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034B1 -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034B1
KR100339034B1 KR1019980035056A KR19980035056A KR100339034B1 KR 100339034 B1 KR100339034 B1 KR 100339034B1 KR 1019980035056 A KR1019980035056 A KR 1019980035056A KR 19980035056 A KR19980035056 A KR 19980035056A KR 100339034 B1 KR100339034 B1 KR 10033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trol
reverse
power
closed loop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258A (ko
Inventor
김영기
박수원
안재민
김재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80035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034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BR9906765A priority patent/BR9906765A/pt
Priority to JP2000567026A priority patent/JP3701200B2/ja
Priority to AU55300/99A priority patent/AU746366B2/en
Priority to RU2000110292A priority patent/RU2217868C2/ru
Priority to CN99801428A priority patent/CN1111322C/zh
Priority to US09/382,443 priority patent/US7079522B1/en
Priority to PCT/KR1999/000482 priority patent/WO2000011877A2/en
Priority to CA002308252A priority patent/CA2308252C/en
Priority to EP99941814.8A priority patent/EP1034622B1/en
Publication of KR2000001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034B1/ko
Priority to US10/305,711 priority patent/US6816476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4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connection with interrup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가,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는 제어기와, 상기 변경된 전력제어 기준값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는 순방향 전용제어채널 송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유지 상태(Control Hold State)에서의 폐루프 전력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은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해 왔으나 점차 음성 뿐만 아니라 고속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IMT-2000 규격으로 발전 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IMT-2000 규격에서는 고품질의 음성, 동화상, 인터넷 검색 등의 서비스가 가능하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통신의 특성은 데이타의 발생이 순간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상대적으로 데이타의 전송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가 오래되도록 지속되는 휴지상태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따라서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에서는 데이타 통신 서비스시 데이타 전송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만 전용채널을 할당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즉, 제한된 무선 자원, 기지국 용량, 이동 단말기의 전력 소모 등을 고려하여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동안에만 전용의 트래픽채널(Traffic Channel)과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을 연결하고, 일정시간 데이타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는 전용채널을 해제한다. 전용채널이 해제된 동안에는 공용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무선자원을 이용효율을 높이는 데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채널의 할당상황이나 상태정보의 유무에 따라 여러 가지 상태가 필요하다. 도 7은 패킷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상태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패킷서비스는 도시한 바와 같이 패킷널상태(Packet Null State), 초기화 상태(Initialization State), 데이타전송상태(Active State), 제어유지 상태(Control Hold State), 대기상태(Suspended State), 도먼트 상태(Dormant State), 재연결상태(Reconnect State)로 구성될 수 있다. 이중 상기 제어유지 상태, 데이타전송상태, 대기 상태에서는 서비스 옵션(Service Option)이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상태들은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음성 위주의 종래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되는 채널을 해제하고 다시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한 경우 다시 채널을 요구하고 접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음성 서비스 이외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의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방식을 사용하면 재접속 지연 시간 등의 지연 요소가 많아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없다. 따라서 음성 서비스 이외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등의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래 방식과는 다른 방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패킷 데이터 서비스의 예를 들어 보면 데이터의 전송이 간헐적으로 일어나는경우가 많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패킷 데이터들을 전송하고 나서 다음 패킷 데이터들을 전송 할 때까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는 기간이 생기게 된다. 이 기간에 종래의 방식을 사용하면 채널을 해제하거나 채널을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 채널을 해제하면 다시 접속하는데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어 서비스 제공에 지연이 많이 생기고 채널을 그대로 유지하면 용량 감소, 다른 채널에 대한 간섭 증가 및 단말기 사용시간 감소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서 기지국과 단말기에 전용제어채널을 구비하여 데이터의 송수신이 일어나고 있는 기간에는 통화채널에 관련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일어나지 않는 기간에는 통화채널은 해제하고 전용제어채널 및 파일롯/PCB채널만을 유지하게 되면 채널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다시 전송할 데이터가 발생하면 빠르게 접속할 수 있다. 전용제어채널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는 역방향 파일롯/PCB채널만 유지된다.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은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상태를 제어 유지 상태(Control Hold State)라고 칭한다.(도 7 참조) 상기 제어 유지 상태(Control Hold State)는 도 8과 같이 2개의 부상태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정상부상태(Normal Substate)이고 다른 하나는 시분할부상태(Slotted Substate)이다. 정상부상태는 통화 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데이터는 없고 전용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 신호만을 주고 받거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만 유지되는 상태이다. 시분할 부상태는 정상부상태가 일정기간 지속되면 오랜기간 데이터의 송수신이 일어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어신호만 계속 주고 받음으로 인하여 전력이 낭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정상부상태에서 송수신하고 있는 제어신호 및 역방향 파일롯/PCB채널도 송수신하지 않는상태이다. 상기 시분할부상태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 상호간에 제어신호를 주고 받지 않음으로 인하여 다시 정상부상태로 천이하기 위해서는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 재동기(Resynchronization)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의 정상 부상태에서 종래의 방식과 같이 전용제어채널을 통하여 전송할 메시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파일롯/PCB채널의 폐루프전력제어에 이용되는 기준값을 전용제어채널이 있을 때 및 데이터 전송 상태에 머무를 때와 같이 유지하면 불필요한 간섭증가를 야기시키고, 전력소모에 따른 단말기 사용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를 도 1a에 도시하고 있다.
먼저,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순방향 채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기 획득 및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채널이 되는 파일롯 채널과 기지국이 관장하는 셀내의 모든 이동국과 제어 메시지 통신이 가능한 순방향 공용 제어 채널 (F-CCCH: Forward Common Control CHannel), 특정 이동국과의 제어 메시지 통신에 사용되는 순방향 전용 제어 채널 (F-DCCH: Forward Dedicated Control CHannel) 및 특정 이동국과 트래픽 데이터를 통신하는 순방향 전용 트래픽 채널 (F-DTCH: Forward Dedicated Traffic CHannel)등이 있다. 상기의 순방향 전용 제어 채널은 시분할 방식에 의하여 특정 이동국과 제어 메시지를 통신하는 시분할 순방향 전용 제어 채널 (Sharable F-DCCH)를 포함한다. 상기의 순방향 전용 트래픽 채널은 순방향 기본 채널 (F-FCH: Forward Fundamental CHannel) 및 순방향 부가 채널(F-SCH:Forward Supplementary CHannel) 등이 있다.
상기 도 1a를 참조하면, 역다중화기(demux)120, 122, 124, 126은 채널부호화 및 인터리빙을 거친 대응되는 채널의 정보들을 I채널과 Q채널로 분배한다. 여기서 상기 역다중화기120, 122, 124, 126은 직병렬 변환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역다중화기120, 122, 124, 126로 입력되는 신호는 신호 변환(signal mapping)된 신호라고 가정한다. 혼합기 110,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및 137은 확산 및 채널구분을 위해 상기의 분배된 데이터와 해당 직교부호를 곱한다. 상기의 혼합기의 출력은 순방향 파일롯 채널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조정하기 위하여 증폭기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및 147을 거친다.
