통해 구동 신호의 펄스에 의해 1만큼 저감된다. 이것에 의해, 장시간에 걸쳐 희망하지 않는 「개개의 단락」의 가산이 장치(12)의 스위치오프를 위해 행해지는 것이 저지된다.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트랜지스터가 다음의 재스위치온을 시도한 때 에러가 이미 존재하지 않고 카운터 상태가 0 이상인 경우, 에러 카운터는 저감된다.
논리 회로(214)에 전 브릿지 출력단의 다른 스위치 소자의 비교기 출력 라인 (119, 1010 및 1012)이 공급된다. 논리 회로(214)는 본질적으로 논리 OR 기능을 나타내므로, 어느 하나의 트랜지스터상에서의 개개의 에러는 에러 카운터(212)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것은, 에러 카운터에 있어서 스위치 소자의 에러 상태가 가산되는 것, 즉 4개의 스위치 소자의 각각이 단락하는 경우에 에러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부하의 범위 내에서 위험한 에러 상태가 매우 급속히 응답되며 더우기 개개의 에러에 있어서의 사용도가 제한되는 일이 없으므로 조작의 신뢰성을 현저히 개선시킨다.
출력단의 재스위칭온은 입력 Dl 또는 D2를 통해서만 가능하며, 출력단은 마이크로컴퓨터(10) 또는 마이크로컴퓨터(11)에 의한 대응 블랭크(flank) 교환에 의해 에러 카운터를 저감하고 논리 회로(202)를 재가동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컴퓨터가 출력 FF을 통해 공급되는 에러 정보를 평가하고 다음에 소정의 기준에 따라 장치(12)가 재스위칭온되어야 하는지 아닌지를 결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방해 방사와 같은 단시간의 장해가 전체의 출력단을 스위치오프하지 않는다라는 이점을 갖고 있다.
전자식 드로틀 플랩 제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약 15 내지 25 KHz의 주파수로 출력단이 구동되며, 이것에 의해 펄스 폭 변조 신호의 온/오프를 매우 짧은 시간에 행할 수 있다. 제안된 단락 보호의 방법은 이 경우에 대해서도 적합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예를 들어, 부하(62)의 접지와의 단락과 같은 구동시에만 발생하는 단락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보호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라인(108)을 통해 유닛(1014)에 장치(12)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신호가 공급된다. 이 과열 보호는, 상기 보호 기구가 응답할 수 없도록 펄스 폭 변조 신호가 스위치 소자(30)를 2 내지 5 마이크로초보다 작은 시간 범위 내에서 스위치 소자를 구동하는 에러의 경우를 커버한다. 따라서, 스위치 회로(1022) 내에 라인(108)을 통해 공급된 온도 신호를 임계치와 비교하고, 이것에 의해 최대 온도의 경우에 대응하는 신호 교환이 행해지며, 이 신호 교환은 게이트(1024), 라인(106) 및 라인(104)을 통해 논리 회로(202)를 스위치오프하고 스위치 소자(30) 및 다른 4개의 스위치 소자를 스위치오프시킨다.
작동 전압이 소정의 범위 외에 있는 때에 장치의 조작을 저지시키기 위해,라인(107)을 통해 작동 전압이 스위치 회로(1016)에 공급되며, 스위치 회로(1016)는 작동 전압을 최소 임계치 내지 최대 임계치와 비교한다. 이들 임계치 중 어느 하나를 밑돌거나 또는 초과 한 때에, 게이트(1024), 라인(106) 및 라인(104)을 통해 출력단의 스위치오프가 행해지며, 즉 스위치 소자(30) 및 다른 3개의 스위치 소자의 구동 스위치오프가 행해진다.
이 경우, 유리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과대 온도의 경우 또는 전압이 임계치를 밑돌거나 초과하는 경우, 에러 카운터가 소정치로 셋트되며 이 값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전달되어 출력단을 재스위칭온하기 위한 근거를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마이크로 컴퓨터는 예를 들어, 과대 온도의 경우에 소정 시간 경과 후 출력단을 재스위칭온한다.
