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899B1 -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899B1
KR100327899B1 KR1019990048442A KR19990048442A KR100327899B1 KR 100327899 B1 KR100327899 B1 KR 100327899B1 KR 1019990048442 A KR1019990048442 A KR 1019990048442A KR 19990048442 A KR19990048442 A KR 19990048442A KR 100327899 B1 KR100327899 B1 KR 10032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mirror
light
laser
optical
ampl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8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5235A (ko
Inventor
전민용
이학규
임동성
안준태
장도일
김경헌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48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899B1/ko
Priority to US09/705,582 priority patent/US6560251B1/en
Publication of KR20010045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5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91Fibre ring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0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ibre, e.g. compositions, cross-section, shape or tapering
    • H01S3/06712Polarising fibre; Polari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8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S3/08059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flector, e.g.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6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devices placed within the cavity
    • H01S3/108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by controlling devices placed within the cavity using non-linear optical devices, e.g. exhibiting Brillouin or Raman scatt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1Mode locking; Q-switching; Other giant-pulse techniques, e.g. cavity dumping
    • H01S3/1106Mode locking
    • H01S3/1109Active mode loc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 H01S3/139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by controlling the mutual position or the reflecting properties of the reflectors of the cavity, e.g. by controlling the cavity leng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루우프 거울의 반사 신호를 에러 신호로 검출하여 이 신호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광신호를 레이저 공진기에 되먹임시키고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를 안정화시키는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펌핑(Laser Pumping)된 레이저를 비선형적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NALM : Non-linear Amplitude Loop Mirror)과;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에 의하여 충분히 증폭된 레이저를 가두기 위한, 폐쇄된 루우프 형태의 선형 루우프 거울과;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에서 가두어진 광을 한쪽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광 고립기(Isolator)와; 상기 비선형 증폭 루우프 거울에서 광이 비선형 위상 변화를 일으켜서 선형루우프 거울의 광 고립기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을 검출하기 위한 광 검출기와; 상기 광 검출기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검출되면, 상기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를 구현하고, 이를 다시 되먹임(feedback)시켜서 안정화시키는 PZT(PieZo-electric Transduc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Mode-locked laser stabiliz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신호를 레이저 공진기에 되먹임시킴으로서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의 안정화를 꾀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능동형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에서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광신호에서 상당한 에러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에러 발생은 실제 시스템에서 레이저를 사용할 수 없게 한다.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드 로킹된 광섬유 레이저의 광신호 안정화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 지금까지 능동형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에서 안정화 구도는 여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종래의 능동형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에서의 안정화 기술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의한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 변화를 보상해주는 것으로, 광신호의 이완 발진(Relaxation Oscillation)의 신호를 이용하거나, 2x2 광 변조기를 이용하여 광신호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 변화를 보상하여 주는 신호 처리방법등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선행 기술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Xuekang Shan'이 권리권자인 선행 특허 'Mode - locked fiber ring laser stabilization'(미국 특허 등록 번호 : 5,590,142)은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출력 안정화에 관한 특허로서,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링 레이저의 공진기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이 있고, 이득 광섬유의 Lifetime 보다 적은 어떠한 주파수를 이용하여 레이저 공진기 변화를 알아낸 후, 레이저 출력 광펄스의 위상을 잠금시켜 줌으로써, 레이저 광펄스를 