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182B1 -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의사잡음시퀀스발생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의사잡음시퀀스발생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182B1
KR100326182B1 KR1019980010395A KR19980010395A KR100326182B1 KR 100326182 B1 KR100326182 B1 KR 100326182B1 KR 1019980010395 A KR1019980010395 A KR 1019980010395A KR 19980010395 A KR19980010395 A KR 19980010395A KR 100326182 B1 KR100326182 B1 KR 10032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gonal
sequence
symbol
orthogonal symbol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5901A (ko
Inventor
박수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8001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6182B1/ko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PCT/KR1999/000127 priority patent/WO1999049594A1/en
Priority to BR9904881A priority patent/BR9904881A/pt
Priority to JP54809799A priority patent/JP3393536B2/ja
Priority to CA 2288814 priority patent/CA2288814C/en
Priority to EP99909369A priority patent/EP0983647B1/en
Priority to CN998003603A priority patent/CN1132342C/zh
Priority to RU99124621A priority patent/RU2160504C1/ru
Priority to DE69939243T priority patent/DE69939243D1/de
Priority to US09/274,544 priority patent/US6542478B1/en
Priority to AU28584/99A priority patent/AU726293B2/en
Publication of KR19990075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5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13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frequency hopping
    • H04B1/7143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hop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74Code shifting or 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22PN, e.g. Krone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교부호(또는 이중직교부호)내의 직교심볼(또는 이중직교심볼)을 도약하여 일정한 주기를 가지는 PN시퀀스를 만드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약패턴에 따라 직교부호내의 직교심볼을 칩단위로 인터리빙을 하거나 지연기 등을 이용하여 회전천이(cyclic shift)하여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비록 (이중)직교부호도약에 의해 발생된 PN시퀀스내의 같은 (이중)직교부호가 동일한 시점에 수신기에 도달하더라도 인터리빙이나 회전천이된 양을 다르게 하여 수신기의 역확산과정을 통하여 복수의 송신기로부터의 데이터 심볼이 동시에 역확산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CDMA방식 통신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직교부호 도약 방식의 PN시퀀스를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전송매체를 통하여 어떠한 기준신호를 통하여 송신이 제어되지 않는 복수의 비동기 방식 CDMA기지국 송신기가 직교부호 또는 이중직교부호 내의 직교심볼을 각 송신기 자체의 도약패턴에 따라 도약시킨다.
상기 PN 시퀀스는 비동기 방식의 기지국 장치들을 단말기가 구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기지국에서 사용될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 구분을 위하여 한 프레임구간 동안 여러 개의 슬럿(16개)을 가지고 있는데, 상기 슬럿에 한 주기의 직교골드코드를 보내고 다음 슬럿에는 호핑한 다른 직교골드코드 한 주기를 16슬럿에 각각 보낸다. 그러면 단말기는 상기 16슬럿의 직교골드코드 호핑 패턴이 기지국그룹마다 고유하므로 따라서 기지국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의 시작점을 알 수 있다면 상기 고유 호핑패턴으로 발생된 16개의 직교골드코드가 상기 프레임 시작점에서 얼마의 오프셋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느냐에 따라서 고유의 기지국을 구분해 낸다.
이때 상기 도약 패턴에 따라 대역확산 또는 스크램블링(채널구분을 위한 또다른 직교부호가 있는 경우)을 위한 PN시퀀스를 만들어 낼 경우, 어떤 위치에서 상기의 송신기 중 어느 하나와 통신을 하고 있는 수신기에 다른 수신기와 통신중인 송신기로부터의 신호가 같이 도달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역확산을 위한 데이터 심볼구간내에 도달한 복수의 신호의 PN시퀀스가 동일하고, 한 송신기내의 여러 통신 채널을 구분하기 위한 직교부호(월시코드)마저 동일한 경우에 수신기는 복수의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같이 역확산하기 때문에 원하는 데이터 심볼을 제대로 복원하지 못하며, 이러한 PN시퀀스가 주기적일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데이터 심볼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1a는 종래의 직교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직교부호)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도 1a와 같은 PN시퀀스 발생기의 다른 예로써, 직교골드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1c와 같은 구조를 갖는 PN시퀀스 발생기는 종래의 이중직교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1d는 도 1c의 한가지 예로써 종래의 이중 직교골드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와 도 2b는 복수의 송신기가 도약패턴은 다를 수 있는 상기의 PN시퀀스발생기를 사용할 때, 한 수신기에서의 동일한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가 동시에 여러 송신기로부터 도달하여 역확산해도 데이터심볼을 구별할 수 없는 경우를 도시하는 것이다. PN시퀀스 외에 한 송신기 내의 여러 통신채널을 구분하기 위하여 또 다른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든 데이터 심볼이 구별할 수 없는 것이아니라 동일한 채널구분용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데이터 심볼들만 구별할 수 없다. 도 2에서 송신기 A에서 사용하는 PNA시퀀스와 송신기 B에서 사용하는 PNB시퀀스는 동일한 직교부호를 사용하지만 다른 직교부호도약패턴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것이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도 2a에서는 송신기 A는 직교부호 도약 패턴으로서 "PNA={...,OC8,OC3,OC6,...}"을 가지며, 송신기 B는 직교부호 도약 패턴으로서 "PNB={...,OC6,OC3,OC1...}을 가진다. 상기 직교부호 도약 패턴들 중 OCn은 도약할 직교부호 번호를 나타낸다. 즉, 상기 OC는 직교부호인 "Orthogonal Code"를 의미하며, 뒤에 붙은 숫자는 직교부호의 번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송신기 A는 상기 직교부호 도약 패턴을 가짐에 따라 이전에 직교부호 8번(OC8)을 사용하였다면 직교부호 3번(OC3)을 사용할 것이며, 그 이후에는 직교부호 6번(OC6)을 사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송신기 B는 상기 직교부호 도약 패턴을 가짐에 따라 이전에 직교부호 6번(OC6)을 사용하였다면 직교부호 3번(OC3)을 사용할 것이며, 그 이후에는 직교번호 1번(OC1)을 사용할 것이다. 이로 인해 상기 송신기 A와 상기 송신기 B는 동일한 시점에서 직교부호 3번(OC3)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 도 2a에서는 서로 다른 송신기가 동일한 시점에서 동일한 직교부호로 도약하고, 동일한 채널 구분용 직교부호를 사용하는 경우 충돌이 생김을 보이고 있다. 이를 도 2a에서는 동일 직교심볼 충돌 구간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송신기 A와 B로부터 동시에 직교부호 OC3이 수신되었을 때 각 송신기내에서 채널구분용 직교부호 W2를 사용하는 데이터 심볼만 수신기의 직교심볼 OC3의 구간에서 충돌에 의하여 손실된다. PN시퀀스내의 직교심볼이 일치한다고 항상 데이터 심볼을 복구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송신기 A로부터의 신호의 세기와 송신기 B로 부터의 신호의 세기가 비슷할 경우에 두 송신기로부터의 신호를 모두 구별할 수 없으며 한 쪽 송신기의 신호가 다른 쪽 송신기의 신호보다 월등히 셀 경우에는 센 신호는 식별될 수도 있다.
