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446B1 - 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 Google Patents

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446B1
KR100316446B1 KR1019980020869A KR19980020869A KR100316446B1 KR 100316446 B1 KR100316446 B1 KR 100316446B1 KR 1019980020869 A KR1019980020869 A KR 1019980020869A KR 19980020869 A KR19980020869 A KR 19980020869A KR 100316446 B1 KR100316446 B1 KR 100316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s
selector
bit
output
exp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0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06695A (en
Inventor
야와라 이노우에
고지 다지마
사토시 우자와
가츠야 히라가
야와라 우치야마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아츠시, 후다바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무로 아츠시
Publication of KR1999000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44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33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using a cathode-ray tube or an optical-fibre tub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025Circuits exciting or modulating particular heads for reproducing continuous tone value sca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 H04N1/4015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of the reproducing head

Abstract

(과제) 노광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하기 위하여 노광계조수를 증가시킨 경우라 하더라도, 광량보정용 기억부의 기억용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비용을 낮출 수 있게 함에 있다.(Problem) Even if the exposure gradation number is increased in order to enlarge the exposure dynamic range, the cost can be reduced without in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ight amount correction storage unit.

(해결수단) 노광계조수 증가를 위하여 입력데이터는 n+k 비트로 되어 있고, LUT1에는 사용되는 전체 감광제의 감도별로 노광계조수에 대한 출력농도가 기억되어 있다. LUT1의 출력 n+k 비트는 감광제에서 필요한 m비트를 사용하기 위해 셀렉터 1에서 유효 n 비트만 선택되고, LUT2에 출력된다. LUT2에는 프린터헤드의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는 휘도 정보가 n비트 상당의 용량으로 기억되어 있고, 동 n비트 상당의 FIFO에 일시 기억된다. FIFO의 출력은 셀렉터 2에 의하여 재차 n+k 비트로 변환되어 계조제어수단(4)에 출력되고, 프린터헤드는 n+k 비트로 계조제어된다. 이때, 휘도 얼룩은 n비트로 보정하게 되지만, 현재의 상황에서는 필요충분한 정밀도이다.(Solution means)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osure gray levels, the input data is n + k bits, and the LUT1 stores the output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exposure gray levels for each sensitivity of the entire photosensitive agent. The output n + k bits of LUT1 are selected only valid n bits from selector 1 to use the m bits required by the photosensitizer and are output to LUT2. In the LUT2, luminance information for correcting luminance unevenness of the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head is stored in a capacity equivalent to n bits, and temporarily stored in the n-bit equivalent FIFO. The output of the FIFO is again converted to n + k bits by the selector 2 and output to the gradation control means 4, and the printhead is gradation controlled to n + k bits. At this time, the luminance unevenness is corrected to n bits, but in the present situation, the necessary precision is sufficient.

Description

광량 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Light quantity correction dynamic range expansion device {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본 발명은 칼라 프린터에 있어서 감광 필름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프린터헤드의 광원에 형광 표시관을 이용한 광프린터 등에 적용되고, 프린터헤드의 광량 보정을 행하여 노광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하는 광량 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n optical printer using a fluorescent display tube as a light source of a printhead in order to form an image on a photosensitive film in a color printer, and extends a light quantity correcting dynamic range in which light quantity correction of the printhead is performed to enlarge the exposure dynamic range. Relates to a device.

칼라 비디오 프린터 등의 광프린터는 감광제를 갖는 감광체(인화지나 감광필름)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프린터헤드의 광원으로서 복수의 발광도트를 갖는 형광표시관이 이용되고 있다.In an optical printer such as a color video printer, a fluorescent display tube hav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dots is used as a light source of a printhead to form an image on a photosensitive member (photo paper or photosensitive film) having a photosensitive agent.

이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에는 휘도 얼룩이 있기 때문에 광량 보정 회로에서 이 휘도 얼룩을 보정 출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Since each light emitting dot of this printhead has brightness unevenness, the light quantity correcting circuit corrects and outputs this uneven brightness.

도 7은 종래의 광량보정 회로를 표시한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light quantity correction circuit.

감도가 상이한 복수종의 감광제를 사용한 광프린터의 광량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하기 위해 노광계조수의 증가, 즉 입력 데이터 및 노광처리의 데이터 비트 폭을 증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enlarge the light quantity dynamic range of the optical printer using a plurality of photosensitizers having different sensitivity, it is configu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exposure grayscales, that is, increase the data bit width of the input data and the exposure process.

예컨데, 입력 데이터의 비트 폭을 n(예컨데 8비트)이었던 것을 비트폭 n+k (증가분 k가 3비트 폭일 때 합계 11비트폭)의 화상 데이터로 하고 있다.For example, the bit width of the input data is n (for example, 8 bits) as image data of bit width n + k (when the increase k is 3 bits wide in total 11 bits wide).

입력 데이터는 감광제의 감도 보정용, 즉 감광제의 농도 분포 특성에 대응한 특성선이 격납된 룩업 테이블 LUT1을 참조하고, 사용되고 있는 감광제에 대응하는 노광계조수가 얻어진다.The input data refers to the lookup table LUT1 for the sensitivity cor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agent, that is, the characteristic line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photosensitive agent, and an exposure gray level corresponding to the photosensitive agent being used is obtained.

