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717B1 - 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 Google Patents

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717B1
KR100313717B1 KR1019990038983A KR19990038983A KR100313717B1 KR 100313717 B1 KR100313717 B1 KR 100313717B1 KR 1019990038983 A KR1019990038983 A KR 1019990038983A KR 19990038983 A KR19990038983 A KR 19990038983A KR 100313717 B1 KR100313717 B1 KR 10031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ass
pass filter
coupling
dielectric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27288A (en
Inventor
안달
박준석
박종철
Original Assignee
최춘권
주식회사 텔웨이브
안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춘권, 주식회사 텔웨이브, 안달 filed Critical 최춘권
Priority to KR1019990038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717B1/en
Priority to JP2000276850A priority patent/JP3477157B2/en
Publication of KR2001002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717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3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the coaxial cavity resonators being disposed paral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2Attenu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이나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 시스템의 대역 통과 필터나 채널 콤바이너에 이용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having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s used in band pass filters and channel combiners in mobil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s and repeater systems using high frequency.

본 발명은 제1루프 커플링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 입력신호를 제1금속 캐비티 내부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제1금속 캐비티 및 이와 윈도우를 통하여 직렬 접속된 제2 금속 캐비티 내에 각각 유전체가 플로팅되어 입력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와, 제2루프 커플링에 상기 제2금속 캐비티의 출력 주파수 신호가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유도된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수단과,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루프 커플링에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입력신호의 일부를 출력수단으로 바이패스시켜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대역통과 주파수의 양측단에 서로 대칭인 하측 및 상측 감쇄극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electrics are floated i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microwave input signal into a first metal cavity by a first loop coupling, and a second metal cavity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first metal cavity and a window.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forming a band pass filter for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in which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is induc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coupling of the output frequency signal of the second metal cavity to a second loop coupling Means and both ends are electro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oop couplings to bypass a portion of the input signal to the output means so that the lower and upper attenuations are symmetrical to both ends of the band pass frequency output to the output means. And bypass means for forming the pole.

Description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본 발명은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이나 무선 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대역 통과 필터나 채널 콤바이너에 이용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having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d pass filter or channel combiner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repeater system using high frequency. A dielectric resonator band pass filter having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s.

일반적으로, 1930년대 리흐트마이어(Richtmyer)가 적절한 모양의 유전체 물질은 전자기 공진기(electro-magnetic resonator)로 사용할 수 있다고 증명한 이후로, 근래에 들어서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높은 Q 팩터(Q-factor)를 가지고 온도에 안정적인 유전체 소재가 개발되어 많은 분야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since the 1930s, when Richtmyer proved that suitable shaped dielectric materials can be used as electro-magnetic resonators, in recent years they have been small, light, and high Q-factors. Has been developed for temperature stable dielectric materials have been applied to many fields.

이러한 유전체 공진기는 이동 통신, 위성 방송, 광대역 무선 통신망(WLAN) 등과 같은 고주파수(GHz 대역)의 전파를 이용하는 거의 모든 분야에 작용되고 있다.Such dielectric resonators operate in almost all fields using high frequency (GHz band) radio wave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satellite broadcasting, and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LANs).

이러한 유전체를 이용한 공진기는 유전체의 형태를 구분하여 벌크 타입(bulk type, 동그란 장기알 모양)과 박막 타입(thin film type)으로 대별되며, 본 발명은 벌크 타입의 유전체를 이용한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resonator using such a dielectric is classified into a bulk type (bulk type) and a thin film type by dividing the shape of the dielectri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tor using a bulk type dielectric.

한편,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 통과 필터(BPF; Band Pass Filter)는 서로 다른 공진, 반공진점을 갖는 유전체를 조합하여, 이 조합한 유전체가 갖는 임피던스를 성분을 이용하는 것으로, 가령 임피던스가 높게 되면 그 대역의 주파수는 통과하지 못하고 소멸되며, 임피던스가 낮은 대역의 주파수가 통과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band pass filter (BPF) using a dielectric resonator combines dielectrics having different resonance and anti-resonant points, and uses components of the impedance of the combined dielectrics, for example, when the impedance is high, The frequency does not pass through and disappears, and the frequency of the low impedance band passes through.

다시 말하면, 필터라 하는 것은 고주파(또는 저주파) 가운데 특정 주파수 범위만을 통과시키는 것 또는 어떤 주파수보다 높은 쪽이나 어떤 주파수보다 낮은 쪽만을 통과시키는 것을 말한다. 필요한 주파수 대역 이외의 부분에서는 저항이 높아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는 방법에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주파수를 통과시키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filter means passing only a specific frequency range among high frequencies (or low frequencies) or passing only a higher or lower frequency than a certain frequency. In the parts other than the required frequency band, the resistance is high so that the frequency is selectively passed through a method that does not pass the signal.

대역 통과 필터는 단지 특정 대역의 주파수 신호만을 통과시키고 나머지 주파수 신호는 감쇄시키는 특성을 갖는 수동 소자로서, 통과 대역의 상/하부의 저지 대역에서 우수한 감쇄 특성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A band pass filter is a passive element having only a characteristic of passing only a frequency signal of a specific band and attenuating the remaining frequency signals, and it is essential to have excell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top bands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pass band.

대역 통과 필터는 예를 들어, 인덕터(L)와 캐패시터(C)의 직렬 회로와 병렬 회로가 다단 접속된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주파수 대역인 경우는 보통의 소자를 이용하는 집중 소자형을 이용하게 된다.The band pass filter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circuit in which the series circuit and the parallel circuit of the inductor (L) and the capacitor (C) are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and in the case of the most common frequency band, a lumped element type using a common element is used. Will be used.

그러나, 고주파 특히, 마이크로웨이브 대역 이상에서는 집중 소자형 소자를 사용할 수 없어 금속의 캐비티(cavity)내에 유전체를 플로팅시킨 유전체 공진기(Dielectric Resonator)형 대역 통과 필터 제품들이 제안되고 있다.However,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products have been proposed in which a concentrated element type element cannot be used at a high frequency, particularly in the microwave band, and the dielectric is floated in the cavity of the metal.

