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1294B1 -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1294B1
KR100301294B1 KR1019990034435A KR19990034435A KR100301294B1 KR 100301294 B1 KR100301294 B1 KR 100301294B1 KR 1019990034435 A KR1019990034435 A KR 1019990034435A KR 19990034435 A KR19990034435 A KR 19990034435A KR 100301294 B1 KR100301294 B1 KR 100301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uffer
clock
unit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18469A (en
Inventor
강순석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3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1294B1/en
Publication of KR2001001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46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1294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전송 시스템에서 바이트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입력된 비트 단위의 데이터와 클럭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고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유실이 방지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양을 증/감시키는 데이터유실 방지부와; 상기 데이터유실 방지부에서 속도가 증가된 데이터를 버퍼에 보관하면서 스터핑 관리를 수행하여 원하는 포맷에 맞게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스터핑 관리부로 구성하여, 바이트단위로 데이터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비트단위로 처리시 발생하는 열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슬립을 방지하며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cess data in the unit of byte in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input data and the clock of the unit of the unit of byte and the amount of data in the state that the loss of data is prevented by using the buffer An increase / decrease data loss prevention unit;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is composed of a stuffing management unit that outputs data and a clock according to a desired format by performing stuffing management while storing the data having increased speed in a buffer, and performing data processing by byte unit to process by bit unit. It can reduce the heat generated, prevent data slip and can process data at high speed.

Description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광전송 시스템의 버퍼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이트단위로 데이터처리를 수행하여 비트단위로 처리시 발생하는 열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슬립을 방지하며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ffer processing apparatus of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perform data processing in units of bytes, thereby reducing heat generated when processing in units of bits, preventing data slip, and making it suitable for processing data at high speed. A byte uni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 system.

일반적으로 PDH(Plei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유사동기 디지털 계위) 신호인 DS3/E3 신호가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동기 디지털 계위) 신호인 AU3/TU3 신호로 변환되려면, 클럭의 차이 때문에 FIFO(First In First Out, 선입선출)라는 매개체의 사용이 불가피하다. FIFO는 서로 다른 클럭을 가진 신호들의 변환 매개체로도 사용되는데, 이를 Elastic 버퍼라고 부르기도 한다.In order for a DS3 / E3 signal, typically a Plei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signal, to be converted to an AU3 / TU3 signal, which is a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SDH) signal, the first in first out First-in, first-out) is inevitable. The FIFO is also used as a translation medium for signals with different clocks, also called elastic buffers.

도1은 종래 광전송 시스템의 비트단위 버퍼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bit unit buffer process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45Mhz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프리런 카운터(1)와; 입력된 51Mhz의 클럭을 카운트하는 리드 카운터(2)와; 상기 프리런 카운터(1)에서 라이트 어드레스를 읽고 상기 리드 카운터(2)에서 리드 어드레스를 읽어 카운터의 최대값이 채워졌는지 판단하는 채워짐 판단부(3)와; 51Mhz의 클럭을 입력받아 AU3/TU3 포맷을 생성하는 AU3/TU3 포맷 생성부(4)와 상기 채워짐 판단부(3)와 AU3/TU3 포맷 생성부(4)의 출력을 논리합하는 논리합 소자(5)와; 입력된 45Mhz의 클럭에 따라 DS3/E3 데이터를 비트단위로 읽고 상기 논리합 소자의 리드 인에이블 신호에 따라 51Mhz의 클럭으로 데이터가 읽히도록 하는 버퍼(6)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a free run counter 1 for counting an input clock of 45 MHz; A read counter 2 for counting an input clock of 51 MHz; A filling determination unit (3) which reads a write address from the free run counter (1) and reads a read address from the read counter (2) to determine whether the maximum value of the counter is filled; An AU3 / TU3 format generation unit 4 for receiving a 51 MHz clock to generate an AU3 / TU3 format, and a logical sum element 5 for ORing the outputs of the filling determination unit 3 and the AU3 / TU3 format generation unit 4. Wow; The buffer 6 is configured to read DS3 / E3 data bit by bit according to an input 45 Mhz clock and read data using a 51 Mhz clock according to the read enable signal of the logical sum element.

이러한 종래 장치의 구성을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such a conventional apparatus will be described again as follows.

먼저, 종래의 버퍼를 이용한 기술은 비트 단위의 신호처리가 중심이다.First, in the conventional buffer technology, signal processing in units of bits is the center.

그래서 버퍼(6)에 데이터를 라이트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45Mhz에 따라 들어오는 DS3/E3 신호를 버퍼(6)에 저장한다. 이때 128의 프리런 카운터(1)를 사용하여 버퍼(6)에 들어간 데이터의 위치를 알아야 한다. 그래서 1클럭마다 프리런 카운터(1)는 카운트 값을 하나씩 증가시키고, 버퍼(6)에 1비트씩 라이트한다. 그리고 128클럭이 되면, 프리런 카운터(1)는 다시 처음부터 카운팅을 수행하여 카운트 값을 하나씩 증가시키고 버퍼(6)는 DS3/E3 데이터를 1비트씩 계속 라이트하게 되고, 프리런 카운터(1)는 라이트 어드레스 신호를 채워짐 판단부(3)로 전송하게 된다.Thus, the process of writing data to the buffer 6 is as follows. That is, it stores the incoming DS3 / E3 signal in the buffer (6) at 45Mhz.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data entered into the buffer 6 should be known using the 128 free run counter 1. Thus, every one clock, the free run counter 1 increments the count value by one and writes one bit into the buffer 6. When the clock reaches 128, the free run counter 1 counts again from the beginning to increase the count value by one, and the buffer 6 continuously writes the DS3 / E3 data by one bit, and the free run counter 1 Transmits the write address signal to the filling determination unit 3.

