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948B1 - 안테나어래이를사용하는기지국의편파다이버시티용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어래이를사용하는기지국의편파다이버시티용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948B1
KR100340948B1 KR1019970708045A KR19970708045A KR100340948B1 KR 100340948 B1 KR100340948 B1 KR 100340948B1 KR 1019970708045 A KR1019970708045 A KR 1019970708045A KR 19970708045 A KR19970708045 A KR 19970708045A KR 100340948 B1 KR100340948 B1 KR 100340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ation
signal
antenna
receiving
antenna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8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4703A (ko
Inventor
윌킨손 덴트 펄
Original Assignee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에릭슨 인크.
Publication of KR199900147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7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10Polarisation diversity; Directional diver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8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the units being spaced along or adjacent to a rectilinear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4Combinations of antenna units polaris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circularly and elliptically polarised waves or waves linearly polarised in any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8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 H01Q9/043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radiating a circular polarised wave using two feed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기지국은, 제1 및 제2 회전 편파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와,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되어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토대로 해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이동국으로부터 각 제1 및 제2 수신신호를 처리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신 및 수신안테나 소자간의 편파 격리는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이동시키는 기판 상에 실장된 제2 편파용 제1 다수의 송신안테나 소자를 가짐으로써 또한 구비된다.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제 2 수신안테나 소자를 이동시키는 기판 상에서 제2 다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이동국에서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을 이루기 위해, 기지국은 교대로 동작하는 제1 및 2회전 편파에서 신호를 교대로 송신하는 교대 편파 송신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태양이 또한 개시된다.

Description

안테나 어레이를 사용하는 기지국의 편파 다이버시티용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olarization Diversity in Base Station Using Antenna Arrays}
일반적으로 셀룰러 통신 시스템은 다수의 이동 유니트 또는 가입자에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AMPS, ETACS, NMT-450, 및 NMT-900 등의 아날로그 셀룰러 시스템은 전세계에 걸쳐 성공적으로 배치되어 왔다. 더 최근에는, 북미 IS-54B 및 범유럽 GSM 시스템과 같은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시스템 등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1993년 MA Norwood, Artech House에 의해 출판된 Balston 등의 "셀룰러 무선 시스템"("Cellular Radio System")에 설명되어 있다.
주파수 재사용은, 주파수 그룹이 셀이라는 기지의 제한된 지리적 커버리지 범위의 영역에 사용하기 위해 할당되는 셀룰러 기술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동등의 주파수 그룹을 포함하는 셀은 지리적으로 분리되어 다른 셀의 이동 유니트 (mobile units)가 서로 간섭 없이 동일한 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수천의 가입자가 단지 수백의 주파수를 가지는 시스템에 의해 서비스될 수 있다. 미국에서, 예를 들어, 연방 당국은 채널로 불리는 협대역 주파수 쌍으로 다시 더 분할된 UHF 주파수 스펙트럼의 블록을 셀룰러 통신에 할당했다. 채널 쌍(pairing)은 주파수 듀플렉스(duplex) 장치로부터 발생되는데 여기서, 각 쌍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가 45 MHz로 오프셋(offset)된다. 현재 미국에서는 832개의 30-KHz 넓이의 무선 채널이 셀룰러 이동 통신에 할당되어 있다. 상기 아날로그 시스템의 용량 제한을 처리하기 위해 IS-54B라고 하는 디지털 송신 표준이 제공되고, 이러한 주파수 채널은 3개의 시간 슬롯(time slot)으로 다시 더 분할된다.
도 1에 예시했듯이, 종래의 셀룰러 통신 시스템(20)은 하나 이상의 이동국 또는 유니트(21)와, 하나 이상의 기지국(23) 및 이동 전화 교환실(MTSO)(25)을 포함한다. 3개의 셀(36)만이 도 1에 도시되었지만, 통상적인 셀룰러 망은 수백 개의 기지국, 수천 개의 이동국 및 하나 이상의 MTSO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셀에는 하나 이상의 전용 제어 채널 및 하나 이상의 음성 채널이 할당된다. 통상적인 셀이 예를 들어 하나의 제어 채널, 및 21개의 음성/데이터 채널, 또는 트래픽(traffic) 채널을 갖는다. 제어 채널은 셀 식별(cell identification) 및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를 위해 사용되는 전용 채널이다. 트래픽 채널은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전달한다.
MTSO(25)는 전체 셀룰러 망(20)의 중앙 좌표 소자(central coordinating element)이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셀룰러 프로세서(28), 셀룰러 스위치(29)를 포함하고 공중 전화망(PSTN)(30)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또한 제공한다. 셀룰러 망(20)을통해, 듀플렉스 무선 통신 링크(duplex radio communication link)(32)는 2개의 이동국(21)간에 또는 이동국(21) 및 지상선 전화 사용자(landline telephone)(33)간에 이루어진다. 기지국(23)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이동국(21)과 무선 통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지국(23)은 데이터 및 음성 신호에 대해 주로 중계국(relay station)으로서 기능한다. 기지국(23)은 또한 링크(32)의 품질을 감독하고 이동국 (2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 강도(signal strength)를 모니터 한다.
종래와 같은 통상적인 기지국(23)이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에릭슨 텔레콤 AB(Ericsson Telecom AB, Stockholm, RBS 882)에 의해 제조된 CMS 8800 셀룰러 이동 전화 시스템용 모델 번호 RBS 882의 기능적인 요소를 나타낸다. 상기 아날로그 셀룰러 망에 대한 충분한 설명은 에릭슨 텔레콤에 의해 발간된 공보 번호 EN/LZT 101에 나타나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많은 간선 도로에서 볼 수 있듯이, 기지국(23)은 제어 유니트(34) 및 안테나 타워(35)를 포함한다. 제어 유니트(34)는 기지국 전자 장치로 이루어지고 대개 타워(tower)의 베이스(base)에서 또는 베이스 가까이에서 보호 울타리(ruggedized enclosure)내에 위치된다. 무선 제어 그룹(37) 또는 RCG, AC 그리드 (grid)로부터의 전력을 기지국(23)내의 개별적인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변환하는 교환 무선 인터페이스(ERI) 및 주 전력 공급기(41), 및 백업 전력 공급기 (42)가 상기 울타리 내에 있다.
ERI(38)는 MTSO(25)와 기지국(23)간에 신호를 제공한다. ERI(38)는 데이터를 RCG(37)로부터 수신하여 전용 MTSO-BS 링크(45)상의 MTSO(25)로 이동시킨다. 역방향에서, ERI(38)는 MTSO(2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국(21)으로의 연속 송신용 RCG(37)에 보낸다.
무선 제어 그룹(37)은 무선 통신을 행하는데 필요한 전자 장비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RCG(37)의 기능적인 블록 다이어그램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구성은 하나의 셀 또는 셀의 섹터(sector)를 서비스하기 위해 요구된 통상적인 구성처럼 하나의 제어 채널 송신/수신 모듈(TRM)(51), 다수의 음성 채널 TRMs(52), 하나의 신호 강도 수신기(53)를 나타낸다. 각 TRM(51, 52)는 각 송신기 (54), 수신기(55) 및 제어 유니트(57)를 포함한다. TRMs(51, 52)는 통상적으로 기민한 주파수(frequency agile)가 아니며 대신에 단지 하나의 지정된 채널 상에서 동작한다. ERI(38)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개별적인 제어 유니트(57)에 의해 수신된다. 음성 및 데이터 트래픽 신호는 분리된 인터페이스를 거쳐 ERI(38)로 보내진다.
제어 및 음성용 개별적인 송신기(54) 각각은 송신 결합기(transmit combiner)(58)에 연결된다. 송신 결합기는 동축 케이블(62)를 통해 모든 입력 신호를 송신 안테나(63)에 결합된 단일 출력으로 결합한다. 결합기(58)를 사용함으로서, 16 개까지의 송신기(54)가 공통 송신 안테나(63)에 통상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 전주(mast) 및 타워 상의 공간에 대해서 프리미엄 (premium)이 종종 있기 때문에 결합기(58)가 사용된다. 극단적인 경우에, 하나의 전주는 100개 이상의 무선 채널을 지지하도록 요구될 수도 있다.
수신측에서, 수신된 신호가 주파수에 따라 분리되고 각 TRMs(51, 52)에서 개별적인 수신기(55)로 통과되는 각 수신 결합기(66A, 66B)에 2개의 수신안테나(65)가 각각 결합된다. 2개의 수신안테나(65)는 타워에서 통상적으로 3 내지 5 미터 간격으로 떨어져 있어서 비상관 페이딩 패턴(uncorrelated fading pattern)을 가지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서 공간 다이버시티 수신(space diversity reception)을 제공한다. 사전-검출(predetection) 및 사후-검출(post-detection) 다이버시티에 대한 많은 선행 기술이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1992년 맥그로힐 발행, 윌리엄 C. Y. 리의 "Mobile Communication Engineering" 제 10장에 나타나 있다.
