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130B1 - Key switch - Google Patents

Key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130B1
KR100339130B1 KR1019990037813A KR19990037813A KR100339130B1 KR 100339130 B1 KR100339130 B1 KR 100339130B1 KR 1019990037813 A KR1019990037813 A KR 1019990037813A KR 19990037813 A KR19990037813 A KR 19990037813A KR 100339130 B1 KR100339130 B1 KR 100339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key
link
key top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8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12219A (en
Inventor
전규철
Original Assignee
세곡우
한국에스엠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곡우, 한국에스엠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곡우
Priority to KR101999003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130B1/en
Priority to TW088123314A priority patent/TW432414B/en
Publication of KR2000001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2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13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5/00Tactile feedback
    • H01H2215/004Collapsible dome or bubble
    • H01H2215/006Only mechanical func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클릭감을 실현할 수 있는 키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손가락의 압력을 받아드리는 키톱과, 상기 키톱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여 키동작을 인식시키고 상기 입력이 해제되면 키톱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링크와, 키보드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키동작을 인식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로 구성된 키스위치에서, 상기 링크는, 프레임과 축지결합(軸支結合)하고 또한 제2다리와 축지결합하는 제1다리와, 상기 제1다리와 축지결합하고 장공형 구멍을 통하여 프레임과 자유축지결합(自由軸支結合)하는 제2다리와, 상기 키톱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복귀용 판스프링과, FPC와 가압접촉하는 접촉용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상기 키톱이 상기 복귀용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하방으로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2다리와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장공형 구멍을 통하여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장공형 구멍의 끝에서 상대적인 운동이 정지되고, 계속하여 압력하중이 높아지면 복귀용 스프링이 항복(降伏)하여 압력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함으로써 클릭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switch that can realize a click feeling with a simple structure, and receives a key top that receives pressure from a user's finger, and receives a pressure of the key top to recognize a key operation and pushes the key top upward when the input is released. In a key switch composed of an uplink and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frame and recognizing a key operation by the pressure contact of the link, the link is axially coupled to the frame. A first leg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leg, a second leg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leg and freely engaged with the frame through a long hole, and providing a return force to the key top A return leaf spring and a contact leaf spring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FPC are provided so that the key top is pressed downwar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leaf spring. (D) The second leg and the frame undergo a relative sliding movement through the long hole, and then the relative motion is stopped at the end of the long hole, and if the pressure load continues to increase, the return spring surrenders and the pressure load is increased. This sharp decrease reduces the feeling of click.

이러한 본 발명의 키스위치는 그 링크의 구조가 간단하고 충분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The key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that the link structure is simple and a sufficient click feeling can be obtained.

Description

키스위치{KEY SWITCH}Key Switch {KEY SWITCH}

본 발명은 PC(Personal Computer) 등의 입력장치로서 사용되는 키보드 등에 사용되는 키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보드의 소형화, 박형화(薄型化)를 도모하면서 큰 키스트록(key stroke)을 실현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성으로 키조작시 클릭감(click感)을 부여함으로써 키조작감과 키입력을 확실하게 할 수 있는 키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switch used in a keyboard or the like used as an input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In particular, a large key stroke can be realized while the keyboard is made smaller and thin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switch capable of ensuring a key operation feeling and a key input by providing a click feeling during key operation.

최근, 키보드의 소형화에 따라 키톱(key-top)이 얇고 평평해지는 한편, 키입력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키입력의 확실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키조작에 관하여 큰 키스트록이 요구되고 또한 확실한 클릭감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러한 키보드에 사용되는 키스위치로서 다양한 키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size of the keyboard becomes smaller, the key-top becomes thin and flat, and in order to improve the operability of the key input and to ensure the certainty of the key input, a large keystroke is required for the key operation and a certain click feeling is required. It became. Various key switches have been proposed as key switches used in such a keyboard.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특개평(特開平)8-279316에는 다음과 같은 키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279316 proposes the following key switches.

즉, 키톱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제1링크부재와 제2링크부재로 구성하고 이 제1, 2링크부재를 X자형으로 결합하여 키톱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게 한다. 상기 제1링크부재에는 그 끝에 스위치 작동부가 형성된 스프링 부재를 형성하고, 지지판에는 경사면을 갖춘 경사돌기부를 형성한다. 스프링 부재가 경사돌기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키톱의 압력하중을 높이게 한다. 스프링 부재가 경사돌기부를 넘어 스위치 시트면에 떨어지면서 압력하중을 급작스럽게 낮게 하여 클릭감을 부여한다. 동시에 스프링 부재의 스위치 작동부가 스위칭부를 가압하면서 접촉하게 되어 키동작이 이루어진다.That is, the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top comprises a first link member and a second link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members are combined in an X shape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top. The first link member is formed with a spring member having a switch operating portion at the end thereof, and an inclined protrusion having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at the support plate. The spring member slid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rotrusion to increase the pressure load of the key top. As the spring member falls over the inclined protrusion on the surface of the switch seat, the pressure load is suddenly lowered to give a click feeling. At the same time, the switch actuating portion of the spring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essing portion of the switch to perform a key operation.