이후, 광량 보정용 즉, 상기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기 위해 노광계조수에 대응한 출력농도의 특성을 격납한 룩업 테이블 LUT2를 참조하여 얻어, FIFO등의 일시 격납용 메모리(31)에 일시 격납해 두고, 프린터헤드의 계조제어수단(드라이버 회로)(32)을 통하여 프린터헤드에 출력한다.Thereafter, the light quantity is corrected, that is, obtained by referring to the lookup table LUT2 which stores the characteristic of the output density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gray level in order to correct the luminance unevenness of the light-emitting dot, and temporarily stores it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31 such as FIFO. The output is output to the printhead via the gray scale control means (driver circuit) 32 of the printhead.

상기 구성과 같이, 입출력의 데이터 라인을 모두 n+k 비트폭(11비트)으로 했다 하더라도, 상기 광량측정기의 측정 정밀도는 약 1%이고, 8비트의 분해능(1/256 = 0.4%) 이상의 정밀도로는 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input / output data lines are all n + k bit widths (11 bits), the measurement accuracy of the photometer is about 1% and the accuracy of 8 bits of resolution (1/256 = 0.4%) or more. You can't.

LUT2에는 프린터헤드의 각 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 데이터가 격납되어 있고, 프린터헤드 제조 시에 광량 측정기로 측정한 측정 데이터로 LUT2를 작성하고, 8비트(256계조)의 분해능으로 노광하여도 처음부터 2.5계조 정도의 폭의 오차를 갖고 있는 것이 된다.The LUT2 stores correction data for correcting luminance unevenness of each dot of the printhead. The LUT2 is generated from measurement data measured by a light quantity meter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printhead, and exposed at 8 bits (256 gray scales). From the beginning, the width has an error of about 2.5 gradations.

따라서, 입출력 데이터 라인을 n ≥ 8 (비트)로 증가시켜도, 광량 측정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는 없고, 이 증가분 k의 비트는 LUT2, FIFO의 용량을 증가시킬 뿐이고, 이 증가에 의하여 출력 화상의 화질 향상의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Therefore, even if the input / output data line is increased to n ≥ 8 (bits), the precision of the light quantity measuring instrument cannot be improved, and the bit of this increment k only increases the capacities of LUT2 and FIFO. There is no effect of improving image quality.

또, LUT2는 고속 액세스가 필요하기 때문에, SRAM 등 고가의 것이 사용되지만, 이 LUT2에 불필요한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비용증가를 초래할 뿐이고, 메모리를 낭비하고 있는 것이 된다.In addition, since LUT2 requires high-speed access, expensive ones such as SRAM are used. However, increasing unnecessary capacity of this LUT2 only increases costs and wastes memory.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고, 노광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하기 위해 노광계조수를 증가시킨 경우라 해도, 광량 보정용 기억부의 기억용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광량 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ven when the number of exposure gradations is increased in order to enlarge the exposure dynamic range, the light quantity correction dynamic range can be lowered without increas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light quantity correction storage unit.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광량 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를 표시하는 구성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ght amount correcting dynamic range expa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장치의 LUT1의 입출력 특성도이고, 감도가 상이한 필름별로 노광량에 대한 출력 농도가 표시되어 있다.Fig. 2 is an input / output characteristic diagram of LUT1 of the same apparatus, and the output density with respect to the exposure amount is shown for each film having different sensitivity.

도 3은 셀렉터 1, 2의 n비트 선택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필름 1).3 is a diagram showing n-bit selection states of selectors 1 and 2 (film 1).

도 4는 셀렉터 1, 2의 n비트 선택 상태를 표시한 도면(필름 2).4 is a diagram showing an n-bit selection state of selectors 1 and 2 (film 2).

도 5는 셀렉터 1, 2의 n비트 선택 상태를 표시한 도면(필름 3).Fig. 5 shows the n-bit selection states of selectors 1 and 2 (film 3).

도 6은 셀렉터 1, 2의 n비트 선택 상태를 표시한 도면(필름 4).Fig. 6 shows the n bit selection states of selectors 1 and 2 (film 4).

도 7는 종래의 광량 보정 회로를 표시한 도면.7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light amount correction circui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2a: n+k 비트 버스라인 2b: n비트 버스라인2a: n + k bit busline 2b: n bit busline

3: 일시 격납용 메모리(FIFO) 4: 계조제어수단3: Temporary storage memory (FIFO) 4: Gradation control means

LUT1: 룩업 테이블(감도 보정용) LUT2: 룩업 테이블(휘도 얼룩 보정용)LUT1: Lookup Table (For Sensitivity Correction) LUT2: Lookup Table (For Luminance Stain Correc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량 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것과 같이, 라인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도트로부터 생긴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고, 또한, 감도가 상이한 복수의 감광제의 감광체를 사용하여 노광계조수를 증대시켜서 광량 보정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light quantity correcting dynamic range enlar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cts the luminance unevenness of each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 head resulting from the light emitting dots arranged in a line shape as described in claim 1, In the apparatus for enlarging the light quantity correction dynamic ran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xposure gray scales by using a photosensitive member of a plurality of different photosensitive agents,

