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836B1 - 광고등의메시지를단말장치의이용자에게보내는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고등의메시지를단말장치의이용자에게보내는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836B1
KR100304836B1 KR1019980705560A KR19980705560A KR100304836B1 KR 100304836 B1 KR100304836 B1 KR 100304836B1 KR 1019980705560 A KR1019980705560 A KR 1019980705560A KR 19980705560 A KR19980705560 A KR 19980705560A KR 100304836 B1 KR100304836 B1 KR 10030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user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5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1849A (ko
Inventor
유이치로 이타쿠라
유이치로 츠츠이
노부유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배종렬
주식회사 제일기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렬, 주식회사 제일기획 filed Critical 배종렬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7/000564 external-priority patent/WO1997032258A1/ja
Publication of KR19990081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1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7Arrangements and methods specific for the display of internet doc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에게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과,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을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이용자에게 송신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와, 메시지를 송신해야 할 이용자의 특성을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와,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이용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메시지를 검색하는 메시지검색수단과, 검색된 메시지를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는 수단과, 읽어 낸 메시지를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송신된 메시지를 단말에 표시한 경우에 이용자의 각각에 대응시킨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수단과, 이용자가 액티브한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하는 정지수단을 구비하였다.

Description

광고 등의 메시지를 단말장치의 이용자에게 보내는 통신시스템
그러나 종래의 계수시스템에 있어서는 광고를 단말장치에 표시시켰을 때에 이용자가 단말장치를 보고 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으므로 광고를 이용자에게 제공한 횟수를 정확하게 계수할 수 없다. 특히, 어느 정도 긴 기간에 걸쳐 동화상 등의 광고를 표시시킨 경우에는 도중부터 이용자가 광고를 보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가 증가함에 따라 이용자가 자신에게 알맞은 정보 또는 관심이 있는 상품 및 서비스의 광고를 발견하기가 곤란해져가고 있다. 또, 인터넷 등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도 다양화되고 있으므로 정보의 제공자가 그 정보에 알맞은 이용자에게 정보를 보내기도 곤란해지고 있다.
또, 통신서비스에는 많은 사람이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상품 또는 서비스의 대금을 지불하기 위하여 크레디트 카드의 번호 및 유효기한을 송신하면 이들 정보가 제 3 자에게 악용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인터넷상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많은 서버(호스트 컴퓨터)에 기록되므로 크레디트 카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위험하고 통신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를 방해하고 있었다. 크레디트 카드에 관한 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신하는 시스템도 개발되어 있으나, 암호는 해독될 우려가 있으므로 시큐리티의 높이에는 한계가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인터넷의 홈 페이지에 광고를 채우면, 미리 정해진 홈 페이지에 이용자가 액세스하지 않는 한 이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없다. 또, 이용자가 홈 페이지를 윈도우 내에서 스크롤하면 광고는 윈도우에서 꺼져없어지게 된다. 또한, 인터넷의 브라우저 윈도우상에 다른 윈도우가 열리거나 브라우저 윈도우가 화면 밖으로 이동된 경우에도 광고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또, 종래의 방법으로 홈 페이지에 대한 액세스횟수를 계수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홈 페이지에 대한 액세스횟수를 많은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하여 동일한 이용자가 반복하여 홈 페이지를 액세스한 경우에도 계수횟수는 증가한다. 이 때문에, 홈 페이지에 대한 이용자의 액세스횟수나 선전효과를 정확하게 계수할 수 없다. 또한, 어떠한 이용자가 그 홈 페이지 또는 광고를 액세스하고 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종래의 계수시스템을 사용한 경우에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하여 어떠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어떻게 마케팅해야하는가를 판단할 수 없다.
특히, 예를 들어 상품 「스키」에 관심이 있는 수요자는 상품「스키 웨어」 및 서비스「스키 투어」에 관심을 가지는 비율이 높다. 이와 같이, 복수 종류의 상품 또는 서비스 상호간에는 「동일한 수요자를 가지는 비율이 높다」는 관련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홈 페이지 액세스횟수의 계수시스템에 의해서는 상기한 「관련」을 가지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관심이 있는 수요자를 발견할 수 없어, 그와 같은 수요자에 대하여 적절하게 상품 또는 역무를 마케팅할 수 없다.
또한 종래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접속처의 호스트 컴퓨터를 가지는 인터넷 프로바이더에게 접속요금 또는 이용요금을 지불해야만 했었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장시간 통신서비스에 계속 액세스할 수 없고 통신서비스를 이용한 광고의 제공, 상품의 판매 및 대금의 지불을 보급시키기 위한 장해가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등의 통신망에서 이용자에게 알맞은 메시지를 검색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출원은 하기 5건의 일본출원에 관련된다. 문헌의 참조에 의한 편집이 인정되는 지정국에 대해서는 하기의 출원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편집하여 본 출원의 기재의 일부로 한다.
1. 일본국 특원 평8-9521 출원일 1996년 1월23일
2. 일본국 특원 평8-67278 출원일 1996년 2월28일
3. 일본국 특원 평8-139689 출원일 1996년 5월10일
4. 일본국 특원 평8-139690 출원일 1996년 5월10일
5. 일본국 특원 평8-163679 출원일 1996년 6월 5일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의 이용자는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호스트 컴퓨터(정보제공장치라고 부름)를 거쳐 인터넷 내의 다양한 호스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다. 인터넷에 접속된 단말에는 이용자의 조작에 의거하여 지정된 홈 페이지 등의 화상이 읽어 내어져 표시된다.
이러한 인터넷 등의 통신서비스에 있어서는 최근 많은 가상점포가 형성되어 있어, 이용자는 인터넷을 거친 통신판매에 의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할 수 있다.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의 상품을 인터넷을 거쳐 구입할 수도 있다. 이들 상품 또는 서비스의 대금은 크레디트 카드의 번호 및 유효기한을 인터넷상에서 송신함으로써 지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통신망상에서 판매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광고 및 상기 통신망은 독립하여 통상의 점포에 의해 판매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광고가 최근 자주 통신서비스상에서 제공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상의 홈 페이지의 검색엔진인 Yahoo(상표)의 홈 페이지 중에도 가로로 긴 광고가 채워져 있다.
또, 상기의 광고 및 지불시스템을 사용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고 있는 가상점포 등의 홈 페이지에 대한 이용자로부터의 액세스저장를 계수하는 계수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본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광고의 제공자는 어떤 홈 페이지가 높은 광고효과를 가지는 가를 상기 계수저장에 의하여 어느 정도 추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통신시스템 전체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단말(10)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체(14)의 CPU(40)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4는 디스플레이(12)의 표시를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및 호스트 컴퓨터(30)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메시지분배장치(39)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접속로그(38)의 설명도,
도 12는 메시지 액세스 로그(37)의 설명도,
도 13은 단말(10), 인터넷(32) 및 메시지분배장치(39)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단말(10)의 접속모듈(78)에 의한 접속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5는 접속관리장치(23)의 접속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6은 메시지관리장치(24)의 접속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7은 메시지분배장치(39)의 접속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8은 접속시퀀스 후의 단말(10)의 입력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19는 접속시퀀스 후의 단말(10)의 이벤트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0은 접속시퀀스 후의 메시지분배장치(39)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21은 이용자에게 할당된 파라미터를 이용한 상품의 구입시퀀스를 나타낸 시퀀스도,
도 20은 메시지분배장치(39)의 로그통계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2는 메시지에 대한 액세스의 로그 파일,
도 23은 메시지(R)에 액세스한 이용자를 나타내는 메시지이용자파일,
도 24는 메시지에 대한 액세스의 통계를 나타낸 통계파일,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단말(10)의 입력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단말(10)의 이벤트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 설명도,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 설명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된 갱신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30은 메시지분배장치의 갱신판단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 설명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된 갱신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34는 메시지분배장치(39)가 실행하는 갱신판단 및 갱신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 3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단말에 송신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메시지를 단말에 송신하여 표시시킨다. 또 메시지에 대한 이용자에 의한 액세스량에 따른 파라미터를 이용자마다 저장하고 메시지를 단말에 표시하면 이 단말의 이용자에게 대응시킨 파라미터를 증가시킨다. 단, 이용자가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는 액티브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용자가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는 액티브한 상태에만 상기한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므로 이용자에게 메시지가 인식된 비율을 보다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을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메시지를 송신해야 할 이용자의 특성과 각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다. 이용자가 메시지를 요구하면 이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특성을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고, 읽어 낸 이용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메시지식별정보를 검색한다. 또 메시지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메시지를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어 단말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용자의 특성에 합치하는 검색조건을 가지는 메시지가 검색되므로 이용자는 관심을 가지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광고를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광고메시지의 제공자는 그 상품 또는 서비스를 구입할 가능성이 높은 이용자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통신망을 거쳐 이용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수단을 가진다. 상기 파라미터의 크기에 따라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고, 이용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한 경우에 이 이용자에게 대응시켜진 파라미터의 값을 감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메시지에 대한 액세스량에 따른 파라미터의 크기에 따라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이 결정되므로, 예를 들어 파라미터의 값이 큰 이용자에게는 낮은 가격을 청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용자에 대하여 메시지를 적극적으로 액세스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소정 시간 이내에 단말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이용자가 액티브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이용자가 단말장치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메시지표시시에 메시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표시하고, 조작부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에 의해 이용자가 액티브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단말에 복수의 윈도우가 열려 있는 경우에도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는 윈도우를 이용자가 보고 있는 경우에만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메시지 내의 문장에 따른 입력을 이용자가 행한 것에 의해 이용자가 액티브하다고 판단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는 윈도우 내의 표시를 읽지 않고 적당한 조작을 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메시지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표시를 정지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한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메시지를 인식할 수 없는 상태인 경우에는 단말에 대하여 쓸데없는 메시지가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에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제 1 메시지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라도 파라미터를 증가시키지 않는 제 2 메시지를 가지며,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메시지의 디스플레이에 대한 표시를 정지함으로써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한다. 