상기의 증폭기의 출력은 I채널과 Q채널별로 각각 합산기 150, 152에 입력되어 가산된다. 이때 상기 가산기150 및 152에 인가되는 신호들은 상기 직교부호들에 의해 채널이 구분된 상태이므로, 각 채널들의 신호들은 직교성을 갖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합산기150 및 152의 출력은 복소확산기(complex multiplier)160에 인가되어 기지국별로 할당된 PN시퀀스와 곱해져 대역확산된다. 상기의 복소확산기 160의 출력은 I채널 및 Q채널별로 여파기 170 및 171을 통과하여 대역폭이 제한된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여파기의 출력은 다시 송출에 필요한 크기로 증폭기 172 및 173에서 증폭된다. 혼합기 174 및 175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반송파를 곱하여 상기 신호를 고주파대역으로 천이시킨다. 합산기 180은 I채널과 Q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한다.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전송되는 전력제어명령은 2가지의 값(전력증가, 전력감소)을 가지며, 하나의 비트(또는 심볼)로 구성되고, 상기 비트의 부호에 따라 상기 이동국은 송신전력증가 또는 송신전력감소를 판단한다. 도 1a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비트의 부호가 양수일 때 송신전력증가, 음수일 때 송신전력감소를 나타내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국 송신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이동국에서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역방향 채널들을 살펴보면, 역방향에는 동기 획득 및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채널이 되는 파일롯 신호와 순방향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전력제어비트(PCB: Power Control Bit)가 다중화된 파일롯/PCB 채널과, 이동국이 속한 셀을 관장하는 기지국과 제어 메시지 통신을 하기 위한 역방향 전용 제어 채널 (R-DCCH: Reverse Dedicated Control CHannel)과, 기지국과 트래픽 데이터를 통신하는 역방향 전용 트래픽 채널 (R-DTCH: Reverse Dedicated Traffic CHannel)에 속하는 역방향 기본 채널 (R-FCH: Reverse Fundamental CHannel) 및 역방향 부가 채널(R-SCH: Reverse Supplemental CHannel) 등이 있다.
다중화기 210은 역방향 파일롯 채널과 순방향 전력제어비트를 다중화하는 장치이다. 혼합기 220, 230, 240, 250 및 260은 채널부호화 및 인터리빙된 상기의 역방향 채널을 채널구분 및 확산하기 위하여 채널들 간에 직교성이 유지되는 직교부호를 곱한다. 상기의 혼합기의 출력은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조정하기 위하여 증폭기 222, 242, 252 및 262를 거친다. 상기의 증폭기의 출력은 I채널과 Q채널별로 각각 합산기 224, 254에 입력되어 합쳐진다. 이때 상기 가산기224 및 254에 인가되는 신호들은 상기 직교부호들에 의해 채널이 구분된 상태이므로, 각 채널들의 신호들은 직교성을 갖고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합산기의 출력은 이동국별로 할당된 PN시퀀스에 의하여 복소확산기인 160에 의하여 스크램블링된다. 상기의 복소확산기 160의 출력은 I채널 및 Q채널별로 여파기 170 및 171을 통과하여 대역폭이 제한된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여파기의 출력은 다시 송출에 필요한 크기로 증폭기 172 및 173에서 증폭된다. 혼합기 174 및 175는 상기 증폭기의 출력에 반송파를 곱하여 상기 신호를 고주파대역으로 천이시킨다. 합산기 180은 I채널과 Q채널의 신호를 합하여 출력한다.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 유지 상태는 전용 트래픽채널이 해제된 상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전용제어채널을 통해 제어신호를 통신하는 상태가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파일럿/PCB 채널의 동작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어유지상태가 정상부상태 및 시분할부상태로 구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이하 설명이 상기 제어유지상태가 정상부상태 및 시분할부상태로 구분되는 경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종래 기술에 의한 기지국 및 이동국의 송신 신호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도 3a, 도 3b의 도면 참조번호 300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역방향 전용 제어 채널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신호 송신도이다. 기지국에서의 재동기 획득과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는 이동국은 연속적으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을송신하며, 폐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에 사용되는 기준값은 θ1으로 프레임 오류율등에 의하여 제어되는 외부 루프 전력 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에 의하여 기준값이 변경되지 않는 한 데이터 전송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의 채널은 제어 유지 상태/시분할 부상태로 천이하면 송신이 중단되지만 천이되기 전까지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을 송신함으로써 역방향 링크의 간섭을 증가시키고 단말의 사용시간을 감소시킨다. 상기의 역방향 링크 간섭 증가는 역방향 링크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도 4a의 도면 참조번호 400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역방향 전용 MAC (Medium Access Control) 논리 채널(dmch: dedicated mac channel)이 생성되었을 때 프레임길이가 5msec인 역방향 전용 제어 채널의 생성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의 dmch 생성후 최대 5 msec이내에 R-DCCH가 전송될 수 있다. R-DCCH가 5msec의 정수배의 위치에서만 존재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존재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적음으로 인하여 기지국이 한 프레임내에서 4곳에서만 R-DCCH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면 된다. 그러나 평균적으로 dmch 발생후 R-DCCH송신까지 프레임길이의 1/2인 2.5 msec의 지연이 발생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의 재동기 획득 과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는 이동국은 연속적으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을 송신하며, 폐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에 사용되는 기준값은 θ1으로 프레임 오류율등에 의하여 제어되는 외부 루프 전력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에 의하여 기준값이 변경되지 않는 한 데이터 전송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4c의 도면 참조번호 410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상기 dmch 생성후 최대 1.25msec R-DCCH가 전송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평균적으로 상기 dmch 발생후 R-DCCH 송신까지 0.625msec지연이 발생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의 재동기 획득과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어 유지 상태/정상부상태에서는 이동국은 연속적으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을 송신하며, 폐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에 사용되는 기준값은 θ1으로 프레임 오류율등에 의하여 제어되는 외부 루프 전력 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에 의하여 기준값이 변경되지 않는 한 데이터 전송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5a의 도면 참조번호 500, 510은 종래의 방식에 의한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R-DCCH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전력제어를 도시한 것이다. 순방향 및 역방향 모두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의 재동기 획득과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는 이동국은 연속적으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을 송신하며, 폐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에 사용되는 기준값은 θ1으로 프레임 오류율등에 의하여 제어되는 외부 루프 전력 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에 의하여 기준값이 변경되지 않는 한 데이터 전송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도 6a의 도면 참조번호 612의 R-DCCH가 20 msec의 기본 프레임내에 5 msec단위로 중첩되지 않게 존재가능할 경우에 도면 참조번호 600, 610은 종래의 방식에의한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R-DCCH가 활성화되었을 때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전력제어를 도시한 것이다. 순방향 및 역방향 모두 동일한 시간간격으로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여기서 기지국에서의 재동기 획득과정을 회피하기 위하여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는 이동국은 연속적으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을 송신하며, 폐루프 전력제어(Closed Loop Power Control)에 사용되는 기준값은 θ1으로 프레임 오류율등에 의하여 제어되는 외부 루프 전력 제어(Outer Loop Power Control)에 의하여 기준값이 변경되지 않는 한 데이터 전송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상기의 종래의 방식에 의한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 기준값의 유지는 기지국에서의 동기 재포착 과정을 회피하고 채널의 상태를 언제라도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역방향 링크에 간섭을 증가시킴으로 인하여 역방향 용량을 감소시킨다. 더불어 순방향 링크에서 데이터 전송 상태와 동일한 속도로 폐루프 전력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역방향 전력제어비트에 의한 순방향 링크의 간섭 증가 및 용량 감소가 초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 유지 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 기준값을 변경하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전력제어 속도를 변경하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명령을 단속적으로 송신하는 통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장치가,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는 제어기와, 상기 변경된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는 순방향 전용제어채널 송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기지국 송신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국 송신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송신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a, 도 3b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유지상태에서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 송신 신호도.