통상적인 기지국(23)에 대한 하나의 가시적인 특징이 안테나 타워(35)이다. 합당한 커버리지 영역을 이루기 위해, 안테나(63, 65)는 지면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두도록 설치되는게 바람직하다. 또한 도 4a의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다시 참조하여, 시골 지역에서 타워(35)는 셀(36)의 중심에 일반적으로 위치되어 전방향성(omni-directional)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전방향성 셀에서, 제어 채널 (들) 및 능동 음성 채널(들)이 모든 셀 지역에서--보통 단일 안테나로부터 전송된다. 기지국(23)이 더 밀집하게 있는 곳에서, 종래 기술에서는 섹터화된 안테나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4b에 개략적인 다이어그램으로 도시되었다. 섹터화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4b에 예시된 것과 같이 120도 방사 패턴(radiation pattern)을 갖는 지향성 안테나(directional antenna)(70)가 필요하다. 각 섹터 (71)는 그 자신의 제어 채널(들) 및 트래픽 채널(들)을 갖는 셀 자체이다. "채널"이 아날로그 시스템의 특정한 캐리어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말하거나 또는 IS-54 및 GSM과 같은 하이브리드(hybrid) TDMA/FDMA 시스템에서 특정한 캐리어/슬롯 결합(carrier/slot combination)을 말하는 것이다.
도 5a는 상기한 종래 기술과 같은 통상적인 안테나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5b는 앞에서 언급되었던 종래 기술의 2가지 형태의 안테나를 나타내는데--다이폴 (dipole)(66)과 같은 전방향성 안테나와, 예를 들어 반사기(reflector)(64)를 더 포함하는 지향성 섹터 안테나(70)를 나타낸다. 송신 및 수신안테나는 주어진 기지국에서 통상적으로 동일한 형태이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스캐닝 위상 어레이 안테나(scanning phased array antenna)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93차 IEEE VTC 의사록, 93 내지 96면, Stapleton 등의 "A Cellular Base Phased Arrays Antenna System"에서는 360도 스캐닝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단극 방사 요소(monopole radiating element)의 원형 어레이(circular array)가 설명되어 있다. 공간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Stapleton의 안테나는 각 방사 소자가 셀에 할당된 모든 채널 상에 송신 퍼텐셜 potential)을 가지도록 설계된다.
수동 마이크로스트립 어레이는(passive microstrip aray)를 셀룰러 기지국으로써 사용하는 것이 현재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Huber+Suhner AG(Huber+Suhner AG of Herisau, Switzerland)에 의해 제조된 형식 번호 1309.41.0009는 셀룰러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형상화된 승강 빔(shaped elvation beam)을 갖는 7개 소자로 되고 선형적으로 편파된 편파 패널 수동 안테나 (polaeized flat panel passive antenna)이다. 상기 어레이는 통상적인 다이폴 안테나를 대체할 수 있고 빌딩의 측면 또는 다른 평평한 표면상에 위치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Huber+Shuner에 의해 발간된 응용 노트 20.3에서는, 신호 일부를 몇 개의 개별적인 패널로 전환시키는 전력 분할기(power-splitter)를 사용함으로서 광역 커버리지를 얻을 수 있음이 나타나 있다.
1972년 10월 미국, IEEE 의사록 제 COM-20호 제5호, ISSN 0090-6778, 제 912-923면, Lee 등의"Polarization Diversity System for Mobile Radio"에서는 기지국 안테나가 원하는 만큼 가까운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2-분기 (branch) 수신기 다이버시티 시스템이 논의되어 있다. 1985년 2월 5-7일, 핀랜드, 에스푸, 디지털 육상 이동 무선 통신 의사록, 제87-96면, Vaughan 등의 "Antenna Diversity for Mobile Communication"에서는 결합기를 갖는 다이버시티 안테나가 논의되어 있다. 영국 특허 출원 GB-A-2 221 820에서는 편파 다이버시티 무선 통신 시스템이 논의되어 있다.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수신안테나에서의 공간 다이버시티의 이론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분리가 항시 얻어질 수는 없다. 다시 말해서, 안테나 타워는 수신 신호에 대한 비상관 페이딩이 이루어지도록 수신안테나에 충분한 물리적 분리를 허용하지 않는다. 또한, 선형으로 편파된 이동 안테나의 배향(orientation)이 기지국에서 통상적으로 수직으로 편파된 수신안테나와 항시 정렬하지는 않는다. 또한, 이동국의 수신이 페이딩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셀룰러 통신 시스템의 기본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셀룰러 통신 기지국의 기능 구성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도 3은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기지국의 무선 제어 그룹의 기능 소자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블록 다이어그램.
도 4a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전-방향성 셀룰러 패턴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4b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섹터화된 셀룰러 패턴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a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통상적인 셀룰러 안테나 시스템을 예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5b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전-방향성 안테나 및 섹터 안테나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구성도.
도 7은 도 6에 따른 연장 기판 상에서 다수의 패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어레이 단면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안테나 어레이의 개략도.
도 9는 도 7에 따른 연장 기판(고정된)상에서 단일 패치 안테나 소자의 정면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따른 연장 기판 상에서 단일 패치 안테나 소자의 후면 사시도.
도 11은 도 6에 따른 각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 소자 어레이쌍의 평면도.
도 12는 도 6에 따른 각 송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안테나 소자 어레이쌍의 평면도.
상세한 배경 기술로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페이딩(fading) 및/또는 이동 안테나의 오배향(misorientation)의 관점에서, 이동국과의 통신을 개선할 수 있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은 제1 및 제2 편파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와, 이동국으로부터 각각의 제1 및 2 수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제1 및 2 안테나 어레이에 연결된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를 포함하여,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enhanced quality output receive signal)를 발생시키는 셀룰러 기지국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제 1 안테나 어레이는,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이동국으로부터 제1 편파를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어 제1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이동국으로부터 제1 편파와는 다른 제2 편파를 가지는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어 제2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안테나 실장 수단(mounting mean)은 제1 및 제2 수신 커버리자가 중복되게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를 실장하도록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실장 수단이 안테나 전주를 포함한다. 이와 달리, 실장 수단은 예를 들어 빌딩 벽과 같은 다른 지지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편파는 회전 편파(rotational polarizatio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편파는 우측 원형 편파(right-hand-circular polarization)이고, 제2 편파는 좌측 원형 편파(left-hand-circular polarization)이다. 이동국 안테나는 통상적으로 선형 편파를 가지나, 수평 및 수직 사이의 각도에서 배향될 수 있다. 따라서, 편파 다이버시티는 페이딩을 덜 받는 고도화 수신 신호를 제공한다.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는 제1 및 제2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는 신호 품질 결정 수단(signal quality determining means)과, 각 신호 대 잡음비를 근거로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가중시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가 발생되게 하는 가중 수단(weighting means)을 포함한다.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는 주파수 또는 시간 슬롯을 근거로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다수의 각 개별적인 채널로 분리하고,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각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는 개별적인 채널 각각을 처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송신 및 수신 안테나 소자간의 편파 격리 (polarization isolation)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제2 회전 편파를 송신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제1 송신 안테나 소자를 더 포함하여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로부터의 편파 격리를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제1 회전 편파를 송신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제2 송신안테나 소자를 더 포함하여 제 2수신안테나로부터의 편파 격리를 제공한다. 또한, 제1 안테나 어레이의 수신안테나 소자 중의 각각의 것과 제1 안테나 어레이의 송신 안테나 소자 중의 각각의 것은 공통 패치 안테나에 제공될 수 있다. 공통 패치 안테나는 하나의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편파를 갖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편파 다이버시티가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에서 이루어져서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gain)이 이동국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송신 상에서 편파 다이버시티는 수신상의 편파 다이버시티에 독립해서 또는 그 편파 다이버시티와 결합해서 사용된다. 이동국에서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기지국은 다수의 제1 및 제2 송신기 안테나 소자에 연결된 교대 편파 송신기(alternating polarization transmitter) 수단을 더 포함하는데 이 수단은 교대로 동작되는 제1 및 제2 회전 편파 각각에서 신호를 교대로 송신하기 위한 것이다. 기지국은 상기 교대 편파 송신기 수단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코드화되고 인터리브된 시분할 다중 액세스 신호(coded and interleaved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signal)를 발생하는 송신기 코딩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교대로 동작되는 제1 및 제2 회전 편파 각각에서 인터리브 코드화 신호(interleaved coded signal)를 송신하는 셀룰러 기지국과 통신하는 이동국은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이 안테나에 연결되어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디인터리브하고 디코딩 함으로서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을 이루게 하는 수신기 수단을 포함한다.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인터리브 코드화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신호이고, 여기서 수신기 수단은 TDMA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제1 송신안테나 소자 및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가지는 연장 기판(elogate substrate)을 포함한다.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와 유사하며 제1 안테나 어레이에 인접해서 실장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연장 기판 상에 다수의 송신 증폭기를 더 포함하고, 송신안테나 소자에 연결되어 능동 위상 어레이 안테나 (active phased array antenna)를 형성하게 된다. 환경 보호를 위해, 각각의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연장 기판을 둘러싸는 무선-투명 하우징(radio-transparent housing)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태양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셀룰러 기지국을 동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제1 편파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편파와는 다른 편파에서 이동국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다른 태양은 편파 격리를 얻는 동시에 이동국에서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인접하는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로부터 제2 편파를 송신함으로서 편파 격리를 제공하는 단계와, 인접하는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로부터 제1 편파를 송신함으로서 편파 격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이동국에서 고도화 수신 신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교대로 동작되는 제1 및 제2 편파 각각에서 신호를 교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다음에 더 충분하게 설명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원에서 설명된 실시예로 제한되도록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는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며,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게 되도록 제공된다. 동일한 도면 번호는 전체에 걸쳐 동일한 소자로 언급된다.