한편, 다양한 이동 통신 및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중계기에서 안테나 전단/후단에 사용되는 송신 또는 수신 대역 통과 필터는 매우 적은 삽입 손실 특성과 저지 대역 내에서의 급격한 감쇄 특성이 요구된다.On the other hand, the transmission or reception band pass filter used for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antenna in the base station and repeater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quires very low insertion loss characteristics and a rapid attenuation characteristic in the stop band.

이러한 기지국 및 중계기용 대역 통과 필터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대역 통과 필터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필터의 저지 대역 내에서의 감쇄극의 구현이 매우 중요하다.In order to satisfy the bandpass filter specification for the base station and repeater, a bandpass filter using a dielectric resonator is used, and in this case, implementation of an attenuation pole in the stop band of the filter is very important.

한편, 콤바이너(combiner)는, 다수의 송신 채널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송신하고자 하는 여러 개의 채널을 하나로 결합하는 장치로서, 무선 통신 용량 증가로 기지국 설치비용의 증가, 무선 통신 용량 증가로 인한 전파 품질의 악화, 채널간의 간섭에 의한 불요 신호 발생, 안테나간 상호 간섭으로 인한 통화 품질의 저하 등에 대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biner (combiner) is a device that combines a plurality of channels to be transmit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channels into one, due to the increase in wireless communication capacity due to the increase in base station installation cost, wireless communication capacity increase The necessity is increased due to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radio wave quality, generation of unnecessary signal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and degradation of call quality due to mutual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콤바이너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로는 다수의 채널 사용시 채널간 간섭에 의한 불요 신호를 줄이므로 통화 품질 개선, 좁은 공간의 철탑 내에서 다수의 채널 서비스, 안테나간의 상호 간섭을 감소시켜 양질의 통신 서비스 제공, 단일 채널의 필터링 효과 등이 있다. 또한, 콤바이너를 사용하면, 안테나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The effect of using the combiner is to reduce unnecessary signals caused by interference between channels when using multiple channels, thus improving call quality, reducing the number of channel services in a narrow tower, and reduc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antennas. Providing, filtering effect of a single channel. In addition, when the combiner is used, the number of antennas can be great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space utilization.

이러한 기능을 갖는 콤바이너의 종류와 그 장단점은 아래와 같다.The types of combiners having these functions and their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re as follows.

종래의 콤바이너는 좁은 채널 간격의 장점과, 손실이 크다는 단점을 갖는 하이브리드 콤바이너(Hybrid Combiner); 손실이 작으면서 반면에 좁은 채널 간격에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밸런스 패스 콤바이너(BALANCED PASS COMBINER); 손실이 작지만, 좁은 채널 간격에의 활용성이 떨어지는 밸런스 노치 콤바이너(BALANCED NOTCH COMBINER); 크기가 작지만, 채널 간격이 제한되는 정류형 콤바이너(COMMUTATING LINE COMBINER); 가격이 싸고, 좁은 채널 간격을 유지하며, 크기가 작은 공동형 콤바이너(CAVITY-FERRITE COMBINER) 등이 있다.Conventional combiners include hybrid combiners having the advantages of narrow channel spacing and high loss; BALANCED PASS COMBINER, which has a small loss but poor utility in narrow channel spacing; BALANCED NOTCH COMBINER, which has a small loss but poor utility in narrow channel spacing; COMMUTATING LINE COMBINER, which is small in size but limited in channel spacing; There are low cost, small channel spacing, and small CAVITY-FERRITE COMBINER.

한편, 이동 통신 및 무선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과 중계기에서 안테나 다음에 사용되어 송신 및 수신되는 신호를 설정된 주파수 대역 범위로 여파하여 시스템 또는 안테나로 공급하는 듀플렉서(Duplexer)는 대역 통과 필터와 마찬가지로 매우 적은 삽입 손실 특성과 저지 대역 내에서의 급격한 감쇄 특성이 요구된다.Meanwhile, a duplexer, which is used after an antenna in a base station and a repeater in a mobil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ilters a transmitted and received signal into a set frequency band range and supplies it to a system or an antenna, such as a band pass filter, with very little insertion. Loss characteristics and abrupt attenuation in the stopband are required.

이러한 기지국 및 중계기용 듀플렉서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대역 통과 필터와 마찬가지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듀플렉서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듀플렉서의 저지 대역 내에서의 감쇄극의 구현이 매우 중요하다.In order to satisfy the duplexer specifications for base stations and repeaters, a duplexer using a dielectric resonator is used like a band pass filter. In this case, implementation of an attenuation pole in the stop band of the duplexer is very important.

상기와 같은 대역 통과 필터, 듀플렉서, 콤바이너 등에 이용되는 종래의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를 첨부된 도 10,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A conventional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used in a band pass filter, a duplexer, a combiner,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도 10에 도시된 종래의 3폴(pole)형 대역 통과 필터는 직육면체의 알루미늄 금속으로 된 바디(1) 내부에 3개의 정육면체 캐비티(2∼4)를 형성하며, 각각의 캐비티(2∼4) 내에는 3개의 높은 무부하 품질 계수를 갖는 유전체(5∼7))가 유전체 지지용 서포트에 의하여 플로팅되어 있으며, 상기 캐비티(2∼4)사이에는 윈도우(10, 11)가 형성되어 있고, 바디(1)의 양측 벽에는 입출력 콘넥터(8, 9)가 부착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three pole type band pass filter shown in FIG. 10 forms three cube cavities 2 to 4 inside a body 1 of a rectangular aluminum metal, and each cavity 2 to 4. The dielectrics 5-7 having three high load-free quality coefficients are floated by the support for dielectric support, and windows 10 and 11 are formed between the cavity 2-4, and the body ( Input and output connectors 8 and 9 are attached to both walls of 1).

상기와 같은 대역 통과 필터는 채널 필터로 이용되며 저 손실 특성을 위하여 무부하 품질 계수가 상당히 큰 고가의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하고 있으며, 채널 대역 내에서의 적당한 감쇄량을 실현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함으로써 채널 필터의 전체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bandpass filter is used as a channel filter and uses an expensive dielectric resonator with a large no-load quality factor for low loss characteristics, and three or more dielectric resonators are used to realize an appropriate attenuation in the channel band. As a result, the overall size of the channel filter is increased.

