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704B1 -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704B1
KR100304704B1 KR1019990010275A KR19990010275A KR100304704B1 KR 100304704 B1 KR100304704 B1 KR 100304704B1 KR 1019990010275 A KR1019990010275 A KR 1019990010275A KR 19990010275 A KR19990010275 A KR 19990010275A KR 100304704 B1 KR100304704 B1 KR 100304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fm
reference level
result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1318A (ko
Inventor
이석정
이수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4704B1/ko
Priority to US09/476,567 priority patent/US6396787B1/en
Publication of KR20000061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1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11B20/1423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 G11B20/1426Code representation depending on subsequent bits, e.g. delay modulation, double density code, Miller code conversion to or from block codes or representations thereof
    • G11B2020/14618 to 14 modulation, e.g. the EFM code used on CDs or mini-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광 디스크에 결함의 종류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이.에프.엠.(EFM)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서 광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알.에프.(RF) 신호를 EFM 신호로 변환하는 이 장치는, RF 신호의 어시메트리를 보정하여 생성한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 및 RF 신호의 피크 및 버텀 포락선들과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중 하나를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선택하고,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를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결과를 EFM 신호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슬라이싱부와, 에러 정정 플래그 또는 EFM 플래그의 발생 횟수에 응답하여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신호 발생부 및 EFM 신호를 복조할 때 사용되지 않은 비트 패턴에 상응하여 EFM 플래그를 출력하는 EFM 플래그 발생부를 구비하고, 에러 정정 플래그는 EFM 복조된 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량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EFM signal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disk reproducing system}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서 알.에프.(RF:Radio Frequency) 신호를 이.에프.엠.(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신호로 변환하는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계열 시스템 또는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VD:Digital Video Disk) 계열 시스템과 같은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은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빛을 픽업하여 RF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RF 신호를 EFM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EFM 신호로부터 디스크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 데이타를 재생해낸다.
이 때, 광 디스크가 핀 홀(pin hole) 또는 핀 깊이(pin depth)등의 결함을 갖거나 워블(wobble) 디스크인 경우, EFM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RF 신호 자체에 왜곡이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핀 깊이란 광이 디스크를 반사하지 못해 RF 신호를 검출할 수 없을 정도로 광 디스크가 깊이 파여있는 것을 의미하고, 핀 홀이란 광이 디스크를 통과할 구멍이 광 디스크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워블 디스크란 RF 신호가 흔들리면서 입력될 정도로 디스크가 휘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디스크의 결함에 의해 RF 신호가 정상적으로 검출되지 않았을 때, 비정상적인 RF 신호로부터 EFM 신호를 검출하는 종래의 EFM 신호 검출 장치로서, 레벨 검출 방식을 이용하는 장치와 포락선 검출 방식을 이용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디지탈 합 값(DSV:Digital Sum Value)을 입력하여RF 신호를 슬라이싱하는 종래의 EFM 신호 발생 장치가 1995년 12월 6일자로 필립스(philips)社에 의해 발간된 'SAA7372'에 대한 명세(specification)의 페이지 10쪽에 'DataA Slicer Showing Typical Application Components'라는 제목으로 개시되어 있으며, 전류형 방식으로 RF 신호를 자기 슬라이싱(self slicing)하여 EFM 신호를 발생하는 종래의 EFM 발생 장치가 1988년 'John Watkinson'에 의해 'Focal' 출판사로부터 'The Art of Digital Audio'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책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레벨 검출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EFM 신호 검출 장치는, RF 신호의 어시메트리를 보정하고, 어시메트리가 보정된 RF 신호를 이용하여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생성하고, 생성된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를 슬라이싱하여 EFM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EFM 신호 발생 장치는, 워블 디스크에 의한 RF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기에 적합한 반면, 핀 홀이나 핀 깊이와 같은 디스크 결함에 의한 RF 신호의 왜곡을 제대로 보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락선 검출 방식을 이용한 종래의 EFM 신호 검출 장치는, RF 신호의 피크(peak) 포락선 및 버텀(buttom) 포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포락선들을 연산하거나 증폭하여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추출하고, 추출된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를 슬라이싱하여 EFM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의 EFM 신호 발생 장치는 핀 홀이나 핀 깊이와 같은 디스크 결함에 의한 RF 신호의 왜곡을 보상하기에 적합한 반면, 워블 디스크에 의한 RF 신호의 왜곡은 제대로 보상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결국, 종래의 EFM 신호 발생 장치들은 워블 디스크 및 핀 홀나 핀 깊이와 같은 디스크에 결함들이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 왜곡된 RF 신호로부터 EFM 신호를 정확하게 발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 디스크에 결함의 종류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EFM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 디스크에 결함의 종류에 무관하게 정상적으로 EFM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슬라이싱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탈 합 값 계산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례의 블럭도이다.
