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714B1 -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714B1
KR100323714B1 KR1019990006982A KR19990006982A KR100323714B1 KR 100323714 B1 KR100323714 B1 KR 100323714B1 KR 1019990006982 A KR1019990006982 A KR 1019990006982A KR 19990006982 A KR19990006982 A KR 19990006982A KR 100323714 B1 KR100323714 B1 KR 10032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all
service
module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9415A (ko
Inventor
이헌주
차신
이남걸
민상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7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59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9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장치 및 방법은 LAN 텔리포니 환경에서 존재하는 전화나 PC(personal computer)기반의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콜 시그널링 시스템을 관리하고 최적의 미디어전송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콜 서버의 구조와, LAN 텔리포니의 인트라넷 환경을 만들고 LAN 텔리포니 인트라넷 메니저먼트를 수행하여 전체 LAN 텔리포니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콜 관련 부가 서비스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콜 서버의 부가 서비스의 확장과 인텔리전트(intelligent)한 시스템 운영을 위해 구축되었으며 콜 서버의 전체적인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CSIP(Call Server Internal Policy)와, 일반적인 콜 관련 서비스들의 메시지 생성과 전달 시그널의 라우팅 등 CSIP를 통해서 얻어진 결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CSCP(Call Server Call-related Processing)로 구성되는데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Apparatus and method service offering for in LAN Telephony system with call server}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적인 전화 서비스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 전산망의 발달로 인한 데이터망의 확장과 연속적이고 버스티(bursty)한 특성을 지닌 멀티미디어가 통신 채널을 점유하게 됨에 따라 시스템들과 전산망은 전화, 팩스, 700 음성 정보 서비스, 무선 호출 서비스, 인터넷 폰 서비스, 폰뱅킹 서비스, 콜 센터전용의 구내 교환 등의 음성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도로 인해 전화가 네트워크 상의 또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일반적인 사무 환경에서 컴퓨터가 다양한 서버 기능을 하는 것과 같이 전화를 통해서도 다양한 정보로 접근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 자원들을 음성이나 팩스 형식으로 변환하여 공중회선교환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PSTN)을 통해 다양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있다.
또한, 컴퓨터를 통해 모든 정보를 검색하는 것처럼 전화나 팩스에서도 똑같이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게 되었으며, 이와 같이 전화가 네트워크 상의 또 다른 응용 분야로 자리잡음에 따라 전화 통화를 위한 지원 인력의 감소를 예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만족시키고 확장시키기에 가장 적절한 환경으로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인터넷 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Protocol : TCP/IP) 기반의 LAN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최근 폭발적인 수요를 지닌 인터넷과의 연동에 유용하며 하나의 PC(personal computer) 기반의 전화 사설망의 개념을 적용하기에도 적절하다.
이러한 LAN과 텔리포니망의 통합 기술 접근 방법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어지는 것은 IP(Internet Protocol)패킷에 음성 신호를 싣는 방법이며, 전화 사설망에서 ARS(Automatic Response System)나 음성 서비스 등을 제공하기 위하여 콜 센터를 사용하듯이 LAN 텔리포니에서도 다양한 음성 서비스뿐만 아니라 음성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er : VMS), 비디오 서비스 등을 수행시키기 위한 콜 서버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상기 콜 서버는 외부 PSTN과의 연동관계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PC기반의 사설망의 부과 서비스, 운영관리, 과금관리 등의 PC기반의 전화 사설망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야 하는 등 많은 일을 수행해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LAN 텔리포니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데이터망에서의 사용자 정보 관리 및 데이터망의 혼잡도를 측정하여 서비스 품질을 조정하는 등 중앙 제어를 맡는 콜 서버(4)와, 상기 데이터망과 전화망의 서로 다른 신호 체계를 변형해 주고 외부 전화를 대신하여 상기 데이터망에 채널을 만들고 데이터를 주고받는 교환기(3)와, 전화 네트워크를 주관하는 상기 교환기와의 물리적 결합을 통해 모든 전화 통화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담당하는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6)와, 상기 교환기(3)와 연동하여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및 팩스 서비스 등을 담당하는 ARS 및 팩스 서버(5)와, 고객의 정보를 저장하는 고객 관리 데이터 베이스(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콜 서버(4)와 ARS 및 팩스 서버(5)는 PSTN망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CTI서버(6)는 TCP/IP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1)가 콜 시그널을 전화망(2)을 통해서 콜 서버(4)에게 알리면 상기 콜 서버(4)는 상기 ARS 및 팩스 서버(5), 상기 CTI서버(6)와 고객 관리 데이터 베이스(7)에서 정보를 찾아 사용자(1)에게 콜 시그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해 준다.