PN시퀀스 발생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는 Walsh Code와 Hadamard Code, Gold Code등 모든 직교부호가 가능하다.
도 1a를 참조하면 도면 참조번호 110은 직교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이며, 120, 130, 140은 시스템이 대상으로하는 직교부호의 구성원인 직교심볼 발생기이다. 선택기 (150)는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162)에 따라 직교심볼 발생기(120,130,140)의 출력을 선택하여 PN시퀀스를 생성하는 부분이며,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162)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직교심볼의 도약패턴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모든 그림에서 비슷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할당하였다.
도 1b에는 도 1a의 일 예로써 직교골드부호를 도약하여 PN시퀀스를 생성하는 구성이 주어져 있으며, 직교 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160)에 따라 주기가 2n-1인 m시퀀스 발생기 (163)의 초기값을 결정되며, 상기 결정된 초기값은 초기값 레지스터 (162)에 저장된다.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또 다른 m시퀀스 발생기 (167)는 직교부호 도약패턴 발생기 (160)와는 무관한 초기값을 가지고 m시퀀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초기값은 초기값 레지스터 (166)에 저장된다. 상기 두 개의 m시퀀스 발생기 (163, 167)의 출력은 배타적논리합기 (164)에 의하여 골드시퀀스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골드시퀀스를 직교골드부호로 만들기 위하여, m시퀀스 발생기 (167)의 상태값을 비교기(169)가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에는 두 m시퀀스 발생기 (163, 167)의 동작을 한 클록동안 정지시킨다.
상기 m시퀀스 발생기(163,167)는 2n-1개의 주기로 발생하는데 상기 두개의 m시퀀스 발생기(163,167)에서 출력되는 값을 심볼 단위로 더해도 2n-1개로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것을 직교성이 유지되는 직교골드코드 시퀀스가 2n-1개가 되도록 임의의 위치에 제로(zero)를 삽입하기 위하여 고정된 임의의 초기값을 발생하는 m시퀀스 발생기 (163,167)의 상태값이 상기 임의의 기준값과 일치하는 때에 제로(zero)를 삽입한다. 상기 m시퀀스 발생기(163,167)는 주기성을 가지는 시퀀스를 발생하므로 다음 주기에도 동일하게 그 위치에서 제로(zero)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기준값은 임의의 값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직교골드코드 시퀀스내의 어느 위치에 제로(zero)를 삽입할 것인가에 따라서 그 값을 정할 수 있으나 삽입되는 위치는 임의의 위치가 되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두 m시퀀스 발생기(163,167)의 동작이 정지된 동안 스위치(168)를 이용하여 "0"을 삽입한 다음 상기 두 m시퀀스 발생기(163,167)를 계속 구동한다.
도 1c는 상기의 직교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의 변형으로써, 이중 직교부호 (Bi-Orthogonal Code) 도약에 의한 PN시퀀스 발생기의 출력을 보여 주고 있다. 직교심볼발생기 120 내지 140이 32개이고 각각이 해당 직교시퀀스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면서 생성하고 있으며, 앞에서 개시한 직교심볼 도약패턴발생기 160의 도약패턴이1, 3, 5, 7, 9, 11, 13, 15, 17, 19, 21, 23, 25, 27, 29, 31,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이면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발생기 162는 상기 도약패턴에서 추가 1비트가 더 있다. 상기 1비트는 MSB또는 LSB가 될 수 있으며, 그 비트는 + 또는 -를 표시하는 것으로 이 1비트가 곱셈기(XOR) 190에 가해져서 PN시퀀스의 출력이 32가지가 아닌 64가지가 될 수 있다.
상기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162)의 출력은 동일한 크기의 직교부호를 사용할 때 앞에서 개시한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160)의 출력의 2배이며, MSB나 LSB와 같이 임의의 비트에 의하여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120-140)의 출력을 배타적논리합기(190)를 통과시킨다. 즉, 이중직교부호는 기존의 부호를 고려하지 않았던 직교부호에 +,- 부호를 추가함으로 직교부호에 비해 2배의 종류가 있으며 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직교부호번호에 추가로 1개의 비트가 추가되었다. 도 1d의 동작은 도 1b에 대한 이중 직교골드부호 도약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a-도 2b는 상기 도1a -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발생되는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 도약에 의해 PN시퀀스를 복수의 송신기가 사용하고, 상기 송신기들의 신호들이 동시에 한 수신기에 도달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기 A (210)는 220에 주어진 도약패턴에 따라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를 도약하여 PNA시퀀스를 발생시키며, 230은 상기의 PNA시퀀스를 확산 또는 스크램블링용으로 사용한 데이터 심볼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송신기 B (260)는 270에 주어진 도약패턴에 따라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를 도약하여 PNB시퀀스를 발생시키며 280은 상기의 PNB시퀀스를 확산 또는 스크램블링용으로 사용한 데이터 심볼을 나타낸다. 상기의 송신기 A(210) 및 B (2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세기가 수신기 (200)에서 비슷한 세기로 수신되면,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약패턴 내의 직교심볼이 일치하는 경우에 두 송신기(210,260)의 신호를 따로 따로 구별하는 것은 곤란하다.