이 때문에, 파라미터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메시지를 계속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호스트 컴퓨터를 가지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다. 단말은 통신망 및 인터넷을 거쳐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제 1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고 통신망을 거쳐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제 2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며, 제 2 데이터 링크를 사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2개의 독립한 데이터 링크가 형성되므로, 이용자가 제 1 데이터 링크에 의해 임의의 홈 페이지를 액세스하고 있는 경우라도 단말은 이용자에게 송신해야 할 메시지를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요구하고 또한 메시지를 식별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단말이 인터넷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액세스를 요구하면 이 송신수단을 식별하는 식별신호를 단말에 송신한다. 단말은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수단과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 2 데이터 링크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단말은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송신수단을 확실하고 또한 빨리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한 메시지 내의 질문에 대하여 이용자가 적절히 응답한 것을 다시 조건으로 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킨다. 이 때문에, 이용자에 대하여 질문에 대답해야 한다는 취지를 촉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단말과는 독립으로 갱신되는 갱신정보를 저장하고 이 갱신정보를 통신망을 거쳐 단말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 횟수 송신한다. 종래의 인터넷 프로바이더는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서 이용자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수단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어 통신소프트웨어를 갱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와 같이 이용자에게 전달할 중요성이 강한 정보를 소정 횟수만큼 확실하게 단말에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갱신정보가 이미 이용자에게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아직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갱신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갱신정보를 1회씩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갱신정보가 이용자의 각각에 송신된 횟수를 계수하고 단말과의 통신이 접속되었을 때에 갱신정보가 소정 횟수 송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갱신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단말과의 통신이 개시되면 바로 갱신정보를 표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갱신정보의 송신부터의 경과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 새로운 갱신정보를 송신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마지막으로 갱신정보를 갱신한 때를 소정 시간으로 함으로써 모든 이용자에 대하여 갱신정보를 1번씩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형태의 통신시스템에서는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에 송신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와 단말에 송신된 메시지를 단말에 표시하는 수단과, 통신망에 접속되고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을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통신망에 접속되고 메시지를 송신해야 할 이용자의 특성과 각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다. 이용자가 메시지를 요구한 경우에 이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 이용자의 특성을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고, 읽어 낸 이용자의 특성을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메시지식별정보를 검색한다. 검색된 메시지를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어 단말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용자의 특성에 의거하여 검색된 메시지가 이용자에게 송신되므로 이용자는 자신에게 관련이 강한 상품 또는 서비스의 광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7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메시지에 대하여 이용자가 액세스를 행한 경우에 이 이용자의 이용자식별정보 및 액세스 내용을,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이 때문에, 각 메시지에 어떠한 액세스가 행하여졌는가를 이용자마다 판단할 수 있다. 종래의 방법으로서는 이와 같이 액세스의 횟수 또는 내용을 이용자마다 판단할 수는 없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록된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이 이용자의 특성을 검색하고, 검색한 이용자의 특성 및 액세스 내용을 메시지의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이 때문에, 메시지제공자는 각 메시지에 대하여 관심을 나타내는 이용자의 특성, 예를 들어 성별, 연령층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8 형태의 통신시스템은 메시지에 액세스한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이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한다. 또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는 대상으로 하는 메시지의 메시지식별정보에 다른 메시지의 메시지식별정보를 관련지어 저장하고, 메시지검색수단은 관련지어진 다른 메시지에 대하여 대응시켜진 이용자식별정보 중에 메시지를 요구한 이용자의 이용자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검색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하면 대상으로 하는 메시지에 미리 관련지어진 메시지를 액세스한 이용자에게만 대상으로 하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품 「스키 웨어」의 광고메시지를 상품 「스키」의 광고메시지에 관련지어 둠으로써 상품 「스키」의 광고메시지에 액세스한 이용자에게만 상품 「스키 웨어」의 광고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1.1 구성
1.1.1 시스템 전체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통신시스템 전체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의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10)이 모뎀(16, l8), 공중망(통신망)(17) 및 공중망 게이트웨이(19)를 거쳐 접속되어 있다. 정보제공장치(20)는 소위 인터넷의 프로바이더가 관리하고 있고 인터넷(32)을 거쳐 복수의 호스트 컴퓨터(30)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정보제공장치(20)는 전용회선(29)을 거쳐 지불시스템(35)에 접속되어 있다.
지불시스템(35)에 있어서 메시지분배장치(39)는, CAFIS(상표)(예신망, 크레디트 카드회사의 호스트 컴퓨터 및 그 호스트 컴퓨터의 이용자단말을 접속하는 통신망) 등의 클로즈드 네트워크(27)를 거쳐 크레디트 카드회사의 컴퓨터(28)와 접속되어 있다. 또 메시지분배장치(39)는 전용선을 거쳐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에 접속되어 있고 통신망상에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점으로부터 제공된, 광고 등의 상품에 관한 정보(메시지라고 부름)를 정보제공장치(20)를 거쳐 단말(10)에 송신한다. 메시지는 정지화상, 동화상, 음성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각 메시지에는 그 판매점의 월드 와이드 웹(WWW)상의 홈 페이지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정보제공장치(20)의 메시지관리장치(24)는 메시지분배장치(39)로부터 수취한 메시지를 해당 메시지의 메시지 URL 등의 식별번호에 대응시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 저장한다.
각 취급점의 홈 페이지(및 그 하위의 페이지)가 호스트 컴퓨터(30)에 저장되어 있다. 단말(10)은 정보제공장치(20)의 인터넷 게이트웨이(22)를 거쳐 인터넷(32)으로부터 홈 페이지 등의 정보를 수취할 수 있다. 이용자는 취급점의 홈 페이지 및 하위의 페이지에 액세스함으로써 상품을 주문한다. 또 단말(10)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메시지를 수취할 수 있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단말(10)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서 읽어 낸 메시지를 단말(10)에 송신한다. 이용자는 공중회선 게이트웨이(19)를 거쳐 인터넷 게이트웨이(22)에 접속하기 위한 ID(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메시지를 얻기 위한 ID(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가진다.
1.1.2 본체(14)의 구성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단말(10)의 본체(14)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CPU(40)는 ROM(42) 및 RAM(4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타이머(46)는 소정 시간을 카운트한다. 입력장치(48)를 거쳐 이용자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된다. 저장장치의 일례로서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는 화상 등의 데이터, 이용자에 관한 정보 및 CPU(40)가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캘린더 IC(51)는 배터리에 의해 백업되어 있고 현재의 일시를 CPU(40)에 제공한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52)는 플로피 디스크(56)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CPU(40)에 제공한다. CD-ROM 드라이브(54)는 CD-ROM(58)으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CPU(40)에 제공한다. 또한 본체(14)는 모뎀(16) 및 디스플레이(12)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1.1.3 단말(1O)의 소프트웨어구성
도 3은 도 2에 나타낸 CPU(40)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들 소프트웨어는 플로피 디스크(56) 또는 CD-ROM(58)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이용자에게 제공된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는 압축되어 있어도 되고 비압축이어도 된다. 소프트웨어는 기록매체로부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인스톨되고 RAM(44)에 읽어 내어져 CPU(40)에 의해 실행된다.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즉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인스톨되는 소프트웨어는 기능구성으로서 PPP 드라이버(70) 및 TCP/IP 드라이버(72)를 가지는 통신모듈(73)과 브라우저(74)와 메시지 뷰어(76)를 구비한다. PPP 드라이버(70)는 공중회선 게이트웨이(19)(도 1)와의 사이의 물리적으로 1개의 회선상에 데이터 링크를 생성한다. 브라우저(74)는 PPP 드라이버(70)가 생성한 데이터 링크 상에서 TCP/IP 드라이버(72)를 거쳐 인터넷 게이트웨이(22)와 통신하여 수신한 화상을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한다. 브라우저(74)로서는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상표) 또는 모자이크(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메시지 뷰어(76)는 PPP 드라이버(70)가 생성한 데이터 링크 상에서 TCP/IP 드라이버(72)를 거쳐 메시지관리장치(24)와 통신하여 수신한 화상을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한다. 메시지 뷰어(76)는 기능구성으로서 메시지관리장치(24)에 접속하는 접속모듈(80), 이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는 입력처리모듈(82) 및 내부 또는 통신회선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생긴 이벤트를 처리하는 이벤트처리모듈(84)을 가진다.
1.1.4 단말(1O)의 화면 구성
도 4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플레이(12)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디스플레이(12)에는 브라우저(74)의 윈도우(브라우저 윈도우)(60) 및 메시지 뷰어(76)의 윈도우(메시지 뷰어 윈도우)(62)가 열린다. 브라우저 윈도우(60)에는 인터넷(32)으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표시되고,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는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표시된다. 메시지 뷰어 윈도우(62)는 소정 기간, 예를 들어 1분마다 새로운 메시지를 표시한다.
메시지 뷰어 윈도우(62)는 홈 페이지 버튼(64), 자료청구버튼(66), 중단/재개버튼(68) 및 종료버튼(69)을 가진다. 홈 페이지 버튼(64)이 눌러지면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대응하는 홈 페이지가 브라우저 윈도우(60)에 표시된다. 자료청구버튼(66)이 눌러지면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되어 있는 메시지에 관한 다양한 상품의 자료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송신되어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된다. 메시지 또는 자료에는 표시된 상품을 발주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1.1.5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호스트 컴퓨터(30)의 구성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및 호스트 컴퓨터(30)의 하드웨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CPU(90)는 ROM(92) 및 RAM(94)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동작한다. 타이머(96)는 소정 시간을 카운트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8)는 통신회선과의 입출력을 처리한다. 입력장치(100)를 거쳐 이용자로부터 데이터가 입력된다. 데이터 베이스 인터페이스(102)는 하드 디스크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각종 데이터 베이스와의 접속을 행한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104)는 플로피 디스크(106)로부터 데이터 또는 프로그램을 읽어 내어 CPU(90)에 제공한다. 캘린더 IC는 일시를 CPU(90)에 제공한다. 디스플레이(108)는 통신상태 등을 오퍼레이터에게 표시한다.