이들 3개의 보호 기구는 개개로 결합시켜도 또는 상기 단락 보호와 결합시켜도 좋다. 또한 동일하게 충전 펌프의 전압 및 논리 기준 전압을 평가하여도 좋다.
집적 구성 소자는 전동기를 구동하는 전 브릿지 출력단에 대해 특히 유리하며, 집적 구성 소자는 마이크로컴퓨터와 결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입력 E1 및 E2와 Dl 또는 D2 및 출력 FF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기구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인(28) 상에 에러 정보가 전달되도록 한 에러일 때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출력단으로의 전류 공급을 스위치오프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는 제2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4개의 스위치 소자에 대해 상기 제2 구동 원리가 사용되며, 이 경우, 입력 El에 있어서의 구동 신호에 의해 스위치 소자(30 및 36)가 활성화되며, 입력 E2의 구동 신호를 통해 스위치 소자(32 및 34)가 활성화된다. 이 경우, 펄스 형상 구동 신호는 입력 El 및 E2에서 서로 반전해도 좋다. 입력 El에 있어서의 입력 신호의 반전은 이 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컴퓨터(10) 내에서 행해도 또는 장치(12) 자신 내의 대응하는 장치에 의해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스위치 소자 (34)의 구동을 위한 입력 El으로부터의 신호의 상기 반전은 필요없다.
제3도에서, 제1 및 제2도와 동일한 부호로 도시한 소자는 제1 및 제2도에서 기재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또한 제3도에서, 스위치 소자 및 구동 소자는 도면을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개의 소자 내에 통합되어 있는 것을 첨가해둔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장치(12)의 입력 El으로부터의 입력 라인(300)은 구동 및 스위치 소자(33, 66)와, 구동 및 스위치 소자(36, 78)와 또한 모니터 유닛(80)에 결합되어 있다. 동일하게 입력 E2로부터의 입력 라인(302)은 구동 및 스위치 소자(32, 74)와, 구동 및 스위치 소자(74, 70)와 또한 모니터 유닛(80)에 결합되어 있다.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동/스위치 소자에는 에러 라인(102)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라인이 각 구동/스위치 소자로부터 모니터 유닛(80)에 공급되며, 라인은 소정의 최대치를 초과한 것을 지시한다. 이들은 제1도에서 도시된 라인(118, 119, 1010 및 1012)이다.
모니터 유닛(80)은, 입력 Dl 및 D2로부터의 입력 라인(100 및 101)과, 작동 전압이 소정의 제한치를 초과하거나 밑도는 경우를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되는 입력라인(107)과, 소정의 칩 온도를 초과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는 라인(108)과, 스위치 소자(30 및 32)의 충전 펌프의 전압이 소정치를 초과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는 라인과, 출력단의 논리 구성 부품에 공급되는 기준 전압이 소정의 한계치를 넘어선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공급되는 라인(109)을 갖고 있다.