도 4 (a) ∼ (c)들은 도 3에 도시된 각 부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도 5 (a) ∼ (c)들은 도 3에 도시된 각 부의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파형도들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EFM 신호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선택 신호 발생부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서 광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알.에프.(RF) 신호를 이.에프.엠(EFM) 신호로 변환하는 본 발명에 의한 EFM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RF 신호의 어시메트리를 보정하여 생성한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 및 상기 RF 신호의 피크 및 버텀 포락선들과 상기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중 하나를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RF 신호를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결과를 상기 EFM 신호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슬라이싱부와, 에러 정정 플래그 또는 EFM 플래그의 발생 횟수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신호 발생부 및 상기 EFM 신호를 복조할 때 사용되지 않은비트 패턴에 상응하여 상기 EFM 플래그를 출력하는 EFM 플래그 발생부로 구성되고, 상기 에러 정정 플래그는 EFM 복조된 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량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서 RF 신호를 EFM 신호로 변환하는 본 발명에 의한 EFM 신호 발생 방법은, 제1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a) 단계와, 상기 제1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플래그를 카운팅하는 (b) 단계와, 카운팅된 결과가 제1 소정값 보다 적은가를 판단하는 (c)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결과가 상기 제1 소정값보다 적으면, 현재 방식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상기 EFM 신호로 변환하는 (d) 단계와, 상기 카운팅된 결과가 상기 제1 소정값보다 적지 않으면, 제2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e) 단계와,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플래그를 카운팅하는 (f) 단계와, 상기 (f) 단계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2 소정값보다 적은가를 판단하여, 적으면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g) 단계 및 상기 (f) 단계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상기 제2 소정값보다 적지 않으면, 상기 현재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상기 EFM 신호로 변환하는 (h)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플래그는 상기 EFM 신호를 복조할 때 사용되지 않은 비트 패턴 또는 상기 EFM 복조된 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량에 상응하여 발생되고, 상기 현재 방식 또는 상기 다른 방식은, 상기 RF 신호의 어시메트리를 보정하여 생성한 슬라이스 기준 레벨이나 상기 RF 신호의 피크 및 버텀 포락선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RF 신호를 슬라이싱하여 상기 EFM 신호를 구하는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로서, 데이타 슬라이싱(slicing)부(10), 디지탈 합 값(DSV:Digital Sum Value) 계산부(12), 선택 신호 발생부(14) 및 EFM 플래그 발생부(16)로 구성된다.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서는, 광 픽업(미도시)은 광 디스크로 광을 조사한 다음, 광 디스크로부터 반사된 빛을 픽업하여 출력하고, RF 증폭부(미도시)는 픽업된 빛을 증폭하여 RF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슬라이싱부(1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RF 증폭부(미도시)로부터 입력한 RF 신호의 어시메트리를 보정하여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생성하고,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되는 RF 신호의 피크 및 버텀 포락선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포락선들과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이용하여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생성한다. 데이타 슬라이싱부(10)는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과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중 하나를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선택하고, 선택된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를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결과를 EFM 신호로서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 EFM 플래그 발생부(16) 및 출력단자 OUT를 통해 EFM 복조부(미도시)로 출력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후속하여 마련되는 EFM 복조부(미도시)는 EFM 신호를 입력하여 복조하고, 복조된 EFM 신호를 에러 정정을 수행하는 에러 정정부(미도시)등으로 출력한다.
