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298B1 -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298B1
KR100308298B1 KR1019990018027A KR19990018027A KR100308298B1 KR 100308298 B1 KR100308298 B1 KR 100308298B1 KR 1019990018027 A KR1019990018027 A KR 1019990018027A KR 19990018027 A KR19990018027 A KR 19990018027A KR 100308298 B1 KR100308298 B1 KR 100308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subtitle
digit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4244A (ko
Inventor
신화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1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298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자막을 디스플레이하고자 할 경우 현재 방송되는 영상에 자막을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므로, 방송중인 영상이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방송중인 영상을 4:3영상으로 변환한 후 그 4:3영상을 와이드 티브이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하고 자막은 블랙여백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와이드 티브이 화면을 두 화면으로 나눈 후 한쪽 화면에는 4:3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한쪽에는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여, 현재 방송중인 영상과 부가 서비스 정보를 명확히 구분하여 시청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ITLE DATA OF WIDE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에서, 부가정보로 전송되어지는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4:3 방송일 경우에는 블랙여백을 이용하여 문자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와이드 티브이의 화면을 두개로 나누어 한쪽에는 현재 방송중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한쪽은 자막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소비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부가 서비스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스템 규격은 시간 다중화된(time-multiplexed) 신호열인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Transport Stream Packet)에 관한 규정이다.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188바이트로 구성된 신호이고, 이 신호는 크게 헤더(Header)부분과 페이로드(Payload)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헤더 부분에는 신호의 시작을 알려주는 정보와 페이로드 부분에 실려있는 신호가 어떤 신호인지를 나타내주는 PID(Packet IDentifier)번호가 들어있다.
페이로드 부분에는 전송하고자 하는 영상정보, 음성정보, 그리고 부가정보가 실려있다. PID번호는 시간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PID를 보고 현재의 패킷이 비디오 패킷인지, 오디오 패킷인지, 부가정보(SI:Service Infomation)패킷인지를 식별할 수 잇다.
비디오, 오디오 규격은 압축된 영상, 음성 신호열에 관한 규정이다.
영상, 음성, 기타 부가정보는 시간 다중화되어 여러개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에 실려서 전송된다. 이들 신호열은 역시 PID번호로 구별된다.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신호 처리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선택하는 튜너(111)와, 상기 튜너(111)를 통해 선택한 채널신호를 디지탈의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으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와, 상기에서 변환된 디지탈의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오류를 찾아내어 정정하는 링크부(113)와, 상기에서 오류 정정된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받아 디먹싱하여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그래픽 영상을 만드는 마이크로 컴퓨터(122)와, 사용자 명령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에 전달하는 리모콘 인터페이스(121)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플래쉬 메모리(123)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한 변수 등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디램(124)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내부에 있는 디먹스(Demux)로 부터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복원하고, 이 복원된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과 그래픽 영상 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부가정보로 전송되는 자막데이터를 합성된 영상신호에 중첩시켜 출력하는 내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을 포함하는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와, 상기에서 복원시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에스디램(131)과, 상기 디코더(132)에서 합성된 신호중 영상 데이터를 받아 NTSC방식의 영상신호(R/G/B, Y/C, CVBS)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NTSC 엔코더(133)와, 상기 디코더(132)에서 합성된 신호중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의 음성신호(R,L)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34)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현재의 디지탈 티브이 방송으로는 위성을 통한 디지탈 위성방송과, 지상파에 의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있고, 케이블 디지털 방송도 곧 시행될 예정이다.
이 3가지 방송방식에서 전송매체(위성, 지상파, 케이블)는 확연하게 다르지만 영상/음성 압축과 패킷구성등 나머지 부분은 거의 같다.
따라서 이들 방송의 수신기 구성도 전송방식에 관련된 부분만 크게 다르고, 나머지 부분은 유사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디지탈 티브이의 신호처리에 대하여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먼저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튜너(111)가 수신되는 방송신호중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신호를 선택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로 출력시킨다.
상기 채널신호를 전송받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는 아날로그의 채널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시켜 링크부(113)로 출력시킨다.
이에 상기 링크부(113)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에서 전달받은 디지탈 데이터로 부터 오류를 체크하여 정정한 후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출력시킨다.