1.1.6 메시지분배장치(39)의 구성
도 6에 도 1에 나타낸 메시지분배장치(39)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5의 구성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도 5와동일한 부호가 붙어 있으므로 이들의 설명은 생략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각 단말(10)의 메시지이용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 각 메시지의 송신조건을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 및 통신이력을 저장하는 접속로그(38)를 가진다. 또 통신 인터페이스(98) 대신에 클로즈드 네트워크(27)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와 정보제공장치(20)와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각각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1.1.7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는 각 메시지를 이용하는 이용자의 ID(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 하나의 정보제공장치(20)를 식별하는 프로바이더 ID, 이용자가 프로바이더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액세스하는 경우에 이용하는 이용자의 ID(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메시지의 표시시간 및 생년월일(312), 성별(314), 혼력(316), 직종(318) 및 주소(320) 등의 이용자에 관한 정보(이용자정보라고 부름)를 가진다.
도 8에 있어서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는 또한 이용자가 사용하는 크레디트 카드의 번호 및 유효기한, 성명 및 최종통신일시를 가진다. 각 이용자에게는 메시지 뷰어 윈도우(62) 내에의 메시지의 표시량에 따른 파라미터가 부여된다.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34)에는, 전전월, 전월 및 금월의 파라미터(332, 334, 336)가 저장된다.
이용자는 예를 들어 메시지 뷰어(76)를 맨 처음에 사용할 때 또는 메시지 뷰어(76)를 단말(10)에 인스톨할 때에 이용자정보를 단말(10)에 입력한다. 단말(10)은 입력된 이용자정보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저장함과 동시에 메시지관리장치(24)에 송신한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이용자로부터 수신한 이용자정보를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이용자정보를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 저장한다. 이용자정보로서는 그 외에도 연령, 직종, 수입, 취미 등을 저장하여도 좋다.
1.1.8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
도 9 및 도 10은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는 각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 URL과 그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한 조건을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다. 메시지의 송신조건으로서는 각 이용자에 대한 표시빈도의 제한, 전 이용자에 대한 표시빈도의 제한, 메시지를 표시해야 할 시각 및 메시지를 표시해야 할 이용자의 연령범위, 성별, 혼력, 직종, 주소 및 그 메시지와 관련이 강한 다른 메시지의 ID 등을 저장한다.
도 10에 있어서 메시지가 이용자의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될 때마다 그 메시지의 제공자에게 요금이 부과된다. 그래서 각 메시지에 대한 부과금의 한도액(210)이 각 정보제공장치(20)마다 설치되어 있다. 한도액(210)은 그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게 메시지의 제공에 대한 부과금의 한도액을 저장한다. 또 총한도액(220)은 전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게 메시지의 제공에 대한 부과금의 합계치의 한도액을 저장한다.
한도액(210)은 그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게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 메시지에 부과되는 메시지단가(212), 각 메시지 내의 버튼이 눌러진 경우에 각 메시지에 부과되는 버튼단가(214), 소정 기간을 정하는 기간종별(216), 기간종별(216)로 규정되는 각 기간에 있어서의 부과금의 한도액(기간한도액 217) 및 그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자에의 표시에 대한 부과금 전체의 한도액(전 한도액 218)을 가진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단말(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로부터 이용자정보를 읽어 내어 이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에서 메시지를 검색한다. 그리고 검색한 메시지의 URL을 단말(10)에 송신한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알맞은 메시지(예를 들어, 이용자에게 관련되는 상품의 광고)의 메시지 URL을 각 단말(1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11에 접속로그(38)의 구성예를 나타낸다. 접속로그에는 각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마다 프로바이더 ID, 로그 온 또는 요금부과정지 등의 이벤트 및 이벤트가 발생한 일시가 기록된다. 요금부과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은 메시지가 단말(10)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메시지의 대가를 메시지제공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의 접속에 대한 프로바이더의 비용은 메시지분배장치(39)의 소유자로부터 프로바이더에게 지불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바이더 이용자는 메시지를 보는 것에 반해 무료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예에서는 프로바이더 이용자 XXX의 요금부과가 Login 후에 정지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접속로그(38)에 의해 요금부과를 정지하고 있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그 시간에 따른 비용을 프로바이더에게 지불할 수 있다.
도 12는 메시지 액세스 로그(37)의 구성을 나타낸다. 메시지 액세스 로그(37)에는 각 메시지에 대한 이용자의 액세스의 로그를 기록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메시지를 표시한 이용자의 메시지이용자 ID, 표시된 메시지의 ID, 메시지가 액세스된 날짜 및 시각 및 액세스의 타입을 저장한다. 액세스의 내용이 메시지의 표시일 때는 액세스의 타입으로서 “1"이, 액세스 내용이 그 메시지로부터 링크된 홈 페이지의 표시이면 액세스 타입으로서 “2"가, 그리고 액세스 내용이 자료청구이면 액세스 타입으로서 “3"이 저장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메시지 액세스 로그(37)에 의거하여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한 메시지의 대가를 메시지제공자에게 청구할 수 있다.
1.2 접속동작
1.2.1 접속시퀀스
도 13을 이용하여 단말(10),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 메시지분배장치(39), 인터넷 게이트웨이(22) 및 인터넷(32)의 접속시퀀스를 설명한다. 단말(10)의 통신모듈(73)이 PPP 접속요구를 행하면(S102) 접속관리장치(23)는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프로바이더 이용자 패스워드가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문의한다(S104).
ID 및 패스워드가 등록되어 있으면 접속관리장치(23)는 단말(10)에 PPP 접속허가를 송신한다(S106). 또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통지한다(S108). PPP 접속이 허가되면 단말(10)의 브라우저(74)는 인터넷 게이트웨이(22)에 TCP/IP 접속하고(S110) 인터넷 게이트웨이(22)를 거쳐 인터넷(32)과 통신한다(S112). 또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80)은 메시지관리장치(24)와 TCP/IP 접속한다(S114). 그렇게 하면 메시지관리장치(24)는 단말(10)의 메시지 뷰어(76)에 인증정보를 요구한다(S118).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은 인증정보요구를 수취하면 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인증정보로서 메시지관리장치(24)에 송신한다(S120). 메시지관리장치(24)는 접속관리장치로부터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와 메시지 뷰어(7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와 정보제공장치(20)의 프로바이더 ID를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한다(S121). 그렇게 하면 메시지분배장치(39)는 수신한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가 메시지이용자 DB(34)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22). 이들이 등록되어 있으면 메시지 뷰어(76)에 접속허가를 송신한다(S124).
브라우저(74)와 인터넷(32) 및 메시지 뷰어(76)와 메시지관리장치(24) 사이에 각각 데이터 링크가 설정되었으므로 양자는 독립하여 통신할 수 있다. 브라우저(74)와 인터넷(32)의 통신방법은 주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메시지 뷰어(76)는 타이머(46)를 이용하여 메시지분배장치(39)에 주기적으로 메시지 URL을 요구한다(S134). 또 메시지분배장치(39)가 검색한 메시지 URL을 수취하면 그 메시지 URL의 메시지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요구한다(S136).
메시지관리장치(24)는 수취한 메시지 URL의 메시지를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로부터 검색하여 메시지 뷰어(76)로 송신한다(S136). 이 메시지로서는 예를 들어 상품의 광고를 송신할 수 있다. 이용자는 광고된 상품을 주문할 수 있다. 인터넷(32)과 브라우저(74) 사이의 통신은 싼 가격이나 인터넷 내에서는 많은 컴퓨터를 거쳐 통신되므로 신뢰성이 낮다. 이에 대하여 메시지관리장치(24)와 메시지분배장치(39)의 통신에는 전용회선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신뢰성이 높다.
1.2.2 단말(10)의 접속동작
도 14는 도 13에 나타낸 접속시퀀스에 있어서의 단말(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처리는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80)이 행한다. 접속모듈(80)은 먼저 통신모듈(73)을 기동한다(S210). 그렇게 하면 통신모듈(73)이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프로바이더 이용자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공중회선 게이트웨이 (19)를 거쳐 접속관리장치(23)와 PPP 접속한다. PPP 접속을 확인하면(S212) 접속모듈(80)은 브라우저(74)를 기동한다(S214). 그렇게 하면 브라우저(74)는 인터넷 게이트웨이(22)와 TCP/IP 접속한다. 이어서 접속모듈(80)은 메시지 뷰어(76) 독자의 TCP/IP 포트번호를 사용하여 메시지관리장치(24)와 TCP/IP 접속한다(S216).
브라우저(74)와 인터넷 게이트웨이(22) 및 메시지 뷰어(76)와 메시지관리장치(24)는 각각 다른 TCP/IP 포트번호를 사용한 논리적으로 독립의 호에 의해 서로 독립하여 통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시지 뷰어(76)는 기존의 브라우저의 기능을 손상하지 않고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 후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인증이 요구되면(S218) 인증정보로서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를 송신한다(S22O).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접속이 허가되면(S222) 메시지 뷰어(76)는 간이정보 리퀘스트를 송신한다(S224). 간이정보 리퀘스트는 단말(10)에 대하여 빨리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요구하는 신호이다. 각 메시지는 메시지를 식별하는 URL 등의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 저장되어 있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간이정보 리퀘스트를 수신하면 적당한 메시지의 URL을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서 선택하여 단말(10)에 송신한다. 단말(10)은 URL을 수신하여(S226) 그 URL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을 다시 메시지관리장치(24)에 요구한다(S228). 수신한 화상은 단말(10)의 RAM(44)에 설치한 화상 버퍼에 저장된다.
간이정보 리퀘스트는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되지 않고 메시지관리장치(24)에만 송신된다. 즉, 간이정보 리퀘스트에 대해서는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 저장한 이용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검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맨 처음의 메시지가 표시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하고,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아무것도 표시되지 않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단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간이정보 리퀘스트를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하고 메시지분배장치(39)가 적당한 메시지를 선택하여도 된다. 또 메시지분배장치(39)는 간이데이터 리퀘스트가 있을 때에 이용자 데이터의 일부에 의거하여 메시지를 검색하여도 된다. 메시지의 검색조건을 간이하게 함으로써 빨리 메시지를 검색할 수 있다. 이어서 접속모듈(78)은 타이머(46)를 기동한다(S230). 타이머(46)는 새로운 메시지를 표시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그 후 접속모듈은 입력처리모듈(82)을 기동하여 이용자 및 공중망(17)으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한다.