그리고 버퍼(6)에서 읽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AU3/TU3 프레임 구조에 맞추어서 리드 카운터(2)를 만든다. 만든 리드 카운터(2)의 값에 따라 그 카운트 값(리드 어드레스)에 맞는 데이터를 버퍼(6)에서 읽어낸다. 이 읽어낸 값에 오버헤드(poh)를 붙이면 AU3/TU3 신호가 생성된다.The process of reading from the buffer 6 is as follows. That is, the read counter 2 is made in accordance with the AU3 / TU3 frame structure. The buffer 6 reads out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count value (lead address) according to the read counter 2 produced. The overhead (poh) is added to the read value to generate an AU3 / TU3 signal.

또한 버퍼(6)를 제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채워짐 판단부(3)는 프리런카운터(1)에서 버퍼(6)에 라이트되는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받고, 리드 카운터(2)에서 버퍼(6)에서 리드하는 어드레스를 받는다. 그리고 두 어드레스의 차이가 버퍼의 중간 지점인 64보다 커지면 리드 카운트(2)의 1비트를 더 읽어서 버퍼 레벨이 올라가지 못하도록 한다. (버퍼 레벨은 항상 올라가는 방향이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controlling the buffer 6 is as follows. That is, the filling determination unit 3 receives the address of the data written to the buffer 6 in the free run counter 1 and the address read from the buffer 6 in the read counter 2.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ddresses is larger than 64, which is the middle point of the buffer, one more bit of the read count 2 is read to prevent the buffer level from increasing. (The buffer level is always going up.)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버퍼(6)에 쓰기 위해서는 45Mhz 클럭으로 동작하는 128개의 어드레스는세는 프리런 카운터(1)의 값에 따라서 데이터를 버퍼에 저장한다. 이 버퍼는 입력 클럭과 출력 클럭의 주파수가 다를 때 사용하는 버퍼로서, 버퍼(6)를 통과한 데이터의 크기는 줄어든다. 128단의 버퍼(6)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개체로서 데이터 하나를 버퍼에 쓰면 라이트 어드레스가 1씩 증가하고, 데이터를 하나씩 읽으면 리드 어드레스가 하나씩 증가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러므로 읽는 속도를 조절하면 데이터의 유실 없이 AU3/TU3 프레임을 맵핑할 수 있다.First, in order to write to the buffer 6, the 128 addresses operating at a 45 MHz clock store data in the buffer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free-run counter 1. This buffer is used when the frequency of the input clock and the output clock is different, and the size of data passing through the buffer 6 is reduced. The 128-stage buffer 6 is a medium for storing data. When one data is written to the buffer, the write address is increased by 1, and when the data is read one by one, the read address is increased by one. Therefore, by adjusting the read speed, you can map AU3 / TU3 frames without losing data.

그리고 버퍼(6)에서 읽기 위해서 논리합 소자(5)에서 들어온 리드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이면 버퍼의 리드 어드레스를 1 증가시키면서 버퍼(6)에 있는 데이터 중에서 그 전 어드레스의 값을 뽑아낸다. 이때 나온 데이터들은 크기가 1클럭인 것 뿐만 아니라 여러 클럭 짜리도 있고, 또한 AU3/TU3 프레임 구조와도 일치하지 않는다. 그러나 51MHz 클럭에 맞추어져 있으므로 poh나 pointer 등을 쉽게 붙일 수 있다. poh나 pointer를 붙이면 완전한 AU3/TU3 신호가 나온다.When the read enable signal input from the OR circuit 5 is high for reading from the buffer 6, the previous address is extracted from the data in the buffer 6 while increasing the read address of the buffer by one. The resulting data is not only one clock in size, but also in multiple clocks, and does not match the AU3 / TU3 frame structure. However, since it is set to the 51MHz clock, it is easy to attach poh or pointer. Attaching a poh or pointer produces a complete AU3 / TU3 signal.

또한 버퍼(6)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버퍼(6)의 어드레스들을 AU3 신호를 기준으로 1 서브프레임 마다 한 번씩 래치한다. 그래서 그 결과값이 64 이상이면 stuff enable(채워짐 인에이블) 신호값을 '1' 아니면 '0'으로 만든다. Stuff enable 신호의 값이 '1'이라는 말은 버퍼(6)에서 1 비트의 데이터를 평소보다 더 읽으라는 의미이므로 버퍼(6)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할 수 있다. 이 stuff enable 신호와 원래의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결합하면 대략 AU3한 서브프레임에 621 또는 622 비트의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the buffer 6, the addresses of the buffer 6 are latched once per subframe based on the AU3 signal. So if the result is 64 or higher, make the stuff enable signal value '1' or '0'. When the value of the stuff enable signal is '1', it means that one bit of data is read from the buffer 6 more than usual, so that the overflow of the buffer 6 can be prevented. Combining this stuff enable signal with the original read enable signal can read 621 or 622 bits of data into approximately AU3 subframe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비트 단위에서 동작을 하기 때문에 열이 많이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a lot of heat is generated because the operation in the bit unit.