상기의 키스위치는 러버 스프링(rubber spring)을 사용하지 않고 링크구조의 안내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키보드의 소형화, 박형화를 이룩할 수 있다. 또한 지지판에 경사돌기부를 형성하여 스프링 부재의 스위치 작동부가 이 경사돌기부를 넘어 슬라이딩하여 압력하중을 변경함으로써 클릭감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The key switch can achieve miniaturization and thinning of the keyboard by using a guide member of a link structure without using a rubber spring. In addition, the inclined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upport plate, so that the switch operating portion of the spring member slides over the inclined protrusion to change the pressure load to impart a click feeling.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링크 구조의 안내부재는 제1링크, 제2링크로 구성하여 이들을 조립하여 이루어짐으로서 그 조립에 많은 공수(工數)를 필요로 하여 제조원가를 높히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uide member of the link structure is composed of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nd the assembly is made by assembling them, which requires a lot of labor for the assembly and has the disadvantage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클릭감을 얻기 위하여 지지판에 경사돌기부를 형성하는 등 지지판을 가공하여야 함으로써 역시 제조 단가를 올리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in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processing the support plate, such as forming an inclined protrusion on the support plate to obtain a feeling of click.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링크 구조의 안내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소형의, 박형의 그리고 저렴한 키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eeks to provide a compact, thin and inexpensive key switch by providing a guide member with a simple link structure.

또한 간단한 구조로서 클릭감을 제공하는 키스위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simple structure is to provide a key switch that provides a feeling of click.

도1은 본 발명의 키스위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의 키스위치가 비압력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2 is a view showing that the key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non-pressure state,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side view cut a part;

도3은 본 발명의 키스위치가 압력을 받아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wered under pressure,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c) is a side view cut a part of

도4는 본 발명의 링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조립전의 사시도, (b)는 조립할 때의 평면도, (c)는 조립할 때의 측면도,4 is a view showing a link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assembling, (b) is a plan view when assembling, (c) is a side view when assembling,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하나의 복귀용 판스프링을 형성한 실시예, (b)는 접촉용 판스프링이 양쪽 날개에 접속한 실시예,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mbodiment in which one return leaf spring is formed, (b)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ontact leaf spring is connected to both wings,

도6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2다리용 돌기와 제2다리 구멍의 상대적인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Figure 6 is a view showing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econd leg projection and the second leg ho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7은 스트로크와 키톱에 가해지는 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ke and the load applied to the key top.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키톱(key top)1: key top

1A : 링크고정용 훅 1B : 링크고정용 홈1A: Link fixing hook 1B: Link fixing groove

2 : 링크(link)2: link

21 : 제2다리(안쪽 다리) 22 : 제1다리(바깥 다리)21: 2nd leg (inner leg) 22: 1st leg (outer leg)

2A : 복귀용 판스프링 2B : 접촉용 판스프링2A: Return leaf spring 2B: Contact leaf spring

2C : 키톱용 전면 고정봉 2D : 키톱용 후면 고정봉2C: Front fixing rod for key top 2D: Rear fixing rod for key top

2E : 다리축지용 돌기 2F : 다리축지용 구멍2E: leg shaft projection 2F: leg shaft hole

2G : 제1다리 구멍 2H : 접촉용 돌기2G: 1st leg hole 2H: contact protrusion

2I : 제2다리 구멍 3 : 프레임2I: 2nd leg hole 3: frame

3A : 제2다리용 돌기 3B : 제1다리용 돌기3A: 2nd leg protrusion 3B: 1st leg protrusion

4 : FPC(Flexible Printed Circuits)4: 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사용자의 손가락의 압력을 받아드리는 키톱과, 상기 키톱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여 키동작을 인식시키고 상기 압력이 해제되면 키톱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링크와, 키보드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키동작을 인식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로 구성된 키스위치에서,상기 링크는,프레임과 축지결합(軸支結合)하고 또한 제2다리와 축지결합하는 제1다리와,상기 제1다리와 축지결합하고 장공형 구멍을 통하여 프레임과 자유축지결합(自由軸支結合)하는 제2다리와,상기 키톱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복귀용 판스프링과,FPC와 가압접촉하는 접촉용 판스프링을구비하여A key top that receives the pressure of the user's finger, a link that lowers the pressure of the key top to recognize a key operation, an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a link that pushes the key top upwards, and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frame to pressurize the link. In a key switch composed of 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for recognizing a key operation by the link, the link, the first leg and the first leg is axially coupled to the frame and axially coupled to the second leg, the first leg A second leg freely engaged with the frame through a long hole, a return plate spring for imparting a return force to the key top, and a contact leaf spring for pressure contact with the FPC. Equipped

상기 키톱이 상기 복귀용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하방으로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2다리와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장공형 구멍을 통하여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장공형 구멍의 끝에서 상대적인 운동이 정지되고, 계속하여 압력하중이 높아지면 복귀용 스프링이 항복(降伏)하여 압력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함으로써 클릭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를 제공한다.As the key top is pressed downwar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plate spring, the second leg and the frame make a relative sliding movement through the long hole, and then the relative motion at the end of the long hole stops. Thus, when the pressure load increases, the return spring yields a key switch, which provides a feeling of click by rapidly decreasing the pressure load.