상기 도 2b는 충돌구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데이터 심볼이 충돌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은 아니며, 232 및 27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기 A와 B 내의 여러 통신채널을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직교부호가 같은 채널에 실려온 데이터 심볼만 손실된다. 상기 도 2b에서는 채널구분 용으로 월시부호를 예로 든 것으로, 상기 월시심볼 W2를 사용하는 송신기 A의 통신채널과 송신기 B의 통신채널의 데이터 심볼 중 도약패턴 내의 같은 직교심볼 구간 내의 데이터 심볼만 손실된다. 또한 도약패턴이 주기적으로 반복될 경우에 이러한 데이터 손실은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앞에서 개시한바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PN시퀀스(직교부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약패턴에 따라 직교부호 내의 직교심볼의 제어하여 회전천이(cyclic shift)된 PN시퀀스(직교부호)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도약 패턴에 따라 직교부호 내의 직교심볼을 인터리버 또는 지연기 등을 이용한 인터리빙 또는 회전천이(cyclic shift)에 의해 PN 시퀀스(직교부호)를 발생하여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비록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도약에 의해 발생된 PN시퀀스 내의 같은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가 동일한 시점에 수신기에 도달하더라도 인터리빙이나 회전천이된 양을 다르게 하여 수신기의 역확산과정을 통하여 복수의 송신기로부터의 데이터 심볼이 동시에 역확산되는 것을 방지시킨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도약에 의한 PN시퀀스(직교부호)발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N시퀀스(직교부호) 발생 방법은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도약에 의한 PN시퀀스와 채널구분용 월시 코드가 같이 사용되는 CDMA시스템에서는 채널구분용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도약에 의한 PN시퀀스(직교부호)는 회전천이 또는 인터리빙을 하지 않고, 각 송신기에서의 여러 통신채널을 구분하기 위한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를 모든 직교심볼이 동일한 시점에 존재하는 채널들의 데이터 심볼들 간에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각 직교심볼을동일하게 인터리빙이나 회전천이 시킨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를 사용하면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인터리빙이나 회전천이 방법은 직교심볼 단위로 바뀌어도 송신기 내의 여러 채널들 간의 직교성은 유지되기 때문에 반드시 고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부호분할 다중접속 방식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 도약과 지연 및 인터리빙에 의하여 PN시퀀스를 생성하는 발생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PN 시퀀스발생기 구성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a는 종래 복수의 송신기들로부터 하나의 수신기로 수신되는 신호들의 충돌로 인해 데이터 심볼이 파손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b는 도2a에서의 충돌 예를 상세히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PN 시퀀스 발생기 구성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송신기들로부터 하나의 수신기로 수신되는 신호들의 충돌을 회피하는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b는 도4a에서의 충돌 회피 예를 상세히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a와 도 6a는 도 3a 내지 도 3f에서 도시한 PN 시퀀스 발생기에서의 기본 직교부호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b 내지 도 5d는 도 3a 와 도 3d에서 도시한 PN 시퀀스 발생기에 의해 회전 천이된 변형 직교부호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e 내지 도 5h는 도 3b와 도 3e에서 도시한 PN 시퀀스 발생기에 의해 인터리빙된 변형 직교부호의 예들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6a는 도 3a와 도 3b에서 도시한 PN 시퀀스 발생기에서 도약 패턴정보에따라 PN시퀀스 내의 각 직교심볼 구간단위로 다르게 제어했을 경우 변형된 직교부호의 예를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직교부호와 PN부호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한 채널 구분용 직교부호로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a - 도 3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 도약과 지연 및 인터리빙에 의한 PN시퀀스(직교부호)발생장치의 구성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N시퀀스(직교부호)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a를 참조하면,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는 미리 정해진 직교부호의 도약 패턴 정보를 발생한다. 지연기 제어기(370)는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에 따른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하나의 기지국에서의 각 가입자별 직교심볼 도약패턴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자연 제어기(370)에 의한 지연크기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가입자별로 동일하게 하는 반면 다른 기직국에서는 상기 도약패턴이 다를 뿐 아니라 지연크기도 다른 기지국들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충돌을 없앤다. 직교심볼 발생기(320-340)는 각각 대응되는 도약할 직교심볼들을 발생한다. 즉, 직교심볼 발생기는 각각 하나의 직교부호번호(월시 번호)에 해당하는 부호열을 발생한다. 지연기(325-345)는 대응되는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320-34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지연기 제어기(370)의 제어하에 상기 입력되는 직교심볼을 지연하여 출력한다.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지연기(325-345)의 출력들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의 제어하에 상기 입력되는 지연된 직교심볼들 중 어느 한 직교심볼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도 3a와 같은 구조를 갖는 PN시퀀스 발생장치에서 직교심볼 발생기(320, 330, 340)들은 도5a 또는 도6a와 같은 기본 직교심볼의 행들(직교부호열)을 발생하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는 상기 직교심볼의 도약 패턴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지연기(325,335,345)들은 발생된 도약패턴에 따라 상기 각 직교심볼발생기(320-340)의 출력을 일정한 값으로 지연하여 회전천이(cyclic shift)를 수행하며, 지연기 제어기(370)는 각 지연기(325-345)들을 제어하여 각 지연기(325-345)에서 출력되는 직교심볼들의 지연 량을 정해진 값으로 일정하게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에 따라 상기 지연기(325-345)의 출력을 선택하여 PN시퀀스로 출력한다.
