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262B1 - 디스플레이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는장치와방법및디스플레이되는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기위한프로그램을저장하는읽을수있는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는장치와방법및디스플레이되는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기위한프로그램을저장하는읽을수있는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262B1
KR100320262B1 KR1019970035900A KR19970035900A KR100320262B1 KR 100320262 B1 KR100320262 B1 KR 100320262B1 KR 1019970035900 A KR1019970035900 A KR 1019970035900A KR 19970035900 A KR19970035900 A KR 19970035900A KR 100320262 B1 KR100320262 B1 KR 100320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ordinates
point
primar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237A (ko
Inventor
이사오 아카다
코지 도요하라
가주오 이와사키
엔도카츄요시
나오키 니시카와
켄지 후지오카
히로시 타니부치
Original Assignee
기노시타 구니아키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오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노시타 구니아키,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오사카 filed Critical 기노시타 구니아키
Publication of KR1998001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tagging characters, objects or locations in the game scene, e.g. displaying a circle under the character controlled by the play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4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3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 A63F2300/30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 A63F2300/306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output arrangements for receiving control signals generated by the game device for displaying additional data, e.g. simulating a Head Up Display for displaying a marker associated to an object or location in the game fiel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45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mapping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input arrangement into game comm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1Ball

Abstract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조작부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다수의 제어 스위치와,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주어진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조이스틱을 가지고 있다. 아날로그 조이스틱이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게임 플레이어에 의해 조작될 때, 2차원 평면에서 원하는 방향의 위치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그 기울어진 위치에 따라 위치 신호를 발생한다. 좌표변환부는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상수와 1차 변환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상수로 경사진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설정된 기준 위치와 관련하여 화상 위치의 3차및 4차 2차원 좌표로 변환시킨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화상에서의 지점을 지정하는 장치가 방법 및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에서의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Apparantus for and method of designation a point on displayed image, and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designationg a point on displayed image}
본 발명은 화상 디스플레이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다각형 영역, 타원형 영역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치수를 갖는 주어진 영역 내에 조작부로 일정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화상 디스플레이부에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 상의 주어진 영역 내에 일정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전 게임 시스템과 같은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화상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은 게임 플레이어(player)에 의해 조작부에 있는 다수의 제어 스위치로 그 움직임이 제어된다. 어떤 비디오 게임에서는 게임 플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에서 일정 지점을 지정하도록 요구한다. 예를 들어, 비디오 야구 게임에서 투수가 야구 볼을 투구하는 위치(이하 "투구 위치"라함) 또는 타자가 배트를 스윙하는 지점(이하 "타석 위치"라 함)을 게임 플레이어가 지정해 줄 필요가 있다. 게임 플레이어가 십자형 키와 같은 디지털 조이스틱을 작동하여 그러한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관례였다.
디지털 조이스틱이 작동될 때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그의 접촉 위치는 디지털 조이스틱이 해당되는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로 4 방향에서 2차원적으로 움직인다. 위치신호에 기초한 접촉위치는 좌표변환부에 의하여 화상 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기준 지점과 관련하여 X와 Y 좌표로 표현되는 화상 위치로 변환된다.
위치 신호에 기초한 접촉 위치가 좌표변환부에 의해서 화상위치로 변환될 때, 접촉 위치를 X 좌표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변환상수와 접촉위치를 Y 좌표로 변환하는데 사용되는 변환상수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비디오 야구 게임의 게임 플레이어는 실제 스트라이크 존(zone)이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헝상으로 디스플레이되지만, 단지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정사각형 영역 내에서만 투구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한 제한은 비디오 야구게임을 실현하지 못한다.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위치에 관해 2차원 좌표를 연속적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아날로그 조이스틱으로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위치를 지정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상 상의 다각형 영역, 타원영역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치수를 가진 주어진 영역 내에 일정 지점을 조이스틱으로 지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상 상의 주어진 영역 내에 일정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상 상의 영역 내에 하나의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다른 수직 및 수평 치수를 갖는 일정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수단을 포함하며, 이 지정 수단은 그 경사진 위치에 따라 위치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2차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이스틱과,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상수와 1차 변환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상수로서 위치 신호에 기초한 경사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각각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일정 기준 위치와 관련한 화상 위치의 3차 및 4차 2차원 좌표로 변환시키는 좌표변환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그 방법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그 기울어진 위치에 따라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2차원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이스틱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치수를 갖는 일정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는 단계,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상수와 1차 변환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상수로서, 위치 신호에 기초한 경사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각각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일정 기준 위치와 관련하여 화상 위치의 3차 및 4차 2차원 좌표로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고, 그 기울어진 위치에 따라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2 차원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이스틱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치수를 갖는 일정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며,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상수와 1차 변환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상수로서, 위치 신호에 기초한 경사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각각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일정 기준 위치와 관련하여 화상 위치의 3차 및 4차 2차원 좌표로 변환시킴으로서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영역 내에 위치를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는 장치를 제공되며, 이 장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치수를 갖는 일정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2차원 방향으로 경사진 위치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이스틱과,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상수와 1차 변환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상수로서 위치 신호에 기초한 경사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각각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일정 기준 위치와 관련하여 3차및 4차 2차원 좌표로 변환시키는 좌표변환부를 포함한다.
