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726B1 -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726B1
KR100320726B1 KR1019990016334A KR19990016334A KR100320726B1 KR 100320726 B1 KR100320726 B1 KR 100320726B1 KR 1019990016334 A KR1019990016334 A KR 1019990016334A KR 19990016334 A KR19990016334 A KR 19990016334A KR 100320726 B1 KR100320726 B1 KR 100320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t water
water
cool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3192A (ko
Inventor
유성연
김광영
Original Assignee
유성연
김광영
주식회사 에이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연, 김광영, 주식회사 에이스랩 filed Critical 유성연
Priority to KR1019990016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726B1/ko
Publication of KR2000007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3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tap or c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1Construction of th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6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heaters, e.g. boilers, other than space heatin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3Storage h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 난방, 감습, 가습, 공기정화를 동시에 행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에 의해 미립화한 물분무입자를 공기와 직접 접촉시켜 공기와 분무입자 사이의 열전달(Heat Transfer)과 물질전달(Mass Transfer)에 의해 공기의 냉각과 감습, 가열, 감습, 공기정화를 하나의 장치로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전달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온도가 낮은 곳으로, 물질전달은 수증기 분압(농도)이 높은 곳에서 수증기 분압(농도)이 낮은 곳으로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일부 배출하고 실외공기와 혼합한 후 가열 또는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순환시키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립화한 물 분자입자를 공기와 직접접촉시켜 냉각과 감습, 가열과 가습,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분무수단과, 상기 분무수단에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냉동기 및 온수보일러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달효율이 뛰어나고 가열코일, 냉각코일, 가습기, 필터 등의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운전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은 물론 공기 중의 미세입자와 오염가스가 분무입자에 흡수되어 제거되므로 온도와 습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청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Water direct contact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냉방, 난방, 감습, 가습, 공기정화를 동시에 행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에 의해 미립화한 물 분무입자를 공기와 직접 접촉시켜 공기와 분무입자 사이의 열전달(Heat Transfer)과 물질전달(Mass Transfer)에 의해 공기의 냉각과 감습, 가열과 가습을 동시에 행할 수 있도록 한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설치된 대부분의 공기조화장치는 그 당시에 연료가 풍부하고 연료비가 저렴한 관계로 시스템을 설계할 때에 에너지 절약에는 전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 이후 두차례의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연료의 비용이 상승하고 화석연료의 지나친 사용으로 지구온난화의 우려가 증대되면서 에너지 절약형 시스템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공기조화장치는 단순히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을 실시하는 시대에서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면서 쾌적한 환경(적당한 온도, 적당한 습도 및 깨끗한 공기)을 실현하는 고성능 고품질의 장치를 요구하는 시대로 바뀌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욕구는 공기조화장치에 사용되는 보일러, 냉동기, 열교환기 등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시스템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어느정도 만족시켜 오고 있으나, 기존의 공기조화장치는 이제 기술개발의 한계에 봉착해 있다.
즉 기존의 공기조화장치의 일예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름철의 냉방과 감습을 위해서 냉동기(1)와 냉각코일(1a)이 반드시 필요하고, 겨울철의 난방과 가습을 위해서 온수보일러(2), 난방코일(2a), 가습기(3) 등이 필요하며 깨끗한 공기를 만들어주기 위해서는 필터(4)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이들 장치를 각각 설치함에 따라 많은 설치비용이 소요되고 이에 따른 운전비용 또한 막대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냉방과 감습, 난방과 가습, 공기정화를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설치비용 및 운전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열전달은 온도가 높은 곳에서 온도가 낮은 곳으로, 물질전달은 수증기 분압(농도)이 높은 곳에서 수증기 분압(농도)이 낮은 곳으로 일어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즉 공기의 노점온도(Dew Point)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노즐에 공급되면 냉각과 감습이 행하여지고, 노점온도 보다 높고 건구온도(Dry Bulb Temperature) 보다 낮은 온도의 물이 공급되면 냉각과 가습이 행하여 지며, 건구온도 보다 높은온도의 물을 공급하면 가열과 가습이 행하여진다.