상기 전체 감광제의 종류별의 노광계조수에 대응하는 출력농도를 기억하기 위하여, n+k 비트로 확대된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억용량을 갖는 제 1 룩업 테이블과,A first lookup table having a storage capacity corresponding to input data enlarged by n + k bits, for storing an output concentration corresponding to an exposure gray level for each type of the entire photosensitive agent;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로부터 출력되는 n+k 비트의 데이터 가운데 상기 사용되는 감광제에서 필요한 m비트(n≤m≤n+k)를 노광계조로서 사용하기 위해 양 셀렉터 사이에서 하위(m-n) 비트와 상위(n+k-m) 비트의 합계(k) 비트를 선택하지 않고, 나머지 n비트를 선택하는 제 1, 제 2 셀렉터와,Among the n + k bits of data output from the first lookup table, the m bits (n ≦ m ≦ n + k) required for the photosensitive agent used (n ≦ m ≦ n + k) are used as the exposure gradation, and the low (mn) bits are higher than the two selectors. a first and second selectors for selecting the remaining n bits without selecting the sum (k) bits of the (n + km) bits;

상기 제 1 셀렉터와 제 2 셀렉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정보가 상기 n비트 상당의 용량으로 기억된 제 2 룩업 테이블과, 상기 제 1 셀렉터와 제 2 셀렉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헤드의 1라인의 노광데이터가 상기 n비트 상당의 용량으로 격납되는 일시 격납용 메모리와,A second lookup tabl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in which luminance information for correcting luminance unevenness of each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head is stored in a capacity equivalent to n bits, and the first selector A temporary storage memor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selector and the exposure data of one line of the print head at a capacity equivalent to n bits;

상기 제 2 셀렉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n+k 비트로 확대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를 발광제어하는 계조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nd a gradation control mean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lector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each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head based on data enlarged by the n + k bits.

노광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키기 위하여 노광계조수를 n+k 비트로 증대시킬 때에는 장치에 대하여 이 n+k비트의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다.When the exposure gradation number is increased to n + k bits in order to enlarge the exposure dynamic range, the n + k bits of input data are input to the apparatus.

룩업 테이블 1에는 이 n+k비트 상당의 분해능으로 각종 감도의 감광제에 있어서의 노광계조수에 대응하는 출력 농도가 기억되어 있다.The lookup table 1 stores an output density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exposure gradations in the photosensitive agent having various sensitivity at a resolution equivalent to n + k bits.

룩업 테이블 1의 출력 n+k 비트 가운데, m비트가 노광계조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제 1 셀렉터는 하위(m-n) 비트와 상위(n+k-m) 비트의 합계(k) 비트를 선택하지 않고, 나머지 n비트를 선택하여 제 2 룩업 테이블에 출력한다.Since the m bits are used as the exposure gradation among the output n + k bits of the lookup table 1, the first selector does not select the sum (k) bits of the lower (mn) and upper (n + km) bits, Selects n bits to output to the second lookup table.

프린터헤드의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는 휘도정보가 격납되어 있는 제2의 룩업 테이블 및 일시 격납용 메모리는 n비트 상당의 용량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The second lookup table and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that store the luminance information for correcting the luminance unevenness of the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head can be configured with a capacity equivalent to n bits.

일시 격납용 메모리의 출력 n비트는 다시 제 2 셀렉터에 의하여 n+k 비트로 증대되고, 계조제어수단에 입력된다.The output n bits of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re increased by n + k bits by the second selector and input to the gradation control means.

계조제어수단은 n+k 비트의 분해능으로 프린터헤드를 계조제어하지만, 안쪽 휘도 얼룩의 보정은 일시 격납용 메모리의 출력에 의거하여 n비트 상당으로 행한다.The gradation control means controls the gradation of the print head with a resolution of n + k bits, but corrects the inner luminance unevenness by n bits based on the output of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도 1은 본 발명의 광량 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ight 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expa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장치(1)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In the apparatus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component part as before.

입력 데이터는 감광 필름의 감도보정용, 즉 감광제의 농도 분포 특성을 이산화하여 (농도분포 특성선) 격납한 룩업 테이블 LUT1에 입력된다. 이 LUT1은 RAM 등의 기억소자로 구성되어 있다.The input data is input to the lookup table LUT1 for sensitivity correction of the photosensitive film, that is,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the photosensitive agent is discretized and stored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line). This LUT1 is composed of a storage element such as a RAM.

이 입력 데이터는 소정 비트폭 n+k (n=8, k=3의 합계 11비트폭)을 갖고 대응하는 비트폭 n+k의 버스라인(2a)을 통하여 LUT1에 입력되어 있다.The input data has a predetermined bit width n + k (n = 8, 11 bits in total of k = 3) and is input to the LUT1 via the bus line 2a of the corresponding bit width n + k.