상기에서와 같이 튜너(11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 및 링크부(113)를 거쳐서 얻어지는 신호는 국제 규격으로 정해진 엠펙(MPEG)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이다.
이때 리모콘 인터페이스(121)는 사용자의 명령을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전송하여 준다.
그러면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플래쉬 메모리(13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수행시킨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사용자 명령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정보를 생성하여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로 전송하고, 아울러 상기 링크부(113)를 통해 전달된 엠펙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내부의 디먹스(Demux)를 통해 디먹싱하여 얻어지는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상기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디먹스에서 출력되는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에서 사용자 명령 수행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픽 영상정보를 전송할 경우, 상기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는 복원한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과 그래픽 영상정보를 합성한다.
이렇게 합성된 신호중 영상정보는 NTSC 엔코더(133)로 제공하고, 음성정보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34)로 제공한다.
이에 상기 NTSC 엔코더(133)는 NTSC방식의 영상신호 즉, R/G/B, Y/C, CVBS로 엔코딩하고,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34)는 아날로그의 영상신호(R,L)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NTSC 엔코더(133)는 방송지역에 따라 팔(PAL) 엔코더 또는 세캄(SECAM) 엔코더로 교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튜너(11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 링크부(113) 및 마이크로 컴퓨터(122)를 통해 전송되는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중에서 부가정보로 전송되는 자막 데이터가 있을 경우,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 내부의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는 복원된 엠펙 압축 영상신호에 중첩시켜 출력하거나 NTSC 엔코더(133)에서 엔코딩한 합성영상신호(CVBS)의 21번째 라인에 중첩시켜 출력한다.
그러면 미도시된 자막디코더에서 디코딩되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막이 디스플레이되는데, 이 디스플레이되는 자막 데이터의 형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자막 데이터의 디스플레이는 영상신호에 자막 데이터가 중첩되어 영상을 가리거나 전화면에 디스플레이되어 현재 방송신호를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방송영상소스가 16:9인지 판별하고, 4:3 방송일때는 와이드 티브이의 블랙여백을 이용하거나 와이드 티브이를 두 화면으로 나누어 한쪽은 현재 방송중인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고, 다른 한쪽은 자막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여 소비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부가 서비스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재 방송중인 영상을 가리는 일이 없도록 한 와이드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티브이의 신호 처리장치에 대한 회로도.
도 2는 도 1의 신호 처리에 의한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형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부의 블럭 구성도.
도4는 도 3에 의해 처리되는 자막 디스플레이 형태1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5는 도 3에 의해 처리되는 자막 디스플레이 형태2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튜너 112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113 : 링크부 121 : 리모콘 인터페이스
122 : 마이크로컴퓨터 123 : 플래쉬 메모리
124 : 디램 131 : 에스디램
132 :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
133 : NTSC 엔코더 134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튜너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한 디지탈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거나 사용자 명령에 의한 그래픽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에서 전송된 디지탈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복원하여 그래픽 영상을 합성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그 합성 정보에 부가정보인 자막 데이터를 중첩하거나 별도의 자막 화면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와, 상기에서 합성된 정보중 영상정보를 방송방식에 맞추어 엔코딩하는 엔코더와, 상기 합성된 정보중 음성정보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 구성된 디지탈 티브이의 자막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원된 디지탈 압축 영상 데이터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시키는 영상 중첩기와, 상기 복원된 16:9의 디지탈 엠펙 영상 데이터를 4:3형태로 변환시키는 4:3포맷 변환기와, 와이드 티브이의 화면에 상기 4:3포맷 변환기에서 변환된 4:3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와이드 티브이의 블랙여백에 자막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4:3영상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혼합하는 제1혼합기와, 와이드 티브이 화면의 ½에 4:3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½에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4:3영상과 자막을 혼합하는 제2혼합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블럭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튜너(111)를 통해 선택된 채널신호를 디지탈 엠펙 압축 영상/음성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와, 상기에서 변환된 디지탈 엠펙 압축 영상/음성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리모콘 인터페이스(121)에 의한 사용자 명령에 의한 그래픽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22)와, 상기에서 전송된 디지탈 엠펙 압축 영상/음성 데이터를 복원하여 전송하거나 복원된 영상 데이터와 그래픽 영상을 합성하고, 이 합성된 영상데이터에 부가정보인 자막 데이터를 중첩하거나 별도의 자막 화면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와, 상기에서 합성된 정보중 영상정보를 방송방식에 맞추어 엔코딩하는 엔코더(133)와, 