또한 51MHz의 고속에서는 신호를 처리해야할 시간 간격이 매우 좁으므로, 그 만큼 타이밍 간격이 작아져 데이터 슬립(slip)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단점도 있었다.In addition, at a high speed of 51 MHz, the time interval for processing a signal is very small, and thus, the timing interval is reduced so that a data slip may occur.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트단위로 데이터처리를 수행하여 비트단위로 처리시 발생하는 열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슬립을 방지하며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data processing in units of bytes to reduce heat generated during processing in units of bits, to prevent data slip, and to achieve high spe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yte-based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processing data.

도1은 종래 광전송 시스템의 비트단위 버퍼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고,1 is a block diagram of a bit unit buffer process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optical transmission system,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며,2 is a block diagram of a byte-based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서 제1 제어발생부의 상세구성도이고,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control generation unit in FIG. 2;

도4는 도2에서 제2 제어발생부의 상세구성도이다.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control generator in FIG. 2.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데이터유실 방지부 11 : 클럭변환부10: data loss prevention unit 11: clock conversion unit

12 : 제1 제어생성부 13 : 제1 버퍼12: first control generator 13: first buffer

20 : 스터핑 관리부 21 : 제2 제어생성부20: stuffing management unit 21: second control generation unit

22 : 제2 버퍼22: second buff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byte uni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입력된 비트 단위의 데이터와 클럭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고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유실이 방지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속도를 증/감시키는 데이터유실 방지부와; 상기 데이터유실 방지부에서 속도가 증가된 데이터를 버퍼에 보관하면서 스터핑 관리를 수행하여 원하는 포맷에 맞게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스터핑 관리부로 이루어짐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A data loss prevention unit converting the input bit unit data and the clock unit into byte units and increasing / decreasing the speed of data in a state where data loss is prevented using a buffer; The technical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is made of a stuffing management unit for outputting the data and the clock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d format by performing the stuffing management while storing the data of the increased speed in the buffer.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byte uni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byte-based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비트 단위의 데이터와 클럭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고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유실이 방지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속도를 증/감시키는 데이터유실 방지부(10)와; 상기 데이터유실 방지부(10)에서 속도가 증가된 데이터를 버퍼에 보관하면서 스터핑 관리를 수행하여 원하는 포맷에 맞게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스터핑 관리부(20)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a data loss prevention unit 10 converts the input data and the clock in byte units and increases / decreases the speed of data in a state where data loss is prevented by using a buffer;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10 includes a stuffing management unit 20 for outputting data and a clock according to a desired format by performing stuffing management while storing data having an increased speed in a buffer.

상기에서 데이터유실 방지부(10)는, 입력된 비트 단위의 클럭과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클럭변환부(11)와; 제1 버퍼(13)의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버퍼의 레벨을 파악하고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의 차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 제어생성부(12)와; 상기 제1 제어생성부(12)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럭변환부(11)의 데이터와 클럭을 입력받고 증가된 속도로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제1 버퍼(13)로 구성된다.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10 includes a clock converter 11 for converting an input clock and data in a unit of bits into units of bytes; A first control generation unit 12 for comparing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of the first buffer 13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buffer and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A first buffer 13 receives the data and the clock of the clock converter 11 and outputs the data and the clock at an increased spe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 generator 12.

상기에서 스터핑 관리부(20)는, 제2 버퍼(22)의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스터핑을 수행하여 원하는 포맷에 맞게 데이터와 클럭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제어생성부(21)와; 상기 제2 제어생성부(21)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유실 방지부(10)에서 데이터와 클럭과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원하는 포맷의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제2 버퍼(22)로 구성된다.The stuffing manager 20 may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comparing a write address and a read address of the second buffer 22 and perform stuffing to output data and a clock according to a desired format. 21);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10 receives a data, a clock, and a control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generator 21, and is configured as a second buffer 22 for outputting data and a clock in a desired format.

도3은 도2에서 제1 제어발생부의 상세구성도이다.FIG. 3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rst control generation unit in FIG. 2.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을 입력받아 데이터유실없이 데이터를 읽을 수있도록 필요한 간격만큼을 카운트하는 카운터(31)와; 상기 카운터(31)로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생성수단(32)과; 상기 제1 버퍼(13)에서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읽어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32)에서 출력되는 래치신호에 따라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클럭의 포지티브 고잉(Positive Going)과 네가티브 고잉(Negative Going) 때 래치하는 래치 수단(33)과; 상기 래치 수단(33)에서 래치한 값에서 라이트-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리드 어드레스 버퍼의 값을 구하는 값추출 수단(34)과; 상기 값추출 수단(34)에서 구해진 값을 입력받아 상기 카운터(31)로 스터핑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터핑신호 생성수단(35)과; 상기 스터핑신호 생성수단(35)의 출력과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32)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와 데이터 출력의 위상을 보상하는 보상수단(36)과;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32)의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리드 어드레스와 한 바이트에 포함될 비트수를 계산하는 계산수단(37)과; 상기 계산수단(37)에서 출력된 결과를 받아 8비트 각각의 어드레스를 결정하여 제1 버퍼(13)에 저장된 비트 단위의 데이터가 바이트 단위로 순서대로 맵핑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결정수단(38)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a counter 31 receives a clock and counts a necessary interval so that data can be read without data loss; Enable generation means (32) for generating an enable signal to the counter (31);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of the clock are read from the first buffer 13 according to the latch signal output from the enable generating means 32. The positive and negative goings of the clock are positive and negative. Latch means 33 for latching when; Value extracting means (34) for obtaining a value of a write read address and a write read address buffer from the value latched by the latch means (33); Stuffing signal generating means (35) for receiving the value obtained by the value extracting means (34) to generate and output a stuffing enable signal to the counter (31); Compensation means (36)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tuffing signal generating means (35) and the output of the enable generating means (32) to compensate for the phases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data output; Calculation means (37) for receiving the read enable signal of the enable generating means (32) and calculating a read address and the number of bits to be included in one by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ddress determination means 38 for receiving a result output from the calculation means 37 and determining an address for each of 8 bits so as to output a signal for mapping the data of the bit unit stored in the first buffer 13 in order of the byte unit. It is composed of