또한, 데이타 슬라이싱부(10)는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를 마련할 수도 있다. 즉,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는 데이타 슬라이싱부(10)로부터 출력되는 EFM 신호의 논리 레벨에 상응하여 카운팅한 값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디지탈 합 값으로서 데이타 슬라이싱부(10)로 출력한다. 데이타 슬라이싱부(10)는 디지탈 합 값에 응답하여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하고, 오프셋이 보정된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이용하여 RF 신호를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결과를 EFM 신호로서 출력한다. 디지탈 합 계산부(12)의 일실시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한편,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슬라이싱부(10)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례의 구성 및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슬라이싱부(10)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례의 회로도로서, RF 신호로부터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검출하는 슬라이스 기준 신호 발생부(20),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과 RF 신호를 비교하는 비교기(22),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오프셋 보정부(24) 및 커패시터(C1)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패시터(C1)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되는 RF 신호의 직류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슬라이스 기준 신호 발생부(20)는 피크 및 버텀 포락선 검출부들(30 및 32), 감산기들(34 및 42), 가산기(44), 제1 선택기(46), 제1 및 제2 저역 통과 필터(LPF:Low Pass Filter)들(36 및 38) 및 증폭기(40)로 구성된다. 또한,오프셋 보정부(24)는 제2, 제3 및 제4 선택기들(52, 54 및 58), 제3 저역 통과 필터(50), 저항(R) 및 커패시터(C2)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피크 포락선 검출부(30)는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되어 직류 성분이 제거된 RF 신호의 피크 포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피크 포락선을 감산기(34)로 출력한다. 이와 비슷하게, 버텀 포락선 검출부(32)는 직류 성분이 제거된 RF 신호의 버텀 포락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버텀 포락선을 감산기(34)로 출력한다. 이 때, 감산기(34)는 피크 포락선으로부터 버텀 포락선을 감산하고, 감산된 결과를 가산기(44) 및 제1 저역 통과 필터(36)로 출력한다. 제1 저역 통과 필터(36)는 감산기(34)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를 감산기(42)로 출력한다.
제2 저역 통과 필터(38)는 가산기(5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를 증폭기(40)로 출력한다. 증폭기(40)는 제2 저역 통과 필터(38)의 출력을 소정 레벨 만큼 증폭하고, 증폭된 결과를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감산기(42) 및 제1 선택기(46)로 출력한다. 감산기(42)는 제1 저역 통과 필터(36)의 출력으로부터 증폭기(40)의 출력을 감산하고, 감산된 결과를 가산기(44)로 출력한다. 가산기(44)는 감산기(42)에서 감산된 결과를 감산기(34)에서 감산된 결과와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제1 선택기(46)로 출력한다. 제1 선택기(46)는 증폭기(4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 및 가산기(44)로부터 출력되는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중 하나를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레벨을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비교기(22)의 음의 입력단자(-)로 출력한다.
이 때, 비교기(22)는 제1 선택기(46)에서 출력되는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양의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직류 성분이 제거된 RF 신호와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EFM 신호로서 출력단자 OUT를 통해 출력함과 동시에, 제3 선택기(54)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하기 위한 디지탈 합 값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전압 및 전류의 형태(DSVV 및 DSVI)로서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로부터 출력된다고 하자. 따라서, 제3 LPF(50)는 전압 형태의 디지탈 합 값(DSVV)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고, 저역 통과 필터링된 결과를 제2 선택기(52)로 출력한다. 제2 선택기(52)는 제3 저역 통과 필터(50)의 출력, 기준 전압 즉, 접지된 전압 및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중 하나를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결과를 가산기(56)로 출력한다. 여기서,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은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로부터 전류 형태로 출력되는 디지탈 합 값(DSVI)이 커패시터(C2)에 충전된 결과이다. 결국, 제2 선택기(52)는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할 필요가 없을 경우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을 선택하고, 오프셋을 보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3 LPF(50)의 출력이나 커패시터(C2)에 충전된 전압을 선택한다. 여기서, 기준 전압으로서 접지 전압 대신에 오픈(open)된 즉, 이상적으로는 ∞의 저항과 연결된 형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C2) 또는 제3 LPF(50)는 디지탈 합 값(DSVV 또는 DSVI)을 적분하는 역할을 한다.
