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260B1 -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 Google Patents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260B1
KR100327260B1 KR1019990047503A KR19990047503A KR100327260B1 KR 100327260 B1 KR100327260 B1 KR 100327260B1 KR 1019990047503 A KR1019990047503 A KR 1019990047503A KR 19990047503 A KR19990047503 A KR 19990047503A KR 100327260 B1 KR100327260 B1 KR 100327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re
program guide
user
program
guide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9203A (ko
Inventor
한금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7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260B1/ko
Publication of KR2001003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1Deriving a combined profile for a plurality of end-users of the same client, e.g. for family members within a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7Processing of monitored end-user data, e.g. trend analysis based on the log file of view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6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4668Learning process for intelligent management,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for recommending content, e.g. mov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장르별 시청 빈도수에 따라 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장르별 시청 빈도수를 누산하는 과정; 시청 빈도수가 많은 순서로 장르들을 정렬하는 과정; 및 프로그램 가이드 명령이 인가되면 시청 빈도수 순서로 정렬된 장르 및 시간대에 따라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은 사용자가 시청한 장르의 빈도수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 테이블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장르의 프로그램들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Program guide method of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장르별 시청 빈도수에 따라 프로그램을 탐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젼 방송의 경우 수십 ∼ 수백 개의 채널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그에 해당하는 프로그램도 수백 가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화면을 통하여 가이드하는 이른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라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는 방송국측에서 전송되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검출하여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가 요구할 때 이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화면상에 장르별 시간대별로 디스플레이되는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시청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시청하는 프로그램들의 범주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며 이를 위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고자 할 때마다 방대한 양의 프로그램을 일일이 검색하는 것은 많은 부담이 된다.
한편, 자신이 시청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 방송되는 채널 및 시간대를 기억하는 것도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프로그램을 장르별로 우선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개선된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은 사용자의 장르별 시청 빈도수를 누산하여 시청 빈도수가 많은 장르의 프로그램들이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의 프로그램을 손쉽고 빠르게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을 도식적으로 보이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사용자 아이콘(user icon, 102, 104)들이 표시된 텔레비젼 화면을 보이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화면은 사용자가 리모트 콘트롤러 혹은 패널을 통하여 프로그램 가이드 명령을 인가하였을 때 제시되거나 디폴트(default)로 제시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각 아이콘(102 혹은 104)은 각각의 사용자를 표지하기 위한 것이다.
참조부호 106은 사용자 아이콘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였을 때 보여지는 서브 메뉴를 보이는 것이다. 서브 메뉴(106)는 START, REGISGER, STOP, INFORMATION, USER EPG 등의 메뉴 항목들을 가진다.
START 메뉴 항목(106a)는 사용자의 장르별 시청 빈도수를 체크하여 사용자별 프로그램 가이드 테이블을 작성하는 프로그램(agent program)을 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장르의 시청 빈도수가 누산되고 시청 빈도수에 따라 각 사용자별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이하 uEPG라 함)를 작성하기 위한 테이블의 내용이 갱신된다.
REGISTER 메뉴 항목(106b)은 사용자가 직접 장르를 등록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장르를 등록할 수 있다.
STOP 메뉴 항목(106c)는 agent program을 중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사용자에 대한 장르별 시청 빈도수 체크가 중지된다.
INFORMATION 메뉴 항목(106d)는 사용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유료 채널의 사용 시간 및 사용료, 쇼핑 내용등이 표시된다.
uEPG 메뉴 항목(106e)는 각 사용자별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uEPG (108)이 디스플레이된다.
uEPG(108)는 장르 및 시간대별로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안내하는 화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횡축으로는 장르가 나열되고, 종축으로는 시간대가 나열된다. 각 프로그램은 해당 장르 및 시간대 별로 나열된다.
횡축상에 나열된 장르들 중에서 처음에 나열된 '스포츠'와 '드라마' 장르들은 사용자가 REGISTER 메뉴 항목(106b)를 통하여 지정한 장르들이고, 다음에 나열된 '뉴스'는 가장 높은 시청 빈도수를 가지는 장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사용자가 장르들 중에서 '스포츠' 장르를 선택하였을 때 보여지는 예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은 사용자가 시청한 장르들을 시청 빈도수에 따라 분류하고 가장 높은 빈도수를 가지는 장르를 uEPG의 가장 앞쪽에 배치함으로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장르가 쉽게 눈에 띄게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시청 빈도수 누산 과정(S202), 장르 정렬 과정(S204),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과정(S206)를 포함한다.
시청 빈도수 누산 과정(S202)은 사용자가 시청한 프로그램의 장르를 누산하는 과정으로서 사용자가 지정되고 프로그램이 시청될 때마다 agent program의 동작에 의해 해당 장르의 누산치가 증가한다.