상기 CTI 서버(6)는 전화 네트워크를 주관하는 PBX(Private Branch eXchange)교환기와의 물리적 결합을 통해 모든 전화 통화에 대한 제어 및 모니터링을 담당한다.
또한 전화 데이터 통합 네트워크에서의 CTI서버(6)는 전화 데이터 통합 네트워크의 전형적인 운영 서버로서 응용 컴퓨터 시스템과 텔리포니가 연동 운영하도록 두 시스템이 물리적으로 연결되었으며, 컴퓨터 상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텔리포니를 제어 및 관리한다.
따라서 모든 착신전화 및 발신 전화는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과 지능적으로 통합함으로서, 통합 망 내에서의 통화 흐름 및 통화 경로에 대한 자동화를 수행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LAN 텔리포니 시스템은, 데이터 망 사용자가 여전히 전화망과 연결된 전화선을 통해 고객과 전화를 하고 데이터망에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 정보를 보기 때문에 컴퓨터와 전화망의 진정한 통합이라고 할 수 없다.
즉, 데이터망의 사용자에게는 여전히 전화망과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또한, LAN 텔리포니에서 전화를 PSTN에 존재하는 요소로 보는 것이 아니라 인트라넷(intranet) 상에서의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간주하여 LAN상에서의 앤드포인트(endpoint)요소들의 자유로운 접근과 정보 획득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첫째, LAN 텔리포니 환경에서 존재하는 전화나 PC기반의 전화 어플리케이션에 콜 시그널링 시스템을 관리하는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최적의 미디어 전송을 관리 제어하기 위한 콜 서버의 구조를 제안하는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셋째, LAN 텔리포니 관리에서 콜 서버 자체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하는 존(zone)개념을 도입하여 LAN 텔리포니 인트라넷 환경을 만들고 LAN 텔리포니 인트라넷 메니저먼트를 수행하여 전체 LAN 텔리포니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콜 관련 부가 서비스를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넷째, 다른 회사에서 개발한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국제 표준 규약을 지원하도록 한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LAN 텔리포니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사용자가 등록을 요청한 경우의 동작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사용자가 콜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의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 12 : VMS 관리 모듈
13 : TTS 관리 모듈 14 : 콜 부가 서비스 모듈
21 : 사용자 관리 테이블 22 :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
23 :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 24 : 미디어 제어 처리 모듈
25 : 네트웍 모니터링 모듈 26 :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장치의 특징은 콜 서버의 전체적인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CSIP(Call Server Internet Policy)와, 상기 CSIP를 통해 얻어진 결정을 수행하는 CSCP(Call Server Call-related Procession)와, 상기 CSIP의 운영 정책 결정에 필요한 사용자 및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 CSIP는, 사용자의 권한 및 서비스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과, 음성 메일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VMS(voice mail server)관리 모듈과, 시외 중계 교환을 관리하는 TTS(Toll Transit Switch)관리모듈과, 콜 포워딩(forwarding), 홀딩(holding), 그리고 콜 트랜스퍼링(transferring)을 수행하는 콜 부가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 CSCP는,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과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테이블과,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에서 사용자 인증을 거쳐 실질적인 메시지를 생성, 수행시키는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과,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콜 시그널을목적지에 전송하는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과,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에서 콜 시그널을 받아 다중 통화와 세션 설정을 관리하고 각 미디어 전송을 제어하는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과,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의 제어에 따라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미디어 전송과 현 네트워크에 적합한 전송속도를 처리하는 미디어 제어 처리 모듈과, 상기 미디어 제어 처리 모듈에서 전송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LAN 텔리포니에서 콜 서버 방법의 특징은 사용자가 콜 서비스를 요청하면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거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허가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사용자가 콜 한 서비스를 부가 서비스와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콜 서비스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콜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콜 서버의 부가 서비스의 확장과 인텔리전트(intelligent)한 시스템 운영을 위해 구축되었으며 콜 서버의 전체적인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CSIP(10)와, 일반적인 콜 관련 서비스들의 메시지 생성과 전달 시그널의 라우팅등 상기 CSIP(10)를 통해서 얻어진 결정을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CSCP(20)와, 상기 CSIP(10)의 운영 정책 결정에 필요한 사용자 및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관리 데이터 베이스(30)로 구성된다.