제3 선택기(54)는 비교기(22)의 출력과 기준 레벨 즉, 접지된 신호중 하나를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결과를 가산기(56)로 출력한다. 즉, 제3 선택기(54)는 오프셋을 보정할 필요가 있을 때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기준 전압을 선택하고, 오프셋을 보정할 필요가 없을 때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비교기(22)의 출력을 선택한다. 여기서, 기준 전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접지 전압 대신에 오픈된 형태가 마련될 수도 있다. 가산기(56)는 제2 선택기(52)의 출력과 제3 선택기(54)의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제2 저역 통과 필터(38)로 출력한다. 이 때, 선택기(58)는 제3 저역 통과 필터(50)의 출력, 커패시터(C2) 전압중 하나를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저항(R)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은 디지탈 합 값들(DSVV 및 DSVI)을 적분한 값이 양의 값을 가지면 높아지고 음의 값을 가지면 낮아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달리, 도 2에 도시된 데이타 슬라이싱부(10)는 오프셋 보정부(24)를 마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비교기(22)의 출력은 제2 LPF(38)로 직접 출력된다.
도 1에 도시된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례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례의 블럭도로서, 상/하향 카운터(60) 및 임계값 비교부(62)로 구성된다.
도 4 (a) ∼ (c)들은 도 3에 도시된 각 부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로서, 도 4 (a)는 상/하향 카운터(60)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4(b) 및 (c)들은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 및 전류 형태의 디지탈 합 값들(DSVV 및 DSVI)을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도 4 (a)의 종축은 상/하향 카운터(60)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도 3에 도시된 상/하향 카운터(60)는 입력단자 IN3을 통해 데이타 슬라이싱부(10)로부터 입력한 EFM 신호를 클럭 신호(CK)에 응답하여 카운팅하고, 도 4 (a)에 도시된 카운팅된 결과를 임계값 비교부(62)로 출력한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값 비교부(62)는 도 4 (a)에 도시된 카운팅된 값이 임계값(VTH)보다 크면 '고' 논리 레벨 예를 들면 '5'볼트의 DSVV를, 임계값(-VTH)이상이고 임계값(VTH)이하이면 하이 임피던스(HI-Z)의 DSVV를, 임계값(-VTH)보다 적으면 '0'볼트의 DSVV를 각각 데이타 슬라이싱부(10)의 제3 LPF(50)로 출력한다. 또한, 도 4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계값 비교부(62)는 도 4 (a)에 도시된 카운팅된 값이 임계값(VTH)보다 크면 소스 전류를, 임계값(-VTH)이상이고 임계값(VTH)이하이면 무한대의 임피던스(open)를, 임계값(-VTH)보다 적으면 싱크 전류를 DSVI로서 데이타 슬라이싱부(10)로 출력한다.
도 5 (a) ∼ (c)들은 도 3에 도시된 각 부의 동작에 대한 예시적인 파형도들로서, 도 5 (a)는 EFM 신호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5 (b)는 시스템 클럭 신호(CK)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도 5 (c)는 상/하향 카운터(60)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EFM 신호가 데이타 슬라이싱부(10)로부터 출력되면, 상/하향 카운터(60)는 도 5 (b)에 도시된 시스템 클럭 신호(CK)에 응답하여 카운팅 동작을 수행하고, 도 5 (c)에 도시된 카운팅된 결과를 임계값 비교부(62)로 출력한다. 즉, 상/하향 카운터(60)는 도 5 (a)에 도시된 EFM 신호가 '고' 논리 레벨이면 '1'만큼 상향 카운팅하고, EFM 신호가 '저' 논리 레벨이면 '1'만큼 하향 카운팅한다. 이와 같이 카운팅된 값은 임의의 평균값으로 수렴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선택 신호 발생부(14)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전술한 에러 정정부(미도시)로부터 입력한 에러 정정 플래그 또는 EFM 플래그 발생부(16)로부터 발생된 EFM 플래그의 발생 횟수에 응답하여 선택 신호(S)를 발생한다. 여기서, 에러 정정부(미도시)는 EFM 복조부(미도시)에서 EFM 복조된 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량에 상응하여 에러 정정 플래그를 발생한다. 즉, 에러 정정부(미도시)는 EFM 복조된 데이타에 오류가 존재하면 에러 정정 플래그를 발생한다. 에러 정정 플래그를 사용하는 이유는, EFM 복조된 8비트의 데이타를 이용하여 에러 정정이 수행되기 때문이다.