조이스틱이 기울어지면 기울어진 위치에 따라 위치신호를 발생시키며 위치신호에 기초한 경사진 위치는 한 세트의 2차원 좌표와 다른 세트의 2차원 좌표에 대하여, 서로 다른 변환상수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화상위치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 지점이 지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의 영역은 사각 형(또는 원형) 보다 늘어진 사각형 형상(또는 타원 형상)이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은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일 수 있고 그 지정된 지점은 투수가 투구하는 투구 위치나 타자가 야구 배트를 스윙하는 스윙 위치가 될 수 있다.
그 지정된 지점은 투수가 투구하는 투구위치나 타자가 배트를 휘두르는 스윙지점을 선택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는 투구하는 지점과 스윙하는 지점에 대한 각각 다른 세트의 1차 및 2차 변환 상수를 가진 3차 및 4차 2차원의 좌표로 변환될 수 있다.
투구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은 1차 영역 내에 지정될 수 있으며, 스윙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은 2차 영역 내에 지정될 수 있으며, 2차 영역은 1차 영역에 포함되며, 1차 영역보다 적다.
이렇게 스윙하는 위치와 투구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비디오 야구 게임의 게임 플레이어는 실제 야구 경기를 할 때와 실질적으로 똑같은 현실감을 느끼면서 비디오 야구게임을 즐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들 및 다른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들이 실예에 의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한 도면과 관련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백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주어진 영역 내의 일 지점을 지정하는 장치의 조작부의 사시도.
제 2 도는 장치의 블록도.
제 3 도는 본 장치와 결합되는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 비디오 야구 게임이 플레이될 때 한 화상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을 보여주는 도면.
제 4 도는 화상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좌표영역으로 변환될 조이스틱의 접촉 위치 좌표의 정방형 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제 5 도는 배팅 모드 시에 비디오 야구 게임 작동순서의 흐름도.
제 6 도는 피칭 모드 시에 비디오 야구 게임 작동순서의 흐름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한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 비디오 축구 게임이 플레이될 때 화상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나타내는 도형.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조작부 2 : 시작 버튼
3 : 선택 버튼 4 : 취소 버튼
5 : 제어 스위치 6. 아날로그 조이스틱
7 : 디지털 조이스틱 9 : 중앙처리장치 (CPU)
10 : 디스플레이 제어부 11 : 음극선관(CRT)
12 :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 13 : 좌표변환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주어진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를 가지고 있다. 이 장치는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디오 야구게임으로 기술될 비디오 게임을 하기 위한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 통합되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는 비디오 게임을 시작하기 위한 시작버튼(2), 투구 모드 또는 배팅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3), 취소 버튼(4),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될 화상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제어스위치(5) 및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에서 주어진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아날로그 조이스틱(6)을 가지고 있다.
아날로그 조이스틱(6)은 비디오 야구게임의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주어진 영역 내에 투구 위치 또는 스윙 위치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아날로그 조이스틱(6)이 비디오 야구 게임의 게임 플레이어에 의해 조작될 때, 2차원 평면에서 원하는 방향으로의 위치로 기울어지고 그 경사된 위치에 따라서 위치신호가 발생된다. 아날로그 조이스틱(6)은 또한 비디오 야구 게임에서 야수의 위치를 움직이게 하는데 사용된다.