제3도에서 도시한 모니터링에 대한 실시예의 원리는, 양쪽의 반(half) 브릿지[스위치 소자(30 및 36 내지 스위치 소자 32 및 34)]가 서로 별개로 모니터되는 것에 있다. 이 때문에, 라인(118 및 1012)이 모니터 유닛(80) 내에서 OR 게이트(304)에 공급되며, OR 게이트(304)의 출력 라인(306)은 한쪽에서 시한 소자(308)에, 다른 쪽에서 카운트 수단(312)의 업 입력(310)에 공급된다. 카운트 수단(312)의 다운 입력(314)에는 라인(300)이 입력 El으로부터 공급된다. 시한 소자(308)의 출력 라인(316) 및 카운트 수단(312)의 출력 라인(318)은 다른 OR 게이트(320)에 공급되며, OR 게이트(320)의 출력 라인(322)은 제3 OR 게이트(324)에 공급된다. OR 게이트(324)의 출력 라인은 D-플립 플롭(330)의 사이클 입력(328)에 결합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 반 브릿지[스위치 소자(32 및 34)]에 대해서는, 라인(1010) 및 라인(119)이 OR 게이트(332)에 결합되고, OR 게이트(332)의 출력 라인은 시한 소자(336) 및 카운트 수단(330)의 업 입력(338)에 결합되어 있다. 카운트 수단(340)의 다운 입력(342)에는 라인(302)이 입력 E2로부터 공급되어 있다. 시한 소자(336)의 출력 라인(344) 및 카운트 수단(340)의 출력 라인(346)은 OR 게이트(348)에 결합되며, OR 게이트(348)의 출력 라인(350)은 동일하게 OR 게이트(324)에 결합되어 있다. 플립 플롭(330)의 D 입력에는 라인(352)이 공급되며, 라인(352)은 논리 1에 결합되어 있다. 플립 플롭(330)의 출력 Q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 라인(354)은 NOR 게이트(356)에 결합되며, NOR 게이트(356)의 제2 입력 라인(356)은 다른 OR 게이트(360)로부터 공급되어 있다. OR 게이트(360)에서 입력 라인(100, 101, 107, 108, 109, 111)이 논리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라인(358)은 또한 플립 플롭(300) 및 카운트 수단(340 및 312)의 리셋트 입력에 결합되어 있다. NOR 게이트(356)의 출력 라인은 모니터 유닛(80)의 출력 라인(102)을 형성하고, 출력 라인(102)은 한쪽에서 구동/스위치 소자에, 다른쪽에서 장치(12)의 출력 FF에 공급되어 있다.
제3도에서 도시된 장치의 기능을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각 스위치 소자는 전류 검지 FET의 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 스위치 소자는 대응하는 구동 소자의 출력을 통해 내부의 소정의 최대 전류를 초과한 것을 전달한다. 이것에 의해 각 스위치 소자의 과전류가 모니터된다. 스위치 소자 내를 흐르는 전류가 소정의 최대치를 넘어서면, 대응하는 신호가 라인(118, 1012, 1010 또는 119)를 통해 모니터 유닛(80)에 전달되며, 모니터 유닛(80)에서 대응하는 OR 게이트(304, 332)를 통해, 한쪽에서 시한 소자(308 또는 336)를 스타트시키기 위해, 다른쪽에서 카운트 수단(312 또는 340)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급된다. 이 때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가 구동 소자에서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치로 제한된다. 각 반 브릿지에서 1개의 시한 소자 및 1개의 카운트 수단만이 부속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며, 이것에 의해 반 브릿지의 스위치 소자 내의 과전류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해서 에러 모니터에 공급된다. 시한 소자(308 또는 336)는, 반 브릿지의 스위치 소자 중 어느 것이 또는 양쪽의 스위치 소자의 과전류 신호가 그 시간적인 합에서 소정치 예를 들면 50 마이크로초를 초과한 때에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이 출력 신호는 라인(316 또는 344)과, OR 게이트(320 또는 348)과, 라인(322 또는 350)과, OR 게이트(324)와, 라인(326)을 통해 에러 플립 플롭(330)의 사이클 입력(328)에 공급된다. 거기서 입력(328)에 있어서의 레벨 교환에 의해 출력 Q에서 레벨 교환이 발생되며, 이것이 라인(354) 및 NOR 게이트(355)를 통해 레벨 교환을 위해, 따라서 에러 플레그 FF의 셋트를 위해 출력 라인(102)에 공급된다. 에러 플래그 FF의 셋트는, 라인(102)을 통해 모든 스위치 소자를 스위치오프시키며 또한 라인(28)을 통해 에러 메시지를 마이크로컴퓨터(10)로 가져온다. 이 경우, 양쪽의 반 브릿지는 서로 교대로 평가되며, 이것에 의해 반 브릿지의 1개 스위치 소자, 반 브릿지의 양쪽 스위치 소자 또는 양쪽의 반 브릿지 내의 스위치 소자 중 어느 것이 에러 상태로 된 때에 에러가 검출가능하다. 따라서, 과전류 에러 상태는, 소정의 방법에 따라, 사이클 구동 신호의 계속 시간이 시한 소자(308 내지 336) 내의 소정의 계속 시간보다 큰 때에 검출되지만, 그 이유는, 사이클 구동 신호의 액티브 상태가 종료 후에, 대응하는 스위치 소자가 스위치오프되어 과전류 검출이 정지하기 때문이다. 이 조작 상태를 제어하기 위해, 카운트 수단(312 및 340)이 설치되며 카운트 수단(312 및 340)은 공지된 바와 같이 각각 검출된 과전류가 가산되며, 에러가 존재하지 않는 때에 각 구동 펄스 또는 구동 펄스의 소정수가 감산된다. 이 경우, 구동 주파수가 절반으로 되는 것은 유리하며, 이것에 의해 에러 카운터는 각각 2개의 주기마다 감산된다. 에러 카운터의 값이 대응하는 제한치를 초과한 때에, 카운트 수단은 그 출력 라인을 통해 대응하는 신호를 공급하고, 신호는 상기와 같이 에러 플래그 FF를 셋트시킨다.