또한, EFM 플래그 발생부(16)는 EFM 복조부(미도시)에서 EFM 신호를 복조할 때 사용되지 않은 비트 패턴에 상응하여 EFM 플래그를 발생하고 이를 선택 신호 발생부(14)로 출력한다. 즉, EFM 복조부(미도시)는 14비트의 EFM 데이타 즉, 채널 비트 데이타를 입력하여 8비트의 심볼 데이타로 복조하는데, 이는 214(=16384)가지의 데이타들중 28(=256)가지 데이타만 유효한 데이타로 이용함을 의미한다. 즉, 214-28=16128가지의 데이타는 불필요한 데이타 즉, 패턴 변환되지 않은 데이타로 간주되며, EFM 플래그 발생부(16)는 이러한 불필요한 데이타에 상응하여 EFM 플래그를 발생한다.
전술한, EFM 플래그 발생부(16) 및 디지탈 합 값 계산부(12)는 EFM 복조부(미도시)에 내장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EFM 신호 발생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EFM 신호 발생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EFM 신호 발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소정 시간이 경과된 후 RF 신호에 따라 생성된 EFM 신호의 왜곡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제90 ∼ 제94 단계), 왜곡 상태에 따라 오프셋을 보정하거나 왜곡의 상태를 재 판정하여 RF 신호를 EFM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제96 ∼ 제108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선택 신호 발생부(14)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블럭도로서, 제1 및 제2 카운터들(120 및 126), 제2 및 제3 비교기들(122 및 128), OR 게이트들(124 및 130)로 구성된다.
도 6 및 7들을 참조하면,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90 단계). 여기서, 제1 소정 시간(T1)은 프레임 동기 신호(Fsync)의 단위 주기(TFRAME)에 해당할 수 있고, 단위 블럭 시간에 해당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위 블럭 시간이란, 98*TFRAME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OR 게이트(130)는 프레임 동기 신호와 선택 신호(S)를 논리합하고, 논리합한 결과를 제1 카운터(120)로 출력하고,제1 카운터(120)는 리셋 단자(RESET)로 입력되는 OR 게이트(130)의 출력에 응답하여 시스템 클럭 신호(CK)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결과를 제2 비교기(122)로 출력한다. 제2 비교기(122)는 제1 카운터(120)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소정 시간(T1)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OR 게이트(124)로 출력한다.
만일, 제1 소정 시간(T1)이 경과되었으면, 전술한 EFM 플래그 또는 에러 정정 플래그를 카운팅한다(제92 단계). 이를 위해, OR 게이트(124)는 제2 비교기(122)에서 비교된 결과와 선택 신호(S)를 논리합하고, 논리합한 결과를 제2 카운터(126)의 리셋 단자(RESET)로 출력하고, 제2 카운터(126)는 OR 게이트(124)의 출력에 응답하여 입력단자 IN2를 통해 입력되는 에러 정정 플래그나 EFM 플래그를 카운팅한다. 즉, 제1 카운터(120)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소정 시간(T1)이면 제2 비교기(122)로부터 출력되는 '고' 논리 레벨의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2 카운터(126)는 리셋된 후 입력단자 IN4를 통해 입력되는 에러 정정 플래그나 EFM 플래그를 카운팅한다.
제92 단계후에, 카운팅된 결과가 제1 소정값(N1) 보다 적은가를 판단한다(제94 단계). 이를 위해, 제3 비교기(128)는 제2 카운터(126)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제1 소정값(N1)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선택 신호(S)로서 출력한다. 만일, 제2 카운터(126)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1 소정값(N1)보다 적으면, 현재 방식에 따라 RF 신호를 EFM 신호로 변환한다(제108 단계). 이를 위해, 제2 카운터(126)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1 소정값(N1)보다 적으면 제3 비교기(128)는 '저' 논리 레벨의 선택 신호(S)를 발생하고, 제1 소정값(N1)보다 적지 않으면 '고'논리 레벨의 선택 신호(S)를 발생한다고 가정할 때, 도 1에 도시된 데이타 슬라이싱부(10)는 '저' 논리 레벨의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현재 RF 신호를 EFM 신호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방식이 그대로 사용되도록 한다. 즉, 데이타 슬라이싱부(10)에서,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가 현재 슬라이싱 되면 '저' 논리 레벨의 레벨의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제1 선택기(46)는 증폭기(4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슬라이싱 기준 레벨을 선택하고,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가 현재 슬라이싱 되면 '저' 논리 레벨의 레벨의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제1 선택기(46)는 가산기(44)로부터 출력되는 제2 슬라이싱 기준 레벨을 선택한다.