그리고, 상기한 종래의 유전체 공진기형 채널 필터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 대역의 양측단에 어떤 감쇄극(Notch Point)도 형성되지 않아서 콤바이너로 이용할 때에 채널 결합을 용이하지 않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dielectric resonator type channel filter, as shown in FIG. 10, no attenuation p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ss band, so that channel coupling is not easy when used as a combiner. There was this.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진기의 개수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필터의 크기가 증가하고, 그 결과 유전체 증가에 따라 손실이 증가하여 잡음특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conventionally,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number of resonators must be increased, so that the size of the filter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loss increases with the increase of the dielectric, thereby deteriorating the noise characteristics.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각종 이동 통신 및 무선통신 기지국 또는 중계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GHz 대역의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대역 양측단에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음으로써 인접 채널에 대한 감쇄 특성이 우수한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s at both ends of a pass band of a band pass filter of a GHz band used in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s or repeater syst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lectric resonator band pass filter having a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 having excell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s for an adjacent channe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과 대역의 양측단에 감쇄극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채널 결합을 용이하게 해 주는 채널 콤바이너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nnel combiner that facilitates channel combining by using a band pass filter in which attenuation poles are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of the pass ba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역 통과 필터의 부분 조립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2 is an assembly view showing a partial assembly state of the band pass filter shown in FIG.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대역 통과 필터의 일부절개 단면도 및 도 3a의 A-A선 단면도,3A and 3B are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s of the assembled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A, respectively;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대역 통과 필터의 등가 회로도,4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band pass filter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5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등가 회로도,6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a tr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3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7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2채널 콤바이너를 구성한 경우의 블록 회로도, 제1 및 제2채널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8a to 8c is a block circuit diagram when a two-channel combiner is configured using a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channels,

도 9는 종래의 3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thre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도 10은 종래의 3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 conventional thre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21 : 유전체 공진기 22 : 너트20, 21: dielectric resonator 22: nut

23,23a : 튜닝 스크류 24 : 고정 볼트23,23a: tuning screw 24: fixing bolt

25 : 양쪽 너트 26 :지지 볼트25: both nuts 26: support bolt

27 : 동축케이블 28 : 좌단 심선27: coaxial cable 28: left end core wire

29 : 우단 심선 30 : 입력 콘넥터29: right end core wire 30: input connector

31 : 제 1커플링 동판 35 : 출력 콘넥터31: first coupling copper plate 35: output connector

36 : 제 2커플링 동판 40 : 바디36: second coupling copper plate 40: body

41 : 제 1캐비티 42 : 제 2캐비티41: first cavity 42: second cavity

43 : 윈도우 44 : 제 1콘넥터 수용홈43: window 44: the first connector accommodating groove

45 : 제 2콘넥터 수용홈 46 : 커버45: second connector receiving groove 46: cover

47 : 동축케이블 수용홈 48 : 수용홈 커버47: coaxial cable receiving groove 48: housing groove cover

50,60 :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 51,61 : 병렬공진회로50,60: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51,61: parallel resonant circuit

70 : 채널 콤바이너 71,72 : 제1 및 제2 채널 필터70: channel combiner 71,72: first and second channel filters

73 : 정션 74 : 안테나73: junction 74: antenn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캐비티가 윈도우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를 형성하는 금속 바디 및 커버와, 상기 제1금속 캐비티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 내에 각각 유전체가 플로팅되어 입력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와,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입력신호를 제1유전체 공진기에 전자계 유도 결합시키기 위한 제1커플링 수단과, 상기 제2금속 캐비티의 출력 주파수 신호가 전자계 유도 결합되는 제2커플링 수단과, 일측이 상기 제1커플링 수단과 전자계 유도 결합되고 타측이 제2커플링 수단에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를 바이패스하여 입력신호의 일부를 제2커플링 수단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과, 상기 제2커플링 수단을 지지하며 제2커플링 수단에 유도된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l body and cover for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metal cavities interconnected through the window, and to input a microwave input signal into the first metal cavity.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each having an input terminal, a dielectric floating in the first and second metal cavities to form a band pass filter for the input signal, and a first dielectric resonator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to couple the input signal. A first coupling means for electro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ing to the second coupling means for electro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ing the output frequency signal of the second metal cavity, one side being electro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the other Electromagnetic inductively coupled to two coupling means to bypass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to bypass a portion of the input signal to the second coupling means. A dielectric resonator having a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 comprising a bypass means for turning on, and an output terminal for supporting the second coupling means and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of a set band induced in the second coupling means. Provides a band pass filter.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 사이의 윈도우에 대역 통과 필터의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 사이의 결합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결합계수 조정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invention further comprises coupling coefficien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to adjust the bandwidth of the band pass filter in the window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tal cavities.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동축케이블로 이루어지며, 동축케이블의 양단 코어가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전자계 유도 결합된다.The bypass means is made of a coaxial cable, and both cores of the coaxial cable are electro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an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은 각각 대향한 양측벽 바디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루프 커플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커버에 매입되는 동축케이블과, 상기 동축케이블로부터 연장되어 대향한 양측벽 바디와 루프 커플링 사이에 삽입되는 양단 코어로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ans may each have a loop coupling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spacing with opposing opposite side wall bodies, and the bypass means may include a coaxial cable embedded in the cover and the coaxial cable. It is composed of both cores extending and inserted between the opposing opposing side wall bodies and the loop coupling.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루프 커플링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 입력신호를 제1금속 캐비티 내부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제1금속 캐비티 및 이와 윈도우를 통하여 직렬 접속된 제2 금속 캐비티 내에 각각 유전체가 플로팅되어 입력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와, 제2루프 커플링에 상기 제2금속 캐비티의 출력 주파수 신호가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유도된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수단과,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루프 커플링에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입력신호의 일부를 출력수단으로 바이패스시켜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대역통과 주파수의 양측단에 서로 대칭인 하측 및 상측 감쇄극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a microwave input signal into a first metal cavity by a first loop coupling, and a second connected in series through the first metal cavity and a window.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each having a dielectric floating in the metal cavity to form a band pass filter for an input signal, and an output frequency signal of the second metal cavity is induc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coupling to a second loop coupling.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of a band, and both ends of the band pass frequency, which are indu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oop couplings, respectively, to bypass a part of the input signal to the output means and output to the output means. A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bypass means for forming a lower and upper attenuation pole symmetric to each other in the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is provided.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 사이에 형성된 제3금속 캐비티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와 함께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3유전체 공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dielectric resonator installed in a third metal cavity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tal cavities to form a band pass filter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본 발명의 대역 통과 필터는 특정의 채널 주파수 신호만을 출력하는 채널 필터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채널 필터의 통과 대역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그들의 출력 단자를 병렬로 연결하여 채널 콤바이너로 이용될 수 있다.The band pass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channel filter for outputting only a specific channel frequency signal, and may be used as a channel combiner by setting different pass band frequencies of the channel filters and connecting their output terminals in parallel. Can b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대역 통과 필터를 이용한 채널 콤바이너는 기존의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 및 채널 콤바이너에 비하여 인접 채널 주파수에서의 감쇄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역 통과 필터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고, 2개의 유전체 공진기만을 이용하여 거의 완전한 대칭성을 갖는 감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손실이 적으며, 저가화를 실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nnel combiner using 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nd the band pass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tter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t adjacent channel frequencies than the conventional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nd channel combiner. The size of the pass filter is remarkably small, and only two dielectric resonators can be used to form an attenuation pole having almost perfect symmetry, so that the loss is small and the cost can be realized.