상기 합성된 정보중 음성정보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34)로 구성된 디지탈 티브이의 자막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원된 디지탈 압축 영상 데이터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시키는 영상 중첩기(301)와, 상기 복원된 16:9의 디지탈 엠펙 영상 데이터를 4:3형태로 변환시키는 4:3포맷 변환기(302)와, 와이드 티브이의 화면에 상기 4:3포맷 변환기(302)에서 변환된 4:3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와이드 티브이의 블랙여백에 자막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4:3영상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혼합하는 제1혼합기(303)와, 와이드 티브이 화면의 ½에 4:3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½에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4:3영상과 자막을 혼합하는 제2혼합기(30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시 현재의 방송영상에 자막 영상을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계와, 다시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이 있으면 영상 소스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소스가 4:3영상이면 와이드 티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블랙여백에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두 영상을 혼합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영상 소스가 16:9이면 4:3영상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3단계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다시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이 있으면 영상소스를 판단하여 4:3영상이면 4:3영상과 자막 영상이 두 화면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튜너(111),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 및 링크부(113)를 통해 디지탈로 변환되고, 오류정정이 이루어진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이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입력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내의 User_Data 영역에서 자막정보를 추출하여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로 전송하여 디코딩 서비스를 요구한다.
이에 상기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가 디코딩한 자막 정보를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제공하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에스디램(131)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링크부(133)에서 전송되는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내부의 디먹스(Demux)를 통해 디먹싱하여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로 전송하고, 아울러 리모콘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있으면, 그 사용자 명령 수행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픽 정보를 상기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로 전송한다.
이후, 상기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는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디먹스를 통해 먹싱된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원래의 데이터로 복원하고,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부터 그래픽 영상이 전송된 경우 상기에서 복원된 영상과 그래픽영상을 합성한다.
이렇게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에서 받아 도 3에 도시한 각 블럭을 이용하여 3가지의 자막 디스플레이 형태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Display unit)의 영상 중첩기(301)는 엠펙 오디오/비디오 영상 데이터에 에스디램(131)에 저장되어 있는 자막 데이터를 중첩시켜 도 2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때 4:3포맷 변환기(302)는 복원된 엠펙 오디오/비디오 영상 데이터가 16:9영상인 경우 4:3영상으로 변환시켜 제1혼합기(303)와 제2혼합기(304)로 각각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제1혼합기(303)는 4:3영상은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 되고, 자막은 블랙여백에 디스플레이되도록 두 영상을 혼합하여, 도 4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혼합기(304)는 4:3영상은 화면의 ½에 디스플레이되고, 나머지 화면에 자막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두 영상을 혼합하여, 도 5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3가지 형태의 자막 디스플레이 과정에 대하여 도 6에 도시한 흐름도에 의거하여 다시한번 살펴보면, 먼저 리모콘 인터페이스(121)로 부터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이 있는지를 체크하여(S600), 자막 키 입력이 있으면 현재 방송중인 영상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되도록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132)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영상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시켜 NTSC 엔코더(133)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NTSC 엔코더(133)는 NTSC방식에 맞게 엔코딩하여 도 2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S601)
그리고 다시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이 있으면(S602),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현재 제공된 영상이 16:9영상인지 4:3영상인지를 판단한다.(S603)
판단 결과, 현재 영상이 4:3영상이면 이 4:3영상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자막은 블랙여백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혼합하고, 현재 영상이 16:9이면 그 영상을 4:3영상으로 변환한 후 4:3영상은 화면 전체에 자막은 블랙여백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혼합한다.(S604)
다시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이 있으면(S605),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현재 제공된 영상이 16:9영상인지 4:3영상인지를 판단하여(S606), 16:9영상이면 4:3영상으로 변환한 후 4:3영상과 자막이 두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고, 현재 영상이 바로 4:3영상이면 그 영상과 자막을 두 화면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도록한다.(S607)
상기에서 영상소스를 판단하는 것은 매우 쉽다.