안정화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광섬유 레이저의 길이는 PZT(PieZo-electric Transducer)를 이용하여 조절이 가능하고, 링 레이저는 신서사이저(Synthesizer)를 이용하여 광 변조기에 공진기의 조화 주파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로 변조를 해 줌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상기 PZT 소자는 레이저 출력의 위상을 신서사이저의 위상과 비교하여 에러 신호를 검출한 후, 신호 처리되는 되먹임 신호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Hidehiko Takara'가 권리권자인 선행 특허 'Mode - Locked laser stab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미국 특허 등록 번호 : 5,646,774)는 이완 발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모드 로킹된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를 안정화시키는 특허로서, 특히, 레이저 출력의 안정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모드 로킹된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 안정화의 방법으로서, 광변조기 부분, 전기적인 신호로 레이저 공진기 길이의 변화를 보상하여 주기 위하여 광경로 길이를 변화시켜 주는 광소자, 변조된 광신호를 증폭시켜 주는 증폭 부분 및 이완 발진 주파수 성분과 레이저 광출력의조화 주파수 성분을 뽑아낼 수 있는 광소자를 포함하여 에러 신호를 되먹임해 주는 것을 포함하는 링형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의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이완 발진 주파수 성분을 측정하여 상기 신호가 최소화하도록 신호 처리를 하여 레이저 공진기 안의 길이 변화를 줄 수 있는 소자에 되먹임하여 레이저 공진기를 안정화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종래의 선행 기술들 모두 레이저 공진기의 안정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신호 처리 부분이 복잡하여 구현하기가 간단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섬유 루우프 거울의 반사 신호를 에러 신호로 검출하여 이 신호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광신호를 레이저 공진기에 되먹임시키고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를 안정화시키는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01 : 펌프 레이저(Pump Laser)
102 : 어븀(Er) 첨가 광섬유
103 :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NALM : Non-linear Amplitude Loop Mirror)
104 : 편광 유지 단일 모드 광섬유(PM - SM Fiber)
105 : 50 % 광섬유 결합기
106 : PZT(PieZo-electric Transducer)
107 : 광 변조기(Modulator)
108 : 광 고립기(Isolator)
109 : 10 % 광섬유 결합기
110 : 광 검출기(Photo Diode)
111 : 회로부
120 : 선형 루우프 거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펌핑(Laser Pumping)된 레이저를 비선형적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NALM : Non-linear Amplitude Loop Mirror)과;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에 의하여 충분히 증폭된 레이저를 가두기 위한, 폐쇄된 루우프 형태의 선형 루우프 거울과;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에서 가두어진 광을 한쪽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광 고립기(Isolator)와; 상기 비선형 증폭 루우프 거울에서 광이 비선형 위상 변화를 일으켜서 선형루우프 거울의 광 고립기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을 검출하기 위한 광 검출기와; 상기 광 검출기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검출되면, 상기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를 구현하고, 이를 다시 되먹임(feedback)시켜서 안정화시키는 PZT(PieZo-electric Transduc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광펌핑(Laser Pumping)된 레이저를 비선형적으로 증폭시킨 후, 이를 가두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가두어진 광을 한쪽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광이 위상 변화를 일으켜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있으면, 이를 검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검출되면, 상기 반대 방향의 광량을 최소화시켜 주는 방향으로 신호 처리를 구현하고, 이를 다시 되먹임(Feedback)시켜서 안정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의구성도로서, 상기 레이저 안정화 장치는 이득 매질을 광펌핑할 수 있는 펌프 레이저(101, Pump Laser), 비선형 효과를 주기 위한 어븀(Er)이 첨가된 광섬유(102),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103, NALM : Non-linear Amplitude Loop Mirror), 비선형성을 주기 위한 편광 유지 단일 모드 광섬유(104, PM-SM Fiber), 50 % 광섬유 결합기(105, Photo Coupler), 광 신호의 되먹임에 의하여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를 보상해 주는 전기적으로 가변되는 PZT 소자(106), 일정한 주파수로 공진기의 손실이나 위상을 변조하여 능동형 모드 로킹을 구현하기 위한 광 변조기(107, Photo Modulator), 한 방향으로 광이 진행하도록 하기 위한 광 고립기(108, Photo Isolator), 레이저 출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10 % 광섬유 결합기(109, Photo Coupler), 광 검출기(110, Photo Diode), 회로부(111) 및 선형 루우프 거울(120)로 구성되어 있다.
이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광 섬유 레이저가 발진하기 위하여 상기 펌프 레이저(101)를 이용하여 광 펌핑을 해주면, 상기 펌핑된 광은 상기 어븀 첨가 광섬유(102)를 통과하여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103)에서 충분히 증폭이 된다. 이 때,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103) 내의 광은 상기 편광 유지 단일 모드 광섬유(104)에 의하여 편광이 유지된다.
한편,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103)의 광은 충분히 증폭이 되면, 상기 50 % 광섬유 결합기(105)에 의하여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120)로 진행하며, 이 때, 상기 광 변조기(107)에 의하여 능동형 모드 로킹이 구현이 된다. 또한, 상기선형 루우프 거울(120) 내의 광은 상기 광 고립기(108)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이 되며, 이것은 상기 10 % 광섬유 결합기(109)를 통하여 모니터링 된다.
여기서 광섬유 레이저를 안정화하기 위해서 상기 10 % 광섬유 결합기의 출력 포트 반대 방향에서(즉, 상기 광 고립기와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120)로부터 진행한 빛을 상기 광 검출기(110)에 의하여 모니터한다.