조작부(1)는 또한 십자 키를 포함하는 디지털 조이스틱(7)을 갖는다. 아날로그 조이스틱(6)에서와 같이 디지털 조이스틱(7)은 또한 비디오 야구 게임의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의 주어진 영역에 투구 위치 또는 스윙 위치를 지정하는 데 사용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게임 프로그램과 조작부(1)로부터 공급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비디오 야구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중앙연산부(9; CPU)를 가지고 있다. 이 장치는 또한 디스플레이 제어부(10)와 주어진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12)을 함께 이루는 화상 디스플레이부로써 음극선관(CRT)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제어부(10)는 CRT(11)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CRT(11)를 제어한다. 제어 신호가 조작부(1)의 제어 스위치(5)로부터 CPU(9)에 전송되면, CPU(9)는 게임 프로그램에 의해서 제어신호에 따른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움직이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부(10)에 디스플레이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게임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서 내부 ROM이나 제거 가능한 ROM 카트리지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CPU(9)에 의해서 읽혀질 수 있다. CRT(1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다른 디스플레이부로 대체 될 수 있다.
아날로그 조이스틱(6)으로부터의 위치신호는 CPU(9)를 통하여 위치신호에 따른 조이스틱(6)의 X와 Y 좌표로 표현되는 접촉위치를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의 기준 지점과 관련한 X와 Y 좌표로 표현되는 화상위치로 변환시키는 좌표변환부(13)에 공급된다.
제 3 도는 비디오 야구게임을 하고 있을 때 CPU(9)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 제어부(10)에 의한 CRT(11)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보여준다. 디스플레이된 화상은 타자(A)와 홈 플레이트(D)에 있는 포수(C), 투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던져진 야구공을 기다리고 있는 타자(A)와 포수(C)를 포함하고 있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자(A)와 관련되어 위치가 정해지는 빗금으로 표시되는 스트라이크 존(S)은 보통 디스플레이된 화상에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투수는 스트라이크나 볼로 판정되는 야구 볼을 던질 수 있기 때문에 피치 존(B)은 스트라이크 존(S) 보다 큰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게임 플레이어가 스트라이크 존(S) 내에서 스윙 위치를 지정할 수 있으며, 피치 촌(B) 내에서 피칭 위치를 역시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타자(A)가 볼을 치게 하려면 게임 플레이어가 스트라이크 존(S)보다 큰 존 안에서 스윙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보통 피치 존(B)은 스트라이크 존(S)보다 큰 존보다 더 크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는 타자가 고의 주루를 허용하기 위해서 피칭 존을 피치 존(B) 내에서 스트라이크 존(S)보다 큰 존 바깥으로 지정할 수 있다. 게임 플레이어는 선택 버튼(3)으로 피칭 모드 또는 배팅 모드를 선정한 후 피칭 모드에서 피칭 위치 또는 배팅 모드에서 스윙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대신해서 비디오 야구 게임이 두 야구팀간 경기로서 진행된다면, 배팅 팀의 세 야구선수가 아웃될 때마다 야구팀은 그들의 포지션을 타자와 수비수로 교체한다.
게임 플레이어가 아날로그 조이스틱(6)을 2차원 평면에서 36O도 범위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이면, 아날로그 조이스틱(6)의 접촉 위치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x-y 좌표 시스템에서 주어진 반경을 가지고 있는 원에서 2 차원적으로 움직인다. 지금까지는 원 안에 있는 사각형(제 4 도에서 점과 대쉬 선으로 도시됨)내의 좌표가 디스플레이된 화상 위의 X-Y 좌표시스템에서 사각형내의 좌표로 바꾸어지고, x 좌표를 X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상수는 y 좌표를 Y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상수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좌표변환부(13)는 x, y 좌표를 X, Y 좌표로 각각 변환하기 위한 서로 다른 변환상수를 갖는다. 따라서, 제 4 도에 도시된 원안에 있는 사각형은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X-Y 좌표 시스템에서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S, B; 제 3 도 참조)과 같은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변환되었다. 게임 플레이어는 이제 아날로그 조이스틱(6)을 사용하여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 내에 피칭과 스윙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좌표변환부(13)는 제 4 도에서 도시된 사각형이 피칭 모드에서는 피치 존(B)와 일치하고 배팅 모드에서는 스트라이크 존(S)과 일치하도록 좌표를 변환한다. 따라서, x, y 좌표를 X, Y 좌표로 각각 바꾸기 위한 변환상수는 피칭 모드와 배팅 모드사이에 변화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x, y 좌표를 X, Y 좌표로 각각 바꾸기 위한 변환상수는 각 피칭 모드와 배팅 모드에서 서로 다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좌표변환부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소 60-195636호(1985. 10. 4.)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좌표변환 분야에서 이용되는 기술로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디오 야구게임의 배팅 모드와 피칭 모드에서의 작동순서가 제 5 도와 제 6 도를 참조해서 다음에 설명된다.