상기 CSIP(10)는, 사용자의 권한 및 서비스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과, 음성 메일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VMS(voice mail server)관리 모듈(12)과, 시외 중계 교환을 관리하는 TTS(Toll Transit Switch)관리모듈(13)과, 콜 포워딩(forwarding), 홀딩(holding), 그리고 콜 트랜스퍼링(transferring)을 수행하는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CSCP(20)는,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과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테이블(21)과,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에 사용자 인증을 거쳐 실질적인 메시지를 생성, 수행시키는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과,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입력받아 콜 시그널을 목적지에 전송하는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과,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에서 정보를 받아 다중 통화와 세션 설정을 관리하고 각 미디어 전송을 제어하는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과,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의 관리를 받아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의 효율적인 미디어 전송과 현 네트워크에 적합한 전송속도를 알려 주는 미디어 제어 처리 모듈(24)과, 상기 전송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LAN 텔리포니의 콜서버를 구성하여 전화망과 컴퓨터를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통합 관리하므로써, 종래 콜서버의 제어로 교환기(3)를 통해 쌍방간에 연결시켜주고, 별도의 CTI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자의 컴퓨터와 연결시켜 필요한 정보를 수신자 컴퓨터에 제공함으로써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상기 구성에 대한 동작을 보면, 사용자가 콜 서버에 등록 요청을 하면 콜 서버는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에 등록 요청 시그널을 전송하고, 상기 주소 등록 시그널 모듈(22)은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11)에 전송하여 등록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등록 허용이 이루어지면 상기 주소 등록 시그널 모듈(22)은 사용자 관리 테이블(21)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등록 확인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등록이 이루어지면 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사용자가 콜을 요청하면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에 콜 요청 시그널을 전송되고,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11)에 전송하여 요청한 사용자의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사용자의 허용이 이루어지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11)은 상기 사용자의 서비스 허가 명령을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로 전송한다.
그러면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사용자 관리 테이블(21)에 사용자 콜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 허가 메시지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가 콜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콜 시그널은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로 전송되고,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에 상기 사용자가 콜 서비스한 목적지의 주소를 요청한다.
그러면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로부터 주소를 입력받으면 사용자 관리 테이블(21)에 상기 입력된 주소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확인된 주소를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로 상기 설정된 목적지의 주소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입력받은 주소가 외부전화인 경우와 같이 게이트웨이를 통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이나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경우는 목적지 주소를 게이트웨이로 설정하고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로 상기 목적지 주소를 전송한다.
또한, 외부 전화도 아닌 경우에는 콜을 거절한다.
상기 주소를 전송 받은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콜 시그널 수행이 확립된 결과와 정보를 상기 다중 통화 세션관리 모듈(26)로 전송한다.