(실시예)(Example)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구조를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대역 통과 필터의 부분 조립 상태를 나타낸 조립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조립된 대역 통과 필터의 일부절개 단면도 및 도 3a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대역 통과 필터의 등가 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view showing a partially assembled state of the band pass filter shown in FIG. 1, and FIGS. 3A and 3B are respectively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assembled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A lin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A, FIG. 4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the band pass filter shown in FIG. 1, FIG. 5 is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는 2폴(pole)형 대역 통과 필터로서, 직육면체의 알루미늄(Al) 또는 듀랄루민 금속 내부에 2개의 정육면체 형태로 된 제 1, 2캐비티(cavity, 41, 42)를 갖는 바디(40)를 구비하며, 각각의 캐비티(41, 42)에는 2개의 높은 무부하 품질 계수를 갖는 제 1, 2유전체(20, 21)가 유전체 지지용 서포트에 의해 플로팅되어 2개의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50,60)를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1 to 3B, 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wo-pole type band pass filter, and has two inside rectangular aluminum (Al) or duralumin metals. A body 40 having first and second cavities 41 and 42 in the form of a cub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s 20 having two high load-free quality factors in each cavity 41 and 42. , 21, is floated by a dielectric support support to form two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50,60.

각 유전체 공진기(50,60)는 바디(40)의 바닥면에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금속제 지지 볼트(26)를 사용하여 테프론, PE, 또는 렉설레이터(Rexolator) 등과 같이 저유전율의 손실이 작은 유전체로 이루어진 양쪽 너트(25)를 고정하고, 양쪽 너트(25)의 상단에 유전체(20, 21)를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양쪽 너트(25)와 동일하게 저유전율의 저손실 재료로 이루어진 유전체 고정 볼트(24)를 사용하여 유전체(20, 21)를 관통하여 양쪽 너트(25)에 체결함에 의해, 유전체(20, 21)를 제 1 및 제 2캐비티(41, 42)의 중앙에 플로팅시킨다. 또한, 인접한 캐비티와 캐비티 사이에는 제1유전체 공진기(50)의 공진신호를 제2유전체 공진기(60)로 전송하기 위한 윈도우(window, 43)가 형성되어 있다.Each dielectric resonator 50, 60 is a dielectric having a low loss of dielectric constant such as Teflon, PE, or rexolator, using a metal support bolt 26 made of aluminum or the lik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40. A dielectric fixing bolt 24 made of a low dielectric constant material having the same low dielectric constant as the both nuts 25 with both the nuts 25 fixed thereto and the dielectrics 20 and 21 positioned on the upper ends of the nuts 25. The dielectrics 20 and 21 are flo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cavities 41 and 42 by penetrating through the dielectrics 20 and 21 to both nuts 25 using. In addition, a window 43 for transmitting a resonance signal of the first dielectric resonator 50 to the second dielectric resonator 60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cavity and the cavity.

그리고, 바디(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46)에는 유전체(20, 21)와 대향한 위치에 황동 또는 인바로 이루어지며, 그 선단부가 디스크 형상을 갖는 튜닝 스크류(23)를 너트(22)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공진 주파수를 튜닝을 하고자 할 때에는 이 튜닝 스크류(23)를 이용하여 튜닝한다.In addition, the cover 46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40 is made of brass or invar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dielectrics 20 and 21, and the nut 22 is provided with a tuning screw 23 having a distal end thereof having a disk shape. ), And tune using the tuning screw 23 when tuning the resonance frequency.

또한, 바디(40)의 양 측면에는 신호 입출력 단자인 입력 및 출력 콘넥터(30, 35)가 장착되는 제 1 및 제 2콘넥터 수용홈(44, 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 및 출력 콘넥터(30, 35)는 N(F)-B/H 타입의 콘넥터이다.In addit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40 are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connector accommodating grooves 44 and 45 to which the input and output connectors 30 and 35, which are signal input / output terminals, are mounted. The input and output connectors 30 and 35 are N (F) -B / H type connectors.

상기 제 1 및 제 2콘넥터 수용홈(44, 45)에 장착되는 입력 및 출력 콘넥터(30, 35)에는 각각 유전체(20, 21)를 향하여 전자계 결합용으로 이용되는 제 1 및 제 2커플링 동판(31, 36)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커플링 동판(31, 36)은 도 3b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선을 중심으로 입력 콘넥터(30)의 제 1커플링 동판(31)은 좌측(또는 우측)으로 30°각도로 치우쳐 있으며, 출력 콘넥터(35)의 제 2커플링 동판(36)은 우측(또는 좌측)으로 30°각도로 치우쳐 부착된다.First and second coupling copper plates used for electromagnetic field coupling toward the dielectrics 20 and 21 in the input and output connectors 30 and 35 m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 accommodation grooves 44 and 45, respectively. (31, 36) are connected. Here,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B,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copper plates 31 and 36 have a first coupling copper plate 31 of the input connector 30 on the left side (or right side). And the second coupling copper plate 36 of the output connector 35 is attached to the right side (or the left side) at an angle of 30 °.

이 제 1 및 제 2커플링 동판(31, 36)은 보통 플레이트 타입으로 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봉(rod) 형태로 하여도 무방하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copper plates 31 and 36 are usually of a plate type, but may be in the form of rods in some cases.