비디오 야구게임의 배팅 모드에서의 작동순서는 제 5 도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플레이어가 스윙 위치를 지정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조이스틱(6)을 작동하면, 좌표변환부(13)는 아날로그 조이스틱(5)의 접촉위치의 좌표를 단계 S1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스트라이크 존(제 3 도 참조)으로 설정된 스윙 위치의 좌표로 전환한다. 투수가 던진 야구공이 홈 플레이트(D)를 통과할 때, 게임 플레이어는 제어 스위치(5)의 하나를 조작하여 타자(A)가 단계 S2에서 배트를 스윙하게 한다. 배트가 야구공을 치면 CPU(9)가 디스플레이 제어부(1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필드 화상으로 바꾼다. 그때 게임 플레이어는 조작부(1)를 조작하여 필드 화상에서 주자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비디오 야구 게임의 피칭 모드에서의 작동 순서는 제 6 도를 참조하여 다음에 기술된다.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T1에서 게임 플레이어가 제어 스위치(5)의 하나를 조작하여 투수(A)가 던지는 볼 종류를 선택한다. 단계 T2에서는 게임 플레이어가 아날로그 조이스틱(6)을 조작하여 피칭 위치를 지정하면 좌표변환부(13)는 아날로그 조이스틱(5)의 접촉 위치의 좌표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피치존(B; 제 3 도 참조)으로 설정된 피칭 위치의 좌표로 변환한다. 단계 T3에서는 게임 플레이어가 제어 스위치(5)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투수가 투구를 시작하게 한다. 단계 T4에서 CPU(9)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야구 볼 화상이 이동하게 한다. 단계 T5에서 CPU(9)는 배트가 볼을 쳤는가를 결정한다. 배트가 볼을 치지 못하였으면(단계 T5에서 "아니오"), 그 때 CPU (9)가 디스플레이 제어부(10)를 제어하여 T6 단계에서 포수(C)가 볼을 잡는 것과 같이 포수를 디스플레이한다.
만일 배트가 공을 치면(단계 T5에서 "예"), 그때 CPU(9)는 디스플레이 제어부(1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된 화상을 필드화상으로 변화시키며, 단계 T7에서 투수 제어로부터 야수 제어로 바꾼다. 그러면 단계 T8에서 타구를 확인한 후, 단계 T9에서 CPU(9)는 타구에 가장 가까운 야수를 기본적으로 선택한다. 게임 플레이어는 단계 T10에서 아날로그 조이스틱(6)을 작동하여 선정된 야수가 움직이도록 한다. 단계 T10에서 야수 이동의 방향과 속도는 아날로그 조이스틱(6)이 기울어진 방향과 깊이에 따라 정해진다. 이동한 야수가 공을 터치하면 단계 T11에서 야수가 볼을 잡은 것으로 해석된다. 그때 공은 단계 T12에서 야수로부터 베이스에 있는 야수 또는 그 사이의 야수로 송구된다.