도4는 도2에서 제2 제어발생부의 상세구성도이다.FIG.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cond control generator in FIG. 2.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을 입력받아 일정한 간격의 카운트 값을 출력하는 카운트(41)와; 상기 카운트(41)에서 출력되는 카운트 값에 따라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생성수단(42)과; 상기 제1 제어생성부(12) 내의 보상수단(36)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라이트 어드레스와 한 바이트에포함될 바이트수를 계산하는 라이트 계산수단(43)과; 상기 라이트 계산수단(43)에서 받은 신호로 8 비트 각각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결정수단(44)과;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결정수단(44)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2 버퍼(22)의 값을 순서대로 맵핑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맵핑 결정수단(45)과;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42)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리드 어드레스와 한 바이트에 포함될 바이트수를 계산하는 리드 계산수단(46)과; 상기 리드 계산수단(46)에서 받은 신호로 8 비트 각각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리드 어드레스 결정수단(47)과; 상기 라이트 및 리드 계산수단(43)(46)에서 출력되는 라이트-리드 어드레스를 클럭의 포지티브 고잉 때 래치하는 래치수단(48)과; 상기 래치수단(48)에서 래치한 값에서 라이트-리드 어드레스를 구하는 값추출 수단(49)과; 상기 값추출 수단(49)에서 구해진 값을 입력받아 리드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리드 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50)과;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50)에서 리드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스터프 인에이블 및 체이스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체이스수단(51)과; 상기 체이스수단(51)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버퍼(22)에서 데이터를 어드레스 버스의 값에 따라 값을 순서대로 맵핑한 결과를 입력받아 오버헤드 자리에 알맞은 값을 채워 원하는 포맷의 데이터를 만들어 출력하는 출력수단(52)으로 구성된다.As shown therein, a count 41 for receiving a clock and outputting a count value at regular intervals; Enable generating means (42) for generating an enabl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unt value output from said count (41); Write calculation means (43)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compensation means (36) in the first control generator (12) and calculating the write address and the number of bytes to be included in one byt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rite address determination means (44) for determining the address of each of the eight bits by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rite calculation means (43); Mapping determination means (45) for outputting a signal for mapping the values of the second buffer (22) in order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write address determination means (44); Read calculation means (46) for receiving an output of the enable generating means (42) and calculating a read address and the number of bytes to be included in one by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ad address determination means (47) for determining the address of each of the eight bits by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ad calculation means (46); Latch means (48) for latching the write-read address output from the write and read calculation means (43) (46) when the clock is positively gotten; Value extracting means (49) for obtaining a write-read address from the value latched by said latching means (48); Read enable signal generation means (50) for receiving a value obtained by said value extracting means (49) to generate a read enable control signal; A chase means (51) for receiving a read enable control signal from the read enable signal generating means (50) and generating a stuff enable and chase enable signal; The output of the chase means 51 is input, and the second buffer 22 receives the result of mapping the data in order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address bus. It is composed of an output means 52 for making and output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byte-based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데이터유실 방지부(10)는 들어오는 45MHz의 신호와 클럭을 5MHz의 데이터와 클럭으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45MHz의 데이터를 45MHz 클럭으로 쳐서 버퍼에서 처리하려면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다. 첫째 열이 많이 발생하고, 둘째 빠른 클럭으로 인한 데이터의 유실이 우려되며, 셋째 전력을 많이 소모하게 된다. 그래서 비트 단위의 처리는 이러한 여러 가지 위험성을 내포하므로 바이트 단위의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45MHz의 신호의 5MHz의 바이트 단위로 클럭변환부(11)에서 바꾼다.First,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10 converts an incoming 45 MHz signal and clock into a 5 MHz data and clock. Here, 45 MHz of data is hit by a 45 MHz clock and processed in a buffer. Firstly, a lot of heat is generated, and secondly, the data is lost due to a fast clock, and thirdly, a lot of power is consumed. Therefore, the bit-wise processing implies such various risks, so that the clock converter 11 changes the data in the 5-MHz byte of the 45-MHz signal for the byte-based data processing.