그리고, 상기 바디(40)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46)에는 동축케이블(27)이 매설되는 동축케이블 수용홈(4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동축케이블 수용홈(47)에는 동축케이블(27)이 수용되며 수용홈 커버(48)로 덮여진다.The cover 46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40 has a coaxial cable receiving groove 47 in which a coaxial cable 27 is embedded, and the coaxial cable receiving groove 47 has a coaxial cable 27. ) Is accommodated and covered with the receiving groove cover 48.

상기 동축케이블(27) 일단의 좌단 심선(28)은 상기 입력 콘넥터(30)에 연결된 제 1커플링 동판(31)에 소정된 거리를 두고 접촉되며, 그 타단의 우단 심선(29)은 상기 출력 콘넥터(35)의 제 2커플링 동판(36)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접촉되어 입력 콘넥터(30)를 통해 입력되는 고주파 입력신호를 출력 콘넥터(35)로 바이패스시켜 준다.The left end core 28 of one end of the coaxial cable 27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upling copper plate 31 connected to the input connector 3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right end core 29 of the other end thereof is the output. The second coupling copper plate 36 of the connector 35 is contac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to bypass the high frequency input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connector 30 to the output connector 35.

상기한 2폴형 대역 통과 필터의 등가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50,60)는 각각 인덕터(L1,L2)와 캐패시터(C4,C5)의 병렬공진회로(51,61)를 형성하며, 병렬공진회로(51,61) 사이에는 윈도우(43)에 의한 결합 콘덴서(C2)가 연결되고, 입력/출력 단과 공진회로(51,61) 사이에는 입력/출력 콘넥터(30,35)에 의한 콘덴서(C1,C3)가 연결된다.As shown in FIG. 4,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two-pole type band pass filter includes the parallel resonant circuits of the inductors L1 and L2 and the capacitors C4 and C5, respectively. 51 and 61, a coupling capacitor C2 by the window 43 is connected between the parallel resonant circuits 51 and 61, and an input / output connector between the input / output stage and the resonant circuits 51 and 61. Capacitors C1 and C3 by 30 and 35 are connected.

상기 등가회로에서 바이패스용 동축 케이블(27)은 입력단과 출력단을 연결하는 인덕터(Lr)로서 표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2폴형 대역 통과 필터의 등가회로는 입력/출력 사이에 바이패스회로를 갖는 2단 병렬공진회로로서 표현된다.In the equivalent circuit, the bypass coaxial cable 27 may be represented as an inductor Lr connecting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Thus, the equivalent circuit of the two pole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as a two stage parallel resonant circuit having a bypass circuit between input / output.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having the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perates as follows.

먼저, 한쌍의 유전체 공진기(50,60)는 공진기 사이의 결합계수를 적절히 조정함에 따라 원하는 대역폭의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한다.First, the pair of dielectric resonators 50 and 60 form a band pass filter of a desired bandwidth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the resonators.

본 발명에서는 입력 콘넥터(30)의 제1커플링 동판(31)을 통해 제1캐비티(41)에 형성된 제1유전체 공진기(50)로 입력신호를 인가하면, 입력되는 고주파 입력신호는 제1유전체 공진기(50)에 입사되어 일차로 공진이 이루어진 후, 윈도우(43)를거쳐 제2유전체(21)가 설치된 제2캐비티(42)의 제2유전체 공진기(60)로 입사되어 이차 공진이 이루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dielectric resonator 50 formed in the first cavity 41 through the first coupling copper plate 31 of the input connector 30, the high frequency input signal to be input is the first dielectric After being incident to the resonator 50 to firstly resonate, it is incident through the window 43 to the second dielectric resonator 60 of the second cavity 42 in which the second dielectric 21 is installed to perform secondary resonance.

이때 윈도우(43)에 설치된 튜닝 스크류(23a)를 조정하여 공진기(50,60) 사이의 결합계수를 조정하면 원하는 대역폭을 갖는 대역 통과 신호가 출력 콘넥터(35)와 연결된 제 2커플링 동판(36)에 전자계 유도에 의하여 얻어진다.At this time, if the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the resonators 50 and 60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tuning screw 23a installed in the window 43, the second coupling copper plate 36 having a band pass signal having a desired bandwidth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35 is provided. ) Is obtained by electromagnetic field induction.

이 경우, 상기 입력 및 출력 콘넥터(30, 35)의 루프 커플링(Loop Coupling) 구조의 제 1 및 제 2커플링 동판(31, 36)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그 양단 심선(28, 29)이 접촉되는 동축케이블(27)로는 전자계 유도 결합을 통하여 입력신호의 일부가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50,6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되어 출력 콘넥터(35)와 연결된 제2커플링 동판(36)으로 유도되어,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50,60)를 거친 대역 통과 신호와 혼합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접 채널의 주파수를 크게 감쇄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In this case, the core wires 28 and 29 at both ends of the input and output connectors 30 and 35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copper plates 31 and 36 having a loop coupling structure. In this contacting coaxial cable 27, a part of the input signal is bypasse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50 and 60 through electromagnetic induction coupling, and a second coupling copper plate connected to the output connector 35 ( 36, which is mixed with the band pass signal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50 and 60, in the process of greatly attenuating the frequencies of the adjacent channels.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본 발명의 대역 통과 필터의 출력에서 얻어지는 출력신호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 대역의 상측 및 하측 저지대역에 거의 완전한 대칭성을 갖고 급격한 감쇄가 이루어지는 감쇄극(UNP1,LNP1)이 형성되어 우수한 대역 통과 필터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Through this process, the output signal obtained at the output of the band pass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ttenuation poles UNP1 and LNP1 having almost complete symmetry and rapid attenuation in the upper and lower stop bands of the pass band as shown in FIG. 5. Formed to achieve good bandpass filtering.

도 5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마크 1(1.790GHz)에서 -19.336dB의 감쇄가 이루어지나, 종래에는 도 10과 같이 마크 1(1.967GHz)에서 -4.5579dB의 감쇄가 이루어지고 있어, 본 발명이 종래에 비하여 월등하게 급격한 감쇄가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19.336 dB is attenuated at mark 1 (1.790 GHz), but -4.5579 dB is attenuated at mark 1 (1.967 GHz) as in Fig. 10. It can be seen that the abrupt attenuation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in comparison.