도 4a, 도 4b, 도 4c, 도 4d, 도 4e, 도 4f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유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에 의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 송신 신호도.
도 5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유지상태에서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전력제어구성도.
도 5b, 도 5c,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유지상태에서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전력제어 구성도.
도 6a는 종래기술에 따른 제어유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전력제어 구성도.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도 6f, 도 6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유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에 대한 전력제어 구성도.
도 7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킷데이타 서비스를 위한 상태 천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제어 유지 상태내의 부상태간의 천이도.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주된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앞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동작을 하는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는 이전과 동일한 도면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종래의 방법과 차별화된 과정은 새로운 도면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차별화된 점을 위주로 한다.
이하 설명에서 프레임 길이는 20 msec이고, 한 프레임내에 전력제어군이 16개 존재하기 때문에 전력제어군의 길이가 1.25 msec이고, 전용 제어 채널의 프레임 길이는 5 msec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의 값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선택된 값일 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송신장치는 역방향 전력제어 속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두가지로 구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을 3가지값(송신전력증가, 송신전력유지, 송신전력감소)으로 보내고, 도 1a와 동일한 송신기 구조에서 전력제어정보만 기존의 2가지값(송신전력증가, 송신전력감소)에서 3가지값(송신전력증가, 송신전력유지, 송신전력감소)으로 변경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을 현재와 같이 2가지값(송신전력증가, 송신전력감소)으로 전송하고,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 속도를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에 따라 변경하는 것이다.
상기 전력제어명령을 3가지의 값(송신전력증가, 송신전력유지, 송신전력감소)으로 보내는 방법의 일 예는 도 2에 주어진 것과 같다. 상기 전력제어정보는 하나의 심볼로 구성된다.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송신전력유지를 명령하고자 할 때 상기 심볼값이 실수값 "0"으로 설정한다. 상기 심볼이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심볼의 부호에 따라 상기 이동국에서는 송신전력증가 또는 송신전력감소를 판단한다. 즉,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국으로 송신전력증가를 명령하고자 할 때 상기 심볼값을 실수값 "+1"로 설정하고, 송신전력감소를 명령하고자 할 때 상기 심볼값을 "-1"로 설정한다. 도 2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비트의 부호가 양수(+)일 때 송신전력증가, 음수(-)일 때 송신전력감소, 상기 비트가 0일 때 송신전력유지를 나타내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3가지값을 가질 경우 이동국은 "0"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값을 보유하며, 수신된 신호의 크기가 상기 기준값보다 적을 경우 전송된 전력제어명령이 "0"으로 판단하여 송신전력을 유지한다.
상기 전력제어속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방법이 있을 수있다. 첫 번째 방법은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종래의 전력제어명령을 달성하고자 하는 전력제어속도에 따라 단속적으로 전송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종래의 전력제어명령을 몇 개 단위로 묶어서 하나의 전력제어명령으로 인식하게 함으로써 실효적인 전력제어속도를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는 것은 통상의 제어기(controller)에서 수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 기준값을 각 해당 구성부로 통보하여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이 단속 송신되거나, 반복 송신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을 단속 송신하거나 반복 송신하는 것은, 역방향 전력제어속도를 변경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속도를 상기의 단속적인 방법에 의하여 감소시키는 경우의 기지국 송신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송신도를 구현하는 실제적인 하드웨어 구성이 도 2와 동일할 필요는 없다. 도 1a의 종래의 기지국 송신기 구성과 다른 점은 순방향 전용 제어 채널에 대한 증폭기 142, 143과 144, 145의 출력이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에 의해 역방향 전력제어 속도가 변경됨에 따라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을 단속적 송신 제어기 (Gated Transmission Controller) 190 및 단속기 192, 193, 194, 195에 의하여 송신이 단속된다는 점이다. 즉, 단속적 송신 제어기 (Gated Transmission Controller) 190은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순방향 및 역방향 전용 제어 채널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 역방향 전력제어비트를 이동국과 약속된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에서만 송신하게 한다.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역방향 채널의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에 대응되는 전력제어속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단속적 송신 제어기 190과 단속기 192, 193, 194, 195에 의하여 해당되는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에서만 전력제어명령을 전송한다.
상기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속도를 전력제어명령을 반복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감소시키는 경우의 기지국 송신기 구조는 종래의 방식과 유사하다. 단지 전력제어명령의 생성주기가 길어지고 생성된 전력제어명령이 상기 생성주기내에 존재하는 모든 전력제어명령이 들어갈 수 있는 위치에 반복적으로 들어간다는 점만 차이가 있다. 전력제어명령이 반복되어 복수의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시간 다이버시티도 얻을 수 있고, 시간축에서 볼 때 단속적인 방법에 비하여 긴 시간에 걸쳐 존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으로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국의 송신기 구조는 종래 구조인 도 1b과 비교할 때 도 4와 도 6처럼 역방향 전용제어채널이 활성화되는 구간주위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구성은 상기 도 1b의 이동국 장치에서 증폭기 172 및 173이다. 이동국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증폭기 172 및 173의 증폭도를 조정함으로서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 혹은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 및 이동국의 송신 신호 구성도는 다음과 같다.
도 3a의 도면 참조번호 320, 340, 36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변경함으로써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320은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2(<θ1)인 경우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상대적인 송신 신호도이다. 예를 들면 θ1=(Ec/No)required일 경우 θ21/2=(1/2)×(Ec/No)required이다. 순방향 전력제어명령은 상기의 반복적 송신 방법(다시말해, 동일한 전력제어명령을 하나 이상 송신하는 방법)에 의하여 전력제어속도를 1/2로 감소시킨 것이다. 즉, 이동국은 2개의 전력제어명령을 하나의 순방향 전력제어명령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국은 프레임 구간(20msec)내에서 16번 대신에 8번의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340은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3(<θ21)인 경우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상대적인 송신 신호도이다. 예를 들면 θ1=(Ec/No)required일 경우 θ32/2=θ1/4=(1/4)×(Ec/No)required이다. 순방향 전력제어명령은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전력제어속도를 1/4로 감소시킨 것이다. 즉, 4개의 전력제어명령을 합쳐서 하나의 순방향 전력제어명령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국은 프레임 구간(20msec)내에서 16번 대신에 4번의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360은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4(<θ321)인 경우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상대적인 송신 신호도이다. 예를 들면 θ1=(Ec/No)required일 경우 θ43/2=θ2/4=θ1/8=(1/8)×(Ec/No)required이다. 순방향 전력제어명령은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전력제어속도를 1/8로 감소시킨 것이다. 즉, 8개의 전력제어명령을 합쳐서 하나의 순방향 전력제어명령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국은 프레임 구간(20msec)내에서 16번 대신에 2번의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도 3b의 도면 참조번호 330, 350, 37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변경함으로써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이 천이영역을 거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즉, 기지국에서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기준값을 바꿀 경우 이동국에서 상기의 기준값 변경시점에 맞추어 송신전력을 낮춘다면 도 3a에서와 같은 신호도처럼 별도의 천이영역이 필요하지 않지만 이동국이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의해서만 역방향 채널에 대한 송신전력을 통제받는다면 상기의 천이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상기의 천이영역의 길이는 폐루프 전력제어에서의 전력증감의 크기 및 상기의 기준값이 변경되는 시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값이 3dB만큼 변경되었을 때 전력증감의 크기가 1dB인 경우에는 적어도 3번의 명령을 받아야 원하는 송신전력크기에 도달되며, 전력증감의 크기가 1.5 dB인 경우에는 적어도 2번의 명령을 받아야 원하는 송신전력크기에 도달된다. 상기 도 3b에주어진 예는 전력제어지연이 하나의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이라고 할 경우 직전 프레임의 15번째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에서 기준값이 변경되어 해당 프레임의 첫 번째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부터 이동국 송신전력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것을 보여주며, 전력증감의 크기가 1.5 dB인 경우이다.