상기 도 5에서 도 5a는 기본 직교부호의 일 예를 보여주며, 도 5b, 5c, 5d는 도3a의 구성에 의하여 지연하여 회전천이 시키지만, 직교성은 계속 유지되는 변형직교부호를 보여주고 있다. 음영부분이 실제 회전천이된 양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도 5b, 5c, 5d와 같은 심볼들의 지연 양은 상기 지연기 제어기(370)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지연기 제어기(370)의 제어에 따라 지연기(325,335,345)가 각 행들의 심볼의 지연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지연 양을 기지국 마다 다르게 설정하므로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N시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b를 참조하면,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는 미리 정해진 직교부호의 도약 패턴 정보를 발생한다. 인터리버 제어기(380)는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에 따른 인터리빙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직교심볼 발생기(320-340)는 도 5a 또는 도6a와 같은 기본 직교심볼의 행들(직교심볼열)을 발생한다. 인터리버(322-342)는 대응되는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320-34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380)의 제어하에 입력되는 대응되는 지교심볼을 도 5e ~ 도5h와 같이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인터리버(322-342)의 출력들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의 제어하에 상기 입력되는 인터리빙된 직교심볼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도 3b와 같은 구성을 갖는 PN시퀀스 발생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직교심볼 발생기 (320,330,340)는 상기 도 3a와 같이 도약 패턴에 따른 도약할 직교심볼을 발생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는 상기 도 3a에서와 같이 직교 부호의 도약 패턴정보를 발생하며, 인터리버 제어기(380)는 각 인터리버(322,332,342)를 제어하여 직교심볼들의 인터리빙를 결정하며, 이에 따라 상기 각 인터리버(322,332,342)는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380)의 제어하에 각 직교심볼 발생기(320,330,340)의 출력을 칩(chip)단위로 인터리빙(interleaving)한다. 상기 인터리빙 방법을 각 기지국 별로 다르게 설정하므로 충돌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에 출력되는 도약패턴에 따라 상기 인터리버(322-342)에서 출력되는 심볼들을 선택 출력한다.
상기 도 5에서 도 5a는 기본 직교부호의 일 예를 보여주며, 도 5e, 5f, 5g, 5h는 도 3b의 구성에 의하여 인터리빙 시키지만 직교성은 계속 유지되는 변형직교부호를 보여주고 있다. 음영부분이 실제 인터리빙된 양을 표시한다. 또한 도 5e, 5f, 5g, 5h는 도 3b의 구성에 의하여 인터리빙되었지만 직교성은 계속 유지되는 변형직교부호를 보여주고 있다. 음영부분이 서로 실제 순서가 바뀌어진 열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도 3a의 지연기(325-345)는 도 3b와 같이 인터리버(322-342)로 구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 3a의 지연기는 도 3b의 인터리버의 특별한 경우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도 3a의 지연기(325-345)와 도 3b의 인터리버(322-342)를 도약 패턴 정보에 따라 PN시퀀스 내의 각 직교심볼 구간단위로 다르게 제어했을 경우는 도 6b와 같이 변형된 시퀀스가 발생되며, 이들 심볼은 직교성이 없다.
도 3c는 직교골드부호 도약에 의한 PN 시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c를 참조하면,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는 직교부호의 도약 패턴정보를 발생한다. 인터리버 제어기(380)은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에 따른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초기값 레지스터(366)는 초기 값을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이며, m시퀀스발생기(367)는 상기 초기값 레지스터(366)에서 출력되는 초기값을 리드한 후 상기 초기값에 대응되는 m시퀀스를 발생한다. 초기값 레지스터(362)는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정보를 초기값을 저장하며, m시퀀스 발생기(363)는 상기 초기값 레지스터(362)에서 출력되는 초기값에 따른 m시퀀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3)는 도약 패턴정보에 따른 m시퀀스 발생하므로,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7,363)는 서로 다른 m시퀀스를 출력으로 하게 된다. 배타적 논리합기(364)는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7)의 출려과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3)의 출력을 배타적 논리합하여 골드시퀀스를 발생한다. m시퀀스 발생기(367)의 상태값을 비교하는 비교기(369)는 상기 발생기(367)의 출력을 미리 설정한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364)의 출력(골드시퀀스)과 "0"을 입력으로 하는 스위치(368)는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7)의 출력과 설정 값이 동일함으로 인해 상기 비교기(369)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1클럭 동안 상기 "0"신호를 선택한다. 한편,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7)의 출력과 설정 값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364)의 출력(골드시퀀스)을 선택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368)는 멀티플렉서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인터리버 제어기(380)는 상기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의 도약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스위치(368)로 부터 출력되는 심볼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인터리버(322)는 상기 스위치(368)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380)의 제어하에 상기 입력되는 직교심볼을 인터리빙하여 PN시퀀스로 출력한다.
상기 도 3c와 같은 구성을 갖는 PN시퀀스 발생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직교 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360)에 따라 주기가 2n-1인 m시퀀스 발생기 (363)의 초기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초기값은 레지스터 (362)에 저장된다. 그리고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또 다른 m시퀀스 발생기 (367)는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360)와는 무관한 초기값을 가지고 m시퀀스를 발생시키며, 상기 초기값은 레지스터 (366)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두 개의 m시퀀스 발생기 (363, 367)의 출력은 배타적논리합기 (364)에서 배타적 논리합 되어 골드시퀀스로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골드시퀀스를 직교골드부호로 만들기 위하여, m시퀀스 발생기 (367)의 상태값을 비교기(369)가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며, 두 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m시퀀스 발생기 (363,367)의 동작을 한 클록동안 정지시키고, 스위치 (368)을 이용하여 "0"을 상기의 한 클록시간동안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두 m시퀀스 발생기 (363,367)에서 출력되는 m시퀀스의 배타적 논리합에 의해 발생된 골드시퀀스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인터리버(322)는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38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스위치(368)에서 출력되는 골드시퀀스를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인터리버(322)에 도 5a와 같이 입력되는 시퀀스는 상기 인터리버(322)에서 심볼 인터리빙되어 도 5e - 도 5h와 같이 출력된다.