LUT1은 사용되고 있는 감광필름에 대응하는 노광계조수를 출력한다. 도 2는 LUT1의 입출력 특성도이고, 입력 데이터가 표시하는 소정의 노광량에 대응하여 소정 농도의 데이터가 출력된다.LUT1 outputs an exposure gradation number corresponding to the photosensitive film being used. 2 is an input / output characteristic diagram of the LUT1, and data of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is output in correspondence with a predetermined exposure amount indicated by the input data.

이 LUT1에는 감광 필름에 관한 농도분포 특성선이 격납되어 있고, 이 농도 분포 특성선에 의거하여 도 2에 표시하는 입출력 관계가 얻어진다.In this LUT1,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lines relating to the photosensitive film are stored, and the input / output relationship shown in FIG. 2 is obtained based on this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line.

구체적으로는 감광 필름의 감도 변경 시에는 이 감도에 대응한 농도 분포 특성선이 LUT1에 기입된다.Specifically, at the time of changing the sensitivity of the photosensitive film,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 line corresponding to this sensitivity is written in LUT1.

LUT1의 출력은 셀렉터 1에 접속되어 있다. 셀렉터 1은 LUT1에서 출력되는 n+k의 비트폭을 n비트폭으로 변환 출력하는 것이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수단(CPU)으로부터의 제어 라인을 통하여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버스라인을 선택 접속한다. 즉, 전체 11비트폭의 버스라인(2a) 가운데 선택된 8비트폭 분의 버스라인을 8비트폭의 버스라인(2b)에 접속하고 다른 3비트 폭분은 버스라인(2b)에 접속하지 않고 개방상태로 한다. 이 비트 선택 조건은 후술한다.The output of LUT1 is connected to selector 1. Selector 1 converts the n + k bit width output from LUT1 to n bit width and selects a corresponding bus line based on a control signal input through a control line from a control unit (CPU) (not shown). Connect. In other words, the selected 8-bit wide bus line among the 11-bit wide bus lines 2a is connected to the 8-bit wide bus line 2b, and the other 3-bit wide portions are not connected to the bus line 2b. Shall be. This bit selection condition is described later.

셀렉터 1과 LUT2는 상기 n비트의 버스라인(2b)으로 접속되어 있다. LUT2는 프린터헤드의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는 광량 보정용 즉, 노광계조수에 대응한 출력농도의 특성이 격납되어 있다.Selector 1 and LUT2 are connected to the n-bit bus line 2b. The LUT2 stores light characteristics for correcting lightness unevenness of the light emitting dots of the print head, that is, characteristics of the output density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gray level.

LUT2와 FIFO 등의 일시 격납용 메모리(3)도 상기 n비트의 버스라인(2b)으로 접속되어 있고, LUT2의 출력은 일시 격납용 메모리(3)에 일시 격납된다.Temporary storage memories 3 such as LUT2 and FIFO are also connected to the n-bit bus lines 2b, and the output of LUT2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3.

이들 LUT2와 일시 격납용 메모리(3)는 어느 것이나 상기 n비트의 데이터를 격납하는 용량의 것이 사용된다.Both of these LUT2 and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3 have a capacity for storing the n-bit data.

일시 격납용 메모리(3)가 출력하는 비트의 버스라인(2b)은 셀렉터 2에 접속되어 있다. 셀렉터 2는 일시 격납용 메모리(3)로부터 출력되는 n의 비트폭을 n+k비트 폭으로 변환 출력하는 것이고, 셀렉터 1과 마찬가지로 CPU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대응하는 버스라인을 선택 접속한다. 즉, 후술하는 비트 선택 조건에 의거하여 전체 8비트 폭의 버스라인(2b) 가운데 선택된 8비트 폭분의 버스라인을 11비트 폭의 버스라인(2a)에 접속한다. 직접 접속되지 않는 다른 3비트 폭분의 버스라인은 H 또는 L의 고정치로 한다.The bus line 2b of the bit output by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3 is connected to the selector 2. As shown in FIG. The selector 2 converts and outputs the bit width of n output from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3 into n + k bit widths, and selects and connects the corresponding bus lines based on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PU, similarly to the selector 1. That is, based on the bit selection conditions described later, the bus lines of the 8-bit width selected from the bus lines 2b of the overall 8-bit width are connected to the bus lines 2a of the 11-bit width. Other 3-bit wide bus lines that are not directly connected are fixed at H or L.

셀렉터 2의 출력은 상기 n+k의 비트폭의 버스라인(2a)을 통하여 계조제어수단(4)에 입력된다. 계조제어수단(4)은 프린터헤드 구동용 드라이버 IC로 구성되어 있고, 입력 데이터를 n+k의 비트폭(11비트)의 분해능을 갖고 프린터헤드의 노광을 계조제어한다.The output of the selector 2 is input to the gradation control means 4 via the bus line 2a of the bit width n + k. The gradation control means 4 is constituted by a driver IC for driving a printhead, and the input data has a resolution of n + k bit width (11 bits) and controls gradation control of the printhead.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LUT1의 노광계조수는 전체 11비트의 분해능이고, 이것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상이한 감광체에 대응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4종류로 각각 감도가 다른 감광제의 감광체가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2, the exposure gray level of the LUT1 is a resolution of 11 bits in total, which corresponds to different photosensitive members as shown. In this example, it is assumed that four types of photosensitive members of different photosensitive agents are used.