상기 도 3d에서 330은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1에서 θ2로 (또는 θ2에서 θ3로, θ3에서 θ4로) 변경되는 경우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상대적인 송신 신호도이다. 상기 도 3b에서 350은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1에서 θ3로 (또는 θ2에서 θ4로) 변경되는 경우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상대적인 송신 신호도이다. 상기 도 3b에서 370은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기지국에서의 역방향 채널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1에서 θ4로 변경되는 경우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상대적인 송신 신호도이다.
도 4a, 도 4b는 R-DCCH가 도 4a의 400과 같이 R-DCCH의 프레임 길이인 5 msec 단위로 기본 프레임인 20 msec내에 4군데의 위치에서만 존재가능한 경우의 송신 신호도이다. 도 4a의 420, 도 4b의 440, 460은 각각 도 3a의 320, 340, 360의 경우에 대한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전용 MAC 논리 채널 dmch가 발생하여 물리 채널인 R-DCCH로 전송하는 경우의 R-DCCH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dmch발생후 R-DCCH 송신까지 걸리는 지연은 최대 5 msec이며 평균지연은 2.5 msec이다.
상기 도 4a의 420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2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도 3a의 320와 같이 정상에서보다 1/2 감소된다. 기지국은 전력제어명령을 2번 반복하여 전송하며, 이동국은 상기 2번 반복되어 전송되는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역방향 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R-DCCH(역방향 전용제어채널 메세지)가 송신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원래의 송신전력으로 복구한다. 또한, 상기 R-DCCH은 미리 설정된 레벨 Δp만큼 증가시켜 송신한다. 상기 Δp는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수 있다.
도 4a의 440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3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도 3a의 340과 같이 정상에서보다 1/4 감소된다. 기지국은 전력제어명령을 4번 반복하여 전송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4번 반복되어 전송되는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역방향 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원래의 송신전력으로 복구한다. 또한, 상기 R-DCCH은 미리 설정된 레벨 Δp만큼 증가시켜 송신한다. 상기 Δp는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수 있다.
도 4a의 460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4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도시한다.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도 3a의 360와 같이 정상에서보다 1/8 감소된다. 기지국은 전력제어명령을 8번 반복하여 전송하며, 상기 이동국은 상기 8번 반복되어 전송되는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역방향 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여기서,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원래의 송신전력으로 복구한다. 또한, 상기 R-DCCH은 미리 설정된 레벨 Δp만큼 증가시켜 송신한다. 상기 Δp는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수 있다.
도 4c, 도 4d, 도 4e, 도 4f는 R-DCCH가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인 1.25 msec 단위로 기본 프레임인 20 msec내에 16군데의 위치에서 존재가능한 경우의 송신 신호도이다.도 4c, 도 4d는 R-DCCH가 존재하는 구간에서만 이동국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킨 경우에 대한 송신 신호도이다. 예를 들면, 증가된 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 θx[dB] (x=1,2,3,4)이다. dmch발생후 R-DCCH 송신까지 걸리는 지연은 최대 1.25 msec이며 평균지연은 0.625 msec이다. 상기의 R-DCCH는 종래의 방식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4c의 430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2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상기 도 4c의 410보다 1/2 감소되었으며, 5번 전력제어군에서 dmch가 발생되고, 다음 전력제어군 6번에서 R-DCCH가 송신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에서는 상기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원래의 송신전력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증가된 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 θ2[dB] 이다. 상기 R-DCCH는 상기 도 4c의 410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4d의 450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3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상기 도 4c의 410보다 1/4 감소되었으며, 5번 전력제어군에서 dmch가 발생되고, 다음 전력제어군 6번에서 R-DCCH가 송신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에서 상기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원래의 송신전력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증가된 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 θ3[dB] 이다. 상기 R-DCCH는 상기 도 4c의 410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4d의 470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4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상기 도 4c의 410보다 1/8 감소되었으며, 5번 전력제어군에서 dmch가 발생되고, 다음 전력제어군 6번에서 R-DCCH가 송신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에서는 상기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원래의 송신전력으로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증가된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 θ4[dB] 이다. 상기 R-DCCH는 상기 도 4c의 410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4e, 도 4f는 R-DCCH가 존재하는 구간앞의 F(≥1)개의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에서부터 구간뒤의 B(≥1)개의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까지 이동국이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킨 경우에 대한 송신 신호도이다. 예를 들면, 증가된 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 θx[dB] (x=2,3,4)이다. 상기의 파라미터 F와 B는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다. 상기의 부가적인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에서의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증가는 기지국에서의 채널추정 등을 도와서 동기복조가 제대로 될 수 있게 한다. dmch발생후 R-DCCH 송신까지 걸리는 지연은 최대 (1+F)×1.25 msec이며 평균지연은 (1+F)×0.625 msec이다. 상기의 R-DCCH는 종래의 방식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4e의 431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2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F=1, B=1)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상기 도 4e의 410보다 1/2 감소되었으며, 5번 전력제어군에서 dmch가 발생되고, 전력제어군 7번에서 R-DCCH가 송신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 앞/뒤의 1개의 전력제어군을 포함하여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증가된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θ2[dB]이다. 그리고 상기 R-DCCH는 상기 도 4e의 410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4f의 451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3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F=1, B=1)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상기 도 4e의 410보다 1/4 감소되었으며, 5번 전력제어군에서 dmch가 발생되고, 전력제어군 7번에서 R-DCCH가 송신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 앞/뒤의 1개의 전력제어군을 포함하여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증가된 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θ3[dB]이다. 그리고 상기 R-DCCH는 상기 도 4e의 410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4f의 471은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4로 변경되었을 때 dmch생성으로 인하여 R-DCCH가 전송되는 경우의 송신신호도를 도시한다. (F=1, B=1) 순방향 전력제어 속도는 상기 도 4e의 410보다 1/8 감소되었으며, 5번 전력제어군에서 dmch가 발생되고, 전력제어군 7번에서 R-DCCH가 송신되는 것을 보여준다. 여기서 이동국은 상기 R-DCCH가 송신되는 구간 앞/뒤의 1개의 전력제어군을 포함하여 역방향/PCB채널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킨다. 여기서 증가된송신전력의 크기는 θ1[dB]-θ4[dB]이다. 그리고 상기 R-DCCH는 상기 도 4e의 410에서의 송신전력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질 수 있는 ΔP만큼의 높은 송신전력으로 송신한다.