이상적인 루우프 거울의 경우에 루우프 거울에서 모드 로킹이 구현되면, 광신호는 완전히 투과하게 되고, 루우프 거울에서 반사하는 광은 거의 없게 된다. 반면 루우프 거울에서 광의 위상 변화가 생기면, 에러 신호로 작용하여 어느 정도의 빛이 반사되고, 이는 상기 10 % 광섬유 결합기(109)의 출력 반대 포트에서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모드 로킹된 광섬유 레이저가 이상적으로 발진하게 되며, 상기 비선형 증폭 루우프 거울(103)은 광을 모두 투과하게 되지만, 길이 변화나 편광 변화 등에 의하여 루우프 거울에서 위상 변화가 생기면, 반사하는 방향에서 빛을 검출 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빛의 양을 최소화시켜 주는 방향으로 신호 처리를 구현하고, 이를 다시 되먹임 시켜서, 상기 PZT 소자(106)로 광신호를 입력하여 주어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를 안정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부(111)는 상기 광 검출기(110)에서 모니터링된 역방향 광량에 따라, 상기 PZT 소자(106)의 전기적 제어를 담당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섬유 루우프 거울의 반사 신호를 에러 신호로 검출하여 이 신호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광신호를 레이저 공진기에 되먹임시키고, 광섬유 레이저 공진기의 길이를 안정화하는 것으로서, 기존의 광섬유 안정화 장치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고 쉽게 레이저를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9)

  1. 광펌핑(Laser Pumping)된 레이저를 비선형적으로 증폭시키기 위한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NALM : Non-linear Amplitude Loop Mirror)과;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에 의하여 충분히 증폭된 레이저를 가두기 위한, 폐쇄된 루우프 형태의 선형 루우프 거울과;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에서 가두어진 광을 한쪽 방향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광 고립기(Isolator)와;
    상기 비선형 증폭 루우프 거울에서 광이 비선형 위상 변화를 일으켜서 선형루우프 거울의 광 고립기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을 검출하기 위한 광 검출기와;
    상기 광 검출기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검출되면, 상기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량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신호 처리를 구현하고, 이를 다시 되먹임(feedback)시켜서 안정화시키는 PZT(PieZo-electric Transducer)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 내의 광을 모드 로킹(Mode-Locking) 시키기 위한 광 변조기(Modulato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공진기 안정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 내를 통과하고 있는 광의 이득 매질을 광펌핑하기 위한 펌프 레이저(Pump Lase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광의 이득 매질을 얻고, 상기 펌프 레이저에 의하여 광펌핑된 광을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로 도파시키기 위하여 상기 펌프 레이저와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 사이에 설치된 어븀(Er)을 첨가한 광섬유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을 통과하고 있는 광의 편광을 유지시키기 위한 편광 유지 단일 모드 광섬유(PM - SM Fiber)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 내의 광을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로 도파시키기 위하여 상기 비선형 광증폭 루우프 거울과 상기 선형 루우프 거울 사이에 설치된 광섬유 결합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장치.
  7. 광펌핑(Laser Pumping)된 레이저를 비선형적으로 증폭시킨 후, 이를 가두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가두어진 광을 한쪽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하는 광이 위상 변화를 일으켜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있으면, 이를 검출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검출되면, 상기 반대 방향의 광량을 최소화시켜 주는 방향으로 신호 처리를 구현하고, 이를 다시 되먹임(Feedback)시켜서 안정화시키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가두어진 광을 모드 로킹(Mode-Locking) 시키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광펌핑된 레이저를 비선형적으로 증폭시킬 때, 상기 증폭된 광의 편광을 유지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레이저의 공진기 안정화 방법.