1.2.3 접속관리장치(23)의 접속동작
도 15는 도 13에 나타낸 접속시퀀스에 있어서의 접속관리장치(23)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공중회선 게이트웨이(19)를 거쳐 단말(10)로부터 PPP 접속이 요구되면(S310) 접속관리장치(23)는 단말(10)에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를 요구하여 그것들을 수신한다(S312). 이어서,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문의한다(S314).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는 각 프로바이더 이용자의 ID(프로바이더 이용자 ID), 패스워드(프로바이더 이용자 패스워드)가 기억되어 있다.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프로바이더 이용자 패스워드가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접속관리장치(23)는 회선을 절단하여 (S318) 처리를 종료한다(S330). 프로바이더 이용자 ID 및 패스워드가 프로바이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25)에 등록되어 있으면 단말(10)에 PPP 접속을 허가하여(S322) 메시지관리장치(24)에 접속통지를 송출하고(S324) 처리를 종료한다(S330).
1.2.4 메시지관리장치(24)의 접속동작
도 16은 도 13에 나타낸 접속시퀀스에 있어서의 메시지관리장치(24)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접속관리장치(23)로부터 접속의 통지를 받으면(S810) 수신한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RAM(94)에 기록한다(S812). 이어서 타이머(96)를 시작하고(S814)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TCP/IP 접속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816). TCP/IP 접속되지 않으면 그대로 대기한다(S816, S818). 대기중에 타이머(96)가 타임 아웃하면(S8l8) 처리를 종료한다(S820).
TCP/IP 접속되면(S816) 메시지 뷰어(76)에 인증정보를 요구한다(S822). 또 타이머(96)를 리세트하여 다시 카운트를 개시한다(S824). 인증정보를 수신하기 전에 타이머(96)가 타임 아웃하면(S828) 처리를 종료한다(S830). 또 인증정보를 수신하면(S826) RAM(94)으로부터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읽어 내고(S832) 해당 프로바이더를 식별시키는 프로바이더 ID, 메시지 뷰어(76)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와 함께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한다(S834). 그 후, 메시지 뷰어(76) 및 메시지분배장치(39) 사이에서 통신한다(S836).
1.2.5 메시지분배장치(39)의 접속동작
도 17은 도 13에 나타낸 접속시퀀스에 있어서의 메시지분배장치(39)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를 수신하면(S410) 그것들이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 문의한다(S412).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신규이용자로서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메시지 뷰어(76)에 문의하고(S414) 등록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정보를 메시지 뷰어(76)로부터 수신하여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 저장한다(S416). 또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를 이용자에게 부여한다(S418).
신규이용자로서 등록하지 않는 경우에는(S4l4)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 등의 인증정보를 다시 메시지 뷰어(76)에 요구하고(S420) 인증정보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여(S422) S412로 되돌아간다. 메시지이용자 ID 및 메시지이용자 패스워드의 인증을 하게 되면(S412) 접속허가를 통지한다(S424). 이어서,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수신한 프로바이더 ID를 읽어 낸다(S428). 메시지이용자 ID 및 프로바이더 ID는 독립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일한 메시지이용자가 복수의 프로바이더와 계약하고 있는 경우에도 프로바이더 ID에 의해 현재 이용자가 사용중인 프로바이더의 정보제공장치(20)를 식별할 수 있다. 접속관리장치(23)는 프로바이더 ID에서 나타나는 정보제공장치(20)에 따른 금액을 메시지에 요금부과한다.
1.3 접속후의 동작
1.3.1 접속후의 단말(1O)의 동작
도 18에 접속시퀀스후의 단말(10)의 입력처리를 나타낸다. 본 처리는 메시지 뷰어(76)의 입력처리모듈(82)이 행한다. 먼저 메시지 뷰어 윈도우(62) 또는 메시지중의 자료청구버튼이 눌러져 있으면(S512) 타이머(46)를 클리어한다(S514). 이에 의해 이용자의 조작중에 메시지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이용자의 주소를 메시지 뷰어 윈도우(62)에 표시하여 주소의 확인을 재촉한다(S516). 확인이 취해지면(S518) 이용자의 주소로 자료를 우송하는 것을 메시지분배장치(39)에 요구한다(S520).
S512에서 자료청구버튼이 눌러져 있지 않으면 홈 페이지키가 눌러져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22). 홈 페이지키가 눌러져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46)를 클리어하고(S524) 홈 페이지의 URL을 브라우저(74)에게 건네준다(S526). 즉 홈 페이지키에 대응시켜 메시지 내에 저장된 URL을 브라우저(74)에게 건네준다. 또 홈 페이지키가 눌러진 것을 메시지분배장치(39)에 통지한다.
S522에서 홈 페이지키가 눌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가 액티브한지의 여부를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문의한다(S532). 여기에서 오퍼레이팅 시스템은 소정 시간 이상 이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없으면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다고 판단한다. 소정 시간 이내에 이용자로부터의 조작이 있으면 이용자가 액티브하다고 판단한다. 단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소정 시간 이내에 메시지에 대하여 스크롤 등의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이용자가 액티브하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또, 소정 시간 내에 메시지 내의 표시에 대한 응답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에 의해 사용자가 액티브하다고 판단하여도 좋다.
RAM(44)에는 전회의 판단시에 이용자가 액티브하였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액티브 플래그가 설치되어 있다. 이용자가 액티브하고(S532) 액티브 플래그가 NO (0)인 경우에는(S534) 이용자의 상태가 비액티브에서 액티브로 변화하고 있다. 그래서 메시지분배장치(39)에 대하여 복구이벤트를 통지하여(S536) 액티브 플래그를 YES로 변화시킨다(S538).
이용자가 액티브하고(S532) 액티브 플래그가 YES(1)인 경우에는(S534) 이용자의 상태가 액티브인 채로 변화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복구이벤트(S536)는 통지하지 않는다. S532에서 이용자가 액티브하면 액티브 플래그의 상태에 관계없이 단말이벤트처리를 행한다(S540).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S532) 이용자의 상태가 변화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S542) 액티브인 상태에서 변화하고 있는 경우에는 메시지분배장치(39)에 중지이벤트를 통지하여(S544) 액티브 플래그를 NO로 변화시킨다(S546). 이용자의 상태가 변화하고 있지 않으면 액티브 플래그는 변화시키지 않는다. 또,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S532)에는 단말이벤트처리(S540)를 행하지 않는다.
1.3.2 단말(1O)의 이벤트처리
도 19에 단말(10)의 이벤트 처리(S540)의 상세를 나타낸다. 본 처리는 메시지 뷰어(76)의 이벤트처리모듈(84)이 행한다. 먼저 큐에 소정수 이상의 빈곳이 있으면(S554) URL을 요구하여 빈 URL의 수를 감한다(S556). URL을 수신하면(S558) URL을 큐에 쌓는다(S560). 메시지 버퍼에 빈곳이 있으면(S562) 큐(84)의 선두에 쌓여진 URL을 이용하여 메시지관리장치(24)에 메시지를 요구하여 빈 메시지 버퍼의 수를 1 감한다(S564). 메시지를 수신하면(S566) 수신한 메시지를 메시지 버퍼에 축적한다(S588).
타이머(46)가 카운트업하면(S570) 메시지 버퍼 중 가장 빨리 수신한 메시지를 표시한다(S574). 이어서, 표시한 메시지의 URL 및 메시지를 표시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메시지분배장치(39)에 통지하고(S578) 타이머(46)를 리세트한다(S580). 그 후 도 18의 처리로 되돌아가 입력을 처리한다(S590).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이벤트처리(S540)를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분배장치(39)에 대하여 URL을 리퀘스트하지 않는다. 또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관리장치(24)에 메시지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한 URL 및 메시지를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는다. 또, 이미 메시지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에도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분배장치(39)에 대하여 메시지표시의 보고가 전달되지 않는다.
1.3.3 접속후의 메시지분배장치(39)의 동작
도 20은 접속시퀀스후의 메시지분배장치(39)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단말(10)로부터 URL 요구를 수신하면(S710) 메시지분배장치(39)는 그 URL을 송신한 이용자의 프로바이더 ID 및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접속로그(38)로부터 읽어 낸다(S712). 이어서 프로바이더 ID 및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이용하여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서 이용자를 검색하여 그 이용자의 이용자정보를 읽어 낸다(S714).
이어서, 이용자정보를 이용하여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에서 메시지 URL을 검색한다(S716). 이 때문에 각 이용자에 대하여 이용자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이용자의 특성에 알맞은 메시지가 검색된다.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의「관련메시지」 필드에 다른 메시지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시, 그 메시지에 대응시켜진 홈 페이지를 읽어 낸 이용자 또는 그 메시지에 대한 자료를 청구한 이용자의 프로바이더 이용자 ID를 후술하는 메시지이용자 파일에서 읽어 낸다. 그리고, S712에서 읽어 낸 프로바이더 이용자 ID가 메시지이용자 파일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메시지를 검색한다. 이 때문에, 관련지어진 메시지에 응답한 사용자에게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검색된 메시지 중에서 다시, 그 정보제공장치(20)에 대한 현재의 기간중의 부과금액이 기간한도액(217)을 넘지 않으며, 그 정보제공장치(20)에 대한 부과금액의 합계가 전 한도액(218)을 넘지 않고, 또한 전 정보제공장치(20)를 거친 부과금액의 합계치가 총한도액(220)을 넘지 않는 메시지를 검색한다(S718).
메시지 URL의 검색이 히트하면(S720) 그 메시지의 URL을 단말(10)에 송신한다(S724). 검색이 히트하지 않으면(S720) 파라미터가 0인 메시지 URL을 메시지 데이터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로부터 선택하고(S722) 선택한 메시지 URL을 단말 (10)에 송신한다(S724). 메시지분배장치(39)는 단말(10)로부터 메시지표시보고를 수취하면(S730) 메시지표시보고 중의 메시지 URL을 이용하여 그 메시지를 검색하여 메시지단가(212)를 그 메시지에 요금부과한다(S724). 또한 그 메시지의 파라미터수를 읽어 내고 이용자의 금월의 파라미터(336)에 가산한다(S736).