도 5b, 도 5c, 도 5d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용제어채널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의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도 5b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2(<θ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2로 감소된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2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 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2로 감소되었다. 도 5b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c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3(<θ2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4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4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4로 감소되었다. 도 5c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d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4(<θ32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지 않았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8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8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5a에 비하여 1/8로 감소되었다. 도 5d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b, 도 6c, 도 6d, 도 6e, 도 6f, 도 6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의 역방향 전용제어채널이 활성화되었을 경우의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도 6b, 도 6c,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활성화된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구간에서만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이 θ1[dB]-θx[dB] (x=2,3,4) 증가되었을 경우의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도 6b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2(<θ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었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2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2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2로 감소되었다. 도 6b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 참조번호 622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도면참조번호 636의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은 R-DCCH가 활성화된 구간동안 기본값으로 유지되며 상기 R-DCCH가 활성화되는 구간 종료 후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의 기준값이 된다.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R-DCCH 종료 후의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이동국은 R-DCCH 활성화로 인하여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생성되어 기지국에서 보내오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대해서는 정상적인 전력제어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된 후의 전력인 도면 참조번호 636을 기준으로 도면 참조번호 634와 같이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θ1[dB]-θ2[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킨다. 도면 참조번호 63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는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6a의 도면 참조번호 61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ΔP만큼 크다. 도면 참조번호 632의 R-DCCH가 활성화되어있는 구간에서의 송신전력이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을 기준으로 발생된 도면 참조번호 628에 속하는 2개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기본적으로 이동국에서는 무시한다. 왜냐하면 상기의 R-DCCH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전력을 증가시켰고, 기지국에서는 상기 R-DCCH의 활성화 여부를 상기 R-DCCH가 활성화된 구간에서는 알 수 없어서 기준값 θ1이 아닌 기준값 θ2(<θ1)를 기준으로 전력제어를 하기 때문에 급격한 페이딩을 겪지 않는 한 전력감소명령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이 송신전력증가를 의미할 경우에는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 전력 증가를 시스템이 수용할 것인지는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결정한다.
도 6c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3(<θ2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었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4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4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4로 감소되었다. 도 6c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 참조번호 642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도면참조번호 656의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은 R-DCCH가 활성화된 구간동안 기본값으로 유지되며 상기 R-DCCH가 활성화되는 구간 종료 후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의 기준값이 된다.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R-DCCH 종료 후의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이동국은 R-DCCH 활성화로 인하여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생성되어 기지국에서 보내오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전력제어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된 후의 전력인 도면 참조번호 656을 기준으로 도면 참조번호 654와 같이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θ1[dB]-θ3[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킨다. 도면 참조번호 65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는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6a의 도면 참조번호 61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ΔP만큼 크다. 도면 참조번호 652의 R-DCCH가 활성화되어있는 구간에서의 송신전력이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을 기준으로 발생된 도면 참조번호 644에 속하는 1개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기본적으로 이동국에서는 무시한다. 왜냐하면 상기의 R-DCCH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전력을 증가시켰고, 기지국에서는 상기 R-DCCH의 활성화 여부를 상기 R-DCCH가 활성화된 구간에서는 알 수 없어서 기준값 θ1이 아닌 기준값 θ3(<θ1)를 기준으로 전력제어를 하기 때문에 급격한 페이딩을 겪지 않는 한 전력감소명령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이 송신전력증가를 의미할 경우에는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 전력 증가를 이동국이 수용할 것인지는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결정한다.
도 6d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4(<θ32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었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8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8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8로 감소되었다. 도 6d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 참조번호 662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도면참조번호 676의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은 R-DCCH가 활성화된 구간동안 기본값으로 유지되며 상기 R-DCCH가 활성화되는 구간 종료 후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의 기준값이 된다.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R-DCCH 종료 후의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이동국은 R-DCCH 활성화로 인하여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생성되어 기지국에서 보내오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전력제어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제어된 후의 전력인 도면 참조번호 676을 기준으로 도면 참조번호 674와 같이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θ1[dB]-θ4[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킨다. 도면 참조번호 67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는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6a의 도면 참조번호 61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ΔP만큼 크다. 도면 참조번호 672의 R-DCCH가 활성화되어있는 구간에서의 송신전력이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을 기준으로 발생된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실시 예인 도 6d에는 존재하지 않음)은 기본적으로 이동국에서는 무시한다. 왜냐하면 상기의 R-DCCH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전력을 증가시켰고, 기지국에서는 상기 R-DCCH의 활성화 여부를 상기 R-DCCH가 활성화된 구간에서는 알 수 없어서 기준값 θ1이 아닌 기준값 θ4(<θ1)를 기준으로 전력제어를 하기 때문에 급격한 페이딩을 겪지 않는 한 전력감소명령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이 송신전력증가를 의미할 경우에는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 전력 증가를 이동국이 수용할 것인지는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결정한다.
도 6e, 도 6f, 도 6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R-DCCH가 존재하는 구간앞의 F(≥1)개의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에서부터 구간뒤의 B(≥1)개의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까지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이 θ1[dB]-θx[dB] (x=2,3,4) 증가되었을 경우의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도 6e, 도 6f, 도 6g의 실시 예에서는 F=1, B=1이다.
도 6e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2(<θ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었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2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2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2로 감소되었다. 도 6e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 참조번호 623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9번의 도면참조번호 637의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은 R-DCCH가 활성화된 구간동안 기본값으로 유지되며 상기 R-DCCH가 활성화되는 구간 종료 후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의 기준값이 된다.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R-DCCH 종료 후의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이동국은 R-DCCH 활성화로 인하여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생성되어 기지국에서 보내오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전력제어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8(=9-F=9-1)번에서 기지국에서의 효과적인 채널추정을 위하여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도면 참조번호 635와 같이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θ1[dB]-θ2[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킨다.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9번에서는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을 기준으로 생성된 도면 참조번호 623의 전력제어명령에 의하여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곱셈의 교환법칙에 의하여 상기 전력제어는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의 송신전력을 상기 623이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의하여 전력제어한 다음 상기의 θ1[dB]-θ2[dB]의 함수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키는 것과 동치이다. (a×b×c = a×c×b) 도면 참조번호 633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는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6a의 도면 참조번호 61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ΔP만큼 크다. 도면 참조번호 633의 R-DCCH 활성화 구간주위에서의 송신전력이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을 기준으로 발생된 도면 참조번호 629에 속하는 2개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기본적으로 이동국에서는 무시한다. 왜냐하면 상기의 R-DCCH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전력을 증가시켰고, 기지국에서는 상기 R-DCCH의 활성화 여부를 상기 R-DCCH가 활성화된 구간에서는 알 수 없어서 기준값 θ1이 아닌 기준값 θ2(<θ1)를 기준으로 전력제어를 하기 때문에 급격한 페이딩을 겪지 않는 한 전력감소명령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이 송신전력증가를 의미할 경우에는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 전력 증가를 시스템이 수용할 것인지는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결정한다.