바람직하게는 접촉용 판스프링의 하면에는 접촉용 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Preferably, a contact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ct leaf spring.

또한 복귀용 판스프링은 2개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접촉용 판스프링을 형성하거나, 복귀용 판스프링과 접촉용 판스프링을 각각 하나씩 형성하여도 무방하다.In addition, two return leaf springs may be formed and a contact leaf spring may be formed therebetween, or a return leaf spring and a contact leaf spring may be formed one each.

제1다리, 제2다리, 복귀용 판스프링 및 접촉용 판스프링을 일체로 형성하여 링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복귀용 판스프링은 스틸 등으로 별도로 형성되어 링크에 조립되거나 삽입성형되는 것이 그 내구성을 확보하는 데에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orm the link by integrally forming the first leg, the second leg, the return leaf spring and the contact leaf spring, but the return leaf spring is formed separately from steel or the like to be assembled or inserted into the link. It is preferable to secure the durability.

또한 링크는 몰드로 형성하는 것이 간편하여 원가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k can be easily formed into a mold can reduce the cost.

또 링크의 제1다리는 바깥쪽으로 벌어지도록 탄성을 지니게 하여 프레임에 착탈이 간단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eg of the lin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ity so as to open to the outside,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frame is easy.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키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키톱이 원래의 상태 즉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지 않은 비압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키톱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 최하단까지 내려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ey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non-pressure state in which the key top is the original state, that is, the user does not apply pressure.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ey top is lowered to the bottom end under pressure by a user's finger or the like.

도1, 도2, 도3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스위치는 크게 키톱(1), 링크(2), FPC(4) 및 프레임(3)으로 이루어지는데, 도면 위에서부터 밑으로 즉 키보드의 표면에서부터 하부로 키톱(1), 링크(2), FPC(4), 프레임(3)의 순서로 배치된다.As can be seen in Figures 1, 2, and 3, the key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ey top 1, a link 2, an FPC 4, and a frame 3, which are from above to the bottom. It is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key top 1, the link 2, the FPC 4, and the frame 3 from the surface of the keyboard to the lower side.

키톱(1)은 키보드 등의 표면에 위치하여 숫자(0, 1, 2, 3, ...), 문자(a, b, c, ..., ㄱ, ㄴ, ㄷ, ..., ㅏ, ㅑ, ..., !, @, #, ...) 혹은 기타의 기능(Esc, Ctrl, Alt, Home, PgUp, ...)이 그 표면 즉 상측면에 인쇄되어 있고,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접촉되어 압력을 받아 하강하여 키입력을 하고 후술하는 링크의 압력을 받아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등의 상하운동을 하는 부재로서 거의 4각형의 지붕모양을 갖추고 있으며 보통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된다.The key top 1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keyboard and so on, and has numbers (0, 1, 2, 3, ...), letters (a, b, c, ..., a, b, c, ..., ㅏ). , ㅑ, ...,!, @, #, ...) or other function (Esc, Ctrl, Alt, Home, PgUp, ...) is printed on the surface, that is, the user's finger It is a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by receiving pressure and descends under pressure and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under the pressure of the link described below. It has a nearly rectangular roof shape and is usually made of plastic.

링크(2)는 상기 키톱(1)의 상하운동을 안내하는 부재로서 상기 키톱(1)의 압력을 받아 압축되고 복귀용 판스프링의 항복에 의한 클릭감을 제공한다.The link 2 is a member for guiding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key top 1 and is compressed under the pressure of the key top 1 to provide a feeling of click by yielding the return leaf spring.

FPC(4)는 Flexible Printed Circuits로서 상기 키톱(1)의 하강에 의하여 그 접촉점이 단락되어 각각의 키톱(1)에 해당하는 문자 등을 인식하기 위한 회로로서 통상 매트릭스 회로로 구성된다.The FPC 4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which is a circuit for recognizing a character or the like corresponding to each key top 1 by shorting its contact point due to the lowering of the key top 1, and being generally composed of a matrix circuit.

3은 프레임(frame)으로서 상기 링크(2)와 결합하는 결합기구를 갖추고 상기 링크(2)를 지지하여 키톱(1)을 지지하는 부재이다.3 is a frame having a coupling mechanism that engages the link 2 as a frame, and supports the key 2 by supporting the link 2.

이하, 상기의 각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결합기구 및 링크(2)의 각 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member of the coupling mechanism and the link 2 which interconnect each said member is demonstrated in detail.

상기 키톱(1)의 뒷면에는 링크(2)와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링크고정용 훅(1A)과 한쌍의 링크고정용 홈(1B)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back of the key top 1, a pair of link fixing hooks 1A and a pair of link fixing grooves 1B for engaging with the link 2 are formed.