게임 플레이어는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스트라이크 존(S)에서 스윙하는 위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스트라이크 존(S)보다 넓은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피치존(B) 안에서 피칭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는 마치 실제 야구시합을 하는 것처럼 실질적으로 똑같은 현실감을 갖고 비디오 야구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비디오 축구 게임을 위한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 결합할 수 있다. 비디오 축구 게임에서 게임 플레이어는 아날로그 조이스틱(6)을 사용하여 비디오 축구 게임에서의 페널티 킥을 위한 슈팅 위치를 지정한다. 구체적으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도의 사각형은 비디오 축구게임에서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골 포스트(G)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슛 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평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변환되며, 게임 플레이어가 슛 존에 있는 페널티 킥을 위한 슈팅 위치를 지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x, y 좌표를 각각 X, Y 좌표로 바꾸기 위한 하나 또는 양변환상수는 아날로그 조이스틱(6)의 접촉 위치의 좌표를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화상위치의 좌표로 변환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게임 플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된 화상에 따라 어떤 영역 안에서 원하는 지점을 지정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의 원리는 비디오 야구 게임이나 비디오 축구 게임뿐만 아니라 그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에서 주어진 영역 내에 원하는 지점을 지정하는 아날로그 조이스틱을 사용하는 여러 가지 게임을 하는 여러 가지 비디오 게임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자세하게 보여지고 설명되었지만 다른 변형이나 개조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과;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치수를 갗는 일정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지정 수단과;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 상수 및 1차 변환 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 상수로 상기 위치 신호에 기초한 상기 경사진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일정 기준위치와 관련하여 화상 위치의 3차 및 4차 2차원 좌표로 각각 변환시키는 좌표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정 수단은 그 경사진 위치에 따라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2차원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이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지점은 투수가 야구공을 던지는 피칭 위치를 나타내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은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지점은 타자가 배트를 스윙하는 스윙 위치를 나타내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디스플레이 수단은 비디오 야구게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상기 지점은 투수가 야구공을 투구하는 피칭 위치와 타자가 배트를 스윙하는 스윙 위치를 선택적으로 나타내며, 상기 좌표변환부는 상기 피칭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과 상기 스윙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위한 각각 다른 세트의 상기 1차 및 2차 변환상수로 상기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각각 상기 3차 및 4차 2차원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수단은 1차 영역에서 상기 피칭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지정하고 2차 영역에서 상기 스윙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지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보다 작고 상기 1차 영역에 포함되는 장치.
  6.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그 기울어진 위치에 따라 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2차원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이스틱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치수를 갖는 일정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는 단계;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상수와 상기 1차 변환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상수로서 위치 신호에 기초한 상기 경사진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일정기준 위치와 관련하여 화상 위치의 3차 및 4차 2차원 좌표로 각각 변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지정된 지점은 투수가 야구 볼을 투구하는 피칭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지정된 지점은 타자가 배트를 스윙하는 스윙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단계는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그 지정된 지점은 투수가 야구 볼을 투구하는 피칭 위치와 타자가 배트를 스윙하는 스윙 위치를 선택적으로 나타내며,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피칭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과 상기 스윙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위한 각각 다른 세트의 상기 1차 및 2차 변환상수로 상기 1차 및 2차 2차원의 좌표를 상기 3차 및 4차 2차원의 좌표로 각각 변환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단계는 1차 영역에서 상기 피칭 위치를 나타내는 지점을 지정하고 2차 영역에서 상기 스윙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2차 영역은 상기 1차 영역에 포함되고 상기 1차 영역보다 작은 방법.
  11.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서로 다른 수직 및 수평 치수를 갖는 일정 영역 내에 지점을 지정하기 위한 2차원 방향으로 경사진 위치로 기울어질 수 있는 조이스틱과;
    1차 좌표를 3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1차 변환상수 및 상기 1차 변환상수와 다르며 2차 좌표를 4차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2차 변환상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일정 기준 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경사진 위치의 1차 및 2차 2차원 좌표를 화상 위치의 3차 및 4차 2차원 좌표로 각각 변환시키는 좌표변환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된 화상의 영역 내에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상이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지점이 투수가 야구 볼을 투구하는 피칭 위치를 나타내는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상은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지점은 타자가 배트를 스윙하는 스윙 위치를 나타내는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상은 비디오 야구 게임의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지점은 투수가 야구 볼을 투구하는 피칭 위치와 타자가 배트를 스윙하는 스윙 위치를 선택적으로 나타내는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화상은 비디오 축구 게임의 화상을 포함하며, 상기 지정된 지점은 비디오 축구 게임에서 페널티 킥을 위한 슈팅 위치를 선택적으로 나타내는 장치.