이렇게 변환된 데이터를 5MHz의 클럭에 맞추어 제1 버퍼(13)에 무조건 넣는다. 제1 버퍼(13)에 들어오는 DS3/E3 신호는 모두 데이터이므로(reserved bit 또는 stuff bit가 아니다) 한 바이트라도 유실되면 데이터가 깨지게 된다. 그리고 제1 버퍼(13)는 외부에서 들어온 제어 신호에 맞추어 읽어 나가는 개수를 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외부의 제어신호는 제1 버퍼(13)가 자체적으로 생산한 신호이다. 제1 버퍼(13)는 버퍼의 레벨을 5MHz로 8번마다 점검하는데, 버퍼 레벨이 32 이상이면 버퍼에서 읽을 때 1 비트를 더 읽으라는 신호를 만든다. 이 신호와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조합하여 읽는 개수는 6MHz 한 클럭에 8비트, 1비트, 0비트가 될 수 있다.The data thus converted is unconditionally put into the first buffer 13 at a clock of 5 MHz. Since all of the DS3 / E3 signals entering the first buffer 13 are data (not reserved bits or stuff bits), if any byte is lost, the data is broken. The first buffer 13 determines the number of readings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The external control signal referred to here is a signal produced by the first buffer 13 itself. The first buffer 13 checks the level of the buffer every 8 times at 5 MHz. When the buffer level is 32 or more, the first buffer 13 generates a signal to read one more bit when reading from the buffer. The combination of reading this signal and the read enable signal can be 8 bits, 1 bit, and 0 bits in one 6MHz clock.

그리고 제1 제어생성부(12)는 읽는 어드레스와 쓰는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버퍼의 레벨을 알아내고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의 차이가 벌어지면 좁아지는 방향으로, 넓어지면 벌어지는 방향으로 제어신호를 만들어낸다. 알아낸 버퍼의 레벨 차이가 많으면 데이터의 유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리드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일 때에도 데이터를 한 비트 읽어서 버퍼 레벨의 차이는 32가 유지되게 한다.The first control generator 12 compares the read address with the write address to find the level of the buffer, and generates a control signal in a direction narrowing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increases. If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buffer found, there is a possibility of data loss. Therefore, even when the read enable signal is low, data is read one bit so that the difference in the buffer level is maintained at 32.

왜 이렇게 한 비트만 읽어가야 되는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사용되는 버퍼는 64단, 즉 64비트의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5MHz 클럭으로 버퍼에 쓰면 라이트 어드레스는 8씩 증가하며, 6MHz 클럭으로 읽어내면 8씩 감소한다. 그러나 이렇게 계속 읽고 쓰기를 반복하면 같은 시간 동안에 더 많은 데이터가 버퍼에서 빠져 나가게 되므로(6MHz 클럭이 빠르므로) 데이터가 버퍼에 써지기도 전에 읽히는 에러가 발생한다. 들어오는 데이터를 유실없이 6MHz로 변환시키려면 6MHz는 쉬면서 데이터를 읽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문제는 이 읽는 속도를 어떻게 조절하느냐는 것인데, 계산해보면 45MHz 신호가 64 비트 들어올 때 51MHz 신호가 64 비트를 유실없이 읽으려면 약 10.163 비트 간격 만큼 쉬면서 읽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것을 5MHz와 6MHz의 경우로 바꾸어서 생각하면, 5MHz로 8번 쓸 동안에 6MHz는 10번의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10카운터(31)를 이용하여 만들고, 그 중 한 클럭은 무조건 로우, 나머지 클럭은 버퍼의 레벨에 따라 5비트 또는 6비트를 읽게 하면 된다. 그러면 5MHz의 신호가 들어온 간격 동안 6MHz로 나가는 데이터의 개수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The following explains why only one bit should be read. In this case, the buffer used may store data of 64 bits, that is, 64 bits. On the other hand, if you write to the buffer with a 5MHz clock, the write address is increased by 8, and if you read with a 6MHz clock, it is decreased by 8. However, repeating reads and writes will cause more data to be released from the buffer during the same time (the 6MHz clock is faster), resulting in errors being read before the data is written to the buffer. The conclusion is that if you want to convert the incoming data to 6MHz without loss, you have to read the data while the 6MHz is at rest. The problem is how to adjust the reading speed, and the calculations conclude that when a 45 MHz signal comes in 64 bits, the 51 MHz signal must read at about 10.163 bit intervals in order to read without losing 64 bits. If we think of this as the case of 5MHz and 6MHz, 6MHz uses 10 counters (31) to generate 10 lead enable signals during 8 writes at 5MHz, one of which is unconditionally low and the other clock is at the buffer level. Depending on the 5-bit or 6-bit read. This keeps the number of data going out at 6MHz nearly constant during the interval at which the 5MHz signal comes in.

또한 버퍼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 사용하던 제어신호와 6MHz 클럭과 데이터를 제2 버퍼(22)로 보낸다. 데이터유실 방지부(10)의 목적은 5MHz에 맞춰진 데이터를 6MHz에 맞게 변환시키는 것이므로 6MHz의 데이터 중 어떤 것은 한 바이트가 모두 데이터가 아닌 것도 존재하게 된다. 물론 한 바이트 중 몇 비트 만 데이터인 것도 있다. 이러한 사실을 스터핑 관리부(20)에 알려주기 위하여 데이터유실 방지부(10)에서 데이터를 읽을 때 사용했던 제어신호들도 데이터와 같이 스터핑 관리부(20)의제2 버퍼(22)로 보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signal used to read the data from the buffer, the 6MHz clock and the data is sent to the second buffer 22. Since the purpose of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10 is to convert the data matched to 5MHz to 6MHz, some of the data of 6MHz there is also a byte is not all data. Of course, only a few bits of a byte are data. In order to inform the stuffing management unit 20, the control signals used when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10 reads the data should also be sent to the second buffer 22 of the stuffing management unit 20 together with the data.