에러 검출은 시한 소자를 통해 구동 신호와는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입력 E1 또는 E2에서, 상기 스위치 소자에 대해 스위치온 신호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또한 이 상태 동안 스위치온이 발생한 때.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출력단은 스위치오프되어 에러 플래그가 셋트된다. 이 경우, 집적 출력단은, 바람직하게는 50 마이크로초의 소정 시간 동안 출력단이 최대 전류로 제한된 전류에 견뎌내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모니터 수단 외에,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첫째로, 출력단은 입력 Dl 및 D2를 통해 스위치오프 가능하며 또한 라인(358)을 통해 에러 플래그 FF를 셋트가능하다. 둘째로, 에러의 경우에 라인 (100 또는 101)의 플랭크(flank) 전환이 카운터 및 플립 플롭(330)을 리셋트시켜, 이것에 의해 출력단을 기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작동 전압, 논리 기준 전압, 충전 펌프 전압 및 칩 온도가 소정의 한계치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모니터하는 다른 모니터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배터리 전압 UBat는 하한치 경우보다 상한치가 모니터된다. 이것은,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제3도에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비교 장치 내에서 행해진다. 배터리 전압 UBat는 하한치 경우보다 상한치가 모니터된다. 배터리 전압이 이 제한치를 밑돈 때, 라인(107) 상의 대응하는 신호에 의해 라인(358) 및 플립 플롭(330)의 리셋트 입력을 통해 에러 플래그 FF가 셋트된다. 동일하게, 논리 기준 전압 US는 하한치가 모니터된다. 기준 전압이 이 제한치를 밑돌면 라인(109) 상의 대응하는 신호에 의해 출력단은 스위치오프된다. 충전 펌프 전압의 하한치에 관한 모니터링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또한 작동 전압의 모니터링과 동일하게 특히 투입 과정에 있어서 큰 의의를 갖고 있다. 투입 과정 동안 작동 전압은 제한치 이하로 저하하고, 한편 충전 펌프 전압은 투입 후에 처음 0부터 상승하고, 이것에 의해 작동 전압도 또한 제한치 이하에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신호가 라인(107 및 109) 상에서 발생되며, 이것이 카운트 수단(312, 340) 및 플립 플롭(330)을 리셋트시킨다. 따라서, 출력단의 정상적인 출력 상태가 얻어진다. 다른 모니터링은 칩 온도에 관한 것이다. 칩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하면, 출력단은 상기와 같이 스위치오프된다.
상기 실시예 이외에 상기 개개의 모니터 수단은 바람직한 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한 소자의 모니터링 또는 에러 카운터의 모니터링만이 행해지는 출력단을 설치해도 좋으며, 또한 반 브릿지의 모니터링 또는 개개의 스위치 소자의 모니터링을 행하는 출력단을 제공해도 좋다. 또한 출력단을 외부 입력을 통해 작동 하지 않아도 좋고 또한 출력단의 조작 변수의 모니터링에 대해서 적절한 변수를 선택해도 좋다. 각 스위치 소자에 시한 소자 및/또는 에러 카운터를 설치해도 좋다.