또한, 상기한 주파수 특성곡선은 유전체 공진기의 단수가 작기 때문에 통과대역 내의 삽입손실도 개선되었다. 즉, 종래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삽입손실이 -1.1423dB 이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삽입손실이 -0.5829 dB로 나타나, 본 발명의 경우가 종래에 비하여 삽입손실이 적게 나타났다.In addition, since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curve described above is small in number of dielectric resonators, the insertion loss in the pass band is also improved. That is, although the insertion loss was -1.1423 dB in the related art,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rtion loss was -0.5829 dB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sertion loss was less than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통과 대역의 양측단에 형성되는 감쇄극 형성 위치는 동축케이블(27)의 양단 심선(28, 29)과 해당 유전체 사이의 간격을 조정함에 따라 결정되며, 유전체에 근접시킬수록 감쇄극(UNP1,LNP1)의 위치는 통과 대역에 근접하게 된다.The position of the attenuation pol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ss band is determined by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ores 28 and 29 of the coaxial cable 27 and the corresponding dielectric. The closer to the dielectric, the attenuation poles UNP1 and LNP1. ) Position is close to the pass band.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유전체(20, 21)를 이용한 2폴형 대역 통과 필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전체 3개를 사용하여 직렬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 유전체 공진기를 형성하고, 바이패스용 동축케이블(27)의 양단 심선(28,29)을 입/출력 콘넥터(30,35)의 커플링 동판(31,36)에 전자계 유도 결합을 시켜 구성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 two-pole bandpass filter using two dielectrics 20 and 21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n some cases, the first to third dielectric resonators connected in series using three dielectrics are formed. The core wires 28 and 29 at both ends of the bypass coaxial cable 27 may be form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coupling to the coupling copper plates 31 and 36 of the input / output connectors 30 and 35.

이러한 바이패스 구조를 갖는 3폴형 유전체 공진기는 도 6과 같이 3개의 병렬공진회로(L1,C5;L2,C6;L3,C7), 4개의 결합 콘덴서(C1-C4), 바이패스용 인덕터(Lr)로 이루어진 등가 회로를 갖는 대역 통과 필터가 이루어지며, 그 주파수 특성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과 대역의 양측단에 서로 대칭적인 감쇄극(UNP2,LNP2)이 형성되고, 3개의 유전체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통과 대역의 중심부에 한쌍의 피크 포인트를 갖는다.The three-pole dielectric resonator having the bypass structure includes three parallel resonant circuits L1, C5; L2, C6; L3, and C7, four coupling capacitors C1 to C4, and a bypass inductor Lr as shown in FIG. A band pass filter having an equivalent circuit consisting of) is formed, 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thereof are symmetrical attenuation poles (UNP2, LNP2) formed at both ends of the pass band, as shown in FIG. As a result, it has a pair of peak points in the center of the pass band.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역 통과 필터로 이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는 그 자체로서 채널 필터(ChannelFilter)로서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ase of using the band pass filt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 channel filter.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채널 필터로서 구성되는 채널 콤바이너(Channel Conbiner) 또는 듀플렉서(Duplexer)에 이용될 수 도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channel combiner or a duplexer configured as a plurality of channel filters.

다시 말하면, 도 8a에 도시된 채널 콤바이너(7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 주파수를 채널(CH1,CH2)별로 다르게 설정하여 제1 및 제2 채널필터(71,72)를 형성한 후에 정션(junction)(73)에서 2필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동일한 출력단으로 출력시켜 안테나(74) 또는 송신용 대역 통과 필터 등에 연결하면 각 채널별로 명료하게 다수의 채널이 구분되어 출력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channel combiner 70 illustrated in FIG. 8A sets the passband frequency of the bandpass filt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each of the channels CH1 and CH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hannel filters 71 and 72 are different. After forming the circuit, two filters are connected in parallel at the junction 73 and output to the same output terminal, and when connected to an antenna 74 or a band pass filter for transmission, a plurality of channels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output for each channel. will be.

보통 채널 콤바이너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채널 필터의 병렬 결합으로 된 부품으로, 채널 필터의 삽입 손실 및 감쇄 특성이 콤바이너의 성능을 좌우하는데, 국내 PCS 이동통신 기지국의 경우 채널의 대역폭은 1.23MHz이며, 채널 간격은 1.25MHz로 채널을 콤바이닝할 때에는 최소 한 채널을 건너서 콤바인한다.In general, the channel combiner is a parallel component of channel filters,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loss an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filter determine the combiner's performance. In the case of a PCS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e channel bandwidth is 1.23 MHz. The channel spacing is 1.25 MHz, when combining channels at least one channel is combined.

그리고, 채널을 결합할 때에 한 쪽 채널의 중심(통과 대역의 중심 주파수)에서 인접 채널 대역까지의 차가 1.385MHz로서, 채널 필터의 중심에서 1.385MHz 지점의 감쇄의 정도가 원활한 채널 결합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When combining channels, the difference from the center of one channel (the center frequency of the pass band) to the adjacent channel band is 1.385 MHz, and the degree of attenuation at the center of the channel filter 1.385 MHz determines the smooth channel combining. It is an important factor.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각각의 채널 필터를 형성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구성된 채널 콤바이너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를 사용함으로써 공진기의 수에 의한 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또한 감쇄극을 대칭적으로 형성하여 채널 필터의 중심에서 1.385MHz 지점의 감쇄가 정확하면서 충분하게 갖도록 하여 2개의 유전체 공진기로도 용이한 채널 콤바인이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Each channel filter is formed by using 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hannel combiner configured by using the two dielectric resonators minimizes the loss due to the number of resonators. The attenuation poles are formed symmetrically so that the attenuation at 1.385 MHz at the center of the channel filter is accurate and sufficient, thereby enabling easy channel combiner with two dielectric resonators.