먼저 도 6에서,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하는 기지국(200)이 설명된다. 안테나 어레이는 원통형 패턴으로 구성되어 어떤 방향으로도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하게 해준다. 교대로 동작되는 제1(210a-d) 및 제2(212a-d) 안테나 어레이는 제1 및 제2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214)는 이동국으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각각 처리하는 제1(210) 및 제 2(212) 안테나 어레이 각각에 연결되어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각 안테나 어레이(210a-d 및 212a-d)로부터의 신호가 각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214)에 인가되기 전에 각 증폭기(216)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도시했듯이, 각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는 2개의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더 높은 정도의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은 2개 이상의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에서 각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로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1 안테나 어레이(210a-d) 각각은 제1 회전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어 제1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안테나 소자는 상기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원형 패치(patch) 안테나 소자(도 7 및 8에 예시했듯이) 또는 횡단다이폴(crossed dipole)이다. 또한, 상기 안테나 소자는 송신안테나 소자로서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안테나 어레이(212a-d) 각각은 제1 회전 편파와 다른 제2 회전 편파를 수신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어 제2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도 7 및 8에 예시했듯이)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소자는 송신안테나 소자로서도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시된 안테나 전주(218)와 같은 안테나 실장 수단이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를 실장하기 위해 제공되어 인접한 안테나 소자에 의해 형성된 인접한 수신 커버리지 영역은 겹쳐지게 된다.
단일 안테나 어레이(223)를 떼어낸 것이 도 7에서 예시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는 패치 안테나와 같은 다수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안테나 소자(224)를 포함한다. 패치 안테나 소자와 같은 안테나 소자(224)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연장 기판(226)상에서 제공되고, 상기 패치 안테나는 송신 및 수신 소자로서 겸해서 사용할 수 있다. 연장 기판은 도 8에 개략적으로 예시했듯이 입력 증폭기(228), 입력(230b) 또는 송신(230a) 필터, 출력 또는 수신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231), 및 출력(232b) 또는 수신 (232a) 필터와 같은 다른 소자도 제공한다. 도 7에 더 예시했듯이, 패치 안테나 (224)를 갖는 연장 기판(226)은 무선 투명관 하우징(radio transparent tubularhousing)(234)으로 둘러 싸진다. 실장 브래킷(mounting bracket)(236)은 안테나 어레이를 기지국 전주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케이블(220)은 안테나 어레이(223)를 각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했듯이, 각 안테나 소자(224)는 제1 결합선(239)을 포함하는 제1 결합 회로(238)에 의해 공통 수신 필터(232a) 및 저잡음 수신 증폭기 (231)에 결합된다. 결합선(241)을 포함하는 제2 결합 회로(240)는 송신 신호를 송신 전력 증폭기(228)에 분배한다.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송신 증폭기는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신호를 증폭하는 단일 반송 전력 증폭기(single carrier power amplifiers: SCPA's)이거나 합성된 몇 개의 다른 반송 주파수 신호를 증폭하는 다중-반송 전력 증폭기 (multi-carrier power amplifier's: MCPA's)일 수 있다. SCPA's가 사용되는 경우에, 신호는 단일 주파수상에서 단일 기본 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MCPA's가 사용되면, 여러 주파수상의 다중 신호는 각각의 방향으로 향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수신 방향에서 수신 저잡음 증폭기(231)는 항상 다중 주파수상에서 신호를 수신 및 증폭할 수 있다. 결합선(240)에 추가로, 제2 결합 회로는 동일시간 슬롯에서 여러 주파수상에서 동작하는 송신 서브어레이(subarray)를 제공하기 위해 송신 어레이를 동적으로 분할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증폭기(228)는 수신 주파수 대역을 겹쳐지게 하는 주파수에서, 수신 저잡음 증폭기(231)의 잡음 형태를 저하시키는데 충분한 레벨의 광대역 잡음 출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시한 것과 같은 송신(230a) 및 수신(232a)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수신 필터(232a)는 수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며 송신 주파수 신호를 감쇄시키기 위해 조정된 대역통과 필터(bandpass filer)인 반면에, 송신 필터 (230a) 또는 입력 필터(230b)는 수신 주파수에서 송신을 감쇄시키고 송신 주파수 대역을 통과시키는 노치(notch) 필터일 수 있다.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쉽게 이해될 수 있듯이, 지향성에 맞는 수신이 수신된 신호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한 방법이다. 수신된 신호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넓은 간격을 가진 안테나(공간 다이버시티)에서, 여러 주파수(주파수 다이버시티)상에서 또는 여러 시간(시간 다이버시티 또는 인터리브된 반복 코딩)에서 2개 이상의 독립적인 채널을 사용하는 다이버시티 수신(diversity reception)이 있다. 지향성 이득을 얻기 위해 여러 안테나 어레이 소자로부터 신호를 결합할 때와는 달리, 결합 신호 프로세서(joint signal procssor)에서 비상관 페이딩으로부터 곤란해진 소스로부터의 신호를 결합할 때는 상당한 다이버시티 이득이 이용 가능하다.
동일한 신호 페이딩을 겪는 2개의 서로 다른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통상적으로 결합하는 것은 대략 3dB의 이득을 발생시키는 반면에, 페이딩이 비상관 레일라리(uncorrelated Rayleigh)라면, 7dB정도의 이득이 얻어진다. 페이딩은 이동 전화상에서 단지 몇 인치(inch)만큼의 간격으로 떨어진 2개의 안테나 상에서 비상관될 수 있으나, 유감스럽게도, 기하 확대 효과(geometric magnification effect) 때문에, 기지국에서 요구되는 간격은 수백 배 더 커질 수 있다. 이동국에서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간격으로도 가능한데 왜냐하면 수십 또는 수백 야드(yard) 내의 목적물로부터의 반사에 의한 것과 같이, 이동국 근처의 근접 필드 클러터(near field clutter)로 인하여 페이딩을 야기하는 다중 경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방향에서, 상기 반사는 기지국에서 요구된 안테나 간격의 기하 확대로 인하여 기지국으로 수마일(mile)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서 인접한 안테나들 사이의 몇 피트의 간격은 공간 다이버시티를 통한 비상관 페이딩을 얻기에는 불충분하다.
다른 한편으로, 직교 편파(orthogonal polarization)의 안테나를 비교할 때 페이딩은 크게 비상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교대 안테나 어레이는 양호하게 직교로 편파된다. 예를 들어, 제1 안테나 어레이(210) 각각은 송신을 위해 우측-원형-편파(right-hand-circular-polarization: RHCP)를 사용하고 수신을 위해 좌측-원형-편파(left-hand-circular-polarization: LHCP)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직교 회전 편파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에, 제2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212)각각은 송신 및 수신을 위해 대향 편파(opposite polarization)를 사용한다. 따라서, 편파 격리는 송신 및 수신 신호를 격리하는 실시예로서 사용될 수 있다. 송신 경로가 단일 반송 능력만을 가질지라도 수신 경로는 다중 반송 능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그 수신된 신호는 비상관 페이딩을 나타내는 RHCP 및 LHCP 모두로 수신된다. 2개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신호를 처리할 때, 다이버시티 이득은 지향성 이득이 얻을 수 있는 것보다 큰 것을 얻게 되고 모든 안테나 어레이는 같은 수신 편파를 가진다.
도 7을 참고로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각 안테나 어레이는 길고 얇은 모듈 또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연장 기판(226)상에서 분리되게 제조된다. 패치 안테나과 같은 인쇄 회로 기판 안테나 소자는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모듈의 일부분으로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도 9 및 10에서 도시했듯이, 원형 패치 안테나 소자(224)는 2개의 피드점(feed point)(270 및 272)에서 피드되고, 2개의 피드점이 인쇄된 분기된 사각 커풀러 (branch-line quadrature coupler)(274)에 연결되어 대향 원형 또는 회전 편파의 2개의 피드점(270 및 272)을 제공한다. 접지 연결부(ground connection)(276)는 연장 기판(226)의 2개층 사이에 끼워져서 나타난 접지 평면(278)에 안테나 소자(224)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증폭기와 같은 능동 소자 및 필터와 같은 수동 소자는 연장 기판 상에 실장되거나 구성된다.