Claims (16)

  1.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류가 통과할 수 있는 상기 부하에 유효하게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스위치소자;
    상기 부하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소자를 활성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수단;
    상기 스위치 소자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전류들에 제1 및 제2 소정값들을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스위치 소자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류들이 상기 소정값들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때를 결정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장치;
    상기 스위칭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상기 제1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를 최대값으로 제한하는 제한 수단; 및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소정 시간 주기동안 상기 제2 소정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소자를 스위치오프시키는 회로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조작 소자를 통해 상기 특정 스위치 소자에 공급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3.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류가 통과할 수 있는 상기 부하에 유효하게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
    상기 부하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소자를 활성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수단;
    상기 스위치 소자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전류에 소정값을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스위치 소자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류가 상기 소정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때를 결정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모니러링 디바이스;
    상기 스위치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를 최대값으로 제한하는 제한 수단; 및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소정 시간 주기동안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소자를 스위치오프시키는 회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신호는 조작 소자를 통해 상기 특정 스위치 소자에 공급되는 펄스 폭 변조 신호이며,
    상기 조작 소자는, 상기 특정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구동 신호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내부 전류 제한이 취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1씩 증가되는 카운팅 수단 및/또는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가 상기 최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개시되는 시한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스위치 소자는, 상기 스위치 소자의 에러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구동 신호의 다음 구동 펄스로 다시 스위치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에러 상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구동 펄스에 의해 1씩 감소되는 카운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수단값이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및/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에러 신호가 생성되어 상기 장치를 완전하게 스위치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과대 온도, 작동 전압 및/또는 논리 기준 전압의 저전압 내지 과전압에 대한 보호가 제공되고, 상기 스위치 소자를 구동하는 충전 펌프의 저전압에 대한 보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상기 장치를 다시 스위치 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각 반 브릿지(half bridge)에 시한 소자 및/또는 카운팅 수단이 할당되어진 전 브릿지 출력단(full bridge output stage)을 더 구비하고, 하나 또는 양쪽 스위치 소자에서 상기 최대 전류가 초과되는 경우에 에러가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11.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류가 통과할 수 있는 상기 부하에 유효하게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소자;
    상기 부하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상기 스위치 소자를 활성화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수단;
    상기 스위치 소자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전류에 소정값을 제공하는 수단, 및 상기 스위치 소자들을 통과하는 각각의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류가 상기 소정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때를 결정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장치의 기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상기 스위치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상기 소정값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를 최대값으로 제한하는 제한 수단; 및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소정 시간 주기동안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소자를 스위치오프시키는 회로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최대 전류를 초과하는 경우 에러가 검출되고, 리셋트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 수단에 의해 리셋트될 수 있는 에러 메모리에 상기 에러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12. 차량에서의 전기 모터의 조작 장치에 있어서,
    전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 브릿지 출력단;
    상기 출력단에 펄스 폭 변조된 펄스 형상의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상기 스위치 소자들내의 각각의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전류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전류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때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스위치 소자들 중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가 상기 소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를 제한하는 수단; 및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통과하는 상기 전류가 소정 기간 동안에 상기 최대 전류를 초과한 경우, 상기 출력단의 상기 하나의 스위치 소자를 스위치오프시키는 스위치오프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 장치는 구동 입력,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입력, 상기 전기 모터용 단자와 에러 데이터용 출력, 및 상기 마이크로컴퓨터에 결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집적 구성 소자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전기 모터의 조작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는 내연 엔진의 전력 제어 소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전기 모터의 조작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소자는 드로틀 플랩(throttle fla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전기 모터의 조작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소자는 분사 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전기 모터의 조작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스위치 소자는 상기 부하에 접속된 출력단을 정의하고, 상기 회로 수단은, 상기 스위치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는 상기 소정같이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초과되는 경우, 상기 출력단을 스위치오프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부하의 조작 장치.