메시지 뷰어(76)로부터 자료가 청구된 경우에는(S740) 메시지의 제공자에 대하여 자료를 송부해야 할 것을 통지한다(S742). 또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에서 그 메시지의 버튼단가(214)를 읽어 내어 그 메시지에 요금을 부과한다(S744).
메시지 뷰어(76)로부터 홈 페이지가 요구된 경우에는(S750)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에서 그 메시지의 버튼단가(214)를 읽어 내어 그 메시지에 요금을 부과한다(S752). 즉, 이용자가 메시지 내의 버튼을 조작하여 자료를 청구하거나 또는 홈 페이지를 여는 것에 의해 메시지의 제공자에게 요금이 부과된다. 또한, 자료청구버튼 및 홈 페이지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단가를 각각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에 설치하여 눌러진 버튼의 종류에 따른 금액을 메시지에 요금부과하여도 좋다.
1.4 파라미터(332, 334, 336)의 이용
도 21에 이용자에게 부여된 파라미터(332, 334, 336)의 이용방법을 나타낸다. 이용자는 브라우저(74)를 이용하여 인터넷(32)상의 호스트 컴퓨터(30)에 상품을 주문한다(S150). 상품으로서는 인터넷을 거쳐 온라인으로 납품되는 화상데이터, 문서데이터, 음성데이터 외, 오프라인으로 우송되는 것이 해당한다. 또, 잡지 등의 정기구독권을 상품으로서 구입하여도 좋다. 호스트 컴퓨터(30)는 이용자로부터의 주문요구(S150)에 대한 주문응답을 회신한다(S152).
주문응답(S152)은 핼퍼 어플리케이션으로서 메시지 뷰어(76)를 요구하고 메시지 뷰어(76)에 주문응답을 전달한다(S154). 메시지 뷰어(76)는 메시지관리장치(24)에 주문응답을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메시지관리장치(24)는 메시지분배장치(39)에 주문한 상품의 지불을 요구한다(S158). 메시지분배장치(39)는 이용자 ID를 이용하여 그 이용자의 나머지 파라미터를 조사한다(S160).
상품의 대금을 지불하기 위하여 충분한 나머지 파라미터가 있으면 메시지분배장치(39)는 지불응답을 메시지관리장치(24)에 송신한다(Sl62). 그렇게 하면 메시지관리장치(24)는 주문데이터를 호스트 컴퓨터(30)에 통지한다(S164). 호스트 컴퓨터(30)는 주문데이터를 RAM(94)에 저장하여 상품의 송신 또는 우송처리를 행한다(S166). 이어서 호스트 컴퓨터(30)는 구입통지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송신한다(S168).
메시지관리장치(24)는 S156에서 수신한 주문응답 중의 금액 및 주문상품의 데이터와 S168에서 수신한 금액 및 주문상품의 데이터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9). 동일하면 상품이 적절하게 주문되었다고 판단하여 구입통지를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한다(S170). 그렇게 하면 메시지분배장치(39)는 전전월의 파라미터, 전월의 파라미터 및 금월의 파라미터의 차례로 상품의 대금을 지불하기 위하여 필요한 파라미터수를 감한다(S170). 또, 지불을 해야 할 것을 로그에 기록한다(S172).
S169에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메시지관리장치(24)는 주문응답(S156)에 잘못이 있다고 판단하여 S168에서 수신한 금액 및 주문상품의 메시지 뷰어(76)에 송신한다. 메시지 뷰어(76)로부터 금액 및 주문상품의 확인을 수신하면 구입통지를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한다(S170). 메시지 뷰어(76)로부터 확인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주문을 취소해야 하는 것을 호스트 컴퓨터(30)에 통지한다.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상품의 구입통지를 수신하면(S170) 메시지관리장치(24)는 주문된 상품의 내용 및 금액을 이용자로그에 기록하여 지불처리를 행한다(S172). 이어서, 로그에의 기록이 종료한 것을 메시지관리장치(24)에 통지한다(S174). 메시지관리장치(24)는 상품의 구입이 로그에 기록된 것을 메시지 뷰어(76)에 통지한다(S176). 그렇게 하면 메시지 뷰어(76)는 RAM(44)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구입된 상품을 기록한다.
그 후 이용자로부터 이미 구입한 상품의 문의를 받으면 메시지 뷰어(76)는 이미 구입한 상품의 리스트를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로부터 읽어 내어 디스플레이(12)에 표시한다. 표시한 리스트 중의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상품이 지정되면 그 상품이 이미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품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저장되어 있으면 그 상품을 읽어 내어 출력한다. 상품이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브라우저(74)를 거쳐 호스트 컴퓨터(30)로부터 상품을 다운 로드하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저장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12) 등에 데이터를 출력한다.
호스트 컴퓨터(30)는 S166에서 구입이 통지된 상품의 다운 로드가 요구되면 상품을 송신한다. 이에 의해 화상, 음성, 문장 등의 데이터가 메시지 뷰어(76)에 송신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용자가 충분한 파라미터(332, 334, 336)를 가지는 경우에는 호스트 컴퓨터(30)상의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메시지를 메시지 뷰어(76)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메시지중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축적되므로 메시지를 메시지 뷰어(76)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메시지 중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용자는 호스트 컴퓨터(30)상의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이용자의 파라미터가 상품을 구입하기 위하여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메시지분배장치(39)는 부족분을 크레디트 카드에 의해 대체한다는 취지를 메시지 뷰어(76)에게 통지한다. 메시지 뷰어(76)로부터 승인이 얻어지면 메시지분배장치(39)는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에서 그 이용자의 크레디트 카드번호 및 유효기한을 읽어 낸다. 또 그들 데이터를 클로즈드 네트워크(27)를 거쳐 크레디트 카드회사(28)에 통지함으로써 부족분의 요금을 크레디트 카드회사(28)에서 대체한다. 크레디트 카드에 의해 요금을 대체하는 경우에도 크레디트 카드의 번호 및 유효기한의 데이터가 클로즈드 네트워크 내에서만 송신되므로,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비하여 데이터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장치(20)는 이용자에 의한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요금을 메시지분배장치(39)에 요구하여도 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각 이용자의 파라미터수로부터 정보제공장치(20)의 이용요금을 감한다. 파라미터수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클로즈드 네트워크(27)를 거쳐 부족분을 크레디트 카드회사(28)에서 대체한다. 파라미터는 이용자가 메시지 뷰어(76)에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또는 메시지 내의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축적되므로, 무료로 정보제공장치(20)에 액세스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메시지 뷰어(76)를 표시시켜 둠으로써 무료로 인터넷(32)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는 경우에는 메시지가 메시지 뷰어(76)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실제로는 이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고 있지 않는데도 메시지제공자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5 메시지 액세스 로그(37)의 처리
도 22는 메시지분배장치(39)가 행하는 메시지 액세스 로그(37)의 통계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예를 들어 1달에 1회 등, 주기적으로 본 플로우 차트의 동작을 실행한다. 먼저 하나의 메시지를 선택하여(S610) 메시지 액세스 로그(37)의 맨처음의 로그를 선택한다(S620). S620에서 선택한 로그의 메시지 ID가 S610에서 선택한 메시지의 메시지 ID와 다르면(S630) 그 메시지에 대한 액세스의 로그는 아니므로 S620으로 되돌아가 다음의 로그를 선택한다.
도 23은 메시지에 액세스한 이용자를 나타내는 메시지이용자 파일이다. 하나의 메시지에 대하여 하나의 메시지이용자 파일이 작성되고, 그 메시지를 이용한 이용자의 메시지이용자 ID에 대응시켜 각 이용자가 그 메시지를 표시한 횟수, 그 메시지로부터 링크되는 홈 페이지를 표시한 횟수 및 그 메시지에 대하여 자료를 청구한 횟수가 저장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S620에서 선택한 로그의 메시지 ID가 S610에서 선택한 메시지의 메시지 ID와 동일하면(S630) S620에서 선택한 로그에 기재된 메시지이용자 ID가 메시지이용자 파일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40).
그 메시지이용자 ID가 아직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그 메시지이용자의 레코드를 추가하고 메시지화상의 표시횟수, 홈 페이지표시횟수 및 자료청구횟수를 0으로 설정한다(S650). 또한 로그의 타입이 메시지표시, 홈 페이지 표시 및 자료청구 중 어떤 것인가에 따라 메시지이용자파일 중의 각각의 필드의 값을 인크리멘트한다(S660). 모든 로그를 조사할 때까지 S620부터 S660을 반복하면(S670) 얻어진 메시지이용자파일을 파일출력한다(S675).
도 24는 이용자에 의한 각 메시지에의 액세스의 통계를 나타내는 통계파일이다. 본 파일도 각 메시지마다 작성되고,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의 이용자특성으로 나타나는 각 항목의 분류, 예를 들어 남성에 대하여, 그 메시지가 표시된 횟수, 그 메시지로부터 링크되는 홈 페이지를 표시한 횟수, 그 메시지를 표시한 횟수, 홈 페이지를 표시한 이용자의 인원수 및 자료를 청구한 이용자의 인원수를 저장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메시지이용자 파일을 파일출력하면(S675) 메시지 표시횟수 필드 및 홈 페이지 표시횟수의 값을 합계하여 표시횟수의 합계치 및 홈 페이지 점프의 합계횟수를 각각 계산한다. 또, 이용자의 수를 계수하여 표시인수로 하고, 홈 페이지 표시횟수가 O인 이용자의 수를 표시인수에서 빼고 홈 페이지 표시인수를 구한다. 또한, 자료청구횟수가 O이 아닌 이용자의 수를 계수하여 자료청구인수로 한다. 마찬가지로 메시지분배장치(39)는 메시지이용자 ID를 이용하여 각 이용자의 특성을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고, 각 이용자특성의 분류마다 상기 표시횟수, 홈 페이지 표시횟수, 표시인수, 홈 페이지 표시인수 및 자료청구인수를 계수하여 통계파일의 테이블을 작성하여(S680) 파일에 출력한다(S690). 모든 메시지에 관하여 S610에서 S695를 행하고(S695) 처리를 종료한다. 따라서, 각 메시지에 대한 메시지이용자의 응답상태를 이용자의 특성마다 파악할 수 있다.