즉, 전송되어오는 영상 스트림의 헤더 정보에는 16:9영상인지 4:3영상인지 판단하는 플래그를 보내주므로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4:3방송일 때 와이드 티브이의 블랙여백에 자막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에는 현재 방송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와이드 티브이의 화면을 두 화면으로 나누어 한쪽에는 현재 방송중인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한쪽에는 자막을 디스플레이하여, 소비자가 방송을 시청하면서 부가 서비스 정보를 볼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튜너와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한 디지탈의 엠펙 압축 영상/음성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거나 사용자 명령에 의한 그래픽 영상을 생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에서 전송된 디지탈 엠펙 압축 영상/음성 스트림을 복원한 후 그래픽 영상을 합성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그 합성 정보에 부가정보인 자막 데이터를 중첩하거나 별도의 자막 화면으로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 엠펙 오디오/비디오 디코더와, 상기 합성 정보중 영상정보를 방송방식에 맞추어 엔코딩하는 엔코더와, 상기 합성된 정보중 음성정보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 구성된 디지탈 티브이의 자막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복원된 디지탈 압축 영상 데이터에 자막 데이터를 중첩시키는 영상 중첩기와, 상기 복원된 영상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16:9로 판단된 경우 그 영상을 4:3형태로 변환시키는 4:3포맷 변환기와, 상기 4:3포맷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4:3영상을 화면 전체에 디스플레이하고, 블랙여백에 자막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4:3영상 데이터와 자막 데이터를 혼합하는 제1혼합기와, 와이드 티브이 화면을 둘로 나누어 한쪽에는 상기 4:3 포맷 변환기를 통해 변환된 4:3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나머지 한쪽에는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4:3영상과 자막을 혼합하는 제2혼합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2.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시 현재의 방송영상에 자막 영상을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1단계와, 다시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이 있으면 영상 소스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영상 소스가 4:3영상이면 와이드 티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화면의 블랙여백에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두 영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영상 소스가 16:9이면 4:3영상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제3단계를 수행하는 제4단계와, 다시 자막 디스플레이 키 입력이 있으면 영상소스를 판단하여 4:3영상이면 4:3영상과 자막 영상이 두 화면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두 영상을 혼합하여 출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990018027A 1999-05-19 1999-05-19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308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027A KR100308298B1 (ko) 1999-05-19 1999-05-19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027A KR100308298B1 (ko) 1999-05-19 1999-05-19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244A KR20000074244A (ko) 2000-12-15
KR100308298B1 true KR100308298B1 (ko) 2001-09-26

Family

ID=19586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027A KR100308298B1 (ko) 1999-05-19 1999-05-19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934A (ko) 2014-08-28 2016-03-09 박윤규 엘리베이터 내부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876B1 (ko) * 2002-01-11 2004-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 수신기의 여백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08672A (ko) * 2004-07-23 2006-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화면비에 따른 캡션위치 설정제어방법
KR20070081657A (ko) * 2006-02-13 2007-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표시기기의 캡션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736095B1 (ko) * 2006-02-24 200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동영상 스트림의 화면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788A (ja) * 1992-01-13 1993-07-30 Toshiba Corp 符号化情報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1788A (ja) * 1992-01-13 1993-07-30 Toshiba Corp 符号化情報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5934A (ko) 2014-08-28 2016-03-09 박윤규 엘리베이터 내부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244A (ko) 200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0817B2 (en) Decoder device and receiver using the same
US6490002B1 (en) Supplemental data path for supporting on-screen displays from external sources in a monitor/TV receiver using a secondary analog signal path
KR20020093623A (ko) 보조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을 갖는 비디오 신호 처리 시스템
WO1997035437A1 (en) Video decoder with closed caption data on video output
JP2000138877A (ja) デジタル放送送信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308298B1 (ko) 와이드 디지털 티브이의 자막 데이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06033677A (ja) 映像再生出力装置及び映像再生出力方法
US7173667B2 (en) Digital TV receiver for processing teletext information
JP4298076B2 (ja)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100290871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JP4697369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1148816A (ja) 合成画面放送装置および受信装置
KR10030987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입력 포맷 변환장치
KR100324741B1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영상획득/재생방법
JP2010074559A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JP4210997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366391B2 (ja) 受信装置、表示装置
KR100246456B1 (ko) 비디오신호 오버레이장치
KR200156496Y1 (ko) 프로그램정보를 표시하는 tv수상기
JP3600170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200625402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20034244A (ko) 티브이의 부화면 생성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