도 3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N시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d를 참조하면,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는 미리 정해진 직교부호의 도약 패턴 정보를 발생한다. 상기 지연기 제어기(370)는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에 따른 지연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직교심볼 발생기(320-340)는 각각 대응되는 도약할 직교심볼들을 발생한다. 지연기(325-345)는 대응되는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320-340)의 출력을 입력하며, 상기 지연기 제어기(370)의 제어하에 상기 입력되는 직교심볼을 지연하여 출력한다.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지연기(325-345)의 출력들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의 제어하에 상기 입력되는 지연된 직교심볼들 중 어느 한 직교심볼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배타적 논리합기(390)는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에서 출력되는 직교심볼열과 상기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이중직교 도약 패턴정보 중 부호비트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PN시퀀스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도 3d와 같은 구조를 갖는 PN시퀀스 발생장치는 상기의 직교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의 변형으로써, 이중 직교부호 (Bi-Orthogonal Code) 도약에 의한 PN시퀀스 발생장치의 출력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320,330,340)들은 도약 패턴에 따른 도약할 직교심볼을 발생하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는 상기 직교 부호의 도약 패턴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지연기(325,335,345)들은 발생된 도약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각 직교심볼 발생기(320-340)의 출력을 지연하여 회전천이(cyclic shift)를 수행한다. 지연기 제어기(370)은 각 지연기(325,335,345)들을 제어하여 각 지연기(325-345)에서 출력되는 직교심볼들의 지연 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지연기(325-345)의 출력을 선택하여 PN시퀀스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358)의 출력은 동일한 크기의 직교부호를 사용할 때 앞에서 도시한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360) 출력의 2배(예; 직교부호 종류 64 * 부호성분 2)이며, MSB나 LSB와 같이 임의의 비트에 의하여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에서 선택된 PN시퀀스를 배타적논리합연산기(390)에서 도약 패턴정보의 부호성분(+ 또는 -)과 배타적 논리합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도3a에서 출력되는 PN시퀀스(직교부호)에서 부호(+, -)가 서로 다른 것이 추가되어 출력의 종류가 2배가 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기지국에서 동일한 시간에 동일한 값으로 순환 천이한 동일 PN시퀀스를 사용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도 3e는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PN시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e를 참조하면,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는 미리 정해진 직교부호의 도약 패턴 정보를 발생한다. 인터리버 제어기(380)는 상기 직교 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정보를 입력으로 하여 직교심볼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즉, 하나의 기지국에서의 각 가입자별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은 동일하고 또한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에 의한 인터리빙 방법도 하나의 기지국에서 가입자별로 동일하게 하는 반면 다른 기지국에서는 상기 도약 패턴이 다를 뿐 아니라 인터리빙 방법도 다른 기지국들과 다르게 할 수 있으므로 충돌을 없앤다. 직교심볼 발생기(320-340)는 각각 대응되는 도약할 직교심볼들을 발생한다. 인터리버(322,332,342)는 대응되는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325-345)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380)의 제어하에 대응하여 입력되는 직교심볼을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인터리버(322-342)의 출력들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의 제어하에 상기 입력되는 인터리빙된 직교심볼들 중 어느 한 직교심볼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배타적 논리합기(390)는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에서 출력되는 직교심볼과 상기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이중직교 도약 패턴정보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PN시퀀스로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도 3e와 같은 구조를 갖는 PN시퀀스 발생장치는 상기의 직교부호 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의 변형으로써, 이중 직교부호 (Bi-Orthogonal Code) 도약에 의한 PN시퀀스 발생기의 출력을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320,330,340)들은 도약 패턴에 따른 도약할 직교심볼을 발생하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는 상기 직교 부호의 도약 패턴정보를 발생한다. 이때 상기 인터리버(322,332,342)들은 발생된 도약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각 직교심볼발생기(320-340)의 출력에 대해 인터리빙을 수행하며, 인터리버 제어기(380)는 각 인터리버(322,332,342)들을 제어하여 각 인터리버(322,332,342)의 출력 심볼들을 인터리빙 시킨다. 따라서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는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의 출력되는 도약 패턴정보에 따라 상기 인터리버(322,332,342)의 출력을 선택하여 PN시퀀스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의 출력은 동일한 크기의 직교부호를 사용할 때 앞에서 개시한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60) 출력의 2배이며, MSB나 LSB와 같이 임의의 비트에 의하여 상기 직교심볼 선택기(350)에서 선택된 PN시퀀스를 배타적논리합기(390)에서 도약 패턴정보와 배타적 논리합하여 출력한다.
도 3f는 이중직교심볼 및 직교골드부호 도약에 의한 PN 시퀀스 발생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f를 참조하면,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는 이중직교부호의 도약 패턴정보를 발생한다. 인터리버 제어기(380)는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정보에 따른 인터리버 제어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초기값 레지스터(366)는 초기 값을 저장하고 있는 레지스터이며, m시퀀스발생기(367)는 상기 초기값 레지스터(366)에서 출력되는 초기값을 리드한 후 상기 초기값에 대응되는 m시퀀스를 발생한다. 초기값 레지스터(362)는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도약 패턴정보를 초기값으로 저장하며, m시퀀스 발생기(363)는 상기 초기값 레지스터(362)에서 출력되는 초기값에 따른 m시퀀스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3)는 도약 패턴정보에 따른 m시퀀스 발생하므로, 상기 두 m스퀀스 발생기(367,363)는 서로 다른 m스퀀스를 발생하게 된다. 배타적 논리합기(364)는 상기 m스퀀스 발생기(367)의 출력과 상기 m스퀀스 발생기 (363)의 출력을 배타적논리합하여 골드시퀀스를 발생한다. m스퀀스 발생기(367)의 상태값을 비교하는 비교기 369는 상기 m스퀀스 발생기 (367)의 출력을 미리 설정한 값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364)의 출력(골드시퀀스)과 "0"을 입력으로 하는 스위치(368)는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7)의 출력과 설정 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비교기(369)로부터 출력되는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1클럭 동안 상기 "0"신호를 선택한다. 한편, 상기 m시퀀스 발생기(367)의 출력과 설정 값이 상이한 경우에는 상기 비교기(369)의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364)의 출력(골드시퀀스)을 선택한다. 상기 스위치(368)에서 출력되는 직교심볼과 구현할 수 있다. 배타적 논리합기(390)는 상기 스위치(368)에서 출력되는 직교심볼과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에서 출력되는 이중직교 도약 패턴정보를 배타적 논리합하여 출력한다. 인터리버 제어기(380)는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의 도약 패턴정보에 따라 출력되는 직교심볼을 인터리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인터리버(322)는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390)의 출력을 입력으로 하며,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380)의 제어하에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390)의 출력을 인터리빙하여 PN시퀀스로 출력한다.