한편 스터핑 관리부(20)에서는 제1 버퍼(13)에서 받은 클럭과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가지고 제2 버퍼(20)에 데이터를 넣게 된다. 이렇게 제어 신호와 같이 온 데이터를 버퍼에 넣으려면 90카운터(41)가 필요하다. 버퍼의 리드 또는 라이트 어드레스를 알기 위해서는 어드레스를 카운트하는 블록이 필요한데, 이 블록들은 정상적인 경우에는 데이터가 바이트 단위로 들어오므로 카운트 값이 8씩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제어 신호와 같이 들어온 신호들은 한 바이트에 8개의 비트들이 모두 데이터가 아니라는 사실을 가리키므로, 이러한 때의 어드레스 증가를 표시하기 위해서 카운터가 필요하다. 그리고 제1 버퍼(13)는 64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비해, 제2 버퍼(22)는 128 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tuffing manager 20 inserts data into the second buffer 20 with the clock, data, and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first buffer 13. In order to put the on-data like the control signal into the buffer like this, a 90 counter 41 is required. In order to know the read or write address of the buffer, a block for counting an address is required. In the normal case, the data is input in bytes, so the count value is increased by eight. However, the signals coming in together with the control signal indicate the fact that all eight bits in a byte are not data, so a counter is needed to indicate the address increment at this time. The first buffer 13 may store 64 bits of data, whereas the second buffer 22 may store 128 bits of data.

또한 AU3/TU3 프레임 구조에 맞는 인에이블 신호와 제어 신호를 만든다. AU/TU 프레임 구조에 맞추어서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만든다. 제어 신호는 총 5가지가 있는데, Rbit, Sbit, Cbit, POH, read enable 등이다. 그중 리드 인에이블 신호 자리에는 무조건 6MHz 한 클럭에 8비트 데이터가 버퍼에서 나가며 Sbit 자리에서는 버퍼의 레벨에 따라 6MHz 한 클럭에 1비트의 데이터가 나갈 때도 있고 안 나갈 때도 있으며 나머지 자리에서는 무조건 0비트의 데이터가 나간다.It also creates enable and control signals for the AU3 / TU3 frame structure. Create a lead enable signal to match the AU / TU frame structure. There are 5 control signals, Rbit, Sbit, Cbit, POH, and read enable. Among them, 8-bit data is sent out of the buffer at 6MHz one clock unconditionally in the position of the lead enable signal, and 1 bit of data is sometimes out at the 6MHz one clock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buffer in the Sbit position, and sometimes it is not. The data comes out.

그리고 제어 신호는 읽는 어드레스와 쓰는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만들어내며, 그 차이에 따라서 AU/TU 프레임의 Sbit에 데이터를 채울 것인지를 결정한다. 6MHz의 클럭으로 데이터를 읽을 때 상기한 제어 신호에 따라서 데이터를 내보내는데, 리드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이면 무조건 그전 리드 어드레스에 8을 더하고 데이터를버퍼 어드레스가 낮은 순으로 MSB(Most Significant Bit, 최상위 비트)에 채운다. 나머지 자리에서는 리드 어드레스의 변화가 없으며, Sbit 자리에서는 스터프 신호가 발생하면 LSB(Least Significant Bit, 최하위 비트)에 한 비트를 채우고 리드 어드레스를 1 증가시키며 스터프가 0이면 그냥 유지하게 된다.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read address with the write address, and decide whether to fill the data in the Sbit of the AU / TU fram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When reading data with a clock of 6MHz, data is s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described above. If the read enable signal is high, the MSB (Most Significant Bit, most significant bit) is added to the previous read address unconditionally by adding 8 to the previous read address. ). In the remaining positions, there is no change in the read address, and in the Sbit position, when a stuff signal occurs, the LSB (Least Significant Bit) is filled with one bit, the read address is increased by one, and if the stuff is zero, it is maintained.

여기서 체이스(chase)는 버퍼의 레벨이 너무 높거나 낮을 때 일정 범위까지는 8비트(7비트)씩 포맷보다 데이터를 더 읽거나 덜 읽어서 버퍼가 센터(128비트 버퍼 사용시 64) 빨리 근접하도록 해준다. 일정한 범위 이내에 들면(예를 들면, 54 ~ 74) 체이스 기능은 동작하지 않고 스터프(Stuff)로만 버퍼의 레벨을 조절한다.The chase here reads more or less data than the 8-bit (7-bit) format up to a certain range when the level of the buffer is too high or low, allowing the buffer to quickly approach the center (64 when using 128-bit buffers). If within a certain range (eg 54 to 74), the Chase function does not work and only adjusts the buffer level with Stuff.

또한 6MHz 클럭으로 버퍼의 제어 신호가 만들어낸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읽어내게 된다. 따라서 스터핑 관리부(20)의 출력은 AU/TU의 프레임을 가지게 된다. 이 신호들을 6MHz 클럭을 리타이밍 시킨다.The 6MHz clock also reads the data at the address generated by the control signal in the buffer. Accordingly, the output of the stuffing manager 20 has a frame of AU / TU. These signals retime the 6MHz clock.