그러나, 카운팅된 결과가 제1 소정값(N1)보다 적지 않으면, 제2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한다(제96 단계). 이를 위해, 제2 카운터(126)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1 소정값(N1)보다 적지 않으면, 제3 비교기(128)는 '고' 논리 레벨의 선택 신호(S)를 발생하여 제1 및 제2 카운터들(120 및 126)을 리셋한다. 여기서 제2 소정 시간(T2)은 제1 소정 시간(T1)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만일, 제2 소정 시간(T2)이 경과되었으면, 제3 슬라이싱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조정할 것인가를 판단한다(제98 단계). 제3 슬라이싱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조정하지 않을 것이면 제102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제3 슬라이싱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조정할 것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오프셋 보정부(24)에 의해 마련된 값 즉, 가산기(56)로부터 출력되는 값이 제1 또는 제2 슬라이싱 기준 레벨들의 생성에 반영되어 제3 슬라이싱 기준 레벨의 오프셋이 보정된다(제100 단계).
제100 단계 또는 오프셋을 보정하지 않을 경우, 에러 정정 플래그나 EFM 플래그를 카운팅한다(제102 단계). 제102 단계후에, 제102 단계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2 소정값(N2)보다 적은가를 판단한다(제104 단계). 만일, 제102 단계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2 소정값(N2)보다 적으면 제108 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제102 단계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2 소정값(N2)보다 적지 않으면, EFM 신호를 발생시키는 현재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에 따라 RF 신호를 EFM 신호로 변환한다(제106 단계).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정할 때, 제1 슬라이싱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가 현재 슬라이싱될 때,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제1 선택기(46)는 제2 슬라이싱 기준 레벨을 선택하고,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RF 신호가 현재 슬라이싱 될 때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제1 선택기(46)는 제1 슬라이싱 기준 레벨을 선택한다.
여기서, 제96, 제102 및 제104 단계들은 전술한 제90, 제92 및 제94 단계와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된 회로에서 수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은 디스크의 결함에 따라 왜곡된 EFM 신호 또는 에러량의 상태를 통해 각기 다른 방식으로 EFM 신호를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결함이 복합적으로 존재할 때에도 EFM 신호를 정확하게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서, 광 디스크로부터 재생된 알.에프.(RF) 신호를 이.에프.엠(EFM) 신호로 변환하는 EFM 신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의 어시메트리를 보정하여 생성한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 및 상기 RF 신호의 피크 및 버텀 포락선들과 상기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를 이용하여 생성한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중 하나를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선택하고, 상기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RF 신호를 슬라이싱하고, 슬라이싱된 결과를 상기 EFM 신호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슬라이싱부;
    에러 정정 플래그 또는 EFM 플래그의 발생 횟수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선택 신호 발생부; 및
    상기 EFM 신호를 복조할 때 사용되지 않은 비트 패턴에 상응하여 상기 EFM 플래그를 출력하는 EFM 플래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에러 정정 플래그는 EFM 복조된 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량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슬라이싱부는
    상기 RF 신호로부터 상기 피크 포락선을 검출하는 피크 포락선 검출부;
    상기 RF 신호로부터 상기 버텀 포락선을 검출하는 버텀 포락선 검출부;
    상기 피크 포락선으로부터 상기 버텀 포락선을 감산하는 제1 감산기;
    상기 제1 감산기의 출력을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1 저역 통과 필터;
    상기 EFM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링하는 제2 저역 통과 필터;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을 소정 레벨 만큼 증폭하고, 증폭된 결과를 상기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제1 저역 통과 필터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증폭기의 출력을 감산하는 제2 감산기;