상기 도 3f와 같은 구성을 갖는 PN시퀀스 발생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이중 직교 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358)에 의해 주기가 2n-1인 m시퀀스 발생기 (363)의 초기값을 결정하며, 결정된 초기값은 레지스터 (362)에 저장된다. 그리고 동일한 주기를 가지는 또 다른 m시퀀스 발생기(367)는 이중 직교부호 도약패턴 발생기 (360)와는 무관한 초기값을 가지고 m시퀀스를 발생시키며, 상기 초기값은 레지스터 (366)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두 개의 m시퀀스 발생기 (363,367)의 출력은 배타적논리합기(364)에서 배타적 논리합 되어 골드시퀀스로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생된 골드시퀀스를 직교골드부호로 만들기 위하여, m시퀀스 발생기 (367)의 상태값을 비교기(369)가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하며, 두 값이 일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두 m시퀀스 발생기 (363,367)의 동작을 한 클록동안 정지시키고, 스위치 (368)을 이용하여 "0"을 상기의 한 클록시간동안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두 값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두 m시퀀스 발생기 (363,367)에서 출력되는 m시퀀스의 배타적 논리합에 의해 발생된 골드시퀀스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 (358)의 출력은 동일한 크기의 직교부호를 사용할 때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의 출력의 2배이며, MSB나 LSB와 같이 임의의 비트에 의하여 스위치(368)에서 출력되는 PN시퀀스를 배타적논리합기(390)에서 상기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358)의 도약 패턴정보와 배타적 논리합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리버(322)는 상기 인터리버 제어기(380)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390)에서 출력되는 직교심볼을 인터리빙하여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인터리빙 패턴을 결정하는 인터리버제어기나 지연값을 제어하는 지연제어기는 반드시 상기(이중)직교심볼도약패턴 발생기와 연관될 필요는 없다. 즉, 독립적으로 지연값 또는 인터리빙 패턴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각 기지국마다 서로 다른 지연값 또는 인터리빙 패턴을 가지고 있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앞에서 구현 예로서 개시한 본 발명에서는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도약 패턴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도약 패턴에 따른 고유의 지연값 또는 인터리빙값을 사용한다면 기지국간에 서로 다른 지연값 또는 인터리빙 패턴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수신기가 두 개 이상의 기지국으로부터 동일한 시점에 동일한 PN용 직교심볼(OC3)을 사용한 신호가 수신되고, 채널구분용 직교부호번호가 동일하다. 그러나,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 따라 각 기지국에서 회전 천이 또는 인터리빙을 다르게 하여 동일한 코드로 인한 충돌이 회피됨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PN시퀀스 발생기가 송신기내에 구비되는 경우 수신기는 미리 정해진 약속에 의하여 동일한 도약 패턴정보와 회전천이 및 인터리빙을 수행하거나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도약패턴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송신기는 최초 데이터 전송시 상기 PN시퀀스를 발생하기 위한 초기 도약 패턴으로 동작하며, 수신기도 최초 동작시 초기 도약패턴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송신기는 도약패턴 변경시 이에 대응되는 정보를 상기 수신기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수신기는 송신기에서 출력되는 PN시퀀스의 도약 패턴들을 저장하는 룩업테이블을 구비하여, 상기 도약패턴 변경시 상기 수신기는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도약 패턴 정보에 따라 수신되는 PN시퀀스를 검출 및 확인하여 송신기를 탐색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한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도약에 의한 PN시퀀스발생기는 도약패턴에 따라 직교부호내의 직교심볼을 칩 단위로 인터리빙을 하거나 지연기 등을 이용하여 회전천이(cyclic shift)하여 복수의 송신기로부터 비록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도약에 의해 발생된 PN시퀀스내의 같은 직교부호 또는 이중 직교부호가 동일한 시점에 수신기에 도달하더라도 인터리빙이나 회전천이된 양을 다르게 하여 수신기의 역확산과정을 통하여 복수의 송신기로부터의 데이터 심볼이 동시에 역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9)

  1.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PN시퀀스 발생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직교심볼 열들 중 하나의 직교심볼 열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 입력되는 직교심볼 열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회전천이 시켜 출력하는 직교심볼 발생기들과,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들로부터의 상기 회전천이된 직교심볼 열들을 입력으로 하고, 미리 정해진 패턴 정보에 의해 상기 회전천이된 직교심볼 열들 중 하나의 회전천이된 직교심볼 열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직교심볼 선택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심볼 열들은 상호간 직교성이 있는 직교심볼 열과 일정 주기로 반복되는 직교심볼 열 중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가,
    상기 직교심볼 열들을 발생하는 직교심볼 발생기들과,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들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하고, 대응하는 직교심볼 발생기로부터의 상기 직교심볼 열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회전천이 시키는 지연기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가,
    상호간 직교성이 있는 상기 직교심볼 열들을 발생하는 직교심볼 발생기들과,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들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하고, 대응하는 직교심볼 발생기로부터의 상기 직교심볼 열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열 치환시키는 인터리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심볼 발생기가,
    상기 패턴 정보에 의해 상기 직교심볼 열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회전천이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가 직교심볼 도약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가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8.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PN시퀀스 발생장치에 있어서,
    직교심볼 도약 패턴에 의해 직교 골드부호를 발생하는 골드시퀀스 발생기와,
    상기 직교심볼 도약 패턴에 따라 상기 골드시퀀스 발생기로부터의 직교 골드부호를 인터리빙하여 PN시퀀스를 출력하는 인터리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골드시퀀스 발생기가,
    상기 직교심볼 도약 패턴을 생성하는 도약패턴 발생기와,
    상기 직교심볼 도약 패턴을 초기 값으로 저장하는 제1레지스터와,
    상기 제1레지스터에 저장된 초기 값에 의해 엠 시퀀스를 발생하는 제1엠시퀀스를 발생기와,
    소정의 초기 값을 저장하는 제2레지스터와,
    상기 제2레지스터에 저장된 초기 값에 의해 엠 시퀀스를 발생하는 제2엠시퀀스 발생기와,
    상기 제1엠시퀀스 발생기와 상기 제2엠시퀀스 발생기로부터의 상기 두 개 엠시퀀스들을 배타적 논리 합하여 직교 골드부호를 출력하는 배타적 논리합기와,
    상기 제2엠시퀀스 발생기의 상태 값을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상태값 비교기와,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배타적 논리합기로부터의 출력과 제로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패턴 발생기는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 발생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장치.