다중 통화 세션관리 모듈(26)은 상기에서 전송된 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각 VMS 관리 모듈(12), TTS 관리 모듈(13),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과 연동하고, 상기에서 전송된 정보를 세션으로 설정하고 통화 정보를 확립하고 확립한 세션별 참가자의 통화 정보를 유지하고 각 참가자가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미디어 코딩을 정의하고 이를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VMS 관리 모듈(12)은 콜 서버의 부가 서비스의 일종으로 콜 했던 사용자가 응답이 없을 경우 VMS(Voice Mail Server)에 연결시켜 음성 메일을 전송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기 TTS 관리 모듈(13)은 상기 콜 한 사용자가 시외전화를 콜 한 경우 시외 중계 회선을 교환하는 교환기를 사용하여 전송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은 콜 포워딩, 홀딩, 콜 트랜스퍼링을 수행시키는 일련의 과정으로,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의 수행 과정에서 상기 콜 포워딩인 경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에 포워딩 요청 신호를 보내고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은 포워딩 신호를 처리한 후에 그 결과를 반환하고, 만약 포워딩을 신청한 사용자로 콜 요청이 들어오면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은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에 포워딩 정보를 얻어 오게 되어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은 포워딩 되는 정보가 다중 포워딩이라 할지라도 자체 홉을 거쳐 최종 포워딩 주소를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에 알려주게 되어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에서는 단일 포워딩만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된다.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의 수행 과정에서, 상기 콜 트랜스퍼링 요청인 경우에는 콜 트랜스퍼링 요청신호를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에게 알린 후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로부터 허용 가능 시그널을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로 전송하면 기존 콜을 해제시키고 새로이 트랜스퍼링된 사용자로 콜을 연결시킨다.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의 수행 과정에서, 상기 홀드신호를 요청인 경우에는 홀드신호가 요청된 세션이 다중 콜인지 1:1콜인지를 확인하고 다중 콜의 경우에는 홀드신호를 취소시키고 1:1 콜의 경우에는 홀드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에서 받은 시그널 메시지를 상기사용자가 요청한 다른 사용자에게 통화 시그널 메시지를 전송한다.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 통화 시그널 메시지 전송 후에 상기 다른 사용자로부터 콜 확립 메시지를 받으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다른 사용자와의 통화를 연결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사용자가 등록을 콜 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사용자가 콜 서비스를 콜 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LAN 텔리포니의 콜 서버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사용자가 등록을 콜 한 경우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먼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증을 통해 서비스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제 1 사용자가 콜 서버에 등록 요청을 하면(S1) 콜 서버는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에 등록 요청 시그널을 전송하고,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제 1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11)에 전송하여 등록 허용을 요청하면(S2), 상기 제 1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은 사용자 등록 최대 허용수가 넘었는지를 확인(S3)하고, 상기 확인의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의 등록 요청을 판단한다(S4).
상기 판단결과 서비스를 받을 수 없으면 사용자에게 거부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허용수가 넘어서 사용자의 등록 요청을 거절하는 것으로판단(S4)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은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에 등록 거부 명령을 전송하고(S9),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거부 메시지를 전송한다(S10).
상기 판단결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허가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최대 허용수가 넘지 않아서 사용자의 등록 요청을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S4)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11)은 상기 제 1 사용자가 정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인지 동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알아보고(S5), 상기 제 1 사용자가 정적으로 등록된 사용자면 사용자 레이블의 할당하고, 상기 제 1 사용자가 동적으로 등록된 사용자면 최저 레벨을 할당한다(S6).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은 상기 할당된 결과와 등록 허가명령을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로 전송하고(S7),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등록 허가 메시지를 전송한다(S8).
제 1 사용자가 등록이 이루어지면 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게 되는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를 보면 상기 사용자 인증을 통해 서비스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을 요청하면(S11)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로 사용 허가를 요청하고(S12)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은 상기 요청에 대한 망 자원의 서비스 가능여부의 정보를 네트워크 모니터링 모듈(25)에서 전송 받아서(S13),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한 제2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11)에 전송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S14), 서비스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S15).
상기 판단결과 서비스를 받을 수 없으면 사용자에게 거부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이 거절로 판단(S15)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은 콜 요청 거부 명령을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에 전송하고(S16)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거부 명령을 입력받아 제 1 사용자에게 거부 메시지를 전송한다(S17).
상기 판단결과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면 사용자에게 허가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이 허가로 판단(S15)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11)은 상기 제 1 사용자의 서비스 허가 명령을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로 전송하고(S18),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사용자 관리 테이블(21)에 제 1 사용자의 콜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 허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 1 사용자에게 전송한다(S19).
상기 사용자에게 서비스 허가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사용자와 부가 서비스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서비스를 요청한 콜 시그널은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로 전송하고(S20),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에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 서비스한 목적지의 주소를 요청하고,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로부터 주소를 입력받으면 사용자 관리 테이블(21)과 연동하여 주소가 테이블에 있는지 혹은 외부 전화인지를 확인한다(S21).
상기 주소가 테이블에 없거나 외부 전화도 아닌 경우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에게 콜 거절 시그널을 전송하고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거절 메시지를 전송한다(S22).
상기 주소가 테이블에 있는 경우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22)은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로 상기 설정된 목적지의 주소를 IP(Internet Protocol)의 형식으로 전송하고,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허가 메시지를 전송한다(S23).
그리고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콜 시그널 수행이 확립된 결과와 정보를 상기 다중 통화 세션관리 모듈(26)로 전송하고(S24), 상기 다중 통화 세션관리 모듈(26)은 상기에서 전송된 정보가 부가 서비스 관련 콜인가를 판단한다(S25).