이처럼 본 발명은 바이트단위로 데이터처리를 수행하여 비트단위로 처리시 발생하는 열을 줄일 수 있고 데이터 슬립을 방지하며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processing by the unit of bit by processing the data in the unit of byte, prevent data slip and process the data at high spe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us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는 버퍼의 제어 및 처리 속도를 바이트 단위인 6MHz로 하여 51MHz를 처리하였을 때 발생되는 많은 열을 줄일 수 있고, 51MHz로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고, 비트 단위를 바이트 단위로 처리함으로써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yte-based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a lot of heat generated when the 51MHz processing by controlling the buffer and the processing speed of 6MHz, the byte unit, when processing at 51MHz The slip of data that can occur can be prevented, and the data can be processed at high speed by processing the bit unit by the byte unit.

Claims (5)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에 있어서,In the byte uni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입력된 비트 단위의 데이터와 클럭을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고 버퍼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유실이 방지된 상태에서 데이터의 속도를 증/감시키는 데이터유실 방지부와;A data loss prevention unit converting the input bit unit data and the clock unit into byte units and increasing / decreasing the speed of data in a state where data loss is prevented using a buffer; 상기 데이터유실 방지부에서 속도가 증가된 데이터를 버퍼에 보관하면서 스터핑 관리를 수행하여 원하는 포맷에 맞게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스터핑 관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And a stuffing management unit configured to output data and a clock according to a desired format by performing stuffing management while storing data having an increased speed in the buffer in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유실 방지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입력된 비트 단위의 클럭과 데이터를 바이트 단위로 변환하는 클럭변환부와;A clock converting unit converting the input bit unit clock and data in byte unit; 제1 버퍼의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버퍼의 레벨을 파악하고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의 차이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 제어생성부와;A first control generation unit comparing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of the first buffer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 buffer and maintaining a constant interval between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상기 제1 제어생성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클럭변환부의 데이터와 클럭을 입력받고 증가된 속도로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제1 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And a first buffer configured to receive data and a clock of the clock converter in response to a control signal of the first control generator, and to output data and a clock at an increased spe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발생부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ntrol generator, 클럭을 입력받아 데이터유실없이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필요한 간격만큼을 카운트하는 카운터와;A counter that receives a clock and counts a necessary interval so that data can be read without data loss; 상기 카운터로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생성수단과;Enable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an enable signal with the counter; 상기 제1 버퍼에서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읽어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래치신호에 따라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클럭의 포지티브 고잉과 네가티브 고잉 때 래치하는 래치 수단과;Latch means for reading a write address and a read address from the first buffer and latching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in a positive go and a negative go of a clock according to a latch signal output from the enable generation means; 상기 래치 수단에서 래치한 값에서 라이트-리드 어드레스와 라이트-리드 어드레스 버퍼의 값을 구하는 값추출 수단과;Value extracting means for obtaining a value of a write read address and a write read address buffer from the value latched by the latch means; 상기 값추출 수단에서 구해진 값을 입력받아 상기 카운터로 스터핑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터핑신호 생성수단과;Stuffing signal generating means for receiving a value obtained by the value extracting means and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tuffing enable signal to the counter; 상기 스터핑신호 생성수단의 출력과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 신호와 데이터 출력의 위상을 보상하는 보상수단과;Compensation means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stuffing signal generating means and the output of the enable generating means and compensating the phases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data output;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의 리드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리드 어드레스와 한 바이트에 포함될 비트수를 계산하는 계산수단과;Calculating means for receiving a read enable signal of the enable generating means and calculating a read address and the number of bits to be included in one by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상기 계산수단에서 출력된 결과를 받아 8비트 각각의 어드레스를 결정하여 제1 버퍼에 저장된 비트 단위의 데이터가 바이트 단위로 순서대로 맵핑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결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n address determination means for receiving a result output from the calculation means and determining an address for each of 8 bits and outputting a signal for mapping the data of the bit unit stored in the first buffer in order of the byte unit Byte data processing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핑 관리부는,According to claim 1, The stuffing management unit, 제2 버퍼의 라이트 어드레스와 리드 어드레스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스터핑을 수행하여 원하는 포맷에 맞게 데이터와 클럭이 출력되도록 하는 제2 제어생성부와;A second control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by comparing the write address and the read address of the second buffer, and to perform stuffing to output data and a clock according to a desired format; 상기 제2 제어생성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데이터유실 방지부에서 데이터와 클럭과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원하는 포맷의 데이터와 클럭을 출력하는 제2 버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And a second buffer configured to receive a data, a clock, and a control signal from the data loss prevention unit, and output a data and a clock in a desired format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generator.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발생부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control generating unit, 클럭을 입력받아 일정한 간격의 카운트 값을 출력하는 카운트와;A count for receiving a clock and outputting a count valu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카운트에서 출력되는 카운트 값에 따라 인에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인에이블 생성수단과;Enable generation means for generating an enable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unt value output from the count; 상기 제1 제어생성부 내의 보상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라이트 어드레스와 한 바이트에 포함될 바이트수를 계산하는 라이트 계산수단과;Write calculation means for receiving an output of the compensation means in the first control generation part and calculating a write address and the number of bytes to be included in one by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상기 라이트 계산수단에서 받은 신호로 8 비트 각각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라이트 어드레스 결정수단과;Write address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an address of each of the eight bits wit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write calculation means; 상기 라이트 어드레스 결정수단의 출력에 따라 상기 제2 버퍼의 값을 순서대로 맵핑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맵핑 결정수단과;Mapping determination means for outputting a signal to map values of the second buffer in order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write address determination means; 상기 인에이블 생성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리드 어드레스와 한 바이트에 포함될 바이트수를 계산하는 리드 계산수단과;Read calculation means for receiving an output of the enable generation means and calculating a read address and the number of bytes to be included in one by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상기 리드 계산수단에서 받은 신호로 8 비트 각각의 어드레스를 결정하는 리드 어드레스 결정수단과;Read address determination means for determining the address of each of the 8 bits with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read calculation means; 상기 라이트 및 리드 계산수단에서 출력되는 라이트-리드 어드레스를 클럭의 포지티브 고잉 때 래치하는 래치수단과;Latch means for latching a write-read address outputted from the write and read calculation means when the clock is positively gotten; 상기 래치수단에서 래치한 값에서 라이트-리드 어드레스를 구하는 값추출 수단과;Value extracting means for obtaining a write-read address from the value latched by the latching means; 상기 값추출 수단에서 구해진 값을 입력받아 리드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리드 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과;Read enable signal generation means for receiving a value obtained by the value extracting means and generating a read enable control signal; 상기 리드 인에이블 신호 생성수단에서 리드 인에이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스터프 인에이블 및 체이스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체이스수단과;A chase means for receiving a lead enable control signal from the lead enable signal generation means and generating a stuff enable and chase enable signal; 상기 체이스수단의 출력을 입력받아 상기 제2 버퍼에서 데이터를 어드레스 버스의 값에 따라 값을 순서대로 맵핑한 결과를 입력받아 오버헤드 자리에 알맞은 값을 채워 원하는 포맷의 데이터를 만들어 출력하는 출력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전송 시스템의 바이트단위 데이터처리 장치.The output means for receiving the output of the chase means and the result of mapping the data in order in accordance with the value of the address bus in the second buffer in order to fill the appropriate value in the overhead seat to create and output the data of the desired format A byte unit data processing apparatus of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KR1019990034435A 1999-08-19 1999-08-19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0301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35A KR100301294B1 (en) 1999-08-19 1999-08-19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435A KR100301294B1 (en) 1999-08-19 1999-08-19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469A KR20010018469A (en) 2001-03-05
KR100301294B1 true KR100301294B1 (en) 2001-11-01