도 7에 예시했듯이, 각 안테나 어레이는 연장 기판(226)을 둘러싼 무선-투명관 하우징(234)을 포함한다. 찬 기후에서, 온도 센서 및 히터가 하우징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몇 개의 동일선 안테나 어레이(collinear antenna array)가 단일 안테나 마운트(mount)상에 실장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각 안테나 어레이는 수직 평면에서의 좁은 빔(narrow beam)뿐만 아니라 방위 평면(azimuthal angle)에서도 지향성을 제공하고, 어레이는 다른 방위 섹터를 커버하기 위해 배향될 수 있다. 이것은 동일한 높이지만 다른 방위 섹터를 향하는 다른 동일선 어레이를 안테나 전주 주위에 실장하거나, 또는 동일하거나 다른 방위 섹터를 향하는 2개 이상의 어레이를 서로의 주위에 실장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사실상, 어레이의 방위 설정은 어레이가 실장되는 곳에 무관하게 설정되나, 어레이는 나머지 안테나 어레이 또는 전주로부터 간섭이 없도록 지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국(200)은 도 6에 도시했듯이 원형 패턴으로 구성된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210a-d 및 212a-d)를 포함한다. 각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각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214)에 인가되기 전에 각 케이블(220)을 통해 각 증폭기(216)에 송신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손실은 전주머리(masthead) 전치증폭기를 도 7의 안테나 어셈블리로 집적함으로써 감소된다. 전주머리 전치증폭기는 각 케이블(220)에 앞서 이득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이해할 수 있듯이, 증폭기(211)의 분배 기능은 수동 분할기(splitter)가 대신해서 수행할 수 있다. 2개의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도시했듯이 각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인가된다. 따라서,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는 각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에 의해 향상될 수 있어 신호 페이딩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쌍 각각은 도 11에 예시했듯이 각 수신 커버리지 영역(242 및 244)을 형성한다. 수신 커버리지 영역(242 및 244)이 중복 영역(overlap area)(246)을 형성하도록 안테나 어레이는 전주(218)상에 실장된다. 따라서, 중복 영역(246)에 위치된 자동차의 셀룰러 무선전화(250)와 같은 이동국 (248)은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 모두에 의해 수신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중복 영역은 2개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는데 2개의 안테나 모두 중복 영역에서의 이동국으로부터 직교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며, 이것은 이중 편파 다이버시티(duar plarization diversity)로 알려져 있다.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알 수 있듯이, 더 높은 편파 다이버시티 레벨이 본 발명의 내용으로부터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3중 편파 다이버시티는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복 영역이 3개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의 커버리지 영역을 포함하며, 3중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는 3개의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더 높은 편파 다이버시티 레벨이 송신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미 언급했듯이, 제1 안테나 어레이(210)는 제1 회전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2 안테나 어레이(212)는 제2 회전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한다. 따라서, 제1 안테나 어레이(210)는 제1 회전 편파를 갖는 셀룰러 무선전화에 의해 송신된 신호의 일부에 응답해서 수신 신호를 발생한다. 대조적으로, 제2 안테나 어레이 (212)는 제2 회전 편파를 갖는 셀룰러 무선전화에 의해 송신된 신호의 일부에 응답해서 제2 수신 신호를 발생한다.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의 수신 신호간의 상기 편파 다이버시티는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214)의 동작을 허여한다.
다른 방법으로, 수신 전용 어레이를 구성시키거나 또는 송신 필터(230a) 대신에 듀플렉스 필터(duplexing filter)를 사용함으로써 편파 모두가 각 안테나 어레이에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경우에, 송신 신호에 대해서 직교하는 편파를 갖는 제1 수신 신호는 앞서와 같이 증폭기(231)에 들어간다. 또한, 제2 수신된 신호는 송신 경로로부터 분리되고, 여기서 제2 수신된 신호는 송신된 신호와 같은 편파를 갖는다. 증폭기(231)와 비슷한 분리 증폭기(separate amplifier)는 상기 여분의 수신 경로(extra receive path)용으로 추가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편파 모두는 다중 다이버시티 수신기(214)로 들어갈 수 있다.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214)는 주파수 및/또는 시간 슬롯을 근거로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다수의 각 개별적인 채널로 분리하고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토대로 해서 각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각 개별적인 채널을 처리하는 채널 분리기(channel separator)(252)와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는 채널 분리기(252)에 의해 발생된 각 채널에 대해 각 연관된 신호 쌍을 처리하는 채널 강화기(channel enhancer)(254)를 포함한다. 하나의 채널만이 다수의 안테나 어레이에 의해 수신되면, 채널 분리기(252)는 제거될 수 있고, 단일 채널 강화기(254)는 사용될 수 있다.
채널 강화기(254)는 제1 및 제2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는 신호 품질 결정 수단과, 그 각 신호 대 잡음비를 토대로 해서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가중시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는 가중 수단(weighting mean) 을 포함한다. 신호 대 잡음비의 결정 및 다이버스(diverse) 수신 신호의 가중된 처리에 대해서는 Backstrom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191,598호에 개시된다. 또한, Bottomley에 의한 미국 특허 제5,499,272호("Diversity Receiver for Signal With Multipath Time Dispersion")는 또다른 다이버시티 수신기 기술을 개시한다.
각 능동 안테나 어레이(223)는 도 8에 도시했듯이 송신 필터(230a)를 통해 개별적인 방사 송신안테나 소자(radiating transmit antenna element)(224)에 각기 결합된 다수의 RF 전력 송신 증폭기(228)를 포함한다. 안테나 소자(224)는 송신 및 수신 모두를 동시에 하기 위해 사용된다. 전력이 결합 회로(240) 등의 전력 분할망(power dividing network)을 경유해서 각 전력 증폭기(228)에 분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언급된 소자는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유리-수지(glass-epoxy) 인쇄 회로 보드 등의 실장 기판상에서 스트립라인 (stripline) 또는 마이크로스트립을 사용해서 제조된다. 결합 회로(240)와 같은 분할 수단은 다수의 입력과 입력 신호가 어느 증폭기(228)에 분배될 것인가를 선택하는 스위칭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송신 주파수에서 전체 어레이가 사용될 것인지 다중 주파수를 동시에 송신하기 위해 송신 서브어레이가 형성될 것인지를 각 시간 슬롯에 대해 결정하는 미리 프로그램된 제어 수단에 의해 스위칭 수단이 작동될 수 있다.
결합 회로(240)는 단일 입력으로부터의 RF 출력을 몇 개의 출력으로 분배하는 망이며, 윌킨슨 전력 분할기(Wilkinson power divider), 분기-가이드 (branch-guide) 또는 에지-결합 분할기(edge-coupled divider), 또는 잘 알려진 다른 전력 분할 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대해서는 Bahl 등의 책(Chapter 5 of Bahl, et al., Microwave Solid State Circuit Design, Wiley & Sons, 1988)에 설명되어 있다. 결합 회로(240)는 위상 코히어런트(phase coherent) 출력을 각 전력 송신 증폭기(228)에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입력 전력이 모든 전력 증폭기 (228) 입력 사이에 동등하게 분할되고 동위상으로 되며, 이것은 균일한 조도 (uniform illumination)로 알려져 있으며 대칭 방사 패턴(symmetrical radiation pattern)을 발생시킨다. 다른 방법으로, 기본 어레이 이론에 따라 방사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면 소전력 불균형(small power imbalance) 및/또는 위상 오프셋이 제공될수 있다. 위상 오프셋 및 전력 불균형에 대한 논의는 Brookner의 책 (Part 2 of Brookner, Practical Phased-Array Antenna Systems, Artech House, 1991)에서 찾을 수 있다. 어레이 이론을 토대로 한 다른 참고 문헌으로는 Skolnik의 책(Chapter 7 of Skolnik, Radar Handbook 2nd Ed., McGraw Hill, 1990)이 있다. 다른 방법으로, 결합 회로(240)의 스위치-선택된 분배 장치(switch-selected distribution arrangement)는 능동 집적 회로 마이크로웨이브 스위치 칩(active intergrated circuit microwave switch chip)을 사용할 수 있다.
각 필터(230a)의 출력은 수신안테나 소자로서도 동시에 동작하는 각 방사 송신안테나 소자(224)에 예시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안테나 소자는 1984년 맥그로힐, 존슨 등의 안테나 엔지니어링 핸드북 2 판, 7-1 내지 7-4면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형-편파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linearly-polarized microstrip patch antenna)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언급된 참고 문헌의 페이지 7-14 내지 7-16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원형 편파된 패치 안테나가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200)의 예시된 실시예에서, 안테나 어레이(210a-d 및 212a-d)는 동일하다. 각 안테나 어레이는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소자(224)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스트립라인 또는 마이크로스트립 기술을 사용해서 유리-에폭시 회로 보드로부터 구성된다. 안테나 소자(224)는 상술했듯이 다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방사기가 된다. 패치 안테나 소자(224)는 회전해서 편파된 패치 안테나 소자이다.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는 대향한 회전 편파인 좌측 원형 편파 및 우측 원형 편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안테나 소자(214)는 결합 회로(238)와 같은 결합망을 경유해서 공통 출력에 결합된다. 기본적으로 전력 분할 망의 역인 결합 망은 어레이 소자(214)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공통 출력에 코히어런트하게 결합시킨다. 앞서와 같이, 결합망은 빔 형성을 하거나 수직 사이드로브(sidelobe)를 감소시키고 전주에 매우 가까운 이동 기기에 원치않는 깊은 널(nulls)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상 오프셋 또는 테이퍼(tapered)된 결합을 도입한다.
결합망의 출력은 수신 필터(232a) 및 저잡음 증폭기(LNA)(231)에 예시적으로 결합된다. 전통적으로, 비슷한 LNA는 종래의 기지국의 RCG에 놓여있고, 따라서, 수신된 신호는 IFL케이블링을 통해 2-4dB의 송신 손실을 받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에 따라 LNA(231)를 수신안테나 어레이(223)에 위치시킴으로써, 증폭 이전의 손실이 감소되어 전체 시스템 잡음 형태에 유리하게 하고 사이트/셀(site/sell) 반경의 증가하거나 또는 배터리 수명이 증가되는 이동 전력 출력의 감소가 가능해 진다.