2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의 구성은 실시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 동작도 실시형태 1과 근사하다. 그래서 실시형태 1과 다른 동작만을 설명한다.
2.1 접속후의 단말(1O)의 동작
도 25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말(10)의 입력처리를 나타낸다. S512부터 S528까지의 처리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자가 액티브한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단말의 이벤트 처리를 행하는 점이 실시형태 1과 다르다(S522, S540).
2.2 단말(1O)의 이벤트처리
도 26에 단말(10)의 이벤트처리(S540)의 상세를 나타낸다. S544부터 S570까지의 처리, S578 및 S580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타이머(46)가 카운트업한 경우에(S570) 이용자가 액티브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S574)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으면 파라미터가 0인 메시지를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표시한다(S576). 이용자가 액티브한 경우에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직전의 메시지부터 차례로 표시한다(S574).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는 경우에도 메시지가 표시되나, 표시되는 메시지에는 파라미터가 없으므로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 파라미터가 추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가 화면을 보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메시지의 표시에 의해 메시지제공자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구성은 실시형태 1의 시스템구성과 동일하다. 또, 시스템 전체의 접속동작도 실시형태 1과 근사하다. 단, 단말(10), 접속관리장치(23), 메시지관리장치(24)간의 접속시퀀스가 실시형태 1과는 다르다. 그래서, 이하, 그 접속시퀀스의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도 27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다. S102부터 S112까지의 처리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형태 1에서는 접속관리장치(23)가 PPP 접속을 허가한 경우,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80)이 소정 방법에 의해 TCP/IP 접속해야 할 메시지관리장치(24)를 검색한다. 예를 들어 접속의 가능성이 있는 정보제공장치(20) 및 그 메시지관리장치(24)에 대응하는 IP 어드레스, 포트번호를 차례로 검색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가 인터넷(32)으로의 액세스를 접속관리장치(23)에 대하여 요구하면 접속관리장치(23)는 단말(10)과의 사이에 데이터 링크가 형성되었다는 취지를 메시지관리장치(24)에 통지한다. 접속관리장치(23)로부터의 프로바이더 이용자 ID의 통지(S108)에 대응하여 메시지관리장치(24)가 자신의 IP 어드레스 및 포트번호를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80)에 통지한다(S113). 이들 IP 어드레스 및 포트번호에 의해 접속모듈(80)은 접속해야 할 정보제공장치(20) 및 그 메시지관리장치(24)를 바로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IP 어드레스 및 포트번호를 이용하여 접속모듈(80)은 메시지관리장치(24)에 TCP/IP 접속한다(S114). 또한, IP 어드레스는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 중에서 접속해야 할 정보제공장치(20)를 특정한다. 포트번호는 정보제공장치(20) 내의 복수의 통신대상 중에서 하나의 메시지관리장치(24)를 특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IP 어드레스 및 포트번호가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부여되므로, 접속모듈(80)은 신속하고 또한 정확하게 소망하는 메시지관리장치(24)에 접속할 수 있다. 또, 메시지 뷰어(76)는 브라우저(74)로부터 독립하여 메시지관리장치(24)에 대해 접속 및 그 후의 행동을 행할 수 있으므로 브라우저(74)로서는 기존의 범용 브라우저[넷스케이프(상표), 모자이크 (상표) 등]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4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구성도 실시형태 1의 시스템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접속시퀀스에서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하게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IP 어드레스, 포트번호를 접속모듈(80)에 통지한다. 또한, 갱신정보를 메시지분배장치(34)로부터 메시지 뷰어(76)에 통지하고 그 갱신정보를 표시하도록 한 점이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이하, 갱신정보의 표시에 관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8에 본 실시형태의 접속시퀀스를 나타낸다. S1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IP 어드레스 및 포트번호가 접속모듈(80)에 통지된다. 그 동작은 S124까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속허가(S124)를 송신한 후에 갱신정보를 통지할 것인지의 여부를 메시지분배장치(34)가 판단한다(S126). 통지해야 한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갱신정보를 메시지 뷰어(76)에 통지한다(S128).
도 29에 갱신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갱신정보로서는 신규 서비스의 제공의 개시, 예를 들어 구입가능한 상품의 증가나 메시지 뷰어(76)와 메시지관리장치(24)간의 통신을 통하여 유용한 소프트웨어를 입수할 수 있는 등의 뉴스가 해당한다. 이들 갱신정보는 메시지제공자, 메시지분배장치의 제공자 또는 인터넷의 프로바이더에 의해 부정기로 갱신되어 메시지분배장치(39)에 저장된다. 메시지분배장치(39)가 갱신정보를 통지하는지의 여부를 판단(S126)하는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아직 한번도 이용자에게 통지하지 않고 있는 갱신정보가 존재하는 경우가 해당한다. 이 조건에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구체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메시지이용자 DB(34)의 최종통신일시와 갱신정보가 갱신된 일시를 비교한다. 그리고, 최종통신일시가 갱신정보가 갱신된 일시보다 전이면 아직 통지하지 않고 있는 갱신정보가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그 갱신정보를 통지한다.
도 30에 메시지분배장치의 갱신판단(S126)의 상세를 나타낸다. 먼저, 메시지분배장치(39)가 메시지이용자 DB(34)로부터 최종통신일시를 읽어 낸다(S910). 이어서 최종통신일시가 현일시보다 2시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920). 구체적으로는 최종통신일시와 (현일시-2시간)의 일시를 비교한다. 최종통신일시가 (현일시-2시간)의 일시 이전이면 S930의 처리가 실행된다. 한편, 최종통신일시가 현일시보다 2시간 이내이면 갱신정보를 빈번하게 표시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처리를 종료한다(S970).
이용자가 빈번하게 메시지 뷰어(76)와 메시지관리장치(24)의 접속 및 그 접속의 정지를 반복하는 경우에는 그 접속할 때마다 갱신정보가 표시되면 이용자는 그 갱신정보의 표시를 불필요하다고 느끼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최신의 최종통신일시부터 소정 시간 내에 재접속된 경우에는 갱신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갱신정보의 표시가 빈번하게 반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930에서는 최신의 갱신정보가 갱신된 일시와 최종통신일시를 비교한다. 갱신정보가 갱신된 일시가 최종통신일시 이후이면 그 최종통신일시 이후에 갱신된 갱신정보를 선택한다(S940). 선택된 갱신정보는 메시지분배장치(39)로부터 메시지 뷰어(76)에 송신된다(S950). 이 갱신정보의 송신에 따라 메시지이용자 DB(34) 내의 최종통신일시도 현일시로 갱신되고(S960) 그 후, 본 처리를 종료한다(S970).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이용자에게 갱신정보를 소정 횟수(예를 들어 3회)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통신일시를 최신의 것부터 그 소정 횟수와 동일한 수만을 기억한다. 그리고, 갱신정보의 갱신일시와 그 소정수의 최종통신일시 중 가장 오래된 통신일시를 비교한다. 그리고, 가장 오래된 통신시 이후에 갱신된 모든 갱신정보를 이용자에게 통지한다. 이 경우에는, 메시지 뷰어(76)와 메시지관리장치(24)가 재접속되어도 그 접속이 해제된 일시를 최종통신일시로서 기억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적어도 소정 시간 내에 갱신정보가 반복하여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5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의 시스템구성도 실시형태 1의 시스템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접속시퀀스에서는 실시형태 4와 같이 메시지관리장치(24)로부터 IP 어드레스, 포트번호를 접속모듈(80)에 통지한다. 또한, 갱신정보를 메시지분배장치(34)로부터 메시지 뷰어(76)에 통지하고 그 갱신정보를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갱신정보로서, 업그레이드된 메시지 뷰어 모듈을 입수할 수 있다는 통지가 이루어진 경우에 그 메시지 뷰어 모듈을 입수하는 처리가 특징이 된다.
도 31에 본 실시형태의 접속시퀀스의 일부를 나타낸다. S128까지의 처리는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4와 동일하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업그레이드된 메시지 뷰어(76)를 단말(10)에 송신한다. 그 때문에 S120에 있어서의 인증정보의 송신시에 메시지이용자 ID 및 패스워드에 더하여 단말(10)의 메시지 뷰어(76) 버전 및 단말(10)의 OS 종별을 더불어 송신한다.
도 32에 본 실시형태의 접속시퀀스의 나머지의 부분을 나타낸다. 업그레이드된 메시지 뷰어(76)에 관한 갱신정보가 통지되면(S128) 단말(10)에 갱신정보가 표시된다.
도 33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갱신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갱신정보에는 소프트웨어를 다운 로드하는지의 여부를 입력시키는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이용자는 그 메시지 뷰어(76)의 입수를 희망하거나 또는 희망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갱신응답으로서 메시지분배장치(39)에 송신한다(S130). 메시지분배장치(39)는 그 갱신응답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다운 로드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1 : 갱신처리). 소프트웨어를 다운 로드한다는 취지를 판단한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메시지 뷰어(76)의 접속모듈(80)에 송신한다(S132 : 다운 로드). 이용자는 상술한 처리에 의해 메시지 뷰어(76)를 업그레이드하는 소프트웨어를 입수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시지 뷰어(76)가 변환되고(S133) 업그레이드된 메시지 뷰어(76)에 의하여 통신, 화상표시 등을 제어시킨다. 이용자는 그 밖의 소프트웨어도 메시지 뷰어(76)와 메시지분배장치(39)와의 통신을 통하여 입수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메시지분배장치(39)로부터 송신되면 단말(10)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50)에 저장된다.