    상기 제2 감산기에서 감산된 결과를 상기 제1 감산기에서 감산된 결과와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상기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출력하는 제1 가산기;
    상기 제1 슬라이스 기준 레벨 및 상기 제2 슬라이스 기준 레벨중 하나를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로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선택기; 및
    상기 제1 선택기의 출력과 상기 RF 신호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상기 EFM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1 비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EFM 신호 발생 장치는
    상기 EFM 신호의 논리 레벨에 상응하여 카운팅한 값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정 임계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디지탈 합 값으로서 출력하는 디지탈 합 값 계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데이타 슬라이싱부는 상기 디지탈 합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3 슬라이스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슬라이싱부는
    상기 디지탈 합 값을 적분하는 적분기;
    상기 적분기의 출력과 기준 레벨중 하나를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선택기;
    상기 제1 비교기의 출력과 상기 기준 레벨중 하나를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3 선택기;
    상기 제2 선택기의 출력과 상기 제3 선택기의 출력을 가산하고, 가산된 결과를 상기 제2 저역 통과 필터로 상기 제1 비교기로부터 출력되는 EFM 신호 대신에 출력하는 제2 가산기; 및
    상기 적분기의 출력과 상기 RF 신호 사이에 마련되는 저항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5. 제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신호 발생부는
    프레임 동기 신호 또는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시스템 클럭 신호를 카운팅하는 제1 카운터;
    상기 제1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제1 소정값과 비교하는 제2 비교기;
    상기 제2 비교기에서 비교된 결과 또는 상기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에러 정정 플래그나 상기 EFM 플래그를 카운팅하는 제2 카운터; 및
    상기 제2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결과를 제2 소정값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를 상기 선택 신호로서 출력하는 제3 비교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6.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에서, 알.에프.(RF) 신호를 이.에프.엠.(EFM) 신호로 변환하는 EFM 신호 발생 방법에 있어서,
    (a) 제1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플래그를 카운팅하는 단계;
    (c) 카운팅된 결과가 제1 소정값 보다 적은가를 판단하는 단계;
    (d) 상기 카운팅된 결과가 상기 제1 소정값보다 적으면, 현재 방식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상기 EFM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e) 상기 카운팅된 결과가 상기 제1 소정값보다 적지 않으면, 제2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계속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플래그를 카운팅하는 단계;
    (g) 상기 (f) 단계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제2 소정값보다 적은가를 판단하여, 적으면 상기 (d)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h) 상기 (f) 단계에서 카운팅된 결과가 상기 제2 소정값보다 적지 않으면, 상기 현재 방식 이외의 다른 방식에 따라 상기 RF 신호를 상기 EFM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그는 상기 EFM 신호를 복조할 때 사용되지 않은 비트 패턴 또는 상기 EFM 복조된 신호에 존재하는 에러량에 상응하여 발생되고,
    상기 현재 방식 또는 상기 다른 방식은, 상기 RF 신호의 어시메트리를 보정하여 생성한 슬라이스 기준 레벨이나 상기 RF 신호의 피크 및 버텀 포락선들을 이용하여 생성한 슬라이스 기준 레벨을 기준으로 상기 RF 신호를 슬라이싱하여 상기 EFM 신호를 구하는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EFM 신호 발생 방법은
    (i) 상기 제2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슬라이싱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할 것인가를 판단하여 보정하지 않을 것이면 상기 (f)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및
    (j) 상기 오프셋을 보정할 것이면, 상기 슬라이싱 기준 레벨의 오프셋을 보정하고 상기 (f)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f) 단계는 상기 (i) 또는 상기 (j) 단계후에, 상기 플래그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방법.