내부 필름 1은 가장 감도가 높은 감광제를 갖는 감광 필름으로, 차츰 필름 2, 필름 3 순으로 감도가 낮아지고, 필름 4는 가장 감도가 낮은 감광제를 갖는 감광 필름이다.The inner film 1 is a photosensitive film having the highest sensitivity of the photosensitive agent, and gradually decreases the sensitivity in order of the films 2 and 3, and the film 4 is the photosensitive film having the lowest sensitivity of the photosensitive agent.

도시한 바와 같이, 노광계조수를 11비트의 분해능으로 설정했을 때, 가장 감도가 낮은 필름 4는 전체계조수(2048계조)에 걸쳐 농도 특성분포가 이산화하고 있지만 가장 감도가 높은 필름 1의 농도 특성 분포는 256계조 부근에서 포화되고 있다. 또, 필름 2는 512계조 부근에서 포화하고, 필름 3은 1024계조 부근에서 포화되고 있다.As shown, when the exposure gradation number is set to 11 bits of resolution, the film 4 having the lowest sensitivity has the density characteristic distribution discretized over the entire gradation number (2048 gradations), but the density characteristic of the film 1 having the highest sensitivity. The distribution is saturated near 256 gradations. Moreover, film 2 is saturated near 512 gradations, and film 3 is saturated near 1024 gradations.

이와같이, LUT1의 노광계조수를 11비트의 고분해능으로 하고, 가장 감도가 낮은 필름에 맞춘 구성으로 했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감도가 높은 필름일수록, 실질적인 계조수가 감소하고 만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number of exposure tones of LUT1 is set to 11 bits of high resolution and the configuration is set to the film having the least sensitivity, the more tones that are relatively sensitive, the more tones decrease.

그러므로, 상기 각 필름 1∼4는 각각에 가장 적합한 버스라인(2b)의 비트 조합이 선택되고, 모든 필름에 관하여 n비트(8비트)의 버스 접속이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6은 각각 셀렉터 1, 2의 선택 접속 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Therefore, the bit combinations of the bus lines 2b most suitable for each of the above films 1 to 4 are selected, and n-bit (8-bit) bus connections are made for all films. 3 to 6 are diagrams showing the selected connection state of the selectors 1 and 2, respectively.

여기서, n+k 비트의 버스라인(2a)에 대하여, 필름(감광제)의 감도 특성에 따라서 m비트(n≤m≤n+k)를 노광계조로 사용하는 경우, 하위(m-n) 비트와 상위(n+k-m) 비트의 합계(k) 비트를 선택하지 않고, 나머지 n비트를 선택한다(비트 선택조건).Here, with respect to the n + k-bit bus line 2a, when m bits (n ≦ m ≦ n + k) are used as the exposure gradation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characteristic of the film (photosensitive agent), they differ from the lower (mn) bits. (n + km) The remaining n bits are selected without selecting the sum (k) bits of the bits (bit selection condition).

도 3에는 필름 1에 관한 선택 접속상태가 표시되어 있다.3, the selective connection state regarding the film 1 is shown.

고감도의 필름 1은 11비트의 분해능으로서도 8비트 상당(256계조) 부근에서 포화하기 때문에, m=8, n=8, k=3이고 상기 비트 선택조건에 의거하여 전체 11비트 가운데 상위 3비트 폭분을 버스라인(2b)에 접속하지 않는다. 셀렉터 1에서는 상위3비트(10, 9, 8비트)의 출력 포트를 개방하고, 셀렉터 2에서는 상위 3비트의 출력이 고정치(L)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서, 필름 1은 1계조 스텝으로 8비트 256계조의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Film 1 of high sensitivity saturates around 8 bits (256 gray scales) even with 11 bits of resolution, so m = 8, n = 8, k = 3, and the upper 3 bits of the total 11 bits based on the bit selection conditions. Is not connected to the bus line 2b. Selector 1 opens the output ports of the upper 3 bits (10, 9, 8 bits), and selector 2 ensures that the output of the upper 3 bits is a fixed value (L). Accordingly, the film 1 can obtain an 8-bit 256-gradation resolution in one gradation step.

도 4에는 필름 2에 관한 선택 접속상태가 표시되어 있다.4, the selective connection state regarding the film 2 is shown.

약간 고감도의 필름 2는 11비트의 분해능에 있어서 9비트 상당(512계조) 부근에서 포화하기 때문에, m=9, n=8, k=3이고 상기 선택조건에 의거하여 셀렉터 1에서는 상위 2비트(10, 9비트) 및 최하위 비트(0비트)의 출력 포트를 개방하고, 셀렉터 2에서는 마찬가지 비트의 출력 포트가 고정치(L)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필름 2는 2계조 스텝으로 8비트 256계조의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Slightly sensitive film 2 saturates around 9-bit equivalent (512 gradations) at 11-bit resolution, so m = 9, n = 8, k = 3, and selector 1 shows the upper two bits ( The output ports of 10 and 9 bits) and the least significant bit (0 bits) are opened, and the selector 2 is such that the output ports of the same bits are fixed values (L). As a result, the film 2 can obtain an 8-bit 256-gradation resolution in two-gradation steps.