그리고, 상기 판단에서 부가 서비스에 관련된 콜인 경우 상기 다중 통화 세션관리 모듈(26)은 각각 TTS 관리 모듈(S26)과, VMS 관리 모듈(S27)과, 그리고 홀딩, 콜 트랜스퍼링, 콜 포워딩과 같은 콜 부가 서비스 모듈(S28)을 이용하여 실행시키고,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에서 상기 실행된 세션 정보를 설정하고 통화 정보를 확립한다(S29).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에서 상기 콜 포워딩인 경우에 포워딩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은 포워딩 신호를 처리한 후에 그 결과를 반환한다.
만약 포워딩을 신청한 사용자에게 콜 요청이 들어오면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은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에 포워딩 정보를 얻어 오게 되어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은 포워딩 되는 정보가 다중 포워딩이라 할지라도 자체 홉을 거쳐 최종 포워딩 주소를 다중 세션 관리 모듈(26)에 알려주게 되어 상기 다중 세션 관리 모듈(26)은 단일 포워딩만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고, 상기 콜 트랜스퍼링 요청인 경우에는 콜 트랜스퍼링 요청신호를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에게 알린 후 상기 콜 부가 서비스 모듈(14)로부터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은 허용 가능 신호를 받고, 기존의 콜을 해제시키고 새로이 트랜스퍼링된 사용자로 콜을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홀드신호를 요청하면 홀드신호가 요청된 세션이 다중 콜인지 1:1콜인지를 확인하고 다중 콜의 경우에는 홀드신호를 취소시키고 1:1 콜의 경우에는 홀드신호를 상대방에게 전송한다.
사용자와 부가 서비스가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콜 서비스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다중 통화 세션관리 모듈(26)에서 상기 확립된 세션별 참가자의 정보를 유지하고 각 참가자가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미디어 코딩을 정의하고 상기 정의된 시그널 메시지를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에 전송한다(S30).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 전송된 시그널 메시지를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한 제 2 사용자에게 전송하고(S31), 상기 제 2 사용자는 상기 콜 확립 메시지를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에게 전송한다(S32).
그리고 상기 통화 시그널 라우팅 모듈(23)은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확립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에 정보를 전송한다(S33).
상기 다중 통화 세션 관리 모듈(26)은 미디어 제어 처리 모듈(24)을 통해서 미디어 정보 교환 및 세션 미디어 코덱을 설정하고(S34),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2 사용자와의 통화를 연결한다(S35).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AN 텔리포니에서 효율적인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콜 서버 시스템의 장치 및 방법으로 인해 CSIP를 변형시켜 시스템을 쉽게 확장할 수 있고, 시스템 개발자들은 CSCP에 대해 투명성을 가지고 개발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음성과 데이터의 통합을 용이하게 하여 전화망과 LAN망의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구축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구입 비용을 줄이고 관리 체제를 통합함으로써, LAN상의 네트워크 관리를 수행할 수 있고, 콜 서버가 콜 관련 로그와 데이터를 유지 보수함으로써 고장허용차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콜 전체의 관리 및 시그널 처리 등을 수행하므로 이와 관련된 전자 홈쇼핑, 원격 교육 시스템, 화상 회의 시스템, 보안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콜 서버의 전체적인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CSIP(Call Server Internet Policy)와,
    상기 CSIP를 통해 얻어진 결정을 수행하는 CSCP(Call Server Call-related Procession)와,
    상기 CSIP의 운영 정책 결정에 필요한 사용자 및 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시스템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SIP는 사용자의 권한 및 서비스 운영 정책을 결정하는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과,
    음성 메일을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VMS(voice mail server)관리 모듈과,
    시외 중계 교환을 관리하는 TTS(Toll Transit Switch)관리모듈과,
    콜 포워딩(forwarding), 홀딩(holding), 그리고 콜 트랜스퍼링(transferring)을 수행하는 콜 부가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3. 사용자가 콜 서비스를 요청하면 사용자 인증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의 유무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거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기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허가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사용자가 콜 한 서비스를 부가 서비스와 연결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연결이 완료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콜 서비스를 전송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에 따른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제 1 사용자가 콜 서버에 등록 요청을 하면 콜 서버는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에 등록 요청 시그널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은 제 1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에 전송하여 등록 허용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은 사용자 등록 최대 허용수가 넘었는지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사용자의 등록 요청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에 따른 서비스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는 상기 최대 허용수가 넘어서 사용자의 등록 요청을 거절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에 등록 거부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거부 명령을 전송 받아서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거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에 따른 서비스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상기 최대 허용수가 넘지 않아서 사용자의 등록 요청을 