도 34에 메시지분배장치(39)가 실행하는 갱신판단(S126) 및 갱신처리(S131)의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먼저, 수신한 메시지 뷰어 모듈의 버전이 최신버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O10). 최신버전이면 본 처리는 종료된다(S1070). 한편, 수신한 버전이 최신버전이 아닌 경우에는 그 최신버전의 메시지 뷰어 모듈에 관한 갱신정보를 선택하여(S1020) 송신한다(S1030). 갱신정보의 송신에 응답한 다운 로드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40). 다운 로드 요구가 없으면 본 처리를 종료한다(S1070). 한편, 다운 로드요구가 있던 경우에는 단말(10)의 0S 종별에 의거하여 그 OS 종별에 적합한 최신버전의 메시지 뷰어 모듈을 선택한다(S1050). 선택한 메시지 뷰어 모듈을 단말(10)에 송신한다(S1060). 이와 같은 처리에 의해 이용자는 간편하게 희망하는 소프트웨어를 입수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및 5에 있어서 메시지분배장치(39)가 갱신정보를 통지할지 여부를 판단하였으나, 이 판단은 메시지관리장치(24)가 행하여도 좋다. 이 경우, 메시지관리장치(24)는 메시지분배장치(39)로부터 수신하는, 최신통신일시 및 갱신일시 등을 참조하여 갱신정보를 통지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메시지관리장치(24)가 갱신정보의 통지를 제어하도록 하면 메시지분배장치(39)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6 실시형태 6
도 35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가 메시지관리장치(24)가 아니라 메시지분배장치(39)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메시지 뷰어(76)로부터의 메시지의 요구는 메시지관리장치(24)를 거쳐 메시지분배장치(39)에 전달된다. 메시지관리장치(24)는 단순히 메시지분배장치(39)와 메시지 뷰어(76)의 접속 및 그들 사이의 통신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 내에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 메시지관리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를 싼 가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단일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만이 설치되므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를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특히, 메시지분배장치(39)와 정보제공장치(20)가 다른 나라 등 물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경우에도 메시지분배장치(39)가 설치된 장소에서만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를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메인터넌스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분배장치(39) 및 전용회선(29)의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 대한 액세스 빈도가 큰 경우에는 실시형태 1 또는 2의 구성쪽이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7 실시형태 7
도 36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실시형태 3에 기재된 구성과 비교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분배장치(39)가 전용회선(29)이 아니라 인터넷(32)을 거쳐 정보제공장치(2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관리장치(24)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시지 뷰어(76)로부터의 메시지의 요구는 메시지관리장치(24)를 거쳐 메시지분배장치(39)에 전달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정보제공장치(20) 내에 메시지관리장치(24)가 필요없으므로 시스템 전체를 싼 가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정보제공장치(20)로서 기존의 인터넷 제공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을 조속히 보급시킬 수 있다. 특히, 메시지분배장치를 한정된 나라에만 설치한 경우에도 인터넷 제공장치가 존재하는 세계각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1 또는 2의 구성에 의하면 메시지분배장치(39) 및 전용회선(29)의 부하를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26)에 대한 액세스 빈도가 큰 경우에는 실시형태 1 또는 2의 구성쪽이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8 실시형태 8
도 37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시스템 전체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제공장치(20)로서 인터넷(32)의 접속장치 대신에 컴퓨서브(상표), 니프티서브(상표), AOL(상표) 등의 BBS가 설치되어 있다. 정보제공장치(20)는 각 이용자에 의한 BBS의 사용요금을 메시지분배장치(39)에 청구한다. 메시지분배장치(39)는 이용자의 파라미터가 사용요금을 지불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충분하면 정보제공장치(20)에 사용요금을 지불한다. 파라미터가 부족한 경우에는 부족분을 클로즈드 네트워크(27)를 거쳐 크레디트 카드에 의해 대체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메시지 뷰어(76)에 의해 메시지를 표시시켜 둠으로써 이용자는 무료로 BBS를 액세스할 수 있다.
9 실시형태 9
상기 실시예에서는 메시지를 표시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이용자의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메시지에 대하여 요금을 부과하였다. 그러나 다른 형태로서는 메시지 내의 표시에 대하여 이용자가 조작을 행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메시지에 요금을 부과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가 메시지를 전혀 보고 있지 않은 경우에 파라미터가 증가하는 것 및 이용자가 메시지를 전혀 보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메시지에 요금이 부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형태로서는 메시지 내의 표시에 대한 이용자의 조작이 타당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파라미터를 증가시키고 메시지에 요금을 부과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메시지 내에 표시한 내용에 의거하여 확실하게 정답할 수 있는 질문을 메시지 내의 다른 영역에 표시하고, 그 질문의 대답이 정해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이용자의 포인트를 증가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이용자가 메시지를 읽은 경우에만 이용자의 포인트를 증가시키고 메시지에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이용자의 응답이 적절한지의 여부는 메시지 뷰어(76)로 판단하여도 되고 메시지분배장치(39)로 판단하여도 된다. 메시지 뷰어(76)로 판단한 경우에는 통신망상의 트래픽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메시지분배장치(39)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메시지분배장치(39)로 판단하는 경우에는 메시지 뷰어(76)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또, 단일한 메시지분배장치(39)의 소프트웨어를 갱신하는 것만으로 이용자의 응답이 적절한지 여부의 판단시퀀스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10 실시형태 10
상기 실시형태의 포인트의 증가방법과 실시형태 9에 있어서의 포인트의 증가방법을 조합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가 표시된 경우에 제 1의 소정의 포인트를 더하고, 메시지 내의 버튼이 눌러진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 2의 소정의 포인트를 더하고, 또한 메시지에 대한 이용자의 응답이 적절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제 3 포인트를 더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포인트의 값에 따른 금액을 메시지의 제공자에게 요금부과한다. 이에 의해 메시지가 이용자에게 인식된 기대치에 따라 적절히 메시지에 요금을 부과할 수 있다.
11 실시형태 1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지불시스템(35)은 크레디트 카드를 이용하여 상품의 대금을 지불하였다. 그러나 「지불시스템」에는 상품의 취급점에 대금을 지불하는 기능을 가지는 모든 시스템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이용자의 은행구좌로부터 취급점에 대금을 대체하는 시스템 또는 이용자의 은행구좌로부터 일단 지불시스템용 은행구좌에 대금을 끌어내리고 다시 상품의 취급점에 대금을 불입하는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브라우저(74)는 인터넷(32)의 홈 페이지 정보 등을 표시하였다. 그러나, 브라우저(74)는 인터넷을 거쳐 음성통신하는 인터넷 전화 또는 인터넷 텔레비전 전화를 제공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 및 접속로그(38)를 독립한 디스크장치의 도면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들은 동일한 디스크장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각 필드의 데이터 상호의 관련은 다양한 파일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파일 내의 다른 영역에 메시지이용자 데이터 베이스(34),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36) 및 접속로그(38)를 구성하여도 된다.
기록매체의 일례로서의 플로피 디스크(56) 또는 CD-ROM(58)에는 본 출원에서 설명한 단말(10)의 동작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정보제공장치(20), 호스트 컴퓨터(30) 또는 지불시스템(35)의 동작의 일부를, 그들 장치 대신에 단말장치(10)에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정보제공장치(20), 호스트 컴퓨터(30) 또는 지불시스템(35)의 동작의 일부도 또 플로피 디스크(56) 또는 CD-ROM(58)에 저장할 수 있다. 플로피 디스크(106)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정보제공장치(20), 호스트 컴퓨터(30) 또는 지불시스템(35)의 다른 장치의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을 저장할 수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기록매체로부터 직접 RAM에 읽어 내어져 실행되어도 되고, 일단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스톨된 후에 RAM에 읽어 내어져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단일한 기록매체에 저장되어도 되고, 복수의 기록매체에 저장되어도 된다. 또, 부호화한 형태로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기록매체로서는 플로피 디스크, CD-ROM 외에도 DVD 등의 광학기록매체, MD 등의 자기기록매체, PD 등의 광자기기록매체, 테이프매체, 자기기록매체, IC 카드나 미니어처 카드 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정보제공장치(20), 메시지분배장치(39) 또는 호스트 컴퓨터(30)에 설치한 하드 디스크 또는 RAM 등의 저장장치를 기록매체로서 사용하고, 통신망을 거쳐 프로그램을 단말(1O)에 제공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기록매체는 단말(10), 메시지관리장치(28) 또는 메시지분배장치(39)를 제조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며, 그와 같은 기록매체의 업으로서의 제조 및 판매 등이 본 출원에 의거하는 특허권의 침해를 구성하는 것은 명백하다.
이상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에 관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가하여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 기재한 정보제공장치(20), 메시지분배장치(30) 또는 호스트 컴퓨터의 기능의 일부를 단말(10)에 실행시켜 정보제공장치(20), 메시지분배장치(30) 또는 호스트 컴퓨터의 부하를 감소시켜도 된다. 한편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기재한 단말(10)의 기능의 일부를 정보제공장치(20), 메시지분배장치(30) 또는 호스트 컴퓨터에 실행시키고 단말(10)의 부하를 감소시켜도 된다. 이와 같은 발명이 본 출원에 관한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도 또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서 명백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자에게 할당된 파라미터가 메시지의 표시 및 메시지의 조작에 따라 증가한다. 이 파라미터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이용자가 구입한 상품 또는 이용자에 의한 인터넷 또는 BBS의 통신요금이 메시지분배장치에 의해 지불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메시지를 표시시켜 둠으로써 무료로 인터넷 또는 BBS 등의 통신망에 액세스하거나 또는 통신망으로부터 무료로 상품을 구입할 수 있다.