도 5에는 필름 3에 관한 선택 접속상태가 표시되어 있다.5, the selective connection state regarding the film 3 is shown.

약간 저감도의 필름 3은 11비트의 분해능에 있어서 10비트 상당(1024계조) 부근에서 포화하기 때문에, m=10, n=8, k=3이고 상기 선택조건에 의거하여 셀렉터 1에서는 상위 1비트(10비트) 및 최하위 2비트(0, 1비트)의 출력 포트를 개방하고, 셀렉터 2에서는 동일한 비트의 출력이 고정치(L)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필름 3은 4계조 스텝으로 8비트 256계조의 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Slightly low film 3 saturates around 10-bit equivalent (1024 gradations) at an 11-bit resolution, so m = 10, n = 8, k = 3, and the upper 1 bit in selector 1 based on the selection conditions. The output ports of (10 bits) and least significant 2 bits (0, 1 bit) are opened, and the selector 2 is such that the output of the same bits is a fixed value (L). Thereby, the film 3 can obtain the resolution of 8-bit 256 gradation in 4 gradation steps.

도 6에는 필름 4에 관한 선택 접속상태가 표시되어 있다.6, the selective connection state regarding the film 4 is shown.

가장 저감도의 필름 4는 11비트의 분해능의 2048계조 부근에서 포화되기 때문에, m=11, n=8, k=3이고 상기 선택조건에 의거하여 셀렉터 1에서는 최하위 3비트(0, 1, 2비트)의 출력포트를 개방하고, 셀렉터 2에서는 동일한 비트의 출력이 고정치(L)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필름 4는 8계조 스텝으로 8비트 256계조의분해능을 얻을 수 있다.Film 4 of the lowest sensitivity saturates around 2048 gradations of 11-bit resolution, so m = 11, n = 8, k = 3 and the least significant 3 bits (0, 1, 2) in selector 1 based on the selection conditions. Bit) output port, and selector 2 sets the output of the same bit to a fixed value (L). Thereby, the film 4 can obtain the resolution of 8-bit 256-gradation in 8-gradation steps.

이와같이, 모든 필름 1∼4에 관하여 셀렉터 1∼셀렉터 2 사이를 8비트화 함으로써, 이들 셀렉터 1∼셀렉터 2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LUT2와 일시 격납용 메모리(3)에 관하여 8비트 상당의 기억용량의 것을 설치할 수가 있고, 이들 LUT2와 일시 격납용 메모리(3)의 무의미한 용량증대를 방지할 수가 있다.In this manner, by forming 8 bits between the selectors 1 and the selector 2 with respect to all the films 1 through 4, the storage capacity equivalent to 8 bits with respect to the LUT2 and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3 provided between the selectors 1 and the selector 2 is reduced. Can be provided, and an insignificant increase in capacity of these LUT2 and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3 can be prevented.

그리고, 복수 종류의 필름에 대응하여 유효 n비트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하기식 (1)에 의거한 제어신호를 셀렉터 1, 2에 출력한다.And in order to select the effective n-bit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types of film, the control signal based on following formula (1) is output to the selector 1, 2.

x ≥ log2(k+1)을 충족시키는 최소의 정수 x ... (1)smallest integer that satisfies x ≥ log 2 (k + 1) x ... (1)

따라서, 상기 구성과 같이 4종류의 필름을 사용할 때에 있어서의 제어신호는 상기 식 (1)에 의거하여, 2비트로 합계 4와 같은 제어신호로 선택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서, 셀렉터 1, 2와 CPU의 사이에는 제어라인이 2개 접속하게 된다.Therefore, based on said Formula (1), the control signal at the time of using four types of films like the said structure can be selected by the control signal like 4 in total with 2 bits. As a result, two control lines are connected between the selectors 1 and 2 and the CPU.

상기 구성에서는 셀렉터 1, 2를 셀렉터 IC로 구성하고, 제어라인을 통하여 CPU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비트 선택을 행하는 구성이었지만, 이 셀렉터 1, 2는 그밖에 기계식의 로타리 스위치로 구성해도 좋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lectors 1 and 2 are constituted by selector ICs, and bit selection is performed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the CPU via the control line. However, the selectors 1 and 2 may be constituted by mechanical rotary switches.