허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사용자가 정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인지 동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인지를 알아보고 상기 제 1 사용자가 정적으로 등록된 사용자면 사용자 레이블의 할당하고, 상기 제 1 사용자가 동적으로 등록된 사용자면 최저 레벨을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할당된 결과와 등록 허가명령을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은 상기 제 1 사용자에게 등록 허가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을 요청하면 상기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 모듈로 사용 허가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한 서비스 가능여부의 정보를 상기 제 1 사용자와 상기 제 1 사용자가 콜한 제 2 사용자의 정보를 사용자 인증 및 등록 제어모듈에 전송하여 등록된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서비스 요청에 대한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에 따른 서비스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제 3 단계는 상기 서비스 요청이 허가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사용자의 서비스 허가 명령을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로 전송하고 상기 주소 등록 정보 시그널 모듈은 사용자 관리 테이블에 제 1 사용자의 콜 요청 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 허가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 1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에 따른 서비스 방법.
KR1019990006982A 1999-03-03 1999-03-03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32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82A KR100323714B1 (ko) 1999-03-03 1999-03-03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6982A KR100323714B1 (ko) 1999-03-03 1999-03-03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415A KR20000059415A (ko) 2000-10-05
KR100323714B1 true KR100323714B1 (ko) 2002-02-07

Family

ID=1957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982A KR100323714B1 (ko) 1999-03-03 1999-03-03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69B1 (ko) * 2001-02-15 2004-03-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네트워크 기반 작업 요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929A (ko) * 2001-03-13 2002-09-19 주식회사 앳폰텔레콤 컴퓨터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42A (ko) * 1996-09-23 1998-07-06 포만 제프리 엘 디지탈 정보 네트워크상에서의 전화 교환 시스템의 제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042A (ko) * 1996-09-23 1998-07-06 포만 제프리 엘 디지탈 정보 네트워크상에서의 전화 교환 시스템의 제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69B1 (ko) * 2001-02-15 2004-03-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네트워크 기반 작업 요청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9415A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8738B1 (en) Communications between the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and packetized data networks
JP3441728B2 (ja) 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5512397A (ja) 一次接続の代替接続に対する使用可能フューチャの形成方法
MXPA02003072A (es) Metodo y sistema para proporcionar servicios inteligentes de control de red en la telefonia ip.
US20040114515A1 (en) VoIP call control apparatus in private branch exchange and method thereof
Anerousis et al. TOPS: An architecture for telephony over packet networks
US6363142B1 (en) Network directed call pickup service
US745056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 using internet phones and system therefor
US8155111B2 (en) Method and system for employing underutilized communication channels as outbound gateways
JP4113766B2 (ja) 地域通信網を用いた携帯電話システム
EP1054569A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across a telephone network and an IP network
US74746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ulsively receiving multi-calls over internet protocol phones i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system
KR100323714B1 (ko)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 LAN) 텔리포니 시스템에서의 콜 서버 장치 및 그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
EP1248445B1 (en) Call appearance shared by PSTN phone and Voice over IP phone
KR20010068134A (ko) 구내통신 서비스를 이용한 인터넷전화 서비스제공 장치 및그 방법
KR20160077799A (ko) 통화중 녹음 방법 및 그 통신시스템
EP100159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lephony feature access and gatekeeper policy interaction on combined ToL/PBX system
KR100371917B1 (ko) 컴퓨터-전화(ct) 호 서버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KR20030027466A (ko) 인터넷 폰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설교환시스템에서 호 전환장치 및 방법
KR20040063197A (ko) 비가입 착신과금형 VoIP 전화 서비스 방법
EP1359704A1 (en) Communications environment comprising a telecommunications web site
EP1359706A1 (en) Communications environment comprising a telecommunications web site
EP1359702A1 (en) Communications environment comprising a telecommunications web site
EP1359705A1 (en) Communications environment comprising a telecommunications web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