Family

ID=1960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435A KR100301294B1 (en) 1999-08-19 1999-08-19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12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2839B1 (en) * 2001-10-05 2007-07-25 엘지노텔 주식회사 Apparatus for generating OF trace byte in communication system
KR100468584B1 (en) * 2002-09-03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buffer device for compensating a transmission route differential delay of optical transmission system
KR101463775B1 (en) 2013-05-06 2014-11-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ulti-frame data processing apparatus using frame disassembling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154A (en)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Jitter suppression circuit
JPH09247118A (en) * 1996-03-06 1997-09-19 Fujitsu Ltd Jitter restricting circuit
JPH10322317A (en) * 1997-05-16 1998-12-04 Taisei Corp Data conversion device,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restor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154A (en) * 1994-03-18 1995-10-13 Fujitsu Ltd Jitter suppression circuit
JPH09247118A (en) * 1996-03-06 1997-09-19 Fujitsu Ltd Jitter restricting circuit
JPH10322317A (en) * 1997-05-16 1998-12-04 Taisei Corp Data conversion device, data transmission device and data restor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469A (en)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2529A (en) Method and means for transferring a data payload from a first SONET signal to a SONET signal of different frequency
US5111485A (en) Method of and circuit for synchronizing data
US5757871A (en) Jitter suppression circuit for clock signals used for sending data from a 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to an asynchronous transmission network
IL104990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timing and realignment of sts-1 signals into sts-3 type signal
JPH04227142A (en) Circuit arrangement for regulating bit speeds of two digital signals
US527668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bit rate adjustment
US76396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DH/SONET frame alignment
JPH03101537A (en) Apparatus for bit rate adaptation
KR100301294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y a byte i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7068679B1 (en) Asynchronous payload mapping using direct phase transfer
US6349101B1 (en) Cell buffer circuit for an ATM cells to SDH-based data conversion system
JPH07177113A (en) Transmitting device and matching circuit
JP2000341235A (en) Clock regeneration method for low-order group signal in pulse stuffing synchronization system and circuit therefor
KR19990055985A (en) Elastic buffer circuit in synchronous transmission device
JPH0621929A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equalization circuit device
KR100280203B1 (en) Bit leaking device
US7039145B2 (en) Control loop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55352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miting jitter in a telecommunications signal which is being mapped in another such signal by temporarily suspending measurement of available data
US6449277B1 (en) Interleaver for parallel 8 bit cell of ATM systems and a method therefor
IL11397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miting jitter in a telecommunications signal
JP2867943B2 (en) Delay variation absorption method for SDH transmission system
JP2957432B2 (en) Demapping circuit
KR0177732B1 (en) Method for processing pointer stuffing in synchronization optical network
KR20030053353A (en) Data handler for virtual concatenation in SDH network
JP2655489B2 (en) ATM cell signal format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