LNA(231)로부터 증폭된 수신 신호는 수신 필터(232a)에 의해 항시 제거되지 않는, 전력 송신 증폭기(228)에 의해 발생된 것과 같은 원치 않는 신호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또한 필터 된다. 그러므로 LNA(231)의 출력은 출력 필터(232b)와 같은 대역통과 필터에 결합된다. 대역통과 필터는 1998년, Wiley & Sons, Bahl 등의 마이크로웨이브 반도체 회로 디자인 제 6 장에 설명된 바와 같은 마이크로스트립 에지 결합 필터(microstrip edge coupled filter), 고-k값 세라믹 공진기 필터 (high-k ceramic resonator filter) 또는 SAW 필터이다. 시스템 대역폭 및 송신/수신 듀플렉스 간격(duplex spacing)에 따라서, 상기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저역-통과 또는 고역-통과 필터를 수용할 수도 있다.
송신 신호 및 수신 신호 모두는 인터퍼실리티 링크(interfacility link: IFL)와 같은 케이블(220)을 통해 안테나 어레이(223)로/로부터 결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IFL은 동축케이블 묶음과, 전력 송신 증폭기(228) 및 LNA(231)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했듯이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셀룰러 기지국을 동작시키는 방법도 포함한다. 기지국은 제1 편파에서 이동국(250)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고, 제1 편파와 다른 편파에서 이동국(250)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중복 영역(246)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위치된 2개의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는 제1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고, 나머지 안테나 어레이는 제2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한다. 기지국은 제1 및 2 수신 신호를 처리하여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한다.
종래의 120도 섹터 패턴과 비슷한 안테나 방위 방사 패턴은, 인접한 안테나 어레이의 인접한 커버리지 영역을 의도적으로 상당히 중복되게 하여 사용될 수 있다.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 처리는 적응형 어레이 처리(adaptive array processing)로 달리 볼 수 있으며, 요구되는 신호 수신을 증가시키고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PCT 출원 제W0 960473A호(PCT Application No. WO 960473A entitled "Interference Rejection Combining to Bottomley")에서 설명된 신호 대 간섭비를증가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신 신호는 다이버시티 수신기(214)에 의해 처리된다. 처리 단계는 제1 및 제2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각 신호 대 잡음비를 근거로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가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및 제2 수신 신호는 주파수를 근거로 해서 다수의 개별적인 채널로 각각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의 개별적인 채널은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각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처리될 수 있다.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안테나 어레이(210)를 형성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구성된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안테나 어레이(212)를 형성하고 소정의 패턴으로 구성된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인접한 제1 수신안테나(210) 어레이로부터 제2 편파를 송신하는 단계와, 인접한 제2 수신안테나 어레이(212)로부터 제1 편파를 송신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여 편파 격리를 제공한다. 사실상, 제1 안테나 어레이(210)는 제2 편파를 송신하는 동안 제1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안테나 어레이(212)는 제1 편파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는 동안 제2 회전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1의 다이버시티 수신기(214) 및 도 12의 송신 신호 코더(282)는 단일 기지국에서 실현될 수 있다.
신호는 각각의 제1 및 2 교대 편파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교대로 송신될 수 있어 고도화 수신 신호 품질을 구비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된 신호는코드화될 수 있고 시분할 다중 액세스 신호로 인터리빙(interleaving)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편파를 수신하는 단계는 우측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전 편파를 수신하는 단계는 좌측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가 동일한 영역을 커버하거나 충분히 중복되도록 배향되고, 도 12에서 도시했듯이, 각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는 중복 영역(246)에서 셀룰러 무선전화와 같은 이동국(280)을 동시에 커버할 수 있다. 안테나 어레이를 교대로 사용해서(이 때 나머지 안테나 어레이는 다른 편파를 가지는데), 연속 신호 세그먼트(예를 들어 TDMA 프레임)를 송신함으로써, 이동국에서 수신된 신호의 페이딩은 연속 세그먼트에서 대체로 비상관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을 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디코드된 신호가 상대적으로 높고 낮은 품질로써 수신되는 연속 세그먼트로부터 교대로 얻어지는 비트(bit)로 이루어지도록, 이동국에 대한 송신은 연속 세그먼트를 통해 코드된 데이터에 대해 인터리빙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디코더로의 평균 비트 품질은 모든 높은 품질이거나 모두 낮은 품질이 아니라 높은 확률의 에러 없는 디코딩을 충분히 보장한다. 상기 기술은 느린 신호 페이딩을 받는 고정(static) 또는 도보 속도 휴대 전화(walking speed hand held phone)와 통신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편파 교체는 느린 페이딩을 코딩 및 인터리빙에 의해 더 효과적으로 평균화되는 빠른 페이딩으로 효과적으로 변환한다.
도 12에 도시했듯이, 기지국은 각 인접하는 커버리지 영역(242 및 244)에 대해 송신하는 2개의 인접하는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를 포함한다. 안테나 어레이는 각 커버리지 영역이 중복 영역(246)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중복 영역(246)에서 휴대용 셀룰러 무선전화와 같은 이동국(280)은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은 중복 영역(246)에서 신호를 이동국(280)에 송신되도록 처리하는 송신 신호 코더(282)를 또한 포함한다. 송신 신호 코더는 교대로 동작하는 각각의 제 1 및 제2 회전 편파에서 인터리브되고 코드화되는 송신 신호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편파를 갖는 신호 부분이 안테나 어레이 중 하나에 일관되게 인가되고, 제2 회전 편파를 갖는 신호 부분은 다른 안테나 어레이에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무선 제어 그룹(37) 및 교환 무선 인터페이스(exchange radio interface)를 포함하는 도 2에 도시된 기지국 제어기는, 이동국에 송신하기 위해 하나 또는 나머지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될 것인지 또는 두 안테나 어레이 모두가 교대로 사용될 것인지를 각각의 이동-기지국 호출(mobile-base call)에 대해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은, 다이버시티 수신기(214)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2개의 편파에서, 또는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로부터의 송신이 바람직한지 또는 다른 것으로부터의 송신이 바람직한지에 따른 이동국으로부터의 피드백(feedback)에서 수신된 신호의 상대적인 기여를 근거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플래그 비트(flag bit)는 송신으로 코드될 수 있어 각 송신의 편파를 표시한다.
이동국(280)은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84)와, 안테나에 연결되고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디인터리빙하고 디코딩하여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을 실현하는 수신기(286)를 포함한다. 또한, 셀룰러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인터리브되고 코드화된 신호는 시분할 다중 접속(TDMA)신호로 될수 있고, 수신기는 TDMA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편파 플래그는 TDMA 버스트-바이-버스트로 포함한다면 수신된 각 버스트의 편파를 표시하도록 디코드될 수 있다.
도 12는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280) 및 셀룰러 기지국간에 통신하는 방법을 또한 예시한다. 신호는 각각의 교대로 동작하는 제1 및 2편파에서 기지국으로부터 교대로 송신된다. 송신 신호 코더(282)는 단일 송신 신호를 교대로 동작하는 편파를 갖는 신호로 분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교대로 동작하는 편파를 갖는 신호를 각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에 인가한다. 이동국 (280)은 교대로 동작하는 제1 및 2 편파를 수신하고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을 제공한다.