  11. 부호 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PN시퀀스 발생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직교심볼 열들 중 하나의 직교심볼 열을 입력으로 하고, 상기입력되는 직교심볼 열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회전천이 시켜 출력하는 직교심볼 발생과정과,
    상기 회전천이된 직교심볼 열들을 입력으로 하고, 미리 정해진 패턴 정보에 의해 상기 회전천이된 직교심볼 열들 중 하나의 회전천이된 직교심볼 열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직교심볼 선택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심볼 발생과정은,
    상기 직교심볼 열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심볼 열들 각각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회전천이 시키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심볼 발생과정은,
    상호간 직교성이 있는 상기 직교심볼 열들을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심볼 열들 각각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열 치환시키는 인터리버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직교심볼 발생과정은,
    상기 패턴 정보에 의해 상기 직교심볼 열을 구성하는 직교심볼들을 회전천이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가 직교심볼 도약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정보가 이중직교심볼 도약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7.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PN시퀀스 발생방법에 있어서,
    직교심볼 도약 패턴에 의해 직교 골드부호를 발생하는 골드시퀀스 발생과정과,
    상기 직교심볼 도약 패턴에 따라 상기 골드시퀀스 발생기로부터의 직교 골드 부호를 인터리빙하여 PN시퀀스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골드시퀀스 발생기가,
    상기 직교심볼 도약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직교심볼 도약 패턴을 제1초기 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1초기 값에 의해 제1엠 시퀀스를 발생하는 과정과,
    소정의 제2초기 값을 저장하고, 상기 제2초기 값에 의해 제2엠 시퀀스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제1엠시퀀스와 상기 제2엠시퀀스를 배타적 논리 합하여 직교 골드부호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엠시퀀스 발생에 따른 상태 값을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스위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스위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직교 골드부호와 제로신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약패턴은 이중 직교심볼 도약패턴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의사잡음 시퀀스 발생방법.
KR1019980010395A 1998-03-23 1998-03-23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의사잡음시퀀스발생방법및장치 KR10032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395A KR100326182B1 (ko) 1998-03-23 1998-03-23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의사잡음시퀀스발생방법및장치
BR9904881A BR9904881A (pt) 1998-03-23 1999-03-23 Dispositivo e processo para geração de sequências de pseudo-ruìdo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de acesso mútiplo por divisão de código
JP54809799A JP3393536B2 (ja) 1998-03-23 1999-03-23 符号分割多元接続通信システムの擬似雑音シーケンス発生装置及び方法
CA 2288814 CA2288814C (en) 1998-03-23 1999-03-23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n sequen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PCT/KR1999/000127 WO1999049594A1 (en) 1998-03-23 1999-03-23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n sequen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EP99909369A EP0983647B1 (en) 1998-03-23 1999-03-23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N sequen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CN998003603A CN1132342C (zh) 1998-03-23 1999-03-23 在cdma通信系统中产生pn序列的装置和方法
RU99124621A RU2160504C1 (ru) 1998-03-23 1999-03-23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енерирования псевдошумовой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DE69939243T DE69939243D1 (de) 1998-03-23 1999-03-23 Gerät und Verfahren zur PN Sequenz Erzeugung in CDMA Kommunikationssystemen
US09/274,544 US6542478B1 (en) 1998-03-23 1999-03-23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N sequen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U28584/99A AU726293B2 (en) 1998-03-23 1999-03-23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PN sequence in CDMA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0395A KR100326182B1 (ko) 1998-03-23 1998-03-23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의사잡음시퀀스발생방법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5901A KR19990075901A (ko) 1999-10-15
KR100326182B1 true KR100326182B1 (ko) 2002-07-02

Family

ID=1953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395A KR100326182B1 (ko) 1998-03-23 1998-03-23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의사잡음시퀀스발생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42478B1 (ko)
EP (1) EP0983647B1 (ko)
JP (1) JP3393536B2 (ko)
KR (1) KR100326182B1 (ko)
CN (1) CN1132342C (ko)
AU (1) AU726293B2 (ko)
BR (1) BR9904881A (ko)
CA (1) CA2288814C (ko)
DE (1) DE69939243D1 (ko)
RU (1) RU2160504C1 (ko)
WO (1) WO19990495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98B1 (ko) * 2006-09-01 2011-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송신 장치, 생성방법 및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917A (ko) * 1999-05-15 2000-12-05 윤종용 비동기식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동기워드 생성 및 송수신장치 및 방법
CN100365970C (zh) * 1999-07-06 2008-01-30 三星电子株式会社 在移动通信系统中编码传输格式组合指示符的设备和方法
ES2295483T3 (es) * 1999-07-07 2008-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arato y metodo para generar codigos de aleatorizacion en un sistema de comunicacion movil umts.