본 발명에 의하면, 노광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하기 위하여, 노광계조수를 n+k 비트로 증대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사용하는 감광제로 필요한 m비트에 대응하여 셀렉터 1과 셀렉터 2의 사이에서는 유효 n비트만을 선택하여 통과시키는 것이고, 이들 셀렉터 1과 셀렉터 2의 사이에 프린터헤드의 휘도 얼룩을 격납하여 보정하는 기억부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함에 따라서, 이 기억부는 최소용량으로 또한 장치에 충분히 필요한 정밀도의 휘도 얼룩 보정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number of exposure gradations is increased to n + k bits in order to enlarge the exposure dynamic range, only effective n bits are selected between the selector 1 and the selector 2 corresponding to the m bits required for the photosensitive agent to be used.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nd correcting the luminance unevenness of the print head between the selector 1 and the selector 2, thereby storing the luminance unevenness correction with the minimum capacity and the precision necessary for the device sufficiently. To do it.

이에 따라, 장치 비용을 증대하지 않고, 노광계조수를 증대하여 노광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킬 수가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exposure dynamic rang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xposure gray scales without increasing the apparatus cost.

Claims (11)

라인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도트로 이루어지는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고, 또한, 감도가 상이한 복수의 감광제의 감광체를 사용하여 노광계조수를 증대시켜서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In the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luminance unevenness of each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 head consisting of light emitting dots arranged in a line shape, and to increase the light intensity correction dynamic range by increasing the number of exposure gray scales using a photosensitive member of a plurality of photosensitive agents having different sensitivity. In 상기 전체 감광제의 종류별의 노광계조수에 대응하는 출력농도를 기억하기 위해, n+k 비트로 확대된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기억용량을 갖는 제 1 룩업 테이블과,A first lookup table having a storage capacity corresponding to input data enlarged by n + k bits for storing an output density corresponding to an exposure gray level for each type of the entire photosensitive agent;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로부터 출력되는 n+k 비트의 데이터 가운데, 상기 사용되는 감광제에서 필요한 m비트(n≤m≤n+k)를 노광계조로서 사용하기 위해 양 셀렉터 사이에서는 하위(m-n) 비트와 상위(n+k-m) 비트의 합계(k) 비트를 선택하지 않고, 나머지 n 비트를 선택하는 제 1, 제 2 셀렉터와,Among the n + k bits of data output from the first lookup table, a low (mn) bit is formed between both selectors to use m bits (n ≦ m ≦ n + k) necessary for the photosensitive agent used as the exposure gray level. First and second selectors for selecting the remaining n bits without selecting the sum (k) bits of the upper (n + km) bits; 상기 제 1 셀렉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기 위한 휘도 정보가 상기 n비트 상당의 용량으로 기억된 제2 룩업 테이블과,A second lookup table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first selector, in which luminance information for correcting luminance unevenness of each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head is stored in a capacity equivalent to n bits; 상기 제 2 룩업테이블과 제 2 셀렉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헤드의 1라인의 노광데이터가 상기 n비트 상당의 용량으로 격납되는 일시 격납용 메모리와,A temporary storage memory provided between the second lookup table and the second selector, in which exposure data of one line of the printhead is stored at a capacity equivalent to the n-bit; 상기 제 2 셀렉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n+k 비트로 확대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를 발광제어하는 계조제어수단A gradation control mean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lector and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each light emitting dot of the print head based on data enlarged by the n + k bits.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Light amount compensation dynamic range expansion apparatus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렉터는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에서 출력되는 (n+k)의 비트폭을 n 비트폭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 셀렉터는 상기 일시격납용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n 비트폭을 (n+k) 비트폭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The memory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elector converts a bit width of (n + k) output from the first lookup table into an n bit width, and the second selector outputs n bits output from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 light quantity correction dynamic range enlarge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converted into (n + k) bit width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격납용 메모리가 FIFO(선입, 선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2.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temporary storage memory includes a FIFO (first in, first out) memor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렉터 및 상기 제 2 셀렉터의 각각이 CPU(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비트 선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executes bit selection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렉터가 기계식 로타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셀렉터가 기계식 로타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2.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irst selector comprises a mechanical rotary switch and said second selector comprises a mechanical rotary switch. 라인 형상으로 배치된 발광도트로 이루어지는 프린터헤드의 각 발광도트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고, 또한, 감도가 상이한 복수의 감광제의 감광체를 사용하여노광계조수를 증대시켜서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를 확대시키는 장치에 있어서,A device for correcting the luminance unevenness of each light emitting dot of a print head composed of light emitting dots arranged in a line shape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exposure gray scales by using a photosensitive member of a plurality of photosensitive agents having different sensitivities to expand the light quantity correction dynamic range. In 상기 감광제에 의해 분류된 노광계조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출력농도를 기억하기 위해 (n+k) 비트 입력 데이터로 확대된 기억용량을 갖는 제 1 룩업 테이블;A first lookup table having a storage capacity enlarged with (n + k) bit input data for storing respective output concentrations corresponding to the exposure gray levels classified by the photosensitive agent; 상기 감광제에 필요한 m 비트(n≤m≤n+k)를 노광계조로서 사용하기 위해, 하위 (m-n) 비트와 상위 (n+k-m) 비트를 제외하고,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에서 출력되는 (n+k) 비트의 데이터 중에서 최대 n 비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1 셀렉터(n, m, 및 k는 0이 아닌 정수);In order to use the m bits (n ≦ m ≦ n + k) required for the photosensitive agent as the exposure gradation, except for the low (mn) bit and the high (n + km) bit, the outputs are output from the first lookup table (n + k) a first selector (n, m, and k are non-zero integers) configured to select up to n bits from among bits of data; 상기 감광제에 필요한 m 비트(n≤m≤n+k)를 노광계조로서 사용하기 위해, 하위 (m-n) 비트와 상위 (n+k-m) 비트를 제외하고,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에서 출력되는 (n+k) 비트의 데이터 중에서 최대 n 비트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제2 셀렉터;In order to use the m bits (n ≦ m ≦ n + k) required for the photosensitive agent as the exposure gradation, except for the low (mn) bit and the high (n + km) bit, the outputs are output from the first lookup table (n + k) a second selector configured to select at most n bits from among bits of data; 상기 제 1 셀렉터와 상기 제 2 셀렉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헤드의 발광도트 사이의 휘도 얼룩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휘도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제 2 룩업 테이블;A second lookup tabl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and configured to store luminance information used to correct luminance unevenness between light emitting dots of the print head; 상기 제 1 셀렉터와 상기 제 2 셀렉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프린터헤드의 1라인에 대한 노광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n 비트보다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갖는 일시격납용 메모리; 및A temporary storage memory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lector and the second selector, configured to store exposure data for one line of the printhead, and having a memory capacity smaller than the n bits; And 상기 제 2 셀렉터의 후단에 설치되고, (n+k) 비트로 확대된 상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기 프린터헤드의 상기 발광도트의 각각의 휘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계조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And a gradation control mean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selector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luminance of each of the light emitting dots of the printhead based on the data enlarged by (n + k) bits. Dynamic Range Expand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룩업 테이블이 상기 일시격납용 메모리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7.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second lookup table is connected in series to said temporary storage memor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렉터가 상기 제 1 룩업 테이블에서 출력되는 (n+k) 비트폭을 n 비트폭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 2 셀렉터가 상기 일시격납용 메모리에서 출력되는 n 비트폭을 (n+k) 비트폭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The bit selector of claim 6, wherein the first selector converts the (n + k) bit width output from the first lookup table into n bit widths, and the second selector outputs n bit widths from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A dynamic range expansion device for light quantity correction, characterized by converting to (n + k) bit width.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격납용 메모리가 FIFO(선입, 선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7.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emporary storage memory includes a FIFO (first in, first out) memor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렉터 및 상기 제 2 셀렉터의 각각이 CPU(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비트 선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7.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of said first selector and said second selector executes bit selection based on a control signal from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셀렉터가 기계식 로타리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셀렉터가 기계식 로타리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량보정 다이나믹 레인지 확대장치.7. A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said first selector comprises a mechanical rotary switch and said second selector comprises a mechanical rotary switch.
KR1019980020869A 1997-06-06 1998-06-05 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KR10031644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933697A JP3365256B2 (en) 1997-06-06 1997-06-06 Light 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expansion device
JP97-149336 1997-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95A KR19990006695A (en) 1999-01-25
KR100316446B1 true KR100316446B1 (en) 2002-02-19