도 6f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3(<θ2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었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4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4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도 6f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 참조번호 643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9번의 도면참조번호 657의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은 R-DCCH가 활성화된 구간동안 기본값으로 유지되며 상기 R-DCCH가 활성화되는 구간 종료 후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의 기준값이 된다.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R-DCCH 종료 후의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이동국은 R-DCCH 활성화로 인하여 증가된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생성되어 기지국에서 보내오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전력제어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8(=9-F=9-1)번에서 기지국에서의 효과적인 채널추정을 위하여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도면 참조번호 635와 같이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θ1[dB]-θ3[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킨다.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9번에서는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을 기준으로 생성된 도면 참조번호 643의 전력제어명령에 의하여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곱셈의 교환법칙에 의하여 상기 전력제어는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의 송신전력을 상기 623이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의하여 전력제어한 다음 상기의 θ1[dB]-θ3[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키는 것과 동치이다. (a×b×c = a×c×b) 도면 참조번호 653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는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6a의 도면 참조번호 61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ΔP만큼 크다. 도면 참조번호 653의 R-DCCH 활성화 구간주위에서의 송신전력이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을 기준으로 발생된 도면 참조번호 645에 속하는 1개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기본적으로 이동국에서는 무시한다. 왜냐하면 상기의 R-DCCH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전력을 증가시켰고, 기지국에서는 상기 R-DCCH의 활성화 여부를 상기 R-DCCH가 활성화된 구간에서는 알 수 없어서 기준값 θ1이 아닌 기준값 θ3(<θ1)를 기준으로 전력제어를 하기 때문에 급격한 페이딩을 겪지 않는 한 전력감소명령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이 송신전력증가를 의미할 경우에는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 전력 증가를 시스템이 수용할 것인지는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결정한다.
도 6g는 제어유지상태/정상 부상태에서 폐루프 전력제어의 기준값이 θ4(<θ321)로 변경되고 R-DCCH가 활성화되었을 경우에 대한 폐루프 전력제어에 관한 것이다.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가 앞에서 언급한 단속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8로 감소되었다. 상기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를 앞에서 언급한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8로 감소시킬 수도 있다.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속도는 상기의 반복적 방법에 의하여 도 6a에 비하여 1/8로 감소되었다. 도 6f는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에 대하여 핑퐁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지만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도 동일한 핑퐁다이어그램을 나타내며, 순방향 폐루프 전력제어를 위한 순방향 신호세기의 측정은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 또는 순방향 파일롯 채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도면 참조번호 663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은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9번의 도면참조번호 677의 전력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은 R-DCCH가 활성화된 구간동안 기본값으로 유지되며 상기 R-DCCH가 활성화되는 구간 종료 후의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의 기준값이 된다. 상기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초기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R-DCCH 종료 후의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가 수행된다. 이동국은 R-DCCH 활성화로 인하여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생성되어 기지국에서 보내오는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전력제어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8(=9-F=9-1)번에서 기지국에서의 효과적인 채널추정을 위하여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의 송신전력을 기준으로 도면 참조번호 675와 같이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송신전력을 θ1[dB]-θ3[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킨다.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9번에서는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을 기준으로 생성된 도면 참조번호 663의 전력제어명령에 의하여 전력제어를 수행한다. 곱셈의 교환법칙에 의하여 상기 전력제어는 전력제어군 또는 시간슬롯 7번의 송신전력을 상기 663이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의하여 전력제어한 다음 상기의 θ1[dB]-θ4[dB]로 주어지는 양만큼 증가시키는 것과 동치이다. (a×b×c = a×c×b) 도면 참조번호 673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는 도 4의 설명에서 언급한 것처럼 도 6a의 도면 참조번호 612의 R-DCCH 송신전력의 크기에 비하여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ΔP만큼 크다. 도면 참조번호 673의 R-DCCH 활성화 구간주위에서의 송신전력이 증가된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을 기준으로 발생된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실시 예인 도 6g에는 존재하지 않음)은 기본적으로 이동국에서는 무시한다. 왜냐하면 상기의 R-DCCH를 효과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의 전력을 증가시켰고, 기지국에서는 상기 R-DCCH의 활성화 여부를 상기 R-DCCH가 활성화된 구간에서는 알 수 없어서 기준값 θ1이 아닌 기준값 θ4(<θ1)를 기준으로 전력제어를 하기 때문에 급격한 페이딩을 겪지 않는 한 전력감소명령이 올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상기의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이 송신전력증가를 의미할 경우에는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력제어명령에 따라 이동국의 송신전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송신 전력 증가를 시스템이 수용할 것인지는 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결정한다.
상기의 종래의 방식에 의하여 제어 유지 상태/정상 부상태에서 데이터 전송 상태에서 사용하던 폐루프 전력제어 기준값을 그대로 사용하여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제어하는 것은 기지국에서의 동기 이탈 확률을 적정한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유리하지만 앞에서도 언급한 것처럼 송신하고자 하는 역방향 메시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역방향 파일롯/PCB채널을 송신함으로써 역방향 링크의 간섭을 증가시켜 역방향 용량을 감소시킴과 더불어 이동국에서의 전력소모를 증가시킴으로써 이동국의 사용시간을 단축시킨다. 또한 순방향 링크에서 연속적인 역방향 전력제어비트를 보냄으로 인하여 순방향 링크의 간섭 증가 및 용량 감소를 초래한다. 상기의 기지국에서의 동기 이탈 확률 및 역방향 전력제어비트 송신에 의한 간섭 증가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기지국에서의 동기 이탈이 적정범위내에 들어오는 범위내에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에 의한 간섭증가를 최소화하고 단말의 사용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의 동기 이탈 확률 및 역방향 전력제어비트 송신에 의한 간섭 증가를 최소화하고, 기지국에서의 동기 이탈이 적정범위내에 들어오는 범위내에서 역방향 파일롯/PCB 채널의 송신전력을 최소화하여 역방향 링크에서의 간섭증가를 최소화함으로써 용량증대를 추구하고 송신전력감소로 인하여 이동국의 사용시간을 최대화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Claims (22)

  1.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는 제어기와,
    상기 변경된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는 순방향 전용제어채널 송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전력제어비트의 송신주기를 나타내는 단속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단속율에 따라 상기 전용제어채널 송신기로부터의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단속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3.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는 기지국 장치와,
    상기 기지국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제어비트에 따라 역방향 파일롯 채널의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이동국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전력제어비트의 송신주기를 나타내는 단속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단속율에 따라 상기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파일롯 채널은 순방향 전력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장치는,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시 상기 역방향 파일롯채널의 송신전력을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 보다 크게 증가시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 장치는, 상기 역방향 전용제어채널을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소정 크기만큼 증가시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 장치는, 상기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 구간에서 수신되는역방향 전력제어비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 장치는, 상기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 구간에서 수신되는 역방향 전력제어비트중 전력감소명령은 무시하고, 전력증가명령은 상기 역방향 송신전력 조정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장치는,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시 상기 활성화 구간을 포함하며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구간동안 상기 파일롯채널의 송신전력을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 보다 크게 증가시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장치.
  11.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전력제어비트 생성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생성주기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발생하는 제어기와,
    상기 발생된 전력제어비트를 다음 전력제어비트의 생성때까지 반복 송신하는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송신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장치.
  12.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는 과정과,
    상기 변경된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송신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전력제어비트의 송신주기를 나타내는 단속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단속율에 따라 상기 전용제어채널 송신기로부터의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송신방법.