KR1019970035900A 1996-08-05 1997-07-29 디스플레이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는장치와방법및디스플레이되는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기위한프로그램을저장하는읽을수있는기록매체 KR100320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599796 1996-08-05
JP8-205997 1996-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237A KR19980018237A (ko) 1998-06-05
KR100320262B1 true KR100320262B1 (ko) 2002-04-22

Family

ID=16516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900A KR100320262B1 (ko) 1996-08-05 1997-07-29 디스플레이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는장치와방법및디스플레이되는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기위한프로그램을저장하는읽을수있는기록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20374A (ko)
EP (1) EP0823271B1 (ko)
JP (2) JP3462725B2 (ko)
KR (1) KR100320262B1 (ko)
CN (1) CN1138201C (ko)
DE (1) DE69701841T2 (ko)
HK (1) HK1008871A1 (ko)
TW (1) TW4494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18040A (ja) * 1999-01-29 2000-08-08 Namco Ltd ゲーム装置
JP3181275B2 (ja) * 1999-07-30 2001-07-03 株式会社ケイシーイーオー 競技方法及び装置、記録媒体
JP2001104636A (ja) * 1999-10-04 2001-04-17 Shinsedai Kk 体感ボールゲーム装置
US7252588B2 (en) * 1999-12-01 2007-08-07 Namco Bandai Games Inc. Sport video game machine and play control method of sport video game
US6461237B1 (en) * 2000-01-28 2002-10-08 Square Co., Ltd.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storing program for ball-playing type game, said program, and ball-playing type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363126B2 (ja) * 2000-04-14 2003-01-08 株式会社コナミ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大阪 ビデオゲーム装置、ビデオゲームのプレイ結果表示方法及びプレイ結果表示プログラムが記録され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1321566A (ja) * 2000-05-12 2001-11-20 Square Co Ltd 球技系ゲーム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球技系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1321567A (ja) * 2000-05-15 2001-11-20 Square Co Ltd 球技系ゲーム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球技系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1327750A (ja) 2000-05-19 2001-11-27 Square Co Ltd 球技系ゲームのカーソル表示を処理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球技系ゲームのカーソル表示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1327758A (ja) * 2000-05-19 2001-11-27 Square Co Ltd 球技系ゲーム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球技系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WO2001091098A1 (fr) 2000-05-24 2001-11-29 Hitachi, Ltd. Terminal portable et afficheur commutable entre couleur et noir-et-blanc
JP2002224441A (ja) * 2001-02-01 2002-08-13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Osaka:Kk 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用サーバ及びゲーム進行制御方法
JP2002233664A (ja) * 2001-02-08 2002-08-20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Osaka:Kk 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用サーバ及びゲーム進行制御方法
JP2003024639A (ja) * 2001-07-18 2003-01-28 Konami Computer Entertainment Osaka:Kk 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進行制御装置、ゲーム進行制御方法及びゲーム用サーバ装置
JP4030278B2 (ja) * 2001-07-30 2008-01-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ゲーム進行制御方法及びゲーム装置
US20050003877A1 (en) * 2003-05-09 2005-01-06 Electronic Art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laymaker control
JP3735358B2 (ja) * 2003-09-12 2006-01-18 コナミ株式会社 ビデオゲームプログラム、ビデオゲーム装置及びビデオゲーム方法
JP3789919B2 (ja) * 2004-02-19 2006-06-28 コナミ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方法
JP4388878B2 (ja) * 2004-10-19 2009-12-24 任天堂株式会社 入力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入力処理装置
JP4262217B2 (ja) * 2005-04-26 2009-05-13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ゲーム装置
JP4260770B2 (ja) 2005-05-09 2009-04-30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KR100717428B1 (ko) 2005-09-09 2007-05-11 주식회사 포인칩스 휴대용 단말기의 커서이동장치 및 그 방법
JP5196515B2 (ja) * 2006-04-25 2013-05-15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処理方法
JP4929061B2 (ja) * 2007-06-04 2012-05-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320352B2 (ja) * 2007-07-27 2009-08-2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835538B2 (ja) * 2007-08-10 2011-12-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127802B2 (ja) * 2009-09-30 2013-01-2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JP5313994B2 (ja) 2010-11-16 2013-10-09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5898169B2 (ja) * 2013-12-12 2016-04-0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D794024S1 (en) * 2015-10-29 2017-08-08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onal pad for a controller
USD784988S1 (en) * 2015-10-29 2017-04-2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eable thumbstick attachment
USD794026S1 (en) * 2015-10-29 2017-08-08 Microsoft Corporation Set of paddles for a controller
USD784987S1 (en) * 2015-10-29 2017-04-2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84335S1 (en) * 2015-10-29 2017-04-1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eable paddles
USD794025S1 (en) * 2015-10-29 2017-08-0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with removeable directional pad