상기한 채널 콤바이너의 주파수 특성은 도 8b(제1채널) 및 도 8c(제2채널)에 도시된 바와같이,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채널(CH1,CH2)이 감쇄극으로 명료하게 구분되어 각 채널별로 주파수 신호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channel combiner are clearly distinguished by attenuation poles of adjacent first and second channels CH1 and CH2 as shown in FIGS. 8B (first channel) and 8C (second channel). It can be seen that each channel is output as a frequency signal.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대역 통과 필터와 채널 콤바이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는 듀플렉서와 같은 다른 마이크로웨이브 소자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의 유전체 플로팅 구조 이외의 다른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band pass filter and the channel combiner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having the symmetric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microwave elements such as a duplexer.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pplicable to a case having a structure other than the dielectric floating structur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와 상기 대역 필터를 이용한 채널 콤바이너는 기존의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 및 채널 콤바이너에 비하여 인접 채널 주파수에서의 감쇄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대역 통과 필터의 크기가 현저하게 작고, 2개의 유전체 공진기만을 이용하여 거의 완전한 대칭성을 갖는 감쇄극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삽입손실이 적은 특징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nd the channel combiner using the band filter have better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t adjacent channel frequencies than the conventional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and channel combiner. The size of the pass filter is remarkably small, and since only two dielectric resonators can be used to form an attenuation pole having almost perfect symmetry, the insertion loss is small.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인접 채널 주파수에서 충분한 감쇄량을 확보할 수 있어 공진기에 의한 손실을 줄여 무부하 품질계수가 일반적인 유전체를 사용하여 유전체 공진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제품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하면서도 저가화를 실현할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ufficient amount of attenuation can be ensured at adjacent channel frequencies, so that the loss due to the resonator can be reduced, so that the dielectric resonator can be configured using a common dielectric with no load quality factor. As a result, the cost can be realized while improv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y way of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who have the same.

Claims (9)

각 캐비티가 윈도우를 통하여 상호 접속된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를 형성하는 금속 바디 및 커버와,Metal bodies and covers, each cavity forming a first and a second metal cavity interconnected through a window; 상기 제1금속 캐비티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단자와,An input terminal for inputting a microwave input signal into the first metal cavity;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 내에 각각 유전체가 플로팅되어 입력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와,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each having a dielectric floating in the first and second metal cavities to form a band pass filter for an input signal; 상기 입력 단자에 결합되어 입력신호를 제1유전체 공진기에 전자계 유도 결합시키기 위한 제1커플링 수단과,First coupling means 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for inductively coupling an input signal to a first dielectric resonator; 상기 제2금속 캐비티의 출력 주파수 신호가 전자계 유도 결합되는 제2커플링 수단과,Second coupling means for electro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ing an output frequency signal of the second metal cavity; 일측이 상기 제1커플링 수단과 전자계 유도 결합되고 타측이 제2커플링 수단에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를 바이패스하여 입력신호의 일부를 제2커플링 수단으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과,One side i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means, and the other side i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means to bypass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to bypass a portion of the input signal to the second coupling means. Bypass means for 상기 제2커플링 수단을 지지하며 제2커플링 수단에 유도된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And an output terminal for supporting said second coupling means and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of a set band induced in said second coupl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 사이의 윈도우에 대역 통과필터의 대역폭을 조정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 사이의 결합계수를 조정하기 위한 결합계수 조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coupling coefficient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in the window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tal cavities to adjust the bandwidth of the band pass filter. A dielectric resonator bandpass filter having symmetric attenuation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은 각각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대하여 좌우로 소정의 각도로 편향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The dielectric resonator band pass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ans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left to right with respect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respectively.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동축케이블로 이루어지며, 동축케이블의 양단 코어가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전자계 유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The symmetric attenuating electrod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ypass means is made of a coaxial cable, and both cores of the coaxial cable are electromagnetically inductive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ans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ielectric resonator bandpass filter with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커플링 수단은 각각 대향한 양측벽 바디와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루프 커플링 구조로 이루어지며,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means are each formed of a loop coupling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pposite side wall body, 상기 바이패스 수단은 상기 커버에 매입되는 동축케이블과, 상기 동축케이블로부터 연장되어 대향한 양측벽 바디와 루프 커플링 사이에 삽입되는 양단 코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The bypass means comprises a coaxial cable embedded in the cover, and a dielectric having symmetric attenuation pol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both end cores extending from the coaxial cable and inserted between the opposite side wall bodies and the loop coupling. Resonator Bandpass Fil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통과 필터는 특정의 채널 주파수 신호만을 출력하는 채널 필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The dielectric resonator band pass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band pass filter is used as a channel filter for outputting only a specific channel frequency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필터의 통과 대역 주파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고, 그들의 출력 단자를 병렬로 연결하여 채널 콤바이너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 대역 통과 필터.The dielectric resonator bandpass filter of claim 1, wherein the passband frequencies of the channel filters are set differently, and their output terminals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be used as channel combiners. . 제1루프 커플링에 의해 마이크로웨이브 입력신호를 제1금속 캐비티 내부로 입력하는 입력수단과,Input means for inputting a microwave input signal into the first metal cavity by a first loop coupling; 상기 제1금속 캐비티 및 이와 윈도우를 통하여 직렬 접속된 제2 금속 캐비티 내에 각각 유전체가 플로팅되어 입력신호에 대한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와,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each having a dielectric floating in the first metal cavity and a second metal cavity connected in series through a window to form a band pass filter for an input signal; 제2루프 커플링에 상기 제2금속 캐비티의 출력 주파수 신호가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유도된 설정된 대역의 주파수 신호가 출력되는 출력수단과,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frequency signal of a predetermined band induced by electromagnetic induction coupling of an output frequency signal of the second metal cavity to a second loop coupling;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루프 커플링에 전자계 유도 결합되어 입력신호의 일부를 출력수단으로 바이패스시켜 출력수단으로 출력되는 대역통과 주파수의 양측단에 서로 대칭인 하측 및 상측 감쇄극을 형성하기 위한 바이패스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Both ends are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loop couplings, respectively, to bypass a portion of the input signal to the output means to form lower and upper attenuation poles symmetrical to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band pass frequency output to the output means.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having a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 characterized by comprising bypass mea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캐비티 사이에 형성된 제3금속 캐비티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유전체 공진기와 함께 대역 통과 필터를 형성하는 제3유전체 공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칭적인 감쇄극 특성을 갖는 유전체 공진기형 대역 통과 필터.10.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third dielectric resonator disposed in a third metal cavity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etal cavities to form a band pass filter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dielectric resonators. A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 pass filter having a symmetric attenuation pole characteristic.
KR1019990038983A 1999-09-13 1999-09-13 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KR1003137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83A KR100313717B1 (en) 1999-09-13 1999-09-13 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JP2000276850A JP3477157B2 (en) 1999-09-13 2000-09-12 Dielectric resonator type bandpass filter with symmetric attenuation point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83A KR100313717B1 (en) 1999-09-13 1999-09-13 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288A KR20010027288A (en) 2001-04-06
KR100313717B1 true KR100313717B1 (en) 2001-11-15