링크고정용 훅(1A)은 갈고리 모양의 훅으로서 링크(2)의 키톱용 전면 고정봉(2C)과 결합하여 키톱용 전면 고정봉(2C)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은 물론 링크(2)가 하강, 상승운동을 하면서 키톱용 전면 고정봉(2C)이 슬라이딩 운동하는 것을 지지한다.The link fixing hook 1A is a hook-shaped hook, which is coupled with the front top fixing rod 2C for the keytop of the link 2 so that the front top fixing rod 2C for the keytop rotates counterclockwise as well as the link 2 ) Support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front fixing rod (2C) for the key top while moving downward and upward.

또한 링크고정용 홈(1B)은 원형의 홈으로서 링크(2)의 키톱용 후면 고정봉(2D)과 결합하여 키톱용 후면 고정봉(2D)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지지한다.In addition, the link fixing groove 1B is a circular groove and is coupled to the key top rear fixing rod 2D of the link 2 to support the rotation of the key top rear fixing rod 2D in a clockwise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고정용 훅(1A)이 키톱(1)의 뒷면의 앞쪽에, 링크고정용 홈(1B)이 키톱(1)의 뒷면 뒷쪽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 위치는 링크(2)의 고정봉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링크(2)에 훅이나 홈을 형성하고 키톱(1)에 고정봉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link fixing hook 1A is located in front of the back of the key top 1, and the link fixing groove 1B is located in the back of the back of the key top 1, but the position of the link ( It can be proper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ixed rod in 2). In addition, a hook or a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ink 2 and a fixing rod may be formed in the key top 1.

프레임(3)은 링크(2)와 결합하기 위하여 두쌍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즉, 링크(2)의 제2다리(21)의 제2다리 구멍(2I)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제2다리용 돌기(3A)와, 링크(2)의 제1다리(22)의 제1다리 구멍(2G)과 결합하기 위한 한 쌍의 제1다리용 돌기(3B)이다. 이들 돌기(3A, 3B)는 각각 제2다리 구멍(2I)과 제1다리 구멍(2G)이 원운동과 슬라이딩 운동 및 원운동하는 것을 지지한다.The frame 3 is formed with two pairs of protrusions for engaging with the link 2. That is, the pair of second leg protrusions 3A for engaging with the second leg hole 2I of the second leg 21 of the link 2 and the first leg 22 of the link 2 A pair of first leg projections 3B for engaging with the first leg hole 2G. These protrusions 3A and 3B support the second leg hole 2I and the first leg hole 2G in circular motion, sliding motion and circular motion, respectively.

이들 돌기를 링크(2)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링크(2)에 돌기를 형성하고 프레임(3)에 제1다리 구멍(2G), 제2다리 구멍(2I)에 상당하는 구멍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se protrusions in the link 2. In other words,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link 2 and a ho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g hole 2G and the second leg hole 2I may be formed in the frame 3.

다음에 도4, 도1을 참조하면서 링크(2)와 그 각 구성부재 및 다른 부재와의 연결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4, FIG. 1, the connection of the link 2, its structural member, and another member is demonstrated.

도4는 링크(2)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다른 부재에 연결하기 전의 사시도, (b)는 연결시의 평면도, (c)는 연결시의 측면도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ink 2 in detail, (a) is a perspective view before connecting to another member, (b) is a plan view at the time of connection, and (c) is a side view at the time of connection.

링크(2)는 대략 4각형의 구조로서 몰드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제조된다.The link 2 is an approximately quadrilateral structure and is integrally manufactured by mold injection molding.

2A는 한 쌍의 복귀용 판스프링으로서 링크(2)의 양 날개에 연결하여 형성된다. 복귀용 판스프링(2A)은 대략 띠모양의 원호형상을 취하여 탄성력을 갖추고 링크(2)가 압력을 받았을 때에 상방으로 힘을 가하여 키톱(1)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려는 힘의 원천이 된다.2A is a pair of return leaf springs connected to both wings of the link 2. The return leaf spring 2A has an approximately strip-shaped arc shape, has elasticity, and applies a force upward when the link 2 is pressurized to be a source of force for returning the key top 1 to its original state.

본 실시예에서 복귀용 판스프링(2A)은 한 쌍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키톱의 면적이 작은 때에는 도5의 (a)와 같이 하나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turn leaf springs 2A are formed in pairs, but when the area of the key top is small, one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5A.

2B는 접촉용 판스프링으로서 키톱(1)의 압력에 의하여 링크(2)가 수축할 때에 하강하여 FPC(4)의 접촉면 즉 매트릭스 스위치를 단락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접촉용 판스프링(2B)은 대략 띠모양의 원호형상을 하고 있으며 FPC(4)의 접촉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FPC(4)에 확실한 접촉력을 가하기 위하여 접촉용 돌기(2H)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접촉용 판스프링(2B)이 원호형상으로 휘어 있으면 접촉용 돌기(2H)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무방하다.2B is a contact leaf spring that serves to lower when the link 2 contracts due to the pressure of the key top 1 to short-circuit the contact surface of the FPC 4, that is, the matrix switch. The contact leaf spring 2B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and a contact projection 2H is formed to apply a certain contact force to the FPC 4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FPC 4. However, if the contact leaf spring 2B is bent in an arc shape, the contact projection 2H may not be formed.