또한 공기 중의 미세입자와 오염가스가 분무입자에 흡수되어 제거되므로 공기정화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물의 공급압력과 공급온도를 임의로 조절하므로써 하나의 장치로 냉각과 가열, 감습과 가습, 공기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일부 배출하고 실외공기와 혼합한 후 가열 또는 냉각하여 실내로 공급순환시키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덕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미립화한 물 분무입자를 공기와 직접접촉시켜 냉각과 감습, 가열과 가습,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분무수단과, 상기 분무수단에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냉동기 및 온수보일러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종래 공기조화장치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 공기조화장치의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 공기조화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냉동기 2,11 : 온수보일러 6 : 덕트
20 : 물탱크 30 : 튜브열 40 : 분무노즐
50 : 수분제거수단 51 : 스크러버 52 : 데미스터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송풍기(5)에 의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일부가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량만큼 깨끗한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혼합된 후 가열 또는 냉각되어 실내로 공급순환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덕트(6) 내부에 미립화한 물 분무입자를 공기와 직접접촉시켜 냉각과 감습, 가열과 가습,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분무수단(7)이 형성되고 분무수단(7)은 덕트(6)의 외부에서 냉동기(1) 및 온수보일러(2)에 의해 선택적으로 냉,온수가 공급되어 분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예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6)의 외부에 물탱크(20)로 냉,온수를 공급하는 냉동기(10) 및 온수보일러(11)가 설치되고 냉,온수는 삼방밸브(12)에 의해 물탱크(20)의 저장부(21)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물탱크(20)는 내부가 저장부(21) 및 회수부(22)로 구획되어지되 저장부(21)에는 냉동기(10) 및 온수보일러(11)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냉,온수가 일시 저장되며 회수부(22)에는 공기와 직접접촉된 후 냉각 또는 가열된 수분이 회수되어 리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탱크(20)의 저장부(21)에 공급된 냉,온수는 펌프(13)에 의해 유량계(14)를 거쳐 튜브열(30)을 통해 덕트(6) 내부로 공급되고 유량의 제어는 인버터(15)에 의해 가능케 된다.
튜브열(30)의 일측에는 덕트(6)내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분무노즐대(41)가 설치되고 분무노즐대(41)에는 일측방향으로 다수의 분무노즐(40)이 형성된다.
이때 분무노즐(40)의 방향은 공기유입구를 향하는 형태와 상호 마주보는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설치 가능하며 분무노즐(40)과 분무노즐대(41)의 설치간격 및 갯수는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무노즐(40)의 후방에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 중에 포함된 분무입자(수분)를 제거하는 수분제거수단(50)이 형성되고 수분제거수단(50)은 스크러버(51)와 데미스터(52)로 이루어져 스크러버(51)에서 1차 제거된 후 스크러버(51)에서 제거되지 않은 분무입자는 2차적으로 스텐인레스 재질의 와이어로 된 Mesh 형태의 데미스터(52)에 의해 완전히 제거된 후 송풍기(5)에 의해 실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무노즐(40) 및 스크러버(51)의 하단에 설치된 수집구(61)에는 분무후의 수분이 수집되어 물탱크(20)의 회수부(22)로 회수된 후 다시 삼방밸브(12)에 의해 선택적으로 냉동기(10) 또는 온수보일러(11)로 리턴가능케 하는 리턴수단(6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동기(10) 및 온수보일러(11)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물탱크(20)의 저장부(21)에 일시저장된 냉,온수는 펌프(13)에 의해 튜브열(30)을 통해 덕트(6)내부의 분무노즐(40)로 미세한 입자로 미립화되어 분무된다.
이때 냉방의 경우 냉수를 분무하면 따뜻한 공기와 냉각된 분무입자 사이의 열전달과 물질전달에 의해 공기는 열을 잃어 온도가 내려가고 냉각수는 열을 얻어 온도가 상승되며 이 경우 공기의 상대습도는 증가하지만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량즉, 습도비는 감습소한다.