송신 신호 코더(282) 및 안테나 어레이(210 및 212)를 포함하는 기지국은 교대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편파에서의 송신을 위해 코드화되고 인터리브된 시분할 다중 액세스 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1 편파는 우측 원형 편파이고, 제2 편파는 좌측 원형 편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많은 변경 및 다른 실시예는 앞선 설명 및 관련 도면에 표현된 내용을 바탕으로 상기 기술에 숙련된 자라면 쉽게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변경 및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Claims (32)

  1. 다수의 셀룰러 통신 채널중 하나를 통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셀룰러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1 편파를 갖는 신호를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제1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배향된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제1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제1 편파와 다른 제 2편파를 갖는 신호를 이동국으로부터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수신하고 제2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배향된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를 구비하는 제2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커버리지 영역이 중복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를 실장하는 안테나 실장 수단과;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수신안테나 소자에 연결되어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중복 영역에서 이동국으로부터의 상기 제1 및 제2 편파를 갖는 제1 및 제2 수신 신호 각각을 처리하는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제2 편파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로부터의 편파 격리를 제공하는 다수의 제1 송신안테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제1 편파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되어 상기 다수의 제2수신안테나 소자로부터의 편파 격리를 제공하는 다수의 제2 송신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는 신호 품질 결정 수단과;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2수신 신호를 가중시키는 가중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 수단은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다수의 개별적인 채널로 각각분리하고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 각각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개별적인 채널을 각각 처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기 수단은
    시간 슬롯을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다수의 개별적인 채널로 각각 분리하고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 각각을 발생하기 위해 상기 개별적인 채널을 각각 처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의 상기 수신안테나 소자 중의 하나 각각과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의 상기 송신안테나 소자 중의 하나 각각은, 상기 제 1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2편파를 갖는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공통 패치 안테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 송신기 안테나 소자에 연결되고, 교대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회전 편파 각각에서 교대로 신호를 송신하여, 이동국에서의 고도화 수신 신호 품질을 제공하는 교대 편파 송신기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 편파 송신기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코드화되고 인터리브된 시분할 다중 액세스 신호를 발생하는 송신기 코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 및 상기 다수의 제1 송신안테나 소자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동시키는 연장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제1 연장 기판에 인접하여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 및상기 다수의 제2 송신안테나 소자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동시키는 제2 연장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 각각은
    상기 연장 기판에 있고, 각 송신안테나 소자에 연결되어 능동 위상 어레이 안테나를 형성하는 다수의 송신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0. 제8항에 있어서, 각 수신 안테나 소자는 각 연장 기판에서 전기적 전도 부분을 포함하고, 각 송신안테나 소자는 각 연장 기판에서 전기적 전도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어레이 안테나 각각은 상기 연장 기판 위에 놓여서 각각의 수신안테나 소자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 동위상으로 신호를 결합하는 수신 동위상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어레이 안테나 각각은 상기 연장 기판 위에 놓여서 각각의 송신안테나 소자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서로 동위상으로 전달된 신호를 분배하는 송신 동위상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 각각은 상기 연장 기판을둘러싼 무선-투명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는 우측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는 좌측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4. 다수의 셀룰러 통신 채널 중 하나를 통해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셀룰러 기지국에 있어서,
    제 1편파를 갖는 신호를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고, 제1 송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제1 송신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제1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제1 편파와 다른 제2 편파를 갖는 신호를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하고, 상기 제1 송신 커버리지 영역과 중복되는 제2 송신 커버리지 영역을 갖기 위해 소정의 패턴으로 설치된, 다수의 제2 송신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제2 안테나 어레이와,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이동국에서 고도화 수신 신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상기 이동국으로 신호 세그먼트를 교대로 송신하는 교대 편파 송신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 편파 송신기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코드화되고 인터리브된 시분할 다중 액세스 신호를 발생하는 송신기 코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다수의 제1 송신안테나 소자를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동시키는 연장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제1 연장 기판에 인접하여 있고, 상기 다수의 제2 송신안테나 소자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이동시키는 제2 연장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 각각은
    상기 연장 기판에 있고, 각각의 송신안테나 소자에 연결되어 능동 위상 어레이 안테나를 형성하는 다수의 송신 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 각각은,
    상기 연장 기판에 놓이며 각각의 송신안테나 소자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어서로 동위상으로 전달된 신호를 결합하는 송신 동위상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어레이 각각은 상기 연장 기판을 둘러싸는 무선-투명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송신안테나 소자는 좌측 원형 편파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제2 송신안테나 소자는 우측 원형 편파를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21.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제1 편파에서 하나의 이동국으로부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편파와 다른 편파에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편파 다이버시티 수신을 근거로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선정된 패턴으로 장치된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통해서 제1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선정된 패턴으로 장치된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를 통해서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편파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 인접한 상기 다수의 제1 안테나 소자로부터 상기제2 편파를 가지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편파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 인접한 상기 다수의 제2 안테나 소자로부터 상기 제1 편파를 가지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각 신호 대 잡음비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가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주파수를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다수의 개별적인 각각의 채널로 분리하는 단계와,
    각각의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개별적인 채널 각각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시간 슬롯을 근거로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신호를 다수의 개별적인 각각의 채널로 분리하는 단계와,
    각각의 고도화 품질 출력 수신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개별적인 채널각각을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제1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1 안테나 소자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제2 수신 커버리지 영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제2 안테나 소자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커버리지 영역은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이동국에서 고도화 수신 신호 품질을 제공하기 위해 교대로 동작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편파에서 신호를 교대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에 송신되는 코드화되고 인터리브된 시분할 다중 액세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파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우측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편파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좌측 원형 편파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의 작동 방법.
  29. 다수의 셀룰러 통신 채널 중의 하나를 통한 셀룰러 기지국과 적어도 하나의 이동국 사이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교대로 동작하는 각각의 제1 및 제2 편파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교대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국에서 편파 다이버시티 이득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셀룰러 통신 채널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교대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편파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로 동작하는 제1 및 제2 편파에서 송신을 위해 코드화되고 인터리브된 시분할 다중 액세스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통신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파는 우측 원형 편파이고, 상기 제2 편파는 좌측 원형 편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다수의 제1 송신안테나 소자로부터 편파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2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제1 수신안테나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안테나 어레이는 상기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로부터 편파 격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1 편파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제2 수신안테나 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기지국.
KR1019970708045A 1995-05-11 1996-05-06 안테나어래이를사용하는기지국의편파다이버시티용방법및장치 KR100340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439116 1995-05-11
US08/439,116 US5724666A (en) 1994-03-24 1995-05-11 Polarization diversity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8/439,116 1995-05-11
PCT/US1996/006366 WO1996036136A1 (en) 1995-05-11 1996-05-06 Method and apparatus for polarization diversity in a base station using antenna array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703A KR19990014703A (ko) 1999-02-25
KR100340948B1 true KR100340948B1 (ko) 2002-10-11

Family

ID=2374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8045A KR100340948B1 (ko) 1995-05-11 1996-05-06 안테나어래이를사용하는기지국의편파다이버시티용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24666A (ko)
EP (1) EP0824801B1 (ko)
JP (1) JPH11510655A (ko)
KR (1) KR100340948B1 (ko)
CN (1) CN1097891C (ko)
AU (1) AU701483B2 (ko)
BR (1) BR9608834A (ko)
DE (1) DE69623009T2 (ko)
WO (1) WO1996036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1801B1 (en) 1994-03-24 2001-03-13 Ericsson Inc. Polarization diversity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6151310A (en) * 1994-03-24 2000-11-21 Ericsson Inc. Dividable transmit antenna array for a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5896412A (en) * 1994-07-22 1999-04-20 Crossbow, Lt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006069A (en) * 1994-11-28 1999-12-21 Bosch Telecom Gmbh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s system
FI98171C (fi) * 1995-05-24 1997-04-25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netelmä pilottikanavien lähettämiseksi ja solukkoradiojärjestelmä
GB9525942D0 (en) * 1995-12-19 1996-02-21 Nokia Telecommunications Oy Channel allocation in a radio telephone system
US6421543B1 (en) * 1996-01-29 2002-07-16 Ericsson Inc. Cellular radiotelephone base stations and methods using selected multiple diversity reception
DE19617140C2 (de) * 1996-04-29 1999-07-15 Siemens Ag Funkstation zum Senden und Empfangen digitaler Informationen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US6243565B1 (en) * 1996-06-18 2001-06-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mmunication signals using frequency and polarization diversity
ATE195040T1 (de) * 1996-09-20 2000-08-15 Siemens Ag Polarisationsdiversity-system für mobilkommunikation mit adaptiver gestaltung der abstrahlungscharakteristik
US6415162B1 (en) * 1996-10-11 2002-07-02 Ericsson Inc. Interstitial sector system
US6032033A (en) * 1996-12-03 2000-02-29 Nortel Networks Corporation Preamble based selection diversity in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system using digital demodulation
KR19980064467A (ko) * 1996-12-23 1998-10-07 윌리엄비.켐플러 서브섹터된 업스트림 안테나를 갖는지점 대 다지점간 통신 시스템
US5978650A (en) 1997-01-21 1999-11-02 Adc Tele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6501771B2 (en) 1997-02-11 2002-12-31 At&T Wireless Services, Inc. Delay compensation
US5933421A (en) * 1997-02-06 1999-08-03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JPH10229362A (ja) * 1997-02-17 1998-08-25 Fujitsu Ltd 無線基地局装置
US6148219A (en) * 1997-02-18 2000-11-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ositioning system for CDMA/PCS communications system
US6148195A (en) * 1997-02-18 2000-11-14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Phase agile antenna for use in position determination
US6584144B2 (en) 1997-02-24 2003-06-24 At&T Wireless Services, Inc. Vertical adaptive antenna array for a discrete multiton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275704B1 (en) * 1997-03-03 2001-08-14 Xircom, Inc.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polarized antennas
US6470193B1 (en) * 1997-04-11 2002-10-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Power efficient indoor radio base station
US6021317A (en) * 1997-04-30 2000-02-01 Ericsson Inc. Dual antenna radiotelephone systems including an antenna-management matrix switch and associated methods of operation
FI103160B (fi) * 1997-05-30 1999-04-30 Nokia Mobile Phones Ltd Mittauksien tekeminen rinnakkaisilla taajuuksilla radiotietoliikennela itteessa
EP0917240B1 (en) * 1997-06-02 2006-11-29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Adaptive array antenna
JP3134814B2 (ja) * 1997-06-26 2001-0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ダイバシティ受信方式
US6097931A (en) * 1997-08-20 2000-08-01 Wireless Online, Inc. Two-way paging uplink infrastructure
US6131016A (en) * 1997-08-27 2000-10-10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ommunication reception a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6519478B1 (en) * 1997-09-15 2003-02-11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Compact dual-polarized adaptive antenna array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760603B1 (en) * 1997-09-15 2004-07-06 Kathrein-Werke Kg Compact dual-polarized adaptive antenna array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6009335A (en) * 1997-09-26 1999-12-28 Rockwell Science Center, Inc. Method of calibrating and testing spatial nulling antenna
FR2772991B1 (fr) * 1997-12-19 2000-03-03 Thomson Csf Antenne fixe g.s.m.