본 실시예에서 접촉용 판스프링(2B)은 한쪽 날개에만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도5의 (b)와 같이 양쪽 날개에 연결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ontact leaf spring 2B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only one wing, but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both wings as shown in FIG.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접촉용 판스프링(2B)은 링크(2)의 다른 부재와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그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우선 스틸 등의 재료로 제조하여 이를 링크(2)에 조립하거나 삽입성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ct leaf spring (2B)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other members of the link (2), but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irst to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eel to be assembled or inserted into the link (2) Can be.

링크(2)의 한쪽 날개에는 안쪽을 향하여 한쌍의 제2다리(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다리(21)에는 제2다리(21)가 프레임(3)과 연결하기 위한 장공형(長孔形)의 제2다리 구멍(2I)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다리 구멍(2I)은 프레임(3)의 제2다리용 돌기(3A)와 결합하여 제2다리용 돌기(3A)로 하여금 슬라이딩 운동을 하게 하며 또한 그 슬라이딩 운동을 정지시킴으로써 클릭감을 부여하는 역할도 한다. 즉 제2다리(21)와 프레임(3)은 장공형의 구멍을 통하여 축지결합하고 있는 데, 고정된 축지결합이 아니라 축이 이동할 수 있는 결합으로서 이 결합을 본 발명에서는 자유축지결합(自由軸支結合)이라고 정의한다.One wing of the link 2 is formed with a pair of second legs 21 inward. In this second leg 21, a long leg-shaped second leg hole 2I for connecting the second leg 21 to the frame 3 is formed. The second leg hole 2I is engaged with the second leg protrusion 3A of the frame 3 to cause the second leg protrusion 3A to perform a sliding movement and to stop the sliding movement, thereby providing a feeling of click. It also plays a role. That is, the second leg 21 and the frame 3 are axially coupled through the hole of the long hole, not a fixed axial coupling, but a coupling that can move the shaf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ee axial coupling (自由 軸) It is defined as 支 結合).

또한 제2다리(21)에는 다리축지용 구멍(2F)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리축지용 구멍(2F)은 후술하는 제1다리(22)의 다리축지용 돌기(2E)와 결합하여 제2다리(21)와 제1다리(22)의 가위 운동을 지지한다.Also, the second leg 21 is provided with a leg bearing hole 2F. This leg bearing hole 2F engages with the leg bearing protrusion 2E of the first leg 22 described later to support the scissors motion of the second leg 21 and the first leg 22.

한편 링크(2)의 타측 날개에는 안쪽을 향하여 한쌍의 제1다리(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다리(22)는 각각 도4의 (a)에서 좌우를 향하여 벌어지도록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a pair of first legs 22 are formed in the other wing of the link 2 inward. Each of these first legs 22 is formed to have elasticity so as to be open to the left and right in Fig. 4A.

제1다리(22)에는 상기 제2다리(21)의 다리축지용 구멍(2F)과 결합하기 위한 다리축지용 돌기(2E)가 형성되어 있다. 다리축지용 돌기(2E)는 상기 다리축지용 구멍(2F)과 결합하여 다리축지용 구멍(2F)에 지지됨과 아울러 키톱(1)의 하강운동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여 제2다리(21)와 제1다리(22)가 가위 운동을 하게 한다.The first leg 22 is formed with a leg bearing protrusion 2E for engaging with the leg bearing hole 2F of the second leg 21. The leg bearing protrusion 2E is coupled to the leg bearing hole 2F and is supported by the leg bearing hole 2F,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lowering motion of the key top 1 so that the second leg 21 and The first leg 22 makes the scissors motion.

여기에서 다리축지용 구멍(2F)과 다리축지용 돌기(2E)는 그 위치를 서로 바꿀 수 있다. 즉 제2다리(21)에 돌기를, 제1다리(22)에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Here, the leg bearing hole 2F and the leg bearing protrusion 2E can be interchanged with each other. That is, a protrusio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leg 21 and a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leg 22.

또한 제1다리(22)에는 프레임(3)의 제1다리용 돌기(3B)와 결합하기 위한 제1다리 구멍(2G)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다리 구멍(2G)은 제1다리용 돌기(3B)와 결합하여 제1다리(22)가 회전운동을 하게 한다.In addition, the first leg 22 is formed with a first leg hole 2G for engaging with the first leg protrusion 3B of the frame 3. This first leg hole 2G is engaged with the first leg protrusion 3B to cause the first leg 22 to rotate.