그리고 난방의 경우 온수를 분무하면 찬공기와 가열된 분무입자 사이의 열전달과 물질전달에 의해 공기는 열을 얻어 온도가 올라가고 물은 열을 잃어 온도가 내려가며 이 경우 공기의 습도비는 증가하여 가습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공기 중의 미세입자와 오염가스 등은 분무입자에 흡수되어 제거되므로써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는 스크러버(51) 및 테미스터(52)에 의해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후 송풍기(5)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고 제거된 수분은 수집구(61)로 수집되어 리턴수단(60)에 의해 다시 냉동기(10) 및 온수보일러(11)로 리턴되어 순환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분무입자와 공기가 직접접촉하여 열전달과 물질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전달효율이 뛰어나고 가열코일, 냉각코일, 가습기, 필터 등의 설치에 따른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운전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은 물론 공기중의 미세입자와 오염가스가 분무입자에 흡수되어 제거되므로 온도와 습도 뿐만 아니라 공기의 청정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일부 배출하고 실외공기와 혼합한 후 가열 또는 냉각하여 공급순환시키되 분무노즐을 이용하여 빙축열시스템과의 열교환으로 냉각된 물을 혼합공기에 분무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수분제거수단으로 제거시키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냉동기(10) 및 온수보일러(11)와,
    상기 냉동기(10) 및 온수보일러(11)로 공급된 냉,온수가 일시 저장되는 저장부(21)와 공기와 직접접촉된 후 수집구(61)로 수집되는 수분을 회수하여 선택적으로 냉동기(10) 및 온수보일러(11)로 리턴시키는 회수부(22)로 구획된 물탱크(20)와,
    상기 저장부(21)에 저장된 냉,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미립화환 냉,온수 물분무입자를 공기에 직접접촉시키는 분무노즐(40)을 구비하여 냉각과 감습, 가열과 가습, 공기정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KR1019990016334A 1999-05-07 1999-05-07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KR100320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334A KR100320726B1 (ko) 1999-05-07 1999-05-07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334A KR100320726B1 (ko) 1999-05-07 1999-05-07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192A KR20000073192A (ko) 2000-12-05
KR100320726B1 true KR100320726B1 (ko) 2002-01-19

Family

ID=1958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334A KR100320726B1 (ko) 1999-05-07 1999-05-07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7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61B1 (ko) * 2013-02-28 2014-07-18 이호진 에너지 절약형 산업용 환기장치
KR101917819B1 (ko) * 2018-03-12 2019-01-29 주식회사 서한테크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제습기
KR102028943B1 (ko) * 2019-02-20 2019-10-08 장현수 미세먼지 제거 등 공기재생 기능을 구비한 공기처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408A (ko) * 2001-12-04 2003-06-11 (주)진평하이텍 고정밀 온·습도 조절 장치
JP2003202174A (ja) * 2002-01-09 2003-07-18 Tadahiro Omi 空気冷却装置
KR100820485B1 (ko) * 2006-12-12 2008-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공조설비의 스프레이 존 노즐 장착구조
KR101509009B1 (ko) * 2014-11-05 2015-04-08 주식회사 원방테크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KR102540771B1 (ko) * 2021-03-09 2023-06-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냉매를 이용한 환기 냉방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61B1 (ko) * 2013-02-28 2014-07-18 이호진 에너지 절약형 산업용 환기장치
KR101917819B1 (ko) * 2018-03-12 2019-01-29 주식회사 서한테크 냉-난방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제습기
KR102028943B1 (ko) * 2019-02-20 2019-10-08 장현수 미세먼지 제거 등 공기재생 기능을 구비한 공기처리기
WO2020171331A1 (ko) * 2019-02-20 2020-08-27 장현수 미세먼지 제거 등 공기재생 기능을 구비한 공기처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192A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66981C (zh) 除湿器/空调系统
CN1711448B (zh) 空气调节系统和方法
US5181387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7322205B2 (en) Hydronic rooftop cooling systems
US9631824B1 (en) Liquid desiccant HVAC system
CN204717852U (zh) 空调柜机
US20050252229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2252380A (zh) 带新风预处理装置的溶液调湿空调机组
JPH0684822B2 (ja) 間接型空調器
WO2006068017A2 (ja) 空調システム
KR101209335B1 (ko) 냉온풍기
CN202133046U (zh) 带新风预处理装置的溶液调湿空调机组
KR100320726B1 (ko) 물 직접접촉식 공기조화장치
KR100357285B1 (ko) 폐열 회수식 냉방장치에 적합한 가습 겸용 냉난방 장치
CN104949201A (zh) 空调柜机
CN103075769B (zh) 一种可实现能量回收与免费供冷的新风空调机组
CN204717856U (zh) 空调柜机
CN100554796C (zh) 太阳能驱动紧凑式两级并联液体除湿空调
JP4783637B2 (ja) 空気調和方法、空気調和設備及びこの空気調和設備の制御方法
KR100657431B1 (ko) 가스히트펌프를 이용한 도장부스용 크린에어 공급장치
JP3942820B2 (ja) 空調用加湿方法
JPH08158814A (ja) 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の吸気冷却システム
CA2214409A1 (en)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an air conditioning unit comprising heat recovery means and means for introducing additional heating and cooling
BG100347A (bg) Система за охлаждане на входящия въздух в климатична инсталация
CN1170088C (zh) 利用水液气二相变化进行复式热移转的空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