US6049705A (en) * 1998-02-03 2000-04-11 Ericsson Inc. Diversity for mobile terminals
US5982337A (en) * 1998-02-20 1999-11-09 Marconi Aerospace Systems Inc. Cellular antennas for stratosphere coverage of multi-band annular earth pattern
US6411824B1 (en) * 1998-06-24 2002-06-25 Conexant Systems, Inc. Polarization-adaptive antenna transmit diversity system
KR100269584B1 (ko) * 1998-07-06 2000-10-16 구관영 쵸크 반사기를 갖는 저 사이드로브 이중 편파 지향성 안테나
US6356771B1 (en) 1998-07-10 2002-03-12 Ericsson, Inc. Radio communications system with adaptive polarization
JP2000078072A (ja) * 1998-08-28 2000-03-14 Hitachi Ltd 送受信装置
US6330458B1 (en) * 1998-08-31 2001-12-11 Lucent Technologies Inc. Intelligent antenna sub-sector switching for time slotted systems
EP0994575A1 (en) * 1998-10-12 2000-04-19 Hewlett-Packard Company Extraction of primary and co-channel signals using propagation path metrics
EP1121769B1 (de) * 1998-10-15 2003-12-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ennenanordnung für eine in mehreren frequenzbereichen betreibbare funkstation und funkstation
US6865392B2 (en) 1998-10-30 2005-03-08 Adc Telecommunications, Inc. Using alternate polarization in fixed wireless system deployment for improved capacity
US6442374B1 (en) * 1998-11-04 2002-08-27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US6847658B1 (en) * 1998-12-10 2005-01-25 Qualcomm, Incorporated Demultiplexer for channel interleaving
WO2000039944A1 (fr) * 1998-12-24 2000-07-0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Systeme de communication route/vehicule
US6141566A (en) * 1999-01-11 2000-10-31 Tellabs Operations, Inc. Co-located omnidirectional and sectorized base station
US6812905B2 (en) 1999-04-26 2004-11-02 Andrew Corporation Integrated active antenna for multi-carrier applications
US6583763B2 (en) * 1999-04-26 2003-06-24 Andrew Corporation Antenna structure and installation
US6701137B1 (en) 1999-04-26 2004-03-02 Andrew Corporation Antenna system architecture
US6362787B1 (en) 1999-04-26 2002-03-26 Andrew Corporation Lightning protection for an active antenna using patch/microstrip elements
US6621469B2 (en) 1999-04-26 2003-09-16 Andrew Corporation Transmit/receive distributed antenna systems
US6317098B1 (en) * 1999-08-23 2001-11-13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employing triply-polarized transmissions
US6195064B1 (en) * 1999-08-23 2001-02-27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employing triply-polarized transmissions
CN1196231C (zh) 1999-10-26 2005-04-06 弗拉克托斯股份有限公司 交织多频带天线阵
US6788661B1 (en) * 1999-11-12 2004-09-07 Nikia Networks Oy Adaptive beam-time cod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10112361A (ko) * 2000-01-21 2001-12-20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알크 엠 아헨 편파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6889061B2 (en) * 2000-01-27 2005-05-03 Celletra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olarization matching on a cellular communication forward link
US6754511B1 (en) * 2000-02-04 2004-06-22 Harris Corporation Linear signal separation using polarization diversity
SE520642C2 (sv) * 2000-03-03 2003-08-05 Ericsson Telefon Ab L M Avstämbar antenn
US6526278B1 (en) * 2000-03-03 2003-02-25 Motorola, Inc.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utilizing polarization diversity combining
WO2001083771A2 (en) * 2000-04-29 2001-11-08 Merck Patent Gmbh Human phospholipase c delta 5
US8363744B2 (en) 2001-06-10 2013-01-29 Aloft Media, Llc Method and system for robust, secure, and high-efficiency voice and packet transmission over ad-hoc, mesh, and MIMO communication networks
US6407707B2 (en) 2000-06-27 2002-06-18 Toko, Inc. Plane antenna
US6486828B1 (en) 2000-07-26 2002-11-26 Western Multiplex Adaptive array antenna nulling
WO2002060076A1 (en) * 2001-01-23 2002-08-01 Jyoti Prasad A polarization division multiplex access system
GB0102384D0 (en) * 2001-01-31 2001-03-14 Secr Defence Signal detection using a phased array antenna
US7262744B2 (en) * 2001-02-14 2007-08-28 Comsat Corporation Wide-band modular MEMS phased array
US6961545B2 (en) * 2001-04-09 2005-11-01 Atheros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tenna diversity
US20020198026A1 (en) * 2001-06-20 2002-12-26 Nokia Corporation Method, communications system, and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signals with transmit diversity
US20030045297A1 (en) * 2001-08-24 2003-03-06 Dent Paul W.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channel estimation loop-back signals
US7197282B2 (en) * 2001-07-26 2007-03-27 Ericsson Inc. Mobile station loop-back signal processing
US7224942B2 (en) 2001-07-26 2007-05-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s system employing non-polluting pilot codes
US6996380B2 (en) * 2001-07-26 2006-02-07 Ericsson Inc.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ransmit macro-diversity
US7209511B2 (en) * 2001-08-31 2007-04-24 Ericsson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CDMA receiving system
US6900884B2 (en) * 2001-10-04 2005-05-31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utomatic measurement of the modulation transfer function of an optical system
FI20012474A0 (fi) 2001-12-14 2001-12-14 Nokia Corp Lähetysvastaanottomenetelmä radiojärjestelmässä ja radiojärjestelmä
JP2003198437A (ja) * 2001-12-28 2003-07-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ルチアンテナ装置、マルチアンテナの受信方法及びマルチアンテナの送信方法
US6888504B2 (en) * 2002-02-01 2005-05-03 Ipr Licensing, Inc. Aperiodic array antenna
WO2003071718A1 (en) * 2002-02-21 2003-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antenna array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KR20070054753A (ko) * 2002-03-08 2007-05-29 아이피알 라이센싱, 인코포레이티드 적응성 수신 및 전방향성 전송 안테나 어레이
US7529525B1 (en) * 2002-04-16 2009-05-05 Faulkner Interst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information for use in a smart antenna system
US7289826B1 (en) 2002-04-16 2007-10-30 Faulkner Interstic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selection in a smart antenna system
US7346365B1 (en) * 2002-04-16 2008-03-18 Faulkner Interstices Llc Smart antenna system and method
US7065383B1 (en) * 2002-04-16 2006-06-20 Omri Hovers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smart antenna apparatus with a base station transceiver
KR100485516B1 (ko) * 2002-04-22 2005-04-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망의 기지국 및 그 기지국에서 신호 수신 및처리 방법
US6990317B2 (en) * 2002-05-28 2006-01-24 Wireless Innovation Interference resistant wireless sensor and control system
US6754475B1 (en) * 2002-06-28 2004-06-22 Motorola, Inc. Transmissio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use thereof
US6983174B2 (en) * 2002-09-18 2006-01-03 Andrew Corporation Distributed active transmit and/or receive antenna
US6844863B2 (en) 2002-09-27 2005-01-18 Andrew Corporation Active antenna with interleaved arrays of antenna elements
US6906681B2 (en) * 2002-09-27 2005-06-14 Andrew Corporation Multicarrier distributed active antenna
US7280848B2 (en) * 2002-09-30 2007-10-09 Andrew Corporation Active array antenna and system for beamforming
US20040116146A1 (en) * 2002-12-13 2004-06-17 Sadowsky John S. Cellular system with link diversity feedback
US7184492B2 (en) * 2003-02-10 2007-02-27 Ericsson Inc. Using antenna arrays in multipath environment
US7203490B2 (en) * 2003-03-24 2007-04-10 Atc Technologies, Llc Satellite assisted push-to-send radioterminal systems and methods
US7444170B2 (en) * 2003-03-24 2008-10-28 Atc Technologies, Llc Co-channe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systems using nonsymmetrical alphabets
US6972622B2 (en) * 2003-05-12 2005-12-06 Andrew Corporation Optimization of error loops in distributed power amplifiers
US7251457B1 (en) * 2003-12-04 2007-07-31 Airespace, Inc. Wireless network perimeter security system using overlaying radio frequency signals
AR047882A1 (es) * 2004-02-18 2006-03-01 Interdigital Tech Corp Un metodo y un sistema para utilizar marcas de agua en sistemas de comunicacion
US8655398B2 (en) * 2004-03-08 2014-02-18 Atc Technologies, Llc Communications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emission detection
GB2419495B (en) * 2004-10-22 2007-03-21 Roke Manor Research Communications method and apparatus
FI117684B (fi) * 2004-12-02 2007-01-15 Filtronic Comtek Oy Antennipään suodatinjärjestely
EP2254264A3 (en) * 2005-01-05 2013-11-13 ATC Technologies, LLC Adaptive beam forming with multi-user detection and interference reduction in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7480502B2 (en) * 2005-11-15 2009-01-20 Clearone Communications, In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reflective interference immunity
US7333068B2 (en) * 2005-11-15 2008-02-19 Clearone Communications, Inc. Planar anti-reflective interference antennas with extra-planar element extensions
US7446714B2 (en) * 2005-11-15 2008-11-04 Clearone Communications, Inc. Anti-reflective interference antennas with radially-oriented elements
US9007275B2 (en) 2006-06-08 2015-04-14 Fractus, S.A. Distributed antenna system robust to human body loading effects
US7962174B2 (en) * 2006-07-12 2011-06-14 Andrew Llc Transceiver architecture and method for wireless base-stations
US8099131B2 (en) * 2006-09-29 2012-01-17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tenna architecture for multi-antenna OFD based systems
US8259834B2 (en) * 2006-09-29 2012-09-0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FDM based MIMO system with enhanced diversity