링크(2)의 한쪽 날개 끝에는 상기 키톱(1)의 링크고정용 훅(1A)과 결합하기 위한 키톱용 전면 고정봉(2C)이 형성되어 있다. 링크(2)는 키톱용 전면 고정봉(2C)에 형성되어 있는 홈을 통하여 링크고정용 훅(1A)과 결합한다. 또한 상기 키톱(1)의 링크고정용 홈(1B)과 결합하기 위한 키톱용 후면 고정봉(2D)이 형성되어 있다.At one wing end of the link 2, a key top front fixing rod 2C for engaging with the link fixing hook 1A of the key top 1 is formed. The link 2 engages with the link fixing hook 1A through a groove formed in the front fixing rod 2C for the key top. In addition, a back fixing rod 2D for a key top for engaging with the link fixing groove 1B of the key top 1 is form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스위치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assembly of the key switch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도4(a)와 같은 상태로 사출성형된 링크(2)의 제1다리(22)를 손이나 집게 등으로 각각 안쪽으로 힘을 가하여 다리축지용 돌기(2E)가 다리축지용 구멍(2F)과 결합되도록 한다. 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가 도4(b), 측면도가 도4(c)이다. 이 상태에서 제2다리(21)와 제1다리(22)가 가위모양으로 결합된 것을 알 수 있다.The first leg 22 of the injection-molded link 2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4 (a) is applied with a hand, a forceps, or the like, respectively, so that the leg bearing protrusion 2E is a leg bearing hole 2F. To be combined with 4B is a plan view of the coupled state, and FIG. 4C is a side view. In this state, it can be seen that the second leg 21 and the first leg 22 are combined in the shape of scissors.

이렇게 다리가 가위모양으로 결합된 상태의 링크(2)를 도1과 같이 FPC(4)가 붙여진 프레임(3)에 결합한다. 즉 링크(2)의 제2다리 구멍(2I)을 프레임(3)의 제2다리용 돌기(3A)에 결합하고 제1다리(22)의 제1다리 구멍(2G)을 제1다리용 돌기(3B)에 결합한다.The link (2) in the state that the legs are coupled in the shape of scissors is coupled to the frame (3) to which the FPC (4) is attached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econd leg hole 2I of the link 2 is coupled to the second leg protrusion 3A of the frame 3 and the first leg hole 2G of the first leg 22 is the first leg protrusion. To (3B).

다시 키톱(1)의 링크고정용 훅(1A)을 키톱용 전면 고정봉(2C)에 걸고 링크고정용 홈(1B)을 링크(2)의 키톱용 후면 고정봉(2D)에 결합함으로써 키톱(1)을 링크(2)에 고정시킨다.Then, the hook fixing hook 1A of the key top 1 is hooked on the front fixing rod 2C for the key top, and the link fixing groove 1B is coupled to the rear fixing rod 2D for the key top of the link 2 1) to the link (2).

이렇게 완성된 키스위치를 도2에 나타낸다.The key switch thus completed is shown in FIG.

이하, 키스위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key switch will be described below.

도2의 상태에서 키톱(1)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에 의하여 눌려지면 키톱(1)은 링크(2)의 복귀용 판스프링(2A)의 탄성력에 반하여 하강하게 된다. 이 때 링크(2)의 제1다리(22)는 프레임(3)의 제1다리용 돌기(3B)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다리(22)의 다리축지용 돌기(2E)도 하강하게 된다. 한편 제2다리(21)는 다리축지용 돌기(2E)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 즉 가위가 입을 벌리는 모양의 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다리축지용 돌기(2E)가 하강함으로써 제2다리 구멍(2I)은 좌하측으로 힘을 받아 밀리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3)의 제2다리용 돌기(3A)는 장공형의 제2다리 구멍(2I)의 경사면을 따라 우상측으로 이동하는 상대적인 운동을 한다(도6의 점선 상태에서 실선 상태로 이동).When the key top 1 is pressed by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in the state of FIG. 2, the key top 1 is lowere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leaf spring 2A of the link 2. At this time, the first leg 22 of the link 2 rotates counterclockwise about the first leg protrusion 3B of the frame 3. As a result, the leg bearing protrusion 2E of the first leg 22 is also lowered.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leg 21 rotates clockwise about the leg bearing protrusion 2E, that is, in the shape of opening a pair of scissors. At this time, the leg bearing protrusion 2E is lowered so that the second leg hole ( 2I) is pushed to the lower left. Accordingly, the second leg protrusion 3A of the frame 3 moves relative to the upper right side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ng leg-shaped second leg hole 2I (moved from the dotted line state in FIG. 6 to the solid line state).

이렇게 키톱(1)이 하강하는 상태에서 링크(2)의 복귀용 판스프링(2A)은 그 원호형상이 벌어지는 운동을 하면서 키톱(1)을 상승시키려는 힘을 발생시킨다.Thus, the return leaf spring 2A of the link 2 in the state in which the key top 1 is lowered generates a force for raising the key top 1 while the arc shape is opened.

키톱(1)이 계속 눌리게 되면 제2다리용 돌기(3A)는 제2다리 구멍(2I)의 오른쪽 끝에 닿아(도6의 실선 상태) 제2다리(21)의 운동이 저지되어 제2다리(21)가 더 이상 하강하지 않으려고 한다.When the key top 1 is continuously pressed, the second leg protrusion 3A reaches the right end of the second leg hole 2I (solid line state in FIG. 6), and the movement of the second leg 21 is prevented and the second leg is blocked. (21) tries not to descend anymore.