정보제공자는 인터넷 또는 BBS 등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할 수가 있으므로 많은 이용자를 모집할 수 있다. 또한 메시지의 제공자는 각 메시지에 알맞은 이용자에게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용자에게 이용자와 관련이 있는 메시지만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의 제공자로부터 단말(1O)의 이용자에게 확실하게 갱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4)

  1. 통신망과,
    상기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과,
    상기 통신망에 또한 접속되어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표시시키는 표시수단과,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액세스의 양에 따른 파라미터를 상기 이용자마다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표시한 경우에 해당 단말의 이용자에게 대응시킨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증가수단과,
    상기 이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는 액티브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증가수단에 의한 상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하는 정지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상기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을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어 상기 메시지를 송신해야 할 이용자의 특성과 각 메시지를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이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요구한 경우에 해당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의 특성을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는 특성읽어내기수단과,
    상기 특성읽어내기수단에 의해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상기 이용자의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검색하는 메시지검색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메시지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어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이용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수단과,
    상기 파라미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한 경우에 해당 이용자에게 대응시켜진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감하는 수단
    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단말이 조작되었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표시시에 상기 메시지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표시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었는지 여부에 의하여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메시지 내의 문장에 따른 입력을 상기 이용자가 행하였는가에 의해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메시지의 상기 디스플레이에의 표시를 정지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제 1 메시지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키지 않는 제 2 메시지를 가지고,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디스플레이에의 표시를 정지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를 가지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통신망 및 상기 인터넷을 거쳐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 대하여 제 1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제 2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는 수단과,
    상기 제 2 데이터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단말이 상기 인터넷에 접속된 상기 호스트 컴퓨터에의 액세스를 요구하면 해당 송신수단을 식별하는 식별신호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신호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식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수단과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 2 데이터 링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가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표시한 상기 메시지 내의 질문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가 적절히 응답한 것을 또한 조건으로 하여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과는 독립으로 갱신되는 갱신정보를 저장하는 갱신정보저장수단과,
    해당 갱신정보의 각각을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단말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 횟수 송신하는 갱신정보송신수단
    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횟수가 1회이며, 상기 갱신정보송신수단은 상기 갱신정보가 이미 이용자에게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가지고, 해당 판단수단에 의하여 아직 송신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갱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정보송신수단은 상기 갱신정보가 상기 이용자의 각각에 송신된 횟수를 계수하는 수단을 가지고, 상기 단말과의 통신이 접속된 때에 상기 갱신정보가 상기 소정 횟수 송신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상기 갱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정보송신수단은 상기 갱신정보의 송신으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소정 시간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더욱 가지고, 상기 경과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보다 긴 경우에 새로운 갱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6. 통신망과,
    상기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과,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시지와, 상기 복수의 메시지의 각각을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어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과 해당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의 상기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의 상기 특성을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는 특성읽어내기수단과,
    상기 특성읽어내기수단에 의해 읽어 낸 상기 특성을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표시된 상기 메시지를 식별하는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통계기록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기록수단은,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가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액세스의 내용을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식별하는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기록수단은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가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액세스의 내용을 상기 특성읽어내기수단에 의해 읽어 낸 상기 특성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9. 통신망과,
    상기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과,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시지와, 상기 복수의 메시지의 각각을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을 해당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해야 할 이용자의 특성과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의 상기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의 상기 특성을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는 특성읽어내기수단과,
    상기 특성읽어내기수단에 의해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상기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검색하는 메시지검색수단과,
    상기 메시지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진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어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단말에 표시하는 표시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가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메시지에 액세스한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는 상기 이용자식별정보와, 해당 메시지의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용자식별정보저장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는 각각의 메시지를 식별하는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다른 메시지의 메시지식별정보를 관련지어 저장하는 관련메시지 저장수단을 가지고,
    상기 메시지검색수단은 상기 관련메시지 저장수단에 의해 관련지어진 상기 다른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식별정보 저장수단에 의해 대응시켜진 상기 이용자식별정보 중에 상기 메시지를 요구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1. 통신망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로서,
    상기 단말에 송신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가지는 메시지의 각각을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한 액세스의 양에 따른 파라미터를 상기 이용자마다 저장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송신된 상기 메시지가 상기 단말에 표시된 경우에 해당 단말의 이용자에게 대응시킨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증가시키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인식할 수 있는 액티브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한 상태가 아닌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하는 정지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메시지를 송신해야 할 상기 이용자의 특성을 해당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고 있고,
    상기 통신망에 접속된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을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상기 이용자의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검색하는 메시지검색수단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송신수단은 상기 메시지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이용자에게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수단과,
    상기 파라미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을 결정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에게 상기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한 경우에 해당 이용자에게 대응시켜진 상기 파라미터의 값을 감하는 수단
    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메시지가 조작된 경우에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메시지 내의 문장에 따른 입력을 상기 이용자가 행한 경우에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메시지의 상기 디스플레이에의 표시를 정지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키는 제 1 메시지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를 증가시키지 않는 제 2 메시지를 가지고,
    상기 정지수단은 상기 이용자가 액티브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메시지의 상기 단말에의 송신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파라미터의 증가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과는 독립으로 갱신되는 갱신정보를 저장하는 갱신정보저장수단과,
    해당 갱신정보의 각각을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단말의 각각에 대하여 소정 횟수 송신하는 갱신정보송신수단
    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횟수가 1회이며, 상기 갱신정보송신수단은 상기 갱신정보가 아직 송신되어 있지 않은 상기 이용자에 대하여 상기 갱신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30. 통신망을 거쳐 단말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로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시지와, 상기 복수의 메시지의 각각을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어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과 해당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의 상기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한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의 상기 특성을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는 특성읽어내기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한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단말에서의 액세스가 있는 경우에 상기 특성읽어내기수단에 의해 읽어 낸 상기 특성을, 상기 단말에 송신한 상기 메시지의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통계기록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기록수단은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가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액세스의 내용을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를 식별하는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기록수단은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가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액세스의 내용을 상기 특성읽어내기수단에 의해 읽어 낸 상기 특성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33. 통신망을 거쳐 단말에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로서,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화상, 문장, 음성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메시지와, 상기 복수의 메시지의 각각을 식별하는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단말의 각각의 이용자의 특성을 해당 이용자를 식별하는 이용자식별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상기 메시지를 송신해야 할 이용자의 특성과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통신망을 거쳐 상기 단말로부터 해당 단말의 상기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용자의 상기 특성을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는 특성읽어내기수단과,
    상기 특성읽어내기수단에 의해 상기 이용자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낸 상기 특성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메시지식별정보를 검색하는 메시지검색수단과,
    상기 메시지검색수단에 의해 검색된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대응시켜진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데이터 베이스에서 읽어 내어 상기 단말에 송신하는 송신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에 송신된 상기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가 액세스한 경우에 상기 메시지에 액세스한 상기 이용자를 식별하는 상기 이용자식별정보와 해당 메시지의 메시지식별정보를 대응시켜 저장하는 이용자식별정보저장수단을 더욱 구비하며,
    상기 메시지 송신조건 데이터 베이스는 각각의 메시지를 식별하는 상기 메시지식별정보에 다른 메시지의 메시지식별정보를 관련지어 저장하는 관련메시지 저장수단을 가지고,
    상기 메시지검색수단은 상기 관련메시지 저장수단에 의해 관련지어진 상기 다른 메시지에 대하여 상기 이용자식별정보 저장수단에 의해 대응시켜진 상기 이용자식별정보 중에 상기 메시지를 요구한 상기 이용자의 상기 이용자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메시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컴퓨터.
KR1019980705560A 1996-02-28 1997-02-26 광고등의메시지를단말장치의이용자에게보내는통신시스템 KR100304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727896 1996-02-28
JP8-67278 1996-02-28
JP13968996 1996-05-10
JP8-139689 1996-05-10
US2217196P 1996-07-15 1996-07-15
US60/022,171 1996-07-15
US2357796P 1996-08-19 1996-08-19
US60/023,577 1996-08-19
US79539797A 1997-02-04 1997-02-04
US8/795,397 1997-02-04
US08/795,397 1997-02-04
PCT/JP1997/000564 WO1997032258A1 (fr) 1996-02-28 1997-02-26 Systeme de communication de messages du type publicitaire a l'utilisateur d'un equipement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49A KR19990081849A (ko) 1999-11-15
KR100304836B1 true KR100304836B1 (ko) 2001-11-22

Family

ID=6595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5560A KR100304836B1 (ko) 1996-02-28 1997-02-26 광고등의메시지를단말장치의이용자에게보내는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4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8763C (zh) * 2000-05-26 2008-10-22 松下电工株式会社 用通信网络对特定用户提供顾客信息的方法及系统和终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6971A1 (en) * 1993-12-16 1995-06-22 Open Market, Inc. Digital active advertising
JPH0855167A (ja) * 1994-08-12 1996-02-27 Fujitsu Ltd ポイント購入処理方法及び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16971A1 (en) * 1993-12-16 1995-06-22 Open Market, Inc. Digital active advertising
JPH0855167A (ja) * 1994-08-12 1996-02-27 Fujitsu Ltd ポイント購入処理方法及びポイントサービ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1849A (ko) 1999-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45425B2 (ja) 広告等のメッセージを端末装置の利用者へ配信する通信システム
KR100363266B1 (ko) 메시지검색시스템및단말장치
US2001003731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the distribution of data
KR100304834B1 (ko) 단말장치,정보제공장치,시스템
KR100304835B1 (ko) 이용자의특성에따른화상을제공하는통신시스템및해당통신시스템에사용하는단말장치및정보제공장치
US20020128907A1 (en) Information delivery scheme and advertisement providing scheme using social filtering technique
JP3913497B2 (ja) 情報配送方法、情報配送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475121B2 (en) Information distribu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JP2000148801A (ja) 通信システム
EP0955589A1 (en) Communication system for distributing such message as advertisement to user of terminal equipment
JP4574292B2 (ja) 広告提供方法、広告提供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6711551B1 (en) Information provider, terminal an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terminal
JP3479627B2 (ja) 通信システム
JPWO2003032219A1 (ja) Ai認証を用いた決済認証サーバーシステム
KR100304836B1 (ko) 광고등의메시지를단말장치의이용자에게보내는통신시스템
JP398769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ホストコンピュータ
JP2004220299A (ja) 広告課金システム
US20020049745A1 (en) Maintaining most current client version
JP3890945B2 (ja) 情報提供サーバ、情報提供方法、端末、プログラム及び情報登録端末
JP2002041566A (ja) 通信システム及びホストコンピュータ
JP3034310B2 (ja) メッセージ検索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3502357B2 (ja) 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GB2348308A (en) Updating user characteristics profile
GB2339313A (en)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JP2002259838A (ja) 閲覧許可情報を含む提供情報を供給するシステム、閲覧許可情報管理装置、情報提供装置、ユーザ端末装置、提供情報をユーザ端末装置に提供する方法、閲覧許可情報を生成する方法、閲覧許可情報を判定する方法、提供情報を記録した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