KR1019960701092A 1993-09-04 1994-08-04 차량에있어서의부하의조작장치 KR100347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329919A DE4329919A1 (de) 1993-09-04 1993-09-04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Verbrauchers in einem Fahrzeug
DEP4329919.9 1993-09-04
PCT/DE1994/000903 WO1995007572A1 (de) 1993-09-04 1994-08-04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verbrauchers in einem 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396A KR960705396A (ko) 1996-10-09
KR100347681B1 true KR100347681B1 (ko) 2002-11-23

Family

ID=649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092A KR100347681B1 (ko) 1993-09-04 1994-08-04 차량에있어서의부하의조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23958A (ko)
EP (1) EP0716781B1 (ko)
JP (1) JP3501807B2 (ko)
KR (1) KR100347681B1 (ko)
DE (2) DE4329919A1 (ko)
WO (1) WO19950075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6806A1 (de) * 1995-07-13 1997-01-16 Siemens Ag Bordnetz mit Multiplexsteuerung für Kraftfahrzeuge
DE19534825A1 (de) * 1995-09-20 1997-03-27 Teves Gmbh Alfred Schaltungsanordnung zum Auswerten eines binären, durch Stromschwellenwerte definierten Signals
DE19621500B4 (de) * 1996-05-29 2008-05-2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m Ansteuern eines Verbrauchers
US5757596A (en) * 1997-01-21 1998-05-2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Motor control assembly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JPH10341524A (ja) * 1997-06-10 1998-12-22 Hitachi Ltd 車載用信号伝送装置と信号伝送方法及び車載用電力供給制御装置と電力制御方法及び車載ケーブル異常検出装置
DE19813471A1 (de) * 1998-03-26 1999-09-30 Grote & Hartmann Regel-, Steuer- und Sicher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 Leitungen und Anlagen in Kraftfahrzeugen
JP3684866B2 (ja) * 1998-10-16 2005-08-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導通,遮断制御装置
DE19927389A1 (de) * 1999-06-16 2000-12-28 Bosch Gmbh Robert Schaltung zum Detektieren eines unzulässig hohen Stromes in einer Endstufe
DE19927904A1 (de) * 1999-06-18 2001-01-0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Last
DE10061787A1 (de) * 2000-12-12 2002-06-13 Siemens Building Tech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Schrittmotoren
DE10062918A1 (de) * 2000-12-16 2002-06-20 Buhler Motor Gmbh Busgesteuerter Stellantrieb
DE10110046A1 (de) * 2001-03-02 2002-09-05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Ansteuern elektrischer Verbraucher in einem Kraftfahrzeug
US6559615B2 (en) * 2001-04-06 2003-05-06 Continental Teves, Inc. Failure resistant electric motor monitor and control system
US6819539B1 (en) 2001-08-20 2004-11-16 Cypress Semiconductor Corp. Method for circuit recovery from overstress conditions
DE10163153A1 (de) * 2001-12-20 2003-07-03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einen Mikrocontroller enthaltenden sicherheitskritischen Systems
US7142400B1 (en) * 2002-03-27 2006-11-28 Cypress Semiconducto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from power supply transient stress conditions
JP4082676B2 (ja) * 2003-05-29 2008-04-30 株式会社デンソー 漏電検出装置の検査システム
DE102004030129A1 (de) 2004-06-22 2006-01-19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Leistungsaufnahme einer an einem Gleichspannungsnetz betreibbaren Last
DE102005035418A1 (de) * 2005-07-28 2007-02-22 Robert Bosch Gmbh Steuerschaltung für eine Anordnung mit wenigstens zwei parallel an ein Gleichspannungsnetz anschließbaren Gleichstrommotoren
DE102005036769A1 (de) * 2005-08-04 2007-02-08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prüfen einer induktiven Last
DE102006032737A1 (de) * 2006-07-14 2008-01-17 Robert Bosch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Messung der Stromaufnahme eines durch Pulsweitenmodulation gesteuerten Gleichstrommotors