따라서 키톱(1)에는 갑자기 큰 하중이 걸리게 되고, 그 하중이 임계하중을 초과하면 제2다리(21)가 제2다리용 돌기(3A)에 의하여 더 이상의 운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복귀용 판스프링(2A)이 원호형상을 포기하고 일직선이 되는 항복현상이 발생한다. 즉 복귀용 판스프링(2A)이 키톱(1)을 상승시키려고 하는 더 큰 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키톱(1)에는 큰 힘이 걸리다가 갑자기 적은 압력으로도 키톱(1)이 하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클릭감을 느낀다.Therefore, a large load is suddenly applied to the key top 1, and when the load exceeds the critical load, the second leaf 21 is returned to the plate spring (in the state where no further movement is possible by the second leg protrusion 3A). 2A) gives up the arc shape and yields a straight line yielding. In other words, the return leaf spring 2A does not generate a greater force to raise the key top 1. Therefore, the key top 1 takes a large force, and suddenly the key top 1 can be lowered even with a small pressure, so the user feels a click.

또한 동시에 접촉용 판스프링(2B) 및 접촉용 돌기(2H)는 FPC(4)를 가압, 접촉하면서 키입력을 완성시킨다.At the same time, the contact leaf spring 2B and the contact projection 2H pressurize and contact the FPC 4 to complete the key input.

한편, 키톱(1)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면 복귀용 판스프링(2A)은 탄성력을 복원하여 키톱(1)을 상승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ad applied to the key top 1 is removed, the return leaf spring 2A restores the elastic force and raises the key top 1 to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도7을 참조하면서 키톱(1)에 걸리는 하중을 설명한다.7, the load on the key top 1 is demonstrated.

도면에서 횡축은 스트로크 즉 키톱(1)이 하강한 거리를 나타낸다. 종축은 키톱(1)에 걸리는 압력하중을 나타낸다. A 영역은 키톱(1)이 초기상태에서 압력을 받아 서서히 하강하기 시작하는 부분이다.In the figure, the axis of abscissas represents the distance that the stroke, ie, the key top 1, is lowere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ressure load on the key top 1. A region is the portion where the key top 1 starts to descend gradually under pressure in the initial state.

B 영역은 프레임(3)의 제2다리용 돌기(3A)가 링크(2)의 하강운동 즉 키톱(1)의 하강운동을 방해하기 시작하는 영역으로서 계속 키톱(1)을 하강시키기 위하여는 갑자기 큰 하중이 필요한 영역이다. 또한 B영역과 C영역의 경계선이 곡선과 만나는 지점이 전술한 임계 압력 하중점(I)이다.Area B is an area where the second leg protrusion 3A of the frame 3 starts to hinder the lowering motion of the link 2, that is, the lowering motion of the keytop 1, and suddenly to lower the keytop 1 continuously. This is an area that requires a large load. In addition, the point where the boundary line of area | region B and area | region C meets a curve is the critical pressure load point I mentioned above.

C 영역은 복귀용 판스프링(2A)이 탄성력을 포기하고 일직선이 되는 영역으로서 복귀용 판스프링(2A)의 상승력이 급격하게 감소함으로써 압력하중도 급작스럽게 감소하여 사용자가 클릭감을 느끼는 영역이다.The area C is a region in which the return leaf spring 2A gives up the elastic force and is in a straight line. As the lifting force of the return leaf spring 2A decreases rapidly, the pressure load also decreases abruptly so that the user feels a click.

D 영역은 복귀용 판스프링(2A)의 항복점을 지나 키톱(1)이 계속 하강하여 접촉용 판스프링(2B)이나 접촉용 돌기(2H)가 FPC(4)와 가압, 접촉하여 키입력이 완성되는 영역이다.In the area D, the key top 1 continues to descend after the yield point of the return plate spring 2A, and the contact plate spring 2B or the contact projection 2H presses and contacts the FPC 4 to complete the key input. It is an area.

D 영역 이후에 키톱(1)의 하중을 해제하면 복귀용 판스프링(2A)이 탄성력을 회복하여 키톱(1)을 상승시키는데,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이룬다.When the load of the key top 1 is released after the area D, the return leaf spring 2A recovers the elastic force and raises the key top 1, thereby forming a hysteresis curv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크를 사출성형으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저렴하고 간단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제1다리를 안쪽으로 조임으로써 프레임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inexpensively and simply by integrally forming the link by injection molding. In addition,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frame by tightening the first leg inward.

또한 제2다리에 장공형의 구멍을 형성하여 이를 프레임의 돌기에 결합하여 이 돌기에 의하여 구멍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이 저지됨으로써 키톱에 큰 하중을 요구하고 임계 하중 이상이 되면 링크의 복귀용 판스프링이 항복하여 하중을 급작스럽게 감소시킴으로써 클릭감을 느끼게 한다. 즉 복귀용 판스프링 및 링크나 프레임에 장공형의 구멍을 형성하는 등의 간단한 구조로서 클릭감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long hole is formed in the second leg, which is coupled to the projection of the frame to prevent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le by the projection, which requires a large load on the key top, and when the critical load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critical spring, the leaf spring for returning the link Yields and suddenly reduces the load, making you feel a click. That is, a simple structure, such as forming a hole in the back plate spring and a link or a frame, has an effect of realizing a click feeling.