  14. 기지국이,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는 과정과,
    이동국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전력제어비트에 따라 역방향 파일롯 채널의 송신전력을 조정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상기 전력제어비트의 송신주기를 나타내는 단속율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단속율에 따라상기 전력제어비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파일롯 채널은 순방향 전력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시 상기 활성화 구간에서 상기 역방향 파일롯채널의 송신전력을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 제어 기준값보다 크게 증가시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용제어채널을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크기만큼 증가시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 구간에서 수신되는 역방향 전력제어비트를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상기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 구간에서 수신되는 역방향 전력제어비트중 전력감소명령은 무시하고, 전력증가명령은 상기 역방향 송신전력 조정에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역방향 전용제어채널 활성화시 상기 활성화 구간을 포함하며 시스템 파라미터로 주어지는 구간동안 상기 역방향 파일롯채널의 송신전력을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 보다 크게 증가시켜 송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통신방법.
  22. 제어유지상태에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역방향 폐루프 전력제어기준값에 따라 전력제어비트 생성주기를 결정하며, 상기 결정된 생성주기에 따라 역방향링크의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제어비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발생된 전력제어비트를 다음 생성주기때까지 반복하여 송신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송신방법.
KR1019980035056A 1998-08-25 1998-08-25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KR10033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056A KR100339034B1 (ko) 1998-08-25 1998-08-25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JP2000567026A JP3701200B2 (ja) 1998-08-25 1999-08-25 符号分割多重接続通信システムの制御保持状態における逆方向閉ループ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
AU55300/99A AU746366B2 (en) 1998-08-25 1999-08-25 Reverse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control hold state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RU2000110292A RU2217868C2 (ru) 1998-08-25 1999-08-25 Обратное управление мощностью по замкнутому контуру в фиксированном состоянии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системы связи с множественным доступом и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мдкр)
BR9906765A BR9906765A (pt) 1998-08-25 1999-08-25 Dispositivos de estação de base, e de comunicação para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e, processos de transmissão para uma estação de base, e de comunicação para um sistema de comunicação móvel
CN99801428A CN1111322C (zh) 1998-08-25 1999-08-25 用于码分多址通信系统在控制保持状态中的反向闭环功率控制
US09/382,443 US7079522B1 (en) 1998-08-25 1999-08-25 Reverse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control hold state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PCT/KR1999/000482 WO2000011877A2 (en) 1998-08-25 1999-08-25 Reverse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control hold state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CA002308252A CA2308252C (en) 1998-08-25 1999-08-25 Reverse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control hold state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EP99941814.8A EP1034622B1 (en) 1998-08-25 1999-08-25 Reverse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control hold state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US10/305,711 US6816476B2 (en) 1998-08-25 2002-11-27 Reverse closed loop power control in control hold state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056A KR100339034B1 (ko) 1998-08-25 1998-08-25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258A KR20000015258A (ko) 2000-03-15
KR100339034B1 true KR100339034B1 (ko) 2002-10-11

Family

ID=36659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056A KR100339034B1 (ko) 1998-08-25 1998-08-25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079522B1 (ko)
EP (1) EP1034622B1 (ko)
JP (1) JP3701200B2 (ko)
KR (1) KR100339034B1 (ko)
CN (1) CN1111322C (ko)
AU (1) AU746366B2 (ko)
BR (1) BR9906765A (ko)
CA (1) CA2308252C (ko)
RU (1) RU2217868C2 (ko)
WO (1) WO20000118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5652B1 (en) 1995-06-30 2005-04-2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929498B2 (en) 1995-06-30 2011-04-1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daptive forward power control and adaptive reverse power control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ZA965340B (en) 1995-06-30 1997-01-27 Interdigital Tech Corp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ystem
US7020111B2 (en) 1996-06-27 2006-03-28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for using rapid acquisition spreading codes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US7123600B2 (en) * 1995-06-30 2006-10-1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Initial power control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US20020051434A1 (en) * 1997-10-23 2002-05-02 Ozluturk Fatih M. Method for using rapid acquisition spreading codes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KR100401211B1 (ko) * 1998-09-03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에서역방향파일럿신호의통신장치및방법
US6904079B2 (en) * 2000-02-08 2005-06-07 Ipr Licensing, Inc. Access channel stru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876866B1 (en) * 2000-07-13 2005-04-05 Qualcomm Incorporated Multi-state power contro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02041530A1 (fr) * 2000-11-16 2002-05-23 Sony Corporation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et appareil de communication
WO2002056504A1 (fr) * 2001-01-12 2002-07-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metteur et procede d'emission
US7006483B2 (en) * 2001-02-23 2006-02-28 Ipr Licensing, Inc. Qualifying available reverse link coding rates from access channel power setting
US20030027587A1 (en) 2001-06-13 2003-02-06 Tantivy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on of wireless maintenance channel power control
US7228146B2 (en) 2001-06-26 2007-06-05 Nxp B.V. Estimating Eb/Nt in a CDMA system using power control bits
US7251228B2 (en) * 2002-03-05 2007-07-3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cell switch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DE60322533D1 (de) * 2002-06-07 2008-09-11 Nokia Corp Vorrichtung und zugeordnetes verfahren zum ermöglichen der kommunikation in einem funkkommunikationssystem, das datenkommunikation mit mehreren datenraten bereitstellt
US7363039B2 (en) 2002-08-08 2008-04-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creating and utilizing diversity in multiple carrier communication system
US6788963B2 (en) * 2002-08-08 2004-09-07 Flarion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mobile nodes in multiple a states
US8504054B2 (en) * 2002-09-10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scheduling
US7630321B2 (en) * 2002-09-10 2009-12-0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te assignment
TWI332326B (en) 2002-10-17 2010-10-21 Interdigital Tech Corp Power control for communications systems utilizing high speed shared channels
US8165148B2 (en) * 2003-01-13 2012-04-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rate assignment
US9544860B2 (en) * 2003-02-24 2017-01-10 Qualcomm Incorporated Pilot signals for use in multi-sector cells
US9661519B2 (en) * 2003-02-24 2017-05-23 Qualcomm Incorporated Efficient reporting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218948B2 (en) 2003-02-24 2007-05-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transmitting pilot tones in a multi-sector cell, including null pilot tones, for genera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s
US8811348B2 (en) * 2003-02-24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communicating, and/or using information relating to self-noise
FI20031582A0 (fi) * 2003-10-30 2003-10-30 Nokia Corp Takaisinkytkentäinen tehonsäätömenetelmä tiedonvälitysjärjestelmässä
US7551637B2 (en) * 2004-01-23 2009-06-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ensitive schedul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8517539A (ja) 2004-10-14 2008-05-22 クゥアルコム・フラリオン・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干渉制御のために使用され得る情報を決定し、伝達し、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8503938B2 (en) 2004-10-14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 using information including loading factors which can be used for interference control purposes
FI20045450A0 (fi) * 2004-11-22 2004-11-22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radioyhteyden kontrolloimiseen
EP1844559B1 (en) * 2005-01-13 2013-05-22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accomplishing tpc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4668733B2 (ja) * 2005-08-19 2011-04-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伝送速度制御方法及び移動局
US9071344B2 (en) 2005-08-22 2015-06-30 Qualcomm Incorporated Reverse link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014152B2 (en) 2008-06-09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Increasing capacity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8611305B2 (en) * 2005-08-22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9191840B2 (en) * 2005-10-14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 using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for interference control