KR1019990010275A 1999-03-25 1999-03-25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0304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275A KR100304704B1 (ko) 1999-03-25 1999-03-25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US09/476,567 US6396787B1 (en) 1999-03-25 2000-01-03 Eight-to-fourteen modulation (EFM) signal generation in optical disk reproducing system using EFM demodulated signal error correction fla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0275A KR100304704B1 (ko) 1999-03-25 1999-03-25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1318A KR20000061318A (ko) 2000-10-16
KR100304704B1 true KR100304704B1 (ko) 2001-09-26

Family

ID=1957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0275A KR100304704B1 (ko) 1999-03-25 1999-03-25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96787B1 (ko)
KR (1) KR100304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2320B1 (en) * 2000-04-28 2004-05-04 Promos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roved error correction in optical media data processing
KR100416594B1 (ko) * 2001-04-11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구동기에 있어서 알에프 신호의 슬라이스 및슬라이스 레벨 보상 장치와 그 방법
TW594700B (en) * 2002-06-07 2004-06-21 Mediatek Inc Method for performing DSV protection on EFM/EFM+ encoding system and its device
KR100475091B1 (ko) * 2002-08-30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슬라이서 및 그 방법
CN100392740C (zh) * 2002-09-24 2008-06-04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对编码系统做数字总和值保护的方法及装置
TWI266292B (en) * 2004-03-03 2006-11-11 Via Tech Inc An EFM data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disk system
KR100674930B1 (ko) * 2004-12-31 200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선 푸시-풀 신호를 이용하여 efm 신호를 발생하는장치 및 방법
US7567491B1 (en) * 2005-07-25 2009-07-28 Marvell International Ltd. Slicer bias loop
US7852720B2 (en) * 2005-08-31 2010-12-14 Mediatek Inc. Write strategy setting apparatus utilizing shared storage unit and method thereof
JP4896222B2 (ja) * 2007-06-29 2012-03-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JP2009277298A (ja) * 2008-05-15 2009-11-26 Renesas Technology Corp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ディジタル信号記録装置及び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741A (ja) * 1992-12-16 1994-07-08 Taiyo Yuden Co Ltd 光ディスク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223527A (ja) * 1993-01-29 1994-08-12 Ricoh Co Ltd Cd−rディスク欠陥検査機
KR19980039973A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광디스크 시스템의 재생 장치
KR19980039962A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광디스크 시스템의 재생 장치
KR19990011063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전 주기 보상 기능을 갖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0554B2 (ja) * 1985-02-08 1994-10-12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2値化信号発生回路
EP0725397B1 (en) * 1995-01-31 1999-09-15 Canon Kabushiki Kaisha Write test method for pit edge recording method an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test method
JP2723818B2 (ja) * 1995-03-28 1998-03-09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バースト信号受信装置
JP3123591B2 (ja) * 1995-12-20 2001-01-15 富士通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KR100307588B1 (ko) * 1998-07-20 2001-10-19 윤종용 데이터 슬라이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7741A (ja) * 1992-12-16 1994-07-08 Taiyo Yuden Co Ltd 光ディスクの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223527A (ja) * 1993-01-29 1994-08-12 Ricoh Co Ltd Cd−rディスク欠陥検査機
KR19980039973A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광디스크 시스템의 재생 장치
KR19980039962A (ko) * 1996-11-28 1998-08-17 배순훈 광디스크 시스템의 재생 장치
KR19990011063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전 주기 보상 기능을 갖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96787B1 (en) 2002-05-28
KR20000061318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21472B2 (ja) 異常波形検出回路および情報再生装置
KR100304704B1 (ko) 광 디스크 재생 시스템의 efm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EP1017053B1 (en) Data reproduction apparatus for optical disc system
EP1003168A2 (en) Apparatus for correcting asymmetry of reproduction signals
US6581181B1 (en) Dominant error correction circuitry for a Viterbi detector
US5848040A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JPH0620388A (ja) ディジタル情報再生装置
KR100906472B1 (ko) 다중 검출기를 이용한 광기록매체 데이터 재생 장치
US5185679A (en) Inversion phenomenon preventing circuit
US20040213123A1 (en) Information memory and reproduction device
US64269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ymmetry control
KR100249224B1 (ko) 미로신호 검출방법 및 장치
JP3305344B2 (ja) 光学式記録媒体を用いた情報記録再生装置
US7321639B2 (en) Demodulator and address information extractor
KR100561454B1 (ko) 시간 지연을 보상한 재생 신호 검출방법 및 그 회로
JP3430831B2 (ja) 雑音除去回路
JP3736337B2 (ja) 信号再生回路
US74439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data recorded on optical disc
JP3428499B2 (ja) ディジタル信号再生装置
US8441910B1 (en) System and method of adjusting gain and offset loops in data storage system
KR19990011990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정형기
JPH0714307A (ja) 記録情報再生回路
KR19990019820A (ko) 광디스크 손상에 대한 데이터손실 방지회로
JPH04315876A (ja) データ再生処理装置
JPH0845185A (ja) 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