KR1019990048442A 1999-11-03 1999-11-03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327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442A KR100327899B1 (ko) 1999-11-03 1999-11-03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US09/705,582 US6560251B1 (en) 1999-11-03 2000-11-02 Mode-locked laser stabiliz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442A KR100327899B1 (ko) 1999-11-03 1999-11-03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235A KR20010045235A (ko) 2001-06-05
KR100327899B1 true KR100327899B1 (ko) 2002-03-09

Family

ID=1961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42A KR100327899B1 (ko) 1999-11-03 1999-11-03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60251B1 (ko)
KR (1) KR100327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846B1 (ko) * 2000-12-26 2002-09-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공진 장치
CN100350684C (zh) * 2005-11-23 2007-11-21 安徽大学 调频窄线宽保偏光纤激光器
DE112014005158B4 (de) * 2013-11-12 2022-02-17 Imra America, Inc. Kompakte faserbasierte Kurzpuls-Laserquellen
CN104064939A (zh) * 2014-03-24 2014-09-24 中国科学院上海光学精密机械研究所 锁模光纤激光器
CN104964681B (zh) * 2015-07-16 2017-10-13 陕西华燕航空仪表有限公司 一种开环光纤陀螺的自检电路及自检方法
CN107039877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一种高稳定度光脉冲发生器
CN107039880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主被动混合锁模光纤激光器脉冲产生系统
CN107134712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一种带有温度补偿的主被动混合锁模光纤激光器
CN107302176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一种高稳定度主被动混合锁模光孤子产生系统
CN107134711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基于压电陶瓷反馈控制的光脉冲发生器
CN107302177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基于黑磷可饱和吸收体的主被动混合锁模脉冲产生系统
CN107093838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利用压电陶瓷反馈控制的数字化光脉冲产生装置
CN107069415B (zh) * 2017-06-26 2019-06-18 吉林大学 基于石墨烯可饱和吸收体的主被动混合锁模光脉冲发生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4771A (en) * 1992-11-03 1996-04-0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iber-optic ring laser
KR970054964A (ko) * 1995-12-07 1997-07-31 양승택 광섬유 레이저
US5777778A (en) * 1996-01-23 1998-07-0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Loop opto-electronic microwave oscillator with a wide tuning range
JPH11121847A (ja) * 1997-10-14 1999-04-30 Ando Electric Co Ltd 光パルス発生器
US5926492A (en) * 1996-09-02 1999-07-2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Corporation Laser pulse oscilla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0142A (en) 1993-02-25 1996-12-3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ode-locked fibre ring laser stabilization
JP3234429B2 (ja) 1995-01-17 2001-12-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モード同期レーザの動作安定化装置
US5537671A (en) * 1995-02-10 1996-07-1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Technique of reducing the Kerr effect and extending the dynamic range in a brillouin fiber optic gyroscope
JP3534550B2 (ja) * 1995-11-01 2004-06-0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Otdr装置
US5929430A (en) * 1997-01-14 1999-07-2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Coupled opto-electronic oscillator
GB9724150D0 (en) * 1997-11-14 1998-01-14 Univ Southampton Apparatus providing variable refectivity to electromagnetic radi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4771A (en) * 1992-11-03 1996-04-02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Fiber-optic ring laser
KR970054964A (ko) * 1995-12-07 1997-07-31 양승택 광섬유 레이저
US5777778A (en) * 1996-01-23 1998-07-07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Multi-Loop opto-electronic microwave oscillator with a wide tuning range
US5926492A (en) * 1996-09-02 1999-07-20 Nippon Telegraph & Telephone Corporation Laser pulse oscillator
JPH11121847A (ja) * 1997-10-14 1999-04-30 Ando Electric Co Ltd 光パルス発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60251B1 (en) 2003-05-06
KR20010045235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899B1 (ko) 모드 로킹 광섬유 레이저 안정화 장치 및 그 방법
JP5489208B2 (ja) 超短パルス発生用の8の字型ファイバレーザ
US5657153A (en) Optical amplifier with complementary modulation signal inputs
KR0160582B1 (ko) 광섬유 레이저
KR100199031B1 (ko) 수동형 모드록킹 광섬유 레이저 구조
US7599413B2 (en) Self-contained module for injecting signal into slave laser without any modifications or adaptations to it
US9819141B2 (en) Compact fiber short pulse laser sources
US20090003391A1 (en) Low-repetition-rate ring-cavity passively mode-locked fiber laser
US7856037B2 (en) System of method for dynamic range extension
KR100204590B1 (ko) 광섬유 레이저 및 그를 이용한 조화 모드록킹 방법
CN111373614B (zh) 用于提供光学辐射的装置
JP2816303B2 (ja) 光導波レーザ装置
Cowle et al. Spectral broadening due to fibre amplifier phase noise
US6930822B2 (en) Wavelength locker
US5856994A (en) Laser-diode-pumped solid-state laser using index-guided type multi-transverse mode broad area laser
KR100313431B1 (ko) 하나의 펌프광원을 사용한 모드록킹 광섬유 레이저와 광 증폭기
US71101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range extension and stable low power operation of optical amplifiers using pump laser pulse modulation
US20040036956A1 (en) Wider dynamic range to a FBG stabilized pump
EP0060033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aser light sources
KR100261283B1 (ko) 비대칭 분산 비선형 루프 거울을 이용한 광섬유 레이저
JPH05251797A (ja) 光増幅器
Loh et al. Wavelength selection and tuning by optical control in a two-segment erbium-doped fiber laser
JPH11121845A (ja) モード同期レーザ光源
Kasai et al. A 160 mW output, 5 kHz linewidth frequency-stabilized erbium silica fiber laser with a short cavity configuration
JP2567533B2 (ja) 光損失補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