Claims (9)

사용자 손가락의 압력을 받아드리는 키톱과, 상기 키톱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여 키동작을 인식시키고 상기 압력이 해제되면 키톱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링크와, 키보드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의 가압접촉에 의하여 키동작을 인식하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로 구성된 키스위치에서,A key top that receives the pressure of the user's finger, a key that is lowered by the pressure of the key top to recognize a key operation, an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a link that pushes the key top upwards, and is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keyboard frame so that In the key switch consisting of 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to recognize the key operation by, 상기 링크는,The link, 프레임과 축지결합(軸支結合)하고 또한 제2다리와 축지결합하는 제1다리와,A first leg axially coupled to the frame and axially coupled to a second leg, 상기 제1다리와 축지결합하고 장공형 구멍을 통하여 프레임과 자유축지결합(自由軸支結合)하는 제2다리와,A second leg which is axially coupled to the first leg and which is free-axially coupled to the frame through a long hole, 상기 키톱에 복귀력을 부여하는 복귀용 판스프링과,A return leaf spring for imparting a return force to the key top; FPC와 가압접촉하는 접촉용 판스프링을The contact leaf spring in pressure contact with the FPC 일체로 성형하여 구비하고Integrally molded 상기 키톱이 상기 복귀용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반하여 하방으로 눌러짐에 따라 상기 제2다리와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장공형 구멍을 통하여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을 하다가 장공형 구멍의 끝에서 상대적인 운동이 정지되고, 계속하여 압력하중이 높아지면 복귀용 스프링이 항복(降伏)하여 압력하중이 급격하게 감소함으로써 클릭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As the key top is pressed downward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return plate spring, the second leg and the frame make a relative sliding movement through the long hole, and then the relative motion at the end of the long hole stops. When the pressure load increases, the return spring yields a key switch, which provides a click feeling by rapidly decreasing the pressure loa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접촉용 판스프링의 뒷면에는 접촉용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Ke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projection is formed on the back of the contact leaf spring.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복귀용 판스프링은 2개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접촉용 판스프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The return leaf spring forms two and a contact leaf spring therebetween forms a key switc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복귀용 판스프링과 접촉용 판스프링은 각각 하나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The return leaf spring and the contact leaf spring is a ke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ing on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귀용 판스프링은 삽입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The return plate spring is keye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molding.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복귀용 스프링은 스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The return spring is a ke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steel.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링크는 몰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And the link is formed of a mol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1다리는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탄성을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Key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leg has an elastic outwardly.
KR1019990037813A 1999-09-07 1999-09-07 Key switch KR10033913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813A KR100339130B1 (en) 1999-09-07 1999-09-07 Key switch
TW088123314A TW432414B (en) 1999-09-07 1999-12-30 Key-switch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813A KR100339130B1 (en) 1999-09-07 1999-09-07 Key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19A KR20000012219A (en) 2000-03-06
KR100339130B1 true KR100339130B1 (en) 2002-05-31

Family

ID=19610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813A KR100339130B1 (en) 1999-09-07 1999-09-07 Key switch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39130B1 (en)
TW (1) TW432414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212B1 (en) * 2002-05-15 2005-05-03 한국에스엠케이 주식회사 Key switc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1812B2 (en) * 2010-12-22 2013-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Switch device
TWI587337B (en) * 2015-07-08 2017-06-1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Keyswitch and keyboard thereof
TWI573159B (en) * 2015-07-23 2017-03-0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Keyswitch and keyboar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212B1 (en) * 2002-05-15 2005-05-03 한국에스엠케이 주식회사 Key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2219A (en) 2000-03-06
TW432414B (en) 2001-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52254B2 (en) Key switch
JP2861684B2 (en) Key switch device
US5488210A (en) Push button switch
KR100487212B1 (en) Key switch
JPH10188720A (en) Keyboard switch
JP2005302018A (en) Keyboard with elevated key
US6501038B2 (en) Key switch and keyboard
JPH04102128U (en) key switch
US11355293B2 (en) Reaction force generating member and key switch device
US5967298A (en) Keyboard device
US5562203A (en) Keyswitch
KR100419055B1 (en) Key switch
KR100339130B1 (en) Key switch
KR20010060292A (en) Key swi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388504B1 (en) Key switch
US6133538A (en) Keyswitch with rubber dome disposed within housing provided by the plunger
JPH03261015A (en) Push button switch
WO2003079385A1 (en) Two-stage switch device
JP3318281B2 (en) Key switch
CN213459523U (en) Key module
JP2001250448A (en) Key switch
JP3045296B2 (en) Key switch
JPH0817286A (en) Switch mechanism
JP3392841B2 (en) Key switch device
JP3280366B2 (en) Key switch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