Family

ID=1961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983A KR100313717B1 (en) 1999-09-13 1999-09-13 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477157B2 (en)
KR (1) KR1003137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59B1 (en) * 2010-01-27 2011-04-14 주식회사 이너트론 Notch filter having coupling metal
KR101279261B1 (en) * 2012-03-21 2013-06-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Wideband multi mode dielectric filter
KR101569728B1 (en) * 2013-02-08 2015-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Cavity Filter with Combined Mo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57B1 (en) 2003-08-23 2007-10-2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Radio frequency band variable filter
JP4657969B2 (en) * 2006-03-31 2011-03-23 日本無線株式会社 Dielectric filter
JP4773861B2 (en) * 2006-03-31 2011-09-14 日本無線株式会社 Low loss filter and low loss dielectric filter
JP2008182303A (en) * 2007-01-23 2008-08-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lter device
JP2008205692A (en) * 2007-02-19 2008-09-04 Japan Radio Co Ltd High-frequency filter
KR100827842B1 (en) * 2007-05-04 2008-05-0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Notch coupling rf filter
KR101150308B1 (en) * 2007-11-23 2012-06-08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Tuning method of dielectric resonator filter
KR101036127B1 (en) * 2008-06-27 2011-05-23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Method for Manufacturing Resonator of RF Filter and RF filter Having the Same
GB201222320D0 (en) * 2012-12-12 2013-01-23 Radio Design Ltd Filter assembly
WO2017120454A1 (en) 2016-01-07 2017-07-13 Brightspec,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irect multiplication fourier transform millimeter wave spectroscopy
CN109560355B (en) * 2018-12-28 2024-05-14 重庆思睿创瓷电科技有限公司 Dielectric body for 5G communication, dielectric waveguide filter, radio frequency module and base station
CN110113073A (en) * 2019-05-16 2019-08-09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Medium POI
CN112436255B (en) * 2020-10-26 2021-10-26 华信咨询设计研究院有限公司 anti-5G base station interference filter
KR102259016B1 (en) * 2020-11-11 2021-06-02 상신정보통신 주식회사 Open type notch filter
CN113036328B (en) * 2021-03-25 2022-04-12 南通大学 Dual-channel filter with different center frequencies
CN113036333B (en) * 2021-03-27 2022-03-22 南通大学 Dual-mode dual-passband dielectric filter power divider capable of generating out-of-band zero
CN113394540B (en) * 2021-06-10 2022-08-02 京信射频技术(广州)有限公司 Resonant cavity structure, resonator, filter and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104A (en) * 1993-04-09 1994-10-21 Murata Mfg Co Ltd Dielectric filter
JPH07283610A (en) * 1994-04-08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electric filter
JPH0870201A (en) * 1994-08-26 1996-03-12 Japan Radio Co Ltd Laminated dielectric filter
JPH098505A (en) * 1995-06-20 1997-01-10 Murata Mfg Co Ltd Dielectric filter
JPH10290103A (en) * 1997-04-17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electric lamination filter
KR20000042661A (en) * 1998-12-26 2000-07-15 김병규 Dielectric bandpass filter which facilitating attenuation pole adjust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6104A (en) * 1993-04-09 1994-10-21 Murata Mfg Co Ltd Dielectric filter
JPH07283610A (en) * 1994-04-08 1995-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electric filter
JPH0870201A (en) * 1994-08-26 1996-03-12 Japan Radio Co Ltd Laminated dielectric filter
JPH098505A (en) * 1995-06-20 1997-01-10 Murata Mfg Co Ltd Dielectric filter
JPH10290103A (en) * 1997-04-17 1998-10-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ielectric lamination filter
KR20000042661A (en) * 1998-12-26 2000-07-15 김병규 Dielectric bandpass filter which facilitating attenuation pole adjust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459B1 (en) * 2010-01-27 2011-04-14 주식회사 이너트론 Notch filter having coupling metal
KR101279261B1 (en) * 2012-03-21 2013-06-26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Wideband multi mode dielectric filter
KR101569728B1 (en) * 2013-02-08 2015-11-18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Cavity Filter with Combined M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27502A (en) 2001-05-11
KR20010027288A (en) 2001-04-06
JP3477157B2 (en) 200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717B1 (en) Band Pass Filter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Symmetrically Upper and Lower Notch Points
EP0938153B1 (en) Bandpass filter, duplexer,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s device
US603754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housing assembly
US6686815B1 (en) Microwave filter
US5812036A (en) Dielectric filter having intrinsic inter-resonator coupling
US20080122559A1 (en) Microwave Filter Including an End-Wall Coupled Coaxial Resonator
CA2097944C (en) Composite duplex filter
KR101919456B1 (en) Dielectric ceramic waveguide duplexer
US6914497B2 (en) Parallel multistage band-pass filter
EP0872024B1 (en) Amplifier for antennas
JPH11186819A (en) Band rejection filter and duplexer
KR100561634B1 (en) Waveguide diplexer of electric plane junction structure with inductive iris
US6201456B1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with non-electrode coupling parts
US20020180559A1 (en) Dielectric resonator loaded metal cavity filter
EP0943161B1 (en) Microwave resonator
US6809615B2 (en) Band-pass filt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Tao et al. Dual-band ortho-mode transducer with irregularly shaped diaphragm
Matsumoto et al. A miniaturized dielectric monoblock duplexer matched by the buried impedance transforming circuit
KR100258788B1 (en) Microwave band pass filters made with an half-cut coaxial resonators
CN113725574A (en) Communication equipment and filter
KR100313718B1 (en) Microwave Device of Dielectric Resonator Type Having Excell ent Attenuation Characteristic
JPS61269402A (en) Polar type band-pass filter
JPH03178201A (en) Microwave band pass filter
JPH0758520A (en) Dielectric branching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