US6870860B1 (en) * 2000-04-19 2005-03-22 Ciena Corporation Semi-transparent time division multiplexer/demultiplexer
US7424002B2 (en) * 2001-03-20 2008-09-09 Arraycomm, Llc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7227855B1 (en) * 2001-03-20 2007-06-05 Arraycomm Llc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KR100424538B1 (ko) * 2001-05-29 2004-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 장치 및 방법
US6727790B2 (en) * 2001-08-20 2004-04-27 Itran Communications Ltd. Acquisition of sychronization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transceiver
DE60112445T2 (de) * 2001-10-10 2006-04-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Modifikation eines Verschachtelermusters
US7298777B2 (en) * 2003-06-06 2007-11-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arching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DE60312325T2 (de) * 2003-08-29 2007-11-08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Verfahren zum Senden von Daten in einem Telekommunikationssystem mit wenigstens einem Sender und wenigstens einem Empfänger mit wenigstens einer Empfangsantenne
US7203520B2 (en) 2003-09-30 2007-04-10 Nortel Networks Limited Beam wobbling for increased downlink coverage and capacity
KR100628295B1 (ko) * 2003-11-11 2006-09-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균형-변형 유사잡음 행렬코드가 적용된 2차원 파장/시간영역 광 시디엠에이 시스템
CN1305340C (zh) * 2003-12-05 2007-03-14 清华大学 无线通信中提高蜂窝小区下行频率复用效率的方法
US7529291B2 (en) * 2004-04-13 2009-05-05 Raytheon Company Methods and structures for rapid code acquisition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E0402210D0 (sv) 2004-09-13 2004-09-13 Ericsson Telefon Ab L M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5049463B2 (ja) * 2004-12-14 2012-10-1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及び移動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07050750A1 (en) * 2005-10-27 2007-05-03 Qualcomm Incorporated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dulating common pilot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50821B1 (ko) * 2006-10-25 2008-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접속을 지원하는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065714B2 (en) * 2007-01-10 2015-06-23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of information using cyclically shifted sequences
KR20080072508A (ko) 2007-02-02 2008-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양한 자원 블록 길이를 가지는 시퀀스 할당 방법 및 이를위한 시퀀스 그룹핑 방법
CN101674277B (zh) * 2007-02-02 2013-02-06 Lg电子株式会社 利用分组生成参考信号序列的方法
EP2166685B1 (en) 2007-04-30 2019-11-06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ordinated cyclic shift and sequence hopping for ZADOFF-CHU, modified ZADOFF-CHU, and block-wise spreading sequences
EP2892170B1 (en) 2007-06-15 2019-04-24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Wireless communication appartus and response signal spreading method
KR20090006708A (ko) * 2007-07-12 200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케줄링 요청 신호 전송 방법
US8059695B2 (en) * 2007-08-13 2011-11-15 Raytheon Company Spread carrier self correcting codes
US20110038308A1 (en) * 2007-10-04 2011-02-17 Yi Song Forming spatial beams within a cell segment
US8254362B2 (en) * 2008-01-09 2012-08-28 The Boeing Company Method and device of generating time-varying preamble sequence and pseudorandom noise (PN) binary sequence in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communications
CN102215057B (zh) * 2010-04-02 2014-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生成参考信号的方法及设备
KR20110112005A (ko) * 2010-04-05 2011-10-12 주식회사 팬택 직교성을 제공하는 사이클릭 쉬프트 파라메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347817B (zh) 2010-08-02 2014-01-08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知参考信号配置信息的方法及设备
GB2512600A (en) 2013-04-02 2014-10-08 Sony Corp Receivers and methods for receiving signals
GB2512601B (en) * 2013-04-02 2016-02-10 Sony Corp Transmitter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signals
WO2015159627A1 (ja) * 2014-04-14 2015-10-2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データ送信装置
US10742457B2 (en) * 2017-09-11 2020-08-11 Apple Inc. Initialization of pseudo noise sequences for reference signals and data scrambl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03910A1 (en) * 1991-03-28 1992-09-29 David Robert Brooks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ZA931077B (en) * 1992-03-05 1994-01-04 Qualcomm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message collision between mobile stations simultaneously accessing a base station in a cdm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BR9303233A (pt) * 1992-07-31 1994-03-15 Csir Metodo para estabelecer um enface de communicacao entre primeira e segunda estacoes remotas em sistema de comunicacao e sistema de comunicacao
US5805583A (en) * 1995-08-25 1998-09-08 Terayon Communication Systems Process for communicating multiple channels of digital data in distributed systems using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AU712850B2 (en) * 1995-08-31 1999-11-18 Nokia Corporation 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 cellular radio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498B1 (ko) * 2006-09-01 2011-07-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의 상향링크 신호 송신 방법, 송신 장치, 생성방법 및 생성 장치
US8391250B2 (en) 2006-09-01 2013-03-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plink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8902859B2 (en) 2006-09-01 2014-12-0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plink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USRE49539E1 (en) 2006-09-01 2023-05-3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plink sign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uplink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3647B1 (en) 2008-08-06
BR9904881A (pt) 2000-09-19
CN1132342C (zh) 2003-12-24
AU726293B2 (en) 2000-11-02
RU2160504C1 (ru) 2000-12-10
EP0983647A1 (en) 2000-03-08
AU2858499A (en) 1999-10-18
JP2000513548A (ja) 2000-10-10
CA2288814A1 (en) 1999-09-30
WO1999049594A1 (en) 1999-09-30
JP3393536B2 (ja) 2003-04-07
CN1262824A (zh) 2000-08-09
US6542478B1 (en) 2003-04-01
CA2288814C (en) 2003-08-19
DE69939243D1 (de) 2008-09-18
KR19990075901A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6182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통신시스템의의사잡음시퀀스발생방법및장치
US6091760A (en) Non-recursively generated orthogonal PN codes for variable rate CDMA
CA2605221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crambling code in umt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016959A2 (en)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for WCDMA
JP2009527183A (ja) スクランブルコードを生成する装置及び方法
US7075968B1 (en) Method for whitening spread spectrum codes
JP2000196562A (ja) コード位相設定方法及び装置
KR200305642Y1 (ko) 단확산 부호 발생장치
KR100369659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 코드포착을 위한상관장치 및 방법
KR20010091164A (ko) 의사잡음 코드 발생 장치
KR20000050967A (ko) 계층화된 직교부호 발생장치 및 그 방법
JPH06177856A (ja) スペクトラム拡散多重通信装置
JPH0697908A (ja) スペクトル拡散装置及びスペクトル逆拡散装置
JPH09162844A (ja) スペクトル拡散符号多重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