장르 정렬 과정(S204)은 장르들의 누산치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누산치를 가지는 순서대로 장르들을 정렬한다. 이 과정에서 시청 빈도수가 가장 높은 장르 즉 사용자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장르가 가장 높은 순위를 가지게 된다.
이 장르의 순서는 인위적으로 바뀔 수 있다. 즉, 도 1의 REGISTER 메뉴 항목(106b)을 통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장르들은 시청 빈도수에 상관없이 언제나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게 된다.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과정(S206)는 각 방송국들로부터 전송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장르 정렬 과정(S204)에서 결정된 장르별 우선 순위 및 시간대별로 시청가능한 프로그램들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그램 가이드 디스플레이 과정(S206)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결과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스포츠'와 '드라마' 장르들이 최좌측 행에 나열되고, 다음으로 시청 빈도수가 가장 높은 '뉴스' 장르가 나열된다.
각 열에는 시간대별로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들이 나열된다. 사용자는 가장 선호하는 장르의 순서대로 프로그램이 나열되기 때문에 자신의 취향에 알맞는 프로그램을 손쉽게 탐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은 사용자가 시청한 장르의 빈도수에 따라 프로그램 가이드 테이블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장르의 프로그램들이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텔레비젼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장르별 시청 빈도수를 누산하는 과정;
    시청 빈도수가 많은 순서로 장르들을 정렬하는 과정; 및
    프로그램 가이드 명령이 인가되면 시청 빈도수 순서로 정렬된 장르 및 시간대에 따라 시청 가능한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장르를 선정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르를 포함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장르는 사용 빈도수 순서에 의해 정렬된 장르들 보다 우선 순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4. 제1항의 과정들을 사용자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KR1019990047503A 1999-10-29 1999-10-29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KR100327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03A KR100327260B1 (ko) 1999-10-29 1999-10-29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503A KR100327260B1 (ko) 1999-10-29 1999-10-29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03A KR20010039203A (ko) 2001-05-15
KR100327260B1 true KR100327260B1 (ko) 2002-03-06

Family

ID=19617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503A KR100327260B1 (ko) 1999-10-29 1999-10-29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41B1 (ko) * 2007-02-14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64B1 (ko) * 2000-01-25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 선호도에 따른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방법
KR100774161B1 (ko) * 2001-06-23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tv의 선호 채널 결정 방법
KR100913078B1 (ko) * 2002-02-28 2009-08-21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방법
KR20030078982A (ko) * 2002-04-01 2003-10-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피브이알 시스템에서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 방법
KR20070066076A (ko) 2005-12-21 2007-06-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936A (ko)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요일별, 시간대별 프로그램 선택방법
KR19990007098A (ko) * 1997-06-18 1999-01-25 모리시다 요이치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단위로 검색하여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정보 검색장치, 프로그램 정보 검색시스템, 프로그램 정보 검색방법, 프로그램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1936A (ko) * 1995-11-29 1997-06-26 배순훈 텔레비전 수상기에 있어서 요일별, 시간대별 프로그램 선택방법
KR19990007098A (ko) * 1997-06-18 1999-01-25 모리시다 요이치 프로그램의 내용을 나타내는 프로그램 정보를 프로그램 단위로 검색하여 제시할 수 있는 프로그램 정보 검색장치, 프로그램 정보 검색시스템, 프로그램 정보 검색방법, 프로그램 정보 검색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정보를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941B1 (ko) * 2007-02-14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203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1635B2 (ja) 対話型番組ガイドナビゲータメニューシステム
JP5099925B2 (ja) ブラウジングディスプレイを有する番組ガイドシステム
US61633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tation and programming information in a multiple station broadcast system
KR101489341B1 (ko) 관련성에 기초한 미디어 가이던스 검색 결과들의 표시
US64267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favorite station and programming information in a multiple station broadcast system
CA2352780C (e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related-program search feature
EP1251695A2 (en) On screen program list display for multiple channel broadcasting systems
EP1058998A1 (en) Program guide system with preference profiles
KR101440167B1 (ko) 관련성에 기초한 미디어 가이던스 검색 결과들의 표시
US8776127B2 (en) Method of television program sugges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0327260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프로그램 가이드 방법
KR20030028213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표시하는 텔레비젼
US20030140341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program guide display method thereof
KR19980015445A (ko) 티브이(tv)프로그램 장르별 검색 장치 및 방법
KR20040003601A (ko) Epg 표시 방법
KR20050048980A (ko) 멀티미디어에서의 epg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604094B1 (ko) 티브이 시스템의 컨텐츠 가이드 방법
KR100833952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19749U (ko)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