US20080151444A1 (en) * 2006-12-20 2008-06-26 John D Upt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against current overloads
US8078415B2 (en) * 2009-11-25 2011-1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to monitor state of health of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battery and generator
DE102016100671A1 (de) 2016-01-15 2017-07-2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urzschlussüberwachung einer Drehstromlas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52A (ko) * 1990-08-24 1992-03-28 강진구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모터의 과부하 보호 방식
KR920022662A (ko) * 1991-05-14 1992-12-19 존 쥐. 웨브 접지된 소오스/에미터 전력 스위칭 회로에서 의사(擬似)전류 제한 트리거동작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9482A1 (de) * 1981-03-12 1982-09-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Kurzschlussschutzvorrichtung fuer einen gleichstromsteller
US4528486A (en) * 1983-12-29 1985-07-09 The Boeing Company Controller for a brushless DC motor
DE3625091A1 (de) * 1986-07-24 1988-01-28 Bosch Gmbh Robert Endstufe in brueckenschaltung
JP2715473B2 (ja) * 1988-09-19 1998-02-18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のフエイルセイフ装置
DE3936484A1 (de) 1989-11-02 1991-05-08 Helmut Meier Steuerung fuer einen an nieder-gleichspannung betriebenen elektromotor
DE4030533A1 (de) * 1990-09-27 1992-04-02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r ueberwachung eines verbrauchers in verbindung mit einer brennkraftmaschine bzw. einem kraftfahrzeug
DE4038199A1 (de) 1990-11-30 1992-06-04 Brose Fahrzeugteile Schaltungsanordnung zur begrenzung transienter spannungs- und stromspitz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52A (ko) * 1990-08-24 1992-03-28 강진구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한 모터의 과부하 보호 방식
KR920022662A (ko) * 1991-05-14 1992-12-19 존 쥐. 웨브 접지된 소오스/에미터 전력 스위칭 회로에서 의사(擬似)전류 제한 트리거동작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23958A (en) 1998-03-03
DE4329919A1 (de) 1995-03-09
WO1995007572A1 (de) 1995-03-16
KR960705396A (ko) 1996-10-09
JP3501807B2 (ja) 2004-03-02
EP0716781A1 (de) 1996-06-19
EP0716781B1 (de) 1998-05-20
JPH09502338A (ja) 1997-03-04
DE59406043D1 (de)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7681B1 (ko) 차량에있어서의부하의조작장치
US7345383B2 (en) Abnormality detection apparatus for a power feed circuit
KR102155973B1 (ko) 하프-브릿지 드라이버 결함 진단 시스템 및 방법
JP4036901B2 (ja) 車内配電網用の制御装置
JP4295900B2 (ja) 排気ガスセンサ用ヒータ制御装置
KR100197913B1 (ko) 분리 입력 리셋 신호 레벨을 갖는 모스게이트된 보호 3핀 파워스위치
US7847702B2 (en) Power supply controller
US5895989A (en) Power supply unit and connector connection failure detection method
JP4267865B2 (ja) 負荷駆動装置
US7531920B2 (en) Driving circuit
JP4156668B2 (ja) 電気アクチュエータ駆動段を試験する方法および回路
JP2007134780A (ja) 自己診断機能を備えた負荷駆動装置
WO1989001255A1 (en) Self-protective fuel pump driver circuit
US5880918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he serviceability of a load
JP7443679B2 (ja) 半導体装置
EP0526219B1 (en) Ignition system and method
US9622304B2 (en) Load driving circuit
JP2001508638A (ja) 三相発電機の出力電圧の制御装置
US7088565B2 (en) Load drive control apparatus with performances of power-consumption reduction and overheat protection
EP0267194A1 (en) Fault protection apparatus
US5218339A (en)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consumer in combination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or a motor vehicle
KR101856694B1 (ko) 로우 사이드 구동 ic 고장진단 장치 및 방법
JPH09308261A (ja) 過電流保護回路
US5306990A (en) Electric motor control apparatus including an output stage protected against malfunction and damage
KR20050071501A (ko) 전기 드라이브의 과전류 검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