USD784989S1 (en) * 2015-10-29 2017-04-2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84986S1 (en) * 2015-10-29 2017-04-25 Microsoft Corporation Thumbstick for a controller
JP6018285B1 (ja) * 2015-11-30 2016-11-02 株式会社コロプラ 野球ゲー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
USD794717S1 (en) 2016-05-13 2017-08-15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9599S1 (en) 2016-05-13 2017-10-10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4129S1 (en) 2016-05-13 2017-08-08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5351S1 (en) 2016-06-09 2017-08-22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5350S1 (en) 2016-06-09 2017-08-22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795960S1 (en) 2016-07-14 2017-08-29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EP3285148A1 (fr) * 2016-08-19 2018-02-21 Bigben Interactive SA Procede de contrôle d'un element d'affichage par une console de jeux
USD816170S1 (en) 2017-04-06 2018-04-24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816773S1 (en) 2017-04-06 2018-05-01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825005S1 (en) 2017-04-06 2018-08-0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D831648S1 (en) * 2017-06-08 2018-10-23 Razer (Asia-Pacific) Pte. Ltd. Game controller
EP3444016A1 (fr) * 2017-08-17 2019-02-20 Bigben Interactive SA Procede de contrôle d'un element d'affichage par une console de jeux
USD872183S1 (en) 2018-06-08 2020-01-07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ler
US11103764B1 (en) 2019-03-07 2021-08-31 Lifeware Labs, LLC Digital patch for discrete signaling, a baseball glove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US20220241682A1 (en) * 2021-01-31 2022-08-04 Reed Ridyolph Analog Joystick-Trackp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3113Y2 (ko) * 1979-06-02 1989-12-14
US4386776A (en) * 1981-02-17 1983-06-07 Coleco Industries, Inc. Electronic sports-action game with improved game-object simulation
US5394168A (en) * 1993-01-06 1995-02-28 Smith Engineering Dual-mode hand-held game controller
US5435554A (en) * 1993-03-08 1995-07-25 Atari Games Corporation Baseball simulation system
MX9700277A (es) * 1995-05-10 1997-05-31 Nintendo Co Ltd Sistema de procesamiento de imagenes que utiliza palanca de mando analog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1841T2 (de) 2000-11-02
TW449491B (en) 2001-08-11
JPH10105328A (ja) 1998-04-24
JP3892206B2 (ja) 2007-03-14
HK1008871A1 (en) 1999-05-21
CN1138201C (zh) 2004-02-11
JP2001005603A (ja) 2001-01-12
DE69701841D1 (de) 2000-06-08
CN1175727A (zh) 1998-03-11
EP0823271B1 (en) 2000-05-03
US6120374A (en) 2000-09-19
EP0823271A1 (en) 1998-02-11
KR19980018237A (ko) 1998-06-05
JP3462725B2 (ja) 2003-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262B1 (ko) 디스플레이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는장치와방법및디스플레이되는화상에서의지점을지정하기위한프로그램을저장하는읽을수있는기록매체
CA1236217A (en) Video game with interactive screen inserts and method of playing video game
US6257983B1 (en)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storing program for cursor display in ball-playing game, said program, and cursor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ball-playing type game
US7878890B2 (en) Game program, game device, and game method
US6270413B1 (en) Display method for games displays
JP3781309B2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
US8303386B2 (en) Baseball game program, game device, and game control method including property indicator
US20020094852A1 (en) Comp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recorded with action game program, action game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action game program
EP1279423B1 (en) Recording medium storing volume control program, volume control method, video game machine, and volume control program
US6340332B1 (en)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storing program for ball-playing type game, said program, and ball-playing type game apparatus and method
US20090069095A1 (en) Game program, game apparatus, and game control method
JP4463289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US6461237B1 (en) Computer readable program product storing program for ball-playing type game, said program, and ball-playing type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8487928B2 (en) Game program, game apparatus, and game control method
JP2003071134A (ja) ゲーム情報、情報記憶媒体、およびゲーム装置
JP2000325654A (ja) ビデオ式野球ゲーム装置
US6334813B1 (en)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recorded with ball game program, and ball gam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4115488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JP2011072481A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制御方法
JPH0212585B2 (ko)
JP4543054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方法
JP4087943B2 (ja) 画像生成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JP5282865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
JP3502869B2 (ja) 球技系ビデオゲーム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球技系ビデオゲーム処理装置および球技系ビデオゲーム処理方法
WO2007069373A1 (ja)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