US8694042B2 (en) * 2005-10-14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base station's transmission power budget
US9125092B2 (en) 2005-12-22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nd/or using control information
US8437251B2 (en) 2005-12-22 2013-05-0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ransmission backlog information
US9137072B2 (en) 2005-12-22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ontrol information
US20070149132A1 (en) 2005-12-22 2007-06-28 Junyl Li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selecting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US20070253449A1 (en) * 2005-12-22 2007-11-01 Arnab Das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determining, communicating, and/or using delay information
US9572179B2 (en) 2005-12-22 2017-02-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transmission backlog information
US9119220B2 (en) * 2005-12-22 2015-08-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acklog related information
US9148795B2 (en) * 2005-12-22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flexible reporting of control information
US9125093B2 (en) * 2005-12-22 2015-09-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ed to custom control channel reporting formats
US9473265B2 (en) 2005-12-22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utilizing a plurality of dictionaries
US9451491B2 (en) * 2005-12-22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generating and transmitting initial and additional control information report sets in a wireless system
US9338767B2 (en) 2005-12-22 2016-05-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of implementing and/or using a dedicated control channel
US8514771B2 (en) 2005-12-22 2013-08-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nd/or using transmission power information
US20070243882A1 (en) 2006-04-12 2007-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ssociated with a wireless wide area network
FI20065454A0 (fi) * 2006-06-29 2006-06-29 Nokia Corp Kontrollimenetelmä, kontrolliväline, kommunikaatioväline, tietokoneohjelma, tietokoneohjelman jakeluväline ja tiedonkäsittelymenetelmä
FI20065455A0 (fi) * 2006-06-29 2006-06-29 Nokia Corp Kontrollimenetelmä, väline, tietokoneohjelmatuote ja tietokoneohjelman jakeluväline
SI2515587T1 (sl) 2007-01-11 2021-02-26 Qualcomm Incorporated Uporaba DTX in DRX v brezžičnem komunikacijskem sistemu
CN101282507B (zh) * 2007-04-05 2011-07-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及数据传输系统
GB0709812D0 (en) * 2007-05-22 2007-07-04 Nokia Corp Calibration method and calibration manager
GB0709813D0 (en) * 2007-05-22 2007-07-04 Nokia Corp A radio frequency apparatus
US9277487B2 (en) 2008-08-01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Cell detection with interference cancellation
US9237515B2 (en) 2008-08-01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Successive detection and cancellation for cell pilot detection
CN101466140B (zh) * 2008-12-15 2011-07-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呼叫成功率的方法及其基站系统
CN101494894B (zh) * 2008-12-31 2011-01-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反向功率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9160577B2 (en) 2009-04-30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SAIC receiver
US7852763B2 (en) * 2009-05-08 2010-12-14 Bae Systems Information And Electronic Systems Integr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order for packets at a no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0147110A1 (ja) * 2009-06-15 2010-12-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基地局、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方法
BR112012012632B1 (pt) 2009-11-27 2020-12-15 Qualcomm Incorporated Método e equipamento para aumentar a capacidade de transmissão em comunicações sem fio, e memória legível por computador
CN102668612B (zh) 2009-11-27 2016-03-02 高通股份有限公司 增加无线通信中的容量
US8942750B2 (en) * 2011-01-07 2015-01-27 Apple Inc. Power control in a mobile device
US9686815B2 (en) * 2011-11-02 2017-06-20 Qualcomm Incorporated Devices and methods for manag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at a wireless access terminal
EP2930981B1 (en) * 2014-04-08 2018-02-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user equipment communicating with low power base station and high power base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7487A (en) * 1991-05-28 1992-04-21 Motorola, Inc. Power control of a direct sequence CDMA radio
EP0548939B1 (en) * 1991-12-26 2000-09-13 Nec Corporation Transmission power control system capable of keeping signal quality constant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974274B2 (ja) * 1994-05-12 1999-11-1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送信電力制御装置
JP2993554B2 (ja) 1994-05-12 1999-12-20 エヌ・ティ・ティ移動通信網株式会社 送信電力制御法および前記送信電力制御法を用いた通信装置
US6334219B1 (en) * 1994-09-26 2001-12-25 Adc Telecommunications Inc. Channel selection for a hybrid fiber coax network
EP0753947B1 (en) * 1995-07-11 2002-11-27 Alcatel Capacity allocation in a multicarrier system
AU3260195A (en) 1995-08-31 1997-03-19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of a radio transmitter in a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US5751763A (en) * 1996-03-15 1998-05-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039402B2 (ja) * 1996-12-05 2000-05-0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の送信電力制御装置
JP3386098B2 (ja) * 1996-06-20 2003-03-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信号伝送方法、移動局装置および基地局装置
US5757846A (en) * 1996-08-30 1998-05-26 Vasudevan; Subramanian CDM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with dual-mode receiver
FI106666B (fi) 1997-01-24 2001-03-15 Nokia Networks Oy Tehonsäätömenetelmä epäjatkuvaan lähetykseen
US6321066B1 (en) 1997-02-13 2001-11-2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onal radio communication
US5963870A (en) * 1997-03-26 1999-10-05 Nortel Networks Corporation Process for switching between IS-95 forward power control and fast forward power control
KR100414932B1 (ko) * 1998-01-24 200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데이타통신방법
EP1101294B1 (en) * 1998-07-28 2010-1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ted transmission in control hold stat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US6542756B1 (en) * 2000-02-29 2003-04-01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detecting forward link power control bits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1268637A (ja) * 2000-03-15 2001-09-28 Nec Corp 移動機及び基地局並びにそれ等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
JP3414357B2 (ja) * 2000-04-25 2003-06-09 日本電気株式会社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079522B1 (en) 2006-07-18
US6816476B2 (en) 2004-11-09
JP2002523988A (ja) 2002-07-30
WO2000011877A2 (en) 2000-03-02
JP3701200B2 (ja) 2005-09-28
WO2000011877A3 (en) 2000-06-29
CN1277760A (zh) 2000-12-20
CA2308252A1 (en) 2000-03-02
EP1034622B1 (en) 2016-05-18
BR9906765A (pt) 2001-04-10
KR20000015258A (ko) 2000-03-15
AU5530099A (en) 2000-03-14
AU746366B2 (en) 2002-04-18
CA2308252C (en) 2003-10-14
EP1034622A2 (en) 2000-09-13
CN1111322C (zh) 2003-06-11
US20030078067A1 (en) 2003-04-24
RU2217868C2 (ru)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903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제어유지상태에서역방향폐루프전력제어장치및방법
US69176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ted transmission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KR100429529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채널신호를단속적으로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315670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단속 송신장치 및 방법
US6480481B1 (en) Gated transmission in control hold stat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EP1420538B1 (en) Method for gated transmission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KR100492968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 부상태에서의 단속적채널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0374336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단속 송신 장치 및 방법
KR100365334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단속적 채널 송신장치 및방법
RU223354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ередачи со стробированием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мдкр
KR100306285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상태에서 단속적 송신방법 및 장치
KR20010037766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 부상태에서의 단속적채널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36218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 부상태에서의 단속적채널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54027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단속 송신장치 및 방법
KR20010048496A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제어유지 부상태에서의단속적 채널 송신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