Family

ID=1547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0869A KR100316446B1 (en) 1997-06-06 1998-06-05 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65256B2 (en)
KR (1) KR100316446B1 (en)
DE (1) DE19824760C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2955B1 (en) * 1998-12-22 2005-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Oil Separator in Scroll Compressor
JP4664809B2 (en) * 2005-03-01 2011-04-06 株式会社リコー Col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lor printer system
KR101282226B1 (en) * 2006-12-28 2013-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Hermetic compressor
CN104626760B (en) * 2014-12-30 2017-02-22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Laser marking method and system for expanding marking ran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6344A (en) * 1988-01-30 1989-08-08 Canon Inc Image 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95A (en) 1999-01-25
JP3365256B2 (en) 2003-01-08
DE19824760A1 (en) 1998-12-10
JPH10337905A (en) 1998-12-22
DE19824760C2 (en) 200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1884A (en) Method of an apparatus for outputting halftone dot image
EP0767580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02005724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5999206A (en) 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JP37609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316446B1 (en) Device for expanding light-amount correction dynamic range
JPH06225170A (en) Improvement method for color output image
EP0794656B1 (en) Adjustment of dot size for laser imagers
US5475496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binarizing multi-value image data
JP3735529B2 (en) Display device and pseudo gradation data generation method
US20030151774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20050091509A (en) Display apparatus
US20060152766A1 (en) Selective dithering
US835517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halftoning screen processing
JPH10181101A (en) Multidepth threshold array
JP2009265260A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KR20040096760A (en) Calibration of system with digital/analog converters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415855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creen gamma table correction function
US4849775A (en) Color thermal printer printing system
EP1161082B1 (en) Halftone image reproduction
KR940003639B1 (en) Area grad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hermal sensitive recording apparatus by thermal transfer method
EP0713328A2 (en) Image forming method for silver halide photographic material
KR100365588B1 (en) Optical printer
JPH1084553A (en) White balance adjustment device
KR19990015673A (en) Gray voltage generation circuit with error compensation func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