US20080238621A1 (en) * 2007-03-30 2008-10-02 Broadcom Corporation Multi-mode rfid reader architecture
CN101316130B (zh) * 2007-06-01 2014-06-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闭环模式下共用天线系统和方法
US8493212B2 (en) * 2007-06-15 2013-07-23 Icore and Associates, LLC Passive microwave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structure from fire threats
US8044798B2 (en) * 2007-06-15 2011-10-25 Icove And Associates, Llc Passive microwave speed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7724134B2 (en) * 2007-06-15 2010-05-25 Icove And Associates, Llc Passive microwave fire and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8023886B2 (en) * 2007-09-28 2011-09-2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peater with gain control and isolation via polarization
CN101320980B (zh) * 2007-12-27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射机及信号传输方法
US8619671B2 (en) 2008-02-27 2013-12-31 Electronics And Telecommuniations Research Institute Transmission reception apparatus of data using polarization transmission in los radio communication system
EP2192696B1 (en) * 2008-11-28 2014-12-31 Sequans Communications Wireless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with spatial multiplexing using dually polarized antennas and corresponding receiver
EP2226890A1 (en) * 2009-03-03 2010-09-08 Hitachi Cable, Ltd.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tenna
EP2433455A1 (en) * 2009-05-20 2012-03-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30071799A (ko) * 2011-12-21 2013-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편파 제어가 가능한 신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N102571183B (zh) * 2011-12-31 2014-07-09 华为技术有限公司 极化方式的获取方法、装置及微波通信设备
US9179336B2 (en) 2013-02-19 2015-11-03 Mimosa Networks, Inc. WiFi management interface for microwave radio and reset to factory defaults
US9930592B2 (en) 2013-02-19 2018-03-27 Mimosa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ng mobile device connectivity
US9130305B2 (en) 2013-03-06 2015-09-08 Mimosa Networks, Inc. Waterproof apparatus for cables and cable interfaces
US9362629B2 (en) 2013-03-06 2016-06-07 Mimosa Networks, Inc. Enclosure for radio, parabolic dish antenna, and side lobe shields
US10742275B2 (en) * 2013-03-07 2020-08-11 Mimosa Networks, Inc. Quad-sector antenna using circular polarization
US9191081B2 (en) 2013-03-08 2015-11-17 Mimos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dual-band backhaul radio
US9295103B2 (en) 2013-05-30 2016-03-22 Mimosa Networks, Inc. Wireless access points providing hybrid 802.11 and scheduled priority access communications
US10938110B2 (en) 2013-06-28 2021-03-02 Mimosa Networks, Inc. Ellipticity reduction in circularly polarized array antennas
US9001689B1 (en) 2014-01-24 2015-04-07 Mimosa Networks, Inc. Channel optimization in half duplex communications systems
US9780892B2 (en) 2014-03-05 2017-10-03 Mimosa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a radio using an automated audio guide
US9998246B2 (en) 2014-03-13 2018-06-12 Mimosa Networks, Inc. Simultaneous transmission on shared channel
US10958332B2 (en) 2014-09-08 2021-03-23 Mimosa Networks, Inc. Wi-Fi hotspot repeater
WO2017078851A2 (en) * 2015-09-18 2017-05-11 Corman David W Laminar phased array
US10141996B2 (en) * 2015-12-13 2018-11-27 Drone Racing League, Inc. Communication system with distributed receiver architecture
WO2017123558A1 (en) 2016-01-11 2017-07-20 Mimosa Networks, Inc.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antenna and waveguide interface
EP3491697B8 (en) 2016-07-29 2023-10-18 Mimosa Networks, Inc. Multi-band access point antenna array
WO2018034868A1 (en) 2016-08-18 2018-02-22 Anokiwave, Inc. Hybrid laminated phased array
US10320093B2 (en) 2016-08-31 2019-06-11 Anokiwave, Inc. Phased array control circuit
US10777888B2 (en) 2016-10-24 2020-09-15 Anokiwave, Inc. Beamforming integrated circuit with RF grounded material ring
EP3339904A1 (en) * 2016-12-22 2018-06-27 Centre National d'Etudes Spatiales Multipath mitigation in a gnss radio receiver
US10382010B2 (en) 2017-03-31 2019-08-13 Anokiwave, Inc. Attenuation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attenuation circuit
CN107179527B (zh) * 2017-07-10 2020-02-14 闽江学院 一种基于正交分集技术实现高精度室内测距的方法
US11438910B2 (en) * 2017-07-24 2022-09-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Transmitter and transmission method
US10355370B2 (en) 2017-08-04 2019-07-16 Anokiwave, Inc. Dual phased array with single polarity beam steering integrated circuits
WO2019126826A1 (en) 2017-12-24 2019-06-27 Anokiwave, Inc. Beamforming integrated circuit, aesa system and method
US10511074B2 (en) 2018-01-05 2019-12-17 Mimosa Networks, Inc. Higher signal isolation solutions for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antenna and waveguide interface
JP6947054B2 (ja) * 2018-01-24 2021-10-13 株式会社デンソー レーダ装置
US11069986B2 (en) 2018-03-02 2021-07-20 Airspan Ip Holdco Llc Omni-directional orthogonally-polarized antenna system for MIMO applications
US11081792B2 (en) 2018-03-07 2021-08-03 Anokiwave, Inc. Phased array with low-latency control interface
JP7137330B2 (ja) * 2018-03-20 2022-09-14 株式会社東芝 アンテナ装置
US11063336B2 (en) 2018-04-05 2021-07-13 Anokiwave, Inc. Phased array architecture with distributed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integrated up/down conversion
US10998640B2 (en) 2018-05-15 2021-05-04 Anokiwave, Inc. Cross-polarized time division duplexed antenna
US11289821B2 (en) 2018-09-11 2022-03-29 Air Span Ip Holdco Llc Sector antenna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igh gain and high side-lobe rejection
US11205858B1 (en) 2018-10-16 2021-12-21 Anokiwave, Inc. Element-level self-calculation of phased array vectors using direct calculation
US10985819B1 (en) 2018-10-16 2021-04-20 Anokiwave, Inc. Element-level self-calculation of phased array vectors using interpolation
US10468782B1 (en) * 2019-04-16 2019-11-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ethod for determining the instantaneous polarization of propagating electromagnetic waves
CN111277314B (zh) * 2020-01-21 2023-12-1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选路方法及相关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045A (en) * 1982-06-24 1987-04-21 Rca Corporation System for compensating polarization error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92427A (en) * 1960-02-19 1961-07-11 Gen Dynamics Corp Polarization modulation data transmission system
US3835392A (en) * 1970-12-03 1974-09-10 Siemens Ag System for two or more combined communication channels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linear relationships
DE3581086D1 (de) * 1985-06-05 1991-02-07 Fumio Ikegami Digitalisierte uebertragungsvorrichtung.
US5280631A (en) * 1988-06-15 1994-01-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olarization diversity system suitable for radio communication in indoor space
JPH0744492B2 (ja) * 1988-06-15 1995-05-15 松下電工株式会社 偏波ダイバーシチ無線通信方式
US5321850A (en) * 1991-10-09 1994-06-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Diversity radio receiver automatic frequency control
EP0687031A2 (en) * 1992-10-19 1995-12-13 Nortel Networks Corporation Base station antenna arrangement
DE69327837T2 (de) * 1992-12-01 2000-10-12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ilband-Diversityübertragungssystem
US5548813A (en) * 1994-03-24 1996-08-20 Ericsson Inc.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for enhanced power efficiency
US5563610A (en) * 1995-06-08 1996-10-08 Metawave Communications Corporation Narrow beam antenna systems with angular divers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0045A (en) * 1982-06-24 1987-04-21 Rca Corporation System for compensating polarization err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24801A1 (en) 1998-02-25
WO1996036136A1 (en) 1996-11-14
CN1097891C (zh) 2003-01-01
AU5728796A (en) 1996-11-29
AU701483B2 (en) 1999-01-28
US5724666A (en) 1998-03-03
DE69623009T2 (de) 2003-04-17
KR19990014703A (ko) 1999-02-25
JPH11510655A (ja) 1999-09-14
CN1190508A (zh) 1998-08-12
EP0824801B1 (en) 2002-08-14
DE69623009D1 (de) 2002-09-19
BR9608834A (pt) 199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0948B1 (ko) 안테나어래이를사용하는기지국의편파다이버시티용방법및장치
US6201801B1 (en) Polarization diversity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AU712156B2 (en) Wideband digitiz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ellular radiotelephones
US11689263B2 (en) Small cell beam-forming antennas
AU683368B2 (en) Phased array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s for enhanced power efficiency
WO1997037441A9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arization diversity in a base station using a plurality of reception antennas
US5923303A (en) Combined space and polarization diversity antennas
AU717560B2 (en) Dividable transmit antenna array for a cellular base station and associated method
US6421543B1 (en) Cellular radiotelephone base stations and methods using selected multiple diversity reception
WO1997006576A1 (en) Low profile antenna array for land-based, mobile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CN1150498A (zh) 微带天线阵列
US20220311130A1 (en) Antenna feed networks and related antennas and methods
US6259419B1 (en) Multi-sector base station antenna system offering both polarization and spatial diversity
CA22457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larization diversity in a base station using a plurality of reception antenn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